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437B1 -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18437B1 KR100618437B1 KR1020047014833A KR20047014833A KR100618437B1 KR 100618437 B1 KR100618437 B1 KR 100618437B1 KR 1020047014833 A KR1020047014833 A KR 1020047014833A KR 20047014833 A KR20047014833 A KR 20047014833A KR 100618437 B1 KR100618437 B1 KR 1006184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mory card
- slider
- case
- card
- heart ca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9—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moving connector housing parts linearly, e.g. slid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모바일 기기에 이용되는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하트캠과 캠 핀에 의한 푸시 온/푸시 오프의 기구과 일체적으로, 가이드 록 위치에서 메모리 카드의 록기구를 설치하고, 커넥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케이스에 고정된 콘택트 블록(4)에 하트캠 홈부(25)를 설치하고, 케이스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에 록부재의 일단을 회전 자유롭게 축 지지한다. 또한 록부재의 타단에 캠 핀을 설치해, 슬라이더의 왕복이동에 의해 캠 핀을 하트캠 홈에 따라 이동시킨다. 또한 록부재(28)에, 메모리 카드(100)측의 돌출하는 록용 돌기(28d)를 설치한다. 하트캠 홈을 카드 록 위치에서 슬라이더의 이동이 록됨과 동시에, 록용 돌기(28d)가 메모리 카드에 설치된 록용 오목부(105)에 계합하도록 형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니 SD카드와 같은 메모리 카드에 접속되며, 메모리 카드에 대해서 데이터의 기록 및 판독을 행하는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카메라 내장형 휴대전화의 보급에 따라, 휴대전화에도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가 탑재된 것 등이 실용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모바일 기기는, 유저가 손에 들고 사용할 뿐만 아니라 빈번하게 가방이나 옷 주머니 등에서 꺼내고, 또 집어넣게 된다. 그 때문에, 모바일 기기가 취급되는 빈도가 높아지게 됨에 따라, 낙하 등에 의한 외력이 가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 때문에, 예컨대 일본실용공개 평1-75983호 공보에 나타낸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는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메모리 카드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트캠과 가이드 핀에 의한 푸시 온/푸시 오프의 기능과는 별개로, 카드 록(lock) 위치에서 메모리 카드의 록용 오목부와 록부재를 계지(係止)시키는 것에 의해, 메모리 카드의 빠짐방지를 행하는 록기구를 가지고 있다.
한편,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를 탑재한 모바일 기기를 더 소형화하기 위해서, 미니 SD카드와 같이, 메모리 카드 자체를 소형화하는 것, 및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도 소형화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와 같이, 푸시 온/푸시 오프의 기구와는 별도로 록기구를 설치하면, 메모리 카드가 소형화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커넥터 자체는 그다지 소형화되지 않아, 모바일 기기를 더 소형화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메모리 카드의 소형화에 대응하여, 소형화가 가능한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는,
전부(前部)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가 설치된 상자모양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후단 근방에 설치되고, 메모리 카드의 I/O 접촉단자에 접촉하는 복수의 콘택트를 그 접촉부가 상기 카드 삽입구측에 돌출하도록 배열 유지한 콘택트 블록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콘택트 블록과 상기 카드 삽입구와의 사이에서 상기 케이스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카드 삽입구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선단부와 접촉하는 접촉부 및 메모리 카드의 가장자리를 가이드하는 암부를 가지며, 상기 메모리 카드의 이동에 따라 메모리 카드와 함께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카드 삽입구측으로 상시 부세(付勢)하는 스프링과,
상기 콘택트 블록에 설치되고, 하트캠 및 상기 하트캠의 주변에 형성된 가이 드 홈을 가지는 하트캠 홈부와,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설치된 가이드 핀이 상기 하트캠 홈부의 가이드 홈에 요동 가능하게 감합되며,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설치된 회동축이 상기 슬라이더의 측부에 설치된 축 구멍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전후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케이스의 전후방향의 최후부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메모리 카드로의 밀어넣는 힘이 해제되었을 때에,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하트캠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오목부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소정의 위치에서 록하는 록부재와,
상기 록부재의 상기 케이스의 전후방향에서의 중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록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이 록된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메모리 카드측으로 돌출하여 메모리 카드에 설치된 록용의 오목부와 계합(係合)하는 록용 돌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케이스에 고정된 콘택트 블록에 하트캠 홈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종래예와 같이 하트캠 홈부를 슬라이더에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슬라이더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를 소정위치에 록하기 위한 록부재에, 메모리 카드의 록용 오목부와 계합하여 빠짐방지를 행하는 록용 돌기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종래예와 같이 푸시 온/푸시 오프의 기구와는 별도로 메모리 카드를 록하는 기구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커넥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부품수를 적게 하여 커넥터(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상기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슬라이더가 카드 추출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슬라이더가 카드 셋트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4A, 도4B 및 도4C는 각각 슬라이더가 카드 셋트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의 커버쉘을 벗겨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5A, 도5B 및 도5C는 각각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의 콘택트 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배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6A, 도6B 및 도6C는 각각 메모리 카드용 커넥턱의 록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7A, 도7B, 도7C 및 도7D는 각각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의 슬라이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배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8은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의 슬라이더가 카드 추출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측단면도이다.
