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588A - 렌즈 요소 - Google Patents

렌즈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588A
KR20230107588A KR1020237017094A KR20237017094A KR20230107588A KR 20230107588 A KR20230107588 A KR 20230107588A KR 1020237017094 A KR1020237017094 A KR 1020237017094A KR 20237017094 A KR20237017094 A KR 20237017094A KR 20230107588 A KR20230107588 A KR 20230107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s
radial
lens element
point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7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티유 기요
브후노 페르미지에
카흘로스 레고
에릭 개쿠앙
Original Assignee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filed Critical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ublication of KR20230107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5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02C7/044Annular configuration, e.g. pupil tu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28Bifocal lenses; Multifocal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2Ophthalmic lenses having special refractive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02C7/045Sectorial configu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착용자의 눈의 전방에 착용되도록 의도된 렌즈 요소로서, - 착용자의 눈에 대한 착용자의 처방을 기초로 하는 굴절력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제1 영역; - 특정 착용 조건에서 적어도 제2 광학 함수를 갖는 복수의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지점(<r1, θ1>) 및 제2 지점(<r2, θ1>)에서 적어도 첫 번째 제2 영역과 교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반경방향 경로(Pth_R(θ1))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지점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영역에 인접하고, 반경방향 좌표(r2)는 반경방향 좌표(r1)보다 크고, 상기 제1 지점(<r1, θ1>)에서의 반경방향 광학 굴절력은 상기 제2 지점(<r2, θ1>)에서의 반경방향 광학 굴절력과 상당히 상이하다.

Description

렌즈 요소
본 개시 내용은 착용자의 눈의 전방에 착용되도록 의도되는 렌즈 요소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 내용은 근시 또는 원시와 같은 눈의 이상 굴절의 진행을 억제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서 사람의 눈 전방에 착용되도록 의도되는 렌즈 요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 내용은 착용자의 눈의 전방에 착용되도록 의도되는 렌즈 요소를 획득하기 위한 몰드에 관한 것이다.
눈의 근시는, 눈이 원거리 물체를 그 망막의 전방에서 포커싱한다는 사실을 특징으로 한다. 근시는 일반적으로 오목 렌즈를 사용하여 교정되고, 원시는 일반적으로 볼록 렌즈를 사용하여 교정된다.
통상적인 단초점 광학 렌즈를 사용하여 교정되는 경우, 일부 사람들, 특히 어린이는 근거리로 떨어져서 위치되는, 즉 근거리 시력 조건에서 물체를 관찰할 때, 부정확하게 포커싱한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원거리 시력이 교정되는 근시 어린이 일부에서의 이러한 포커싱 결함으로 인해서, 가까운 물체의 이미지가 그 망막 뒤에도 형성되며, 심지어 중심와 영역에도 형성된다.
그러한 포커싱 결함은 그러한 사람들의 근시 진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사람들의 대부분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근시 결함이 증대되는 경향이 있음을 관찰할 수 있다.
중심와 시력은, 관찰 물체의 이미지가 중심와 구역으로 지칭되는 망막의 중앙 구역 내에서 눈에 의해서 형성되는 관찰 조건에 상응한다.
주변 시력은 바라보는 물체에 대해서 측면으로 오프셋된 장면(scene) 요소의 인식에 상응하며, 상기 요소의 이미지는 중심와 구역으로부터 먼 망막의 주변 부분에 형성된다.
굴절이상 대상에게 제공되는 안과 교정은 일반적으로 그 중심와 시력에 맞게 구성된다. 그러나, 알려진 바와 같이, 교정은 중심와 시력에 대해서 결정된 교정에 비해서 주변 시력에서 감소되어야 한다. 특히, 원숭이에서 수행된 연구들은, 중심와 구역으로부터 먼 곳에서 일어나는, 망막 뒤의 광의 강력한 디포커싱(defocusing)이 눈의 세장화(elongation)를 유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근시 결함의 증대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근시 또는 원시와 같은 눈의 이상 굴절의 진행을 억제하거나 적어도 늦출 수 있는 렌즈 요소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 본 개시 내용은 착용자의 눈의 전방에 착용되도록 의도되는 렌즈 요소를 제안하고, 이러한 렌즈 요소는,
- 착용자의 상기 눈에 대한 착용자의 처방을 기초로 하는 굴절력을 기초로 하는 제1 광학 함수를 갖는 적어도 2개의 제1 영역;
- 특정 착용 조건에서 적어도 제2 광학 함수를 갖는 복수의 제2 영역
을 포함하고,
제1 지점(<r1, θ1>) 및 제2 지점(<r2, θ1>)에서 적어도 첫 번째 제2 영역과 교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반경방향 경로(Pth_R(θ1))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지점은 적어도 2개의 제1 영역에 인접하고, 반경방향 좌표(r2)는 반경방향 좌표(r1)보다 크고, 제1 지점(<r1, θ1>)에서의 반경방향 광학 굴절력은 제2 지점(<r2, θ1>)에서의 반경방향 광학 굴절력과 상당히 상이하다.
유리하게는, 제2 광학 함수를 갖는 복수의 제2 영역은 착용자의 망막이 아닌 곳에서 포커스되지 않은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는, 눈의 망막이 변형되려는, 특히 연장되려는 자연적인 경향을 감소시키는 근시 및/또는 원시 제어에 대한 신호를 생성한다. 그에 따라, 눈의 이상 굴절의 진행이 늦춰진다.
