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3047A - 조절 기구를 갖는 부품, 특히 차량내의 부품을 작동시키기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조절 기구를 갖는 부품, 특히 차량내의 부품을 작동시키기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3047A
KR20010033047A KR1020007006405A KR20007006405A KR20010033047A KR 20010033047 A KR20010033047 A KR 20010033047A KR 1020007006405 A KR1020007006405 A KR 1020007006405A KR 20007006405 A KR20007006405 A KR 20007006405A KR 20010033047 A KR20010033047 A KR 20010033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attachment
gearwheel
groove
drive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4133B1 (ko
Inventor
프리트만아르투르
스토이어페터
뵐쉬테판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10033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3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1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5Support of gearboxes, e.g. torque arms, or attachment to oth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7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2Roof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14Disconne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절 기구를 갖는 부품, 특히 차량내의 부품을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절 기구는 하나의 모터(10), 기어(12) 및 적어도 하나의 피동 부분(14)을 가지며, 상기 피동 부분(14)은 이동하는 부분과 작용 연결된다. 본 발명은 상기 피동부(14)가 상기 기어(12)로부터 분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절 기구를 갖는 부품, 특히 차량내의 부품을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Device for moving a part, especially in a motor vehicle, said device having an adjusting mechanism}
이러한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기계 부품들은 증대하면서 전동기 부품들에 의해 부가된다. 따라서, 예컨대 차량내 선루프가 전기로 개폐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상승 나사선을 통해 상기 선루프에 결합되는 기어드 모터에 의해 제공된다. 여기에 공지된 처리에 있어서, 기어휠에 의한 기어드 모터와 상승 나사선의 커플링이 이루어지며, 상기 기어휠은 기어 장치와 고정 결합되어, 상승 나사선을 구동시킨다. 조립을 위해, 상기 기어 장치에 놓여있는 기어휠은 차량내에 이미 장치된 상승 나사선과 결합되며, 이는 종종 어렵게 조작될 수 있고, 어쩔 수 없는 허용 오차에 의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예컨대 맞물림을 저하시키는 경사 또는 축방향 오프셋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종종 예기치 않은 잡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동기 조절 기구가 한편으로는 조립될 이동 부분과, 다른 한편으로는 차체에 고정되어 이미 조립된 부분과 상호 작용해야만 하는 다른 시스템에서, 상기와 같은 문제가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주 청구항에 따른 조절 기구를 갖는 부품, 특히 차량내의 부품을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조감도로 나타난 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개략도 및 확대도.
도 3은 선 Ⅰ-Ⅰ에 따른 도 1의 단면도.
도 4는 선 Ⅱ-Ⅱ에 따른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도 3과 동일한 조망도로 본 제 2 실시예의 도면.
주 청구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피동 부분을 이동 부분에 배치하는 것을 개선시키는 장점이 있으며, 이는 증가된 동작 연화 및 이에 따른 잡음 감소 및 마멸 최소화를 가져온다.
그밖에 통상적으로 기어 부재에 배치된 피동 부분의 분리된 베어링에 의해, 결합 관계는 최적화될 수 있다. 예컨대 차체에 고정된 공간으로 설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상기 피동 부분은 매우 적은 허용 오차를 가지고 이동 부분에 매칭될 수 있다. 이는 베어링 간극, 회전 편차 및 이심률의 원인이 되는 허용 오차에만 해당될 뿐만 아니라, 주로 조립 기술에 기인한 이동 부분에 피동 부분을 축방향으로 배치할 때의 허용 오차에도 해당된다.
또한, 상기 피동 부분은 이동 부분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 또는 기어의 조립, 분해 및 설치는 수리시 경감된다.
종속항에 제공된 처리를 통해, 주 청구항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개선예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피동 부분이 피동 부분내에 형성된 홈을 통해 기어 부재에 커플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은 그 구조에 있어서 상이한 방식, 예컨대 6각형으로 실행되며, 결정적으로는 단지 상기 홈에 대응하는 부착물과의 포지티브한 결합이 제조되며, 상기 부착물은 상기 기어 부재의 홈측 단부에 상응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어 부재에 피동 부분을 커플링하기 위해, 역으로 상기 기어 부재에는 홈이, 상기 피동 부재에는 부착물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환은 공지된 커플링 법칙에 아무런 변화를 주지 않는다.