도9는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10은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의 커버쉘을 벗겨낸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를 확배한 평면도이다.
도11은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의 일부를 생략한 정면도이다.
도12A 및 도12B는 각각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 메모리 카드를 삽입하는 초기상태에서의 록부재 부근을 확대한 평면도 및 측부 단면도이다.
도13은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 메모리 카드를 삽입하는 도중의 상태에서의 록부재 부근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14A 및 도14B는 각각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 메모리 카드를 카드 셋트위치까지 삽입한 상태에서의 록부재 부근을 확대한 평면도 및 측부단면도이다.
도15는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로부터 메모리 카드를 추출하는 도중의 상태에서의 록부재 부근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16A, 도16B, 도16C, 도16D 및 도16E는 각각 메모리 카드의 일예인 미니 SD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우측면도, 저면도, 배면도 및 정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형태에서의 메모리 카드의 일예로서, 미니 SD카드의 구성을 도16A에서 도16E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니 SD카드 이외의 메모리 카드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메모리 카드(100)는 종래의 SD메모리를 소형화 한 미니 SD카드라 불리는 것으로, 두께는 종래와 거의 동일하지만, 외형이 한층 작게 되어 있다. 각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메모리 카드(100)는 편평한 거의 구형판 모양으로서, 삽입측(전부)의 한쪽의 모서리에는 노치부(101)가 설치되어 있다. 또 메모리 카드(100)의 삽입측의 저면(底面)에는 오목부(102)가 형성되며, 이 오목부(102)에는 복수(미니 SD카드의 경우는 11개)의 I/O 접촉단자(103)가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메모리 카드(100)의 삽입측의 좌우 양 가장자리에는 각각 상향의 단차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 카드(100)의 상면의 좌우 양 가장자리에서, 또 노치부(101)보다도 뒤쪽(삽입측과 반대측)의 위치에는 각각 록용 오목부(105)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이하, 「커넥터1」라 한다)의 구조를 도1에서 도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는 아주 얇은 스테인레스 금속판을 펀칭하고, 굽힘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커버쉘(2)과, 마찬가지로 아주 얇은 스테인레스 금속판을 펀칭하고, 굽힘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베이스쉘(3)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쉘(3)은 바닥판(3A)의 양측부를 상향(케이스(1A)의 내측에 대응)으로 구부려 형성된 측벽(30)을 가지고, 베이스쉘(3)의 전후단(前後端)이 각각 개방되어 있다. 베이스쉘(3)의 후단에는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돌출편(9)이 상향으로 구부려져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커버쉘(2)은 천정판(2A)의 양측부를 하향(케이스(1A)의 내측에 대응)으로 구부려 형성된 측벽(20)을 가진다. 또한 커버쉘(2)의 후단에는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돌출편(21)이 하향으로 구부려져 형성되어 있다. 커버쉘(2)을 베이스쉘(3) 상에 피착시키는 것에 의해, 편평하고 또 전면에 메모리 카드(100)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3a)(도4A 참조)가 형성된 케이스(1A)가 구성된다. 또한 베이스쉘(3)의 바닥판(3A)의 후단보다도 약간 전방의 위치에는 후술하는 콘택트 블록(4)에 유지된 콘택트(10) 및 스위치편(50a, 50b)(도10 참조)이 돌출하는 복 수의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A)의 내부에는 콘택트 블록(4) 및 슬라이더(5)가 수납된다. 콘택트 블록(4)은 케이스(1A)의 내부에서 또 카드 삽입구(3a)와는 반대측의 후단부 근방에 고정된다. 한편, 슬라이더(5)는 케이스(1A)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도2는 슬라이더(5)가 카드 추출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3은 슬라이더(5)가 카드 셋트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케이스(1A)의 내부에 콘택트 블록(4) 및 슬라이더(5)를 설치하여 완성된 커넥터(1)를 도4A에서 도4C에 나타낸다.
콘택트 블록(4)은 수지형성에 의해 형성된 기체(7)와, 인서트 또는 압입에 의해 기체(7)에 유지된 콘택트(10) 및 스위치편(50a, 50b)(도10 참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콘택트(10)는 메모리 카드(100)의 저면의 삽입측에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I/O 접촉단자(103)에 각각 접촉한다. 또한 한쌍의 스위치편(50a, 50b)은 메모리 카드(100)의 위치검출용으로 사용된다. 각 콘택트(10) 및 스위치편(50a, 50b)의 접촉측은 각각 기체(7)에서 전면측(카드 삽입구(3a)측)으로 돌출되고, 회로기판 등에 납땜되는 납땜단자부(32)는 각각 기체(7)의 후단측으로 돌출되어 있다(도9 참조).
