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095A - 전자메일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메일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095A
KR20010030095A KR1020000047367A KR20000047367A KR20010030095A KR 20010030095 A KR20010030095 A KR 20010030095A KR 1020000047367 A KR1020000047367 A KR 1020000047367A KR 20000047367 A KR20000047367 A KR 20000047367A KR 20010030095 A KR20010030095 A KR 20010030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character string
data
abbreviated data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7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2635B1 (ko
Inventor
호리에다쿠야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20010030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6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메일을 표시하는 전자메일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한 메일의 메시지 내용을 효율 좋게 표시하는 전자메일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기억매체(7)는 생략형데이터에 대응 지워서 정형문자열을 기억하고 있으며, CPU(2)는 통신장치(8)에 의해 전자메일을 수신하면 그 수신한 메일 내의 각 문자열로부터 기억된 정형문자열을 검지하고, 검지된 정형문자열에 대응하는 생략형데이터로 변환하여 메일데이터를 표시부(5)에 표시하며, 생략 표시한 문자열을 강조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전자메일표시장치{ELECTRONIC MAI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수신메일을 표시하는 전자메일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한 메일의 메시지내용을 효율 좋게 표시하는 전자메일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스널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휴대정보단말) 등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메일의 송수신이 실행되고 있다. 종래 전자메일본문을 입력할 때에, 예를 들면 「신세지고 있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와 같은 인사문, 또는 송신자의 이름, 회사명, 소속부서명, 전화번호, 전자메일주소 등, 송신자정보 등의 정형문자열을 전자메일 본문의 문두(文頭), 문중(文中), 문말 (文末) 등에 입력하는 것이 많다.
이와 같은 인사문, 송신자정보 등의 정형적인 문자열은 전자메일 본문의 내용과는 관계없기 때문에, 본문이 길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기호화하여 입력되는 일도 있다. 그러나 인사문 등이 생략되어 내용만을 간결하게 표현한 문장이라면 무례한 감을 받는 경우도 있고, 전자메일을 송신하는 상대방에 따라서는 인사문을 생략하지 않고 입력하는 경우도 많다. 또 송신자의 이름, 회사명, 소속부서명, 전화번호, 전자메일주소 등의 송신자정보 등은 서명기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입력되거나, 복사 및 붙이기기능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일이 많으며, 생략하지 않고 입력되는 일이 많다.
그러나 PDA와 같이 표시화면이 작고, 표시 가능한 문자수에 제한이 있는 경우에는 인사문 등의 정형적인 문자열이 사용된 긴 전자메일을 수신한 경우에는 표시화면 내에 수신한 전자메일 본문이 전부 다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수신자는 표시화면을 스크롤하면서 수신한 전자메일 본문을 읽지 않으면 안되어 읽기 힘들고, 내용을 파악하기 힘들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동일한 상대방으로부터 동일한 정형적인 문자열을 이용한 전자메일을 복수 수신한 경우에는 수신자는 정형적인 문자열의 부분은 내용과 별로 관계없기 때문에, 잘 읽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예를 들면 송신자정보 등의 정형적인 문자열이 변경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수신자는 그 변경을 알아채기 어렵다고 한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수신한 전자메일 본문의 내용을 효율 좋게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메일표시장치 및 기억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자메일을 수신하는 전자메일수신수단과,
전자메일 중의 정형문자열과 그 생략형데이터를 대응 지워서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갖는 전자메일표시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전자메일에 포함되는 각 문자열로부터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정형문자열을 검지하는 검지수단과,
이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정형문자열을 대응 지워서 기억된 생략형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이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생략형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메일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표시화면의 크기에 얽매이지 않고 수신한 전자메일 본문의 내용을 효율 좋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메일표시장치(1)의 제어계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기억매체(7)에 형성된 영역 B에 데이터가 격납된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제 1 실시형태의 전자메일표시장치(1)에 의해 실행되는 메일생략표시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도 1의 표시부(5)에 표시되는 메일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송신된 메일내용과 표시부(5)에 표시되는 표시내용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억매체(7)에 형성된 영역 B에 데이터가 격납되는 모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메일표시장치(1)에 의해 실행되는 메일작성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메일입력 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메일표시장치(1)에 의해 실행되는 정형문자열표시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형문자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메일표시장치(1)에 의해 실행되는 생략형데이터등록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략형데이터등록과정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메일표시장치(11)의 제어계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4는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메일표시장치(11) 내부로부터 실행되는 날짜· 번호부가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5는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날짜· 번호를 부가한 생략형데이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전자메일표시장치
2: CPU
3: 입력부
4: RAM
5: 표시부
6: 기억장치
7: 기억매체
8: 통신장치
9: 버스
10: 클록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메일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메일표시장치(1)의 제어계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 1에 있어서 전자메일표시장치(1)는 CPU(2), 입력부(3), RAM(4), 표시부(5), 기억장치(6), 기억매체(7) 및 통신장치(8)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기억매체(7)를 제외하는 각 부(部)는 버스(9)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2)는 기억장치(6) 내에 격납되어 있는 시스템프로그램 및 해당 시스템에 대응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 중에서 지정된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RAM(4) 내의 도시하지 않는 프로그램격납영역에 전개하여 입력부(3)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지시 또는 데이터를 RAM(4) 내에 일시적으로 격납하고, 이 입력지시 및 입력데이터에 따라 기억장치(6) 내에 격납된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 처리를 실행하여 그 처리결과를 RAM(4) 내에 격납하는 동시에 표시부(5)에 표시한다. 그리고, RAM(4)에 격납한 처리결과를 입력부(3)로부터 입력 지시되는 기억장치(6) 내의 보존장소에 보존한다.
