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8097A -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 장치 - Google Patents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8097A
KR20010028097A KR1019990040165A KR19990040165A KR20010028097A KR 20010028097 A KR20010028097 A KR 20010028097A KR 1019990040165 A KR1019990040165 A KR 1019990040165A KR 19990040165 A KR19990040165 A KR 19990040165A KR 20010028097 A KR20010028097 A KR 20010028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ayer
entity
mapping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4616B1 (ko
Inventor
박재홍
황운희
구연상
이종원
양신현
예정화
Original Assignee
박종섭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40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616B1/ko
Priority to DE2000636446 priority patent/DE60036446T2/de
Priority to JP2000229669A priority patent/JP2001095033A/ja
Priority to US09/628,316 priority patent/US6853852B1/en
Priority to EP20000306450 priority patent/EP1096816B1/en
Publication of KR20010028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097A/ko
Priority to US11/022,497 priority patent/US744388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616B1/ko
Priority to US12/212,118 priority patent/US8135030B2/en
Priority to US13/397,044 priority patent/US8687651B2/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망인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서 접속되는 코어망이 동기식 코어망인 ANSI-41망인 경우에도 비동기 단말과 ANSI-41망간에 원활히 메시지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지도록 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비동기 무선망 및 비동기 단말내 메시지 및 파라미터를 매핑 또는 생성하는 매핑 엔티티부를 각각 구비한다. 또한, 무선자원 제어부, 무선링크 제어부, 매체접근 제어부, 물리 계층부내 각각의 서포팅 엔티티부에,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 레이어 연결기능 수행부,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를 구비시킴으로써, 비동기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과의 연동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 장치{Supporting entity apparatus for interactive of synchronous core-network i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특히,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2000)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Supporting Entity)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망인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서 접속되는 코어망이 동기식 코어망인 ANSI-41망인 경우에도 비동기 단말과 ANSI-41망간에 원활히 메시지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지도록 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무선망인 UTRAN에 접속되는 코어망이 동기식 코어망인 ANSI-41망일 경우, 동기식 프로토콜에 맞게 프로토콜을 변경함으로써 ANSI-41망과의 메시지 인터페이스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아울러 비동기 단말도 그에 대응하여 동기식 프로토콜에 맞게 프로토콜을 변경함으로써 ANSI-41망과 원활히 메시지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지도록 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경우, 동기 단말과 동기 통신 방식의 동기 무선망("CDMA-2000 무선망"을 뜻함)이 연결되며, 코어 네트워크(CN)로 ANSI-41망에 접속한다.
또한, 종래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경우, 비동기 단말과 비동기 통신 방식의 비동기 무선망인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 연결되며, 코어 네트워크(CN)로 GSM-MAP(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Mobile Application Part)망에 접속한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상기와 같은 종래 동기/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a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참조부호 11은 동기 단말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12는 상기 동기 단말(11)과 무선으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며 기지국 및 제어국을 포함하는 동기 무선망(CDMA-2000 무선 망)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13은 상기 동기 무선망(12)과 연결되는 동기 코어망으로서, 이는 동기 이동통신 교환기(MSC)(14)와 ANSI-41망(15)을 포함한다.
이러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 구조에서, 동기 단말(11)은 주지한 바와 같이 동기 무선망(12)과 접속되고, 그 동기 무선망(12)은 동기 코어망(13)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한다.
도 1b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참조부호 21은 비동기 단말을 나타내고, 22는 기지국 및 제어국을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망인 UTRAN을 나타내며, 23은 상기 UTRAN(22)과 연결되는 비동기 이동통신 교환기(MSC)(24)와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교환기(24)와 접속되는 GSM-MAP망(25)을 포함하는 비동기 코어망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 구조에서, 비동기 단말(21)은 비동기 무선망인 UTRAN(22)과 접속되고, 그 UTRAN(22)은 비동기 코어망(23)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한다.
