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441A - 이젝터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이젝터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441A
KR20010030441A KR1020000055081A KR20000055081A KR20010030441A KR 20010030441 A KR20010030441 A KR 20010030441A KR 1020000055081 A KR1020000055081 A KR 1020000055081A KR 20000055081 A KR20000055081 A KR 20000055081A KR 20010030441 A KR20010030441 A KR 20010030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connector assembly
piece
card
rotat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5012B1 (ko
Inventor
히라따도시히사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Publication of KR20010030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방측 상에 배치된 카드 접촉자(61)를 갖는 카드 매체(60)를 수용하는 커넥터 조립체(1)가 개시된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카드 매체의 카드 접촉자와 전기 접속을 이루기 위한 단자(24)를 갖는 헤더(20)와, 상기 헤더로부터 카드 매체를 방출시키는 이젝터 유닛(40)을 포함한다. 상기 이젝터 유닛(40)은, 카드로 방출력을 인가시키도록 카드 매체를 헤더 내에 삽입하는 것에 응답하는 스프링 편의식 액츄에이터(41)와, 상기 액츄에이터(4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노치(48)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편(47)과 대향 단부 상의 형상부(49)와, 서로 대면하는 2개의 정지 캠 돌기(50, 51)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편(47)이 하나의 캠 돌기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래칭 기구를 포함하여, 각각의 캠 돌기는 회전편의 일 단부의 노치(48)와 형상편을 따르고, 그에 의해 캠 돌기가 회전편의 일 단부를 파지할 때 회전편이 액츄에이터를 돌려서 잠그도록 한다.

Description

이젝터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 {CONNECTOR ASSEMBLY WITH EJECTOR}
본 발명은 PCMCIA 카드, 소형 플래쉬 카드 또는 기타 카드 매체(이후에는 "카드"라 함) 등의 카드 장치가 합체된 인쇄 회로에 접속될 수 있게 해주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카드 커넥터 조립체는 그 전방면 상에 배열된 복수개의 접촉자를 갖는 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선택된 도체에 납땜되는 커넥터 조립체의 단자들은 카드의 접촉자에 접촉하게 되어서 카드와 인쇄 회로 기판 사이의 전기 접속을 이루게 된다. 대개 커넥터 조립체는 카드의 접촉자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단자를 갖는 헤더와 카드를 헤더로부터 방출시키기 위한 이젝터를 포함한다. 공지의 이젝터 유닛은 하트형 캠과 로드 형태의 캠 종동기를 사용하며, 상기 캠 종동기는 캠이 회전하여 액츄에이터를 로드 돌기의 작용을 통해서 제어식으로 이동시키도록 액츄에이터로부터 돌출한다.
이러한 이젝터 유닛은 구조가 복잡하고 복수개의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비교적 비싸다. 또한, 부품들은 마찰 형태의 작동 상태로 기능함으로써 쉽게 마모되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파편을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마찰 방식으로 작동하지 않아서 마찰 작동 부품으로부터 야기되는 상기 결함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를 마련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조립 사시도.
도2는 커넥터 조립체의 일부의 단면도.
도3은 이젝터 유닛의 확대된 전방 단부도.
도4는 이젝터 유닛의 확대된 평면도.
도5는 평면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케이싱을 은선으로 도시한 도면.
도6a 내지 도 6j는 이젝터 부품이 기능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7은 회전편 상에 탄성 효과를 제공하도록 회전편의 굽힘을 도시하는 도면.
도8은 탄성 라이저가 형성된 회전편의 다른 예의 사시도.
도9는 탄성 라이저가 고정된 액츄에이터의 일 예의 사시도.
도10은 깔대기형 개구가 내부에 형성된 회전편의 다른 예의 사시도.
도11은 소정 각도 위치들에의 도달에 응답하여 클릭하도록 구성된 액츄에이터의 확대된 부분 단면도.
도12는 도11의 액츄에이터의 확대 평면도로서, 케이싱을 은선으로 도시한 도면.
도13은 도11의 액츄에이터의 확대된 측면도.
도14는 이젝터 유닛에 평행하게 배치된 두 세트의 회전편 및 캠 돌출부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의 확대된 단부도.
