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8458A - 해록석을 함유한 인체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록석을 함유한 인체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8458A
KR20010028458A KR1019990040710A KR19990040710A KR20010028458A KR 20010028458 A KR20010028458 A KR 20010028458A KR 1019990040710 A KR1019990040710 A KR 1019990040710A KR 19990040710 A KR19990040710 A KR 19990040710A KR 20010028458 A KR20010028458 A KR 20010028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oints
hair
human body
examp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승
임재홍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90040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8458A/ko
Publication of KR20010028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4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록석(海綠石, Glauconite, Greensand)을 함유한 것으로서, 인체의 유연 효과,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을 주고, 동시에 보습 효과를 증진시키고, 세정 기능 및 두피의 가려움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가 우수한 인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록석을 함유한 인체용 조성물{THE COMPOSITION OF PERSONAL CARE CONTAINING GLAUCONITE}
본 발명은 해록석(海綠石, Glauconite, Greensand)을 함유한 인체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의 유연 효과,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을 줌과 동시에 보습 효과를 증진시키고, 세정 기능 및 두피의 가려움 완화 효과가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용 조성물은 사람의 인체를 청결히 하고, 미화하며, 매력을 증가시키고, 피부나 모발 등 신체를 건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제형으로 만들어 신체 부위의 적용이 용이하도록 제조된 것을 말하며, 이러한 조성물로는 크림류, 샴푸, 린스, 염모제, 양모제, 모발 영양제, 탈모제, 헤어젤, 비누, 바디클렌저, 입욕제, 제한제, 팩류, 헨드 케어, 레그 케어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인체용품에 사용되는 조성물 중 보습 성분은 자연 보습 인자(NMF ; Natural Moisturizing Factor) 뿐만이 아니라, 이들과 결합 또는 포위해서 그 유출을 방지하거나 수분의 증발에 대해 적당히 제어하는 지질이나 피부의 유성 성분, 또는 진피 내에 존재하여 보습의 역할을 담당하는 당류 등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보습 기능이 있는 물질을 보습제라 한다.
이들 보습 성분으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 등의 다가 알콜이 가장 많이 사용되지만, 그밖에 성분으로 피롤리딘카본산염이나 젖산염 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피부 표면에서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 유지(oil and fats)를 사용하기도 한다. 유지는 지방산과 글리세린(glicerine)의 트리에스터(triester)가 주성분으로, 올리브 유(olive oil), 카멜리아 유(camellia oil), 마카다미아 너트 유(macadamia nut oil), 피마자 유(castor oil) 등이 있다.
세정제로는 계면 활성제가 주로 사용되는데, 그 중에는 고급 지방산 비누, 알킬설페이트(alkyl sulfate),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틸황산염(polyoxyethylene alkyl ether sulfate) 등과 같은 음이온 계면활성제나 알킬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alkyl dimethylaminoacetic acid betaine) 같은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밖에 사용감과 유연 효과를 주기 위해서 천연 계면활성제 성분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런 보습 성분이나 유연 효과를 주는 성분은 몇 가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보습 성분들은 다소의 보습 기능은 가지고 있으나 만족할 만큼의 보습 효과를 주지 못하며, 이들 성분이 피부에 잔류하여 피부 끈적임을 유발할 수 있어 사용 후의 느낌이 그다지 좋지 못한 단점이 있으며, 또한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인체용 조성물에 해록석(海綠石)을 첨가하므로써 피부에 유연 효과,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을 줌과 동시에 보습 효과를 증진시키고, 두피 가려움의 완화 효과가 탁월하고, 또한 흡착력에 의해 피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우수한 세정 기능이 증진되는 인체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해록석(海綠石 ; glauconite, Greensand)은 회록색(灰綠色)의 점토로 백운모와 동계(同系)의 단사정계에 속하며, 함수 알루미늄 규산염의 토상 광물로 화학 조성은〔(K15(Fe,Mg,Al)4-6(Si,Al)3O20(OH)2〕로 알려져 있다(참조 문헌 ; WQA Glossary of Terms, 3rd Edition).
해록석(海綠石 ; glauconite, Greensand)은 해양 퇴적물이 심해에 쌓여 퇴적층을 형성하였다가 오랜 기간 동안의 단층 변화로 인해 해안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퇴적층을 형성한 것이다.
