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3034A -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와 이를 위한 변환기 - Google Patents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와 이를 위한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3034A
KR20010033034A KR1020007006390A KR20007006390A KR20010033034A KR 20010033034 A KR20010033034 A KR 20010033034A KR 1020007006390 A KR1020007006390 A KR 1020007006390A KR 20007006390 A KR20007006390 A KR 20007006390A KR 20010033034 A KR20010033034 A KR 20010033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linear
planar
impulse
respons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6345B1 (ko
Inventor
이. 브링클리제럴드
맥키존엠.
Original Assignee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Publication of KR20010033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3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04R3/14Cross-over net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eurosurger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전형적으로 비선형 강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하는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100)는 자석 감쇠 요소(106)의 추가에 의해 비선형 연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한다. 2개 이상의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100)는 2개의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100) 중의 적어도 하나가 비선형 연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할 때 넓은 주파수 응답을 생성하도록 작동하는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700)를 생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700)는 다중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100)가 신호 입력으로부터 함께 작동되는 것을 허용한다.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700)가 하우징(812) 내에 둘러싸일 때,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700)는 오디오 출력을 전송하도록 헤드폰으로서 작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와 이를 위한 변환기 {MECHANICAL ACOUSTIC CROSSOVER NETWORK AND TRANSDUCER THEREFOR}
스피커 시스템은 매우 넓은 주파수 영역을 갖는 오디오 음향(audio program material)을 재생하는 데 요구되는 넓은 작동 주파수 영역을 제공하도록 저주파수(베이스), 중역 주파수 및 고주파수(트위터) 스피커를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스피커 시스템은 베이스, 중역 및 고주파수 스피커에 의한 최적의 재생을 위하여 크로스오버 네트워크가 오디오 음향을 저주파수, 중주파수 및 고주파수 성분으로 분리하는 것에 종종 좌우되어 왔다. 이러한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는 종종 복잡하고 스피커 시스템의 비용을 추가시킨다.
헤드폰은 이동식 무선 주파수 리시버에 청취 성능의 제공을 좌우한다. 압전식 변환기는 종종 오디오 음향을 나타내는 데 필요한 주파수 응답을 제공하도록 이러한 헤드폰에 사용되어 왔다. 그 결과, 오디오 음향의 저주파수, 중주파수 및 고주파수 성분을 별도로 취급할 필요가 없고, 이는 종종 헤드폰으로부터의 최적의 넓은 주파수 응답보다 작게 이끈다.
그러므로, 저주파수 응답을 제공할 수 있고, 크로스오버 네트워크가 넓은 작동 주파수 영역을 제공할 필요 없이 중역 및 고주파수 응답을 갖는 다른 변환기에 연결될 수 있는 변환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통상 전자석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선형 강성 스프링 및 연성 스프링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taut armature reciprocating impulse transducer)를 사용하는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데 적절한 토트 전기자 왕복 관성 변환기의 평면도이다.
도2는 도1의 토트 전기자 왕복 관성 변환기의 선 2-2를 따라서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토트 전기자 왕복 관성 변환기에 사용되는 독립 평면 비선형 스프링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4는 도1의 토트 전기자 왕복 관성 변환기에 사용되는 평면 비선형 복합 스프링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5는 변환기로서 구동될 때 비선형 강성 스프링 타입의 공진 시스템을 사용하는 도1의 토트 전기자 왕복 관성 변환기에 대한 주파수 함수로서 임펄스 출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변환기로서 구동될 때 비선형 연성 스프링 타입의 공진 시스템을 사용하는 도1의 토트 전기자 왕복 관성 변환기에 대한 주파수 함수로서 임펄스 출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 및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의 정사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의 전기 블록 선도이다.