또한, 포커스되지 않은 이미지는 착용자가 이용할 수 없고, 그에 따라 덜 방해가 되어 착용자의 편안함을 개선한다.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고려될 수 있는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 적어도 하나의 제1 반경방향 경로(Pth_R(θ1))를 따라, 제1 및 제2 지점들 사이의 반경방향 광학 굴절력의 변화는 매우 단조롭고/단조롭거나;
- 첫 번째 제2 구역 내에 포함되고 제2 반경방향 경로(Pth_R(
Figure pct00001
2))를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지점((<r3, θ2>) 및 (<r4, θ2>)) 및 제1 및 제2 반경방향 경로들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정방선 방향 경로(Pth_OR(θ1,θ2))를 더 결정할 수 있고, 정방선 방향 경로(Pth_OR(θ1,θ2))를 따른 정방선 방향 광학 굴절력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정방선 방향 경로(Pth_OR(θ1,θ2))는 18도 이상이고/이거나;
- 제1 및 제2 영역들은 렌즈 요소 위에서 교번적으로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 및 복수의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와 교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경로를 따라, 상기 인접하는 제1 및 제2 영역들 사이의 광학 굴절력의 전이가 불연속적이고/이거나;
- 제1 및 제2 영역들은 렌즈 요소 위에서 교번적으로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 및 복수의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와 교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경로를 따라, 상기 인접하는 제1 및 제2 영역들 사이의 광학 굴절력의 전이가 연속적이고/이거나;
- 인접한 제1 및 제2 영역들 사이의 고도 전이가 연속적이고/이거나;
- 인접한 제1 및 제2 영역들 사이의 고도 전이가 불연속적이고/이거나;
- 제2 광학 함수가 비-구면 광학 함수이고/이거나;
- 비-구면 함수(non-spherical function)가 비구면 함수(aspherical function)이고/이거나;
- 복수의 제2 영역은 렌즈 요소 상에서 또는 내에서 동심체의 전체로 또는 그 부분으로 구성되고/되거나;
- 제2 영역은 상이한 광학 함수를 가지고/가지거나;
- 적어도 2개의 제2 영역은 동일한 제2 광학 함수를 가지고/가지거나;
- 모든 제2 영역은 동일한 제2 광학 함수를 가지고/가지거나;
- 제2 영역은, 제2 영역이 위체 배치된 또는 제2 영역이 내부에서 캡슐화된(encapsulated) 렌즈 요소 상에서 센터링되고/되거나;
- 제2 영역은 4.0 mm 이상의 직경 내지 70 mm 이하의 직경 사이에서 형성된 렌즈 요소의 환경 구역 내에 포함되고/되거나;
- 복수의 제2 영역은 0.1 내지 3.0 mm의 반경방향 크기를 가지고/가지거나;
- 제2 광학 함수는 렌즈 요소의 기하형태적 중심에 대한 제2 영역의 편심도에 따라 달라지고/달라지거나;
- 제1 영역의 하나의 지점의 평균 광학 굴절력과 제2 영역의 하나의 지점의 평균 광학 굴절력 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0.50 내지 15.0 D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영역의 제1 및 제2 지점이 인접하고/인접하거나;
- 제2 영역 중 하나의 한 지점의 반경방향 광학 굴절력과 동일한 제2 영역의 하나의 지점의 반경방향 광학 굴절력 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0.25 내지 20.0 D이고/이거나;
- 제2 영역 중 하나의 한 지점의 평균 광학 굴절력과 동일한 제2 영역의 하나의 지점의 평균 광학 굴절력 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0.25 내지 10.0 D이다.
본 개시 내용은 또한 착용자의 눈의 전방에 착용되도록 의도되는 렌즈 요소를 획득하기 위한 몰드에 관한 것으로서, 몰드는,
- 제1 표면을 가지는 제1 몰딩 요소;
- 제2 표면을 가지는 제2 몰딩 요소
를 포함하고,
제1 몰딩 요소의 제1 표면 및 제2 요소의 제2 표면이 몰딩 공동을 형성하고, 몰딩 공동 내에는 몰딩 재료가 충진된다.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고려될 수 있는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 몰드는 내부 및 외부 표면을 갖는 가스켓을 추가로 포함하고, 가스켓의 내부 표면은 제1 몰딩 요소의 제1 표면 및 제2 요소의 제2 표면을 갖는 몰딩 공동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이제,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요소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요소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요소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TABO 협약(convention)에서의 렌즈의 비점수차 축(γ)을 도시한다.
도 4b는 비구면 표면을 특성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협약에서의 원주도수 축(γAX)을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은 눈 및 렌즈의 광학 시스템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요소를 획득하기 위한 몰드를 도시한다.
도면 내의 요소는 간결함 및 명료함을 위해서 도시된 것이며, 반드시 실제 축척으로 작성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면 내의 요소의 일부의 치수가 다른 요소에 비해서 과장되었을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은 착용자의 눈의 전방에 착용되도록 의도되고 상기 착용자에 맞춰 구성된 렌즈 요소(10)에 관한 것이다.
설명의 주의 사항으로서, ≪상부≫, ≪하부≫, ≪수평≫, ≪수직≫, ≪위≫, ≪아래≫, ≪전방≫, ≪후방≫과 같은 용어 또는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다른 단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렌즈 요소의 착용 조건에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렌즈 요소"라는 용어는 미가공 광학 렌즈(uncut optical lens) 또는 특정 안경 프레임에 피팅되도록 연부가 가공된 안경 광학 렌즈 또는 안과용 렌즈 및 안과 렌즈 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광학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광학 장치는 안과 렌즈의 전면 또는 후면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광학 장치는 광학 경로, 또는 렌즈에 적층된 필름, 또는 예를 들어 잉크젯에 의해서 침착된 코팅의 층일 수 있다. 광학 장치는, 예를 들어 안과 렌즈를 포함하는 안경 프레임 상에 클립 고정되도록 구성된 클립과 같이, 안과 렌즈 상에 착탈식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렌즈는 콘택트 렌즈이다.
본 개시 내용에 따른 렌즈 요소(10)는 착용자에 맞춰 구성되고 상기 착용자의 눈의 전방에 착용되도록 의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 내용에 따른 렌즈 요소(10)는 적어도 2개의 제1 영역(12)을 포함한다. 제1 영역(12)은 적어도 제1 광학 함수, 예를 들어 착용자의 처방을 기초로 하는 굴절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처방을 기초로 하는"이라는 용어는 출원일에 공개된 바와 같은 ISO 8980 표준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처방 값 ± 0.5D, 바람직하게는 처방 값 ± 0.12D와 동일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 제1 영역은, 예를 들어 착용자의 처방을 기초로 하는 제1 굴절력(P1), 및 제1 굴절력(P1)과 다른 제2 굴절력(P2)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굴절력(P1 및 P2)은 상이한 제1 영역들(12)에 수반된다. 제1 영역의 굴절력은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의 굴절력은 제1 굴절력(P1)과 제2 굴절력(P1)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영역의 굴절력은 반경방향 축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달라진다. "처방"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착용자의 눈의 전방에 위치된 렌즈를 사용하여, 눈의 시력 결함을 교정하기 위해 안과 의사 또는 검안사에 의해 결정되는 광학 굴절력, 비점수차, 프리즘 편차의 광학 특성의 세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근시안에 대한 처방은 원거리 시력에 대한 축에서의 광학 굴절력 및 비점수차의 값을 포함한다.