볼 모양으로 형성된 부착물은, 상기 피동 부분의 축에 대한 경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어 부재의 축에 대한 조립에 의한 가벼운 경사는 결합 관계가 저하되지 않으면서 제공된다는 장점이 있다.
만약 이동 부분이 상승 나사선에 의해 상기 피동 부분에 상호 결합된 차량의 선루프일 경우에는, 더 나아가 상기 피동 부분이 상승 나사선을 구동시키고 상기 상승 나사선의 반대편의 이동 섹션과 결합되어 있는 기어휠을 통해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선루프의 개폐를 위한 특수한 장치에서 지금까지 기술된 모든 장점들이 나타난다.
여기서는, 상기 상승 나사선에 결합된 기어휠이 그것의 연결 지점으로 향한 측면에서 스프링 판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 판에 의해 차체에 고정된 루프 프레임에 고정된 베어링 부시에 대해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베어링 부시내에 기어휠이 최적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매우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부시는 상기 루프 프레임이 개방될 때 고정되며, 상기 루프 프레임의 중심은 상기 프레임의 상승 나사선을 안내하는 두 개의 벽에 대해 거의 동일한 간극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 부시 및 거기에 지지된 기어휠은 각각의 동일한 간극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하는 상승 나사선 섹션에 배치된다.
부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 판은 하나의 칼라를 가지며, 상기 칼라는 기어휠의 연결지점으로 향한 면에서 동심으로 이루어진 부착물의 측면을 둘러싼다. 이를 통해, 상기 스프링 판은 기어휠에 대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판이 그것의 외부의 에지 영역에 의해, 작동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상승 나사선의 두 개의 섹션을 포함할 경우, 상기 상승 나사선 섹션의 가이드 및 고정부는 기어휠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증된다.
상기 스프링 판에 적합한 재료 선택에 의해, 설치 위치에서 특수한 관계에 대해 반응할 수 있다. 따라서, 경화된 강판의 사용은 무게 감소를 위한 경금속의 마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물과 홈 사이에 탄성 부재를 배치한다. 예컨대 연성 플라스틱 또는 고무와 유사한 재료로 제조된 이러한 부재를 통해, 표면의 커플링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코팅의 형태로 상기 부착물상에 제공됨으로써, 여전히 부착물과 홈 사이에는 직접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에 상응하게 형성되며, 부착물과 홈 사이에 배치된 탄성 중간 부재를 통한 간접 결합도 생각될 수 있다.
또한 기술된 방식으로 피동 부분과 기어를 분리함으로써, 적합한 차체 부분의 모터의 표면적인 커플링 분리를 위한 다른 처리들도 더 잘 구현될 수 있다. 복잡한 기어 장치가 탄성적인 커플링 분리 부재에 장착되어 있을 경우, 탄성적인 장착을 통한 모터 기어 장치에 기인하여, 차체 부분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이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은 피동 부분이 상응하는 차체 부분에 고정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피동 부분과 이동 부분과의 결합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용은 단지 선루프에만 제한된 것이 아니다. 상기 장치는 조절 문제가 발생할 때, 차량 영역, 예컨대 탄성적인 윈도 리프터(window lifter), 시이트 조절 장치, 트렁크 커버 및 모터 후드와 같은 상이한 차체 개방을 위한 손잡이, 또는 서치 라이트 및 기어휠 조절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두 개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하기에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특히 차량내, 조절 기구를 갖는 부분을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는 특히 슬라이딩 축(16)의 개폐를 위한 장치에 관계된다.
본 장치는 모터(10), 기어(12) 및 피동 부분(14)을 갖는 조절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피동 부분(14)은 이동 부분(16)에 결합된다. 상기 피동 부분은 기어휠(14)을 통해 형성되며, 상기 이동 부분은 상승 나사선(17)을 통해 상기 피동 부분(14)과 상호 결합된 선루프(16)이다.
