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618A - 중합가능한 성분으로 열 피복될 수 있는 물질 - Google Patents

중합가능한 성분으로 열 피복될 수 있는 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618A
KR20010030618A KR1020007002852A KR20007002852A KR20010030618A KR 20010030618 A KR20010030618 A KR 20010030618A KR 1020007002852 A KR1020007002852 A KR 1020007002852A KR 20007002852 A KR20007002852 A KR 20007002852A KR 20010030618 A KR20010030618 A KR 20010030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ve
meth
plastisol
reactive plastiso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2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6946B1 (ko
Inventor
케르쉐르폴커
쉬프케토마스
Original Assignee
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30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9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08F265/06Polymerisation of acrylate or methacrylate esters on to poly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2/00
    • C08F25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2/00 on to polymers of styrene or alkyl-substituted sty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03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D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D1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D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 피복 동안 중합되는 반응성 단량체 부분을 갖는 반응성 폴리졸에 관한 것이다. 당해 폴리졸은 양호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낸다. 하기 화학식 Ⅰ의 일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반응성 단량체 성분으로서 사용된다.
화학식 Ⅰ

Description

중합가능한 성분으로 열 피복될 수 있는 물질 {Materials which can be thermally coated with a polymerizable component}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소위 반응성 플라스티졸(plastisol), 즉 저분자량 또는 올리고머성 가소제 및 반응성 단량체 성분을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스티렌을 기본으로 하는 열적 필름-형성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기술 현황
플라스티졸은 특정 액상 유기 매체, 소위 가소제 중의 미분된 중합체 입자들의 현탁액 또는 분산액이다. 실온에서 가소제 상에 미세분산된 중합체 입자들은 실온에서 페이스트를 형성한다. 그러나, 이들은 플라스티졸 공정으로 전형적인 "겔화 방법"에서 일반적으로 100℃를 초과하는 온도, 통상 15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용융하고 균질 플라스틱 매트릭스를 형성하는데, 이때 가소제는 중합체에 의해 흡수된다.
플라스티졸의 제조를 위한 열가소성의 미분된 합성제의 전형적인 예는
-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 폴리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PMMA)
-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PAMA), 예를 들어
폴리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PVC/PVAc)이다.
PVC를 기본으로 하는 플라스티졸은 목적하는 실질적인 특성(기계적 강도, 기판으로의 부착성 등)으로 인해 특히 피복물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참조 문헌: Kunststoff-Handbuch(Plastics Manual), 2nd Edition, Ed. H. K. Felger, Vol. 2/2, pp. 1077-1124; 854-869, Hanser-Verlag 1985].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기본으로 하는, 유리한 특성을 갖는 플라스티졸은 또한 최근 들어 소위 PAMA 플라스티졸로 개발되고 있다[참조 문헌: DE-A 24 54 235, US-A 4 071 653; DE-A 40 30 080, US-A 5 120 795].
프탈산의 에스테르, 시트르산 에스테르, 및 또한 올리고머성 화합물이 가소제로 알려져 있다.
저장 온도에서 가소제 및 중합체로 형성된 페이스트의 안정성은 플라스티졸의 특징이다. 본원에서의 기준은 일반적으로 30일 초과이다. 피복하고자 하는 기판에 도포한 후, 열적 필름화는 일반적으로 150℃를 초과하도록 가열시킴으로써 수 분내에 발생된다.
또한, 다작용성 알콜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와 같은 중합가능한 가교결합 화합물,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플라스티졸에 가하여 금속성 기판에 부착력을 부여하고 강도 및 경도를 개질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사용가능한 이러한 부가물의 양은 다량, 예를 들어 5중량% 이상이 가해지는 경우, 겔화 피막 조성물이 심하게 부서지기 때문에 제한된다.
당해 효과에 대한 이유는 첨가된 화합물의 가교결합 특성에 있다. 이러한 부가물의 중합은 가열시에 물리적 겔화와 동시에 열 중합에 의해 발생한다. 첨가된 개시제의 분해 특성은 사용되는 겔화 온도에 상응한다.
