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4567A - 전기자기적 연결을 통한, 판독기와 노매드 객체사이의데이터 전송방법,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기적 연결을 통한, 판독기와 노매드 객체사이의데이터 전송방법,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4567A
KR20010034567A KR1020007009981A KR20007009981A KR20010034567A KR 20010034567 A KR20010034567 A KR 20010034567A KR 1020007009981 A KR1020007009981 A KR 1020007009981A KR 20007009981 A KR20007009981 A KR 20007009981A KR 20010034567 A KR20010034567 A KR 20010034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mad
reader
signal
frame
general purp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7905B1 (ko
Inventor
레베르네장클라우드
Original Assignee
다졸 에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졸 에이티 filed Critical 다졸 에이티
Publication of KR20010034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4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9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8General problems related to the reading of electronic memory record carriers, independent of its reading method, e.g. powe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1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 G06K7/1033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the antenna being of the near field type, inductive c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Control Of Vehicles With Linear Motors And Vehicles That Are Magnetically Levitated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기적 연결을 통해 범용판독기(1)와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을 가진 뱃지(7;badge)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범용판독기(1)는 변조모드를 스캐닝하는 신호를 방출함으로써 노매드 객체(7;nomad object)를 탐색한다(2,11,12,17,18,19). 상기 탐색신호를 수신하는 각각의 노매드 객체(7)는 자신의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반사신호를 생성한다(8,31,32,33,35). 상기 범용판독기(1)는 각각의 반사신호를 분석하고(11,12), 상기 분석된 반사신호로부터 상기 노매드 객체(7)에 적용된 특정 프로토콜(35)을 찾아낸다. 상기 범용판독기(1)는 상기 노매드 객체(7)에 의해 해석 가능한 판독기 객체내로 전송될 메세지를 상기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삽입한다(11,12).

Description

전기자기적 연결을 통한, 판독기와 노매드 객체사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 시스템 및 장치{METHOD, SYSTEM AND DEVICE FOR TRANSFERRING, BY ELECTROMAGNETIC LINKAGE, DATA BETWEEN READERS AND NOMADIC OBJECTS}
이하의 설명에서 "노매드 객체"는 휴대 가능한 데이터 매체의 어떤 종류를 나타낸다.
상기 프로세스, 시스템, 장치 및 카드는 보통 "무접촉(contactless)"이라 불린다.
현재 "무접촉"시장은 사용된 기술 내에 매우 넓은 다양성을 반영하는 무접촉 카드 주문내에 매우 넓은 다양성에 의해 특정되어진다. 이 다양성은 노매드 객체의 원격 파워 피딩(feeding)을 발생시키는 몇 가지 방법과 데이터를 이들 객체와 교환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이 있다는 사실로부터 기인된다.
이 유동적 상황에서, 운영자, 특히 소지자는 미래표준(future standard)"를 잘못 선택하게 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 앞서 "무접촉" 기술을 받아들이는 것을 주저한다. 더욱이 기술을 선택하면 상기 운영자들은 오늘날 존재하는 하나의 형태의 카드, 즉 케이블된 로직 카드 혹은 마이크로프로세서 카드만을 사용하여야한다. 이 경우, 만약 상기 운영자가 케이블된 로직 카드를 선택하면, 그들은 그 로직 카드로부터 전자 현금 카드기능과 호환을 가지는 전자티켓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상실하게 된다. 반대로 마이크로프로세서 카드를 선택하면 운영자는 비싼 카드값을 물어야한다.
따라서 기술적 해결수단에 있어서 이 다양성은 해결하여야 할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그로 인해 상기는 재정적 문제도 상당하다. 소지자는 모든 형태의 무접촉 카드를 처리하게 하는 범용판독기의 기반을 실행시킬 수 있는 "무접촉" 기술을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ISO표준의 적용이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무접촉 카드를 표준화하기 위한 표준화 위원회가 있다. 상기 위원회의 작업이 느리게 진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위원회는 기업가들의 다양한 관심을 숙지하고 있다. 더욱이, 새 기술이 시장에 등장할 것이고, 이러한 새 기술들이 그러한 표준화 작업을 방해하게 될 것이다. 특히, 매우 짧은 연결 거리를 가진 카드 혹은 라벨 상에서 이행되는 연구에 있어서 그러한 경향이 우려된다.