또 CPU(2)는 후술하는 메일생략표시처리(도 3)를 실행할 때에 통신장치(8)에 의해 수신한 메일데이터를 기억장치(6) 내에 일시 기억하고, 미리 기억매체(7) 내에 기억되어 있는 정형문자열과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판별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그 일치한 정형문자열에 대응하는 생략형데이터에 따라서 생략형데이터로 변환하고, 그 생략형데이터에 밑줄을 표시하여 표시부(5)에 표시한다.
입력부(3)는 커서키, 숫자입력키 및 각종 기능키 등을 구비한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키보드에 있어서 눌러내려진 키의 눌러내림신호나 마우스의 위치신호를 CPU(2)에 출력한다. 표시부(5)는 CRT(Cathode Ray Tube), 액정표시화면 등에 의해 구성되고, CPU(2)로부터 입력되는 표시데이터를 표시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4)은 CPU(2)가 상기 각종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각종 데이터를 전개하는 프로그램격납영역을 형성하는 동시에, CPU (2)가 상기 메일생략표시처리를 실행할 때에 통신장치(8)에 의해 수신한 메일데이터를 전개하는 동시에, 기억매체(7)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정형문자열 및 생략형데이터를 전개하는 메모리영역을 형성한다.
기억장치(6)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이 미리 기억되어 있는 기억매체(7)를 가지고 있으며, 이 기억매체(7)는 자기(磁氣)적, 광학적기억매체 또는 반도체메모리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기억매체(7)는 기억장치(6)에 고정적으로 설치한 것 또는 착탈 자유롭게 장착하는 것이며, 이 기억매체(7)에는 상기 시스템프로그램 및 해당 시스템에 대응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 메일생략표시처리프로그램 및 각종 처리프로그램으로 처리된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또 기억장치(6)는 상기 메일생략표시처리가 실행될 때에 통신장치(8)에 의해 수신한 전자메일데이터를 격납하는 영역 A 및 미리 설정된 정형문자열 및 생략형데이터를 격납하는 영역 B의 메모리영역을 기억매체(7)에 형성한다.
도 2는 기억장치(6) 내의 기억매체(7)에 형성된 영역 B에 데이터가 격납된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2에 있어서 영역 B에는 정형문자열과 생략형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데이터가 격납된다. 정형문자열에는 메일데이터에 잘 이용되는, 예를 들면 「항상 신세지고 있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수고스럽지만, 회답해주시기를 잘 부탁드립니다.」, 「바쁘신데 대단히 죄송합니다만,」, 「이하의 건, 잘 이해했습니다.」 등의 인사문, 또는 「개발부의 야마다· 오가와· 사토· 스즈키로 됩니다.」, 「개발부의 야마다· 오가와· 사토· 스즈키· 다나카로 됩니다.」, 「신세지고 있습니다. 사무센터로부터의 안내를 소비자사업부 전원에게 전송했습니다.」라고 한 사내에서 잘 이용되는 정형문자열, 또는 「*********** 제1개발부 12개발실 야마다 이치로 TEL 내) 1234 ***********」라고 한 송신자정보 등의 데이터가 설정된다.
생략형데이터에는 정형문자열에 대응한 생략표현으로서의 메시지가 설정된다. 예를 들면 정형문자열로서 설정된 「항상 신세지고 있습니다.」에 대해 생략형데이터에는 「신세」가 설정되고, 「잘 부탁드립니다.」에 대해 「부탁」이 설정되며, 「수고스럽지만, 회답해주시기를 잘 부탁드립니다.」에 대해 「회답요」가 설정되고, 「바쁘신데 대단히 죄송합니다만,」에 대해 「죄송」이 설정되며, 「이하의 건, 잘 이해했습니다.」에 대해 「이해」가 설정된다.
또 예를 들면 정형문자열에 설정된 「개발부의 야마다· 오가와· 사토· 스즈키로 됩니다」에 대해 생략형데이터에는 「개발멤버 1.」이 설정되고, 「개발부의 야마다· 오가와· 사토· 스즈키· 다나카로 됩니다.」에 대해 「개발멤버 2.」가 설정되며, 「신세지고 있습니다. 사무센터로부터의 안내를 소비자사업부 전원에게 전송했습니다.」에 대해 「알림, 전송」이 설정되고, 「*********** 제1개발부 12개발실 야마다 이치로 TEL 내) 1234 ***********」에 대해 「**야마다」가 설정된다. 또한 이 영역 B에 격납되는 정형문자열의 데이터 및 그것에 대응하는 생략형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등록됨으로써 설정되고, 수시로 삭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 기억매체(7)에 기억하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은 통신회선 등을 통하여 접속된 다른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기억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또한 통신회선 등을 통하여 접속된 다른 기기측에 상기 기억매체를 구비한 기억장치를 설치하고, 이 기억매체(7)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하여 사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통신장치(8)는 전자메일표시장치(1)와 외부기기를 통신회선을 통하여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이고, 전자메일을 송수신할 때에 CPU(2)로부터 입력되는 메일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하여 송신하는 동시에 통신회선을 통하여 송신된 메일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동작을 설명한다.