해록석의 물리적 특성은 강한 흡착성과 다공성을 가지고 있으며, 원적외선 발생량이 풍부하며, 기공이 많아 과량의 산소를 방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과거에는 해록석을 이용하여 이온 교환제 또는 칼리 비료로 이용되기도 하였으며, 일부 밭작물을 해충으로부터 보호할 목적으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해록석을 이용하여 인체에 유연 효과,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을 주고 동시에 보습 효과, 세정 기능 및 두피의 가려움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가 우수한 인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인체용 조성물로는 크림류, 샴푸, 린스, 염모제, 양모제, 모발 영양제, 탈모제, 헤어젤, 비누, 바디클렌저, 입욕제, 제한제, 팩류, 헨드 케어, 레그 케어 등이 여기에 속하며, 바람직하게는 세안제 조성물, 비누 조성물, 액상 비누 조성물, 팩 조성물, 피부 크림 조성물, 두발 화장품 조성물 등에 해록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해록석의 특징은 암석 형태의 덩어리를 분쇄기를 통해 미세하게 파쇄하여 평균 입자 크기가 100 메쉬(mesh) 내지 400 메쉬(mesh)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도록 제조된 해록석을 사용하였다. 평균 입자의 크기가 100 메쉬(mesh)보다 클 경우에는 제품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400 메쉬(mesh)보다 평균 입자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적용상의 어려움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해록석의 양은 적용하는 조성물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0.01 중량내지 20.0 중량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0.01 중량이하를 사용할 경우에는 기대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20.0 중량이상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품 안정성에 영향을 줄 뿐 만 아니라,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본 발명을 비교예 및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
다음 표 1은 세안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세안제 베이스에 해록석(海綠石 ; glauconite)을 호모 믹서기에서 교반, 가열, 탈기, 냉각 등의 과정을 거쳐 조성 물질이 균일하도록 혼합하여 세안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중량)
성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글리세린 5.0 5.0 5.0 5.0 5.0
모노알킬포스페이트 40.0 40.0 40.0 40.0 40.0
NaOH(50) 15.0 15.0 15.0 15.0 15.0
해록석 3.0 5.0 10.0 - -
진흙 - - - - 5.0
정제수 To. 100.0 To. 100.0 To. 100.0 To. 100.0 To. 100.0
해록석을 함유한 세안제 조성물에 대한 사용성 평가 실험
1. 평가 방법
평소 세안제를 주로 사용하는 소비자 50명을 대상으로 평소 세안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2주간 사용하게 한 후, 실시예 1, 2, 3과 비교예 1, 2로 제조된 세안제 조성물을 평가하게 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사용시의 사용감1) 5.7 5.5 5.8 5.0 4.7
사용 후의 감촉1) 5.5 5.5 5.7 3.5 4.3
피부 땡김 정도2) 5.2 5.4 5.7 3.3 4.1
세정 효과3) 5.3 5.6 5.7 3.3 4.0
종합 평가 5.6 5.7 5.7 4.0 4.4
2. 평가 척도
1) 사용 시와 사용 후의 평가 : 극히 좋다 7점, 매우 좋다 6점, 좋다 5점, 보통이다 4점, 나쁘다 3점, 매우 나쁘다 2점, 극히 나쁘다 1점.
2) 피부 땡김 정도 : 전혀 없다 7점, 매우 없다 6점, 없다 5점, 보통이다 4점, 다소 있다 3점, 매우 있다 2점, 상당히 있다 1점.
3) 세정 효과 : 극히 좋다 7점, 매우 좋다 6점, 좋다 5점, 보통이다 4점, 나쁘다 3점, 매우 나쁘다 2점, 극히 나쁘다 1점.
4) 종합 평가 : 극히 만족한다 7점, 매우 만족한다 6점, 만족한다 5점, 보통이다 4점, 불만이다 3점, 매우 불만이다 2점, 극히 불만이다 1점.