노매드 객체와의 교환을 위한 상이한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다수의 자극신호를 방출하는 판독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대한 설명이 공개되어 있고, 특히 특허출원서 EP 0 768 540 A1에 잘 나와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판독기는 차례차례로 상이한 프로토콜을 방출하고 그것이 통신하고 있는 노매드 객체에 대응하는 하나에 충분히 도달한다. 이 종류의 판독기는 제기된 문제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인 해결책을 제공하지만, 단점을 가지고 있다.
자신에게 특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특정된 확인코드가 각각의 노매드 객체에 기인하는데 존재하는 프로세스 역시 설명되어 있는데, 특히 특허출원서 EP 0 282 992 A2에 설명되어 있다. 노매드 객체는 자신이 통신하고 있는 판독기에 통신 프로토콜의 확인코드를 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판독기는 그렇게 확인된 프로토콜을 적용함으로써 그 변환을 추적한다. 그런 프로세스는, 표준화 조직이 모든 경제적인 운영자들에 대해 범용값을 가지는 특정 인식코드를 각각의 프로토콜에 배치시킴으로써, 노매드 객체내에서 사용된 다른 프로토콜의 테이블을 만들었다는 것을 미리 예측한다.
이런 종류의 판독기는 제기된 문제에 대한 적어도 부분적인 해결책을 제공하지만 단점이 있다. 사실, 그런 프로세스는, 표준화 기구가 노매드 객체내에서 사용된 상이한 프로토콜의 테이블을 만들었다는 것을 미리 예측한다. 이 테이블은 모든 경제적인 운영자에 대한 범용값을 가지는 특정 인식코드를 각각의 프로토콜에 배치시킴으로써 만들어지게 되었다.
- 발명의 요약 -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시스템의 단점을 제거하면서 제기된 문제를 해결하고 뱃지의 각 타입에 대해 특정 판독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단일 범용판독기를 사용함으로써, 상이한 기술적 특성을 가진 뱃지를 읽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a) 범용판독기가 상이한 변조 모드들을 스캐닝하는 신호를 방출함으로써 자신의 검출범위내에 있는 노매드 객체를 탐색하는 단계,
(b) 상기 범용판독기로부터 상기 스캐닝 신호를 받는 상기 노매드 객체가 자신의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반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범용판독기가 상기 반사 신호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반사신호로부터 상기 노매드 객체에 의해 적용된 특정 프로토콜을 추론해내는 단계,
(d) 상기 범용판독기가 관련된 상기 노매드 객체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판독기 프레임내로 방출될 메시지를 상기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삽입하는 단계,
(e) 상기 범용판독기가 상기 판독기 프레임에 따라 변조된 전기자기적 신호를 상기 노매드 객체로 방출하는 단계.
즉, 상기 범용판독기에 의해서 고려중인 상기 노매드 객체의 특정 프로토콜의 결정은 두 가지 단계에서 실행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상기 범용판독기가 상이한 변조 모드를 스캔하는 신호를 보낸다. 상기 스캔 신호는 상기 노매드 객체로부터 반작용을 일으킨다.(상기 노매드 객체의 알려지지 않은 프로토콜에 따라 반사 신호를 방출함). 두 번째 단계에서는 상기 범용판독기가 상기 노매드 객체로부터 오는 반사신호를 분석하고 그것으로부터 상기 노매드 객체에 의해 실행된 프로토콜을 추정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상기 범용판독기가 상기 단계에서 결정되어진 프로토콜을 적용함으로써, 고려중인 노매드 객체와의 교환을 추적한다.
따라서, 발명에 따른 상기 프로세스는 선행기술(EP 0 768 540 A1 혹은 EP 0282 992 A2)에 따른 프로세스와는 다르다. 종래기술은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된 프로토콜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노매드 객체의 출력 신호를 범용판독기에 의해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몇 개의 단계를 가진 프로세스를 기재하고 있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한다.
(f) 상기 노매드 객체가 객체프레임 내로 방출될 메시지를, 상기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삽입하는 단계,
(g) 상기 노매드 객체가 상기 객체 프레임에 따라 전기자기적 신호를 변조하는 단계,
(h) 상기 범용판독기가 상기 객체 프레임내에 삽입된 메시지를 인출함으로써 상기 전기자기적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
(i) 상기 범용판독기가 관련된 객체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하여 관련된 노매드 객체에 의해 사용된 방법의 역의 방법에 따라 상기 객체 프레임내에 삽입된 메시지를 복호하는 단계.
