KR20010035526A -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 - Google Patents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5526A
KR20010035526A KR1020010009758A KR20010009758A KR20010035526A KR 20010035526 A KR20010035526 A KR 20010035526A KR 1020010009758 A KR1020010009758 A KR 1020010009758A KR 20010009758 A KR20010009758 A KR 20010009758A KR 20010035526 A KR20010035526 A KR 20010035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learning
education system
picture
langu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금
이계섭
Original Assignee
조동금
이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금, 이계섭 filed Critical 조동금
Priority to KR1020010009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5526A/ko
Publication of KR20010035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526A/ko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구현되는 어린이를 위한 인성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인터넷에서 서버 컴퓨터가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소정의 학습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가 제공하는 학습정보에는 : 학습 대상으로서 소정 주제어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그림인 제1요소와; 상기 주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텍스트인 제2요소와; 상기 주제어의 특징을 표현하는 노래가사와 거기에 가락을 붙여 오선지 상의 음표를 통해 표현한 곡을 나타내는 악보인 제3요소; 그리고, 상기 제3요소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청각적으로 제공하는 부분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각 요소들은 상기 주제어를 중심으로 유기적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는 인터넷 상에서 어린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사이트로서 시간 및 공간의 제약이 없다는 일반적인 장점을 제공하는 외에, 어린아이가 재미와 흥미를 느끼고 집중력있게 또 효과적으로 외국어 또는 사물에 관한 지식 및 음악 등 다양한 학습을 할 수 있는 학습사이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A SYSTEM FOR HUMAN NATURAL EDUCATION OF CHILDREN}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구현되는 어린이를 위한 인성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그림과 설명, 그리고 노래 등의 다양한 수단을 통하여 외국어나 사물에 대한 지식의 습득뿐 아니라 감성적인 감각 등 종합적인 인성교육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 인터넷 상의 어린이를 위한 인성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어릴 때 언어습득 능력을 비롯한 학습능력이 뛰어난 것이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어릴 때의 학습능력에 관해서는, 3세 이전에 뇌의 80%가 완성되며, 아이들에게 좋은 음악을 들려주게 되면 집중력이 향상됨으로써 기억력이 좋아져 학습효과가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또한, 피아노와 악기를 다루는 능력이나 음악적인 감성을 키우는 분야에서도 어린 시절에 더 잘 배운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이와 같이 어린 시절에 큰 학습능력을 가진다는 이론에 의하여 최근에는 조기교육이 중요시되는 추세이며, 예컨대 종래에 중학교 이상에서 가르치던 제2외국어 교육을 최근에는 초등학교에서부터 이루어지고 있으며 더 나아가, 유치원이나 유아원 등에서도 어린 아이들에게 외국어를 가르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종래에 유아용 교재나 유치원 또는 초등학생을 상대로 하는 학습교재들과 근래에 발전하고 있는 인터넷상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학습 사이트들에서 사용되는 학습정보들은 각 과목별로 구분되어 있었다. 즉, 동물, 식물이나 주위 사물에 관한 지식들에 관하여는 그림과 설명만이 포함되어 구성된 책들이 주류를 이루었고, 음악책은 단지 노래만이 포함되어 있을 뿐이며, 예컨대 피아노연주 연습용 곡은 일정한 형태의 피아노연주용 음악만이 포함되어 있었다. 즉, 음악 따로 지식 따로인 학습교재나 학습정보가 일반적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개별과목에 한정된 교재나 정보들은 비교적 집중력이 크지 않고 문자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은 어린이들에게 적합한 것이 아니었다. 어릴수록 학습능력이 크다는 이유로 행해지고 있는 조기교육에 알맞은 학습교재나 디지털 컨텐츠가 별로 없는 이유로 어린아이가 가진 학습능력에 맞는 교육이 이루어지기가 힘들었고, 오히려 지루하고 재미없는 학습시간으로 되어 어린아이들에게 부담스러운 짐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인터넷 상에서 어린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사이트로서 시간 및 공간의 제약이 없다는 일반적인 장점을 제공하는 외에, 어린아이가 재미와 흥미를 느끼고 집중력있게 또 효과적으로 외국어 또는 사물에 관한 지식 및 음악 등 다양한 학습을 할 수 있는 학습사이트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일면적인 학습 컨텐츠만을 제공하는 교육사이트의 단점을 해소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노래를 통해 자연과 사물, 전통적 사상, 예절과 질서, 경로 효친 사상 등의 종합적인 인성교육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 학습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상의 학습시스템을 제공하는 목적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서정적인 동요를 제공하며, 노래를 통해 자연스럽게 제2외국어를 익히도록 하는 인터넷 상의 학습시스템을 제공하는 다른 목적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노래의 곡과 악기연주에 필요한 음악코드를 제공함으로써 피아노와 같은 악기연주능력도 익힐 수 있는 인터넷 상의 학습시스템을 제공하는 또 다른 목적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스템의 망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스템의 전체적인 내용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스템이 제공하는 학습정보의 계층적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스템의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고 회원등록 및 로그인이 가능한 메인 화면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스템에서 임의의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나타날 수 있는 주제어를 선택하는 화면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스템에서 임의의 주제를 선택하면 나타날 수 있는 해당 주제어에 대하여 다양한 요소를 통한 학습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도 6에 의한 화면에서 큰화면으로 보기(36)을 선택하면 나타날 수 있는 노래 악보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스템에서 문제풀이 중 제1유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스템에서 문제풀이 중 제2유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스템에서 문제풀이 중 제3유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스템에서 게임을 통해 심화학습을 할 수 있는 화면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스템에서 틀린문제 다시풀기 화면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스템에서 임의의 회원에 대한 성적표 화면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스템에서 임의의 회원에 대한 생활기록부 화면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라이언트 컴퓨터 2 : 인터넷
