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298B1 -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298B1
KR102269298B1 KR1020200188421A KR20200188421A KR102269298B1 KR 102269298 B1 KR102269298 B1 KR 102269298B1 KR 1020200188421 A KR1020200188421 A KR 1020200188421A KR 20200188421 A KR20200188421 A KR 20200188421A KR 102269298 B1 KR102269298 B1 KR 102269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cable
improve workability
support member
sew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미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그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그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그랜드
Priority to KR1020200188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5/00Frames, stands, tables, or other furniture adapted to carry sewing machines
    • D05B75/06Arrangements, e.g. hinges, for mounting sewing-machine casings to frames, stands, or tab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9/00Incorporations or adaptations of ligh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83/00Guards or like devices for preventing injury to op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은 전력 공급에 의해 바느질을 수행하는 미싱부와, 상기 미싱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는 재봉장치와, 상기 재봉장치가 배치되는 작업 현장의 천정에 고정되는 수직지지부재와, 상기 수직지지부재들에 연결되는 수평지지부재와, 상기 수평지지부재에 설치되는 전원콘센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재봉작업에 이용되는 다양한 장치들의 전력 케이블들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전원콘센트에 연결하고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각종 장치에 이용되는 전력 케이블들을 용이하게 이동시키고 수납할 수 있어, 작업 현장에 전력 케이블들이 복잡하게 놓여지지 않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재봉장치로 공급되는 실 또는 부자재가 작업 현장에 풀어져 놓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재봉장치가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어 무겁고 큰 원단의 취급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SEWING DEVICE SYSTEM CONSTITUTED TO IMPROVE SAFETY AND WORKABILITY}
본 발명은 재봉장치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봉장치가 배치되는 작업 현장에서의 작업성과 안전성을 개선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텐트 또는 배낭과 같은 제품들을 제조하기 위해 이용되는 원단은, 내구성과 강도 확보를 위해 직조 밀도가 매우 높은 원단들이 이용된다.
이러한 텐트와 배낭은 특히 옥외 환경에서 이용되므로, 직사광선과 수분에 의해서도 장기간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특수한 원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군사용으로 이용되는 텐트와 배낭 등의 물품들은 더욱 가혹한 사용 조건에서도 장기간 신뢰성 있게 그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므로, 원단을 구성하는 원사의 강도가 높고 직조 밀도 역시 매우 높은 특성이 있다.
원사의 강도가 높고 직조 밀도가 높은 원단들은 통상 단위 면적 당의 무게 역시 매우 무거운데, 텐트와 같이 큰 물품들은 원단을 여러 겹 겹쳐 배치한 상태에서 재봉하는 경우 작업에 큰 힘이 요구되기도 한다.
상기 텐트 또는 베낭 등의 물품을 재봉하기 위해 이용되는 재봉장치로서는 통상 미싱(Mishin)이라 불리는 재봉틀이 이용된다.
상기 재봉장치가 배치되는 작업 현장에는 많은 수의 재봉장치들이 배치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이때 재봉장치의 각 부분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들이 바닥에 복잡하게 배치되는 실정이다.
더욱이 상기 재봉장치를 이용하여 텐트 또는 베낭 등의 다양한 종류의 물품들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바느질 작업 이외에도 여러 종류의 가공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재봉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들에 부가하여, 상기 부가적 가공을 위한 장치들에 연결되는 전력 케이블 역시 전원콘센트에 연결되어야 한다.
이런 사정으로 인해, 상기 재봉장치가 배치되는 작업 현장의 바닥에는 여러 전력 케이블들이 복잡하게 놓여지는 실정이며, 이러한 점은 자칫 안전사고와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재봉장치의 주변에는 실과 다양한 종류의 부자재들이 놓여져 상기 재봉장치 측으로 공급되어야 하는데, 상기 실과 부자재들이 풀어져 작업 현장에 놓여지는 것은 대단히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봉장치의 작업대에 부가적인 장치들을 배치할 경우에는 재봉장치 작업대가 여러 물품들로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고, 특히 가공 대상 원단의 무게가 무겁고 크기가 클 경우에는 작업자의 작업속도와 능률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봉작업에 이용되는 다양한 장치들의 전력 케이블들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전원콘센트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종 장치에 이용되는 전력 케이블의 이동과 수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봉장치로 공급되는 실 또는 부자재가 작업 현장에 풀어져 놓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재봉장치가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는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은 전력 공급에 의해 바느질을 수행하는 미싱부와, 상기 미싱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는 재봉장치와, 상기 재봉장치가 배치되는 작업 현장의 천정에 고정되는 수직지지부재와, 상기 수직지지부재들에 연결되는 수평지지부재와, 상기 수평지지부재에 설치되는 전원콘센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지지부재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케이블을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지지부재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지지부재 하부에는 조명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상면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재에는 슬라이딩레일부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 전원공급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레일부에는 상기 전원공급케이블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대에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전력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블수용부재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수용부재의 단면에서 일 측부는 외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수용부재의 표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딩레일부는 금속재 단위 소선이 복수 개 나선 방향으로 꼬여 형성된다.