문헌[참조: DE-PS 25 43 542(Rohm GmbH)]에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기본적인 질소 원자를 갖는 단량체 및 이들과 공중합가능한 또 다른 단량체의 단량체성 혼합물을 에멀젼 중합시켜 플라스티졸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당해 조성물은 기본적인 질소 원자를 갖는 단량체의 존재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티졸과는 상이하다.
문헌[참조: US-PS 5,298,542(Nippon Ceon Coop.)]에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플라스티졸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당해 경우에도, 성분(B)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정 단량체가 언급되지 않는다.
문헌[참조: US-PS 5,324,762(ICI)]에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혼합물로부터의 플라스티졸이 기술되어 있다. 또 다른 단량체 성분, 예를 들어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의 특정 장점은 기술되어 있지 않다.
문제점 및 해결책
기록되어 있는 기술 현황하의 플라스티졸의 단점은 특히 이들의 불량한 경도 및 내마모성으로, 이는 일반적으로 약 60중량%인 이들의 높은 가소제 함량과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또한, 이러한 단점은 특히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플라스티졸에 적용된다. 그러나, 개선된 기계적 특성을 수득하기 위해 고체 함량을 증가시키면 역으로 다량의 고체 함유 플라스티졸의 점도가 크게 상승된다.
따라서, 당해 문제점은 개선된 실질적 특성, 특히 개선된 기계적 특성 및 적합한 저장 안정성을 갖는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기본으로 하는 유용한 플라스티졸의 제조시 발생된다.
본 발명에 이르러, 점도 문제점이 중요해지지 않으면서, 본 발명은 특히 가소제 함량을 설정하는데 있어 광범위하게 변화시킬 수 있고 이와 함께 기계적 특성도 갖기 때문에 당해 문제점을 상당히 해결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놀랍게도, 저장 안정성은 반응성 단량체 함량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손실되지 않는다. 용어 "반응성 플라스티졸"은 본 발명의 목적을 쉽게 이해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바람직하게는 분무-건조된 에멀젼 중합체의 형태인, 플라스티졸에 대한 기재 중합체로서의 열적 필름-형성 중합체 P, 특히 폴리스티렌 및 폴리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 또는 폴리(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특히 분산된 폴리(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P-M,
(B) 특히 분자량이 150달톤을 초과하는, 하나 이상의 일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RM으로 이루어진 반응성 단량체 성분,
(C) 열적 필름-형성 중합체와 혼화성인 하나 이상의 저분자량 또는 올리고머성 가소제 W,
(D) 임의의 다른 가교결합 단량체 VM, 및
(E) 임의의 통상적인 충전제, 안료 및 보조제를 함유하는 반응성 플라스티졸에 관한 것이다.
이미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열적 필름-형성 중합체 P 자체는 플라스티졸에 대한 기재 중합체로 알려져 있다. 당해 발명은 폴리(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P-M으로부터 형성된 소위 PAMA 플라스티졸과 관련하여 특히 중요하다. 중합체성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분산형, 특히 분무 건조된 에멀젼 중합체의 형태이다.
성분(A)
열적 필름-형성 중합체 P의 주요 단량체 성분은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스티렌으로, 이는 P-M을 기본으로 하여 통상 60중량% 이상, 특히 70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9중량%에 달한다.
P-M을 기본으로 하는 극성 공단량체를 0 내지 20중량%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특히, 언급가능한 극성 공단량체는 특히 이들이 동시에 이들과 결합된 수소를 갖는 경우에 질소 및/또는 산소 헤테로원자, 또는 덜 바람직하게는 황을 함유하는 것들이다.
극성 공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Ⅱ의 화합물로 이루어지거나, 말레산, 무수 말레산, 푸마르산 또는 이타콘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식에서,
R'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R1은 -OH 또는 -NHR2(여기서, R2는 수소 또는 측쇄일 수도 있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 그룹이다)를 나타내거나 하이드록시에스테르 -O-R3-OH(여기서, R3은 측쇄일 수도 있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 그룹이다)을 나타낸다.