더욱이, 상기 노매드 객체는 원격 전송을 통해 범용판독기와 통신할 수 있기 적합한 양의 에너지를 수신한다. 그것 역시 셀(cell) 혹은 충전용 전지같은 전기 전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수단의 이런 결합덕택에, 노매드 객체는 출력 프레임의 내용을 판독가능하고 범용판독기에 특정되는 프레임을 상기 범용판독기에 전달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소지자 및 운영자가 상이한 카드 제조업자들에게 접근해서 그들과 경쟁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 본 발명은 밀접한 전기자기적 연결을 통해 상이한 기술적 피드(feed) 특성과 통신 수단, 특히 다른 변조 방법 및/또는 통신 프로토콜을 가진 복수의 노매드 객체와, 모든 특성의 상기 노매드 객체에 사용될 수 있는 범용판독기 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a) 상기 범용판독기는 자신의 검출범위내에 있는 상기 노매드 객체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탐색수단은 상이한 변조 모드를 스캐닝하는 신호를 방출한다.
(b) 상기 노매드 객체는 신호 생성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변조 모드를 스캐닝하는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고, 상기 노매드 객체의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반사신호를 생성한다.
(c) 상기 범용판독기는 상기 반사신호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수단을 포함하고, 그 분석된 반사신호로부터 상기 노매드 객체에 의해 적용된 특정 프로토콜을 찾아낸다.
(d) 상기 범용판독기는 관련 노매드 객체에 의해 해석가능한 판독기 프레임내로 방출될 메시지를, 상기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삽입하기 위한 삽입 수단을 포함한다.
(e) 상기 범용판독기는 상기 판독기 프레임에 따라 변조된 전지자기적 신호를 상기 노매드 객체로 방출하기 위한 방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시스템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f) 상기 범용판독기가 객체 프레임내로 방출될 메시지를, 상기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삽입하기 위한 삽인 수단을 포함하는 단계,
(g) 상기 노매드 객체가 상기 객체 프레임에 따라 전기자기적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 수단은 포함하는 단계,
(h) 상기 범용판독기가 상기 전기자기적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복조 수단과 상기 객체 프레임내에 삽입된 메시지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 수단을 포함하는 단계,
(i) 상기 범용판독기가 상기 객체 프레임을 생성하는데 관련된 상기 노매드 객체에 의해 사용된 방법의 역의 방법에 따라 상기 객체 프레임내에 삽입된 메시지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 수단을 포함하는 단계.
또, 본 발명은 상이한 기술적 피드(feed) 특성과 통신 수단, 특히 상이한 변조방법 및/또는 통신 프로토콜을 가진 복수의 노매드 객체를 가진 데이터를 밀접한 전기자기적 연결을 통해 교환하는데 사용하고자 하는 범용판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범용판독 장치는
(a) 자신의 검출범위내에 있는 상기 노매드 객체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 수단 - 여기서, 탐색 수단은 상이한 변조 모드를 스캐닝하는 신호를 방출하고, 상기 스캐닝 신호는 상기 노매드 객체에 의해 상기 노매드 객체의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반사 신호의 생성을 유발함 - 과,
(b) 상기 반사 신호를 분석하고, 그 분석된 반사 신호로부터 상기 노매드 객체에 적용된 특정 프로토콜을 추정하기 위한 분석 수단과,
(c) 상기 관련 노매드 객체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판독기 프레임내로 방출될 메시지를 상기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삽입하기 위한 삽입 수단과,
(d) 상기 판독기 프레임에 따라 변조된 전기자기적 신호를 상기 노매드 객체로 방출하기 위한 방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노매드 객체가,
객체 프레임내로 방출될 메시지를 상기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삽입하기 위한 삽입수단과,
상기 객체 프레임에 따라 전기자기적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 수단을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범용판독기는 역시,
(e) 상기 전기자기적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복조 수단과,
(f) 상기 복조된 전기자기적 신호로부터 상기 객체 프레임에 삽입된 메시지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 수단과,
(g) 상기 객체 프레임을 생성하는데 관련된 노매드 객체에 의해 사용된 방법의 역의 방법에 따라 상기 객체 프레임에 삽입된 메시지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밀접한 전기자기적 연결을 통해 상이한 기술적 피드(feed) 특성 및 통신 수단, 특히 다른 변조 방법 및/또는 통신 프로토콜을 가진 복수의 노매드 객체(특히 카드 혹은 뱃지(badge))와, 판독기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세스,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다른 실현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범용판독 장치의 다른 실현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휘장의 다른 실현을 나타낸 블럭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설명적이고 제한적이지 않는 예로써 기술되어 있다.