4. 평가 결과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2의 세안제에 비해 실시예 1, 2, 3의 세안제가 사용시의 사용감과 사용 후의 감촉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부 땡김 정도에 있어서도, 비교예 1, 2의 세안제에 비해 실시예 1, 2, 3의 세안제가 피부의 땡김 정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정 효과에 있어서 비교예에 비해 실시예의 노폐물 제거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종합 평가에서도 비교예에 비해 실시예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2>
다음 표 3은 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화장 비누를 해록석(海綠石 ; glauconite)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비누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위:중량)
성 분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3 비교예 4
화장 비누 수지(수분 10중량) 98.04 97.14 93.14 98.14 93.14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 톨루엔(BHT) 0.01 0.01 0.01 0.01 0.01
에티렌 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DTA-4Na) 0.05 0.05 0.05 0.05 0.05
해록석 0.10 1.00 5.00 - -
진흙 - - - - 5.00
산화 티탄 0.30 0.30 0.30 0.30 0.30
향료 1.50 1.50 1.50 1.50 1.50
해록석을 함유한 화장비누 조성물에 대한 사용성 평가 실험
1. 평가 방법
소비자 100명을 대상으로, 각각의 시료를 주고, 집에서 평소 세안하는 방법으로 세안하게 한 후, 평가 용지를 통해 본인 스스로가 평가토록 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4 5 6 3 4
사용 시의 사용감1) 5.4 5.5 5.7 4.2 5.0
사용 후의 감촉1) 5.9 5.9 6.1 4.5 4.9
피부 땡김 정도2) 5.6 5.7 6.1 4.3 5.0
세정 효과3) 5.5 5.6 5.7 4.0 4.5
종합 만족도 5.7 5.7 5.9 4.3 4.9
2. 평가 척도
1) 사용 시와 사용 후의 평가 : 극히 좋다 7점, 매우 좋다 6점, 좋다 5점, 보통이다 4점, 나쁘다 3점, 매우 나쁘다 2점, 극히 나쁘다 1점.
2) 피부 땡김 정도 : 전혀 없다 7점, 매우 없다 6점, 없다 5점, 보통이다 4점, 다소 있다 3점, 매우 있다 2점, 상당히 있다 1점.
3) 세정 효과 : 극히 좋다 7점, 매우 좋다 6점, 좋다 5점, 보통이다 4점, 나쁘다 3점, 매우 나쁘다 2점, 극히 나쁘다 1점.
4) 종합 평가 : 극히 만족한다 7점, 매우 만족한다 6점, 만족한다 5점, 보통이다 4점, 불만이다 3점, 매우 불만이다 2점, 극히 불만이다 1점.
3. 평가 결과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록석을 사용한 실시예 4, 5, 6의 화장비누에 대한 사용시의 사용감과 사용 후의 감촉이 비교예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부 땡김 정도에 있어서도, 실시예 4, 5, 6의 화장 비누가 피부의 땡김 정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정 효과에 있어서 비교예에 비해 실시예의 노폐물 제거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종합 평가에서도 비교예에 비해 실시예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7 내지 9 및 비교예 5 내지 6>
다음 표 3은 액상 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해록석을 통상적인 액상 비누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위:중량)
성 분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5 비교예 6
KOH 45수용액 9.0 9.0 9.0 9.0 9.0
라우릭산 10.0 10.0 10.0 10.0 10.0
미리스트산 5.0 5.0 5.0 5.0 5.0
코코일디에탄올아미드 3.0 3.0 3.0 3.0 3.0
해록석 0.5 1.0 5.0 - -
진흙 - - - - 5.00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해록석을 함유한 액상 비누 조성물에 대한 사용성 평가 실험
1. 평가 방법
소비자 100명을 대상으로, 각각의 시료를 주고, 집에서 평소 세안하는 방법으로 세안하게 한 후, 평가 용지를 통해 본인 스스로가 평가토록 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7 8 9 5 6
사용 시의 사용감1) 5.2 5.5 5.5 4.4 4.7
사용 후의 감촉1) 5.6 5.8 6.0 4.6 4.9
피부 땡김 정도2) 5.3 5.7 5.9 4.3 4.5
세정 효과3) 5.5 5.7 5.6 4.5 4.8
종합 만족도 5.4 5.5 5.7 4.7 4.8
2. 평가 척도
1) 사용 시와 사용 후의 평가 : 상당히 좋다 7점, 매우 좋다 6점, 좋다 5점, 보통이다 4점, 다소 나쁘다 3점, 매우 나쁘다 2점, 극히 나쁘다 1점.
2) 피부 땡김 정도 : 전혀 없다 7점, 매우 없다 6점, 없다 5점, 보통이다 4점, 다소 있다 3점, 매우 있다 2점, 상당히 있다 1점.
3) 세정 효과 : 상당히 좋다 7점, 매우 좋다 6점, 좋다 5점, 보통이다 4점, 다소 나쁘다 3점, 매우 나쁘다 2점, 극히 나쁘다 1점.
4) 종합 평가 : 극히 만족한다 7점, 매우 만족한다 6점, 만족한다 5점, 보통이다 4점, 불만이다 3점, 매우 불만이다 2점, 극히 불만이다 1점.
