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5450A - 용접전선 수납장치를 가진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용접전선 수납장치를 가진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5450A
KR20010035450A KR1020010007435A KR20010007435A KR20010035450A KR 20010035450 A KR20010035450 A KR 20010035450A KR 1020010007435 A KR1020010007435 A KR 1020010007435A KR 20010007435 A KR20010007435 A KR 20010007435A KR 20010035450 A KR20010035450 A KR 20010035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welding wire
welding cable
case body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6331B1 (ko
Inventor
박수덕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조순문
한국산업안전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순문, 한국산업안전공단 filed Critical 조순문
Priority to KR10-2001-0007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331B1/ko
Publication of KR20010035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3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전선 수납장치를 가진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일정한 크기의 케이스내에 통상의 용접장치를 내장하고 이의 상부에 용접전선 피더를 가진 용접전선 수납부를 형성하여 용접 용접전선을 자동으로 입출시키므로서 용접 작업시 용접전선의 이동을 간편하게 하고 작업후에는 용접전선을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하여 용접에 필요한 부품을 간편하게 정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용접전선 수납장치를 가진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개 또는 복수개의 용접장치를 충분히 수납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된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는 통상의 용접장치와; 이의 상부에 받침판으로 구획되어 용접전선을 수납하는 용접전선 수납부와; 전기 용접전선 수납부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용접전선을 자동으로 입출하는 용접전선 피더로 이루어진 용접전선 수납장치를 가진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용접전선 수납장치를 가진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Delivery and recovery device for welding cable}
본 발명은 용접전선 수납장치를 가진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일정한 크기의 케이스내에 통상의 용접장치를 내장하고 이의 상부에 용접전선 피더를 가진 용접전선 수납부를 형성하여 용접전선을 자동으로 입출시키므로서 용접 작업시 용접전선의 이동을 간편하게 하고 작업후에는 용접전선을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하여 용접에 필요한 부품을 간편하게 정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용접전선 수납장치를 가진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전선 송급ㆍ회수장치는 대량의 용접을 행하는 조선소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용접기 본체와 이에 연결시킨 대략 30∼50 m의 용접전선과 와이어 송급장치 및 용접 토오치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용접장치를 이용하여 용접 작업을 할 때에는 용접기 본체는 일정한 장소에 비치하여 두고 긴 길이의 용접전선과 와이어 송급장치 및 용접 토오치를 들고 용접장소에 이동하여 용접을 실시하게 되므로 예를 들어 조선소에서 대형의 선박을 건조할 때 지상에서 매우 높고 먼 거리에 있는 용접부를 용접하기 위해서는 무거운 용접전선과 용접 토오치를 들고 이동하여야 되는 힘든 작업을 하여야 됨에 따라 작업자에게 피로를 가중시키게 되고 특히 긴길이의 용접전선이 작업장에 널려져 작업장을 어지럽힐 뿐 아니라 안전상으로도 위험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용접작업이 종료된 후에도 긴 길이의 용접전선을 정리 정돈상태로 보관할 수 없으므로 용접기 본체의 근처나 작업장에 아무렇게나 비치되어 있게 되는 등 여러가지의 많은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많은 폐단을 해소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일정한 크기로 형성한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용접장치를 내장하고 이의 상부에 용접전선을 수납할 수 있는 용접전선 수납부를 형성하는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접전선 수납부에 정역 모터와 로울러로 구성된 용접전선 피더를 설치하여 용접전선을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로울러의 권취력으로 자동 권취되는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예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3 은 용접전선 피더의 발췌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본체 2 : 용접장치 3 : 용접전선
4 : 용접전선 수납부 5 : 구동모터 6,6' : 입출로울러
7 : 용접전선 피더 8 : 출입구 9 : 와이어 송급장치
10 : 용접 토오치 11 : 받침판 12 : 벨트
13 : 스윗치 13' : 리모트 콘트롤 14 : 뚜껑
15,15' : 가압로울러 16 : 보울트 17 : 박스
18 : 수평 가이드봉 19 : 수직 가이드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는, 한개 또는 복수개의 용접장치(2)를 충분히 수납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된 케이스 본체 (1)와; 케이스 본체(1)의 내부에 내장되는 통상의 용접장치(2)와; 이에 연결된 용접전선(3)을 수납하는 용접전선 수납부(4)와; 용접전선(3)을 자동으로 입출하는 용접전선 피더(7)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전선 수납장치를 가진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정한 크기로서 뚜껑(14)을 가진 케이스 본체(1)의 내부에 한개 또는 복수의 용접장치(2)가 내장되는 데 이와같이 한쌍의 용접장치(2)를 내장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좁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전기 용접장치(2)의 내부에는 용접에 필요한 기본적인 장치가 모두 구비되어 있는 데 이 내부 구성은 공지된 것으로 자세한 것은 생략한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1)의 전면 상부의 출입구(8)에는 용접전선(3)을 입출하는 용접전선 피더(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 본체(1)의 출입구(8)와 용접전선 피더(7)를 통과한 용접전선(3)이 통상의 와이어 송급장치(9) 및 용접토오치(10)와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로서 케이스 본체(1)의 내저부에 용접장치(2)가 내장되어 있고 받침판(11)으로 구획된 이의 상부에 일정공간의 용접전선 수납부(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용접전선 수납부(4)는 실질적으로 상기 한쌍의 용접장치(2)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이다. 이러한 수납공간에는 용접전선(3)이외에 용접에 필요한 기타 물품도 보관하게 된다.