도15는 도14의 커넥터 조립체의 확대된 평면도로서, 케이싱을 은선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넥터 조립체
20 : 헤더
23 : U형 절연 하우징
24 : 단자
40 : 이젝터 유닛
42 : 케이싱
47 : 회전편
50 : 캠 돌기
60 : 카드 매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메모리 카드 또는 자체의 전방면 상에 배열된 복수개의 접촉자를 갖는 임의의 다른 판형 매체와의 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메모리 카드 또는 판형 매체의 접촉자와의 전기 접속을 이루기 위한 복수개의 대응 단자를 갖는 헤더와, 상기 카드 또는 판형 매체를 헤더로부터 방출시키기 위한 이젝터 유닛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는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되는데, 여기서 이젝터 유닛은 합체된 스프링의 조력으로 카드 또는 판형 매체에 방출력을 인가하기 위해 카드 또는 판형 매체가 헤더 안에 삽입되는 것에 응답하는 스프링 편의식(spring-biased) 액츄에이터와, 자체의 대향 단부들 상에 만들어진 노치들을 갖고 액츄에이터에 회전식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형 회전편과, 상기 회전편이 하나의 캠 돌기로부터 다른 하나의 캠 돌기로 또는 그 역으로 이동하게 허용하여 각각의 캠 돌기가 회전편의 일단 또는 타단의 노치형 섹션 및 선택된 형상의 섹션을 따르도록 허용하도록 서로 대면하는 고정 캠 돌기를 구비함으로써 회전편을 회전시켜 이의 일단 또는 타단을 거는 캠 돌기중 하나와 액츄에이터를 로킹하게 되는 래칭 기구를 포함한다.
이렇게 구성된 커넥터 조립체는 구조가 간단하고 하트-로드형 캠 기구와 같은 또 다른 부품 위에서 활주하는 어떠한 마찰 부품도 사용하지 않아서 파편을 일으키지 않는다.
이젝터 유닛은 회전편을 액츄에이터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수단도 포함한다.
이젝터 유닛은 클릭을 위한 선택된 각도 위치들에 회전편의 도달에 응답하는 수단도 포함한다.
이젝터 유닛은 헤더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젝터 유닛은 두세트 이상의 회전편-캠 돌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신규한 것으로 생각되는 본 발명의 특징은 특히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와 함께 설명되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과 함께 본 발명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1은 전면에 복수개의 접촉자(61)가 배치된 전자 메모리 카드 또는 다른 판형 매체(60)를 수납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1)를 도시한다. 커넥터 조립체(1)는, 카드 매체(60)의 카드 접촉자(61)와 접촉되는 복수개의 대응 단자(24)를 갖는 헤더(20)와, 헤더(20)로부터 카드를 방출하기 위한 이젝터 유닛(40)을 포함한다. 헤더(20)는, 측방향부(22) 및 측방향부(22)의 대향 단부들에 일체로 연결된 두 개의 대향 종방향부(21)를 포함하는, U형 절연 하우징(23)을 포함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부(22)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치되어 내부에 장착된 단자(24)들을 포함한다.
대향 종방향부(21)들은 카드 매체(60)의 폭에 대략 동일한 거리로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헤더(20) 내로 삽입 중 카드 매체(60)를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도1에서, 종방향부(21)는 상부 후방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내향 돌기(25)를 갖는다. 도2에서, 각 단자(24)는 일 단부 상에 형성된 접촉 단부(26)와 다른 단부 상에 형성된 납땜 미부(27)를 갖는다. 단자(24)의 접촉 단부(26)는 카드 매체(60)의 전방 엣지 상의 대응 카드 접촉자(61)와 접촉한다. 각 단자의 중간부는 (도시된) 오버몰딩 또는 스티칭에 의해 하우징(23)의 삽입된 측방향부(22)이다.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종방향부(21)는 그 하단부에 고정된 판형 스테이(28)(또는 피팅 네일)를 갖는다. 