도10 및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의 정사도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에 사용하기 위한 비선형 연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하는 토트 전기자 왕복 관성 변환기(100)의 평면도이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운동 질량체(116)를 운동시키도록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교류 전자기장을 이루도록 전자석 구동기로서 역할을 하는 (도2의) 전자석 코일(104)을 둘러싸는 샤시로서의 역할을 하는 코일 형상부(102)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코일 형상부(102)는 전자석 코일(104)에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는 단자(126)를 제외하고는 전자석 코일(104)을 완전히 둘러싸는 30 %의 유리가 충전된 액체 크리스털 폴리머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통상의 이중 발사 사출 성형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다른 플라스틱 재료가 코일을 지지하는 보빈(bobbin)과 같이 코일 형상부(102)를 위한 다른 구성뿐만 아니라 코일 형상부(102)를 위해서, 그리고 구조적 강성을 구비하도록 에폭시 재료로 충만된 개방 권취 코일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코일 형상부(102)는 2개의 평면 현가 부재(110)가 지지되는 평면 주연 영역(planar perimeter region; 108) 둘레에 (도2의) 2개의 평면 주연 안착 표면(130)을 설치하고, 열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구비되는 것과 같은 스테이킹 공정(staking process)을 이용하여 평면 현가 부재(110)를 코일 형상부(102)에 방향을 정하여 부착하는 데 사용되는 8개의 인접하게 성형된 보스(132)를 더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평면 현가 부재(110)는 사실상 서로 평행하고, 맥키(McKee) 등에게 1994년 7월 5일자로 발행되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안정된 전자석 공진 전기자 촉감 진동기"의 제목을 갖는 미국 특허 제5,327,120호에 설명된 것과 같이 자석 운동 질량체의 운동을 안정화하는 데 이용된다.
상부 및 하부 평면 현가 부재(110)의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테이킹 공정을 이용하여, 운동 질량체(116)를 2개의 평면 현가 부재(110)에 위치 및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는 평면 중심 영역(114) 둘레에 규칙적으로 배치된 4개의 독립 평면 비선형 스프링 부재(112)를 포함한다. 평면 비선형 스프링 부재(112)는 바람직하게는 도3 아래에 도시되고, 무니(Mooney) 등에게 1996년 6월 4일자로 발행되어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이중 모드 변환기"의 제목을 갖는 미국 특허 제5,524,061호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같이 원형의 외주연과 타원형의 내주연을 갖는 한 쌍의 스프링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평면 현가 부재(110)는 바람직하게는 몰리브덴과 합금된 등록 상표 샌드빅(Sandvik™) 7C27M02 스테인레스 마르텐사이트계 크롬강 또는 17-7 PH 가열 처리된 CH900 침전 경화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시트 금속으로 제조된다. 다른 항자성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평면 현가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화학적 에칭 또는 기계 가공 기술에 의해 형성된다. 운동 질량체(116)는, 비록 다른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지라도, 자막(Zamak) 3 아연 다이 캐스팅 합금을 이용한 통상의 다이 캐스팅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토트 전기자 왕복 관성 변환기(100)의 부품들의 배치로 운동 질량체(116)는 2개의 평면 현가 부재(110)의 평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상향 및 하향 변위될 수 있고, 이 변위는 변위에 응답하여 독립 평면 비선형 스프링 부재(112)에 의해 제공된 복원력에 의해 제한된다. 운동 질량체(116)는 운동 질량체(116)의 최종 왕복 운동 동안에 독립 평면 비선형 스프링 부재(112)를 통하여 그리고 그 둘레에 운동 질량체(116)가 연장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형상화된 채널(118)이 있도록 형성되고, 그에 의해 형상화된 채널(118) 없이 가능한 것보다 토트 전기자 왕복 관성 변환기(100)에 대한 체적비에 더 큰 질량을 제공한다. 운동 질량체(116)는, 한 예로써, 운동 질량체(116)의 주연 둘레에 규칙적으로 배치된 4개의 방사상으로 극성을 갖는 영구 자석(120)을 포함한다. 4개의 방사상으로 극성을 갖는 영구 자석(120)은 전자석 코일(104)에 자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전자석 코일(104)에 의해 생성된 전자기장이 운동 질량체(116)를 왕복 운동시키고, 운동 질량체(116)의 운동은 평면 비선형 스프링 부재(112) 및 샤시 또는 코일 형상부(102)를 통하여 운동 질량체(116)의 축(142)에 평행한 방향으로 생성된 운동 에너지로 변환되고, 공명판에 연결될 때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음향 에너지를 생성한다.