도5A에서 도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7)는 케이스(1A)의 폭방향으로 연장한 주부(主部)(7a)와, 주부(7a)의(예컨대 좌측의) 일단에서 케이스(1A)의 카드 삽입구(3a)측으로 돌출한 돌출부(7b)로 구성되어 있다. 기체(7)의 주부(7a)의 전면에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단차부에 일단이 개구하도록 케이스(1A)의 두 께방향으로 관통하여 베이스쉘(3)의 돌출편(9)이 아래쪽에서 압입되는 복수의 압입구멍(8)과, 주부(7a)의 상면에 개구하여 커버쉘(2)의 돌출편(21)이 위쪽에서 압입되는 복수의 압입구멍(2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블록(4)을 베이스쉘(3)의 바닥판(3A) 상에 얹어놓고, 베이스쉘(3)의 위에서 커버쉘(2)을 피착시키면, 베이스쉘(3)의 돌출편(9)이 아래쪽에서 압입구멍(8)으로 압입됨과 동시에, 커버쉘(2)의 돌출편(21)이 위쪽에서 압입구멍(22)으로 압입되며, 케이스(1A)가 형성됨과 동시에 콘택트 블록(4)이 케이스(1A)에 고정된다.
또한,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쉘(2)의 양측벽(20)에는, 각각 구부려 세우는 것에 의해 복수의 탄성계지부(34)가, 그 선단이 상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쉘(3)의 양측벽(30)에도, 탄성계지부(34)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계지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쉘(2)을 베이스쉘(3)에 피착시키면, 탄성계지부(34)가 계지구멍(35)에 계지되어 커버쉘(2)과 베이스쉘(3)의 결합이 강화된다.
기체(7)의 돌출부(7b)의 상면에는, 하트캠 홈부(25)가 형성되어 있다. 하트캠 홈부(25)는 하트캠(26)과 하트캠(26)의 주변에 형성된 가이드 홈(27)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27)에는 후술하는 록부재(28)의 가이드 핀(28a)이 접동 가능하게 감합된다. 가이드 핀(28a)은 슬라이더(5)의 전후방향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 홈(27)의 측벽과 가이드 홈(27)의 저면(27a)에 형성된 요철면에 의해 가이드 되고, 가이드 홈(27)을 소정의 경로에 따라 이동한다.
도6A에서 도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부재(28)는 폭이 좁은 금속판에 의해 케이스(1A)의 위쪽에서 보아서 거의 「く」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록부재(28) 의 일단부에는 가이드 핀(28a)이 설치되며, 타단부에는 회동축(28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록부재(28)의 굴곡부(28c)의 내측의 테두리(메모리 카드(100)측의 가장자리)에는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돌출하는 록용 돌기(28d)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체(7)의 돌출부(7b)의 전단부의 하면에는 베이스쉘(3)에 설치된 스프링 자리(도시하지 않음)를 놓치기 위한 노치(1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체(7)의 주부(7a)의 돌출부(7b)와는 반대측의 단부의 하면에도, 베이스쉘(3)에 설치된 스프링 자리(도시하지 않음)를 놓치기 위한 노치(14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노치(14a 및 14b)에 후술하는 부세용의 코일 스프링(13)의 후단부를 삽입하고, 스프링 자리에 의해 코일 스프링(13)의 후단을 받는다.
도7A에서 도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5)는 수지성형에 의해 거의 「コ」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메모리 카드(100)의 좌우의 가장자리를 가이드 하는 암부(5b 및 5c)와, 암부(5b 및 5c)의 후부의 상측의 테두리 사이를 연결하여 메모리 카드(100)의 선단 상부와 접촉하는 접촉부(5a)와, 양(兩)암부(5b와 5c)의 전부(前部) 하측 테두리를 연결하는 연결편(5d)을 가지고 있다. 도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암부(5b 및 5c)의 전단 근방의 내측면에는 내측면의 간격이 전방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퍼지도록 경사면(19)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암부(5b)는 커넥터(1)의 전후방향의 거의 중간부에서 외측으로 굴곡해 있으며, 메모리 카드(100)의 노치부(101)와 접촉하는 경사부(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암부(5b)의 전단부의 상면에는 록부재(28)의 단부에 설치된 회동축(28b) 을 축 지지하는 축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록부재(28)는 한쪽의 가이드 핀(28a)이 하트캠 홈부(25)의 가이드 홈(27)에 접동 가능하게 감합됨과 동시에, 다른쪽의 회동축(28B)이 축 구멍(18)에 축 지지된다. 그 때문에, 슬라이더(5)의 전후방향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 핀(28a)이 가이드 홈(27)에 가이드 되어 하트캠(26)의 주변을 이동하면, 록부재(28)가 회동축(28b)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하며, 록부재(28)의 회동에 따라 록용 돌기(28d)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한다.