첨부한 도면 도 2는 상기와 같은 동기/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각부 프로토콜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도 2a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각부 프로토콜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참조부호 30은 동기 단말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40은 동기 무선망을 나타내고, 50은 상기 동기 무선망(40)과 연결되는 동기 코어망을 나타낸다.
상기 동기 단말(30)은 계층3(31), 계층2(34), 계층1(35)로 구분되며 각각의 레벨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이 구비되고, 특히, 계층3(31)에는 호 관리를 위한 동기 호 제어부(CC : Call Control)(32)와 이동성 관리를 위한 동기 이동성 관리부(MM : Mobility Management)(33)가 구비된다.
또한, 동기 무선망(40)은 계층3(41), 계층2(42), 계층1(43)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을 구비하며, 상기 동기 단말(30)의 각 계층과 동일한 계층이 대응한다.
또한, 동기 코어망(50)은 계층3(51), 계층2(54), 계층1(55)로 구분되며 각각의 레벨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이 구비되고, 특히, 계층3(51)에는 호 관리를 위한 동기 호 제어부(CC : Call Control)(52)와 이동성 관리를 위한 동기 이동성 관리부(MM : Mobility Management)(53)가 구비된다.
도 2b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각부 프로토콜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참조부호 60은 비동기 단말, 70은 UTRAN, 80은 비동기 코어망을 각각 타나낸다.
그리고 상기 비동기 단말(60)은 NAS부(61)와, 계층3(64), 계층2(65), 계층1(66)로 구분되며 각각의 레벨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이 구비되고, 특히, NAS부(61)에는 호 관리를 위한 비동기 호 제어부(CC : Call Control)(62)와 이동성 관리를 위한 비동기 이동성 관리부(MM : Mobility Management)(63)가 구비된다.
또한, UTRAN(70)은 상기 비동기 단말(60)의 각 계층과 대응되며 비동기 코어망(80)과의 각 계층과도 대응되도록 계층3(71), 계층2(72), 계층1(73)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이 구현되어 있다.
또한, 비동기 코어망(80)은 상기 비동기 단말(60)과 접속하기 위한 비동기 호 제어부(CC)(82), 이동성 관리를 위한 비동기 이동성 관리부(MM)(83)를 구비한 NAS부(81)와, 상기 UTRAN(70)내 각 계층과 연결하기 위한 계층3(84), 계층2(85), 계층1(86)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연동 구조에서 동기 단말(30)은 동기 통신 방식의 동기 무선망(40)으로부터 동기 채널(Sync Channel)을 통해 동기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 동기 채널 메시지를 통해 연결된 코어망 정보나 동기 무선망 정보를 비롯한 동기 단말이 망으로의 접속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획득하게 된다.
여기서, 동기 채널 메시지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 요소가 기록된다.
a) 프로토콜 개정 레벨(Protocol Revision Level : 8비트)
b) 최소 프로토콜 개정 레벨(Minimum Protocol Revision Level : 8비트)
c) 시스템 식별자(System Identification : 15비트)
d) 망 식별자(Network Identification : 16비트)
e) 파일롯 PN 시퀀스 오프셋 인덱스(Pilot PN sequence offset index : 9비트)
f) 롱 코드 상태(Long Code State : 42비트)
g) 시스템 시간(System Time : 36비트)
h) The number of Leap seconds that have occurred since the start of system Time : 8비트)
i) Offset of local time from System Time(6비트)
j) Daylight savings time indicator(1비트)
k) 페이징 채널 데이터 레이트(Paging Channel data rate : 2비트)
l) 주파수 할당 정보(Frequency assignment : 11비트)
m) 확장 주파수 할당 정보(Extended frequency assignment : 11비트)
n) 직교 전송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Orthogonal transmit diversity mode : 2비트)
그리고 동기 단말은 수신한 동기 채널 메시지 중에서 다음과 같은 정보 요소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a) 프로토콜 개정 레벨(Protocol Revision Level : 8비트)
b) 최소 프로토콜 개정 레벨(Minimum Protocol Revision Level : 8비트)
c) 시스템 식별자(System Identification : 15비트)
d) 망 식별자(Network Identification : 16비트)
e) 파일롯 PN 시퀀스 오프셋 인덱스(Pilot PN sequence offset index : 9비트)
f) 롱 코드 상태 정보(Long Code State : 42비트)
g) 시스템 시간(System Time : 36비트)
h) 페이징 채널 데이터 레이트(Paging Channel data rate : 2비트)
i) 직교 전송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Orthogonal transmit diversity mode : 2비트)
아울러 비동기 단말(60)은 UTRAN(70)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CCH)을 통해 시스템 안내 메시지(System Information Message)를 수신하며, 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해 코어망 정보나 UTRAN 정보를 비롯한 비동기 단말이 망으로의 접속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획득하게 된다.