비록 등록 상표 알니코(Alnico™)와 같은 다른 자석 재료가 생성되는 음향 에너지의 양에 관하여 대응 성능 변화를 가지고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을 인식할 지라도, 4개의 방사상으로 극성을 갖는 영구 자석(120)은 28 내지 33의 바람직한 최대 에너지곱(Maximum Energy Product)을 갖고 8K 내지 11K 에르스텟의 항자력을 생성하도록 N-S 반경 방향을 갖는 사마륨 코발트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도1에 도시된 추가의 상세한 설명은 상부 평면 현가 부재(110)의 평면 주연 영역(108)과 압축 결합하기 위한 코일 형상부(102)의 (상부 및 하부) 각 표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돌출된 4개의 반경 방향 돌기(122)를 포함한다. 돌기(122)는 평면 현가 부재(110)가 각 돌기(122)의 어느 한 측면 상에 위치된 보스(132)를 사용하여 코일 형상부(102)의 표면에 부착된 후에 평면 주연 영역(108)에 예비 하중을 가한다. 보스(132)는 평면 현가 부재(110)를 코일 형상부(102)의 평면 주연 영역(108)에 고정시키도록 열 또는 초음파 에너지를 사용하여 스테이킹 된다. 예비 하중의 목적은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100)의 작동 중에 (고주파수의) 가청 기생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2에서, 도1의 토트 전기자 왕복 관성 변환기의 선 2-2를 따라 취한 단면도는 공기 갭(124)을 보여준다. 공기 갭(124)은 (부분적으로 도시된) 운동 질량체(116)를 둘러싸서, 운동 질량체(116)가 2개의 평면 현가 부재(110)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100)는,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을 코일 형상부(102)에 스테이킹하기 위한 돌기들(128)에 의해, 동 또는 베릴륨 동과 같은 항자성 재료 또는 사출 성형된 열가소성 재료와 같은 비자성 재료로 만들어진 하우징 내에 있거나 또는 그에 둘러싸여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토트 전기자 왕복 관성 변환기(100)는 무니 등의 미국 특허 제5,524,061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비선형 강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하고, 장치의 기초 작동 주파수 이상의 작동 주파수 영역을 구비한다. 비선형 강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한 전술된 바와 같은 토트 전기자 왕복 관성 변환기(100)는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극저주파수 또는 저주파수 응답을 제공하도록 요구되는 작동 주파수 영역이 장치의 기초 작동 주파수 이하에서 바람직한 이들 경우에서 비선형 연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된 토트 전기자 왕복 관성 변환기의 비선형 강성 스프링 응답 특성은 방사상으로 극성을 갖는 영구 자석(120)의 각각에 인접 위치된 (사용되는 8개 중의 4개가 도1에 도시된) 자석 감쇠 요소(106)의 추가에 의해 비선형 연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하도록 바뀔 수 있다. 자석 감쇠 요소(106)는 바람직하게는 연철과 같이 쉽게 자화되지 않는 시트 금속으로 형성된다. 자석 감쇠 요소(106)는 바람직하게는 4개의 방사상으로 극성을 갖는 영구 자석(120)의 면의 기하학에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돌기(122)를 처리하도록 더 형성되어서, 자석 감쇠 요소(106)가 접착제를 사용하여 코일(102)의 상부 및 하부 표면에 부착되는 평면 비선형 스프링 부재(112)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허용한다.
토트 전기자 왕복 관성 변환기(100)에 의해 전형적으로 구비된 비선형 강성 스프링 응답은 평면 비선형 스프링 부재(112)에 의해 제어되고, 토트 전기자 왕복 관성 변환기(100)의 기초 작동 주파수를 이룬다. 자석 감쇠 요소(106)의 추가로, 비선형 연성 스프링 응답이 얻어지고, 그의 크기는 자석 감쇠 요소(106)의 두께 변화시킴으로써, 그리고 또한 4개의 방사상으로 극성을 갖는 영구 자석(120)과 자석 감쇠 요소(106)의 면 사이의 공기 갭(124)을 줄이는 것과 같이 4개의 방사상으로 극성을 갖는 영구 자석(120)에 자석 감쇠 요소(106)의 접근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된다. 비선형 연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하는 토트 전기자 왕복 관성 변환기(100)의 응답은 도6의 아래에 도시된다.
