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011B1 - 강관의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 - Google Patents

강관의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011B1
KR100925011B1 KR1020070080857A KR20070080857A KR100925011B1 KR 100925011 B1 KR100925011 B1 KR 100925011B1 KR 1020070080857 A KR1020070080857 A KR 1020070080857A KR 20070080857 A KR20070080857 A KR 20070080857A KR 100925011 B1 KR100925011 B1 KR 100925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steel pipe
mounting
welding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6317A (ko
Inventor
이성식
Original Assignee
웰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0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011B1/ko
Publication of KR20090016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76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for working on or in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03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external pipe alignment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06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0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강관의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는, 강관의 상부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안착 베이스와, 상기 안착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강관 연결 시공용 부대 장비를 탑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탑재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시공 중인 강관 위에 직접 올려놓은 상태에서 강관 연결 시공 작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부대 장비를 위치시킬 별도의 공간이 필요치 않게 되어, 시공 현장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시공 장비 본체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부대 장비들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시공 작업의 편의성은 물론 시공성 및 안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정형, 용접, 탑재, 베이스, 프레임, 부대 장비

Description

강관의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Apparatus of roading equipment for constructing automatic welding of steel pipes}
본 발명은 대형 강관을 연결하는 시공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강관 연결에 필요한 전원공급장비나 용접지원장비 등을 탑재한 상태에서, 시공 중인 강관의 상부에 직접 올려놓고 강관 연결 시공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강관의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강관은 상수도관, 하수도관, 농업용수관, 가스관, 송유관 등 유체를 수송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보다 깨끗하고 쾌적한 주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도입되고 있는 쓰레기 이송관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강관은 일정한 길이로 제작된 후에, 시공 현장으로 이송되고, 시공 현장에서 강관들을 서로 연결하는 배관 시공을 하게 된다. 이때, 강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시공 장비들이 필요하게 되는바, 그 대표적인 장비가 강관 정형이음장비와 강관 용접장비를 들 수 있다.
강관 정형이음장비는, 연결하고자 하는 양쪽 강관을 진원으로 성형한 후에, 서로 연결하는 장비이다. 강관 이음 방식으로는 크게 맞대기 이음 방식과 소켓 이 음 방식에 있다.
강관 용접장비는 상기 강관 정형이음장비를 이용하여 서로 맞대어지거나 결합된 양쪽 강관을 용접하여 완전히 연결하기 위한 장비이다.
이와 같은 강관 정형이음장비와 강관 용접장비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의 지속적인 연구 개발의 성과에 힘입어, 시공성, 경제성, 안전성 확보 및 용접 접합부의 품질을 높여나가고 있으며, 이와 함께 "강관의 시공방법"(특허 제0440555호), "강관의 정형장치"(특허 제0440185호), "강관의 정형이음장치"(특허 제0598551호) 등을 특허 출원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으로부터 특허 받은 바 있다.
본 출원인의 강관 정형이음장비와 강관 용접장비를 포함하여, 일반적인 강관 이음장비들은 필수적으로 전원공급장치, 유압공급장치, 컨트롤 박스, 용접기 박스 등 강관의 연결 시공을 위한 부대 장비들을 필요로 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부대 장비들을 강관 정형이음장치와 강관 용접장치의 본체 인근에 배치한 상태에서 배관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본체와 부대 장비 사이에는 배선라인, 유압라인 등의 선재 또는 케이블 등이 복잡하게 연결되고, 또한 여러 대의 부대 장비들이 시공 현장 주변에 배치됨에 따라 시공 현장의 주변 구조가 복잡해짐은 물론, 연결 케이블의 길이가 필요 이상으로 길어지거나 시공 중 케이블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용접 전압은 일반적으로 상당히 높은 고전압을 사용하고 있고, 또 용접 제어를 정밀하게 시행하기 위해서는, 용접 조건에 따라 정확한 용접 전압을 공급하면서 제어해야 된다. 