범용판독기(1)가 관련된 노매드 객체(7)의 통신 프로토콜을 결정했을 때, 상기 범용판독기(1)와 상기 노매드 객체(7)가 어떻게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지에 대해 도 1, 2, 및 3에 대한 참조사항에 의해 설명되어 있다. 아래에서 상기 범용판독기(1)가 어떻게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결정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시스템의 다른 실현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사시도에는 적어도 하나의 범용판독기(1)와 복수의 노매드 객체(7)를 포함한다. 범용판독 장치(1)는 특히 안테나(2)를 포함한다. 상기 범용판독 장치(1)는 피드 케이블(3)을 통해 피드된다. 상기 범용판독 장치(1)는 안테나(2) 수단에 의해 전기자기적 검출 혹은 스캐닝범위(4)를 방출한다. 노매드 객체(7)를 운반하는 사용자(5)는 전기자기적 검출 혹은 스캐닝범위(4)로 들어선다.
주목할 것은 본 발명이 상기 노매드 객체(7)로 하여금 운반되도록 하는 수단의 특성에 관해서는 강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로써, 상기 노매드 객체(7)가 운반되도록 하는 상기 수단에는 가방, 지갑, 상기 노매드 객체가 집중하고 있는 소비상품이 담긴 슈퍼마켓 트롤리, 선로상의 화물수송 컨테이너 등이 있다. 또한, 상기 노매드 객체(7)는 예를 들어, 휘장, 시계, 라벨, 케이블된 로직 카드, 마이크로프로세서 카드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범용판독기의 작동을 블록도로 표시한 것이다. 발진기는 클럭(10)으로서 작동하는 기준 주파수를 범용판독기에 제공한다. 상기 클럭(10)으로부터, 특정 프로그램가능 회로(FPGA)(11)는 상기 범용판독기가 필요로 하는 모든 주파수(특히, 방출 주파수 등)를 만들어 낸다(곱셈, 나눗셈 등에 의해).
상기 범용판독기(1)로부터 상기 뱃지(7)로 전송되어지는 메시지는 마이크로프로세서(12)에서 생성되어 판독기 프레임에 삽입된다. 상기 판독기 프레임은 미리 결정된 통신 프로토콜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2) 혹은 특정 프로그램가능 회로(FPGA)(11)에서 생성된다. 곧이어 상기 판독기 프레임들로부터, 변조 신호가 특정 프로그램가능 회로(FGPA)(11)에서 생성된다. 상기 특정 프로그램가능 회로(FPGA)(11)는 변조신호 및 방출신호를 방출 증폭기(14)에 전송한다. 상기 방출 증폭기(14)는 상기 변조 신호를 상기 방출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변환도 역시 특정 프로그램가능 회로(FPGA)(11)내에서 가능하다. 상기 방출 증폭기(14)는 상기 방출 신호가 전기자기장(4)내에 존재하는 뱃지(7)에 의해 수신 및 처리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도록 결과 신호를 증폭한다. 방출 필터(15)는 상기 범용판독기(1)와 상기 휘장(7)사이의 통신을 방해할 수 있는 방출신호에 덧붙여진 방해신호를 제거한다. 안테나(2)는 상기 범용판독기로부터 뱃지(7)까지 방출신호를 전송하고, 또한 상기 뱃지(7)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객체 프레임을 운반하는 전지자기장(4)의 변조를 포착한다.(아래에 나타나 있듯이)
믹서(17)는 뱃지(7)에 의해 변조된 신호와, 객체 프레임의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뱃지(7)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객체 프레임을 포함하는 신호를 입력으로 수신한다. 상기 변조를 인출하기 위해, 믹싱작용(mixing operation)에 있어서 상기 믹서(17)는 연결(20)을 통해 자신이 하나의 기준으로 사용하는 방출신호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신호를 낮은 주파수로 바꾸어 놓는다. 그렇게 되면, 뱃지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객체 프레임을 복조에 의해 직접 인출하거나 혹은 결정된 프로토콜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뱃지(7)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객체 프레임을 포함하는 하부 반송파를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부 반송파의 경우에 있어, 상기 객체 프레임의 인출은 특정 프로그램가능 회로(FPGA)(11)에 의해 실행 가능하다. 수신 증폭기(18)는 수신신호가 충분한 단계에 도달하여 상기 특정 프로그램가능 회로(FPGA)(11)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상기 믹서(17)로부터 오는 상기 수신신호를 증폭한다.