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메일표시장치(1) 내의 CPU(2)에 의해 실행되는 메일생략표시처리에 대해서 도 3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CPU(2)는 통신장치(8)에 의해 메일데이터를 수신하고(스텝 S1), 수신한 메일데이터를 기억장치(6) 내의 기억매체(7)에 형성된 영역 A에 격납하며(스텝 S2), 이 영역 A에 격납된 메일데이터 내에 미리 영역 B에 설정된 정형문자열과 일치하는 문자열이 존재하는가 아닌가를 판별하여(스텝 S3)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일치한 정형문자열에 대응하는 생략형데이터로 변경하고(스텝 S4), 스텝 S5로 이행한다.
스텝 S3에 있어서 영역 A에 격납한 메일데이터 내에 영역 B에 설정된 정형문자열과 일치하는 문자열이 존재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텝 S5로 이행한다. 스텝 S5에 있어서 CPU(2)는 수신한 메일데이터를 표시부(5)에 표시한다. 그 때에 스텝 S4에 있어서 생략형데이터로 변환한 문자열이 있는 경우에는 그 변환한 생략형데이터를 표시하고, 그 생략형데이터에 밑줄을 표시한다.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
도 4는 메일생략표시처리를 실행한 결과, 표시부(5)에 표시되는 메일데이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4에 있어서 「신세」에는 밑줄이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신세지고 있습니다.」라는 문자열이 생략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마찬가지로 밑줄이 표시되어 있는 「죄송, 부탁.」은 「바쁘신데 대단히 죄송합니다만, 잘 부탁드립니다.」가 생략 표시되며, 「개발멤버 1.」은 「개발부의 야마다· 오가와· 사토· 스즈키로 됩니다.」가 생략 표시되고, 「**야마다」는 「*********** 제1개발부 12개발실 야마다 이치로 TEL 내) 1234 ***********」가 생략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송신된 메일내용과 표시부(5)에 표시되는 표시내용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신된 메일 내용”이 「*********** 제1개발부 12개발실 야마다 이치로 TEL 내) 1234 ***********」인 경우에는 이들의 문자열은 도 2에 나타내는 영역 B에 설정된 정형문자열이기 때문에, 대응하는 생략형데이터에 따라서 「**야마다」로 변환되어 표시부(5)에 표시되는 “표시내용”은 「**야마다」로 된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신된 메일 내용”이 「*********** 제1개발부 12개발실 야마다 이치로 TEL 내) 1244 ***********」인 경우에는 이들의 문자열은 도 2에 나타내는 영역 B에 설정된 정형문자열인 「*********** 제1개발부 12개발실 야마다 이치로 TEL 내) 1234 ***********」와는 달리 되어 있다. 즉 영역 B에 설정된 정형문자열에서는 「1234」로 설정되어 있는 부분이 “송신된 메일 내용”에서는 「1244」로 되어 있기 때문에, CPU(2)는 이 “송신된 메일 내용”은 정형문자열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그로 인해 표시부(5)에 표시되는 “표시내용”은 생략 표시되는 일없이 “송신된 메일 내용”의 문자열과 동일한 문자열로 된다.
예를 들면 통상 생략 표시되어 있었던 문자열이 생략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된 메일 내용”이 영역 B에 설정된 정형문자열의 내용으로부터 변경된 것을 바로 알 수 있기 때문에, 그 변경에 대해 대응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송신된 메일 내용”에 따라 영역 B에 설정된 정형문자열을 갱신 등록함으로써 그 후의 메일데이터를 생략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신된 메일 내용의 일부만이 영역 B에 설정된 정형문자열과 다르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다르게 되어 있는 부분, 즉 「12(4)4」의 (4)의 부분을 빗줄긋기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도 5c 참조).
이상과 같이 CPU(2)는 통신장치(8)에 의해 전자메일을 수신하면 그 수신한 메일데이터를 기억매체(7) 내의 영역 A에 격납하고, 기억매체(7) 내의 영역 B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정형문자열과 일치하는 문자열이 영역 A에 격납한 메일데이터 내에 존재하는가 아닌가를 판별하며,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해당하는 문자열을 일치한 정형문자열에 대응하는 생략형데이터로 변환하여 메일데이터를 표시부(5)에 표시하고, 생략 표시한 문자열에는 밑줄을 표시한다.