피팅 네일(28)의 수평편은 단자(24)의 납땜 미부(27)와 같은 평면에 있어서, 헤더(20)가 인쇄 회로 기판의 대응 도체에 단자의 납땜 미부를 납땜함으로써 (도시되지 않은) 아래의 인쇄 회로 기판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도4 및 도5에서, 이젝터 유닛(40)은 보다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 편의식 액츄에이터(41)와 노치 형성된 회전편(47)과 래칭 기구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41)는 박스형 케이싱(42)으로부터 돌출되며, 헤드(20) 내로 카드의 삽입에 대응하여 액츄에이터는 박스형 케이싱(42)의 바닥에 위치된 스프링(45)의 도움으로 카드 매체(60)에 일정한 방출력을 가한다. 케이싱(42)은 전방 대향 측면들에 고정된 L형 고정 금속부(43)를 갖는다. 이들 고정 금속부(43)는 그 측방향 플랩에 형성된 구멍을 가지며, 헤더(20)의 측방향부(22)는 그 전면에 카운터 테이퍼형 구멍(29)을 갖는다. 케이싱(42)이 측부(22)의 중심 노치(30)에 활주가능하게 끼워지는 돌출 액츄에이터(41)로 헤더(20)의 측방향부(22)의 전방 측부에 적용될 때, 고정 금속부(43)의 구멍(44)들은 측방향부(22)의 암나사 구멍(29)과 정렬함으로써, 이젝터 유닛(40)이 나사(미도시함)로 헤더(20)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허용한다. 이젝터 유닛(40)이 헤더(20)의 측방향부(22)의 전방 측부에 고정될 때, 액츄에이터(41)는 삽입 카드(5)를 향해 측방향부(22)의 위로 연장한다.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면, 그 상부면에 피벗 스터드(46)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노치가 형성된 직사각형 회전편(47)을 갖는다. 회전편(47)은 그 대향 단측부상에 이루어진 노치(48)와 경사면(49)을 갖는다. 노치 및 경사면의 외형은 피벗 스터드(46)에 대해 대칭이다.
회전편(47)이 케이싱(42)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과 정렬할 때, 접지 캠 돌기(50, 51)들은 회전편(47)의 대향 단측의 노치 및 경사면 외형과 대면하는 관계로 케이싱(42)의 상부면상에 고정된다. 캠 돌기(51)들 중의 하나는 케이싱(42)의 개구측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다른 제2 캠 돌기(50)는 케이싱의 저부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제2 캠 돌기(50)는 회전편(47)을 향하는 경사진 "V" 자형 단부(50a)를 갖는다. 제1 캠 돌기(51)는 그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서로 엇갈리는 2개의 경사진 "V" 자형 부분(51a, 51b)을 갖는다. 캠 돌기(51)의 이 경사진 "V" 자형 부분(51a, 51b)들은 회전편(47)을 향한다. 각 경사진 "V" 자형은 회전편의 각 단측부 또는 단부의 대응하는 "V" 자형 노치(48)보다 약간 작은 각도를 갖는다.
이제 도6a 내지 도6j를 참조하여, 캠 돌기(50, 51)가 액츄에이터(41)를 잠그고 풀기 위해 회전편(47)을 파지하고 해제하고 회전시키는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초기 위치에서, 액츄에이터(41)가 이 위치에서 스프링(45)의 영향하에 유지되는 동안 회전편(47)의 제1 노치(48)는 액츄에이터(41)가 케이싱(42)으로부터 최대의 거리로 연장하도록 허용하면서 "V" 자형 부분(51b)(도6a)을 추종함으로써 파지된다. 액츄에이터(41)에 외력이 인가함으로써 액츄에이터(41)가 케이싱(42)으로 가압될 때, 회전편(47)은 제1 캠 돌기(51)로부터 이격 이동하고, 제2 캠 돌기(50)를 향해 이동한다(도6b). 회전편(47)의 제2 노치(48)가 제2 캠 돌기(50)의 "V" 자형 단부(50a)에 인접할 때, 회전편(47)은 시계 방향으로 약간 선회하고(도6c), 액츄에이터(41)는 케이싱(42)로부터 최소의 거리로 돌출하면서 정지하게 된다. 액츄에이터(41)는 외부 가압력이 인가되는 한 이 위치에서 유지된다.
액츄에이터(41)에 인가된 가압력의 중단은 액츄에이터(41)가 스프링(45)의 영향하에 외향 이동하도록 허용한다.(도6d) 상세하게는, 회전편(47)은 제1 캠 돌기(51)에 접근하여 회전편(47)의 제1 "V" 자형 노치(48)가 제1 캠 돌기(51)의 "V" 자형 부분(51a)에 인접함으로써, 회전편(47)을 피벗(46)의 주위에 시계 방향으로 약간 선회하게 한다. 이러한 잠금 위치에서, 액츄에이터(41)는 케이싱(42)으로부터 최소의 거리보다 약간 긴 거리(최소의 거리 + 백래시 거리)로 액츄에이터(41)가 연장하도록 허용하면서 정지하게 된다(도6d). 액츄에이터(41)는 액츄에이터(41)가 도6a에 도시된 초기 위치로부터 이격된 거리 "L"로 후퇴한 위치에서 유지된다.