수신 필터(19)는 수신을 방해할 수도 있는 방해신호를 제거한다. 상기 특정 프로그램가능 회로(FPGA)(11) 혹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스는 수신된 상기 객체 프레임으로부터 메시지를 인출한다. 상기 기술된 수단들의 조합덕택에, 상기 범용판독기(1)는 상기 노매드 객체(7)의 통신 수단에 의해 변조된 전기자기적 신호를 변조할 수 있고, 상기 노매드 객체(7)에 의해 상기 전기자기적 신호내에 삽입된 상기 객체 프레임을 인출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수단들의 조합덕택에, 상기 범용판독기(1)는 상기 객체 프레임을 생성하는데 관련된 노매드 객체(7)에 의해 사용된 방법의 역의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노매드 객체로부터 오는 상기 노매드 객체(7)내에 삽입된 메시지를 복호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도 3에 상기 뱃지(7)의 다른 실현에 대한 설명이 블록도로 나타나 있다. 상기 범(1)는 자신의 증폭기(14) 및 안테나(2)를 통해 전기자기장(4)을 방출한다. 상기 전기자기장은 상기 범용판독기(1)의 범위내에 존재하는 상기 뱃지(7)의 상기 안테나(8)에 의해 포착된다. 상기 기술된 다른 실현의 경우에, 상기 뱃지(7)의 상기 안테나(8)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일 부분은, 상기 뱃지(7)가 작동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정류 및 피드회로(30)에 의해 에너지로 변환된다. 셀(cell) 혹은 충전용 전지 역시 필수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정류 및 피드회로(30)는 클럭 생성회로(36), 변조회로(38), 복조회로(37) 및 로직 회로로 알려진 다른 형태의 프로세싱회로(31)를 피드한다. 클럭 생성회로(36)는 상기 범용판독기(1)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범용판독기와 상기 뱃지가 일관성있게 작동하도록 하는 주파수 기준을 생성한다.
상기 범용판독기(1)에 의해 방출되고 상기 휘장(7)의 안테나(8)에 의해 수신된 상기 판독기 프레임내에 저장된 메시지는 상기 변조회로(37)에 의해 인출되어 상기 로직회로(31)에 의해 처리된다.
상기 범용판독기(1)의 안테나(2)에 의해 포착될 수 있는 두 개의 메시지(객체 프레임들)를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뱃지(7)는 통신수단, 특히 상기 변조회로(38)로 조합된 로직회로(31)를 포함한다. 상기 로직회로(31) 및 상기 뱃지(7)의 변조회로(38)는 통신 프로토콜 및 특정 변조방법에 따라, 상기 뱃지(7)의 안테나 회로(33)의 요소들 중 하나를 전기적 스위치를 이용하여 스위칭한다(예: 부하저항 혹은 안테나(8)의 튜닝용량(34)) 따라서, 상기 뱃지(7)의 상기 안테나회로(33)의 동작은 상기 로직회로에 의해 생성된 프레임에 따라 상이한 상태내에서 변화가 가능하다. 상기 전기자기장(4)내의 상기 뱃지(7)의 동작에 있어서 상기 변화는 상기 범용판독기(1)에 의해 검출된다. 상기 범용판독기(1)는 상기 뱃지(7)의 상기 로직회로(31)에 의해 생성된 상기 프레임과 관련있는 상이한 상태내에서의 상기 범용판독기의 안테나(2) 단자내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한다. 상기 범용판독기(1)의 안테나(2) 단자내의 상기 임피던스 변화는 상기 뱃지(7)의 상기 로직회로(31)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객체 프레임에 따라,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 변조로 나타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전기적 신호를 복조함으로써, 상기 뱃지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객체 프레임이 인출된다. 따라서 상기 범용판독기(1)는 상기 뱃지(7)에 의해 생성된 두 개의 메시지를 해석하는 위치에 존재하게 된다.
상기 뱃지의 상기 로직회로(31)는 특히 메모리부(35)을 포함한다. 프로토콜 규칙, 휘장 식별기, 비밀코드, 엑세스인가 같은 근본적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은 상기 메모리부(35)이다.
이하, 상기 범용판독기(1)가 상기 노매드 객체의 상이한 변조 모드를 어떻게 스캔하고, 고려중인 상기 노매드 객체의 통신 프로토콜을 어떻게 결정하는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범용판독기(1)는 자신의 검출범위(4)내에 있는 상기 노매드 객체(7)와의 대화를 시도한다. 이를 위해 상기 범용판독기(1)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이한 알려진 변조모드에 대응하는 신호를 방출한다.
상기 검출범위(4)내에 존재하는 뱃지(7)는 만약 자신의 변조모드가 실제로 자신이 포착했던 스캐닝신호와 대응한다면, 자신의 프로토콜에 따라 반사신호(반사 객체 프레임)를 방출함으로써 반작용을 할 것이다.