한편, IMT-2000 시스템의 비동기 방식의 경우, 1999년 5월 OHG 요구 사항 결정에 따라 코어망으로 비동기식에서 사용중인 GSM-MAP 망이나, 동기식에서 사용중인 ANSI-41망이 사용될 수 있다.
즉, IMT-2000 시스템은 망 전개 상황에 따라 아래와 같은 두 가지 방식의 연동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첫 번째로, 비동기 단말, 비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망 그리고 ANSI-41망 연동 구조이며, 두 번째로, 비동기 단말, 비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망 그리고 GSM-MAP망 연동 구조이다.
이와 같은 두 가지의 구조에 적응적으로 동작이 가능토록 하기 위해서 비동기 단말은, 종래의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비동기 단말과는 달리, 프로토콜 스택 구조의 계층3에 GSM-MAP 코어망 서비스용 CC(Call Control), MM(Mobility Management) 프로토콜 엔티티와 ANSI-41 코어망 서비스용 CC 및 MM 프로토콜 엔티티를 모두 가지고, 접속되는 코어망에 따라 적응적으로 프로토콜 변환하여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해야 한다.
예를 들어, 현재 접속된 망이 ANSI-41 코어망인 경우, 동기 CC 및 동기 MM의 프로토콜을 활성화하여 ANSI-41 코어망과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해야 하고, 현재 접속된 망이 GSM-MAP 코어망인 경우, 비동기 CC 및 비동기 MM의 프로토콜을 활성화하여 GSM-MAP 코어망과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접속되는 코어망의 종류에 따라 적응적으로 프로토콜 엔티티를 변환해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망인 UTRAN에서 동기식 코어망인 ANSI-41망과의 연동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망인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서 접속되는 코어망이 동기식 코어망인 ANSI-41망인 경우에도 비동기 단말과 ANSI-41망간에 원활히 메시지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지도록 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동기 단말, 비동기 무선망(UTRAN), 상기 비동기 무선망과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는 코어망으로 이루어진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 무선망은,
동기식 코어망과 연동시 동기식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동기식 프로토콜 처리부와;
상기 동기식 프로토콜 처리부와 연결되고 동기식 코어망과의 연동시 파라미터를 매핑 또는 생성하는 매핑 엔티티부와;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연결되고 호 관리 및 이동성 관리를 제어하는 호 제어 및 이동성 관리부와;
상위 매핑 엔티티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서포팅 엔티티부를 구비하고 무선 자원을 컨트롤하는 무선 자원 제어부와;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서포팅 엔티티부를 구비하고 무선 링크를 제어하는 무선링크 제어부와;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서포팅 엔티티부를 구비하고 물리 계층과의 매체 접근을 제어하는 매체 접근 제어부와;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통신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부를 구비하고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고 물리적인 매체를 통하여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물리 계층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무선자원 제어부내 서포팅 엔티티부는,
상위 레이어인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서 수신한 정보는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며 그 하위 계층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 전달하는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와;
상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와 하위 레이어에서 전송된 정보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와;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무선 설정 및 관리를 제어하고 무선 자원에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무선링크 제어부내 서포팅 엔티티부는,
상위 레이어인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서 수신한 정보는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며 그 하위 계층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 전달하는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와;
상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와 하위 레이어에서 전송된 정보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와;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L2 연결의 설정과 해제를 제어하고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무선링크 제어부와의 연결설정을 제어하고 전송에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매체접근 제어부내 서포팅 엔티티부는,
상위 레이어인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서 수신한 정보는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며 그 하위 계층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 전달하는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와;
상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와 하위 레이어에서 전송된 정보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와;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무선 자원의 재할당을 제어하고, 물리 계층부와 무선링크 제어부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물리 계층부내 서포팅 엔티티부는,
상위 레이어인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서 수신한 정보는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며 그 하위 계층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 전달하는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와;
상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와 하위 레이어에서 전송된 정보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와;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물리 계층과 무선 인터페이스에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동기 단말, 비동기 무선망(UTRAN), 상기 비동기 무선망과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는 코어망으로 이루어진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 단말은,