3 : 서버 컴퓨터 10 : 카테고리
20 : 주제어 30 : 학습요소
31 : 그림(제1요소) 33 : 텍스트(제2요소)
35 : 노래악보(제3요소) 37 : 노래듣기 링크
39 : 반주코드(제4요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은, 프로세서와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와 청각적 출력장치 및 사용자 입력장치를 가지는 클라이언트 컴퓨터 및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인터넷으로 연결된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상기 서버 컴퓨터가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소정의 학습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사용하는 이용자는 상기 학습정보에 응답함으로써 상호작용을 하며 학습하기 위한 교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가 제공하는 학습정보에는 : 학습 대상으로서 소정 주제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그 주제어를 연상할 수 있도록 한 그림인 제1요소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부분과; 상기 주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텍스트인 제2요소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부분과; 상기 주제어의 특징을 표현하는 노래가사와 거기에 가락을 붙여 오선지 상의 음표를 통해 표현한 곡을 나타내는 악보인 제3요소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부분; 그리고, 상기 제3요소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청각적으로 제공하는 부분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각 요소들은 상기 주제어를 중심으로 유기적으로 구성된다.
위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서버 컴퓨터가 제공하는 학습정보에는, 상기 주제어와 관련되어 이용자가 문제를 풀고 정답을 확인할 수 있도록 문제풀이 부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공되는 문제에는, 임의의 한 주제어와 관련하여 객관식문제 유형이 포함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공되는 문제에는, 복수개의 주제어와 관련하여 그 복수개의 주제어에 관한 그림들이 동시에 나타나 있는 전체그림에서 임의의 주제어에 대한 문자와 동일한 주제어에 대한 그림을 선택하는 유형과 문자와 그림을 연결하는 유형 또는 노래를 듣고 올바른 그림을 선택하는 유형으로서 하나 이상의 문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 컴퓨터가 제공하는 학습정보에는, 상기 이용자가 상기 제공되는 문제 중에 오답을 선택했었던 경우를 저장하였다가, 상기 이용자에게 그가 틀린 문제에 대해 다시 한번 풀어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부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구성의 인성교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요소의 텍스트는 제1언어만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요소 중 노래가사는 상기 제1언어 및 그와 다른 제2언어에 의한 단어가 동시에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언어는 한국어이며, 상기 제2언어는 영어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3요소 중 노래가사에 있어서, 상기 제1언어는 상기 제2언어 단어의 발음 및/또는 철자를 지시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구성의 인성교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가 제공하는 학습정보에는, 상기 제3요소의 곡에 사용될 수 있는 화음을 나타내는 반주코드를 오선지상의 음표로 또는/및 연주될 수 있는 악기의 그림으로 나타내는 제4요소를 제공하는 부분을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악기는 피아노이고 화음이 피아노 건반상에 표시되어 있는 그림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서버 컴퓨터는 이용자 개인의 신상자료 및 학습이력 정보를 축적하여 관리하는 회원관리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성교육 시스템은, 프로세서와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와 청각적 출력장치 및 사용자 입력장치를 가지는 클라이언트 컴퓨터 및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인터넷으로 연결된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상기 서버 컴퓨터가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소정의 학습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사용하는 이용자는 상기 학습정보에 응답함으로써 상호작용을 하며 학습하기 위한 교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가 제공하는 학습정보에는 : 학습 대상으로서 소정 주제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그 주제어를 연상할 수 있도록 한 그림인 제1요소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부분과; 상기 주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한국어로 된 텍스트인 제2요소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부분과; 상기 주제어의 특징을 표현하는 한국어 및 영어단어를 함께 사용하여 이루어진 노래가사와 거기에 가락을 붙여 오선지 상의 음표를 통해 표현한 곡을 나타내는 악보인 제3요소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부분과; 상기 제3요소의 곡에 사용될 수 있는 화음을 나타내는 반주코드를 오선지상의 음표로 또는/및 연주될 수 있는 악기의 그림으로 나타내는 제4요소를 제공하는 부분; 그리고, 상기 제3요소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청각적으로 제공하는 부분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각 요소들은 상기 주제어를 중심으로 유기적으로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3요소의 한국어는 상기 영어 단어의 발음 및/또는 철자를 지시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어린이의 인성교육을 위한 교육시스템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네트워크는, 프로세서와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와 청각적 출력장치 및 사용자 입력장치를 가지는 클라이언트 컴퓨터(1) 및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인터넷(2)으로 연결된 서버 컴퓨터(3)를 포함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월드와이드웹(WWW : World Wide Web)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다수의 이용자가 각각 가지고 사용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는 이용자의 집에 있는 컴퓨터로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면 족하다. 학습 컨텐츠 즉 학습정보는 서버 컴퓨터(3)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1)에 전송되며, 클라이언트 컴퓨터(1)를 사용하는 이용자는 웹브라우저와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전송된 학습정보와 상호작용을 한다. 이런 기본적인 시스템은 종래에 구현되어 있는 웹사이트 운영 및 검색에 필요한 기본적인 장치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스템을 구현하는 일실시예로서 가능한 웹사이트의 전체적인 구성(100)이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본 교육시스템이 구현된 웹사이트에 접속한 이용자는 먼저 회원가입(110)하는 절차를 밟고 고유한 아이디와 암호가 정해지며, 로그인(120) 과정에서 아이디와 암호를 입력하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자 또는 운영 프로그램은 이용자가 누구인지를 식별하게 된다. 이런 과정은 통상적인 회원제 웹사이트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통해 쉽게 구현될 수 있다.