또는, 상기 슬라이딩레일부에는 표면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마찰력증대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력증대부재는 합성수지재 테이프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력증대부재가 상기 슬라이딩레일부를 따라 나선 방향으로 겹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블수용부재의 측부에는 부자재안내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자재안내홈은 상기 케이블수용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그 상단부는 상기 케이블수용부재의 측방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재봉작업에 이용되는 다양한 장치들의 전력 케이블들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전원콘센트에 연결하고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각종 장치에 이용되는 전력 케이블들을 용이하게 이동시키고 수납할 수 있어, 작업 현장에 전력 케이블들이 복잡하게 놓여지지 않아 안전사고와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재봉장치로 공급되는 실 또는 부자재가 작업 현장에 풀어져 놓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재봉장치가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어 무겁고 큰 원단의 취급성을 높일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의 측면도이며,
도 2 는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수평지지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봉장치 시스템의 측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케이블수용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수용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6 은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부자재공급부의 사시도이며,
도 7 은 상기 부자재공급부로부터 케이블수용부재를 거쳐 부자재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 은 부자재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0 은 상기 수평지지부재에 전력케이블이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1 은 상기 수평지지부재에 배치되는 거치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레일부의 사시도이며,
도 1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레일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의 측면도이며, 도 2 는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수평지지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봉장치 시스템의 측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케이블수용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수용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6 은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부자재공급부의 사시도이며, 도 7 은 상기 부자재공급부로부터 케이블수용부재를 거쳐 부자재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 은 부자재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0 은 상기 수평지지부재에 전력케이블이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1 은 상기 수평지지부재에 배치되는 거치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레일부의 사시도이며, 도 1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레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1 과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은 전력 공급에 의해 바느질을 수행하는 미싱부(10)와, 상기 미싱부(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20)를 포함하는 재봉장치와, 상기 재봉장치(10, 20)가 배치되는 작업 현장의 천정에 고정되는 수직지지부재(30)와, 상기 수직지지부재(30)들에 연결되는 수평지지부재(40)와, 상기 수평지지부재(40)에 설치되는 전원콘센트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지지부재(40)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케이블을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싱부(10)는 전력 공급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를 이용하여 바늘을 상하로 반복운동시키고, 또한 상기 바늘로 실을 공급함으로써 바느질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이다.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미싱부(1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전체적으로 테이블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미싱부(10)와 지지대(20)를 함께 가리켜 재봉틀 또는 미싱이라 부르기도 한다.
상기 미싱부(10)와 지지대(20)를 포함하는 재봉장치(10, 20)는 작업 현장에서 복수의 행과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재봉장치(10, 20)가 배치되는 작업 현장의 천정에는 상기 수직지지부재(3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수직지지부재(3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봉 또는 막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작업 현장의 천정 부분에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부재(30)들의 하단부에는 상기 수평지지부재(40)들이 고정 설치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지지부재(40)는 가로 방향으로 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써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수평지지부재(40)의 상면에는 개구(46)들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개구(46)를 통해 상기 수평지지부재(40) 내부 공간에 접속 후 길이가 남는 잔여 전력 케이블 등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수평지지부재(40)를 형성하는 육면체 형상에서 측부에는 전원콘센트부(50)가 설치된다.
상기 전원콘센트부(50)는 각종 전기장치의 콘센트와 결합되어 상용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전원콘센트부(50)에 연결된 후의 잔여 전력 케이블은 상기 수평지지부재(40) 내부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재봉장치(10, 20)를 이용한 가공 작업 중에 부가적인 작업을 위한 장치들에 전력 공급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수평지지부재(40)에 형성되는 상기 전원콘센트부(50)에 접속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원콘센트부(50)에는 예를 들어, 재봉 작업 중 부수적으로 요구되는 커팅 또는 열 접착 작업을 위한 장치를 접속하여 이용할 수도 있으나, 상기 재봉장치(10, 2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도 접속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재봉장치(10, 20) 주변 바닥 부분에 여러 전력 케이블들이 놓여짐에 따른 안전사고와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봉장치(10, 20)를 이용한 가공 작업 공정이 변경되는 경우, 각 공정에 적합한 재봉장치를 용이하게 위치 변경하고 상기 전원콘센트부(50)를 이용함으로써 즉시 대응할 수도 있다.