상기 비동기 무선망과 연결되고 동기식 코어망과의 연동시 파라미터를 매핑 또는 생성하는 매핑 엔티티부와;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연결되고 호 관리 및 이동성 관리를 제어하는 호 제어 및 이동성 관리부와;
상위 매핑 엔티티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서포팅 엔티티부를 구비하고 무선 자원을 컨트롤하는 무선 자원 제어부와;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서포팅 엔티티부를 구비하고 무선 링크를 제어하는 무선링크 제어부와;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서포팅 엔티티부를 구비하고 물리 계층과의 매체 접근을 제어하는 매체 접근 제어부와;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통신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부를 구비하고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고 물리적인 매체를 통하여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물리 계층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무선자원 제어부내 서포팅 엔티티부는,
상위 레이어인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서 수신한 정보는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며 그 하위 계층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 전달하는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와;
상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와 하위 레이어에서 전송된 정보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와;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무선 설정 및 관리를 제어하고 무선 자원에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무선링크 제어부내 서포팅 엔티티부는,
상위 레이어인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서 수신한 정보는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며 그 하위 계층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 전달하는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와;
상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와 하위 레이어에서 전송된 정보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와;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L2 연결의 설정과 해제를 제어하고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무선링크 제어부와의 연결설정을 제어하고 전송에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매체접근 제어부내 서포팅 엔티티부는,
상위 레이어인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서 수신한 정보는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며 그 하위 계층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 전달하는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와;
상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와 하위 레이어에서 전송된 정보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와;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무선 자원의 재할당을 제어하고, 물리 계층부와 무선링크 제어부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물리 계층부내 서포팅 엔티티부는,
상위 레이어인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서 수신한 정보는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며 그 하위 계층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 전달하는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와;
상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와 하위 레이어에서 전송된 정보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와;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물리 계층과 무선 인터페이스에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동기/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 연동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1a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 연동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1b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 연동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동기/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각부 프로토콜 계층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2a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각부 프로토콜 계층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2b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각부 프로토콜 계층 구조를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단말과 비동기 무선망간의 프로토콜 레이어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블록 구성도로서, 도 4a는 무선자원 제어부에 구비되는 서포팅 엔티티부의 일 실시예 구성이고, 도 4b는 무선링크 제어부에 구비되는 서포팅 엔티티부의 일 실시예 구성이고, 도 4c는 매체접근 제어부에 구비되는 서포팅 엔티티부의 일 실시예 구성이고, 도 4d는 물리 계층부에 구비되는 서포팅 엔티티부의 일 실시예 구성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비동기 무선망
102 : 매핑 엔티티부
104a, 105a, 106a, 107a : 서포팅 엔티티부
200 : 비동기 단말
201 : 매핑 엔티티부
203a, 204a, 205a, 206a : 서포팅 엔티티부
311,314,317,320,411,414,417,420: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수행부
312,315,318,321,412,415,418,421 : 레이어 연결기능 수행부
313,316,319,322 :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무선망과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비동기 단말과 비동기 무선망간의 프로토콜 레이어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100은 비동기 무선망(UTRAN)의 프로토콜 구조를 보인 구성도로서, 참조부호 101은 동기식 코어망과 연동시 동기식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동기식 프로토콜 처리부이고, 102는 비동기 단말과 동기식 코어망간 메시지 및 파라미터를 매핑 또는 생성해주는 매핑 엔티티부이고, 103은 호 관리를 위한 호 제어부(CC : Call Control)와 이동성 관리를 위한 이동성 관리부(MM : Mobility Management)로 이루어진 호 제어 및 이동성 관리부이다.