(메트)아크릴산 및 (메트)아크릴아미드가 특히 언급될 수 있다.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극성 공단량체 외에, 폴리(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P-M은 또한 MMA와 상이한 화학식 Ⅲ의 또 다른 단량체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식에서,
R"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R2는 임의로 측쇄일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그룹을 나타내고, 또한 3 내지 7원 환을 갖는 사이클로알킬 그룹을 나타낸다.
화학식 Ⅲ의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또는 메트아크릴산의 C4-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코어-쉘 구조를 갖는 폴리(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P-M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PMMA를 기본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성 플라스티졸 중의 열적 필름-형성 중합체의 함량에 대한 기준으로서, 60 내지 10중량%, 특히 약 40중량%는 성분 (A) 내지 성분 (E)의 총 중량을 기본으로 하여 언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P-M의 분자량 Mw는 20,000 내지 200,000달톤, 특히 30,000 내지 150,000달톤의 범위에 속한다.
성분(B)
반응성 단량체 성분(B)로 이루어진 일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RM은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Ⅰ의 화합물이다.
상기식에서,
R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n은 0, 1 내지 20이고,
P는 알킬렌 -(CH2)m-O-(여기서, m은 1 내지 6이고, 알킬렌 그룹은 또한 측쇄일 수 있다)이고,
Q는 측쇄일 수도 있는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 그룹, 및 또한
- 사이클로알킬, 폴리사이클릭 알킬 그룹,
- 방향족 그룹, 페닐 그룹,
- 치환된 방향족 화합물,
- 아릴옥시 그룹,
- 헤테로사이클,
- 수소이다.
특히 언급될 수 있는 예는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디에닐옥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사이클로헥실리덴-4-메트아크릴오일옥시메틸-1,3-디옥솔란,
2,2-디메틸-4-메트아크릴오일옥시메틸-1,3-디옥솔란,
2,2--디메틸-5-에틸-5-메트아크릴옥시메틸-1,3-디옥산,
5-메트아크릴오일옥시메틸-5-메틸-1,3-디옥산,
2-페닐-1,3-디옥솔란-4-일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 푸르푸릴 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참조 문헌: US 2,680,735, BE-A 521 281].
적합하게는, 제제에 반응성 단량체(B)의 비에 상응하는 라디칼 개시제, 예를 들어 폴리(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P-M의 제조에 대해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은 것들을 반응성 단량체(B)를 기본으로 하여 약 0.5중량%의 양으로 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응성 플라스티졸은 또한 공지된 가교결합제를 추가의 가교결합 단량체 성분(D)로서 열적 필름-형성 중합체 P를 기본으로 하여 0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가교결합 단량체는 동일 분자내에서 라디칼 중합을 할 수 있는 몇몇 단위, 예를 들어 다작용성 알콜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함유한다.
언급될 수 있는 예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성분(A) 및 성분 (B)는 일반적으로 5:1 내지 1:5 범위의 중량비로 존재한다.
분무-건조 중합체 분산액에 의한 분산된 폴리(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P-M의 제조는 그 자체로 알려져 있다[참조 문헌: H. Rauch-Puntigam, Th. Volker, Acrylic and Methacrylic Compounds loc. cit. pp. 217-299; Kirk-Othmer 3rd Edition, Vol. 1, loc. cit. pp. 397-400; EP-B 0 294 663]. 그 자체로 알려진 당해 공정은 단량체 외에, 매체로서의 물, 수용성 개시제 및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사용가능한 유화제는 HLB 값이 12 이상인 통상의 것들, 특히 음이온성 유화제, 예를 들어 장쇄 파라핀 설폰산의 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당해 공정은 주어진 시간, 예를 들어 1½(±½) 시간에 걸쳐 서서히 교반하면서 개시제와 함께 단량체의 수성 에멀젼을 승온, 예를 들어 약 80℃에서 개시제/유화제와의 수성 예비혼합물에 가하고, 승온을 거의 동일한 긴 시간 동안 유지시켜 중합을 완료시키는 것이다. 냉각 후, 반응 생성물은 분무 건조될 수 있다.