도 2 와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지지부재(40) 하부에는 조명장치(6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장치(60)에 연결되는 전력 케이블 역시 상기 수평지지부재(40)의 내부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20)에는 내부에 전력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블수용부재(25)가 수직 방향으로 기립 설치될 수 있다.
도 4 와 5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수용부재(25)는 금속재로써 중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형 단면에서 원주의 일부가 제거되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케이블수용부재(25)의 상기 개방된 일 측부(252)를 통해 전력 케이블이 출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수용부재(25)의 하단부에는 상기 케이블수용부재(25)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케이블의 하단부를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부(253)가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전원콘센트부(50)에 접속된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수용부재(25) 내부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전기장치 측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하단부를 상기 유출부(253) 측으로 유출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블수용부재(25)의 표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오목부(254)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수용부재(25)의 측부에는 부자재안내홈(25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자재안내홈(256)은 상기 케이블수용부재(25)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그 상단부는 상기 케이블수용부재(25)의 측방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지지대(20) 또는 그 부근에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 작업 시 덧대어 작업할 부자재(100)를 공급하기 위한 부자재공급부(80)가 배치된다.
상기 부자재공급부(80)에는 재봉 대상물에 덧대어 재봉으로써 고정할 부자재 천(100)이 롤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재봉 작업의 진행에 따라 상기 롤 상태의 부자재(100)가 풀려져 상기 미싱부(10) 쪽으로 공급된다.
이때, 롤 상태에서 풀어져 공급되는 부자재(100)는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재봉 대상물의 표면에 고정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통상 재봉 작업자는 상기 미싱부(10)에 진입되기 직전의 상기 천(100)을 손바닥으로 가압하여 평평하게 펼쳐 미싱부로 진입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케이블수용부재(25)의 측부에 상기 부자재안내홈(256)을 형성하여, 상기 부자재안내홈(256)을 상기 부자재 천(100)이 통과하여 미싱부(10) 쪽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손으로 천을 가압하여 평평하게 펼치는 동작이 불필요해질 수 있다.
즉, 도 7 과 8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수용부재(25)의 부자재안내홈(256)에 부자재 천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수용부재(25)의 표면을 마찰하고 상기 미싱부(10) 쪽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부자재 천에 적절한 장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미싱부(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블수용부재(25) 표면의 오목부(254) 단면에서 그 측벽 모서리 부분들이 상기 부자재 천(100)의 표면에 마찰력을 작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장력 부여에 보다 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9 와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지지부재(40)에는 슬라이딩레일부(70)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레일부(70)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 전원공급케이블(9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레일부(70)에는 상기 전원공급케이블(90)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부재(75)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케이블(90)에 포함되는 커넥터는 상기 전원콘센트부(50)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거치부재(75)의 하부는 상기 전원공급케이블(9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전원공급케이블(90)을 상기 거치부재(75)에 거치시킴으로써, 상기 전원공급케이블(90)이 작업 현장 공간으로 늘어뜨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75)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써 대략 "S" 형태로 형성된 상태에서, 그 단부에는 캡(752)이 결합된다.