액츄에이터(41)가 도6d에 도시한 부분으로부터 케이싱(42)으로 가압될 때, 회전편(47)은 약간 경사진 상태에서 제2 캠 돌기(50)를 향해 이동하고, 이로써 제2 캠 돌기(50)의 "V" 자형 단부(50a)는 회전편(47)의 타단측부 또는 제2 단부의 "V" 자형 노치에 의해 파지됨이 없이 회전편(47)의 한 길이 방향 측부와 접촉하고, 따라서, 회전편(47)을 시계 방향으로 약간 선회시킨다. 액츄에이터(41)에 인가된 가압력의 중단은 액츄에이터(41)가 케이싱(42)으로부터 더욱 돌출하도록 허용한다. 도6f 내지 도6j는 회전편(47)과 카운터 캠 돌기(51)가 외력 제거후 어떻게 작용하고 상호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6f 내지 도6j을 참조하면, 액츄에이터(41)는 회전편(47)의 제1 노치 단부의 경사부(49)가 제1 캠 돌기(51)의 "V" 자형 부분(51a)과 접촉하여 놓이도록 허용하면서 회전편(47)이 제1 캠 돌기(51)를 향하여 이동하게 함으로써, 회전편(47)을 시계 방향으로 약간 선회시킨다(도6f). 다음에, 제1 캠 돌기(51)의 "V" 자형 부분(51a)은 회전편(47)의 다른 길이방향의 측부를 따라감으로써, 회전편(47)을 보다 큰 거리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도6g). 따라서, 회전편(47)의 제2 노치 단부는 제1 캠 돌기(51)의 "V" 자형 부분(51b)을 추적하면서 대면한다(도6i). 최종적으로 회전편(47)의 제2 노치 단부의 "V" 자형 노치(48)는 (도6j의) 액츄에이터(41)가 케이싱(42)으로부터의 전진 및 돌출을 방지하도록 제1 캠 돌기(51)의 "V" 자형 부분(51b)을 추종함으로써 포집된다.
따라서, 회전편(47)은 (도6a 및 도6j의) 회전편(47) 상의 도면부호(5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도6a에 도시된 초기 위치로부터 도6j에 도시된 최종 위치로 180°회전한다. 액츄에이터(41)는 도6a 내지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 위치에 이르고, 도6d에서 다시 후퇴 및 전진하게 된다. 액츄에이터(41)가 전진 및 후퇴할 때 마다, 회전편(47)은 180°회전한다.
카드 매체(60)가 헤더(20) 내에 삽입될 때, 액츄에이터(41)는 스프링(45)을 압축함으로써 그 돌출 위치(6a)로부터 그 후퇴 위치(6d)로 이동하고, 액츄에이터(41)는 카드 매체(60)가 그 카드 접촉자(61)와 함께 단자(24)의 접촉자 단부(26)와 접촉 유지되는 그 후퇴 위치(6d)에 로킹된다.
카드 매체(60)가 헤더(20) 내에 삽입될 때, 회전편(47)은 액츄에이터를 도6d에 도시된 위치에 래치 결합하도록 도6a 내지 도6d에 도시된 대로 연속 위치를 따르게 된다. 카드 매체(60)가 이젝터 유닛(40)을 향해 약간 밀리게 될 때, 회전편(47)은 도6e 내지 도6j에 도시된 대로 이동하고, 스프링(45)에 의해 액츄에이터(41)를 연속적으로 압박하여 카드 매체(60)를 밀어 배출시킨다.
커넥터 조립체(1)에서, 액츄에이터(41)는 액츄에이터(41)의 스터드 피벗(46)에 회전식으로 부착되는 것으로 전술되어 있지만, 회전편(47)은 그에 일체식으로 연결된 피벗 축(46)을 구비할 수 있고, 액츄에이터(41)는 그 중앙에 만들어진 회전편(47)의 피벗 축(46)을 수용하기 위한 베어링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회전편(47)은 회전편(47)에 그 피벗에 평행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액츄에이터(41)에 대해 밀리게 되어, 회전편(47)이 안정된 상태에서 캠 돌기(50, 51)에 인가되고 회전편(47)이 반작용으로서 맞닿는 각각의 캠 돌기로의 회전을 제외하고는 회전이 방지되도록 한다.