단량체를 기본으로 하여 0.001 내지 0.2중량%의 양인 무기 과산화물, 예를 들어 과황산칼륨 또는 과황산암모늄은 개시제로서 만족스러운 것으로 입증되었다. 예를 들어, 황-산소 산의 환원 염과 같은 환원 성분 및 과산화물 성분으로 이루어진 산화환원 시스템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중합체 P-M을 제조하기 위해, 분자량은 조절제, 통상의 황 조절제, 특히 알킬 머캅탄, 예를 들어 도데실 머캅탄 또는 라우릴 머캅탄을 예를 들어 단량체를 기본으로 하여 약 0.05 내지 0.5중량%의 양으로 가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20,000 내지 200,000달톤 범위에 속한다.
분무 건조는 또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산업적 대규모로, 이를 통해 분산액이 고온 공기와 함께 평행하게 유동하면서 상부에서 저부로 통상 분무되는 소위 분무 탑이 사용된다. 분산액은 하나 이상의 노즐을 통해, 또는 바람직하게는 신속-회전 관통 디스크에 의해 분무된다. 유입되는 고온 공기는 10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의 온도를 갖는다.
공기의 배출 온도는 분무 건조된 에멀젼 중합체의 특성, 즉 건조된 분말 입자가 분무 탑의 기저에서 또는 사이클론 분무기에서 공기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되는 온도에 결정적이다. 당해 온도는 에멀젼 중합체가 소광되거나 용융되는 온도 이하로 가능한한 낮아야 한다. 다수의 경우에, 50℃ 내지 90℃의 배출 온도가 완전하게 적합하다.
일정한 공기 유동과 함께, 배출 온도는 시간 단위당 연속적으로 분무된 분산액의 양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중합체 분산액을 분무 건조시킴으로써 수득되는 P-M 중합체의 초기 입자 크기는 0.1 내지 5im이다[문헌(참조: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4th Edition, Vol. 5, pp. 725-752)에 따라 측정됨]. 입자 크기 분포는 장치의 측정 셀을 통해 유동하는 물에서 입자의 현탁액의 광학적 소화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참조 문헌: "Kratel Partoskop F" from Kratel GmbH, Gottingen]. 초기 입자의 제2 응집을 통해 크기 범위가 5 내지 100㎛인 응집물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들은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성분(C)
적당한 극성을 갖는 가소제, 예를 들어 고급 폴리글리콜, 프탈산 폴리에스테르 또는 아디프산 폴리에스테르 외에, 그 중에서도 익히 공지된 가소제, 예를 들어 프탈산, 아디프산 또는 세박산의 알킬 에스테르, 염소화 파라핀, 트리알킬 포스페이트, 지방족 또는 지환족 폴리에스테르가 카테고리 (C)의 가소제 W로 실용적이다. 원칙상, PVC에 적합한 모든 가소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는데, 프탈레이트 가소제의 그룹이 특히 두드러진 산업적 중요성으로 인해 우세하다. 문헌[참조: the Plastics Manual, Publisher H.K. Felger, Vol. 1/1 C, Hanser Verlag 1985, as well as in H. F. Mark et al.,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Supplemental Volume, pp. 568-647, J.Wiley 1989]에는 적합한 가소제의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적합한 가소제의 선택은 또한 문헌[참조: DE-C 25 43 542]에서 발견할 수 있다.
벤질 옥틸 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및 디옥틸 프탈레이트가 특히 언급될 수 있다.