상기 범용판독기(1)는 상기 반사신호의 프로세싱에 의해 검출된 상기 노매드 객체(7)의 특성을 확인하게 된다. 상기 프로세싱은 근본적으로 수신된 상기 반사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프로토콜의 데이터베이스내의 확인단계를 포함한다.
전기자기적 출력신호의 특성, 특히 그 주파수, 전력, 변조등은 검출 및 확인된 노매드 객체(7)에 의해 대기하고 있던 특정 전기자기적 신호의 특성에 대응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 상기 범용판독기(1)는 상기와 같이 결정된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판독기 프레임을 상기 출력 전지자기장(4)내로 삽입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판독기 프레임은 상기 노매드 객체(7)에 의해 해석이 가능하다.

Claims (7)

  1. 밀접한 전기적 연결을 통해 기술적 피드(feed) 특성과 통신수단 (8,31,32, 33,35), 특히 다른 변조방법 및/또는 통신 프로토콜을 가진 복수의 노매드 객체(7;nomad objects)와, 모든 특성의 상기 노매드 객체(7)에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범용판독기(1)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세스에 있어서,
    ① 상기 범용판독기(1)가 상이한 변조 모드를 스캐닝하는 신호를 방출함으로써 자신의 검출범위(4) 내에 있는 상기 노매드 객체(7)를 탐색하는 단계(2,11,12, 17,18,19)와,
    ② 상기 범용판독기(1)로부터 상기 스캐닝 신호를 받는 각각의 노매드 객체가 자신의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반사신호(echo signal)를 생성하는 단계(8,31,32, 33,35)와,
    ③ 상기 범용판독기(1)가 각각의 반사신호를 분석하고(11,12), 상기 분석된 반사신호로부터 상기 확인된 노매드 객체(7)에 적용된 특정 프로토콜(35)을 찾아내는 단계와,
    ④ 상기 범용판독기(1)가 상기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확인된 상기 노매드 객체(7)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판독기 프레임 내로 방출될 메시지를 삽입하는 단계(11,12)와,
    ⑤ 상기 범용판독기(1)가 상기 판독기 프레임에 따라 변조된 전자기적 신호를 상기 확인된 노매드 객체(7)로 방출하는 단계(2,14,15)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
  2. 제 1항에 있어서,
    ① 상기 확인된 노매드 객체(7)가 객체 프레임내로 방출될 메시지를 상기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삽입하는 단계(31,35)와,
    ② 상기 확인된 노매드 객체(7)가 상기 객체 프레임에 따라 전기자기적 신호(4)를 변조하는 단계(31,32,33,38)와,
    ③ 상기 범용 판독기(1)가 상기 객체 프레임 내에 삽입된 메시지를 인출함(11,12)으로써 상기 전기자기적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11,12,17,18,19)와,
    ④ 상기 범용판독기(1)가 상기 객체 프레임을 생성하는데 관계된 노매드 객체(7)에 의해 사용된 방법의 역의 방법에 따라, 상기 객체 프레임 내에 삽입된 메시지를 복호하는 단계(11,12)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판독기(1)가 원격 전송으로써 상기 범용판독기(1)와 통신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상기 노매드 객체(7)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
  4. 밀접한 전자기적 연결을 통해 상이한 기술적 피드(feed)특성과 통신수단 (8,31,32,33,35), 특히 다른 변조방법 및/또는 통신 프로토콜을 가진 복수의 노매드 객체(7)와, 모든 특성의 노매드 객체(7)에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범용판독기(1)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① 상기 범용판독기(1)는 자신의 검출범위(4)내에 있는 노매드 객체(7)을 탐색하기 위한 상이한 변조모드를 스캐닝하는 신호를 방출하는 탐색수단(2,11,12,17, 18,19)을 포함하고,
