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1468A - 근시용 렌즈 - Google Patents

근시용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1468A
KR20010031468A KR1020007004503A KR20007004503A KR20010031468A KR 20010031468 A KR20010031468 A KR 20010031468A KR 1020007004503 A KR1020007004503 A KR 1020007004503A KR 20007004503 A KR20007004503 A KR 20007004503A KR 20010031468 A KR20010031468 A KR 20010031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ember
visible region
lens
force
astigmat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4083B1 (ko
Inventor
디미트리오스잭 크리스
사이몬죤 에드워즈
스콧워렌 피셔
사이몬죤 페이비
소울리우스레이몬드 바나스
Original Assignee
티모시 콜라
솔라 인터내셔널 홀딩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0830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3146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티모시 콜라, 솔라 인터내셔널 홀딩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티모시 콜라
Publication of KR20010031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1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0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02C7/063Shape of the progressive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02C7/063Shape of the progressive surface
    • G02C7/066Shape, location or size of the viewing zon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08Series of lenses, lens blank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는 원거리 시야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완수하는 비교적 낮은 표면력을 갖는 상측 가시영역과, 상기 상측 가시영역 보다 큰 표면력을 가지고 근거리 시야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완수하는 하측 가시영역과, 그리고 상기 상측 가시영역의 표면력에서 상기 하측 가시영역의 표면력까지 비교적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코리도를 포함하고, 이 코리도의 길이가 착용자에 잘 받아들여지도록 선택되는 중간영역을 가지는 렌즈면을 포함하고, 이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는 근시 진행을 감소시키기 위해 선택된 누진배율 구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근시용 렌즈{MYOPIA LENS}
근시 또는 근시안은 빛의 평행광선이 망막의 전면에 촛점이 맺히는 눈의 상태이다. 이 상태는 일반적으로 발산 렌즈로 보정된다. 각국에서,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 근시 진행률은 특히 어린이들에게 있어서, -1.25 디옵터 (D)/yr 내지 -2.00 D/yr 로 비율이 현저하다. 이것은 높은 수준의 근시가 상당히 높은 인구 비율을 유발한다. 따라서, 여러 나라에서는 근시 진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을 간구하기 위한 연구 프로그램을 시작하였지만, 아직까지 그 성공은 제한적이다.
각종 누진배율 렌즈가 종래 기술로 공지되어 있다. 지금까지의 누진배율 렌즈는 원거리, 근거리 및 중간거리 가시영역을 갖는다는 원리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거리 영역은 렌즈의 불연속성이 착용자의 렌즈를 관찰하는 사람에게 보이지 않도록 하는 의미에서 미용상의 결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근거리 및 원거리 영역을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중간거리 영역의 구조는 ″시야 경로(eye path)″ 라는 라인에 기초하고, 이 시야 경로를 따라 렌즈의 옵티컬 파워가 다소 균일하게 증가한다. 그러나, 근시로 고생하는 착용자에게 맞도록 주문된 특정한 경우에 있어서(본 출원인의 국제특허출원 PCT/EP97/00105 호 참조) 지금까지 누진배율 렌즈 구조가 청소년 착용자, 또는 청소년 근시 진행 문제에 적용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누진배율 렌즈가 청소년 착용자 개인의 조건에 상당히 밀접하게 연관될 경우 이는 당분야에서 상당한 진보가 된다. 이 렌즈를 청소년 착용자에 의해 잘 받아들여지도록 구성될 경우 이는 또한 당분야에서 상당한 진보가 된다. 예컨대, 코리도(corridor)를 청소년 착용자에게 주문 제작할 수 있고 렌즈 구조 전체를 상대적으로 작은 프레임에 장착하도록 최적화할 경우 이는 상당한 진보가 된다.
본 발명은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소년 근시 진행률을 감소하도록 의도된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그리고 이러한 렌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3.5 D 베이스 커브와 1.50 D 추가력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렌즈부재의 표면 비점수차의 윤곽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광학렌즈부재의 평균 표면력의 윤곽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3.5 D 베이스 커브와 2.00 D 추가력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렌즈부재의 표면 비점수차의 윤곽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의 광학렌즈부재의 평균 표면력의 윤곽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 내지 도 4에서, 원은 10mm 간격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어려움과 결점을 해결, 또는 최소한 완화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및 특징은 하기의 설명으로 명료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로서,
원거리 시야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완수하는 표면을 갖는 상측 가시영역과,
상기 상측 가시영역 보다 큰 표면력을 가지고 근거리 시야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완수하는 표면을 갖는 하측 가시영역과, 그리고
상기 상측 가시영역의 표면력에서 상기 하측 가시영역의 표면력까지 변화하는 표면력이 렌즈부재를 따라 연장하고 비교적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코리도를 포함하는 중간 영역으로 이루어진 렌즈면을 포함하며, 상기 누진배율 렌즈부재는 근시 진행을 감소시키기 위해 선택된 누진배율 구조부재를 포함한다.