3. 평가 결과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록석을 사용한 실시예 7, 8, 9의 액상 비누 조성물에 대한 사용 후의 감촉이 비교예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부 땡김 정도에 있어서도, 실시예 7, 8, 9의 액상 비누 조성물이 피부의 땡김 정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정 효과에 있어서도 비교예에 비해 실시예의 노폐물 제거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종합 평가에서도 비교예에 비해 실시예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해록석을 함유한 액상 비누 조성물에 대한 보습력 실험
1. 평가 방법
상기 표 5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액상 비누를 증류수로 희석하여 5 수용액으로 만들고 이 수용액 1 ㎖를 취하여 팔 안쪽에 5㎝×5㎝ 크기로 시료를 도포 하였다. 그런 다음 스키콘 200(Skicon 200)을 이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수분 손실을 구하였다. 이때 용액을 도포한 직후를 100으로 하고 도포 전을 40으로 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수분 손실을 구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0 11 12 7 8
보습력 초기 100 100 100 100 100
5분 후 88 88 91 80 82
10분 후 84 84 89 72 76
20분 후 81 82 85 66 71
30분 후 76 78 79 61 66
3. 평가 결과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록석을 사용한 액상 비누 조성물인 실시예 10, 11, 12의 액상 비누 조성물에 대한 보습력이 비교예 7, 8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3 내지 16 및 비교예 9 내지 11>
다음 표 8는 해록석(海綠石 ; glauconite)을 함유한 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위:중량)
구 분 실시예 비교예
13 14 15 16 9 10 11
솔비톨 5.0 - 5.0 - 5.0 - 5.0
카오린 - 30.0 - - 40.0 30.0 40.0
글리세린 5.0 15.0 5.0 5.0 15.0 15.0 15.0
프로필렌글리콜 - 5.0 5.0 - - 5.0 -
에탄올 10.0 12.0 5.0 5.0 10.0 12.0 5.0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스 - 5.0 1.0 - - 5.0 1.0
잔탄검 - - 0.5 - - - -
수산화칼륨 - - 0.5 - - - 0.5
폴리옥시에틸렌경비마지유 - - - 2.0 - - 2.0
구연산나트륨 - 0.01 - - - 0.01 -
폴리비닐 알콜 10.0 15.0 - - 10.0 15.0 -
산화티탄 1.0 - - 1.0 1.0 - 1.0
탈크 5.0 - - - 5.0 - -
POE올레일알콜에텔 2.0 0.5 1.0 - 2.0 - -
해록석 0.5 1.0 5.0 10.0 - - -
진흙 - - - - 1.0 5.0 10.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0 To 100.0 To 100.0 To 100.0 To 100.0 To 100.0 To 100.0
해록석을 함유한 세안제 조성물에 대한 사용성 평가 실험
1. 평가 방법
피지 제거 효과와 피부 자극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표5의 실시예 13, 14, 15, 16과 비교예 9, 10, 11으로 제조된 팩 조성물을 피 시험자 30명을 대상으로, 코, 턱, 이마 등 얼굴의 3 부위에 도포하였다. 그 후 15분간 방치 후 벗겨낸 후 7점 척도로 다음 기준에 의해 피지 제거 효과 및 피부 자극 정도를 평가하였다.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실시예16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피지/이물질 제거효과 5.3 5.5 5.8 5.8 4.5 4.8 4.9
5.2 5.6 5.5 5.4 4.5 4.4 4.7
이마 5.4 5.5 5.6 5.7 4.4 4.5 4.6
피부자극정도 5.5 5.5 5.4 5.7 4.7 4.8 4.7
5.3 5.7 5.5 5.7 4.5 4.6 4.0
이마 5.6 5.8 5.9 5.9 4.4 4.6 4.8
2. 평가 척도
1) 피지 제거 효과 및 피부 자극 정도
피지/이물질 제거 효과 피부 자극 정도
1 점 극히 없다 극히 심하다
2 점 매우 없다 매우 심하다
3 점 없다 심하다
4 점 보통 보통
5 점 우수하다 없는 편이다
6 점 상당히 우수하다 거의 없다
7 점 극히 우수하다 전혀 없다
3. 평가 결과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록석을 함유한 팩 조성물인 실시예 13, 14, 15 및 16이 비교예 9, 10, 11에 비해 피지 및 이물질 제거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해록석이 가지고 있는 특징인 흡착능이 모공내의 이물질이나 피지를 쉽게 흡착할 수 있기 때문에 탁월한 피지 제거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피부 자극 측면에 있어서도 비교예 9, 10, 11과 동등 수준이거나 자극이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시예 17 내지 19 및 비교예 12 내지 13>
다음 표 10은 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크림 베이스인 유성 성분, 수성 성분, 계면활성제 등의 조합물과 해록석(海綠石 ; glauconite)을 혼합기에서 잘 유화 시킨 후, 탈기, 여과, 냉각 등의 과정을 거쳐 크림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그 이외의 첨가제인 방부제, 킬레이트제, 향료, 색소 등을 첨가하여 수중유형(O/W)의 처방으로 제조하였다.