    ② 각각의 노매드 객체(7)는, 상기 변조 모드를 스캐닝하는 신호에 의해서 활성화되어 관련된 상기 노매드 객체(7)의 특정 프로토콜(35)에 따라 반사 신호를 만드는 신호 생성 수단(8,31,32,33,35)을 포함하고,
    ③ 상기 범용판독기(1)는 상기 반사 신호를 분석하고, 그 분석된 반사신호로부터 관련된 상기 노매드 객체(7)에 의해 적용된 특정 프로토콜(35)을 찾아내기 위한 분석수단(11,12)을 포함하고,
    ④ 상기 범용판독기(1)는 상기 확인된 노매드 객체(7)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판독기 프레임 내로 방출될 메시지를 상기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삽입하기 위한 삽입 수단(11,12)을 포함하고,
    ⑤ 상기 범용판독기(1)는 상기 판독기 프레임에 따라 변조된 전기자기적 신호를 상기 확인된 노매드 객체(7)에 방출하기 위한 방출 수단(2,14,15)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① 상기 확인된 노매드 객체(7)는 객체 프레임 내로 방출될 메시지를 상기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삽입하기 위한 삽입 수단(8,31,32,33,34,35)을 포함하고,
    ② 상기 확인된 노매드 객체(7)는 상기 객체 프레임에 따라 전기자기적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 수단(31,32,33,34,38)을 포함하고,
    ③ 상기 범용판독기(1)는 상기 전기자기적 신호(4)를 복조하기 위한 복조 수단(11,12,17,18,19) 및 상기 객체 프레임 내에 삽입된 상기 메시지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 수단(11,12)을 포함하고,
    ④ 상기 범용판독기(1)는 상기 객체 프레임을 생성하는데 관련된 노매드 객체(7)에 의해 사용된 방법의 역의 방법에 따라, 상기 객체 프레임 내에 삽입된 메시지를 복호하기 위해 복호 수단(11,12)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6. 상이한 기술적 피드(feed) 특성 및 통신 수단(8,31,32,33,34,35), 특히 상이한 변조 방법 및/또는 통신 프로토콜을 가진 복수의 노매드 객체(7)를 가진 데이터를, 밀접한 전기자기적 연결을 통해 교환하는 데 사용하고자 하는 범용판독 장치(1)에 있어서,
    ① 자신의 검출범위(4)내에 있는 상기 노매드 객체(7)를 탐색하기 위해 상이한 변조 모드를 스캐닝하고 관련된 상기 노매드 객체(7)의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관련된 상기 노매드 객체(7)에 의해 반사 신호의 생성을 유발시키는 스캐닝신호를 방출하는 탐색 수단(2,11,12,17,18,19)과,
    ② 상기 반사 신호를 분석하고 그 분석된 반사 신호로부터 관련된 상기 노매드 객체(7)에 적용된 특정 프로토콜을 찾아내기 위한 분석 수단(11,12)과,
    ③ 상기 확인된 노매드 객체(7)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판독기 프레임 내로 방출될 메시지를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삽입하기 위한 삽입장치(11,12)와,
    ④ 상기 확인된 노매드 객체(7)에 상기 판독기 프레임에 따라 변조된 전기자기적 신호(4)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 수단((2,11,12,14,15)을
    포함하는 범용판독 장치.
  7. 객체 프레임 내로 방출될 메시지를 상기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삽입하기 위한 삽입 수단(31,32,33,34,35)과,
    상기 객체 프레임에 따라 전기자기적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 수단(32,33,34,38)을 포함하는 상기 노매드 객체(7)의 경우의 범용판독 장치(1)에 있어서,
    ① 상기 전기자기적 신호(4)를 복조하기 위한 복조 수단(11,12,18,19)과,
    ② 상기 복조된 전기자기적 신호로부터 상기 객체 프레임 내에 삽입된 상기 메시지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 수단(11,12)과
    ③ 상기 객체 프레임을 생성하는데 관련된 상기 확인된 노매드 객체(7)에 의해 사용된 방법의 역의 방법에 따라, 상기 객체 프레임 내에 삽입된 상기 메시지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 수단(11,12)을
    포함하는 범용 판독기.