또한, 참조부호 104는 상기 비동기 무선망 매핑 엔티티부(102)와 연결되어 무선 자원을 컨트롤하는 무선 자원 제어부(RRC : Radio Resource Controller)이며, 104a는 상기 무선 자원 제어부(104)내에 포함되는 서포팅 엔티티부이다.
또한, 참조부호 105는 무선 링크를 제어하는 무선 링크 제어부(RLC : Radio Link Controller)이고, 참조부호 105a는 상기 무선 링크 제어부(105)내에 구비되는 서포팅 엔티티부이다.
또한, 참조부호 106은 최하위 계층인 물리 계층과의 매체 접근을 제어하는 매체 접근 제어부(MAC : Medium Access Controller)이며, 106a는 상기 매체 접근 제어부(106)에 구비되는 서포팅 엔티티부이다.
또한, 참조부호 107은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고 물리적인 매체를 통하여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물리 계층부이며, 107a는 상기 물리 계층부(107)에 구비되는 서포팅 엔티티부이며, 참조부호 108은 전송부이다.
그리고, 참조부호 200은 비동기 단말의 프로토콜 구조를 보인 구성으로서, 여기서, 참조부호 201은 동기식 코어망 연동시 비동기 무선망(100)에서 수신한 메시지 및 파라미터를 매핑 또는 생성해주는 비동기 단말 매핑 엔티티부이고, 202는 호 관리를 위한 호 제어부(CC : Call Control)와 이동성 관리를 위한 이동성 관리부(MM : Mobility Management)로 이루어진 호 제어 및 이동성 관리부이다.
또한, 참조부호 203은 상기 비동기 단말 매핑 엔티티부(201)와 연결되어 무선 자원을 컨트롤하는 무선 자원 제어부(RRC : Radio Resource Controller)이며, 203a는 상기 무선 자원 제어부(203)내에 구비되는 서포팅 엔티티부이다.
또한, 참조부호 204는 무선 링크를 제어하는 무선 링크 제어부(RLC : Radio Link Controller)이고, 참조부호 204a는 상기 무선 링크 제어부(204)내에 구비되는 서포팅 엔티티부이다.
또한, 참조부호 205는 최하위 계층인 물리 계층과의 매체 접근을 제어하는 매체 접근 제어부(MAC : Medium Access Controller)이며, 205a는 상기 매체 접근 제어부(205)에 구비되는 서포팅 엔티티부이다.
또한, 참조부호 206은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고 물리적인 매체를 통하여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물리 계층부이며, 106a는 상기 물리 계층부(106)에 구비되는 서포팅 엔티티부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포팅 엔티티 장치는, 동기식 코어망과 연동시 동기식 프로토콜 처리부(101)에서 비동기식 시스템과 동기식 코어망간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한다.
여기서, 동기식 코어망으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매핑 엔티티부(102)에서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인지, 아니면 자신이 처리할 메시지인지를 구분하고,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인 경우에는 메시지 및 파라미터 매핑을 수행한 후 무선 자원 제어부(104)에 전달한다. 그러면 무선 자원 제어부(104)는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매핑된 메시지를 비동기 단말(202)로 전송해준다.
한편, 매핑 엔티티부(102)는 무선자원 제어부(104)내 서포팅 엔티티부(104a)로 파라미터 매핑 또는 파라미터 생성을 위해서 필요한 정보 요구 프리미티브를 상기 서포팅 엔티티부(104a)에 요구하게 되고, 이를 수신한 상기 서포팅 엔티티부(104a)는 도 4a에 도시된 구성에 의거 필요한 정보를 상기 매핑 엔티티부(102)에 전송한다.