따라서 수신메일에 포함되는 각 문자열 내, 미리 기억된 정형문자열과 일치하는 문자열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생략형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표시화면이 작은 PDA 등에 있어서 일련의 긴 메일을 수신한 경우에도 그 메일을 효율 좋게 표시할 수 있어 수신자는 그 메일내용이 의도하는 바를 파악하기 쉽다. 또 예를 들면 통상 생략형데이터로 변환되어 표시되어 있었던 문자열부분이 변경된 경우에는 미리 기억된 정형문자열과는 일치하지 않게 되어 생략형데이터로 변환되지 않고 원래의 문자열대로 표시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변경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생략형데이터에 밑줄을 그어서 표시를 하는 구성으로 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생략형데이터를 반전 표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신한 메일데이터의 문자열을 생략 표시하는 구성으로 했는데, 예를 들면 도형데이터를 생략 표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그 경우 예를 들면 표시부(5)의 표시화면 내에 표시할 수 없는 바와 같은 큰 도형을 수신한 경우에는 표시하는 데에 시간이 걸리나 생략도형 또는 생략형데이터에 의해 생략 표시하는 것으로 표시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메일표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메일표시장치의 제어계의 요부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의 전자메일표시장치(1)의 제어계의 요부 구성과 똑같은 것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은 전자메일표시장치 내의 CPU(2)에 의해 실행되는 생략형데이터입력처리 및 기억매체(7) 내에 형성된 영역 B에 격납되는 데이터의 구성이기 때문에, 이 처리 및 구성에 대해서 도 6∼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억장치(6) 내의 기억매체(7)에 형성된 영역 B에 데이터가 격납되는 모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역 B에는 정형문자열과 생략형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데이터가 격납된다. 생략형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신세.」, 「부탁.」, 「회답요」, 「죄송」, 「이해」, 「개발멤버 1.」, 「개발멤버 2.」, 「알림, 전송」, 「**야마다」라고 한 정형문자열이 일부 생략된 메시지가 설정된다.
정형문자열에는 생략형데이터에 대응한 문자열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생략형데이터로서 설정된 「신세.」에 대해 정형문자열에는 「항상 신세지고 있습니다.」가 설정되고, 「부탁.」에 대해 「잘 부탁드립니다.」가 설정되며, 「회답요」에 대해 「수고스럽지만, 회답해주시기를 잘 부탁드립니다.」가 설정되고, 「이해」에 대해 「이하의 건, 잘 이해했습니다.」가 설정된다.
또 예를 들면 생략형데이터로서 설정된 「개발멤버 1.」에 대해 정형문자열로서 「개발부의 야마다· 오가와· 사토· 스즈키로 됩니다.」가 설정되고, 「개발멤버 2.」에 대해 「개발부의 야마다· 오가와· 사토· 스즈키· 다나카로 됩니다.」가 설정되며, 「알림, 전송」에 대해 「신세지고 있습니다. 사무센터로부터의 안내를 소비자사업부 전원에게 전송했습니다.」가 설정되고, 「**야마다」에 대해 「*********** 제1개발부 12개발실 야마다 이치로 TEL 내) 1234 ***********」가 설정된다. 또한 이 영역 B에 설정되는 생략형데이터 및 그것에 대응하는 정형문자열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등록됨으로써 설정되고, 수시로 삭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CPU(2)는 후술하는 메일작성처리(도 7)를 실행할 때에 입력부(3)로부터 메일데이터로서의 문자열이 입력되면 그 입력된 문자열 내에 영역 B에 설정된 생략형데이터와 일치하는 문자열이 존재하는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생략형데이터와 일치하는 문자열을 대응하는 정형문자열로 변환하여 메일데이터를 등록하는 동시에 입력된 메일데이터를 표시부(5)에 표시하며, 변환된 부분은 생략형데이터로 표시하고 밑줄을 추가 표시한다.
다음으로 동작을 설명한다.
본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메일표시장치(1) 내의 CPU(2)에 의해 실행되는 생략형데이터입력처리에 대해서 도 7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입력부(3)로부터 생략형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일데이터가 입력되고(스텝 S21), 또한 입력부(3)로부터 예를 들면 등록키를 눌러내리는 등의 조작에 의해 메일데이터를 등록하는 지시가 입력되면(스텝 S22) CPU(2)는 스텝 S21에 있어서 입력된 메일데이터의 문자열과 영역 B에 설정되어 있는 생략형데이터를 비교해서 생략형데이터와 일치하는 문자열이 입력된 메일데이터의 문자열 내에 존재하는가 아닌 가를 판별하여(스텝 S23) 일치하는 문자열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일치한 문자열을 생략형데이터에 대응하여 설정된 정형문자열로 변환해서 메일데이터를 등록하고 (스텝 S24), 스텝 S25로 이행하며, 일치하는 문자열이 존재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그대로 스텝 S25로 이행한다.
스텝 S25에 있어서 CPU(2)는 등록한 메일데이터를 표시부(5)에 표시한다. 그 때에 생략형데이터와 일치하고, 스텝 S24에 있어서 정형문자열로 변환하여 등록한 문자열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변환전의 생략형데이터를 표시하고, 그 문자열이 변환되어 등록된 것을 나타내기 위해 밑줄을 추가 표시한다.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
도 8은 메일데이터입력 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8에 있어서 「신세.」 및 「죄송, 회답요」에는 밑줄이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생략형데이터입력처리(도 7)가 실행되어 「신세.」는 「항상 신세지고 있습니다.」로 변환되어 등록되고, 「죄송, 회답요」는 「바쁘신데 대단히 죄송합니다만, 수고스럽지만, 회답해주시기를 잘 부탁드립니다.」로 변환되어 등록되어 있다. 즉 표시부(5)의 표시화면에는 입력부(3)로부터 입력된 생략형데이터가 표시되는데, 통신장치(8)에 의해 송신되는 메일데이터로서는 변환된 문자열이 송신된다. 그리고 변환된 문자열에는 밑줄이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CPU(2)는 입력부(3)로부터 메일데이터가 입력되면 영역 B에 설정된 생략형데이터 및 그것에 대응하는 정형문자열을 참조하여 메일데이터 내의 생략형데이터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정형문자열로 변환하여 메일데이터를 등록한다. 그리고 입력된 메일데이터를 표시부(5)에 표시하고, 변환하여 등록된 문자열에 밑줄을 추가 표시한다.