상기 상승 나사선(17)은 잘 휘어지는 강삭(18)으로 구성되며, 상기 강삭(18)은 상기 슬라이딩 축(16)의 개폐시 나타나는 인장력을 수용한다. 상기 강삭(18)은 나선형 나사선(20)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나사선(20)에는 두 개의 마주놓인 위치에 기어휠(14)이 결합된다. 상기 상승 나사선(17) 및 상기 기어휠(14)은 루프 프레임(22)내에 지지되며, 상기 루프 프레임(22)은 차체에 고정된 루프 시스템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가볍고 고정된 물질,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루프 프레임(22)은 두 개의 가이드 벽(24, 25)을 갖는다. 상기 가이드 벽(24, 25)으로부터 고정된 프레임내에, 각각의 왼쪽의 가이드 벽(24)과 기어휠(14)의 사이, 또는 오른쪽의 가이드 벽(25)과 기어휠(14) 사이에는 상승 나사선(17)이 안내된다. 상기 기어휠(14)의 배치 및 회전을 통해, 상기 상승 나사선(17)의 두 개의 섹션(17a, 17b)이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기어휠(14)은 기어(12)측 단부에서 홈(26)을 가지며, 상기 홈(16)내에 기어 부재(30)위에 형성된 구형 부착물(28)이 포지티브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기어 부재(30)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어 샤프트(130)를 통해 형성된다.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도 5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기어휠(14)은 홈을 가지지 않으며, 바람직하게 구형으로 형성된 부착물(29)을 갖는다. 상기 부착물(29)은 상기 기어 부재(30)의 홈(27)내에 포지티브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기어휠(14)은 두 실시예에서 베어링 부시(32)에 지지된다. 상기 베어링 부시(32)는 루프 프레임(22)의 개구(34)내에 고정된다. 상기 개구(34)는, 그 중심이 가이드 벽(24, 25)에 대해 각각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다.
상부측에는, 상기 기어휠(14)이 바람직하게 경화된 강판으로 제조된 스프링 판(36)에 의해 베어링 부시(32)에 대해 가압되어, 상기 베어링 부시(32)내에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 판(36)은 하나의 개구(38)를 가지며, 상기 개구(38)에는 그것을 둘러싸는 칼라(40)가 제공된다. 상기 칼라(40)의 내부면은 상기 기어휠(14)의 동심으로 이루어진 부착물(42)의 측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프링 판(36)은 기어휠(14)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판(36)은, 외부 에지 영역(44, 45)에 의해 상승 나사선(17)을 종축 방향에 대해 가로로 부분적으로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 영역에서 기어휠(14)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 나사선의 고정부 및 가이드가 제공된다.
상기 스프링 판(36) 및 기어휠(14)은 고정 부재(46)에 의해 베어링 부시(32)의 방향으로 가압되고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 판(36) 및 기어휠(14)은 두 개의 부착물(48, 49)에 의해 가이드 벽(24, 25)위에 지지되고, 중심에는 홈(50)을 가지며, 상기 홈(50)내에 스프링 판(36)의 칼라(40) 및 기어휠(14)의 부착물(42)이 튀어나온다.
또한, 도 4에 따른 상승 나사선(17)의 종방향 또는 이동 방향으로, 고정 부재(46)의 두 단부에는 두 개의 벽(52, 53)이 형성되며, 상기 두 벽(52, 53)은 각각 나사선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보어(54, 55)를 가지고, 조립된 상태에서는 루프 프레임(22)의 보어(56, 57)에 대해 동축으로 놓일 수 있다. 모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보어(56, 57)를 통해 나사 보어(54, 55)내로 삽입된 적어도 두 개의 나사(58, 59)에 의해, 조절 기구가 조립되고 고정된다.
도 3 및 도 5의 두 실시예에서, 상기 부착물(28, 29)은 표면적인 커플링 분리를 위한 탄성 부재(60)에 의해 커버된다.