로그인한 후, 이용자는 학습할 카테고리와 주제어를 선택(130)한다. 카테고리와 주제어의 선택에 관해서는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그런 다음, 선택한 주제어에 대하여 소정의 학습정보가 이용자의 컴퓨터 모니터 및/또는 스피커 등에 출력되고, 이용자는 그림과 텍스트, 그리고 노래와 같은 다양한 학습요소들을 통해 학습을 하게 된다(1단계 학습)(140). 학습요소들의 구체적인 예는 도 6 내지 7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1단계 학습(140)을 거친 후, 이용자는 심화학습단계로서 문제풀이 단계(2단계)(150)로 나아간다.
2단계인 문제풀이 단계(150)에는 다양한 유형(210, 220, 230)의 문제들이 준비되어 있다. 문제유형은 그 수(N개)에 제한될 필요는 없으나, 학습대상자인 이용자가 어린아이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회원정보에 의해 이용자의 나이나 학습진도에 따라 2개에서 5개 정도로 변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양한 유형의 문제들의 구체적인 예는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 문제풀이단계(150)에서의 성적 및 정·오답 결과 데이터는 각 이용자 회원에 대하여 저장되며, 이는 성적표(160) 및 생활기록부(170) 등과 같이 학습이력 및 신상정보를 관리하는 회원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교육시스템에서는 이용자의 흥미를 배가시키기 위해서 게임이나 퍼즐을 통하여 공부를 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도 2에서는 ″재미있게 공부하기″(180)로서 나타나 있고, 이는 도 11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2단계 문제풀이 단계(150) 또는 ″재미있게 공부하기″(180)에서 푸는 문제들은 선택된 하나의 주제어에 대한 문제일 수 있고 하나의 카테고리에 속한 다수의 주제어에 대한 문제일 수 있다. 덧붙여서, 문제풀이 단계(150)에서 틀린 문제들에 대한 정보가 각 이용자 회원에 대하여 저장되어, ″틀린문제 다시풀기″(190)에서 재차 풀어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더 설명될 것이지만, 본질적으로는 문제풀이 단계(150)에서의 문제와 동일한 유형의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웹사이트 구성에 의해 구현되고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본 발명만의 특징을 가진 학습컨텐츠 즉 학습정보를 제공받아, 이용자는 다양한 장르에 대하여 흥미롭고도 다양한 주제에 대하여 집중력 있게 공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스템은 학습대상의 단위로서 주제어를 중심으로 하고 있는데, 다양한 장르에 대해 다양한 주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계층적인 구조를 할 수 있다. 즉,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개수(L개)의 주제어(20 : 20.1, 20.2, ..., 20.L)는 다수(M개)의 카테고리(10 : 10.1, 10.2, ..., 10.M)중 하나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주제어(20)에는 학습요소(30)들 즉 그림(31), 설명 텍스트(33), 노래악보(35), 노래듣기(37), 그리고 반주코드(39) 등과 같은 기본적인 학습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다.
주제어(20)로는 동물이나 곤충 또는 식물 등과 같이 사물의 이름이 될 수도 있고, 가족이나 직업 이름이 될 수도 있으며, 또는 삼강오륜이나 교통안전에 관한 규칙 등이 될 수도 있고, 재미있는 놀이에 관한 것이 될 수도 있다. 요컨대, 어린아이에게 알맞은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다. 상술한 카테고리(10)에는 유사한 주제어(20)를 모은 집합으로서 기본적으로 어린이의 인성교육 및 지식습득에 필요한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다.