″누진배율 구조부재(progressive design elements)″ 라는 용어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코리도 길이, 상측 가시영역의 폭과 하측 가시영역의 폭을 포함하는 누진배율 렌즈부재의 표면 특성의 조합을 의미한다.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는, 특히 청소년용으로 의도될 수 있다. 따라서, 안과용 누진배율 부재의 상측 또는 원거리 가시영역은 비교적 낮은 플러스 및 마이너스 처방 파워에 사용되도록 의도될 수도 있다. 0.50 D 내지 4.00 D 범위의 베이스 커브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는,
원거리 시야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완수하는 비교적 낮은 표면력을 갖는 상측 가시영역과,
상기 상측 가시영역 보다 큰 표면력을 가지고 근거리 시야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완수하는 하측 가시영역과, 그리고
상기 상측 가시영역의 표면력에서 상기 하측 가시영역의 표면력까지 변화하는 표면력이 렌즈부재를 따라 연장하는 비교적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코리도를 포함하는 중간영역으로 이루어진 렌즈면을 포함하며, 상기 코리도의 길이가 착용자에 잘 받아들여지도록 선택된다.
″중간 추가력 이하(low to medium addition powers)″ 라는 용어는, 대략 2.50 D까지의 추가력을 의미한다.
″코리도(corridor)″ 라는 용어는, 중앙 시야에 대해 상당한 수차(aberration)의 비음과 관자놀이 윤곽으로 제한하여 변화하는 파워의 중간 영역 면적을 의미한다.
코리도는 ″코리도 길이″(L)를 갖고, 이 길이는 핏팅 크로스(Fitting Cross, FC)의 수직방향 높이에서 근거리 영역 측정지점의 수직방향 높이까지 연장하는 가시적 고정 궤적의 세그먼트 길이에 대응함을 의미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통상적인 렌즈부재에 있어서, 파워 프로그레션(power progression)은 핏팅크로스(FC) 높이에서 진행한다.
″상측 가시영역의 폭″(WU) 이라는 용어는, 소정의 y 값 예컨대 y = 7 mm 에서 특정치, 예컨대 0.5 D의 비음과 관자놀이 동비점수차(isoastigmatism)로 제한하는 렌즈면의 수평방향 치수를 의미한다.
″하측(근거리) 가시영역의 폭″(WL) 이라는 용어는, 소정의 y 값 예컨대 y = -9 mm 에서 특정치, 예컨대 1.00 D의 비음과 관자놀이 동비점수차로 제한하는 렌즈면의 수평방향 치수를 의미한다.
″렌즈부재″ 라는 용어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렌즈, 렌즈 웨이퍼 및 특정 환자의 처방에 추가 가공이 필요한 반가공 렌즈 블랭크를 포함하는 안과 분야에 적용되는 모든 형태 각각의 굴절 광학 본체를 의미한다. 또한, 누진배율 안경렌즈와 통상의 호칭명 CR39 로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물질과 같은 고분자물질의 누진배율 렌즈의 캐스팅용 모울드의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형성자가 사용될 수 있다.
″비점수차 또는 표면 비점수차″ 라는 용어는, 표면의 일 지점에서 렌즈의 표면에 수직한 교차점 사이에 렌즈 곡률이 변화하는 정도 차이를 의미한다.
누진배율 렌즈부재의 하측 또는 근거리 가시영역은, 예컨대 1.25 D 내지 2.50 D 사이, 바람직하게는 1.5 D 내지 2.25 D 사이의 추가력의 중간 범위의 이하를 나타낼 수도 있다.