그러나 시공 현장의 조건에 따라 연결 케이블의 길이가 필요 이상으로 길어질 경우에, 용접 전압이 원하지 않게 강하되어 설정된 용접 전압을 적절하게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용접 품질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용접 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협소한 시공 현장에서는 부대 장비의 배치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다 신속하고 안전한 배관 시공 작업을 실행하는 데도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부대 장비를 본체에 직접 탑재한 시공 장비도 있으나, 상당한 하중과 부피를 갖는 부대 장비를 장비 본체에 직접 탑재하여 설계하는 작업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대 장비 탑재로 인하여 전체 장비의 하중이 증가하여, 장비 운용이 쉽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강관 연결에 필요한 부대 장비를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시공 중인 강관 위에 올려놓고 강관 연결 시공 작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 현장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시공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강관의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탑재 장비에 부대 장비들을 한데 모아 간편하게 탑재시킨 상태에서 보관, 운송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강관의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 장비 본체의 하중을 줄이면서도 시공 장비 본체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부대 장비들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은 물론 시공성 및 안정성 향상을 도모하고, 케이블이 길 경우에 발생되는 용접 전압 강하 문제도 해결하여 우수한 용접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강관의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관의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는, 강관의 상부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안착 베이스와; 상기 안착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강관 연결 시공용 부대 장비를 탑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탑재 프레임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 베이스는, 강관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강관의 외면 형상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 베이스는, 그 내면에 미끄럼방지 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탑재 프레임은, 다층 구조로 형성되어 그 내부 또는 상부에 부대 장비를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탑재 프레임은, 그 상부에 용접 장비의 캐리지를 탑재할 수 있도록 캐리지 탑재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리지 탑재부는, 양 쪽에서 서로를 향하여 모아지는 구조로 배치된 양쪽 캐리지 지지대와, 상기 양쪽 캐리지 지지대의 상부에서 상호 연결되는 캐리지 수평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탑재 프레임은, 그 일측에 케이블 등의 연결 선재를 감을 수 있도록 돌출된 선재 걸이부가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관의 티그(TIG) 자동용접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의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강관 연결 시공에 필요한 부대 장비들을 한데 모아 간편하게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제반 부대 장비들을 일체로 보관, 운송,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 중인 강관 위에 직접 올려놓고 강관 연결 시공 작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대 장비를 위치시킬 별도의 공간이 필요치 않게 되어 시공 현장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시공 현장 주변을 단순하고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배관 시공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발생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탑재 장비에 부대 장비들을 구성하기 때문에 시공 장비 본체의 하중을 줄이면서도 시공 장비 본체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부대 장비들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시공 작업의 편의성은 물론 시공성 및 안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 지원 장비를 탑재하여 구성할 경우에, 케이블이 길어서 발생되는 종래의 용접 전압 강하 문제를 해결하여, 보다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우수한 용접 품질을 확보하여 강관 연결부의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에 부대 장비가 탑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10)(이하 '장비 탑재장치' 라고도 함)는, 크게 강관(P)의 상부에 올려지는 안착 베이스(11)와, 이 안착 베이스(11)의 상부에 구비된 탑재 프레임(2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안착 베이스(11)는, 강관(P)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강관의 외면 형상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즉, 안착 베이스(11)는 일정 넓이를 가진 플레이트를 강관의 외면과 일치되도록 곡면 구조로 형성하여, 강관의 상면에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안착 베이스(11)에는 강관에 올려진 상태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밑면에 미끄럼 방지부재(15)가 구비된다.
미끄럼 방지부재(15)는 통상의 고무 등과 같이 강관의 외면에 접촉되어 충분한 마찰력을 가질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안착 베이스(11)의 저면에 마찰 저항을 높일 수 있는 돌기들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돌기는 엠보싱 구조 또는 라인 구조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강관의 외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지면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 재질과 같은 천연 또는 합성 수지재가 바람직하다.