가소제 W는 일반적으로 열적 필름-형성 중합체 P 100중량부를 기본으로 하여 5 내지 200중량부의 비로 사용된다. 가소제 W와 성분(B)의 단량체 간의 비는 또한 실질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개선된 생성물 특성은 심지어 단량체 성분(B)의 10중량% 비로 수득된다. 예를 들어, 통상의 화학식의 화합물은 단량체 분획 (B) 10중량부[(B)의 함량을 기본으로 하여 개시제 0.5중량% 포함], 열적 필름-형성 중합체 P 약 40중량부 및 가소제 W 50중량부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된 플라스티졸은 매우 양호한 실질적 특성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이들의 인장 강도 및 생성물의 차단 저항성은 강조되어져야 한다. 30일 이상의 포트 수명이 제공된다. 중합체 40중량% 및 가소제 60중량%를 함유하는 대조 생성물은 매우 낮은 인장 강도 및 점성 표면을 보여준다. 가소제와 성분(C) 간의 비는 단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성분(E)
적용에 따라, 반응성 플라스티졸은 또 다른 친숙한 보조제, 예를 들어 농후제, 습윤제, 레벨링제 또는 촉진제를 0 내지 5중량%의 비(반응성 플라스티졸 기준)로 함유할 수 있다[참조 문헌: Ullma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5th Edition, Vol. A21, pp. 734-737 VCH 1992].
플라스티졸의 제조
원칙상, 본 발명에 따른 반응성 플라스티졸에 대한 성분은 각종 유형의 혼합기를 사용하여 혼합될 수 있다. 그러나, PVC 및 PAMA 플라스티졸을 사용한 경험으로 확인해 볼 때, 저속 부정형 교반기, 고속 혼합기 및/또는 용해기, 수평 터보혼합기 및 삼중롤 분쇄기가 바람직하며, 이때 선택은 제조된 플라스티졸의 점도에 의해 조절된다[참조 문헌: H. F. Mark et al.,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2nd Edition, Vol. 17, 365-866, J. Wiley 1989]. 조성물이 균질해질 때까지 연속하여 혼합시킨다.
당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일반적으로 30 내지 2분내에 PAMA 플라스티졸의 경우에 1 내지 5mm의 두께로 겔화될 수 있다. 원칙상, 투명한 가소성 필름이 수득된다.
플라스티졸의 용도
본 발명에 따라 수득가능한 반응성 플라스티졸은 각종 적용, 예를 들어 PVC 및 PAMA 플라스티졸의 피복 면적에 의해 서술되는 것들; 직물 피복물, 유연성 바닥 피복물, 하도피복물, 점적 용접 페이스트에 적합하다.
유리한 효과
그룹(B)의 반응성 단량체에 의한 중합체의 팽윤은 화학식 Ⅱ에 따른 극성 공단량체를 중합체(A)에 예를 들어 코어-쉘 중합의 방식으로 혼입시킴으로써 억제된다.
성분(B)는 특히 다음의 장점을 나타낸다.
가소제의 부재시, 원칙상 중합된 상태의 단량체(B)는 중합체(A)와의 양호한 혼화성을 보여준다.
단량체(B)는 매우 높은 비점 및 심하지 않은 향기를 갖는다.
당해 양태의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한다.
양태의 실시예
a) 반응성 플라스티졸의 제조
성분(A)
분무 건조된 에멀젼 중합체 20g을 용기에 계량하여 가한다. 에멀젼 중합체는 100% MMA로 이루어진 코어(75% 중량 분획)와 92% MMA 및 8% 메트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쉘(25% 중량 분획)을 갖는 코어-쉘 구조를 갖는다.