중간 영역은, 예컨대 대략 15 mm 또는 그 이하, 바람직하게는 대략 14 mm 또는 그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10 내지 14 mm의 비교적 짧은 코리도 길이를 나타낸다. 하방 게이즈(gaze)의 양을 감소하는 짧은 코리도 길이를 완성하여, 이에 따라 근거리 시야에 필요한 추가력을 어린이에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누진배율 렌즈부재는 비교적 넓은 상측 가시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원거리 가시영역의 폭은, 관자놀이 0.50 D 비점수차 윤곽에서 비음 0.50 D 비점수차 윤곽까지 측정시 2.00 D 까지의 추가력에 대한 기하학적 렌즈 중앙 위에 7 mm의 수직방향 높이에서 적어도 34 mm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측 가시영역의 폭은, 관자놀이 0.50 D 비점수차 윤곽에서 비음 0.50 D 비점수차 윤곽까지 측정시 2.00 D 이상의 추가력에 대한 기하 렌즈 중앙 위에 7 mm의 수직방향 높이에서 적어도 대략 25 mm 이다.
원거리 경계는 렌즈부재의 원주를 향해 약간 상승할 수도 있다. 이것은 실제로 제거되는 것을 의미하는 비교적 작은 크기로 가공된 청소년 렌즈수단으로서의 어려움을 발생하지 않는다. 이 구조는 렌즈의 하부에 원주 비점수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증가된 능력을 제공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렌즈 하부의 비점수차의 분포는 비교적 부드럽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근거리 시야영역의 폭은 관자놀이 1.00 D 비점수차 윤곽에서 비음 1.00 D 비점수차 윤곽까지 측정시 대략 2.00 D 까지의 추가력을 갖는 렌즈에 대해 기하 렌즈 중앙으로부터 -9 mm의 수직방향 높이에서 적어도 14 mm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관자놀이 1.00 D 비점수차 윤곽에서 비음 1.00 D 비점수차 윤곽까지 측정된 근거리 가시영역의 폭은 1.50 D 이상의 추가력을 갖는 기하 렌즈 중앙으로부터 -9 mm의 수직방향 높이에서 적어도 대략 10 mm가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학 렌즈부재는 비교적 낮은 비점수차가 마련된 비교적 넓은 상측 가시영역을 더 포함하고 있다. 높은 추가력에서 상측 가시영역은 다소 증가된 표면 비점수차를 나타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는 안과용 렌즈부재 시리즈중 일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의 시리즈로서, 각각의 렌즈부재는 원거리 시야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완수하기 위해 비교적 낮은 표면력을 갖는 상측 가시영역과,
상기 상측 가시영역 보다 큰 표면력을 가지고 근거리 시야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완수하는 하측 가시영역과, 그리고
상기 상측 가시영역의 표면력에서 상기 하측 가시영역의 표면력까지 변화하는 표면력이 렌즈부재를 따라 연장하는 비교적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코리도를 포함하는 중간영역으로 이루어진 렌즈면을 포함하며, 상기 코리도의 길이가 착용자에 잘 받아들여지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 시리즈로서,
각각의 렌즈는 단일 베이스 커브를 가지고, 세트내의 각각의 렌즈는 처방된 추가력의 차이가 있고 누진배율 구조를 포함하고, 관자놀이 0.50 D 비점수차 윤곽에서 비음 0.50 D 비점수차 윤곽까지 측정된 상측 가시영역의 폭이 대략 2.00 D 까지의 추가력을 가지는 렌즈에 대해 기하 렌즈 중앙 위에 7 mm 의 수직방향 높이에서 적어도 대략 34 mm 인 렌즈부재의 세트와,
관자놀이 1.00 D 비점수차 윤곽에서 비음 1.00 D 비점수차 윤곽까지 측정된 하측 가시영역의 폭이 대략 2.00 D 까지의 추가력을 가지는 렌즈에 대해 기하 렌즈 중앙 위에 -9 mm 의 수직방향 높이에서 적어도 대략 14 mm 이고, 1.50 D 이상의 추가력에서 다소 작아지는 하측 가시영역의 폭과,
대략 15 mm 또는 그 이하의 코리도 길이를 나타내는 중간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누진배율 렌즈부재의 목적은 근시 진행의 치료를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그 다음으로 근시 진행, 특히 청소년 근시 진행의 저지를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한 쌍의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를 착용하는 환자 안경에 제공하고, 각각의 렌즈부재는,
원거리 시야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완수하기 위해 비교적 낮은 표면력을 갖는 상측 가시영역과,
상기 상측 가시영역 보다 큰 표면력을 가지고 근거리 시야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완수하는 하측 가시영역과, 그리고
상기 상측 가시영역의 표면력에서 상기 하측 가시영역의 표면력까지 변화하는 표면력이 렌즈부재를 따라 연장하는 비교적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코리도를 포함하는 중간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렌즈면을 포함하며, 상기 코리도의 길이가 착용자에 잘 받아들여지도록 선택된다.