상기 상승 나사선(17)의 상승은 -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도시된 - 더 적을 수 있다. 또한 턴(turn)이 개별 링으로서 실행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선루프 작동에만 제한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예컨대 윈도 리프터 작동에서, 기어 샤프트(130)는 창유리와 커플링된 구동 장치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시이트 조절 장치와 같은 조절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예컨대 구동 스핀들이 구동 모터의 기어내에 배치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Claims (10)

  1. 모터(10), 기어(12) 및 이동 부분(16)과 상호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피동 부분(14)을 구비하는 조절 기구를 갖는 부품, 특히 차량내의 부품을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동 부분(14)은 상기 기어(12)와 분리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 부분(14)은 홈(26) 및 상기 기어(12)의 기어 부재(30), 그리고 상기 홈(26)에 대응하는 부착물(2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 부분(14)은 부착물(29)을 가지고, 상기 기어(12)의 기어 부재(30)는 상기 부착물(29)에 대응하는 홈(2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28, 29)은 볼 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분은 선루프(16)를 가지며, 상기 선루프(16)는 상승 나사선(17)에 의해 피동 부분(14)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 부분은 기어휠(14)이며, 상기 기어휠(14)은 상승 나사선(17)을 구동시키고, 상기 상승 나사선(17)의 역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섹션(17a, 17b)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휠(14)은 스프링 판(36)에 의해 고정되고, 루프 프레임(22)의 개구(34)에 고정된 베어링 부시(32)에 대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판(36)은 그 주위를 둘러싸는 칼라(40)를 포함하는 개구(3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판(36)은 작동 방향에 대해 가로로, 상승 나사선(17)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부재(30) 및 피동 부분(14)의 사이에 탄성 부재(6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07006405A 1998-10-13 1999-07-02 부품, 특히 차량 내의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조절 기구를 갖는 장치 KR100704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47016.9 1998-10-13
DE19847016A DE19847016A1 (de) 1998-10-13 1998-10-13 Vorrichtung zum Bewegen eines Teils, insbesondere in einem Kraftfahrzeug, mit einem Verstellmechanismus
PCT/DE1999/002047 WO2000022322A1 (de) 1998-10-13 1999-07-02 Vorrichtung zum bewegen eines teils, insbesondere in einem kraftfahrzeug, mit einem verstellmechanism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047A true KR20010033047A (ko) 2001-04-25
KR100704133B1 KR100704133B1 (ko) 2007-04-09

Family

ID=7884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405A KR100704133B1 (ko) 1998-10-13 1999-07-02 부품, 특히 차량 내의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조절 기구를 갖는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28092B1 (ko)
EP (1) EP1046000B1 (ko)
JP (1) JP4588883B2 (ko)
KR (1) KR100704133B1 (ko)
BR (1) BR9906870A (ko)
DE (2) DE19847016A1 (ko)
WO (1) WO20000223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2726B2 (ja) * 2002-02-20 2008-11-19 日本精工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DE10217660B4 (de) * 2002-04-19 2004-08-12 Webasto Vehicle Systems International Gmbh Antrieb für ein verstellbares Fahrzeugteil
DE10320271A1 (de) * 2003-05-07 2004-12-02 Stegmann Gmbh & Co. Kg Verstelleinrichtung
DE102005023816B4 (de) * 2005-05-24 2018-07-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 Fensterheber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8025621B2 (en) * 2005-07-26 2011-09-27 Microline Surgical, Inc. Medical device with adjustable inner shaft movement
CA2535229A1 (en) * 2006-02-06 2007-08-06 Pyramid Specialty Products Ltd. Motorized in-line sliding window
JP5207618B2 (ja) * 2006-11-17 2013-06-12 ベバスト ジャパン株式会社 駆動装置
JP5039364B2 (ja) * 2006-11-17 2012-10-03 ベバスト ジャパン株式会社 駆動装置
DE102010055635A1 (de) * 2010-12-22 2012-06-28 Volkswagen Ag Antriebseinheit, insbesondere für ein Dachöffnungssystem eines Fahrzeuges
DE102011107114B3 (de) * 2011-07-12 2012-10-11 Webasto Ag Anordnung für eine Antriebsvorrichtung
US9035579B2 (en) * 2011-09-14 2015-05-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ctuation systems comprising an active-material actuato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940A (en) * 1907-07-17 1908-12-29 Otto Zachow Power-applying mechanism.
US1196311A (en) * 1916-02-26 1916-08-29 Charles H Stinson Starting-clutch mechanism.