도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토트 전기자 왕복 관성 변환기(100)에 사용될 수 있는 전술된 평면 비선형 스프링 부재(112)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평면 비선형 스프링 부재(112)는 한 쌍의 스프링의 중심점에서 최소 대향 폭들로 감소되는 최대 대향 폭들을 갖는 한 쌍의 스프링 부재에 의해 한정되고, 최대 대향 폭들은 중심 평면 영역에 연결되고 평면 주연 영역에 연결된다. 평면 비선형 스프링 부재(112)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원형의 내부 직경(304)과 타원형의 외부 직경(306)을 갖는, 그리고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타원형의 내부 직경(304)과 원형의 외부 직경(306)을 갖는 평면인 사실상의 원형 스프링 부재를 갖는다. 비선형 강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하도록 스프링 부재의 폭을 점점 작게 하는 다른 스프링 부재의 기하학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4는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100)에 또한 사용될 수 있는 평면 비선형 스프링 부재(112)의 평면도이다. 평면 비선형 스프링 부재(112)는 연속적인 평면 중심 영역(114)에 대해 대칭으로 접속된 한 쌍의 병치된 평면 복합 비임(402, 404)을 포함한다. 병치된 평면 복합 비임(402, 404)은 평면 주연 영역(108)에 또한 접속된다. 병치된 평면 복합 비임(402, 404)의 각각은 2개의 독립 동심인 아치형 비임, 내부 비임(402A, 404A) 및 외부 비임(402B, 404B)을 각각 포함하고, 각각은 동일한 또는 사실상 일정한 스프링비(K)를 갖는다. 사실상 일정한 스프링비는 홀덴(Holden) 등에게 1996년 8월 13일자로 발행되어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여기에서 참고로 사용된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의 제목을 갖는 미국 특허 제5,546,069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비임의 기능 비임 길이에 걸쳐서 외부 비임의 폭에 대해 내부 비임의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병치된 평면 복합 비임(402, 404)은 필렛 영역 또는 외부 비임(402B, 404B)의 중간 폭보다 큰 반경을 갖는 필렛(416, 418)에 의해 평면 중심 영역(114) 및 평면 주연 영역(108)에 연결된다. 필렛(416, 418)은 평면 중심 영역(114) 및 평면 주연 영역(108)과 병치된 평면 복합 비임(402, 404)의 연결부에서 생성된 응력을 감소시킨다.
도5는 비선형 강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한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에 대한 입력 주파수의 함수로서 임펄스 출력 응답을 나타내는 그래프(500)를 도시한다.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는 스위프된 입력 주파수에 의해 구동될 수 있어서, 홀덴 등의 미국 특허 제5,546,069호 및 무니 등의 미국 특허 제5,524,061호에 설명된 것과 같이, 촉감 경고 장치를 구비하도록 하부 임펄스 출력(502)을 제공하는 제1 구동 주파수와 상부 임펄스 출력(504)을 제공하는 제2 구동 주파수 사이에서 작동한다. 입력 주파수를 높은 구동 주파수로 연속하여 스위프하는 것은 불안정한 임펄스 출력(506)을 발생시킬 것이어서 임펄스 출력(510)으로 점프가 발생할 것이다.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100)는 또한 작동 상태(510) 이상의 이들 임펄스 반응만이 바람직한 경우인 음악 공연을 예로서 재생하기 위한 음향 변환기로서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작동 상태들(502, 504) 사이에서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의 작동을 일으키는 음악 공연의 재생 동안에 발생되는 어떤 순간적인 임펄스 응답이 상당히 들리지 않고 음향 응답보다 오히려 촉감으로서 인지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도6은 전술된 바와 같은 비선형 연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하는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100)에 대한 입력 주파수의 함수로서 임펄스 출력 응답을 나타내는 그래프(600)를 도시한다. 비선형 강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한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와 달리, 비선형 연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한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는 스위프된 입력 주파수가 작동 상태들(602, 604) 사이에서 감소될 때 증가하는 임펄스 응답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 비선형 연성 스프링 응답은 전술된 바와 같이, 4개의 방사상으로 극성을 갖는 영구 자석(120) 및 자화 감쇠 요소(106)의 상호 작용에 기인한다. 운동 질량체(116)의 변위가 증가될 때, 4개의 방사상으로 극성을 갖는 영구 자석(120)과 자화 감쇠 요소(106) 사이의 상호 작용의 레벨은 임펄스 출력(610)이 일어나는 임펄스 출력(606)이 불안정한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증가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700)의 전기 블록 선도이다.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700)는 바람직하게는 고주파수 응답 특성에 대해 선택된 3개의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를 포함하여 베이스, 중역 및 고주파수 응답을 음원(708)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이, 음악 프로그램에 제공한다. 베이스, 중역 및 고주파수 응답은 넓은 주파수 영역(고 성능)의 변환기를 생산하도록 아래에 설명된 방법으로 조합된다.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또한 명백하게 되는 것과 같이, 저주파수 및 고주파수 응답을 음악 프로그램에 제공하도록 적절한 넓은 주파수 영역의 변환기가 주파수 응답 특성에 대해 선택되어진 2개의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의 사용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700)에 사용되는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의 특성은 아래 표1에 주어진다.