출원인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근시 진행률이 상당히 감소, 예컨대 반 정도까지 감소되었다는 것을 알았다.
바람직하게는,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의 하측 또는 근거리 가시영역은, 예컨대 1.25 D 내지 2.50 D 범위, 바람직하게는 1.50 D 내지 2.25 D의 중간 범위의 추가력 이하를 나타낼 수 있다.
안과용 렌즈부재는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고분자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고분자물질은 적절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고분자물질은 열가소성물질 또는 열경화성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알리글리콜카보네이트계의 물질, 예컨대 CR-39(PPG 인더스트리즈)가 사용될 수 있다.
고분자물질은 교차 결합가능한 고분자 캐스팅 성분, 예컨대 본 출원인의 미국특허 제4,912,155호, 미국특허출원 제07/781,392호, 오스트레일리아 특허 출원 제50581/93호, 50582/93, 81216/87, 74160/91 및 유럽특허 명세서 제453159A2호 개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고, 이들 전체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고분자물질은 염료, 바람직하게는 광색성 염료(photochromic dye)를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고분자물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단량체 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렌즈부재는 전면 또는 배면에 전기크롬코팅 (electrochromic coating)을 포함하는 추가의 일반적인 코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렌즈면은, 예컨대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 제5,704,692호에 개시된 형태의 굴절 방지(anti-refractive, AR) 코팅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특허는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다.
예컨대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 제4,954,591호에 개시된 형태의 내마모성 코팅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특허는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다.
전면과 배면은, 종래에 캐스팅 성분으로 사용된 반응억제재, 열크롬염료와 광크롬염료를 포함하는 염료,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굴절률을 변화시킬 수 있는 편광재, UV 안정제 및 물질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표면 처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로 더욱 상세히 기술한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단지 예시이고 전술한 발명의 일반성으로 제한하는 방법으로 한정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광학렌즈부재는 하부 또는 근거리 가시영역에서 3.50 D 베이스 커브를 갖고 1.50 D 추가력을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광학 렌즈에 대한 각각의 표면 비점수차와 평균표면력의 윤곽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 구조는 원주를 향해 0.5 D 비점수차 윤곽 상승을 갖는 상대적으로 넓은 상측 또는 원거리 가시영역을 제공하고 있다. 이 구조는 상대적으로 낮은 또는 근거리 가시영역을 유도하는 비교적 짧은 코리도를 나타낸다.
윤곽 구성의 원은 10 mm 간격이다. 따라서, 비교적 경질표면 비점수차 비틀림과 평균 파워 에러(mean power error)가 실질적으로 x= 20 내지 25 mm 이내에만 발생하고, 청소년 환자에게 에징(edging)후에 실질적으로 제거한다는 점에 주의할 것이다.
실시예 2
하부 또는 근거리 가시영역에서 3.50 D 베이스 커브를 갖고 1.50 D 추가력을 나타내도록 실시예 1과 유사한 광학렌즈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광학 렌즈에 대한 각각의 표면 비점수차와 평균표면력의 윤곽 구성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구조는 다시 명료하고 상대적으로 넓은 상측 가시영역 또는 짧은 코리도 길이를 구비하고 있다.