성분(B)+(C)
제제 1: 벤질 옥틸 프탈레이트 20.00g
2-사이클로헥실리덴-4-
메트아크릴오일옥시메틸-1,3-디옥솔란 10.00g
t-부틸 퍼벤조에이트 0.05g
제제 2: 벤질 옥틸 프탈레이트 25.00g
2-사이클로헥실리덴-4-
메트아크릴오일옥시메틸-1,3-디옥솔란 5.00g
t-부틸 퍼벤조에이트 0.05g
성분(A)를 액상 제제 1 또는 2와 혼합시키고 목재 주걱을 사용하여 2분 동안 격렬하게 교반시킨다. 당해 방식으로 수득된 육안으로 균질한 페이스트의 점도는 24시간내에 약간 증가한다. 이어서, 도달한 적가가능한 적합한 점도의 페이스트 농도를 30일 이상 동안 실온 조건하에 저장시에 유지시킨다.
b) 반응성 플라스티졸의 필름화
당해 페이스트를 두께가 약 1.5mm인 유리판 및 두께가 약 5mm인 알루미늄 접시 둘 다로 성형시킨다. 필름화는 130℃에서 20분 이내에 발생한다.
결과
(A)에 따른 겔화 플라스티졸+제제 1은 상대적으로 견고하고 가죽처럼 유연할 뿐만 아니라, 절대적으로 점성이 없다.
혼합물(A)+제제 2는 또한 점성이 없는 다소 유연하고 거의 고무처럼 가소성이고 또한 두드러진 강도를 갖는 물질을 제공한다.
A+순수 가소제[성분(B)는 없음]를 기본으로 하는 비교 실험은 극도로 유연하고 점성이며 아주 낮은 강도를 갖는 겔을 제공한다.

Claims (13)

  1. (A) 플라스티졸에 대한 기재 중합체로서 공지된 열적 필름-형성 중합체 P,
    (B) 하나 이상의 일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RM으로 이루어진 반응성 단량체 분획,
    (C) 열적 필름-형성 중합체 P와 혼화성인 하나 이상의 저분자량 또는 올리고머성 가소제 W,
    (D) 다른 가교결합 단량체 VM, 및
    (E) 공지된 충전제, 안료 및 보조제를 함유하는 반응성 플라스티졸.
  2. 제1항에 있어서, 열적 필름-형성 중합체 P가 폴리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기본으로 하는 폴리(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P-M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성 플라스티졸.
  3. 제2항에 있어서, 폴리(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가 분무 건조된 에멀젼 중합체 형태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성 플라스티졸.
  4. 제1항에 있어서, 열적 필름-형성 중합체 P가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스티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성 플라스티졸.
  5. 제4항에 있어서,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스티렌 공중합체가 분무 건조된 에멀젼 중합체 형태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성 플라스티졸.
  6. 제2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P-M 또는 스티렌 공중합체가 P-M을 기본으로 하는 극성 공단량체를 0 내지 20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성 플라스티졸.
  7. 제5항에 있어서, 극성 공단량체가 (메트)아크릴산 또는 (메트)아크릴아미드, 말레산, 무수 말레산, 푸마르산 및 이타콘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성 플라스티졸.
  8.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A) 및 성분 (B)가 1:20 내지 20:1의 중량비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성 플라스티졸.
  9.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응성 단량체 성분(B)을 구성하는 일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RM이 화학식 Ⅰ의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성 플라스티졸.
    화학식 Ⅰ
    상기식에서,
    R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n은 0, 1 내지 20이고,
    P는 알킬렌 -(CH2)m-O-(여기서, m은 1 내지 6이고, 알킬렌 그룹은 또한 측쇄일 수 있다)이고,
    Q는 측쇄일 수도 있는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 그룹, 및 또한
    - 사이클로알킬, 폴리사이클릭 알킬 그룹,
    - 방향족 그룹, 페닐 그룹,
    - 치환된 방향족 화합물,
    - 아릴옥시 그룹,
    - 헤테로사이클,
    - 수소이다.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교결합 단량체 VM이 0.1 내지 15중량%의 비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성 플라스티졸.
  11. 하도피복물, 바닥 피복물, 직물 피복물, 점적 용접 페이스트로서 또는 유연성 물질에 대한 피복 물질로서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반응성 플라스티졸의 용도.