참조번호 응답 기능 전기자 타입
702 연성 베이스 단일 비선형 연성 스프링
704 강성 중역 단일 비선형 강성 스프링
706 강성 트위터 복합 비선형 강성 스프링 또는
다중 단일 비선형 강성 스프링
표1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702)는 연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하고, 베이스 주파수 응답을 음악 프로그램에 제공하도록 자석 감쇠 요소(106)를 갖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일 평면 비선형 스프링 부재(112)를 갖는 상부 및 하부 평면 현가 부재(110)를 이용한다. 강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하는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704)는 또한 중역 주파수 응답을 음악 프로그램에 제공하도록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일 평면 비선형 스프링 부재(112)를 갖는 상부 및 하부 평면 현가 부재(110)를 이용한다. 강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하는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706)는 고주파수 응답을 음악 프로그램에 제공하도록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합 평면 비선형 스프링들을 갖는 상부 및 하부 평면 현가 부재(110)를 이용한다,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100)가 단지 단일 상부 평면 현가 부재 및 단일 하부 평면 현가 부재의 사용을 도시하는 한편,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706)는, 고주파수 응답을 음악 프로그램에 제공하도록 각각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일 평면 비선형 스프링 부재(112)를 갖는 2개의 상부 및 2개의 하부 평면 현가 부재와 같은 다중 상부 및 하부 평면 현가 부재(110)를 사용할 수도 있다.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700)는 오디오 증폭기의 출력에 접속될 수 있고, 베이스, 중역 및 트위터 스피커가 확성기 시스템 내에 접속된 때 요구되는 것과 같이 전기식 크로스오버 네트워크의 사용을 요구하지 않는다.
도8 및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700)의 정사도(800)이다.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7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폰에 의해 구비되는 것과 같이 사용자의 귀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공명판(802)을 포함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702, 704, 706)는, 3개의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702, 704, 706)의 하나에 대한 각각 장착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3개의 개별 플랫폼 섹션(804, 806, 808)을 갖춘 플랫폼(801)을 포함하는 받침대를 통하여 공명판(802)에 결합된다. 3개의 개별 플랫폼 섹션(804, 806, 808)은 헤드폰이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때 음향 에너지를 생성하도록 3개의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702, 704, 706)에 의해 생성된 감촉 에너지를 공명판(802)에 연결하는 도9에 도시된 푸트(810)에 결합된다. 3개의 개별 플랫폼 섹션(804, 806, 808)은 푸트(810) 및 공명판(802)을 통하여 중심으로 연장된 축(814) 둘레로 서로에 대해, 예를 들어 120 도(즉, 360도/N, 여기에서 N은 플랫폼에 의해 지지된 비선형 임펄스 변환기의 개수임)의 간격만큼 이격된다. 푸트(810)는 바람직하게는 플랫폼(801) 및 공명판(802)과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종래의 사출 성형 기술 및 열경화성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푸트(810) 및 3개의 개별 플랫폼 섹션(804, 806, 808)은 3개의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702, 704, 706)에 의해 생성된 베이스, 중역 및 고음부(treble) 응답을 효과적으로 혼합하고, 푸트(810)가 공명판(802)보다 크기가 사실상 작기 때문에 공명판(802)의 강성은 최소화되어서 공명판(802)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저주파수 응답을 최대화하게 되고, 그에 의해 공명판(802)이 3개의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702, 704, 706)의 베이스, 중역 및 고음부 응답을 보다 충실하게 재생할 수 있게 한다.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700)는 공명판(802)을 사용자의 귀에 결합하도록 헤드 스트랩(head strap)과 같은 장치가 있는 헤드폰(800)을 구비하도록 하우징(812) 내에 둘러싸일 수 있다. 헤드폰과 같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헤드 스트랩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2개의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는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가 스테레오 음원에 결합될 때 스테레오 음향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헤드폰을 구비하는 헤드 스트랩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는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덴 등에게 발행되어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의 제목을 갖는 미국 특허 제5,546,069호에 설명된 바와 같은 직사각형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를 사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직사각형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가 사용될 때, 3개의 변환기 중의 적어도 하나는 비선형 연성 스프링 응답을 생성하도록 자석 감쇠 요소를 포함한다.