미끄럼 방지부재(15)는, 안착 베이스(11)의 밑면에 넓게 부착되되, 미끄럼 방지 성능을 높이기 위해, 중간 중간에 미끄럼 방지 부재를 없앤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탑재 프레임(20)은 전체적으로 육면체 구조로 형성되어 그 내부 또는 상부에 부대 장비들을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강관 정형이음장비(200)와 강관 용접장비(100,100A)(도 5 내지 도 7 참조)는, 전원공급장치, 유압공급장치, 컨트롤 박스, 용접기 제어 박스, 냉각장치 등의 부대 장비가 필요한 바, 상기 탑재 프레임(20)은 상기와 같은 부대 장비들을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탑재 프레임(20)은 전체적으로 육면체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 베이스(11)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L'자형 단면을 갖는 긴 철강재를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상호 연결되어서 구성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도면에 예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탑재 공간을 형성하고 지지할 수 있는 구조체이면 실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탑재 프레임(20)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에 예시된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탑재 프레임(20)은 상기 안착 베이스(11)가 곡면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안착 베이스(11)의 양쪽에 수직으로 세워진 4개의 수직 프레임(21)이 세워지고, 이 수직 프레임(21)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23)이 구성되며, 수평 프레임(23)으로 이루어진 안쪽 공간에는 지지 부재(25)가 구비된다.
이러한 탑재 프레임(20)은 다수의 탑재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는데, 도면에서와 같이 상대적으로 큰 하부 공간(A)과 상대적으로 작은 상부 공간(B)으로 나눌 수 있고, 상부 공간(B) 상측에도 별도의 탑재 공간 또는 구조물을 마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공간의 분할은 상기 수평 프레임(23)과 지지 부재(25)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수평 프레임(23)은 상기 수직 프레임(21)과 동일한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부재(25)는 다수의 선재를 연속하여 배치하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평판형 플레이트로 구성하여 밑면이 완전히 막히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탑재 프레임(20)의 하부 공간(B)에는 전원공급장치(51), 용접기 제어장치(52), 컨트롤 박스(53) 등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부대 장비들을 탑재하고, 상부 공간에는 강관 연결 시공을 위한 제반 공구들, 또는 장비 본체와 부대 장비를 연결하는 각종 케이블이나 케이블 연결 장치, 또는 기타 필요 부품 등을 탑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탑재 프레임(20)의 상부에는 후술할 용접 캐리지(120)를 탑재할 수 있도록 캐리지 탑재부(30)가 구성되는데, 캐리지 탑재부(30)는 서로 모아진 구조로 배치된 4개의 경사 지지대(31)와, 이 경사 지지대(31)의 상부에서 상호 연결되는 수평 지지대(3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캐리지 탑재부(30)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후술할 캐리지(120)의 바디가 안착된 상태에서 안정되게 탑재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캐리지 탑재부(30)에는 4개의 경사 지지대(31) 중 3개는 상기 수평 지지 대(33)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하나(31A)는 수평 지지대(33)의 높이와 같이 형성된다.
그리고 경사 지지대(31)와 수평 지지대(33)가 만나는 위치에는 외곽으로 돌출된 돌기(35)가 형성되는데, 이 돌기(35)는 도 3에서와 같이 캐리지(120)가 탑재될 때, 캐리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탑재 프레임(20)에는 일측에 케이블 등의 연결 선재를 감을 수 있도록 돌출되게 설치된 선재 걸이부(40)가 구성될 수 있다. 설치 위치는 탑재 프레임(20)의 구조나 실시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그 위치를 설정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재 걸이부(40)는 본 발명에서 반드시 필요한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나, 복잡한 케이블을 정리하여,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면 탑재장치의 편의성과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탑재 프레임(20)에는 탑재 장비(10)를 인양할 수 있는 인양 고리(4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인양 고리(45)는 크레인 등 인양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구조이면 형상이나 구조에 관계없이 어떠한 구성이든지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은 강관 용접장비(100,100A)에 필요한 부대 장비의 탑재 상태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7에서와 같은 강관 정형이음장비(200)에 필요한 컨트롤 박스나, 유압 탱크, 유압 펌프 등 유압 장비를 탑재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강관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10)는, 장비 본체에서 요구되는 부대 장비이면 어떤 장비이든 탑재가 가능하고, 탑재 장비의 구조에 따라 탑재 프레임(20)의 설계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10)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양쪽 강관(P)을 용접하기 위해 설치된 포터블 타입의 용접장비(100)의 후방에 본 발명의 장비 탑재장치(10)가 배치된 상태에서 강관을 연결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즉, 도면에서 앞쪽 강관 둘레에, 용접장비(100)의 주행 레일(110)이 고정되고, 이 주행 레일에는 캐리지(120)가 장착되어, 용접시 이 캐리지(120)가 주행 레일(110)을 따라 회전하면서 양쪽 강관의 이음부를 용접하게 된다. 물론 상기 캐리지(120)에는 용접기(130) 등이 설치되고, 캐리지(120)에는 주행 모터, 와이어 송급장치, 제어 컨트롤러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용접장비(100)의 후방에서 동일한 강관(P)에 본 발명의 장비 탑재장치(10)가 장착된다.