제1 영역(12)은, 특히 중심와 시력(foveal vision)을 위한 특정 착용 조건에서, 예를 들어 표준 착용 조건에서, 광을 착용자의 망막에 포커스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제1 광학 함수를 착용자에게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제1 광학 함수는 광학 굴절력, 예를 들어 착용자의 상기 눈의 이상 굴절을 교정하기 위한 착용자의 처방을 기초로 하는 굴절력을 기초로 할 수 있다.
착용 조건은, 예를 들어, 범초점 각도, 각막 대 렌즈 거리, 동공-각막 거리, 눈의 회전 중심(CRE) 대 동공 거리, CRE 대 렌즈 거리, 및 랩 각도(wrap angle)로 규정되는, 착용자의 눈에 대한 렌즈 요소의 위치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각막 대 렌즈 거리는 주 위치에서의 눈의 시축(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취해진다)을 따른 각막과 렌즈의 후방 표면 사이의 거리이고; 예를 들어 12 mm이다.
동공-각막 거리는, 동공과 각막 사이의 눈의 시축을 따른 거리이며; 일반적으로 2 mm이다.
CRE 대 동공 거리는 눈의 시축을 따른 눈의 회전 중심(CRE)과 각막 사이의 거리이고; 예를 들어 11.5 mm이다.
CRE 대 렌즈 거리는 주 위치에서의 눈의 시축(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취해진다)을 따른 눈의 CRE와 렌즈의 후방 표면 사이의 거리이고, 예를 들어 25.5 mm이다.
경사각은, 주 위치에서의 렌즈의 후방 표면에 대한 법선과 눈의 시축 사이의,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취해지는) 주 위치에서의 렌즈의 후방 표면과 눈의 시축 사이의 교차부에서의 수직 평면 내의 각도이고; 예를 들어 예를 들어 -8°이다.
랩 각도는, 주 위치에서의 렌즈의 후방 표면에 대한 법선과 눈의 시축 사이의,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취해지는) 주 위치에서의 렌즈의 후방 표면과 눈의 시축 사이의 교차부에서의 수평 평면 내의 각도이고, 예를 들어 예를 들어 0°이다.
표준 착용 조건의 예가, -8°의 범초점 각도, 12 mm의 각막 대 렌즈 거리, 2 mm의 동공-각막 거리, 11.5 mm의 CRE 대 동공 거리, 25.5 mm의 CRE 대 렌즈 거리, 및 0°의 랩 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누진 렌즈에 관한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는 누진 렌즈에 대한 문헌 WO2016/146590의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당업자는 그러한 정의를 단초점 렌즈에 적용할 수 있다.
누진 렌즈는 적어도 하나,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2개의 비-회전 대칭적 비구면 표면, 예를 들어 누진 표면, 퇴행성(regressive) 표면, 원환체 또는 비원환체(atoric) 표면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알려진 바와 같이, 최소 곡률(CURVmin)은 비구면 표면 상의 임의의 지점에서 이하의 수식으로 정의되고:
Figure pct00002
여기에서 Rmax는 미터로 표현되는 국소적인 최대 곡률 반경이고, CURVmin은 디옵터로 표현된다.
마찬가지로, 최대 곡률(CURVmax)은 비구면 표면 상의 임의의 지점에서 이하의 수식으로 규정될 수 있고:
Figure pct00003
여기에서 Rmin은 미터로 표현되는 국소적인 최소 곡률 반경이고, CURVmax는 디옵터로 표현된다.
표면이 국소적으로 구면일 때, 국소적 최소 곡률 반경(Rmin) 및 국소적 최대 곡률 반경(Rmax)은 동일하며, 이에 따라 최소 및 최대 곡률(CURVmin 및 CURVmax)도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면이 비구면일 때, 국소적 최소 곡률 반경(Rmin) 및 국소적 최대 곡률 반경(Rmax)은 상이하다.
최소 및 최대 곡률(CURVmin 및 CURVmax)의 이러한 표현으로부터, SPHmin 및 SPHmax로 표시되는 최소 및 최대 구면은 고려되는 표면의 종류에 따라 추정될 수 있다.
고려되는 표면이 물체측 표면(전방 표면으로도 지칭됨)일 때, 수식은 다음과 같고:
Figure pct00004
여기에서, n은 렌즈의 구성 재료의 지수이다.
고려되는 표면이 안구측 표면(후방 표면으로도 지칭됨)인 경우에, 수식은 다음과 같고:
Figure pct00005
여기에서, n은 렌즈의 구성 재료의 지수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비구면 표면 상의 임의의 지점에서의 평균 구면(SPHmean)은 다음의 수식으로도 규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06
따라서, 평균 구면의 표현은 고려되는 표면에 따라 좌우된다:
표면이 물체측 표면인 경우,
Figure pct00007
,
표면이 안구측 표면인 경우,
Figure pct00008
,
원주도수(CYL)가 또한 이하의 식에 의해서 규정된다:
Figure pct00009
렌즈의 임의의 비구면 면의 특성은 국소적 평균 구면 및 원주도수로 표현될 수 있다. 원주도수가 적어도 0.25 디옵터일 때, 표면은 국소적으로 비구면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비구면 표면의 경우, 국소적 원주도수 축(γAX)이 더 규정될 수 있다. 도 4a는 TABO 협약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비점수차 축(γ)을 도시하며, 도 4b는 비구면 표면을 특성화하기 위해서 규정된 협약에서의 원주도수 축(γAX)을 도시한다.