카테고리(10)로서 가능한 것의 예로는, 동물, 새와 가축, 식품, 과일, 곤충, 야채, 꽃, 물고기, 의류, 주위 사람들과 물건, 놀이터, 효도하는 길, 가족, 삼강오륜과 촌수, 직업, 일용품, 탈 것, 도시, 계절과 방위 그리고 정원, 아가의 하루, 아기야 놀자, 아기와 함께, 동생이랑 엄마랑, 유치원에 가요, 춤추고 노래하자, 사물의 명칭, 엄마와 함께, 초등영어, 영어회화, 교통의 노래 등이 있다. 각 카테고리(10)에는 약 20개 정도의 주제어(20)가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동물을 하나의 카테고리로 하는 경우에는 개, 사슴, 원숭이, 사자, 코끼리, 곰, 하마, 낙타, 산토끼와 집토기, 호랑이, 기린, 여우, 얼룩말, 염소, 캥거루, 이리, 표범, 말, 악어, 고래 들과 같은 주제어들이 포함될 수 있다. 곤충을 하나의 카테고리로 하는 경우에는 나비, 매미 등의 주제어를 포함할 수 있고, 교통을 하나의 카테고리로 하는 경우에는 교통질서, 아빠 오늘도 무사히, 뺑소니차 등과 같은 주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들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위에서 하나의 주제어로서 삼은 것을 하나의 카테고리로서 삼을 수도 있다. 즉, ″개″를 하나의 카테고리로 삼아서, 강아지, 삽살개, 댕견, 흰둥이, 진돗개, 불독 등과 같은 주제어들을 포함할 수도 있음은 명백하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의 처음 메인 화면(300)에는 상기 카테고리(10) 중 일부가 회원의 나이나 학습진도에 맞추어 표시될 수 있는데, ″동물편″(10.1), ″식물편(10.2)″. ″가족편(10.3)″, ... ″교통의 노래″(10.M) 전부가 표시된 수도 있으나, 도 4에서와 같이 4개만이 표시될 수도 있다. 메인 화면(300)에는 카테고리(10) 선택부분 외에도 회원 아이디와 암호를 입력하는 로그인 부분(121)과 신규로 회원등록을 할 수 있는 버튼(111)이 있을 수 있고, 그밖에 다른 부가적인 서비스 예컨대 성적표 버튼(161), 틀린문제 다시풀기 버튼(191), 재미있게 공부하기 버튼(181) 및 생활기록부 버튼(171)이 포함될 수 있다. 각 버튼을 누르면 해당 기능을 가진 화면으로 넘어갈 수 있다. 한편, 메인 화면(300)에서 이용자가 하나의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화면은 도 5에 예시되어 있는 주제어 선택화면(310)으로 넘어간다.
주제어 선택화면(310)에서는, 예컨대 동물편(10.1)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 개(20.1), 사슴(20.2), 원숭이(20.3), ..., 호랑이(20.L) 등과 같은 주제어들이 전부 또는 일부 표시될 수 있다. 이 주제어 선택화면(310)에서 이용자는 원하는 주제어 예컨대 개(20.1)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자가 이미 공부한 바 있는 주제어에 대해서는 표시가 되지 않거나 또는 표시가 되더라도 색깔과 밝기 등이 다르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주제어 선택화면(310)에는 이용자가 아이디 ″CHODONG″(123)로 로그인을 하였고, 학습진도가 ″A″(125)라는 것이 나타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CHODONG″, ″A″라는 문자는 특별한 뜻이 있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의 특징을 이루는 학습정보의 구체적인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학습정보는 다양한 요소 즉, 그림과 설명, 노래 등을 통하여 집중적이고 종합적으로 다양한 측면에서 하나의 주제어에 대해 접근함으로써 유아를 비롯한 어린아이들이 쉽게 흥미를 가지고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한 특징을 가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육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학습정보는, 도 6에 학습화면(320)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림(제1요소)과 텍스트(제2요소)와 노래가사 및 곡을 이루어진 악보(제3요소)의 시각적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제3요소에 의한 노래가 청각적으로 출력되는 오디오 정보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각 요소들(그림, 텍스트, 악보, 오디오정보)은 일정한 하나의 주제어를 중심으로 유기적으로 구성된다. 그 구성요소들은 도 6에서, 하나의 주제어(20), 예컨대 ″개″에 대한 그림 및 텍스트 요소, 그리고, 노래악보 등의 요소로서 예시적으로 보여지고 있다.
도 6에 의해 예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서 학습대상인 주제어가, 예컨대 ″개″일 경우에, 제1요소는 개를 주제어로 하여 그 주제어를 연상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현한 그림(31)이다. 이 그림(31)은 정지된 이미지일 수도 있고 동영상일 수도 있다. 그 그림(31)의 옆에는 주제어인 ″개″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는 제2요소로서 텍스트(33)가 곁들여진다. 이 텍스트(33)는 문자를 모르는 이용자를 위해 오디오파일로서 제공될 수 있는데, 들어보기 버튼(34)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이용자가 그 버튼(34)을 클릭하면 웹브라우저의 플러그인 프로그램인 오디오파일 재생프로그램이 자동으로 해당 오디오파일을 재생하게 됨으로써, 이용자가 원하는 소리를 듣을 수 있게 된다. 부가적으로 앞의 화면으로 가기 버튼(321)과 다음 단계로 가는 버튼(322)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그림(31)은 어린아이들이 좋아할 만하게 친근하고 따뜻한 색깔을 사용하여 ″개″를 친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개의 그림(31)은 사실적인 표현을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예컨대 ″개″가 어떻게 생겼는지에 대한 지식까지 습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텍스트(33)는 주제어 예컨대 ″개″에 대한 간단한 정보로서, 예컨대 백과사전과 같은 곳에서 얻을 수 있는 사실적이고 정확한 내용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 텍스트는 너무 길지 않게 간단한 하나의 문장으로서 약 20 내지 40자정도의 길이로 하여 그림(31)을 보충하는 자료로서 부가된다.