그리하여, 상기 캡(752)의 하단부(753)가 걸림턱으로서의 역할을 하여, 상기 거치부재(75)가 상기 슬라이딩레일부(70) 또는 전원공급케이블(90)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레일부(70) 상에서 상기 거치부재(75)가 원활히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마찰력을 부여하기 위해,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레일부(70)는 금속재 단위 소선을 복수 개 나선 방향으로 꼬아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거치부재(75)가 상기 슬라이딩레일부(70)를 따라 이동될 수는 있지만, 일단 이동을 마친 상태에서는 그 위치로부터 미끄러져 이동되지 않고 상기 전원공급케이블(9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거치부재(75)가 미끄러져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레일부(70)를 철사 또는 전력 케이블로 형성한 상태에서 그 표면에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마찰력증대부재(74)를 감아 배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력증대부재(74)는 합성수지재 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찰력증대부재(74)를 상기 슬라이딩레일부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겹쳐 부착시킴으로써, 겹쳐진 부분(742)이 이동을 방해하는 방지턱으로서의 역할을 하여 상기 거치부재(75)가 미끄러져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와 같이 나선 방향으로 겹쳐 부착되는 마찰력증대부재(74)의 두께 만큼이 상기 거치부재(75)가 슬라이딩되는 때에 이동을 방지하는 방지턱으로서의 역할을 하여, 상기 거치부재(75)가 미끄러져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방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된 "포함된다" 또는 "구성된다" 의 용어는 해당 구성 요소가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외 다른 구성 요소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미싱부
20: 지지대
30: 수직지지부재
40: 수평지지부재
50: 전원콘센트부
60: 조명장치
70: 슬라이딩레일부
75: 거치부재
90: 전원공급케이블

Claims (14)

  1. 전력 공급에 의해 바느질을 수행하는 미싱부와,
    상기 미싱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는 재봉장치와;
    상기 재봉장치가 배치되는 작업 현장의 천정에 고정되는 수직지지부재와;
    상기 수직지지부재들에 연결되는 수평지지부재와;
    상기 수평지지부재에 설치되는 전원콘센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지지부재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케이블을 수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에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전력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블수용부재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수용부재의 단면에서 일 측부는 외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재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재 하부에는 조명장치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상면에는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재에는 슬라이딩레일부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 전원공급케이블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레일부에는 상기 전원공급케이블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수용부재의 표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레일부는 금속재 단위 소선이 복수 개 나선 방향으로 꼬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레일부에는 표면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마찰력증대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증대부재는 합성수지재 테이프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력증대부재가 상기 슬라이딩레일부를 따라 나선 방향으로 겹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수용부재의 측부에는 부자재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자재안내홈은 상기 케이블수용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그 상단부는 상기 케이블수용부재의 측방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KR1020200188421A 2020-12-30 2020-12-30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 KR102269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421A KR102269298B1 (ko) 2020-12-30 2020-12-30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421A KR102269298B1 (ko) 2020-12-30 2020-12-30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298B1 true KR102269298B1 (ko) 2021-06-28

Family

ID=7660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421A KR102269298B1 (ko) 2020-12-30 2020-12-30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2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886B1 (ko) * 2008-05-02 2008-10-09 문형태 호이스트 크레인을 갖는 진동스크린
KR101117157B1 (ko) * 2011-07-18 2012-03-07 주식회사씨애치씨랩 실험에 필요한 설비 라인이 포집된 유틸리티 서비스 장치
KR102117789B1 (ko) * 2019-07-01 2020-06-01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작업자 공간이 형성되어 자유로운 배치가 가능한 봉제테이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886B1 (ko) * 2008-05-02 2008-10-09 문형태 호이스트 크레인을 갖는 진동스크린
KR101117157B1 (ko) * 2011-07-18 2012-03-07 주식회사씨애치씨랩 실험에 필요한 설비 라인이 포집된 유틸리티 서비스 장치
KR102117789B1 (ko) * 2019-07-01 2020-06-01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작업자 공간이 형성되어 자유로운 배치가 가능한 봉제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008839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falten eines strangs aus endlosen textilfaeden
KR102269298B1 (ko) 작업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 시스템
US9815657B1 (en) Spool hol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289924B1 (ko) 부자재 공급성이 개선된 재봉장치
KR200476269Y1 (ko) 전선 풀림 장치
CN210505029U (zh) 一种用于纺织的排线机
CN211645611U (zh) 一种缝纫机的引线架
RU2519890C1 (ru) Базовый модуль для хранения воды и/или генерации пара для паровой гладильной станции и паровая гладильная станция
DE2363626A1 (de) Vollautomatische mehrspindel-wickelvorrichtung
CN106586051B (zh) 绕线设备
JP6250606B2 (ja) 配索装置
US3138394A (en) Method of lacing bundles of strands
KR100396331B1 (ko)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
CN213411006U (zh) 一种八分之五吊绳易拉扣织带自动组装机
US2371686A (en) Serving mallet
US2967391A (en) Wire cable sling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CN111334944A (zh) 一种设有引线架的缝纫机
CN210898319U (zh) 一种线束穿管设备用排线组件
US2226430A (en) Thread holder
KR20140004818U (ko) 전선 풀림 장치
CN205907479U (zh) 服装加工操作台
KR102137769B1 (ko)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
DE3518901C1 (en) Movable bobbin magazine for textile machines
CN213568825U (zh) 一种纺织纱线生产自动分束装置
CN216786451U (zh) 一种缝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