따라서 메일데이터를 입력할 때에 생략형데이터에 의한 입력 및 표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화면이 작은 PDA 등에서 표시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문자수가 제한되어 있는 경우에도 입력하기 쉽고, 또 입력한 생략형데이터를 변환하여 등록한 부분은 밑줄로 표시하기 때문에, 메일을 송신할 때에 어느 부분이 변환되어 있는 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메일표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메일표시장치의 제어계의 요부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의 전자메일표시장치(1)의 제어계의 요부 구성과 똑같은 것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은 전자메일표시장치 내의 CPU(2)에 의해 실행되는 정형문자열표시처리이기 때문에, 도 9∼도 10을 이용하여 이 처리를 설명한다.
본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메일표시장치(1) 내의 CPU(2)에 의해 실행되는 정형문자열표시처리에 대해 도 9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메일생략표시처리(도 3)가 실행됐을 때에 CPU(2)는 통신장치(8)에 의해 수신한 메일데이터 중 기억매체(7) 내의 영역 B에 설정된 정형문자열과 일치하는 문자열을 그 정형문자열에 대응하는 생략형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한 문자열에 밑줄을 표시하여 표시부(5)에 메일데이터를 표시한다(스텝 S31). 그리고 그 표시된 메일데이터 내의 문자열이 지정되면(스텝 S32), CPU (2)는 그 지정된 문자열이 밑줄이 표시된 생략형데이터인가 아닌가를 판별하여(스텝 S33) 생략형데이터인 경우에는 생략되기 전의 정형문자열을 표시부(5)에 표시하고(스텝 S34), 스텝 S35로 이행하며, 지정된 문자열이 생략형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35에 있어서 CPU(2)는 입력부(3)로부터의 입력 지시에 따라 스텝 S34에 있어서 표시된 정형문자열의 표시를 소거하고, 스텝 S31에 있어서 표시된 표시상태로 되돌아가 처리를 종료한다.
도 10은 정형문자열표시처리과정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수신한 전자메일데이터를 기억매체(7) 내의 영역 B에 설정된 정형문자열 및 생략형데이터의 데이터를 참조하고, 메일생략표시처리(도 3)를 실행한 경우의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10a에 있어서 예를 들면 「개발멤버 1.」의 문자열을 입력부(3)의 마우스에 의한 클릭 등의 조작에 의해 지정하여 정형문자열표시의 지시를 입력하면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표시부(5)의 표시화면 상에 윈도우가 열리고, 「개발멤버 1.」에 의해 생략 표시된 문자열의 변환되기 전의 정형문자열, 즉 전자메일이 수신됐을 때의 정형문자열이 표시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발멤버 1.」에 대한 정형문자열을 표시하고 있는 윈도우 오른쪽 위의 「닫음」버튼을 마우스에 의해 클릭하는 등의 조작을 실행함으로써 이 윈도우가 닫히고, 정형문자열의 표시는 소거되며,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0a와 똑같은 표시상태로 되돌아 간다. 도 10d는 도 10c의 표시상태에 있어서 추가로 문자열 「**야마다」를 지정하여 정형문자열표시의 지시를 입력한 경우에 생략형데이터 「**야마다」에 대한 정형문자열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상과 같이 CPU(2)는 입력부(3)에 의해 지정된 문자열이 생략형데이터인 경우에는 입력지시에 따라 그 문자열이 변환되기 전의 정형문자열을 표시한다. 그리고 입력지시에 따라 정형문자열의 표시를 소거하고, 원래의 표시상태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형데이터를 강조 표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표시된 데이터 중 문자열이 생략되어 있는 부분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생략형데이터에 대응하는 원래의 문자열의 상세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생략형데이터의 의미를 잃어버렸을 때에 생략형데이터에 대응하는 원래의 문자열의 상세한 정보를 이용할 때에 편리하다.
또한 예를 들면 마우스에 의한 클릭 등의 조작을 실행하지 않아도 소정시간 경과 후에 정형문자열을 표시하는 윈도우를 닫고, 정형문자열의 표시를 소거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정형문자열을 윈도우 상에 별도로 표시하는 구성으로 했는데, 예를 들면 생략형데이터를 정형문자열로 바꾸어 놓아 전문(全文)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메일표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메일표시장치의 제어계의 요부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의 전자메일표시장치(1)의 제어계의 요부 구성과 똑같은 것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은 전자메일표시장치 내의 CPU(2)에 의해 실행되는 생략형데이터등록처리이기 때문에, 도 11∼도 12를 이용하여 이 처리를 설명한다.