(단위:중량)
실시예17 실시예18 실시예19 비교예12 비교예13
스테아린산 8.0 8.0 8.0 8.0 8.0
스테아릴알콜 4.0 4.0 4.0 4.0 4.0
스테아린산부틸 6.0 6.0 6.0 6.0 6.0
프로필렌글리콜 5.0 5.0 5.0 5.0 5.0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2.0 2.0 2.0 2.0
수산화칼륨 0.4 0.4 0.4 0.4 0.4
해록석 0.01 1.0 2.0 - -
진흙 - - - 0.1 2.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0 To 100.0 To 100.0 To 100.0 To 100.0
해록석을 함유한 크림 조성물에 대한 사용성 평가 실험
1. 평가 방법
피지 제거 효과, 피부 자극 정도 및 사용 후의 만족도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표 10 의 실시예 17, 18, 19와 비교예 12, 13으로 제조된 크림 조성물을 피 시험자 30 명을 대상으로, 일반 크림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하게 한 후 7점 척도로 다음 기준에 의해 피지 제거 효과 및 피부 자극 정도를 평가하였다.
실시예17 실시예18 실시예19 비교예12 비교예13
피지 제거 효과 5.4 5.6 5.6 4.4 4.7
피부 자극 정도 5.0 5.0 5.1 4.0 4.2
사용 후 만족도 5.0 5.7 5.6 4.2 4.4
2. 평가 척도
피지 제거 효과 및 피부 자극 정도
피지/이물질 제거 효과 피부 자극 정도 만족도
1 점 극히 없다 극히 심하다 극히 불만이다
2 점 매우 없다 매우 심하다 매우 불만이다
3 점 없다 심하다 불만이다
4 점 보통 보통 보통
5 점 우수하다 없는 편이다 만족한다
6 점 상당히 우수하다 거의 없다 매우 만족한다
7 점 극히 우수하다 전혀 없다 극히 만족한다
3. 평가 결과
표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록석을 함유한 크림 조성물인 실시예 17, 18, 19가 비교예 12, 13에 비해 피지 및 이물질 제거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해록석이 모공내의 이물질이나 피지를 쉽게 흡착할 수 있기 때문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피부 자극 측면에서도 비교예 12, 13과 동등 수준이거나 자극이 다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0 내지 24 및 비교예 14 내지 15>
다음 표 12은 두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의 샴푸 제조 방법에 준하여 제조하였다.
(단위:중량)
실시예 비교예
20 21 22 23 24 14 15
라우릴황산나트륨(3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황산나트륨(3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2.0 2.0 2.0 2.0 2.0 2.0 2.0
프로필렌글리콜 2.0 2.0 2.0 2.0 2.0 2.0 2.0
디메치콘* 3.0 3.0 3.0 3.0 3.0 3.0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0.4 0.2 0.2 0.2 0.2
트리에탄올아민 0.2 0.2 0.2 0.2 0.2 0.2 0.2
해록석 0.05 0.1 1.0 3.0 5.0 - -
머드 - - - - - 1.0 3.0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2 0.2 0.2 0.2 0.2 0.2 0.2
향료 0.4 0.4 0.4 0.4 0.4 0.4 0.4
구연산 0.01 0.01 0.01 0.01 0.01 0.01 0.01
염화나트륨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증류수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 : 상품명 : DC 200F(104cs)(제조회사 : 디씨 실리콘(DC Silicon))
** : 상품명 : Carbopol 1342 (제조회사 : 구드리히(Goodrich))
해록석을 함유한 샴푸 조성물에 대한 사용성 평가 및 두피 가려움 효과 실험
1. 평가 방법
평소 두피 가려움을 가지고 있는 30 명을 대상으로 평소 세발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3주 이상 사용하게 한 후, 실시예 20, 21, 22, 23, 24와 비교예 14, 15로 제조된 샴푸 조성물을 평가하게 하였다.