그리고 용접전선 수납부(4)의 전면에는 용접전선 수납부(4)에 수납한 용접전선(3)을 출입구(8)를 통해 자동으로 입출하는 용접전선 피더(7)가 설치되어 있는 데, 전기 용접전선 피더(7)는 상부에 가압로울러(15)(15')를 보울트(16)로서 상하 조절되게 설치한 한쌍의 입출로울러(6)(6') 및 전기 입출로울러(6)(6')와 벨트(12)로서 삼각형상으로 연결되어 입출로울러(6)(6')를 전동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 )로 구성되고 상기 입출로울러(6)(6')와 구동모터(5)는 일정크기의 박스(17)에 수납 설치되어 있으며 박스(17)의 용접전선 출입구에는 수평 가이드봉(18)과 수직 가이드봉(19)이 교차되게 설치되어 용접전선(3)이 자연스럽게 입출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 구동모터(5)를 정ㆍ역 회전시키고 온오프하는 스윗치(13)가 케이스 본체(1)의 전면과 와이어 송급장치(9)에 별도로 설치되어 온오프 작동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스윗치(13)에는 리모트 콘트롤(13')이 연결되어 원격 조정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케이스 본체(1)는 작업장의 일정장소에 비치하여 두고 와이어 송급장치(9)와 연결시킨 용접 토오치(10)만을 들고 작업장소에 이동하게 되는 데 이때에는 케이스 본체(1)나 와이어 송급장치(9)에 설치된 스윗치(13)의인출용 버튼을 작동시켜 구동모터(5)를 소망하는 회전방향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구동모터(5)의 회전동력으로 입출로울러(6)(6')가 회전되어 용접전선(3)이 자동으로 풀려 인출되므로 작업자는 와이어 송급장치(9)와 용접 토오치(10)만을 들고 작업장소로 간단히 힘들이지 않고 이동하여 작업을 할 수 있게 되고 용접작업이 완료되었을 때는 케이스 본체(1)까지 가지 않고 와이어 송급장치(9)에 설치된 스윗치(13)의수납용 버튼을 작동시키게 되면 용접전선(3)이 자동으로 인입되어 용접전선 수납부 (4)에 수납되므로 작업자의 수고를 덜어주고 용접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작동은 리모트 콘트롤(13')로서 원격 조정도 가능하다.