도10을 참조하여, 하트캠 홈부(25)의 가이드 홈(27)은 슬라이더(5)가 가이드 삽입위치에 있을 때의 가이드 핀(28a)의 초기위치(P1)와, 슬라이더(5)가 가이드 록위치에 있을 때의 가이드 핀(28a)의 위치(P4)(오목부(26a))를 잇는 선이, 슬라이더(5)의 이동방향(케이스(1A)의 전후방향)과 평행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핀(28a)이 가이드 홈(27) 내를 이동하는 것에 따라 록부재(28)가 회동축(28b)을 중심으로 회동하지만, 가령 위치 P1와 P4를 잇는 선이 슬라이더(5)의 이동방향에 평행하다고 한 경우보다도 록부재(28)의 회전범위가 크게 되며, 그 결과 록부재(28)의 회동동작에 따른 록용 돌기(28d)의 이동범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양암부(5b 및 5c)의 후부의 내측의 위쪽 테두리에는, 각각 메모리 카드(100)의 상향 단차부(104)가 얹혀지고, 그 위를 단차부(104)가 접동하는 가이드 레일(1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양암부(5b 및 5c)의 하측의 면에는 각각 후면측에 개방된 거의 U자 모양의 가는 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는 홈(17)에는 코일 스프링(13)의 전단(前端)부가 수납되며, 가는 홈(17)의 전단의 내면에서 코일 스프 링(13)의 부세력을 받는다. 양암부(5b 및 5c)에서 균등하게 코일 스프링(13, 13)(부세용 스프링)의 부세력을 전(前)방향으로 받는 것에 의해, 슬라이더(5)가 케이스(1A)의 내부에서 기울지 않고, 부드럽게 전후방향으로 접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를 조립하는데 있어서는, 먼저, 베이스쉘(3)의 상면 후부에 콘택트 블록(4)을 얹어놓고, 베이스쉘(3)에 설치된 돌출편(9)을 콘택트 블록(4)의 압입구멍(8)에 아래쪽에서 압입하여 콘택트 블록(4)을 베이스쉘(3) 상에 고정한다. 다음에, 베이스쉘(3)에 스프링 가이드(41)(도7A 참조)를 압입하고, 각 코일 스프링(13)을 삽입한다. 그리고, 콘택트 블록(4)의 전방측의 베이스쉘(3) 상에 슬라이더(5)를 재치한다. 이때, 코일 스프링(13, 13)의 전부(前部)를 슬라이더(5)의 양암부(5b 및 5c)의 후부 측면에 형성된 가는 홈(17)에 감합시킨다. 그리고, 록부재(28)의 일단의 회동축(28b)을 슬라이더(5)의 각편(脚片)(5b)에 설치된 축 구멍(18)내에 감합시키고, 축 구멍(18)에 축 지지시킴과 동시에, 록부재(28)의 타단의 가이드 핀(28a)을 가이드 홈(27)내에 감합시킨다.
슬라이더(5)는 코일 스프링(13)에 의해 부세되어 있으므로, 전방(카드 삽입구(3a)측))으로 눌러 움직여, 양암부(5b 및 5c)의 전단부가 베이스쉘(3)의 전단에 설치된 돌편(23)의 이면에 충돌한다. 그 때문에, 슬라이더(5)는 그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록부재(28)의 가이드 핀(28a)이 가이드 홈(27)의 전단의 초기위치(P1)로 이동하고, 록용 돌기(28d)가 록용 오목부(105)에서 밖으로 퇴피하고 있다(도10 참조).
이와 같이 하여 베이스쉘(3) 상에 콘택트 블록(4) 및 슬라이더(5)를 배치함 과 동시에, 코일 스피링(13) 및 록부재(28)를 장착한 후, 커버쉘(2)을 위쪽에서 베이스쉘(3)로 덮는다. 그때, 커버쉘(2)에 형성된 돌출편(21)이 콘택트 블록(4)의 기체(7)의 압입구멍(22)에 위쪽에서 압입됨과 동시에, 양측벽(20)이 베이스쉘(3)의 양측벽(30)의 외측면에 따르도록 수하(垂下)시킨다. 커버쉘(2)의 양측벽(20)에 형성된 탄성계지부(34)의 상향의 선부(先部)가 베이스쉘(3)의 양측벽(30)에 대응하도록 설치된 계지구멍(35)에 계지된다. 이것에 의해, 커버쉘(2)과 베이스쉘(3)이 서로 결합되고, 편평하게 전부(前部)에 카드 삽입구(3a)를 가지는 상자모양의 케이스(1A)가 형성된다. 그것과 동시에, 커넥터(1)가 완성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는 각 콘택트(10) 및 스위치편(50a 및 50b)의 납땜단자부(32)의 하면과, 베이스쉘(3)의 전부(前部) 양쪽 테두리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어스용의 납땜부(33)(도11 참조)의 하면을 낮게 한 SMD형의 커넥터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금속제의 커넥터(1)의 케이스(1A)를 어스하는 것에 의해, 정전기나 외부 노이즈에 대해 강한 것으로 된다.
도8은 메모리 카드(100)를 삽착(揷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커넥터(1)의 측부 단면도이다. 이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13)의 부세력을 받아 슬라이더(5)가 카드 삽입구(3a)측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때, 도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부재(28)의 가이드 핀(28a)은 초기위치(P1)로 이동하고 있으며(도12(a) 참조), 가이드 홈(27) 내에서 가장 내측의 위치(메모리 카드(100)에서 먼 위치)로 이동하고 있다. 그 때문에, 록부재(28)는 회동축(28b)을 중심으로 해서 왼쪽 방향으로 한계까지 회전하고, 록용 돌기(28d)가 메모리 카드(100)의 록용 오목부(105)에서 밖 으로 퇴피하고 있다.