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10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폰 세트의 귀 컵(ear cup)으로 형성될 수 있는 공명판(1002)을 포함한다. 3개의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702, 704, 706)는, 3개의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702, 704, 706)에 대한 장착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플랫폼(1010)을 포함하는 받침대를 통하여 공명판(1002)에 결합된다. 플랫폼(1010)은 3개의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702, 704, 706)에 의해 생성된 음향 에너지를 공명판(1002)에 연결하는 도11에 도시된 푸트(1012)에 결합된다. 플랫폼(1010)은 푸트(1012) 및 공명판(1002)을 통하여 중심으로 연장된 축(1014) 둘레에 공명판(1002)에 부착된다. 푸트(1012)는 바람직하게는 플랫폼(1010) 및 공명판(1002)과 연속하도록 성형되고, 종래의 사출 성형 기술 및 열경화성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푸트(1012) 및 플랫폼(1010)은 3개의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702, 704, 706)의 베이스, 중역 및 고음부 응답을 효과적으로 혼합하고, 푸트(1012)가 공명판(1002)보다 크기가 사실상 작기 때문에 공명판(1002)의 강성은 최소화되어서 공명판(1002)의 저주파수 응답을 최대화하게 되고, 그에 의해 공명판(1002)이 3개의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702, 704, 706)의 베이스, 중역 및 고음부 응답을 보다 충실하게 재생할 수 있게 한다. 플랫폼(1010) 상의 3개의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702, 704, 706)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700) 및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1000)에 사용되는 3개의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702, 704, 706)가 매우 넓은 주파수 영역에 걸쳐, 공명판 내의 음향 에너지로 바뀌는 촉감 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촉감 에너지가 생성되기 때문에, 공명판은 "골전도(bone conduction)" 돌기(process)를 사용하는 감각기의 자극에 의해 음향을 생성하도록 유양 돌기에 대해 직접 위치될 수 있다.
요약하면, 비선형 강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하는 동안 비선형 연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하도록 변환될 수 있는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가 전술되었다. 2개 이상의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는 2개의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 중의 적어도 하나가 비선형 연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할 때 본 발명에 따라 작동하는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를 생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는 다중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가 매우 넓은 주파수 응답을 갖는 변환기를 제공하도록 신호 입력으로부터 함께 작동되는 것을 허용한다.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가 하우징 내에 감싸질 때,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는 음악 프로그램과 같은 음향 출력을 전달하도록 헤드폰으로서 작동될 수 있다.

Claims (21)

  1.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교류 전자기장을 이루기 위한 전자석 구동기와,
    평면 주연 영역 내에 중심 평면 영역 둘레에 규칙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독립 평면 비선형 스프링 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상부 및 하부의 평행한 평면 현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 구동기와 연결된 전기자와,
    운동 질량체로서 그 둘레에 규칙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영구 자석을 지지하고 상기 중심 평면 영역 둘레에 상부 및 하부의 평행한 평면 현가 부재들 사이에 현수된 운동 질량체와,
    상기 다수의 영구 자석에 대향하는 평면 주연 영역에 결합되고 비선형 연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하도록 영구 자석과 상호 작용을 하는 다수의 자석 감쇠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영구 자석은 상기 교류 전자기장에 연결되어 그에 응답하여 운동 질량체를 왕복 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음향 에너지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자석 구동기에 연결된 공명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독립 평면 비선형 스프링 부재는 중심점에서 최소 대향 폭으로 감소된 최대 대향 폭을 갖는 한 쌍의 스프링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최대 대향 폭은 중심 평면 영역 및 평면 주연 영역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
  4. 제3항에 있어서, 중심점에서 최소 대향 폭으로 감소된 최대 대향 폭은 타원형의 내부 주연과 원형의 외부 주연을 갖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비선형 스프링 부재는 비선형 강성 스프링 응답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독립 평면 비선형 스프링 부재들의 각각은 한 쌍의 병치된 평면 복합 비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병치된 평면 복합 비임은 비선형 강성 스프링 응답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
  8. 신호 입력을 공유하는 제1 및 적어도 제2 비선형 임펄스 변환기와,