원주도수 축(γAX)은 기준 축에 대한 그리고 선택된 회전 방향으로의 최대 곡률(CURVmax)의 배향 각도이다. 위에 정의된 기준에서, 기준 축은 수평이며(이러한 기준 축의 각도는 0°이다), 회전 방향은 착용자를 보았을 때, 각각의 눈에 대해 반시계 방향이다(0°≤γAX≤180°). 따라서, +45°의 원주도수 축(γAX)에 대한 축 값은 그에 따라 비스듬히 배향된 축을 나타내고, 이는, 착용자를 보았을 때, 우측 상부에 위치된 사분면으로부터 좌측 하부에 위치된 사분면으로 연장된다.
또한, 누진 다초점 렌즈는, 렌즈를 착용하는 사람의 상황을 고려하여, 광학 특성으로 또한 규정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눈 및 렌즈의 광학 시스템의 개략적 도면이고, 이에 따라 설명에 사용된 규정을 보여준다. 더 정확하게, 도 5는 응시 방향을 규정하는 데 사용되는 매개변수(α 및 β)를 예시하는 이러한 시스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매개변수(β)가 0인 경우에, 착용자의 머리의 전후 방향 축에 평행하고 눈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 평면 내의 도면이다.
눈의 회전 중심은 Q'로 표시된다. 도 6에 점선으로 도시된 축(Q'F')은 눈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고 착용자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 축이고, 즉 주 응시 시야에 상응하는 축(Q'F')이다. 이러한 축은, 안경사가 렌즈를 프레임 내에 위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렌즈 상에 존재하는, 피팅 크로스(fitting cross)로 지칭되는 지점 상에서 렌즈의 비구면 표면과 교차된다. 렌즈의 후방 표면과 축(Q'F')의 교차 지점은 지점(O)이다. O은, 후방 표면 상에 위치되는 경우에, 피팅 크로스가 될 수 있다. 중심(Q') 및 반경(q')의 정점 구면은 수평 축의 지점에서 렌즈의 후방 표면에 접한다. 예로서, 25.5 mm의 반경(q')의 값이 일반적인 값에 상응하고, 렌즈를 착용할 때 만족스러운 결과를 제공한다.
도 5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주어진 응시 방향은, Q'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서의 눈의 위치 및 정점 구면의 지점(J)에 상응하고; 각도(β)는, 축(Q'F')과 축(Q'F')을 포함하는 수평 평면 상의 직선(Q'J)의 투영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이고; 이러한 각도는 도 5의 도시 내용에서 나타난다. 각도(α)는 축(Q'J)과 축(Q'F')을 포함하는 수평 평면 상의 직선(Q'J)의 투영 사이에 형성된 각도이고; 이러한 각도는 도 5 및 도 6의 도시 내용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주어진 응시 시야는 정점 구면의 지점(J) 또는 커플(α, β)에 상응한다. 아래쪽 응시 각도의 값이 더 큰 양의 값일수록 응시는 더 하강하고, 값이 더 큰 음의 값일수록 응시는 더 상승한다.
주어진 응시 방향에서, 주어진 물체 거리에 위치되는 물체 공간 내의 지점(M)의 이미지는, 시상 및 접선 국소 초점 거리일 수 있는, 최소 및 최대 거리(JS 및 JT)에 상응하는 두 개의 지점(S 및 T) 사이에 형성된다. 무한대에서 물체 공간 내의 지점의 이미지는 지점(F')에 형성된다. 거리(D)는 렌즈의 후방 정면 평면(rear frontal plane)에 상응한다.
"에르고라마"(ergorama)는 각각의 응시 방향에 물체 지점의 일반적인 거리를 연관시키는 함수이다. 일반적으로, 주 응시 방향을 따르는 원거리 시력에서, 물체 지점은 무한대에 있다. 근거리 시력에서, 본질적으로 비강 측을 향해서 절대값으로 약 35°의 각도(α) 및 약 5°의 각도(β)에 상응하는 응시 방향을 따를 때, 물체 거리는 약 30 cm 내지 50 cm이다. 에르고라마의 가능한 정의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미국 특허 US-A-6,318,859를 고려할 수 있다. 이 문헌은 에르고라마, 그 정의, 및 그 모델링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지점은 무한대에 위치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에르고라마는 착용자의 비정시안 또는 착용자의 도수(addition)의 함수일 수 있다.
이러한 요소를 이용하여, 각각의 응시 방향으로, 착용자의 광학 굴절력과 비점수차를 규정할 수 있다. 에르고라마에 의해 주어진 물체 거리에 있는 물체 지점(M)은 응시 방향(α, β)에 대하여 고려된다. 물체 근접도(ProxO)는 물체 공간 내의 상응 광선 상의 지점(M)에 대해서 정점 구면의 지점(M)과 지점(J) 사이의 거리(MJ)의 역수로 정의된다:
Figure pct00010
이는 정점 구면의 모든 지점에 대한 얇은 렌즈 근사치 내에서 물체 근접도를 계산할 수 있게 하고, 이는 에르고라마의 결정을 위해서 사용된다. 실제 렌즈의 경우, 물체 근접도는, 상응 광선에서의, 물체 지점과 렌즈의 전방 표면 사이의 거리의 역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동일한 응시 방향(α, β)에서, 주어진 물체 근접도를 갖는 지점(M)의 이미지는, (시상 및 접선 초점 거리일 수 있는) 최소 및 최대 초점 거리에 각각 상응하는 두 개의 지점들(S 및 T) 사이에 형성된다. 수치 ProxI은 지점(M)의 이미지 근접도로 지칭된다:
Figure pct00011
그에 따라, 얇은 렌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는 주어진 응시 방향에 대해서 그리고 주어진 물체 근접도에 대해서, 즉 상응 광선 상의 물체 공간의 지점에 대해서, 광 굴절력(Pui)을 이미지 근접도와 물체 근접도의 합으로 규정할 수 있다.