실시예20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실시예24 비교예14 비교예15
모발의 부드러운정도 4.7 5.2 5.3 5.6 5.6 4.0 3.9
두피 가려움 감소율 5.0 5.1 5.2 5.3 5.2 4.2 4.5
종합 품질 만족도 5.0 5.3 5.2 5.3 5.4 4.2 4.3
2. 평가 척도
1) 사용성 및 두피 가려움 개선 효과 정도 :
부드러움 정도 가려움증 감소 효과 종합 만족도
1 점 극히 뻣뻣하다 극히 없다 극히 불만
2 점 매우 뻣뻣하다 매우 없다 매우 불만
3 점 뻣뻣하다 없다 불만
4 점 보통 보통 보통
5 점 부드럽다 다소 있다 다소 만족
6 점 상당히 부드럽다 상당히 있다 극히 만족
7 점 극히 부드럽다 극히 있다 극히 만족
3. 평가 결과
표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록석을 함유한 모발 조성물인 실시예 20, 21, 22, 23, 24가 비교예 14, 15에 비해 사용 후의 모발 상태가 매우 만족스러운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또한 두피 가려움에 있어서도 머드를 사용한 비교예 샴푸에 비해서 우수한 가려움증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종합 만족도 측면에서도 해록석을 함유한 실시예 20, 21, 22, 23, 24가 비교예 14, 15에 비해 만족하고 잇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발명의 인체용 조성물은 인체의 유연 효과,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을 주고, 동시에 보습 효과, 세정 기능 및 두피의 가려움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가 우수하다.

Claims (4)

  1. 해록석(海綠石, Glauconite, Greensand)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해록석의 함량이 0.01 내지 20.0 중량를 함유하는 인체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해록석의 평균 입자 크기가 100 메쉬(mesh) 내지 400 메쉬(mesh) 범위의 입자를 갖는 것인 인체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용 조성물은 크림류, 샴푸, 린스, 염모제, 양모제, 모발 영양제, 탈모제, 헤어젤, 비누, 바디클렌저, 입욕제, 제한제, 팩류, 헨드 케어, 레그 케어, 세안제 조성물, 액상 비누 조성물 및 두발 화장품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인체용 조성물.
KR1019990040710A 1999-09-21 1999-09-21 해록석을 함유한 인체용 조성물 KR20010028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710A KR20010028458A (ko) 1999-09-21 1999-09-21 해록석을 함유한 인체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710A KR20010028458A (ko) 1999-09-21 1999-09-21 해록석을 함유한 인체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458A true KR20010028458A (ko) 2001-04-06

Family

ID=1961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710A KR20010028458A (ko) 1999-09-21 1999-09-21 해록석을 함유한 인체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84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9523B2 (en) Emollient skin conditioning cream and method
CN108125859A (zh) 一种多功能氨基酸洁面膏及其制备方法
KR101592242B1 (ko) 식물성콜라겐을 함유한 화장 제거 및 피부 관리용 다기능성 클렌징 티슈 및 이의 제조방법
JPH10147507A (ja) 透明な発泡性ゲル形態の化粧品組成物
EP1163895A1 (en) Detergent compositions
US20030044366A1 (en) Skin care composition that changes color upon drying
US20040057921A1 (en) Compositions for exfoliating skin and treating blackheads
US6210694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harcoal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20190105383A (ko) 자가발포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H06179892A (ja) 洗浄剤組成物
WO2001001954A1 (en) Personal hygiene tablet composition
JP2023008894A (ja) アミノ酸系界面活性剤を含むクレンジングフォーム化粧料組成物
KR101062156B1 (ko) 황기종자 스크럽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1072573A (ja) 洗顔用の化粧料
WO2002056860A1 (fr) Compositions nettoyantes
JP2000247860A (ja) マッサージ化粧料
KR20010028458A (ko) 해록석을 함유한 인체용 조성물
CN113318008A (zh) 一种沐浴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060210519A1 (en) Exfoliating and moisturizing composition and method
JP2001072574A (ja) 洗顔用の化粧料
KR100981600B1 (ko) 세안제 조성물
WO2001078659A1 (fr) Lotions laiteuses, preparations cosmetiques, agents de nettoyage de la peau et articles de nettoyage de la peau
JP2834381B2 (ja) 洗浄剤組成物
JP4550234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6177634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