제3요소인 악보(35)는 노래가사와 곡으로 구성되는데, 노래가사는 주제어가 예컨대 ″개″인 경우 개의 특징을 쉽고 재미있게 표현하게 되는데, 예컨대 ″멍멍멍 멍멍멍 반갑다고 멍멍멍......″과 같은 내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주제어가 ″하마″인 경우라면 ″뚱뚱보 그래도 좋은 하마. 물이 좋아 물에 노는 하마......″로 될 수 있다. 곡은 어린아이에게 알맞게 간단하고 쉬운 멜로디를 가진 동요인 것이 바람직하다. 악보(35)에는 크게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버튼(36)이 제공될 수 있다. 즉, 학습화면(320)에서 이용자가 버튼(36)을 클릭하거나 다른 식으로는 악보(35)를 클릭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큰 악보화면(400)이 나타날 수 있다.
도 7에 명백하게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육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학습정보에서, 노래가사는 두 가지 언어로 구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도 7에 예시된 것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어린아이에게 영어단어를 학습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예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가사는 한국어로 되어 있으며 주제어와 관련된 단어인 ″개″와 연관되어 영어단어인 ″Dog″라는 말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학습정보는 예시된 바와 같은 한국어/영어의 조합 외에 어떠한 언어의 조합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며,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아이가 한국어를 배우는 경우나,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아이가 영어가 아닌 다른 언어, 예컨대 일어나 중국어를 배우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응용될 수 있다.
악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목(410)과 가사(430) 및 곡(450)으로 구성되는데, 가사(430)의 첫번째 소절에서는 한국어로만 되고 두 번째 소절에서 영어단어를 포함할 수 있으나, 그 반대로 되는 경우도 물론 가능하다. 영어단어는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간단한 회화형태를 띠는 복수의 단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I love you″ 또는 ″What are you doing?″과 같은 간단한 문장도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한국어로 된 영어(435, 437)의 발음(431) 즉 ″도그″와 철자(4333) 즉 ″디, 오, 지″라는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노래는 오디오 파일로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용자의 선택으로 들을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37)이 제공될 수 있다. 이용자는 악보를 보면서 또 노래를 들으면서 따라 부르고 또 외워 부르면서 재미있게 외국어를 공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학습정보에는 상기한 제1요소 내지 제3요소에 추가하여, 제4요소로서 악기연주 교육을 위해 부가적인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곡인 제4요소에 사용될 수 있는 화음을 나타내는 반주코드(39)를 오선지상의 음표로 또는/및 연주될 수 있는 악기의 그림으로 나타내는 제5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악기는 피아노이고 화음이 상기 피아노 건반상에 표시되어 있는 그림으로 표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피아노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기타와 같은 악기거나 또는 피리나 나팔, 바이올린 등의 검지법을 나타내는 그림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한 제1내지 제4요소 그리고 추가가능한 제5요소에 의하여 표현되는 주제어를 소정 개수, 바람직하게는 약 20개 정도를 묶어, 하나의 카테고리로 삼고, 그 카테고리에 포함된 각 주제어별 요소들을 모으고, 더 나아가, 여러 가지 카테고리에 대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주제어에 대하여 한 곡의 노래를 비롯한 다양한 요소들을 대응시키고, 하나의 카테고리에 20개의 주제어를 포함시키며, 하나의 카테고리를 낱권으로 하여 31권의 전집으로 학습컨텐츠 즉 학습정보를 만드는 경우에는, 모두 620곡이 포함되는 정보를 제작하게 된다. 따라서, 어린이는 다양한 카테고리에 대하여 광범위한 지식을 얻을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재미있는 노래를 통해서 영어와 같은 외국어를 쉽게 익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노래를 오디오파일로 제공하는 경우에는 사람의 음성에 의해 연주되는 노래를 포함하는 것 외에 음성을 제외한 악기들만의 반주형태로 녹음되어 있을 수 있다. 사람음성에 의한 노래는 '따라부르기'가 가능하여 노래를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반면에, 악기들만의 반주는 작은 '노래방'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사람음성에 의한 노래와 악기만의 반주가 동시에 순차적으로 녹음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육시스템이 제공하는 학습정보는, 상술한 제1요소 내지 제3요소 또는 제4요소를 포함하는 구성에 더하여, 상기 주제어와 관련되어 이용자가 문제를 풀고 정답을 확인할 수 있도록 문제풀이 부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문제풀이 부분은 도 8 내지 12에 의해 다양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문제유형으로 가능한 것은 어린이에게 적당한 형식이라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것은, 임의의 한 주제어(여기서는 ″개″)와 관련하여 객관식문제를 푸는 유형이다. 처음 이 문제풀기 화면은 주제어에 관한 그림(31)과 객관식문제(41), 그리고 오디오파일에의 링크(43)만이 표시되며, 오디오파일은 그림(31)을 설명하는 텍스트를 들려주거나 또는 노래를 들려줄 수 있다. 이용자는 설명이나 노래를 듣거나 또는 그림(31)만을 보고서 문제(41)에서 제시된 4개 내지 5개의 예문 중에서 하나를 골라 마우스 등으로 클릭하여 선택한다. 그러면, 정답을 선택한 경우엔 예컨대 ″참 잘했어요″(45)라는 문구가 표시되면서 스피커와 같은 장치로 적당한 축하 음악이 흘러나올 수 있다. 오답을 선택한 경우엔, 예컨대 ″틀렸어요″(47)라는 문구와 함께 그에 어울리는 음향이나 음악이 흘러나올 수 있다. 이용자는 다음단계 버튼(332)를 이용해 다음 문제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유형의 문제를 푸는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도 9에는 하나의 카테고리 안에서 복수개의 주제어에 대하여 문자와 그림을 연결하는 유형이 도시된다. 