Figure pct00012
동일한 표기를 사용하여, 비점수차(Ast)는 모든 응시 방향 및 주어진 물체 근접도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된다:
Figure pct00013
이러한 규정은 렌즈에 의해 생성되는 광선 빔의 비점수차에 상응한다. 이러한 규정이, 주 응시 방향으로, 비점수차의 통상적인 값을 제공한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축으로 지칭되는 비점수차 각도는 각도(γ)이다. 각도(γ)는 눈과 관련된 프레임{Q', xm, ym, zm}에서 측정된다. 이는 평면{Q', zm, ym}에서의 방향(zm)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기준에 따라 이미지(S 또는 T i)가 형성되는 각도에 상응한다.
따라서, 착용 조건에서, 렌즈의 광학 굴절력 및 비점수차에 대한 가능한 정의는, B. Bourdoncle 등의 "누진 안과 렌즈를 통한 광선 추적"이라는 명칭의 논문(1990 International Lens Design Conference, D.T. Moore ed., Proc. Soc. Photo. Opt. Instrum. Eng.)에 설명된 바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제1 영역(12)의 적어도 하나가 렌즈 요소의 제어 지점 상에 센터링될 수 있다. 제어 지점에 의해서, 렌즈 요소의 임의의 지점이 제어 지점으로 지칭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특히, 제어 지점은 렌즈 요소의 기하형태적 중심, 렌즈 요소의 광학 중심, 렌즈 요소의 근거리 시력 기준 지점 또는 원거리 시력 기준 지점일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 제어 지점에서 센터링된 제1 영역(12)은 적어도 제1 굴절력(P1)을 갖는다. 제어 지점에 센터링된 제1 영역에 가장 가까운 두 번째의 제1 영역(12)은 제2 굴절력(P2)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 내용에 따른 렌즈 요소(10)는 복수의 제2 영역(14)을 포함한다. 제2 영역(14)은 특정 착용 조건에서 적어도 제2 광학 함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2 영역의 제2 광학 함수는 제1 영역의 제1 광학 함수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의 하나의 지점의 평균 광학 굴절력과 제2 영역의 하나의 지점의 평균 광학 굴절력 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0.50 내지 15.0 D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영역의 제1 및 제2 지점이 인접한다.
제2 영역 중 하나의 한 지점의 반경방향 광학 굴절력과 동일한 제2 영역의 하나의 지점의 반경방향 광학 굴절력 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0.25 내지 20.0 D일 수 있다.
제2 영역 중 하나의 한 지점의 평균 광학 굴절력과 동일한 제2 영역의 하나의 지점의 평균 광학 굴절력 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0.25 내지 10.0 D이다.
제2 영역(14)의 제2 광학 함수는 비-구면 광학 함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구면 광학 함수는 비구면 광학 함수다.
유리하게는, 제2 광학 함수는, 특정 착용 조건에서, 착용자의 망막 상에서 및/또는 그 앞에서 및/또는 그 뒤에서 포커스되지 않은 이미지를 생성한다. 근시의 경우에 망막 앞의 그리고 원시의 경우에 망막 뒤의 포커스되지 않은 이미지는, 눈의 망막가 변형, 특히 연장되려는 자연적인 경향을 감소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포커스되지 않은 이미지는 착용자가 이용할 수 없고, 그에 따라 착용자에게 덜 방해가 된다. 다시 말해서, 착용자의 편안함은, 착용자의 망막 상에서 및/또는 그 앞에서 및/또는 그 뒤에서 포커스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제2 광학 함수에 비해서 크게 개선된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 제2 영역의 적어도 2개, 예를 들어 전부가 동일한 제2 광학 함수를 갖는다.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제2 영역(14)이 상이한 광학 함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광학 함수는 렌즈 요소의 기하형태적 중심에 대한 제2 영역의 편심도에 따라 달라지고/달라지거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영역(14)은 렌즈 요소(10) 상에서 또는 그 내부에서 전체 동심적 링들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직교 평면 상으로의 동심적 링들의 투영은 동일한 중심을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제2 영역(14)은 렌즈 요소(10) 상에서 또는 그 내부에서 동심적인 링들의 부분들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직교 평면 상으로의 동심적 링들의 부분들의 투영은 동일한 중심을 갖는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서, 동심적 링들은 렌즈 요소의 기하형태적 중심에서 센터링된다. 대안적으로, 제2 영역의 동심적 링들은 렌즈 요소의 광학 중심에서 센터링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서, 제2 영역의 동심적 링들의 중심이 근거리 시력 영역 내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제2 영역의 동심적 링들의 중심은 근거리 시력 구역 내에 및/또는 비강 구역 내에 및/또는 측두 구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영역(14)은 4.0 mm 이상의 직경 내지 70 mm 이하의 직경 사이에서 형성된 렌즈 요소의 환경 구역 내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환형 구역이 렌즈 요소의 기하형태적 중심에서 센터링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환형 구역은 렌즈 요소의 광학 중심에서 센터링된다.
대안적으로, 렌즈 요소는 원거리 시력 기준 지점, 근거리 시력 기준, 그리고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 기준 지점들을 결합시키는 경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요소는 사람의 처방에 맞춰 구성된 누진 가입도 설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환형 구역이 근거리 시력 기준 지점 또는 원거리 시력 기준 지점에서 센터링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영역(14)은 0.1 내지 3.0 mm,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0 mm,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mm의 반경방향 크기를 가질 수 있고, 반경방향 크기는 예를 들어 1.0 mm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반경방향 크기는, 하나의 제2 영역이 내접되는 환형 구역의 외경의 길이와 상기 환형 구역의 내경의 길이 사이의 차이의 절반을 지칭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요소(10)는 적어도 제1 반경방향 경로(Pth_R(θ1))를 포함한다. 제1 반경방향 경로(Pth_R(θ1))는 제1 지점(<r1, θ1>) 및 제2 지점(<r2, θ1>)에서 적어도 첫 번째 제2 영역(14)과 교차된다. 제1 및 제2 지점((<r1, θ1>) 및 (<r2, θ1>)) 모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12)에 인접한다. 제2 지점의 반경방향 좌표(r2)는 제1 지점의 반경방향 좌표(r1)보다 크다. 다시 말해서, 제2 지점(<r2, θ1>)은 제1 지점(<r1, θ1>)보다 렌즈 요소(10)의 주변부에 더 가깝다.