  12. 제8항에 있어서, 2-사이클로헥실리덴-4-메트아크릴오일옥시메틸-1,3-디옥솔란이 화학식 Ⅰ의 화합물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성 플라스티졸.
  13. 제8항에 있어서, 디사이클로펜타디에닐옥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가 화학식 Ⅰ의 화합물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성 플라스티졸.
KR1020007002852A 1997-09-20 1998-09-16 반응성 플라스티졸 및 이를 포함하는 재료 KR100546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41614 1997-09-20
DE19741614.4 1997-09-20
DE19827384A DE19827384A1 (de) 1997-09-20 1998-06-19 Thermisch verfilmbare Massen mit einem polymerisierbarem Bestandteil (Reaktivplastisole)
DE19827384.3 1998-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618A true KR20010030618A (ko) 2001-04-16
KR100546946B1 KR100546946B1 (ko) 2006-02-01

Family

ID=784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2852A KR100546946B1 (ko) 1997-09-20 1998-09-16 반응성 플라스티졸 및 이를 포함하는 재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426419A3 (ko)
KR (1) KR100546946B1 (ko)
DE (2) DE198273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29735B4 (de) * 2000-06-23 2006-09-21 Röhm GmbH & Co. KG Schäumbare Poly(meth)acrylatplastisole sowie ihre Verwendung
FR2981652B1 (fr) * 2011-10-21 2015-03-27 Arkema France Composites via la polymerisation in-situ de resines thermoplastiques methacryliqu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5630A (ja) * 1987-01-29 1988-08-01 東洋鋼板株式会社 高硬度塩化ビニル被覆鋼板の製造方法
US4900771A (en) * 1989-01-26 1990-02-13 Aster, Inc. Hot applied plastisol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827384A1 (de) 1999-04-01
DE59812253D1 (de) 2004-12-16
KR100546946B1 (ko) 2006-02-01
EP1426419A3 (de) 2005-03-02
EP1426419A2 (de) 200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5950B2 (en) Improved poly(meth)acrylate plastisol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4071653A (en) Powdery copolymer comprising methyl methacrylate and monomer having a basic nitrogen atom
US5804650A (en) Aqueous dispersion of vinylidene fluoride copolymer, aqueous dispersion of vinylidene fluoride seed polymer and processes for preparation of the same
US6355712B1 (en) Polyalkyl methacrylate plastisols with improved flow properties
US5744544A (en) High solids copolymer dispersion from a latex and its use in sealants
US4215028A (en) Thermosetting resin, and its production and use
GB1582871A (en) Cyanoacrylate adhesive paste compositions
CN103946323B (zh) 羟乙基纤维素接枝的丙烯酸胶乳
JP2634822B2 (ja) スチレン/アクリロニトリル共重合体を基剤としたプラスチゾル
US6495626B1 (en) Plastisol compositions with two dissimilar acrylic polymer components
EP0534847B1 (en) Plastisol compositions
EP0310331B1 (en) Non-aqueous dispersion,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US6288190B1 (en) Materials which can be thermally coated with a polymerizable component
US3875262A (en) Stabilized organosols through the inter-reaction of functional groups on the stabilizer and dispersed polymers
JPS632304B2 (ko)
KR100546946B1 (ko) 반응성 플라스티졸 및 이를 포함하는 재료
JPS59147058A (ja) 彩石プラスタ−用の濃化結合剤
JPS6318602B2 (ko)
JPH04233914A (ja) ビニルアセテート/エチレンコポリマーとポリ(ビニルクロライド)の現場重合ブレンド
JPH0586402B2 (ko)
US3247151A (en) Post curing polymer of vinyl acetate, allyl glycidyl ether and unsaturated acid
Deb et al. Grafting. IV. Graft tercopolymers as antifouling resin
JP3295484B2 (ja) 水性被覆組成物
JPH04224855A (ja) 架橋性の非イオン界面活性剤で調製された水性ポリマーエマルジョン
JPS6284110A (ja) 散布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