다음에, 메모리 카드(100)를 커넥터(1)에 삽착하는 경우의 각부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메모리 카드(100)를 전후방향 및 앞뒤방향을 정규한 방향을 향해 케이스(1A)의 카드 삽입구(3a)로 삽입하면, 메모리 카드(100)의 선부가 케이스(1A)의 내부의 슬라이더(5)의 양암부(5b 및 5c)의 사이에 삽입되며, 메모리 카드(100)의 하면 양측부의 하향 단차부(104)가 받고 슬라이더(5)의 가이드 레일(16)에 접촉한다. 또한 메모리 카드(100)를 케이스(1A)의 내부에 삽입하면, 곧 메모리 카드(100)의 선단 근방의 편측에 형성된 노치부(101)가 슬라이더(5)의 암부(5b)의 경사부(15)에 접촉하고, 또한 메모리 카드(100)의 선부가 접촉부(5a)와 접촉해서 슬라이더(5)를 케이스(1A)의 후방으로 민다. 슬라이더(5)에 가해지는 코일 스프링(13)의 부세력에 대항해, 더 메모리 카드(100)를 밀어넣으면, 메모리 카드(100)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더(5)가 후퇴한다. 슬라이더(5)의 후퇴에 의해, 록부재(28)의 가이드 핀(28a)이 하트캠 홈부(25)의 가이드 홈(27)을 따라 가이드 홈(27)의 측벽 및 바닥부(27a)의 요철면에 따라 가이드되면서, 하트캠(26)의 좌측의 가이드 홈(27)의 위치(P2)로 이동한다(도10 및 도13 참조). 이때, 가이드 핀(28a)의 이동에 따라 록부재(28)는 회동축(28b)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하지만, 하트캠(26)의 좌측의 가이드 홈(27)은 전후방향을 따라 거의 직선으로 연장하고 있으므로, 록부재(28)의 기울기(회전각)는 충분하게 작고, 록용 돌기(28d)는 메모리 카드(100)의 록용 오목부(105) 내에 계입하고 있지 않다.
또한, 메모리 카드(100)를 슬라이더(5)의 접촉부(5a)의 후면이 콘택트 블록 (4)의 기체(7)의 전면에 접촉하는 위치에 가까운 위치까지 밀어넣으면, 록부재(28)의 가이드 핀(28a)이 가이드 홈(27)의 후단에 맞닿는 위치(P3)에 도달해(도10 참조), 메모리 카드(100)를 그 이상의 밀어넣을 수 없게 된다. 그 위치에서 메모리 카드(100)에 가해지고 있는 밀어넣는 힘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13)의 반발력에 의해, 슬라이더(5)가 메모리 카드(100)와 함께 전방으로 되돌아 간다. 그런데, 록부재(28)의 가이드 핀(28a)이 가이드 홈(27)에 안내되면서 이동하여 하트캠(26)의 오목부(26a)(도10의 위치(P4))에 끼워져, 그 이상 슬라이더(5)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 결과 메모리 카드(100)는 그 위치에서 커넥터(1) 내에 고정된다(도14A 및 도14B 참조).
메모리 카드(100)가 밀어넣어지는 것에 의해, 그 선부가 소정위치로 이동하면, 각 콘택트(10)의 선부는 각각 메모리 카드(100)의 이면에 형성된 대응하는 I/O 접촉단자(103)에, 콘택트(10)의 길이에 따라 순차 접촉한다. 또한 전방에 돌출한 스위치편(50a)의 선부가 메모리 카드(100)의 노치부(101) 측면에 의해 눌려져 다른쪽의 스위치편(50b)에 접촉하므로 스위치가 온이 된다(도10 참조). 이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의 검출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메모리 카드(100)가 정규위치에 삽착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슬라이더(5)의 이동은 하트캠(26)의 오목부(26a)에 록부재(28)의 가이드 핀(28a)이 끼워지는 것에 의해 규제되지만, 메모리 카드(100)는 그대로는 커넥터(1)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커넥터(1)에서 탈락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더(5)가 카드 록 위치로 이동하면, 이 슬라이더(5)의 전후이동에 따라 회동하는 록부재(28)의 록용 돌기(28d)가 암부(5b)의 내측(메모리 카드(100)측)으로 돌출하고, 그 선단부가 메모리 카드(100)의 록용 오목부(105)에 계합해 메모리 카드(100)를 록한다. 이 상태를 도14A에 나타낸다. 또한 메모리 카드(100)의 록위치에서는, 록용 돌기(28d)의 약 절반밖에 록용 오목부(105)에 계합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메모리 카드(100)를 무리하게 빼려고 하는 힘이 가해졌을 때도, 록용 돌기(28d)와 록용 오목부(105)와의 계합이 쉽게 빠지게 된다. 그 때문에, 록부재(28)의 파손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삽착된 메모리 카드(100)를 커넥터(1)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케이스(1A)의 카드 삽입구(3a)에서 노출하고 있는 메모리 카드(100)의 후부를 삽입방향으로 눌러, 슬라이더(5)와 함께 메모리 카드(100)를 삽입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에 의해, 록부재(28)의 가이드 핀(28a)이 하트캠(26)의 오목부(26a)에서 이탈하고, 가이드 홈(27)을 따라 오목부(26a)보다 우측의 가이드 홈(27) 내의 위치(P5)로 이동한다. 그때, 록부재(28)는 회동축(28b)을 중심으로 해서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록용 돌기(28d)가 더 메모리 카드(100)측으로 이동해, 록용 돌기(28d)의 거의 전체가 록용 오목부(105) 내로 진입한다.