회전편(47)은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이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회전편(47)은 절곡되어 케이싱(42)의 상부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밀리게 될 수 있다. 도8은 회전편(47)이 그 상부면으로부터 절단 및 상승된 탄성 라이저(53)를 구비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9는 그 상부면에 고정된 경사진 탄성 패드(54)를 구비한 액츄에이터(41)를 도시한다.
도10은 내부에 만들어진 깔때기형 구멍(65)을 구비한 회전편(47)을 도시한다. 액츄에이터(41)의 스터드 피벗(46)이 회전편(47)의 깔때기형 구멍(65) 내로 삽입될 때, 회전편(47)은 케이싱(42)의 내부 상부면에 대해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도11 내지 도13을 참조하면, 회전편(47)은 양 종방향 측으로부터 연장하는 2 개의 탄성 아암(56)을 구비하여, 선택된 각 위치에서 리세스(58, 59)를 구비한 환형 돌기(57) 상에서 그 접촉자 단부들이 활주하도록 하며, 액츄에이터(41)의 상부면 상에 형성된다.
리세스(58, 59)는 회전편(47)과 반대 캠 돌기(51)가 도6c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아암(56)의 위치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배치되는 한편, 리세스(58, 59)는 회전편(47)과 반대 캠 돌기(51)가 도6e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아암(56)의 위치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카드 매체(60)가 케이싱(42) 내에 삽입되고 카드 매체(60)가 배출될 때, 커넥터 조립체(1)는 들을 수 있는 "딸깍 소리"를 생성한다.
도14 및 도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한 쌍의 회전편(47)을 이용한다. 이러한 회전편(47)은 커넥터 조립체의 종방향 중심선에 대해 대칭 배치되고, 액츄에이터(41)에 고정된다. 2 세트의 캠 돌기(50, 51)는 종방향 중심선에 대해 대칭 배치되고, 케이싱(42)의 상부 내부면에 고정된다. 몇몇 적용예에서, 단 하나의 회전편(47)을 이용한 커넥터 조립체는 액츄에이터(41)가 이동되는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측방향 힘이 생성되게 한다. 그러한 적용예에서, 이러한 효과는 2 개의 회전편이 이용된 도14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에서 방지될 수 있다.
이젝터 유닛(40)은 헤더(20)에 결합되는 것으로 기재 및 도시되어 있다. 이젝터 유닛(40)은 또한 헤더(20)에 고정된 고정판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어쨋든 이젝터 유닛(40)과 헤더(20)는 별도의 부품이고, 필요할 때 새로운 부품에 의해 대치 및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부품들은 쉽게 표준화될 수 있다.
선행 설명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구조가 간단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래칭 기구가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커넥터 조립체에 요구되는 부품의 수는 최소화된다. 커넥터 조립체는 캠 돌기(50, 51)와 회전편(47) 이외의 마찰 부품을 구비하지 않아, 작용 중에 파편을 야기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또는 중심 특성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와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이지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로 인해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마찰 방식으로 작동하지 않아서 마찰 작동 부품으로부터 야기되는 결함을 최소로 할 수 있다.