이용자가 본 문제풀기 화면(340)으로 들어오면, 중앙의 실선은 보이지 않는 상태로 다수의 문자(51)와 들어보기 버튼(53)이 왼쪽에 나열되고 이에 대응하여 다수의 그림(31)이 오른쪽에 나열된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용자는 선택적으로 들어보기 버튼(53)을 클릭하여, 문자(51)에 대한 노래나 설명을 들을 수 있다. 이용자가 임의의 문자(51)를 클릭한 후 곧바로 임의의 그림(31)을 클릭하면, 정답인 경우 도시된 것과 같이 실선이 표시되어 대응하는 문자(51)와 그림(31)을 연결하고, 오답인 경우에는 실선이 나타나지 않고 틀렸다는 소리나 도 8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0에는 복수개의 주제어에 대하여 노래를 듣고 올바른 그림을 선택하는 유형이 예시되어 있다. 본 문제풀이 화면(350)에는 왼쪽에 다수의 문장 들어보기 버튼(61)이 나열되며, 그 버튼(61)옆에는 빈 네모칸이 표시된다. 이에 대응하여 다수의 그림(31)이 오른쪽에 나열된다. 이용자는 문장 들어보기(61) 버튼을 눌러 설명 또는 바람직하게는 노래를 들어볼 수 있다. 노래를 들은 후 사용자는 해당하는 그림(31)를 마우스 포인터로 끌어다 빈 칸으로 옮긴다. 정답인 경우에는 그림(31)은 빈 칸에 들어가 자리를 잡게 되고, 오답인 경우에는 다시 오른쪽의 처음 자리였던 곳으로 되돌아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는 복수개의 주제어와 관련하여 그 복수개의 주제어에 관한 그림들이 동시에 나타나 있는 전체그림(383)에서 임의의 주제어에 대한 문자(381)와 동일한 주제어에 대한 그림을 선택하는 유형의 문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문제풀이 화면(380)에서 이용자는 문자(381)를 클릭한 후 곧바로 전체그림(383) 안에 있는 클릭된 문자에 대응하는 그림을 클릭하는 식으로 문제를 풀어간다.
그리고, 도 12에는 이용자가 상기 제공되는 문제 중에 오답을 선택했었던 경우를 저장하였다가, 상기 이용자에게 그가 틀린 문제에 대해 다시 한번 풀어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문제가 예시된다. 본 문제풀이 화면(390)의 구성은 이용자가 이미 풀어본 경험이 있고 오답을 제시했던 문제의 유형과 동일하며, 다만 화면 상단에 예컨대 ″홍길동 어린이가 틀렸던 문제예요. 다시 한번 풀어보세요″라는 지시어가 추가되는 것만이 다르다. 도 12에 예시된 문제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유형의 문제의 경우와 동일하며, 정·오답을 맞추는 과정도 동일하다. 이 과정을 통해 이용자는 틀린문제에 대해 재학습이 가능하여 반복적인 학습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서버 컴퓨터는 이용자 개인의 신상자료 및 학습이력 정보를 축적하여 관리하는 회원관리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3에 의해 도시되는 성적표(360)나 도 14에 의해 도시되는 생활기록부(370)와 같은 자료를 관리함으로써 이용자의 학습이력을 축적하여 그 학습진도에 맞추어 적절한 학습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성적표(360)는 예컨대 이용자의 이름(75)을 명시하면서, 이용자가 푼 카테고리(10)에 대해서 문제 맞추기 활동에 대한 점수(71)를 예컨대 하트모양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성적을 3개나 5개로 등급을 매기고, 그 등급에 따른 문구(73) 예컨대, 낮은 등급에 대해서는 ″좀더 노력하세요″, 또는 ″참 잘했어요″와 같은 문구(73)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적표는 카테고리별로 단계별 학습에 대한 성적을 나타내므로, 이용자는 자신이 어느 카테고리에 대해서 학습이 미흡한지를 파악할 수 있고 미흡한 부분에 집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생활기록부(370)는 이용자 회원의 개인적인 신상정보로서 예컨대 이름과 나이, 취미나 특기, 그리고 사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육시스템을 통해 학습하는 경우, 시간과 공간상의 제약을 뛰어넘어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 외에도, 유아원(2세 내지 4세)단계의 어린이는 재미있는 노랫말 가사에 음악을 곁들여 들음으로써, 자연스럽게 새로운 의미를 경험하면서 영어와 같은 외국어에 관한 언어능력도 쉽게 발달될 수 있다. 또한, 사실적인 그림으로 상상력이 풍부해져 표현력이 뛰어나고 자신감도 생겨 정서교육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유치원(4세 내지 6세)단계의 어린이는 재미있는 노랫말 가사에 음악을 듣고,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음악적으로 정서교육도 되며 영어와 같은 외국어 능력도 키울 수 있다. 또한 피아노와 같은 악기를 스스로 칠 수 있는 지구력과 탐구력이 강해지고, 사실화한 그림으로 생각과 느낌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도록 유도하여 창조성을 개발하여 지적 능력 있는 학습효과를 거둘 수 있다. 더 나아가, 초등학교(7세 내지 13세)단계의 어린이는 여러 장르의 노랫말 가사에 다양한 음악, 그리고 백과사전적 지식을 접하면서 탐구력과 창의력, 사고력의 근본적인 바탕이 되어 실제 생활로 곧바로 응용함으로써 새로운 지식을 쌓는 동시에 질 높은 인성형성이 가능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의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을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시스템이 위에 설명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변경 및 변형이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은, 장르별로 창의성이 독특한 눈높이에 대한 세심한 배려에 사실화한 그림, 일러스트, 영어 기초단어를 재미있는 노랫말과 흥겨운 멜로디로 이루어진 노래와 그 곡을 함께 구성하고 또한 노래나 문제, 설명 등에 대해 오디오파일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노래하며 습득할 수 있는 외국어 및 사물에 대한 지식과 인성교육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종합적인 교육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프로세서와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와 청각적 출력장치 및 사용자 입력장치를 가지는 클라이언트 컴퓨터 및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인터넷으로 연결된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상기 서버 컴퓨터가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소정의 학습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사용하는 이용자는 상기 학습정보에 응답함으로써 상호작용을 하며 학습하기 위한 교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가 제공하는 학습정보에는 :
    학습 대상으로서 소정 주제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그 주제어를 연상할 수 있도록 한 그림인 제1요소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부분과;
    상기 주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텍스트인 제2요소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부분과;