US1566924A (en) * 1925-07-06 1925-12-22 Plymouth Foundry & Machine Com Pulley attachment for tractors
FR699087A (fr) * 1929-12-09 1931-02-10 Zahnradfabrik Ag Liaison entre la boîte de vitesse et l'arbre moteur de voitures motrices
US2311393A (en) * 1942-03-25 1943-02-16 Edward R Honeywell Power drive for motor vehicles
US2966069A (en) * 1955-09-26 1960-12-27 Anderson Co Motion conversion unit
US3926532A (en) * 1974-08-05 1975-12-16 Safeguard Automotive Corp Quick releasable coupling
US3937096A (en) * 1974-12-30 1976-02-10 General Time Corporation Motor system with replaceable output shaft
GB1592312A (en) * 1978-01-25 1981-07-08 Davall Gear Co Ltd Gearboxes
US4274293A (en) * 1979-05-23 1981-06-23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Drive block structure for an adjustable vehicle seat track
DE3030642C2 (de) * 1980-08-13 1986-02-06 Webasto-Werk W. Baier GmbH & Co, 8035 Gauting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ausstellbaren Schiebedeckel eines Kraftfahrzeugdaches
GB2147432B (en) * 1983-09-28 1987-01-14 Aisin Seiki Controlling movement
JPS63135633A (ja) * 1986-11-26 1988-06-08 Honda Motor Co Ltd クラツチ機能を有する歯車伝動装置
FR2649365B1 (fr) * 1989-07-10 1995-02-03 Jidosha Denki Kogyo Kk Appareil d'entrainement de toit ouvrant
DE4021973C1 (ko) 1990-07-10 1992-01-02 Webasto Ag Fahrzeugtechnik, 8035 Stockdorf, De
JP3021590B2 (ja) * 1990-09-29 2000-03-1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サンルーフ用駆動装置
DE4314146C2 (de) * 1993-04-29 1996-03-21 Webasto Karosseriesysteme Vorrichtung zum Verstellen von bewegbaren Teilen an Fahrzeugen
DE9311960U1 (de) * 1993-08-11 1994-12-08 Bosch Gmbh Robert Antrieb zum Verstellen von Ausrüstungsteilen in Kraftfahrzeugen
DE4333514C1 (de) * 1993-10-01 1994-10-13 Webasto Karosseriesysteme Dachluke, insbesondere für Fahrzeugdächer
JP3465120B2 (ja) * 1994-08-23 2003-11-10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遊星ローラ式変速機構を用いた動力伝達装置
US5612600A (en) * 1995-10-17 1997-03-18 Webasto Sunroofs Inc. Position encoder system for a movable panel
NL1002589C2 (nl) * 1996-03-13 1997-09-17 Inalfa Ind Bv Aandrijfeenheid; alsmede met een aandrijfeenheid uitgevoerde open- dakconstructie voor een voertuig.
JPH10252853A (ja) * 1997-03-14 1998-09-22 Nippon Seiko Kk 摩擦ローラ式変速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88883B2 (ja) 2010-12-01
JP2002527693A (ja) 2002-08-27
DE19847016A1 (de) 2000-04-20
KR100704133B1 (ko) 2007-04-09
BR9906870A (pt) 2000-10-17
DE59905180D1 (de) 2003-05-28
EP1046000B1 (de) 2003-04-23
WO2000022322A1 (de) 2000-04-20
EP1046000A1 (de) 2000-10-25
US6428092B1 (en) 2002-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7782A (en) Electrically-operated displacement device for windows or sliding roofs of motor vehicles
US6867516B2 (en) Drive device with anti-lash mechanism
KR20010033047A (ko) 조절 기구를 갖는 부품, 특히 차량내의 부품을 작동시키기위한 장치
US7069695B2 (en) Automatically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US20220307314A1 (en) Door drive apparatus having a gear assembly comprising a guide rail
US4986029A (en) Window regulator for vehicle doors
US4475314A (en) Mounting arrangement by means of guide members for a transparent windowpane
KR100315568B1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유격 조정장치
JP3987431B2 (ja) 自動車用ウインドウ昇降アーム
KR100309022B1 (ko) 차량용파워윈도우레귤레이터
US11788335B2 (en) Fastening device for a window lifter, and window lifter
US7810280B2 (en) Automatic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CA2411039C (en) Power sliding cab window
US7861462B2 (en) Vehicle window regulator having a floating window carrier
EP0361664A1 (en) Lateral movement actuator for lowerable automobile window
CA1057337A (en) Sliding roof for automobiles
US11251678B2 (en) Small-sized motor apparatus for vehicle provided with improved shaft thrust gap prevention structure
US3174742A (en) Power operated regulating mechanism
US8348240B2 (en) Driving device
US20020092239A1 (en) Window lift mechanism
US20090249698A1 (en) Drive apparatus for a swing-out element of a motor vehicle
US20020163267A1 (en) Drive device
CN113272200B (zh) 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
US11939805B2 (en) Door drive for a motor vehicle door or motor vehicle flap
EP1127204B1 (en) An actua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