이때 용접전선(3)은 입출로울러(6)(6')로서 입출될 때 이의 전방에 설치된 수평로울러(18)와 수직로울러(19)의 안내로서 꺾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입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전기한 용접전선 수납부(4)에는 상부 뚜껑(14)을 열고 용접전선(3)외에 용접에 필요한 부속장비 예를 들어 용접마스크, 용접 헬멧, 장갑 등을 안전하고 정돈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케이스 본체(1)의 내부에 용접전선 수납부(4)를 설치하여 용접전선(3)을 용접전선 피더(7)에 의해 자동으로 입출시키게 되므로 이동이 매우 용이하여 용접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하고 용접자의 수고를 덜어주어 피로감을 해소하며, 특히 용접전선등 용접에 필요한 장비를 일정장소에 수납하여 작업장을 정리 정돈할 수 있는 등 여러가지의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한개 또는 복수개의 용접장치(2)를 충분히 수납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된 케이스 본체(1)와; 케이스 본체(1)의 내부에 내장되는 통상의 용접장치(2)와; 이의 상부에 받침판(11)으로 구획되어 용접 용접전선(3)을 수납하는 용접전선 수납부(4)와; 전기 용접전선 수납부(4)의 출입구(8)에 설치되어 용접 용접전선(3)을 자동으로 입출하는 용접전선 피더(7)로 이루어진 용접전선 수납장치를 가진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 용접전선 피더(7)는 상부에 가압로울러(15)(15')를 보울트(16)로서 상하 조절되게 설치한 한쌍의 입출로울러(6)(6') 및 전기 로울러 (6)(6')와 벨트(12)로서 삼각형상으로 연결되어 입출로울러(6)(6')를 전동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로 구성되고 상기 입출로울러(6)(6')와 구동모터(5)는 일정크기의 박스(17)에 수납 설치되어 있으며 박스(17)의 용접전선 출입구에는 수평 가이드봉(18)과 수직 가이드봉(19)이 교차되게 설치된 용접전선 수납장치를 가진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기 구동모터(5)를 정ㆍ역 회전시키고 온오프하는 스윗치(13)가 케이스 본체(1)의 전면과 와이어 송급장치(9)에 각각 설치된 용접전선 수납장치를 가진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
KR10-2001-0007435A 2001-02-15 2001-02-15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 KR100396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435A KR100396331B1 (ko) 2001-02-15 2001-02-15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435A KR100396331B1 (ko) 2001-02-15 2001-02-15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759U Division KR200231380Y1 (ko) 2001-02-15 2001-02-15 용접전선 수납장치를 가진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450A true KR20010035450A (ko) 2001-05-07
KR100396331B1 KR100396331B1 (ko) 2003-09-03

Family

ID=19705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435A KR100396331B1 (ko) 2001-02-15 2001-02-15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3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451B1 (ko) * 2015-08-03 2017-01-1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알곤 용접봉 홀더
CN111633359A (zh) * 2020-05-28 2020-09-08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造船用焊机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011B1 (ko) 2007-08-10 2009-11-04 웰텍 주식회사 강관의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
KR102193123B1 (ko) * 2020-06-23 2020-12-18 김동철 에어부스
KR102193112B1 (ko) * 2020-06-23 2020-12-18 김동철 전선권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451B1 (ko) * 2015-08-03 2017-01-1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알곤 용접봉 홀더
CN111633359A (zh) * 2020-05-28 2020-09-08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造船用焊机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6331B1 (ko) 200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6411B2 (en) Wire feeder
KR101819828B1 (ko) 자동 전선권취 장치
KR100396331B1 (ko)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
CN109391106A (zh) 一种自动绕线机
MX2014009725A (es) Facilitador de manipulacion de cables.
KR200231380Y1 (ko) 용접전선 수납장치를 가진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
US5341999A (en) Fire brigade truck
JP4746605B2 (ja) 繰り出し装置
KR100916819B1 (ko) 직립기구
JP6996847B2 (ja) パッケージ降ろし装置、及び、繊維機械
US5957253A (en) Stationary motorized power cord reel
CN213366267U (zh) 一种线缆编织设备
KR200184453Y1 (ko) 용접용 케이블 릴
KR101324565B1 (ko) 케이블 레이드 그로멧 제조장치
JP4855067B2 (ja) 溶接機用吊下装置
KR960016781B1 (ko) 케이블 행거장치
JP2003073099A (ja) バッテリ式フォークリフト
JPH0364428B2 (ko)
CN114336426A (zh) 环网电缆敷设装置
KR102269298B1 (ko)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
KR0140352Y1 (ko) 전동식 지게차용 배터리 반출구조
CN114180393B (zh) 一种防止绞线打结的全自动放线机
CN215557998U (zh) 一种软管收卷器
ITMI961045A1 (it) Apparecchiatura per la raccolta di tubi o barre provenienti da una segatrice o macchina utensile similare
CN216004758U (zh) 一种电力施工转向缠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