KR1020007009981A 1998-03-11 1999-03-11 전기자기적 연결을 통한, 판독기와 노매드 객체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0637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03215A FR2776147B1 (fr) 1998-03-11 1998-03-11 Procede, systeme et dispositif pour transferer, par liaison electromagnetique, des informations entre des lecteurs et des objets nomades
FR98/03215 1998-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4567A true KR20010034567A (ko) 2001-04-25
KR100637905B1 KR100637905B1 (ko) 2006-10-24

Family

ID=9524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981A KR100637905B1 (ko) 1998-03-11 1999-03-11 전기자기적 연결을 통한, 판독기와 노매드 객체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 시스템 및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505771B1 (ko)
EP (1) EP1062621B1 (ko)
JP (1) JP2002507031A (ko)
KR (1) KR100637905B1 (ko)
CN (1) CN1144151C (ko)
AT (1) ATE243341T1 (ko)
AU (1) AU765190B2 (ko)
DE (1) DE69908917T2 (ko)
ES (1) ES2201676T3 (ko)
FR (1) FR2776147B1 (ko)
IL (1) IL138142A (ko)
WO (1) WO19990467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7894A1 (de) * 1998-08-20 2000-03-02 Moba Mobile Automation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slesen und Beschreiben von mindestens zwei Transpondertypen
US6577229B1 (en) * 1999-06-10 2003-06-10 Cubic Corporation Multiple protocol smart card communication device
EP1454284B1 (de) * 2001-12-04 2008-04-02 Gregor Ili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uni- oder bidirektionalen übermitteln von daten
KR20040089726A (ko) 2002-03-13 2004-10-21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통신 스테이션 및 집적 회로
EP1630713B1 (en) 2004-08-24 2020-05-20 Sony Deutschland GmbH Backscatter interrogator reception method and interrogator for a modulated backscatter system
WO2006035600A1 (ja) * 2004-09-30 2006-04-0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無線タグ通信装置、無線タグ、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8967476B2 (en) * 2005-09-09 2015-03-03 Assa Abloy Ab Synchronization techniques in multi-technology/multi-frequency RFID reader arrays
US20100073138A1 (en) * 2008-09-25 2010-03-2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RFID tag communication system and RFID tag communication apparatus
FR3011655B1 (fr) * 2013-10-04 2015-12-04 Oridao Procede de communication par un lecteur de radio-etiquettes passives fonctionnant en mode de retrodiffus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8852A (ja) * 1987-03-17 1988-09-22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Idシステムの通信制御方式
FR2684783A1 (fr) * 1991-12-04 1993-06-11 Rolhion Daniel Dispositif multi-utilisations a cartes a puce.
IL110597A (en) * 1994-08-09 2002-11-10 Micro Tag Temed Ltd Method of marking, verifying and / or identifying an object and an instrument for performing the method
US5798693A (en) * 1995-06-07 1998-08-25 Engellenner; Thomas J. Electronic locating systems
JPH09218263A (ja) * 1995-10-11 1997-08-19 Texas Instr Inc <Ti> トランスポンダ・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38142A (en) 2003-12-10
EP1062621A1 (fr) 2000-12-27
CN1144151C (zh) 2004-03-31
AU765190B2 (en) 2003-09-11
KR100637905B1 (ko) 2006-10-24
EP1062621B1 (fr) 2003-06-18
DE69908917T2 (de) 2004-04-22
JP2002507031A (ja) 2002-03-05
CN1292905A (zh) 2001-04-25
US6505771B1 (en) 2003-01-14
IL138142A0 (en) 2001-10-31
FR2776147B1 (fr) 2000-08-04
FR2776147A1 (fr) 1999-09-17
AU2733899A (en) 1999-09-27
ATE243341T1 (de) 2003-07-15
WO1999046722A1 (fr) 1999-09-16
ES2201676T3 (es) 2004-03-16
DE69908917D1 (de) 200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6613B2 (en) System for multi-standard RFID tags
US20020044058A1 (en) Wrist mounted RFID reader and/or antenna
EP1488375B1 (en)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communication station configuration and a data carrier configuration
EP1527409B1 (en) Reader interfacing device
US7215249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EP1880350A1 (en) Contactless type integrated circuit card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by multiprotocol
KR100637905B1 (ko) 전기자기적 연결을 통한, 판독기와 노매드 객체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 시스템 및 장치
US7252241B2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data communication device, contactless communication medium, and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program
US7277681B2 (en) Interrogator of moving body identification device
CN101576950A (zh) 通过电感耦合进行射频发送/接收的终端
US20060261928A1 (en) Transponder reader capable of reading transponders having different signaling protocols
CN113158699A (zh) 一种基于无源rfid传感芯片的定位方法及系统
JP3845195B2 (ja) Icカードシステム
CN103106416A (zh) 用于液体的低频磁传输通信的读写器和标签
CN201126583Y (zh) 一种射频识别读写器
EP1485858B1 (en) Communication station for communication with transponders and further communication stations with the aid of different protocols
KR20020015245A (ko) 비타입의 비접촉식 아이씨 카드 판독기
JP2008059244A (ja) データキャリア及びデータキャリアシステム
JPH11288447A (ja) リーダライタ
KR100321341B1 (ko) 무선 데이터 인식 시스템
KR100321342B1 (ko) 무선 데이터 인식 시스템 및 그 무선 데이터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무선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JP2000108562A (ja) 非接触型icカードおよび非接触型icカードシステム
FR2776148A1 (fr) Procede, systeme et dispositif pour transferer, par liaison electromagnetique, des informations entre des lecteurs et des objets nomades
JP2000285206A (ja) Icカード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