유리하게는, 제1 지점(<r1, θ1>)에서의 반경방향 광학 굴절력은 제2 지점(<r2, θ1>)에서의 반경방향 광학 굴절력과 상당히 상이하다.
본 개시 내용의 의미에서, 차이의 값이 0.25 D 이상일 때, 2개의 반경방향 광학 굴절력들이 상이하다. 다시 말해서, |ROP(Ci)-ROP(Pi)| ≥0.25D인 경우, 지점(Ci)에서의 광학 굴절력(ROP)은 지점(Pi)에서의 반경방향 광학 굴절력과 상당히 상이하다.
렌즈 요소의 반경방향 광학 굴절력은 상기 렌즈 요소의 반경방향 곡률에 의해서 규정된다. 다시 말해서, 렌즈 요소(10)의 반경방향 곡률은 렌즈 요소의 곡률의 제1 도함수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렌즈 요소의 정방선 방향 광학 굴절력은 상기 렌즈 요소의 접선 곡률(tangential curvature)에 의해서 규정된다. 다시 말해서, 렌즈 요소(10)의 정방선 방향 곡률은 렌즈 요소의 곡률의 제2 도함수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이하로 설명되는 회전 대칭 표면을 고려한다:
Figure pct00014
반경방향 곡률(Cr(ρ))이 이하로 규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15
접선 곡률(Ct(ρ))이 이하로 규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16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반경방향 경로(Pth_R(θ1))를 따른 제1 지점(<r1, θ1>)과 제2 지점(<r2, θ1>) 사이의 델타(n)*Cr의 변화는 매우 단조롭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함수는 완전히 증가하지 않거나 완전히 감소하지 않는 경우에 또는 그러한 경우에만 단조롭다. 델타(n)는, 지수(n1)의 재료에서 지수(n2)의 재료로 이동할 때의 n2와 n1 사이의 차이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요소(10)는 제2 반경방향 경로(Pth_R(θ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반경방향 경로는 제3 지점(<r3, θ2>) 및 제4 지점(<r4, θ2>)에서 적어도 동일한 첫 번째 제2 영역(14)과 교차된다. 제3 및 제4 지점((<r3, θ2>) 및 (<r4, θ2>)) 모두는 적어도 동일한 제1 영역(12)에 인접한다. 제4 지점의 반경방향 좌표(r4)는 제3 지점의 반경방향 좌표 (r3)보다 크다. 다시 말해서, 제4 지점(<r4, θ2>)은 제3 지점(<r3, θ2>)보다 렌즈 요소(10)의 주변부에 더 가깝다.
렌즈 요소(10)는 첫 번째 제2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정방선 방향 경로(Pth_OR(θ1,θ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정방선 방향 경로(Pth_OR(θ1,θ2))는 제1, 제2, 제3 및 제4 지점((<r1, θ1>), (<r2, θ1>), (<r3, θ2>) 및 (<r4, θ2>))에 의해서 경계 지어지는 제2 영역(14)의 구역 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정방선 방향 경로(Pth_OR(θ1,θ2))는 18도 이상이다.
정방선 방향 경로(Pth_OR(θ1,θ2))를 따라, 평균 구면 굴절력 변화는 단조롭고, 예를 들어 평균 구면이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유리하게는, 정방선 방향 경로(Pth_OR(θ1,θ2))를 따라, 정방선 방향 광학 굴절력 델타(n)*Ct 변화는 단조롭고, 예를 들어 정방선 방향 광학 굴절력(Ct)이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실질적으로 일정하다는 것은, 차이가 엄격하게 0.50 D보다 작다는 것, 바람직하게는 엄격하게 0.25 D보다 작다는 것, 더 바람직하게는 엄격하게 0.10 D보다 작다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유리하게는, 제2 영역의 각각의 광학 함수는 광학 축에 포커스하지 않을 것이고, 눈의 망막이 변형되려는 자연적인 경향을 감소시키는 근시 또는 원시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초면(caustic), 예를 들어 회전 대칭적 초면을 생성할 것이다.
유리하게는, 제2 영역 중 하나의 한 지점의 반경방향 광학 굴절력과 동일한 제2 영역의 하나의 지점의 반경방향 광학 굴절력 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0.25 D 초과 및 20.0 D 이하이다.
유리하게는, 제2 영역 중 하나의 한 지점의 평균 광학 굴절력과 동일한 제2 영역의 하나의 지점의 평균 광학 굴절력 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0.25 D 초과 및 10.0 D 이하이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 제1 영역(12) 및 제2 영역(14)은 렌즈 요소(10)에 걸쳐 교번적이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구성은 각각의 응시 방향이 착용자의 동공을 통과하는, 양 신호, 즉 제1 광학 함수를 통한 근시/원시 교정 및 제2 광학 함수를 통한 근시/원시 제어를 갖도록 보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12) 및 제2 영역(14) 중 적어도 하나와 교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경로(Pth_R(θ))를 따라, 상기 인접한 제1 및 제2 영역들 사이의 광학 굴절력의 전이가 불연속적이다.
본 개시 내용의 의미에서, 상기 인접 광학 요소들을 연결하는 경로를 따라 광학 굴절력의 "단차"를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 인접 영역들 사이의 광학 굴절력 전이는 불연속적이다. 단차는, 적어도 0.50 D의 광학 굴절력의 급격한 변동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불연속성은, 제1 광학 함수에 의해서 생성된 이상 굴절 교정을 제2 광학 함수에 의해서 생성된 흐린 이미지로부터 더 잘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개시 내용에 따른 렌즈 요소는 더 많은 체적의 포커스되지 않은 광을 착용자의 망막의 앞에 및/또는 망막 상에 및/또는 망막의 뒤에만 생성하였고, 그에 따라 더 양호한 근시 및/또는 원시 제어 효과를 갖는 덜 방해가 되는 제2 이미지를 생성하였다.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12) 및 제2 영역(14) 중 적어도 하나와 교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경로(Pth_R(θ))를 따라, 상기 인접한 제1 및 제2 영역들 사이의 광학 굴절력의 전이가 연속적이다.