본원에 개시 및 한정된 본 발명은 언급한 둘 이상의 개별 특징 또는 설명이나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모든 다른 조합으로 확장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들 다른 조합의 전부는 본 발명의 각종 변형 요지를 구성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구성한다″(또는 그 문법적 변형)라 함은 용어 ″포함한다″ 와 등가이고 다른 부재 또는 특징의 존재를 배재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3)

  1.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로서,
    원거리 시야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완수하는 표면을 갖는 상측 가시영역과,
    상기 상측 가시영역 보다 큰 표면력을 가지고 근거리 시야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완수하는 표면을 갖는 하측 가시영역과, 그리고
    상기 상측 가시영역의 표면력에서 상기 하측 가시영역의 표면력까지 변화하는 표면력이 렌즈부재를 따라 연장하는 비교적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코리도를 포함하는 중간영역으로 이루어진 렌즈면을 포함하며, 상기 부재는 근시 진행을 감소시키기 위해 선택된 누진배율 구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청소년용으로 의도되고, 0.50 내지 4.00 D 범위의 베이스 커브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
  3.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로서,
    원거리 시야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완수하는 비교적 낮은 표면력을 갖는 상측 가시영역과,
    상기 상측 가시영역 보다 큰 표면력을 가지고 근거리 시야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완수하는 하측 가시영역과, 그리고
    상기 상측 가시영역의 표면력에서 상기 하측 가시영역의 표면력까지 변화하는 표면력이 렌즈부재를 따라 연장하는 비교적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코리도를 포함하는 중간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렌즈면을 포함하며, 상기 코리도의 길이가 착용자에 잘 받아들여지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리도 길이는 대략 15 mm 또는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리도 길이는 대략 10 mm 내지 14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가시영역은 중간 범위 이하에서 추가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가시영역은 대략 1.25 D 내지 2.50 D 범위에서 추가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재는 중간 추가력 이하에서 비교적 낮은 표면 비점수차가 마련된 비교적 넓은 상측 가시영역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재는 높은 추가력에서 약간 증가된 표면 비점수차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가시영역의 폭은 대략 2.00 D까지의 추가력을 갖는 렌즈의 기하학적 렌즈 중심 위에 7 mm 의 수직방향 높이에서 적어도 대략 34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가시영역의 폭은 대략 2.00 D 이상의 추가력을 갖는 렌즈의 기하학적 렌즈 중심 위에 7 mm 의 수직방향 높이에서 적어도 대략 2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 경계는 렌즈부재의 원주를 향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
  13. 제3항에 있어서, 관자놀이 1.00 D 비점수차 윤곽으로부터 비음의 1.00 D 비점수차 윤곽까지 측정된 근거리 가시영역의 폭은 대략 1.50 D 이상의 추가력을 갖는 렌즈의 기하학적 렌즈 중심으로부터 까지 -9 mm의 수직방향 높이에서 적어도 대략 14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
  14. 제3항에 있어서, 관자놀이 1.00 D 비점수차 윤곽으로부터 비음의 1.00 D 비점수차 윤곽까지 측정된 근거리 가시영역의 폭은 대략 1.50 D 이상의 추가력을 갖는 렌즈의 기하학적 렌즈 중심으로부터 대략 1.50 D 까지 -9 mm의 수직방향 높이에서 적어도 대략 1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
  15. 한 쌍의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를 착용하는 환자 안경에 제공하고, 각각의 렌즈부재는,
    원거리 시야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완수하기 위해 비교적 낮은 표면력을 갖는 상측 가시영역과,
    상기 상측 가시영역 보다 큰 표면력을 가지고 근거리 시야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완수하는 하측 가시영역과, 그리고
    상기 상측 가시영역의 표면력에서 상기 하측 가시영역의 표면력까지 변화하는 표면력이 렌즈부재를 따라 연장하는 비교적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코리도를 포함하는 중간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렌즈면을 포함하며, 상기 코리도의 길이가 착용자에 잘 받아들여지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시 진행 지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근시 징후는 청소년 근시 진행에 연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시 진행의 지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청소년 근시 진행률은 상당히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시 진행의 지연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렌즈부재는 중간 추가력 이하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표면 비점수차를 갖는 상대적으로 넓은 상측 가시영역을 나타내고,
    원거리 경계는 렌즈부재의 원주를 향해 약간 상승하고,
    렌즈의 하부는 다소 감소된 원주 비점수차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시 진행의 지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각각의 렌즈부재는 대략 15 mm 또는 이하의 코리도 길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시 진행의 지연 방법.
  20. 안과용 렌즈부재 시리즈로서,
    각각의 렌즈부재는 원거리 시야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완수하기 위해 비교적 낮은 표면력을 갖는 상측 가시영역과,
    상기 상측 가시영역 보다 큰 표면력을 가지고 근거리 시야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완수하는 하측 가시영역과,
    상기 상측 가시영역의 표면력에서 상기 하측 가시영역의 표면력까지 변화하는 표면력이 렌즈부재를 따라 연장하는 비교적 낮은 표면 비점수차의 코리도를 포함하는 중간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렌즈면을 포함하며, 상기 코리도의 길이가 착용자에 잘 받아들여지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 시리즈.