Claims (5)

  1. 전방측 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카드 접촉자를 갖는 카드 매체를 수용하며, 상기 카드 접촉자와 전기 접속을 이루기 위한 복수개의 단자를 갖는 헤더, 및 상기 헤더로부터 카드 매체를 방출시키는 이젝터 유닛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 유닛은,
    스프링에 의해 방출력을 카드 매체로 인가시키도록 카드 매체를 헤더 내에 삽입하는 것에 응답하는 스프링 편의식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노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 회전편과 상기 회전편의 각각의 대향 단부 상의 형상편, 및
    서로 대면하는 2개의 정지 캠 돌기를 갖고 상기 회전편이 하나의 캠 돌기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래칭 기구를 포함하고,
    캠 돌기의 하나가 회전편의 일 단부를 파지할 때 회전편이 액츄에이터를 돌려서 잠그도록 각각의 캠 돌기는 형상에 있어서 회전편의 각각의 단부에서 노치와 형상편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 유닛은 액츄에이터에 대항하여 회전편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 유닛은 회전편이 선택된 각도 위치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하는 가청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 유닛은 헤더에 일체로 접속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 유닛은 캠 돌기 및 회전편의 2개 이상의 세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00-0055081A 1999-09-20 2000-09-20 이젝터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 KR100405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65397 1999-09-20
JP26539799A JP4247348B2 (ja) 1999-09-20 1999-09-20 カード用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441A true KR20010030441A (ko) 2001-04-16
KR100405012B1 KR100405012B1 (ko) 2003-11-07

Family

ID=1741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081A KR100405012B1 (ko) 1999-09-20 2000-09-20 이젝터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99465B1 (ko)
EP (1) EP1085616A1 (ko)
JP (1) JP4247348B2 (ko)
KR (1) KR100405012B1 (ko)
CN (1) CN1289161A (ko)
CA (1) CA2320599A1 (ko)
TW (1) TW53263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8415B2 (ja) 1999-12-28 2002-10-28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429267B2 (ja) 2000-04-12 2003-07-2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471736B2 (ja) * 2000-10-19 2003-12-0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429266B2 (ja) 2000-10-19 2003-07-2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436530B2 (ja) 2001-02-08 2003-08-11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431608B2 (ja) 2001-03-06 2003-07-28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443102B2 (ja) 2001-03-23 2003-09-0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443103B2 (ja) 2001-03-23 2003-09-0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US7994953B2 (en) * 2008-12-19 2011-08-09 Infineon Technologies Ag Method and module with analog-to-digital converter
US8177564B1 (en) 2010-12-03 2012-05-15 Yamaichi Electronics Co., Ltd. Receptacle connector and an electrical connector using the same
US9634452B2 (en) 2013-08-30 2017-04-25 Atlantic Inertial Systems, Inc.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ejector
CN107275849A (zh) * 2017-07-28 2017-10-20 贵州鑫阳科技股份有限公司 电源线插头
CN114079200B (zh) * 2020-08-11 2023-12-26 正凌精密工业(广东)有限公司 具有直接锁固与旋转预顶出功能的连接器
CN116073304B (zh) * 2023-04-06 2023-07-28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市寒亭区供电公司 一种便于安装的电缆件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475B2 (ja) * 1980-12-29 1985-06-01 富士通株式会社 電気接続体の插着構造
US5816826A (en) * 1996-06-14 1998-10-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mputer circuit board with direct connect peripheral slot assembly
US5825616A (en) * 1997-01-21 1998-10-20 Dell Usa, L.P. Media module locking and ejecting mechanism
US5818691A (en) * 1997-01-21 1998-10-06 Dell Usa, L.P. Portable computer docking system with push to engage and push to disengage connection module
US6089895A (en) * 1997-05-21 2000-07-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ard connector
JP3909923B2 (ja) * 1997-07-31 2007-04-25 バーグ・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カード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32636U (en) 2003-05-11
CA2320599A1 (en) 2001-03-20
KR100405012B1 (ko) 2003-11-07
JP2001093614A (ja) 2001-04-06
JP4247348B2 (ja) 2009-04-02
US6299465B1 (en) 2001-10-09
CN1289161A (zh) 2001-03-28
EP1085616A1 (en) 2001-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9259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shutter mechanism
KR100405012B1 (ko) 이젝터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
US6015311A (en) Contact configuration for smart card reader
US5275573A (en) Electrical connector eject mechanism
JP4539497B2 (ja) メモリカード保持構造
US6276950B1 (en) Socket for printed circuit board
US4390224A (en) Two piece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KR100618437B1 (ko)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US5967811A (en) Memory card connector
US7473115B2 (en) Memory card connector with improved switch structure
US6599142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improved ejector mechanism
US6379167B1 (en) Multimedia c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improved ejector mechanism
US6824407B1 (en) Card edge connector with latch
US6371781B1 (en) ZIF memory module assembly
US5693924A (en) Switching contact mechanism with wipe and backwipe
US20060108420A1 (en) Card connector
US4541678A (en) Printed circuit board indexing and locking device
US20050272283A1 (en) Board grounded memory card connector
JP3083778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
US6413106B1 (en) Card connector having ejection mechanism with two ejection drawer plates
US6174181B1 (en) Card connector
WO19900042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circuit boards and the like
JP4527887B2 (ja) カードコネクタの誤挿入防止装置
JP4425715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US3957334A (en) Printed circuit board array for card re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