메모리 카드(100)에 대한 밀어넣는 힘을 해제하면, 슬라이더(5)는 코일 스피링(13)의 부세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따라, 록부재(28)의 가이드 핀(28a)은 가이드 홈(27)의 측벽과 저면에 가이드되면서 하트캠(26)의 우측의 가이드 홈(27) 내의 홈(P6)을 따라 이동한다(도10 참조). 그것에 따라, 록부재(28)가 회동축(28b)을 중심으로 왼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록용 돌기(28d)가 록용 오목부 (105)에서 퇴피한다. 그리고, 슬라이더(5)가 코일 스프링(13)의 부세력에 의해 카드 삽입구(3a)측으로 이동하고, 도12에 나타내는 최기위치(P1)로 복귀한다. 그 결과, 록용 돌기(28d)가 록용 오목부(105)에서 밖으로 대피해, 메모리 카드(100)의 록이 해제된다. 그때, 메모리 카드(100)의 후부가 커넥터(1)의 카드 삽입구(3a)에서 외부로 크게 노출하므로, 메모리 카드(100)를 커넥터(1)에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의 구성에 의하면, 케이스(1A)에 고정된 콘택트 블록(4)에 하트캠 홈부(25)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종래예와 같이 하트캠 홈부를 슬라이더에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슬라이더(5)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5)를 소정위치로 록하기 위한 록부재(28)에, 메모리 카드(100)의 록용 오목부(105)와 계합하여 빠짐방지를 행하는 록용 돌기(28d)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종래예와 같이 푸시 온/푸시 오프의 기능과는 별도로 메모리 카드를 록하는 기구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커넥터(1)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부품수를 적게 하여 커넥터(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5)는 접촉부(5a)와, 접촉부(5a)의 양단부에서 전방을 향해 각각 돌출하는 암부(5b 및 5c)에서 거의 コ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더(5)의 양암부(5b 및 5c)에 의해 메모리 카드(100)의 가장자리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코일 스프링(13)에 의해, 슬라이더(5)의 암부(5b 및 5c)를 케이스(1A)의 카드 삽입구(3a)측에 부세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밸런스 좋게 부세되어 케이스(1A)내를, 그 전후방향으로 부드럽게 이동한다.
또한, 카드 록 위치에서 록용 돌기(28d)의 일부만을 메모리 카드(100)의 록용 오목부(105) 내에 계입시키고 있으므로, 메모리 카드를 빼내려고 하는 무리한 힘이 가해졌을 때에, 록용 돌기(28d)와 록용 오목부(105)와의 계합이 용이하게 벗겨져 록부재(28)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트캠 홈부(25)는 콘택트 블록(4)의 기체(7)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록부재(28)는 케이스(1A)의 천정면(2A) 및 저면(3A)에 대해서 거의 평행한 면에서 회전한다. 그 결과, 케이스(1A)의 높이(두께)를 낮게(얇게) 할 수 있다.
또한, 하트캠 홈부(25)의 가이드 홈(27)은 슬라이더(5)가 카드 삽입위치에 있을 때의 가이드 핀(28a)의 초기위치(P1)와, 슬라이더(5)가 카드 록위치에 있을 때의 가이드 핀(28a)의 위치(P4)(오목부(26a))를 잇는 선이, 슬라이더(5)의 이동방향(케이스(1A)의 전후방향)과 평행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핀(28a)이 가이드 홈(27)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해 록부재(28)가 회전축(28b)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범위가 크게 되며, 그 결과 록부재(28)의 회동동작에 따른 록용 돌기(28d)의 이동범위를 크게 할 수 있다.