본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메일표시장치(1) 내의 CPU(2)에 의해 실행되는 생략형데이터등록처리에 대해 도 11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통신장치(8)에 의해 메일데이터를 수신하면(스텝 S41), CPU(2)는 메일생략표시처리(도 3)를 실행하고, 영역 B에 설정된 정형문자열 및 생략형데이터에 따라 메일데이터의 해당하는 문자열을 생략형데이터로 변환한다(스텝 S42). 그리고 송신자의 메일주소를 참조하여 동일한 송신자로부터 지난번 수신한 메일을 검색하여(스텝 S43) 지난번 수신한 메일이 있는가 없는가를 판별하고(스텝 S44), 있는 경우에는 지난번 수신한 메일과 이번 수신한 메일을 비교하여(스텝 S45) 스텝 S46으로 이행하며, 지난번 수신한 메일이 없는 경우에는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CPU(2)는 스텝 S46에 있어서 스텝 S42에서 생략형데이터로 변환된 문자열 이외에 지난번 수신한 메일데이터 내의 문자열과 이번 수신한 메일데이터 내의 문자열에서 일치하는 문자열이 있는가 없는가를 판별하여 일치하는 문자열이 있는 경우에는 그 문자열에 대한 생략형데이터등록화면을 표시하고, 그 생략형데이터등록화면 상에 있어서 그 문자열에 대한 생략형데이터가 입력되면(스텝 S47) 원래의 문자열을 기억매체(7) 내의 영역 B 내에 정형문자열로서 설정하여 입력된 생략형데이터에 대응 지워서 설정하고(스텝 S48),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46에 있어서 일치하는 문자열이 없었을 경우에는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도 12는 생략형데이터등록처리과정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1 번째의 메일을 수신한 후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2 번째의 메일을 수신했다고 하면 이미 영역 B에 설정되어 있는 정형문자열은 예를 들면 「신세.」, 「부탁.」과 같이 생략되어 밑줄이 표시된다. 그러나 도 12a에 나타내는 1 번째의 메일과 도 12b에 나타내는 2 번째의 메일을 비교하여, 예를 들면 「국내전자수첩추진회의」와 같은 동일한 문자열이 사용되어 있고, 이 「국내전자수첩추진회의」가 영역 B에 설정된 정형문자열이 아닌 경우에는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략후보: 국내전자수∼」라는 것 같이 정형문자열로서 「국내전자수첩추진회의」가 선택된 것이 표시된다.
이 때, 예를 들면 「생략후보: 국내전자수∼」의 표시부분을 마우스에 의해 클릭하는 등의 조작을 실행하면 「국내전자수첩추진회의」라는 문자열을 영역 B에 생략 등록하기 위한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생략등록화면이 표시된다. 이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생략형데이터등록화면에 있어서 정형문자열에는 생략등록할 문자열, 이 경우에는 「국내전자수첩추진회의」가 이미 자동적으로 입력되어 있고, “생략표시문자”의 입력영역에 커서가 표시된다.
도 12c의 상태에 있어서 “생략표시문자”의 입력영역에, 예를 들면 「전추」로 입력하면 도 12d에 나타내는 상태로 되어 영역 B의 정형문자열에 「국내전자수첩추진회의」가 설정되고, 그것에 대응하는 생략형데이터에 「전추」가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국내전자수첩추진회의」에 대한 생략형데이터등록처리를 실행한 후, 예를 들면 3 번째의 메일을 수신한 경우에는 도 12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국내전자수첩추진회의」의 문자열이 「전추」로 생략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CPU(2)는 통신장치(8)에 의해 전자메일을 수신하면 지난번의 메일과 이번의 메일을 비교하고, 일치하는 문자열이 있는 경우에는 그 일치하는 문자열에 대한 생략등록화면에 의해 그 문자열 및 그 문자열에 대한 생략형데이터를 영역 B에 설정되는 정형문자열 및 생략형데이터에 등록한다.
따라서 기억매체(7) 내의 영역 B에 생략형데이터를 등록하는 문자열을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어 생략형데이터의 등록에 걸리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형데이터는 입력부(3)로부터 입력하는 것으로 했는데, 정형문자열의 선두의 단어나 이니셜 또는 각 단어의 선두한자 등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생략형데이터를 작성하도록 해도 좋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메일표시장치에 대해 도 13∼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메일표시장치 (11)의 제어계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13에 있어서 전자메일표시장치(11)는 CPU(2), 입력부(3), RAM(4), 표시부(5), 기억장치(6), 기억매체(7), 통신장치(8) 및 클록부(10)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기억매체(7)를 제외하는 각 부는 버스(9)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도 1에 나타낸 전자메일표시장치(1) 내와 동일구성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은 전자메일표시장치(11) 내의 CPU(2)에 의해 실행되는 날짜· 번호부가처리 및 클록부(10)의 구성이기 때문에, 이 처리 및 구성에 대해 도 13∼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클록부(10)는 수정(水晶)발진기 등의 발진수단을 내장한 타이머 등으로 구성되고, 이 발진수단에 의한 발진신호에 의거하여 시각을 계시(計時)하여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계시신호를 수시로 CPU(2)에 출력한다.
CPU(2)는 영역 B에 설정된 생략형데이터가 날짜의 부가 대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클록부(10)로부터 입력된 계시신호에 의거하여 메일을 수신한 날짜를 생략형데이터에 부가하여 표시부(5)에 표시한다. 또 영역 B에 설정된 생략형데이터가 번호의 부가대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생략형데이터로 변환한 순서로 연속한 번호를 부가하여 표시부(5)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동작을 설명한다.