    공명판과,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적어도 제2 비선형 임펄스 변환기의 적어도 하나의 비선형 임펄스 변환기는 비선형 연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하고,
    상기 받침대는 제1 및 적어도 제2 비선형 임펄스 변환기를 장착하도록 형성된 플랫폼과 상기 플랫폼 및 공명판에 연결된 푸트를 포함하고, 상기 푸트는 음향 에너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공명판에 제1 및 적어도 제2 비선형 임펄스 변환기에 의해 생성된 촉감 에너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 연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선형 임펄스 변환기는 상기 신호 입력이 오디오 신호로 연결될 때 저주파수 응답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적어도 제2 비선형 임펄스 변환기는,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교류 전자기장을 이루기 위한 전자석 구동기와, 평면 주연 영역 내에 중심 평면 영역 둘레에 규칙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독립 평면 비선형 스프링 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상부 및 하부의 평행한 평면 현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 구동기와 연결된 전기자와, 운동 질량체로서 그 둘레에 규칙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영구 자석을 지지하고 상기 중심 평면 영역 둘레에 상부 및 하부의 평행한 평면 현가 부재들 사이에 현수된 운동 질량체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영구 자석은 상기 교류 전자기장에 연결되어 그에 응답하여 운동 질량체를 왕복 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적어도 제2 비선형 임펄스 변환기는 비선형 연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하도록 다수의 영구 자석에 연결된 다수의 자석 감쇠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독립 평면 비선형 스프링 부재의 각각은 중심점에서 최소 대향 폭으로 감소된 최대 대향 폭을 갖는 한 쌍의 스프링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최대 대향 폭은 중심 평면 영역 및 평면 주연 영역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
  13. 제12항에 있어서, 중심점에서 최소 대향 폭으로 감소된 최대 대향 폭은 타원형의 내부 주연과 원형의 외부 주연을 갖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비선형 스프링 부재는 비선형 강성 스프링 응답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독립 평면 비선형 스프링 부재들의 각각은 한 쌍의 병치된 평면 복합 비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병치된 평면 복합 비임은 비선형 강성 스프링 응답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트 전기자 왕복 임펄스 변환기.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제1 비선형 임펄스 변환기를 장착하기 위한 제1 플랫폼 섹션과 상기 적어도 제2 비선형 임펄스 변환기를 장착하기 위한 적어도 제2 플랫폼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섹션은 서로에 대해 360도/N으로 위치되고, 상기 N은 플랫폼에 의해 지지된 비선형 임펄스 변환기의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
  19. 신호 입력을 공유하는 제1 및 적어도 제2 비선형 임펄스 변환기와,
    공명판과,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적어도 제2 비선형 임펄스 변환기의 적어도 하나의 비선형 임펄스 변환기는 비선형 연성 스프링 응답을 제공하고,
    상기 받침대는 제1 및 적어도 제2 비선형 임펄스 변환기를 장착하도록 형성된 플랫폼과, 상기 플랫폼 및 공명판에 연결된 푸트와,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를 둘러싸고 상기 공명판을 사용자의 귀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푸트는 음향 에너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공명판에 제1 및 적어도 제2 비선형 임펄스 변환기에 의해 생성된 촉감 에너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20. 제19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또한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갖는 하우징 내에 둘러싸인 제2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는 스테레오 음원에 연결된 때 스테레오 음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판은 골전도 돌기를 사용하여 감각기의 자극에 의해 음을 생성하도록 유양 돌기에 대해 직접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KR1020007006390A 1997-12-12 1998-11-20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와 이를 위한 변환기 KR100346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989,918 1997-12-12
US08/989,918 1997-12-12
US08/989,918 US6067364A (en) 1997-12-12 1997-12-12 Mechanical acoustic crossover network and transducer therefor
PCT/US1998/024802 WO1999031932A1 (en) 1997-12-12 1998-11-20 Mechanical acoustic crossover network and transducer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034A true KR20010033034A (ko) 2001-04-25
KR100346345B1 KR100346345B1 (ko) 2002-08-01

Family

ID=25535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390A KR100346345B1 (ko) 1997-12-12 1998-11-20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와 이를 위한 변환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67364A (ko)