본 개시 내용의 의미에서, 상기 인접 광학 요소들을 연결하는 경로를 따라 광학 굴절력의 점진적인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 인접 영역들 사이의 광학 굴절력 전이는 연속적이다. 다시 말해서, 연결 경로를 따라 광학 굴절력의 "단차"를 측정할 수 없는 경우에, 전이는 연속적이다. 단차는, 적어도 0.50 D의 광학 굴절력의 급격한 변동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렌즈 요소 상에서 교번적인 제1 및 제2 영역들 사이의 고도 전이가 연속적일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의미에서, 상기 인접 광학 요소들을 연결하는 경로를 따라 고도의 점진적인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 인접 영역들 사이의 고도 전이는 연속적이다. 다시 말해서, 연결 경로를 따라 고도의 "단차"를 측정할 수 없는 경우에, 고도 전이는 연속적이다. 단차는, 적어도 0.10 ㎛의 고도(z)의 급격한 변동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유리하게는, 연속적인 고도 전이는 렌즈 요소의 견고성(solidity)을 개선하고 그 미감을 개선한다. 사실상, 연속적인 고도 전이는 제1 및 제2 영역들이 렌즈 요소에서 덜 보일 수 있게 한다. 또한, 연속적인 고도 전이로 인해서, 렌즈 요소의 제조 프로세스 및 코팅 프로세스가 자원, 시간 및 비용과 관련하여 개선된다.
대안적으로, 렌즈 요소 상에서 교번적인 제1 및 제2 영역들 사이의 고도 전이가 불연속적일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의미에서, 상기 인접 광학 요소들을 연결하는 경로를 따라, 이들을 연결하는 경로를 따라 고도의 "단차"를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 인접 영역들 사이의 고도 전이는 불연속적이다. 단차는, 적어도 0.10 ㎛의 고도(z)의 급격한 변동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렌즈 요소(10)는 직접적인 표면 가공, 몰딩, 주조 또는 사출, 엠보싱, 필름화(filming), 또는 포토리소그래피 등과 같은 상이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렌즈 요소(10)는 광학 장치 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캡슐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요소(10)는 렌즈 위에 주입되고 오버몰딩된 또는 접착된 웨이퍼로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웨이퍼는 미세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렌즈 요소(10)는 코팅에 의해서 덮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렌즈 요소(10)는, 플랫 핫 엠보싱(flat hot embossing)에 의해서 또는 롤 대 롤(roll to roll)에 의해서 엠보싱된 미세구조화된 필름에 의해서 덮일 수 있고, 이어서 렌즈 상으로 적층 또는 접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렌즈 요소(10)는 미세구조화된 몰드로부터의 사출 몰딩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고 이어서 적층된 필름에 의해서 보호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렌즈 요소(10)는 미세구조물을 렌즈 상에 임프린트하는 것(imprinting) 그리고 이어서 렌즈를 적층 필름으로 덮는 것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거나, 렌즈 상에 적층된 필름의 임프린팅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렌즈 요소(10)의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구면 형상의 전방 면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렌즈 요소(10)의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비구면 형상의 전방 면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렌즈 요소(10)의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회전 대칭적인 비구면 형상의 전방 면을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은 또한 근시 또는 원시와 같은 눈의 이상 굴절의 진행을 억제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서 사람의 눈 전방에 착용되도록 의도되는 렌즈 요소를 획득하기 위한 몰드에 관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요소(10)의 몰드(20)는 제1 몰딩 요소(21), 제2 몰딩 요소(22)를 포함한다.
제1 몰딩 요소(21)는 제1 표면(24)을 갖는다. 제1 표면(24)은 제1 표면 곡률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제1 영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은 구면 표면 곡률을 갖는다. 제2 표면은 제2 표면 곡률을 갖는 복수의 제2 영역을 추가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표면 곡률은 비-구면, 예를 들어 비구면 곡률이다. 제1 영역의 제1 표면 곡률은 제2 영역의 제2 표면 곡률과 상당히 상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몰딩 요소의 표면의 제1 영역은 제공되는 렌즈 요소(10)의 제1 영역(12)과 상호 관련되고, 제1 몰딩 요소의 표면의 제2 영역은 제공되는 렌즈 요소(10)의 제2 영역(14)과 상호 관련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요소(10)의 몰드(20)는 제2 몰딩 요소(22)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몰딩 요소(22)는 제2 표면(25)을 갖는다. 도 7에서, 제2 몰딩 요소(22)의 제2 표면(25)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데, 이는 이러한 표면이 제1 몰딩 요소의 제1 표면(24)에 대면되기 때문이다.
제1 및 제2 몰딩 요소(21 및 22)는 몰딩 공동(28)을 형성한다. 몰딩 공동(28)은, 제1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몰딩 요소(21)의 제1 표면(24)에 의해서, 그리고 제2 몰딩 요소(22)의 제2 표면(25)으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렌즈 요소(10)를 위한 몰드(20)는 가스켓(23)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23)은 내부 표면(23a) 및 외부 표면(23b)을 포함하는 환형 형태를 갖는다. 가스켓(23)은 개구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몰딩 공동은 제1 몰딩 요소(21)의 제1 표면(24), 제2 몰딩 요소(22)의 제2 표면(25), 및 가스켓(23)의 내부 표면(23a)에 의해서 형성된다.