  21. 제21항에 있어서, 제21항에 있어서, 렌즈부재의 세트로서, 각각의 렌즈는 단일 베이스 커브를 가지고, 세트내의 각각의 렌즈는 처방된 추가력의 차이가 있고 누진배율 구조를 포함하고, 관자놀이 0.50 D 비점수차 윤곽에서 비음 0.50 D 비점수차 윤곽까지 측정된 상측 가시영역의 폭이 대략 2.00 D 까지의 추가력을 가지는 렌즈에 대해 기하 렌즈 중앙 위에 7 mm 의 수직방향 높이에서 적어도 대략 34 mm 이고,
    상측 가시영역의 원주는 높은 추가 파워에서 다소 증가된 표면 비점수차를 나타내고,
    하측 가시영역의 폭은 관자놀이 1.00 D 비점수차 윤곽에서 비음 1.00 D 비점수차 윤곽까지 측정시 대략 2.00 D 까지의 추가력을 가지는 렌즈에 대해 기하 렌즈 중앙 위에 -9 mm 의 수직방향 높이에서 적어도 대략 14 mm 이고, 하측 가시영역의 폭은 1.50 D 이상의 추가력에서 다소 작아지며,
    중간 영역은 대략 15 mm 또는 그 이하의 코리도 길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 시리즈.
  22. 제21항에 있어서, 각각의 렌즈부재는 대략 10 mm 내지 14 mm의 코리도 길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 시리즈.
  23. 첨부 도면중 어느 하나를 참조로 지금까지 기술한 안과용 누진배율 렌즈부재.
KR1020007004503A 1998-06-12 1999-04-26 근시용 렌즈 KR100554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P4063 1998-06-12
AUPP4063A AUPP406398A0 (en) 1998-06-12 1998-06-12 Myopia lens
PCT/AU1999/000305 WO1999066366A1 (en) 1998-06-12 1999-04-26 Myopia l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468A true KR20010031468A (ko) 2001-04-16
KR100554083B1 KR100554083B1 (ko) 2006-02-22

Family

ID=3808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503A KR100554083B1 (ko) 1998-06-12 1999-04-26 근시용 렌즈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343861B1 (ko)
EP (1) EP1034453B2 (ko)
JP (1) JP4750273B2 (ko)
KR (1) KR100554083B1 (ko)
CN (1) CN1155849C (ko)
AT (1) ATE235068T1 (ko)
AU (1) AUPP406398A0 (ko)
CA (1) CA2307222A1 (ko)
DE (1) DE69906030T3 (ko)
HK (1) HK1032633A1 (ko)
MY (1) MY128348A (ko)
TW (1) TW460706B (ko)
WO (1) WO19990663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71955B2 (en) * 1999-05-31 2004-04-08 Carl Zeiss Vision Australia Holdings Ltd Progressive lens
AUPQ065599A0 (en) 1999-05-31 1999-06-24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td Progressive lens
CA2386062A1 (en) 1999-10-01 2001-04-12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td. Progressive lens
FR2809193B1 (fr) * 2000-05-16 2002-08-09 Essilor Int Lentille ophtalmique multifocale progressive a variation de puissance rapide
CA2467786C (en) * 2001-12-05 2012-05-15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td. Balanced progressive lens
GB2430047B (en) * 2004-07-01 2009-01-28 Auckland Uniservices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act lens system for correcting myopic vision
US7229173B2 (en) * 2004-08-25 2007-06-12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S.A. Short corridor progressive addition lenses with reduced unwanted astigmatism
US7506983B2 (en) * 2004-09-30 2009-03-24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Method of optical treatment
MX2008009019A (es) * 2006-01-12 2008-11-14 Inst Eye Res Metodo y aparato para controlar la posicion de imagen periferica para reducir la progresion de miopia.
AU2007223014B2 (en) 2006-03-08 2011-07-14 Scientific Opt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niversal improvement of vision
US7992997B2 (en) * 2006-09-15 2011-08-09 Carl Zeiss Vision Australia Holdings Limited Ophthalmic lens element
US20080084534A1 (en) * 2006-10-10 2008-04-10 Joseph Michael Lindacher Lens having an optically controlled peripheral portion and a method for designing and manufacturing the lens
US20080189838A1 (en) * 2007-02-12 2008-08-14 Mage Jerome J M Multi-base lens goggle
KR101535311B1 (ko) * 2007-03-09 2015-07-08 오클랜드 유니서비시즈 리미티드 콘택트 렌즈, 근시를 교정하는 방법 및 콘택트 렌즈를 생산하는 방법
MX2009011586A (es) * 2007-04-27 2010-03-25 Inst Eye Res Ltd Determinacion de los ajustes opticos para retardar la progresion de la miopia.