장비 탑재장치(10)에는 용접 지원 장비들이 설치되는데, 일례로 전원공급장치(51), 컨트롤 박스(53), 용접기 제어박스(53), 냉각장치(54)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비 탑재장치(10)와 용접장비(100) 본체 사이에는 서로 연관된 케이블(C)들이 연결되어 설치되는데, 통상 상기 전원공급장치(51)에서 용접장비(100) 본체의 용접기(130), 컨트롤러(131), 주행 모터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상기 용접기 제어박스(53)는 상기 컨트롤러(131) 등에 연결되어 용접 제어 작동을 지원 또는 제어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냉각장치(54)는 상기 용접기(130)의 용접 토치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각각 케이블 또는 배선 등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용접장비(100) 본체의 바로 후방 또는 전방 쪽의 강관(P) 위에 본 발명의 장비 탑재장치(10)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용접장비(100) 본체 또는 각종 제어 조작 기구를 작동시키면서 강관(P) 이음부의 용접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5와 다른 구조를 갖는 용접 장비 본체에 본 발명의 장비 탑재장치(10)가 사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용접장비(100A) 본체는 도 5에 도시된 용접장비(100) 본체와는 달리, 원형 몸체(151), 캐리지(153), 용접기(155) 등의 구조가 전체적으로 상이하게 구성된다.
하지만, 도 5에 도시된 용접장비(100) 본체와 동일하게 부대 장비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도 5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게 배치하고 연결한 상태에서 용접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용접장비가 아닌, 강관 용접 전에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을 서 로 맞추어 주는 정형이음장비(200)에 본 발명의 장비 탑재장치(10)가 사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통상 정형이음장비(200)는 두 개의 정형기 몸체(211, 212)가 각각 양쪽 강관을 하나씩 파지한 상태에서 양쪽 강관을 이었을 때 단차 등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강관 끝단부의 진원도를 조정하고, 이후, 양쪽 강관을 접속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양쪽 강관 이음부에 가용접을 실시한 다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접장비(100)(100A)를 이용하여 용접함으로써 양쪽 강관을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정형이음장비(200)도 강관 둘레에 장착되어 강관을 정형하고, 양쪽 강관을 서로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지원 부대 장비들이 구성되는 바, 이러한 지원 부대 장비를 본 발명의 장비 탑재장치(10)에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주로 전원공급장치(61)나, 유압 탱크 등의 유압 장비(65)를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장비 탑재장치(10)와 정형이음장비(200) 사이에도 유압 라인을 비롯한 각종 케이블(C)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강관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의 다른 변형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참고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강관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10A)는 도 1에 도시된 탑재장치(10)와 대체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갖으나, 안착 베이스(11A)가 판형이 아닌 선재형 구조로 두 개(3개 이상도 가능)가 구성되고, 탑재 프레임(20)에는 다수 개의 케이블 걸이부(40A)가 구성된 점이 다르다.