렌즈 요소(10)를 위한 몰드(20)의 몰딩 공동(28)은 개구부(27)를 통해서 몰딩 재료로 충진된다. 가스켓(23) 내에서 표현되었지만, 개구부(27)는 대안적으로 제1 몰딩 요소 또는 제2 몰딩 요소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딩 재료는, 가스켓(23)의 개구부(27)를 통해서 몰딩 공동 내로 주입되는 주조 재료일 수 있다. 몰딩 공동 내의 주조 재료는 렌즈 재료로 추가적으로 중합되고, 그에 의해서 렌즈 요소(10)를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몰딩 재료는 열-가소성 재료일 수 있다. 제1 온도에서 제1 액체 상태인 열가소성 재료가 개구부(27)를 통해서 몰드 공동(28) 내로 주입된다. 냉각 프로세스 중에, 열가소성 재료는 제1 액체 상태로부터, 렌즈 요소(10)의 렌즈 재료에 상응하는 제2 고체 상태로 변화된다.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한 많은 추가적인 수정 및 변경이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며,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단지 예로서 제공되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이라는 단어는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고, 부정관사("a" 또는 "an")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지 서로 다른 특징이 서로 다른 종속항들 내에서 인용된다는 사실만으로, 이러한 특징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청구범위 내의 임의의 참조 부호는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5)

  1. 착용자의 눈의 전방에 착용되도록 의도된 렌즈 요소로서,
    - 특정 착용 조건에서, 상기 착용자의 상기 눈에 대한 착용자의 처방을 기초로 하는 굴절력을 기초로 하는 제1 광학 함수를 갖는 적어도 2개의 제1 영역;
    - 특정 착용 조건에서 적어도 제2 광학 함수를 갖는 복수의 제2 영역
    을 포함하고,
    제1 지점(<r1, θ1>) 및 제2 지점(<r2, θ1>)에서 적어도 첫 번째 제2 영역과 교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반경방향 경로(Pth_R(θ1))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지점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영역에 인접하고, 반경방향 좌표(r2)는 반경방향 좌표(r1)보다 크고, 상기 제1 지점(<r1, θ1>)에서의 반경방향 광학 굴절력은 상기 제2 지점(<r2, θ1>)에서의 반경방향 광학 굴절력과 상당히 상이한, 렌즈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반경방향 경로(Pth_R(θ1))를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지점들 사이의 반경방향 광학 굴절력의 변화는 매우 단조로운, 렌즈 요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제2 구역 내에 포함되고 제2 반경방향 경로(Pth_R(θ2))를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지점((<r3, θ2>) 및 (<r4, θ2>)), 및 상기 제1 및 제2 반경방향 경로들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정방선 방향 경로(Pth_OR(θ1,θ2))를 더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정방선 방향 경로(Pth_OR(θ1,θ2))를 따른 평균 구면 굴절력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상기 정방선 방향 경로(Pth_OR(θ1,θ2))는 18도 이상인, 렌즈 요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들은 상기 렌즈 요소 위에서 교번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영역 및 복수의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와 교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경로를 따라, 상기 인접하는 제1 및 제2 영역들 사이의 반경방향 광학 굴절력의 전이가 불연속적인, 렌즈 요소.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들은 상기 렌즈 요소 위에서 교번적으로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 및 상기 복수의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와 교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경로를 따라, 상기 인접하는 제1 및 제2 영역들 사이의 반경방향 광학 굴절력의 전이가 연속적인, 렌즈 요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제1 및 제2 영역들 사이의 고도 전이가 연속적인, 렌즈 요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제1 및 제2 영역들 사이의 고도 전이가 불연속적인, 렌즈 요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 함수가 비-구면 광학 함수인, 렌즈 요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구면 함수가 비구면 함수인, 렌즈 요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영역은 동심적인 링들의 전체 또는 부분들로 구성되는, 렌즈 요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이한 광학 함수를 가지는, 렌즈 요소.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렌즈 요소의 광학 중심에 센터링되는, 렌즈 요소.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 함수는 상기 렌즈 요소의 기하형태적 중심에 대한 상기 제2 영역의 편심도에 따라 달라지는, 렌즈 요소.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의 평균 광학 굴절력과 상기 제2 영역 중 하나의 한 지점의 평균 광학 굴절력 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0.50 내지 15.0 D인, 렌즈 요소.
  15.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렌즈 요소를 획득하기 위한 몰드로서,
    - 제1 표면을 가지는 제1 몰딩 요소;
    - 제2 표면을 가지는 제2 몰딩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몰딩 요소의 제1 표면 및 상기 제2 요소의 제2 표면이 몰딩 공동을 형성하고, 상기 몰딩 공동 내에는 몰딩 재료가 충진되는, 몰드.
KR1020237017094A 2020-11-27 2021-11-26 렌즈 요소 KR202301075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306463.9 2020-11-27
EP20306463 2020-11-27
PCT/EP2021/083250 WO2022112535A1 (en) 2020-11-27 2021-11-26 Lens e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588A true KR20230107588A (ko) 2023-07-17

Family

ID=73698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7094A KR20230107588A (ko) 2020-11-27 2021-11-26 렌즈 요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04220A1 (ko)
EP (1) EP4252066A1 (ko)
JP (1) JP2023550996A (ko)
KR (1) KR20230107588A (ko)
CN (1) CN116547591A (ko)
WO (1) WO2022112535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3805B1 (fr) 1996-09-20 1998-11-13 Essilor Int Jeu de lentilles ophtalmiques multifocales progressives
US6343861B1 (en) * 1998-06-12 2002-02-05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td. Myopia lens
FR2936879B1 (fr) * 2008-10-07 2011-03-11 Essilor Int Verre ophtalmique corrigeant la vision foveale et la vision peripherique.
EP2404212B1 (en) * 2009-03-05 2020-07-08 Essilor International Spectacle eyeglass for myopic child
TWI493241B (zh) * 2013-05-24 2015-07-21 Hiline Optical Co Ltd 鏡片裝置及視力控制方法
JP6845804B2 (ja) 2015-03-18 2021-03-24 エシロール エンテルナショナル 不要な非点収差を有する眼鏡レンズを決定する方法
TWI587034B (zh) * 2016-02-04 2017-06-11 星歐光學股份有限公司 隱形眼鏡產品
TWI636296B (zh) * 2017-08-28 2018-09-21 精華光學股份有限公司 視力矯正用光學鏡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2535A1 (en) 2022-06-02
CN116547591A (zh) 2023-08-04
US20240004220A1 (en) 2024-01-04
EP4252066A1 (en) 2023-10-04
JP2023550996A (ja) 202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72225B2 (ja) レンズ要素
EP4127825B1 (en) Lens element
KR20170102465A (ko) 안경 프레임 상에 탑재되도록 의도된 안경 안과용 렌즈
US20230213785A1 (en) Lens element
KR20230107588A (ko) 렌즈 요소
US20230213784A1 (en) Optical lens
US11561414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n ophthalmic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