본원은 일본국 특허출원 2002-377838에 근거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상기 특허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본원발명에 합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원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형태에 의해 충분하게 기재되어 있지만, 여러가지 변경과 변형이 가능한 것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그와 같은 변경 및 변형은 본원발명의 범위를 일 탈하는 것이 아니라, 본원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 의하면, 메모리 카드의 소형화에 대응하여 커넥터 자체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면서, 메모리 카드의 록기구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낙하 등에 의한 외력이 가해져도 메모리 카드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모바일 기기 등 낙하될 가능성이 높은 기기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 전부(前部)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가 설치된 상자모양의 케이스와,상기 케이스 내부의 후단 근방에 설치되고, 메모리 카드의 I/O 접촉단자에 접촉하는 복수의 콘택트를, 그 접촉부가 상기 카드 삽입구측에 돌출하도록 배열 유지한 콘택트 블록과,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콘택트 블록과 상기 카드 삽입구와의 사이에서 상기 케이스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카드 삽입구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선단부와 접촉하는 접촉부 및 메모리 카드의 가장자리를 가이드하는 암부를 가지며, 상기 메모리 카드의 이동에 따라 메모리 카드와 함께 이동하는 슬라이더와,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카드 삽입구측으로 상시 부세(付勢)하는 스프링과,상기 콘택트 블록에 설치되고, 하트캠 및 상기 하트캠의 주변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가지는 하트캠 홈부와,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설치된 가이드 핀이 상기 하트캠 홈부의 가이드 홈에 요동 가능하게 감합되며,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설치된 회동축이 상기 슬라이더의 측부에 설치된 축 구멍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전후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회동축 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케이스의 전후방향의 최후부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메모리 카드로의 밀어넣는 힘이 해제되었을 때에,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하트캠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오목부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소정의 위치에서 록(lock)하는 록부재와,상기 록부재의 상기 케이스의 전후방향에서의 중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록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이 록된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메모리 카드측으로 돌출하여, 메모리 카드에 설치된 록용의 오목부와 계합(係合)하는 록용 돌기를 구비한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콘택트 블록의 상기 콘택트의 배열방향에 거의 평행하며, 상기 암부는 상기 접촉부의 양단에서, 상기 케이스의 카드 삽입구측을 향해 각각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으로서, 상기 암부를 각각 상기 카드 삽입구측에 부세하도록 2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이 록된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록용 돌기의 일부 만이 메모리 카드의 록용 오목부와 계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하트캠 홈부는, 상기 콘택트 블록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하트캠 홈부의 가이드 홈은, 상기 슬라이더가 카드 삽입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가이드 핀의 초기위치와, 상기 슬라이더가 가이드 록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가이드 핀의 위치를 잇는 선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과 평행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2377838A JP3818256B2 (ja) | 2002-12-26 | 2002-12-26 |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JPJP-P-2002-00377838 | 2002-12-26 | ||
PCT/JP2003/017082 WO2004059798A1 (ja) | 2002-12-26 | 2003-12-26 |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111425A KR20040111425A (ko) | 2004-12-31 |
KR100618437B1 true KR100618437B1 (ko) | 2006-08-30 |
Family
ID=32677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7014833A KR100618437B1 (ko) | 2002-12-26 | 2003-12-26 |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7083446B2 (ko) |
JP (1) | JP3818256B2 (ko) |
KR (1) | KR100618437B1 (ko) |
CN (1) | CN100472892C (ko) |
TW (1) | TWI231627B (ko) |
WO (1) | WO200405979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214098B2 (en) * | 2002-10-03 | 2007-05-08 | Yasuyoshi Matsumoto | Memory card connector |
US7210950B2 (en) * | 2003-05-26 | 2007-05-01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Connector for memory card |
US7147495B2 (en) * | 2004-12-31 | 2006-12-12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Electrical card connector |
CN2699527Y (zh) * | 2004-02-20 | 2005-05-11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子卡连接器及其退卡机构 |
JP4039408B2 (ja) * | 2004-08-18 | 2008-01-30 | 松下電工株式会社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JP2006127809A (ja) * | 2004-10-26 | 2006-05-18 | Alps Electric Co Ltd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JP4799871B2 (ja) * | 2005-01-13 | 2011-10-26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 カードコネクタ |
JP4551227B2 (ja) * | 2005-01-18 | 2010-09-22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 表面実装型電気コネクタ |
TWI294198B (en) * | 2005-06-17 | 2008-03-0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ard connector |
JP4517998B2 (ja) * | 2005-10-07 | 2010-08-04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
TWM289538U (en) * | 2005-11-07 | 2006-04-11 | Tai Sol Electronics Co Ltd | Drawer type all-in-one card connector |
WO2007058031A1 (ja) * | 2005-11-15 | 2007-05-24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小型記録媒体用コネクタ |
JP4710627B2 (ja) * | 2006-01-26 | 2011-06-29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基板間接続コネクタ |
US7626826B2 (en) * | 2007-01-31 | 2009-12-01 | Sun Microsystems, Inc. | Expansion card carri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