본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메일표시장치(11) 내의 CPU(2)에 의해 실행되는 날짜· 번호부가처리에 대해 도 14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통신장치(8)에 의해 전자메일을 수신하면(스텝 S51) CPU(2)는 수신한 메일데이터를 기억장치(6) 내의 영역 A에 기억하고(스텝 S52), 이 영역 A에 기억한 메일데이터의 문자열 내에 미리 영역 B 내에 설정된 정형문자열과 일치하는 문자열이 존재하는가 아닌가를 판별하여(스텝 S53) 존재하는 경우에는 영역 B에 설정된 정형문자열과 생략형데이터의 데이터를 참조해서 해당하는 문자열을 생략형데이터로 변환하고(스텝 S54), 스텝 S55로 이행하며,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CPU(2)는 스텝 S55에서는 변환한 생략형데이터는 날짜· 번호부가대상인가 아닌가를 판별하여 날짜· 번호부가대상인 경우에는 생략형데이터에 날짜· 번호를 부가하고(스텝 S56), 스텝 S57로 이행하며, 날짜· 번호부가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그대로 스텝 S57로 이행한다.
스텝 S57에서는 수신한 메일데이터를 표시부(5)에 표시한다. 그 때에 생략형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한 문자열에는 밑줄을 표시한다.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
도 15는 날짜· 번호를 부가한 생략형데이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 도 15b는 날짜를 부가한 생략형데이터의 표시예이고, 예를 들면 「주보」라는 생략형데이터가 날짜부가대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a는 8월 10일에 수신한 메일데이터를 생략 표시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도 15b는 8월 12일에 수신한 메일데이터를 생략 표시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면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메일데이터에 대해서는 그 메일데이터에 반드시 사용되는 문자열에 대해 영역 B에 설정되는 생략형데이터를 날짜부가대상으로하여 등록해둠으로써 그 생략형데이터로 변환할 때에 생략형데이터에 수신한 날짜를 부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5c, 도 15d는 번호를 부가한 생략형데이터의 표시예이고, 예를 들면 「특허공개」라는 생략형데이터가 번호부가대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수신한 메일데이터의 문자열이 「특허공개」로 변환되고, 그것이 11 번째의 변환이었을 경우에는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허공개 11」로 표시되며, 예를 들면 12 번째이었을 경우에는 도 1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허공개 12」로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CPU(2)는 기억매체(7) 내에 형성된 영역 B에 격납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정형문자열에 일치하는 문자열을 생략형데이터로 변환할 때에 그 생략형데이터가 번호부가대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생략형데이터에 변환한 순서에 연번(連番)으로 번호를 부가하여 표시하고, 날짜부가대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클록부(10)로부터 입력되는 계시신호에 따라 생략형데이터에 수신한 날짜를 부가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생략형데이터에 자동적으로 날짜· 번호를 부가하여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일을 수신한 날짜 또는 메일을 수신한 순번이 알기 쉬워 메일의 정리가 용이하게 되고, 메일관리의 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예를 들면 메일을 수신한 날짜뿐만 아니라 시각도 부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날짜와 번호를 부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이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실시예는 모든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는 하등 속박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내이다.

Claims (8)

  1. 전자메일을 수신하는 전자메일수신수단과,
    전자메일 중의 정형문자열과 그 생략형데이터를 대응 지워서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갖는 전자메일표시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전자메일에 포함되는 각 문자열로부터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정형문자열을 검지하는 검지수단과,
    이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정형문자열을 대응 지워서 기억된 생략형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이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생략형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메일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메일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전자메일을 보존하는 메일보존수단과,
    상기 전자메일보존수단에 의해 보존된 전자메일에 포함되는 각 문자열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새로이 수신된 전자메일에 포함되는 각 문자열을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에 의해 상기 보존된 전자메일에 포함되는 문자열과 상기 새로이 수신된 전자메일에 포함되는 문자열이 일치한 경우에 이 일치한 문자열을 상기 정형문자열로서 대응하는 생략형데이터와 함께 상기 기억수단에 등록하는 등록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생략형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가지며,
    상기 등록수단은 상기 일치한 문자열을 상기 정형문자열로서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대응하는 생략형데이터와 함께 상기 기억수단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표시장치.
  4. 제 1 항에서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메일을 수신한 날짜를 검지하는 날짜검지수단을 가지며,
    상기 표시수단은 변환된 생략형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메일을 표시할 때에 생략형데이터에 전자메일을 수신한 날짜를 부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표시장치.
  5. 제 1 항에서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형문자열을 포함하는 전자메일을 수신한 회수를 검지하는 회수검지수단을 가지며,
    상기 표시수단은 변환된 생략형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메일을 표시할 때에 생략형데이터에 상기 정형문자열을 포함하는 전자메일을 수신한 회수를 부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생략형데이터를 강조 표시하는 강조표시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생략형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생략형데이터에 대응하는 정형문자열을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표시하는 정형문자열표시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표시장치.