FR2916864B1 (fr) 2007-05-31 2010-01-08 Essilor Int Verre ophtalmique progressif de correction de myopie et procede de realisation d'un tel verre
TWI467266B (zh) * 2007-10-23 2015-01-01 Vision Crc Ltd 眼科鏡片元件
US8057034B2 (en) 2007-10-26 2011-11-15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nhancing peripheral vision
CN101952767B (zh) * 2008-02-20 2014-04-02 瑞士风尼克斯股份有限公司 对于宽范围的折射率、基曲线和附加值同一地最优化的渐进多焦点眼镜片
AU2009237561A1 (en) 2008-04-18 2009-10-22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Myopia control means
WO2010019397A2 (en) * 2008-08-11 2010-02-18 Novartis Ag A lens design and method for preventing or slowing the progression of myopia
DE102009053467B4 (de) 2008-11-14 2018-01-18 Rodenstock Gmbh Ophthalmische Linse mit peripherer Brechkraftvariation
CN102257425B (zh) * 2008-12-19 2015-01-28 诺华股份有限公司 对眼睛的周缘散焦的校正和对折射误差发展的控制
EP3973931A1 (en) 2008-12-22 2022-03-30 Medical College of Wisconsi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growth of eye length
CN102378936B (zh) * 2009-03-05 2014-07-23 依视路国际集团(光学总公司) 近视儿童用眼镜片
ES2345027B1 (es) 2009-03-12 2011-09-30 Universidad De Murcia Dispositivo de correccion optica de refraccion en la retina periferica de manera asimetrica para el control de la progresion de la miopia.
BR112012010883B1 (pt) * 2009-11-09 2020-11-17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elemento de lente oftálmica, e, método para retardo de progressão de miopia
DE102010021763A1 (de) 2010-05-27 2011-12-01 Carl Zeiss Vision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rillenglases sowie Brillenglas
US9423633B2 (en) 2010-07-26 2016-08-23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Treating ocular refractive error
JP2012103312A (ja) * 2010-11-08 2012-05-31 Seiko Epson Corp 累進屈折力レンズ及びその設計方法
CN102955262B (zh) * 2011-08-31 2014-07-23 深圳光启高等理工研究院 一种近视眼镜镜片
WO2013113798A1 (en) 2012-01-31 2013-08-08 Carl Zeiss Meditec Ag Anti myopia lens
CN104520756B (zh) * 2012-07-31 2016-11-16 埃西勒国际通用光学公司 渐进式多焦点眼镜片
EP2962154A1 (en) 2013-03-01 2016-01-06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Method of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a myopia control product
ES2554119T3 (es) * 2013-03-01 2015-12-16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Método para optimizar el prisma postural de una lente oftálmica
CN103246084B (zh) * 2013-05-29 2015-05-27 苏州科技学院 一种固定通道长度的渐进多焦点镜片
CN103424890A (zh) * 2013-08-21 2013-12-04 赵龙生 一种自然过渡、无盲区的广视角镜片
EP3276399A1 (en) * 2016-07-29 2018-01-31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determining a progressive ophthalmic lens for myopic wearers
CA3032668A1 (en) 2016-08-01 2018-02-08 University Of Washington Ophthalmic lenses for treating myopia
EP3296792A1 (en) * 2016-09-19 2018-03-21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managing the display of an image to a user of an optical system
SG11201811537QA (en) 2016-12-01 2019-01-30 Zeiss Carl Vision Int Gmbh Progressive spectacle lens,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gressive spectacle lens and method of designing a progressive spectacle lens
EP3330777A1 (en) 2016-12-01 2018-06-06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Progressive ophthalmic lens,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gressive spectacle lens and method of designing a progressive spectacle lens
EP3625620A4 (en) 2017-05-08 2021-07-21 SIGHTGLASS VISION, Inc. CONTACT LENSES FOR THE REDUCTION OF MYOPIA AND THEIR MANUFACTURING PROCESSES
US10884264B2 (en) 2018-01-30 2021-01-05 Sightglass Vision, Inc. Ophthalmic lenses with light scattering for treating myopia
US11378818B2 (en) 2018-03-01 2022-07-05 Essilor International Lens element
US20210048689A1 (en) 2018-03-01 2021-02-18 Essilor International Lens element
US11681161B2 (en) 2018-03-29 2023-06-20 Reopia Optics, Inc. Anti-myopia-progression spectacles and associated methods
US11947197B2 (en) 2018-03-29 2024-04-02 Reopia Optics, Inc. Spectacles for presbyopia treatment and myopia progression control and associated methods
US10921612B2 (en) 2018-03-29 2021-02-16 Reopia Optics, Llc. Spectacles and associated methods for presbyopia treatment and myopia progression control
EP4006626A1 (en) 2020-11-26 2022-06-01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Spectacle lens design, spectacle lens k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ctacle lens
KR20230107588A (ko) * 2020-11-27 2023-07-17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렌즈 요소
CN114114711A (zh) * 2020-12-23 2022-03-01 东海光学株式会社 用于抑制近视加深的眼镜镜片
WO2022231624A1 (en) 2021-04-30 2022-11-03 Carl Zeiss Vision Inc. A progressive spectacle lens
EP4089473A1 (en) 2021-05-10 2022-11-16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Spectacle lens design, spectacle lens kit,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ctacle lens and method of providing a spectacle lens desig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0368B2 (ja) * 1985-07-09 1994-1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累進多焦点レンズ及び眼鏡
DE4012609A1 (de) 1990-04-19 1991-10-24 Zeiss Carl Fa Gleitsichtflaeche fuer eine gleitsichtbrillenlinse
FR2699294B1 (fr) 1992-12-11 1995-02-10 Essilor Int Lentille ophtalmique multifocale progressive.