TW200832833A (en) * | 2007-01-31 | 2008-08-01 | Tai Sol Electronics Co Ltd | Vehicle mounted storage-card connector |
WO2008105131A1 (ja) * | 2007-02-28 | 2008-09-04 | Nec Corporation | 携帯電子機器 |
TWM327108U (en) * | 2007-08-29 | 2008-02-11 | Tai Sol Electronics Co Ltd | Memory card connector |
CN201130736Y (zh) * | 2007-12-03 | 2008-10-08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子卡连接器 |
CN101458544B (zh) * | 2007-12-10 | 2011-12-14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数据存储设备锁固及推出装置 |
JP2010123543A (ja) * | 2008-11-21 | 2010-06-03 | Jst Mfg Co Ltd | カード用コネクタ |
US9007757B2 (en) | 2010-03-30 | 2015-04-14 | Beijing Lenovo Software Ltd.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CN201708312U (zh) * | 2010-05-14 | 2011-01-12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子卡连接器 |
CN201966419U (zh) * | 2010-11-16 | 2011-09-07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卡连接器 |
JP2012124040A (ja) * | 2010-12-09 | 2012-06-28 | Panasonic Corp | 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オス側コネクタ |
US8292643B1 (en) * | 2011-08-10 | 2012-10-23 | Proconn Technology Co., Ltd. | Card connector with a housing with a guiding slot engaging a protruding block of a sliding device |
DE102011054563B3 (de) * | 2011-10-18 | 2013-01-24 | HARTING Electronics GmbH | Steckverbinder |
CN103066422A (zh) * | 2011-10-24 | 2013-04-24 | 昆山雷驰电子有限公司 | 一种卡连接器 |
CN109713522A (zh) * | 2017-10-25 | 2019-05-03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子卡连接器及其组合 |
US11503730B2 (en) * | 2019-05-08 | 2022-11-15 |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 Connector with memory card |
CN110718811B (zh) * | 2019-07-17 | 2022-03-08 | 陕西千山航空电子有限责任公司 | 一种数据卡按压自锁自卸结构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75983A (en) | 1987-09-18 | 1989-03-22 | Nissan Motor | Side wind sensor for vehicle |
JPH0382883U (ko) * | 1989-12-07 | 1991-08-23 | ||
US5899763A (en) * | 1993-11-19 | 1999-05-04 | Berg Technology, Inc. | Data processing medium connector with locking means |
TW385084U (en) * | 1997-06-25 | 2000-03-11 | Hon Hai Prec Ind Co Ltd | IC card connectors |
JP3504897B2 (ja) * | 1999-11-11 | 2004-03-08 | 山一電機株式会社 | カードコネクタ構造 |
JP4318360B2 (ja) * | 1999-12-27 | 2009-08-19 | ユニオンマシナリ株式会社 | カードコネクタ |
JP2001351735A (ja) * | 2000-06-08 | 2001-12-21 | Hirose Electric Co Ltd | カード用コネクタ |
JP2001357929A (ja) * | 2000-06-15 | 2001-12-2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およびその組立方法 |
JP3713428B2 (ja) * | 2000-09-27 | 2005-11-09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カード用コネクタ |
TW470228U (en) * | 2000-09-29 | 2001-12-21 | Fci Taiwan Ltd | Electrical connector for being inserted with intelligent cards |
JP3429266B2 (ja) * | 2000-10-19 | 2003-07-22 | 山一電機株式会社 | カードコネクタ |
JP2002141124A (ja) * | 2000-11-02 | 2002-05-17 | Tyco Electronics Amp Kk | 基板取付型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基板取付構造 |
-
2002
- 2002-12-26 JP JP2002377838A patent/JP381825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
- 2003-12-26 US US10/507,690 patent/US708344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12-26 TW TW092137114A patent/TWI231627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12-26 WO PCT/JP2003/017082 patent/WO2004059798A1/ja active IP Right Grant
- 2003-12-26 KR KR1020047014833A patent/KR10061843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12-26 CN CNB2003801003863A patent/CN10047289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50221649A1 (en) | 2005-10-06 |
CN100472892C (zh) | 2009-03-25 |
US7083446B2 (en) | 2006-08-01 |
KR20040111425A (ko) | 2004-12-31 |
CN1692531A (zh) | 2005-11-02 |
WO2004059798A1 (ja) | 2004-07-15 |
JP3818256B2 (ja) | 2006-09-06 |
TW200423490A (en) | 2004-11-01 |
TWI231627B (en) | 2005-04-21 |
JP2004207168A (ja) | 2004-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18437B1 (ko) |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 |
US6015311A (en) | Contact configuration for smart card reader | |
JP3734998B2 (ja) | カード用コネクタ | |
US6814596B2 (en) | Card connector having low profile and vision indicator | |
US6976879B2 (en) | Card connector | |
KR100408099B1 (ko) | 카드용 커넥터장치 | |
KR101046856B1 (ko) | 카드 커넥터 | |
US6027350A (en) | Ejecting mechanism for card cartridge connector | |
US6592385B1 (en) | Card ejection mechanism for electronic card connector | |
KR101110383B1 (ko) | 카드용 커넥터 | |
US20070093132A1 (en) |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shutter mechanism | |
US7070430B2 (en) | Electrical card connector having an eject mechanism | |
JP3823038B2 (ja)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
KR101035429B1 (ko) |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 |
US6379167B1 (en) | Multimedia c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improved ejector mechanism | |
US6839431B2 (en) | Card connector | |
JP4365989B2 (ja) | ロック装置付きカード用コネクタ | |
US6790061B1 (en) | Two-stage ejection mechanism of card connector | |
US7070429B2 (en) | Card connector that can prevent both leaping-out and ejection failure of a card | |
US7128589B1 (en) | Electrical card connector | |
JP4023389B2 (ja) |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 |
JP4425715B2 (ja)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
JP4268059B2 (ja)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
JP3901568B2 (ja)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
JP4104370B2 (ja)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