  8. 수신한 전자메일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시키기 위한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격납한 기억매체로서,
    전자메일을 수신하기 위한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코드와,
    전자메일 중의 정형문자열과 그 생략형데이터를 대응 지워서 기억하기 위한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코드와,
    수신한 전자메일에 포함되는 각 문자열로부터 상기 정형문자열을 검지하기 위한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코드와,
    이 검지된 정형문자열을 대응 지워서 기억된 생략형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코드와,
    이 변환된 생략형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메일을 표시하기 위한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격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
KR10-2000-0047367A 1999-08-18 2000-08-17 전자메일표시장치 및 그 기억매체 KR100472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31770 1999-08-18
JP23177099A JP4362899B2 (ja) 1999-08-18 1999-08-18 データ受信装置、及び記憶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095A true KR20010030095A (ko) 2001-04-16
KR100472635B1 KR100472635B1 (ko) 2005-03-07

Family

ID=16928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367A KR100472635B1 (ko) 1999-08-18 2000-08-17 전자메일표시장치 및 그 기억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077417A3 (ko)
JP (1) JP4362899B2 (ko)
KR (1) KR100472635B1 (ko)
CN (1) CN12855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571B1 (ko) * 2003-01-28 2007-09-05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발음 기술 언어에 의한 음성 합성을 실행하는 단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8770A (ja) * 2001-04-20 2002-10-31 Nec Corp 受信メール自動振り分け装置、受信メール自動振り分け方法、および受信メール自動振り分けプログラム
JP2004088305A (ja) * 2002-08-26 2004-03-18 Nec Corp 携帯端末装置
US7996043B2 (en) 2003-11-04 2011-08-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 size of an electronic message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E60321000D1 (de) * 2003-11-04 2008-06-26 Research In Motion Ltd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mindern der Grösse einer elektronischen Nachricht auf einem mobilen Kommunikationsendgerät
US8151214B2 (en) 2003-12-29 2012-04-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lor coding list items
US7908566B2 (en) 2003-12-29 2011-03-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crolling among categories in a list of documents
US7421664B2 (en) 2003-12-29 2008-09-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ategory separator in a list of documents
US8171426B2 (en) 2003-12-29 2012-05-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secondary selection highlighting
KR20090003397A (ko) * 2007-06-08 2009-01-12 엔에이치엔(주) 정보 영역 지시에 의한 전자메일의 부가 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US9056874B2 (en) 2012-05-04 2015-06-16 Novartis Ag Complement pathway modulators and uses thereof
US9870554B1 (en) 2012-10-23 2018-01-16 Google Inc. Managing documents based on a user's calendar
US10140198B1 (en) 2012-10-30 2018-11-27 Google Llc Networked desktop environment
US8819587B1 (en) 2012-10-30 2014-08-26 Google Inc. Methods of managing items in a shared workspace
EP2970269B1 (en) 2013-03-14 2017-04-19 Novartis AG 2-(1h-indol-4-ylmethyl)-3h-imidazo[4,5-b]pyridine-6-carbonitrile derivatives as complement factor b inhibitor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ophthalmic diseases
US9842113B1 (en) 2013-08-27 2017-12-12 Google Inc. Context-based file selection
US9973462B1 (en) 2013-10-21 2018-05-15 Google Llc Methods for generating message notifications
CN105849090A (zh) 2013-10-30 2016-08-10 诺华股份有限公司 2-苄基-苯并咪唑补体因子b抑制剂及其用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753A (ja) * 1984-06-26 1986-01-17 Hitachi Ltd 文書処理装置における頻発熟語の自動登録方法
KR870006763A (ko) * 1985-12-23 1987-07-14 허신구 팩시밀리의 원고 송수신장치
DE3914589A1 (de) * 1989-05-03 1990-11-0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datenreduktion bei strassennamen
JP3477654B2 (ja) * 1996-07-30 2003-12-1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電子メールのマッチング方法及び装置
JP3814991B2 (ja) * 1997-11-05 2006-08-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メール編集装置および記憶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571B1 (ko) * 2003-01-28 2007-09-05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발음 기술 언어에 의한 음성 합성을 실행하는 단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2635B1 (ko) 2005-03-07
EP1077417A2 (en) 2001-02-21
EP1077417A3 (en) 2003-07-02
JP2001056791A (ja) 2001-02-27
CN1285557A (zh) 2001-02-28
JP4362899B2 (ja)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2635B1 (ko) 전자메일표시장치 및 그 기억매체
US8169409B2 (en) Method of managing a language information for a text input and method of inputting a text and a mobile terminal
US201901558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address entry
US20140006009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utomatic selection of input language, and associated method
US114878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formation of a terminal
US9020975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assisted text entry using existing message thread, and associated method
US20080270559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Sending a Message from a Mobile Device
KR2005003498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의 내용을 폰북에 저장하기위한 방법
US8499052B2 (en) Auto-resolve recipients cache
CN111049813B (zh) 报文组装方法、解析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0372663B1 (ko) 개인정보 단말기의 문자전송 및 저장방법
JP2007286917A (ja) 言語処理装置、携帯端末及び言語処理方法
JPH1027141A (ja) 電子メールシステム
JP2001318864A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3772404B2 (ja) 電子機器
KR20090015284A (ko)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단어 db 생성 방법, 단어 자동 완성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
WO2022196772A1 (ja) メッセージ通信プログラム
KR100638224B1 (ko) 엑스엠엘 변환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JP3892247B2 (ja) 電子機器
KR20140094426A (ko) 단말기의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JP3753890B2 (ja) 移動通信端末装置および移動通信端末装置における文字データ読み出し方法
KR20000058955A (ko) 인터넷에서 웹으로의 접속 및 전자우편 전송 방법 및 그기록 매체
JP2003316696A (ja) 電子メール表示装置
KR20080113165A (ko) 전화라인을 이용하는 유선통신도구(전화기나 fax)를 이용하는 문자메시지에 대한 시스템, 방법에 관한 것이다.
JP2009087078A (ja) 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124

Effective date: 200408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