ES2183466T3 (es) * 1994-03-30 2003-03-16 Rodenstock Optik G Serie de cristales progresivos para gafas.
JPH07294859A (ja) * 1994-04-25 1995-11-10 Tokai Kogaku Kk 累進多焦点レンズ
FR2726374B1 (fr) 1994-10-28 1996-12-27 Essilor Int Lentille ophtalmique multifocale progressive
JPH09251143A (ja) * 1996-03-14 1997-09-22 Nikon Corp 累進焦点レンズ
DE69737931T2 (de) 1996-04-04 2008-04-10 Carl Zeiss Vision Australia Holdings Ltd., Lonsdale Progressive Linsen und Verfahren zu deren Entwurf und Verwendung
FR2769998B1 (fr) 1997-10-16 1999-12-31 Essilor Int Lentille ophtalmique multifocale
FR2769997B1 (fr) 1997-10-16 1999-12-31 Essilor Int Lentille ophtalmique multifocale
FR2770000B1 (fr) 1997-10-16 1999-12-31 Essilor Int Lentille ophtalmique multifocale
FR2769999B1 (fr) 1997-10-16 1999-12-31 Essilor Int Lentille ophtalmique multifoca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06030T2 (de) 2003-11-20
CN1155849C (zh) 2004-06-30
KR100554083B1 (ko) 2006-02-22
JP4750273B2 (ja) 2011-08-17
MY128348A (en) 2007-01-31
EP1034453A1 (en) 2000-09-13
DE69906030T3 (de) 2016-08-18
HK1032633A1 (en) 2001-07-27
US6343861B1 (en) 2002-02-05
EP1034453A4 (en) 2000-11-02
AUPP406398A0 (en) 1998-07-02
ATE235068T1 (de) 2003-04-15
EP1034453B2 (en) 2016-03-23
CN1275212A (zh) 2000-11-29
EP1034453B1 (en) 2003-03-19
TW460706B (en) 2001-10-21
CA2307222A1 (en) 1999-12-23
WO1999066366A1 (en) 1999-12-23
JP2002518705A (ja) 2002-06-25
DE69906030D1 (de) 200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4083B1 (ko) 근시용 렌즈
US6793340B1 (en) Progressive lens
US4307945A (en)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opthalmic lens
JP4195091B2 (ja) 改良単視野レンズ
JP4481647B2 (ja) バランスされた累進レンズ
US8287124B2 (en) Opthalmic lenses having reduced base out prism
EP1188091A1 (en) Progressive lens
US5446508A (en) Progressive power lens
KR20070100902A (ko) 프리즘 베이스를 가지는 다초점 안과용 렌즈
US6155681A (en) Progressive lens
KR101359721B1 (ko) 향상된 단초점 안경렌즈
AU759473B2 (en) Myopia lens
AU720997B2 (en) Progressive lens
AU772399B2 (en) Progressive lens
MXPA00004272A (en) Myopia lens
AU2002365669B2 (en) Balanced progressive lens
AU771955B2 (en) Progressive lens
GB1569766A (en) Multifocal ophthalmic lens
MXPA98008839A (es) Lente progresiv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