    상기 주제어의 특징을 표현하는 노래가사와 거기에 가락을 붙여 오선지 상의 음표를 통해 표현한 곡을 나타내는 악보인 제3요소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부분; 그리고,
    상기 제3요소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청각적으로 제공하는 부분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각 요소들은 상기 주제어를 중심으로 유기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가 제공하는 학습정보에는, 상기 주제어와 관련되어 이용자가 문제를 풀고 정답을 확인할 수 있도록 문제풀이 부분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되는 문제에는, 임의의 한 주제어와 관련하여 객관식문제 유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되는 문제에는, 복수개의 주제어와 관련하여 그 복수개의 주제어에 관한 그림들이 동시에 나타나 있는 전체그림에서 임의의 주제어에 대한 문자와 동일한 주제어에 대한 그림을 선택하는 유형과 문자와 그림을 연결하는 유형 또는 노래를 듣고 올바른 그림을 선택하는 유형 중 하나 이상의 문제유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가 제공하는 학습정보에는, 상기 이용자가 상기 제공되는 문제 중에 오답을 선택했었던 경우를 저장하였다가, 상기 이용자에게 그가 틀린 문제에 대해 다시 한번 풀어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부분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요소의 텍스트는 제1언어만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요소 중 노래가사는 상기 제1언어 및 그와 다른 제2언어에 의한 단어가 동시에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언어는 한국어이며, 상기 제2언어는 영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요소 중 노래가사에 있어서, 상기 제1언어는 상기 제2언어 단어의 발음 및/또는 철자를 지시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가 제공하는 학습정보에는, 상기 제3요소의 곡에 사용될 수 있는 화음을 나타내는 반주코드를 오선지상의 음표로 또는/및 연주될 수 있는 악기의 그림으로 나타내는 제4요소를 제공하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는 피아노이고 화음이 피아노 건반상에 표시되어 있는 그림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이용자 개인의 신상자료 및 학습이력 정보를 축적하여 관리하는 회원관리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
  12. 프로세서와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와 청각적 출력장치 및 사용자 입력장치를 가지는 클라이언트 컴퓨터 및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인터넷으로 연결된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상기 서버 컴퓨터가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소정의 학습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사용하는 이용자는 상기 학습정보에 응답함으로써 상호작용을 하며 학습하기 위한 교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가 제공하는 학습정보에는 :
    학습 대상으로서 소정 주제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그 주제어를 연상할 수 있도록 한 그림인 제1요소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부분과;
    상기 주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한국어로 된 텍스트인 제2요소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부분과;
    상기 주제어의 특징을 표현하는 한국어 및 영어단어를 함께 사용하여 이루어진 노래가사와 거기에 가락을 붙여 오선지 상의 음표를 통해 표현한 곡을 나타내는 악보인 제3요소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부분과;
    상기 제3요소의 곡에 사용될 수 있는 화음을 나타내는 반주코드를 오선지상의 음표로 또는/및 피아노의 건반그림으로 나타내는 제4요소를 제공하는 부분; 그리고,
    상기 제3요소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청각적으로 제공하는 부분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각 요소들은 상기 주제어를 중심으로 유기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요소의 한국어는 상기 영어 단어의 발음 및/또는철자를 지시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
KR1020010009758A 2001-02-26 2001-02-26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 KR20010035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758A KR20010035526A (ko) 2001-02-26 2001-02-26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758A KR20010035526A (ko) 2001-02-26 2001-02-26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526A true KR20010035526A (ko) 2001-05-07

Family

ID=19706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758A KR20010035526A (ko) 2001-02-26 2001-02-26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552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348A (ko) * 2002-07-09 2004-01-16 한만선 학습기능을 갖는 전자앨범의 제작방법 및 그 사용방법
KR101038571B1 (ko) * 2004-04-12 2011-06-02 박종섭 학습 정보 선택 버튼을 구비한 학습 보조 장치 및 이를이용한 전자 학습 정보 제공 방법
CN107029423A (zh) * 2017-05-26 2017-08-11 合肥充盈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汉语学习游戏系统和实现方法
KR102148867B1 (ko) * 2019-07-17 2020-08-27 김인숙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2202A (en) * 1994-11-22 1999-03-16 Softrade International Method and system for aiding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KR20000054844A (ko) * 2000-06-29 2000-09-05 홍영실 인터넷 상에서 3차원 사이버캐릭터, 3차원 가상학습공간및 실시간 음성지원에 의한 교육방법
KR20000058526A (ko) * 2000-02-16 2000-10-05 임종덕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시스템 및 그 교육방법