EP (1) EP1044584B1 (ko)
JP (1) JP3602792B2 (ko)
KR (1) KR100346345B1 (ko)
CN (1) CN1161000C (ko)
DE (1) DE69839816D1 (ko)
WO (1) WO19990319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2191A (en) * 1995-01-06 1998-09-01 Guenther; Godehard A. Loudspeakers, systems, and components thereof
US8588457B2 (en) * 1999-08-13 2013-11-19 Dr. G Licensing, Llc Low cost motor design for rare-earth-magnet loudspeakers
CN100348074C (zh) * 1998-11-13 2007-11-07 戈德哈德A·冈瑟 用于稀土磁体扬声器的低成本马达结构
US6654476B1 (en) 1999-08-13 2003-11-25 Godehard A. Guenther Low cost broad range loudspeaker and system
US6611606B2 (en) * 2000-06-27 2003-08-26 Godehard A. Guenther Compact high performance speaker
JP2004502366A (ja) * 2000-06-27 2004-01-22 ゴードハード エイ グエンサー 薄型スピーカ及びシステム
US6993147B2 (en) * 2000-08-14 2006-01-31 Guenther Godehard A Low cost broad range loudspeaker and system
US6719090B2 (en) 2002-03-04 2004-04-13 Dennis A. Tracy Speaker assembly
US20080247582A1 (en) * 2004-09-09 2008-10-09 Guenther Godehard A Loudspeaker and Systems
DE102005005759A1 (de) * 2005-02-07 2006-08-17 Ultrasone Ag Raumklang-Kopfhörer mit Hörhöchstfrequenzanhebung
US8189840B2 (en) * 2007-05-23 2012-05-29 Soundmatters International, Inc. Loudspeaker and electronic devices incorporating same
CN201967124U (zh) * 2011-01-07 2011-09-07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电磁扬声器
US10003876B2 (en) * 2016-07-12 2018-06-19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America Llc Planar magnetic headphones
USD983163S1 (en) * 2021-03-10 2023-04-11 Onanoff Limited Headphones
US20220384194A1 (en) * 2021-05-28 2022-12-01 Applied Materials, Inc. Apparatus for generating magnetic fields on substrates during semiconductor process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7120A (en) * 1992-07-06 1994-07-05 Motorola, Inc. Stabilized electromagnetic resonant armature tactile vibrator
US5524061A (en) * 1994-08-29 1996-06-04 Motorola, Inc. Dual mode transducer for a portable receiver
US5546069A (en) * 1994-11-17 1996-08-13 Motorola, Inc. Taut armature resonant impulse transducer
JP3260062B2 (ja) * 1995-09-04 2002-02-25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スピー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44584A4 (en) 2003-08-27
KR100346345B1 (ko) 2002-08-01
CN1281628A (zh) 2001-01-24
JP3602792B2 (ja) 2004-12-15
CN1161000C (zh) 2004-08-04
US6067364A (en) 2000-05-23
JP2002509413A (ja) 2002-03-26
WO1999031932A1 (en) 1999-06-24
EP1044584A1 (en) 2000-10-18
EP1044584B1 (en) 2008-07-30
DE69839816D1 (de) 200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953B1 (ko) 스피커장치
KR100346345B1 (ko)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와 이를 위한 변환기
CA2379534C (en) Low frequency vibrator
EP1247424B1 (en) Low cost broad range loudspeaker and system
US6993147B2 (en) Low cost broad range loudspeaker and system
KR20060049563A (ko) 동전형 여진기 및 이를 이용한 스피커
EP1803322A1 (en) Magnetic circuit having dual magnets, speaker and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EP1482762A2 (en) Speak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067344A (ko) 초소형 복합 진동 마이크로스피커
WO2013176053A1 (ja) ハイブリッドスピーカ
JPH10229596A (ja) 振動ブザー
US7873180B2 (en) Voice coil actuator
JPH1066194A (ja) 電気機械音響変換器と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装置
KR100987464B1 (ko) 지향성 스피커
KR102116249B1 (ko) 리니어 액츄에이터
KR102115387B1 (ko) 무빙 자기회로 타입 복합 스피커
JPH073757Y2 (ja) 全面駆動型スピーカ
JPH10257594A (ja) 電気−機械−音響変換器、及びそれを使用した携帯端末装置
KR101775427B1 (ko) 스피커 유닛
KR20010055232A (ko)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
JP2001238285A (ja) ハイブリッド型スピーカ
KR102658276B1 (ko) 자성체 진동판을 이용한 평판형 트위터 스피커
KR20040046632A (ko) 이중 보이스 코일이 구비된 진동 스피커
KR200304376Y1 (ko) 이중 보이스 코일이 구비된 진동 스피커
JP4035709B2 (ja) スピーカおよびスピー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