이러한 도 8에 도시된 장비 탑재장치(10)도 강관의 둘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용접장비(100)(100A) 본체나 정형이음장비(200)의 본체를 지원해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장비 탑재장치(10)는, 이미 시공 현장에 배치된 강관의 상부에 바로 올려져 배치될 수 있으므로, 용접 장비 본체에 최대한 근접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별도의 배치 공간이 필요치 않으면서 용접 부대 장비를 간편하게 관리 및 배치할 수 있는 장점 등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에 부대 장비가 탑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가 포터블 타입의 용접 장비 본체에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가 싱글 타입의 용접 장비 본체에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가 정형이음장치의 본체에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가 정형이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 장비 탑재장치 11 : 안착 베이스
15 : 미끄럼 방지부재 20 : 탑재 프레임
30 : 캐리지 탑재부 40 : 선재 걸이부
100, 100A : 용접장비 200 : 정형이음장비
P : 강관 C : 케이블

Claims (7)

  1. 강관의 상부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안착 베이스와;
    상기 안착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강관 연결 시공용 부대 장비를 탑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탑재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탑재 프레임은, 그 상부에 용접 장비의 캐리지를 탑재할 수 있도록 캐리지 탑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의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 베이스는, 강관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강관의 외면 형상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의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 베이스는, 그 내면에 미끄럼방지 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의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재 프레임은, 다층 구조로 형성되어 그 내부 또는 상부에 부대 장비를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의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
  5. 삭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탑재부는, 양 쪽에서 서로를 향하여 모아지는 구조로 배치된 양쪽 캐리지 지지대와, 상기 양쪽 캐리지 지지대의 상부에서 상호 연결되는 캐리지 수평 지지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의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재 프레임은, 그 일측에 케이블 등의 연결 선재를 감을 수 있도록 돌출된 선재 걸이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의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
KR1020070080857A 2007-08-10 2007-08-10 강관의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 KR100925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857A KR100925011B1 (ko) 2007-08-10 2007-08-10 강관의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857A KR100925011B1 (ko) 2007-08-10 2007-08-10 강관의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317A KR20090016317A (ko) 2009-02-13
KR100925011B1 true KR100925011B1 (ko) 2009-11-04

Family

ID=40685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857A KR100925011B1 (ko) 2007-08-10 2007-08-10 강관의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0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42027B (zh) * 2017-05-23 2020-10-20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行自动控制研究所 一种用于薄壁圆筒类磁性材料零件的柔性焊接夹具
CN110142534B (zh) * 2019-05-24 2020-10-27 中信国安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大顶棚装饰工程的安装设备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2075A (ja) * 1988-04-13 1989-10-18 Hitachi Ltd 配管用自動溶接装置及びその溶接方法
KR900008874B1 (ko) * 1988-06-27 1990-12-11 대우조선공업 주식회사 고소작업용 족장 및 그의 시설공법
KR100396331B1 (ko) 2001-02-15 2003-09-03 한국산업안전공단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
KR100668601B1 (ko) 2005-05-11 2007-01-12 임관혁 파일 연결용 자동 용접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2075A (ja) * 1988-04-13 1989-10-18 Hitachi Ltd 配管用自動溶接装置及びその溶接方法
KR900008874B1 (ko) * 1988-06-27 1990-12-11 대우조선공업 주식회사 고소작업용 족장 및 그의 시설공법
KR100396331B1 (ko) 2001-02-15 2003-09-03 한국산업안전공단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
KR100668601B1 (ko) 2005-05-11 2007-01-12 임관혁 파일 연결용 자동 용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317A (ko) 200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6849A (ko) 전선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이선 방법
US8919735B2 (en) Scissor stack assembly
KR100925011B1 (ko) 강관의 연결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
CN101029495B (zh) 供给带
JP5328537B2 (ja) 鋼板ブロック反転装置および鋼板ブロック反転方法
JP5780548B2 (ja) 産業車両又は建設車両の電装品、電気配線及び油圧配管の固定具
JP5549706B2 (ja) ハイブリッド建設機械
KR101631156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JP2017020603A (ja) 流体機材搬出設備及び流体機材搬出方法
JP2006283497A (ja) 垂直壁組立装置及び垂直壁構築方法
KR101555278B1 (ko)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
CN105019417B (zh) 用于导管架修复的多功能横梁
KR100738254B1 (ko) 이동형 용접기 보관 집
KR20140003958U (ko) 파이프 취부용 지지장치
JP7012925B2 (ja) 溶接支援システム
KR200467320Y1 (ko) 케이블 배관용 배선 클램프
CN207272394U (zh) 应用于弧形钢板的自动埋弧焊固定组件
CN106346393B (zh) 一种柴油机飞轮安装用具
KR200413434Y1 (ko) 이동형 용접기 보관 집
CN205265216U (zh) 插接式电缆沟支架
CN214987354U (zh) 用于切割锯的支架
JP3053389U (ja) 埋設管用のケーブル支持体
KR101194055B1 (ko) 선박용 앵글 고정장치
KR101399495B1 (ko) 시추선의 문풀용 고압 호스 가이드 지그
KR20130085175A (ko) 선박용 이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