KR20000072757A (ko) * 2000-09-25 2000-12-05 신은성 인터넷을 통해 선택된 강의내용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07738A (ko) * 2000-07-24 2001-02-05 장원재 인터넷을 이용한 다수의 사용자간 원격 학습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10105631A (ko) * 2000-05-17 2001-11-29 신동준 인터넷을 활용한 유아 교육용 멀티미디어 주간 학습시스템 및 학습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2202A (en) * 1994-11-22 1999-03-16 Softrade International Method and system for aiding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KR20000058526A (ko) * 2000-02-16 2000-10-05 임종덕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시스템 및 그 교육방법
KR20010105631A (ko) * 2000-05-17 2001-11-29 신동준 인터넷을 활용한 유아 교육용 멀티미디어 주간 학습시스템 및 학습 방법
KR20000054844A (ko) * 2000-06-29 2000-09-05 홍영실 인터넷 상에서 3차원 사이버캐릭터, 3차원 가상학습공간및 실시간 음성지원에 의한 교육방법
KR20010007738A (ko) * 2000-07-24 2001-02-05 장원재 인터넷을 이용한 다수의 사용자간 원격 학습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00072757A (ko) * 2000-09-25 2000-12-05 신은성 인터넷을 통해 선택된 강의내용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348A (ko) * 2002-07-09 2004-01-16 한만선 학습기능을 갖는 전자앨범의 제작방법 및 그 사용방법
KR101038571B1 (ko) * 2004-04-12 2011-06-02 박종섭 학습 정보 선택 버튼을 구비한 학습 보조 장치 및 이를이용한 전자 학습 정보 제공 방법
CN107029423A (zh) * 2017-05-26 2017-08-11 合肥充盈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汉语学习游戏系统和实现方法
KR102148867B1 (ko) * 2019-07-17 2020-08-27 김인숙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iggins Pre-K music and the emergent reader: Promoting literacy in a music-enhanced environment
Lee et al. Music teaching for young children at a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classroom in Taiwan
Alvarez Preschool music education and research on the musical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ren: 1900 to 1980
OKEKE Towards the resuscitation of music education in Anambra State Primary Schools: A pedagogical study of five schools in Onitsha Metropolis
KR20010035526A (ko) 어린이 인성교육 시스템
McCrann The most valued repertoire of distinguished middle-level band conductors
KARAN et al. Views of piano teachers regarding the piano education process in amateur music education institutions
Okongo Promoting child development through music: A comparision of preschool teachers' perspective in Kenya and United States
Fashun Developing musicianship from the podium: Adapting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to the instrumental rehearsal
KR20010035527A (ko) 어린이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Güçlü An investigation of integrated skills practices and blended learning in English classes
Shaughnessy An interview with Mark Dal Porto: The composer, composition and the craft
Morris Movement as an indication of musical understanding in preschool children
Tomczak The evaluation of two self-instruction learning approaches assessing music knowledge and simple music keyboard performance skills
Ilona et al. Teaching English reading to young learners
Acioly de Siqueira Children's Music Education in a Second Language: A Qualitative Case Study
PLANJANIN SIMIĆ et al. APPLICATION OF FOLK MUSICAL INSTRUMENTS AND ORFF'S INSTRUMENTARIUM IN THE WORK OF TEACHERS WITH PRESCHOOL CHILDREN-A CASE STUDY.
O'Connor How Can I Identify and Mitigate the Ways in Which I Contribute to Ongoing Inequalities and Oppressions in My Music Therapy Practice?
Chen-Hafteck et al. ISME Music in Schools and Teacher Education Commission (MISTEC)
Youm South korean parents' goals, knowledge, practices, and needs regarding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Mercier-De Shon " Music is waiting for you": The lived experience of children's musical identity
Argirova Affective-domain occurrences reported by undergraduate non-music-major students in a keyboard-centered course incorporating the nine national standards for music education and a methodology based on constructivist principles: Patterns that might suggest hypotheses about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Huszti How to teach non-native Young learners (YLs) to read in English
Pretorius The optimal utilisation of young piano beginners' attention span: an instrumental case study
Chung A music program for grade one based on the new music curriculum standards (1993) in Taiw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