즉, 상기 서포팅 엔티티부(104a)는,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311), 레이어 연결기능 수행부(312),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313)로 구성되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311)에서 상위 레이어인 매핑 엔티티부(102)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매핑 엔티티부(102)에서 요구한 프리미티브를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312)에 전달한다.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312)는 상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311)에서 얻어지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를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313)로 인터페이스 한다. 상기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313)는,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312)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무선 설정 및 관리를 제어하고 무선 자원에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며, 무선자원 제어 레이어와 통신을 통해 상위 레이어에서 요구한 정보를 얻는다. 이렇게 얻어지는 정보는 상기와는 역순으로,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313), 레이어 연결기능 수행부(312),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311)를 순차 통해 상위 레이어인 매핑 엔티티부(102)에 전달된다.
한편, 무선링크 제어부(105)는 상기 무선자원 제어부(104)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무선링크의 연결 및 설정을 제어하게 되고, 상기 무선링크 제어부(105)내의 서포팅 엔티티부(105a)는 상기 매핑 엔티티부(102)에서 파라미터 매핑 또는 파라미터 생성을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요구하면, 도 4b에 도시된 구성에 의거 필요한 정보를 상기 매핑 엔티티부(102)에 전송한다.
즉, 상기 서포팅 엔티티부(105a)는,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314), 레이어 연결기능 수행부(315),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316)로 구성되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314)에서 상위 레이어인 매핑 엔티티부(102)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매핑 엔티티부(102)에서 요구한 프리미티브를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315)에 전달한다.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315)는 상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314)에서 얻어지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를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316)로 인터페이스 한다. 상기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316)는,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315)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L2 연결의 설정과 해제를 제어하고,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무선링크 제어부와의 연결설정과 데이터 전송에 연관된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무선링크 제어부(105)에서 얻어지는 정보는, 상기와는 역순으로,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316), 레이어 연결기능 수행부(315),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314)를 순차 통해 상위 레이어인 매핑 엔티티부(102)에 전달된다.
또한, 매체접근 제어부(106)는 상기 무선링크 제어부(105)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물리적인 매체와의 접근을 제어하게 되고, 상기 매체접근 제어부(106)내의 서포팅 엔티티부(106a)는 상기 매핑 엔티티부(102)에서 파라미터 매핑 또는 파라미터 생성을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요구하면, 도 4c에 도시된 구성에 의거 필요한 정보를 상기 매핑 엔티티부(102)에 전송한다.
즉, 상기 서포팅 엔티티부(106a)는,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317), 레이어 연결기능 수행부(318),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319)로 구성되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317)에서 상위 레이어인 매핑 엔티티부(102)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매핑 엔티티부(102)에서 요구한 프리미티브를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318)에 전달한다.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318)는 상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317)에서 얻어지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를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319)로 인터페이스 한다. 상기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319)는,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318)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무선 자원의 재할당을 제어하게 되고, 물리 계층과 무선자원 제어 계층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해주며, 매체 접근 제어부(106)와 레이어간의 인터페이스에 연관된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매핑 엔티티부(102)에서 요구한 정보를 매체접근 제어부(106)로부터 획득한다. 이렇게 획득된 정보는, 상기와는 역순으로,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319), 레이어 연결기능 수행부(318),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317)를 순차 통해 상위 레이어인 매핑 엔티티부(102)에 전달된다.
한편, 물리 계층부(107)는 상기 매체접근 제어부(106)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물리매체와의 연결을 제어하게 되며, 상기 물리계층부(107)내의 서포팅 엔티티부(107a)는 상기 매핑 엔티티부(102)에서 파라미터 매핑 또는 파라미터 생성을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요구하면, 도 4d에 도시된 구성에 의거 필요한 정보를 상기 매핑 엔티티부(102)에 전송한다.
즉, 상기 서포팅 엔티티부(107a)는,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320), 레이어 연결기능 수행부(321),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322)로 구성되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320)에서 상위 레이어인 매핑 엔티티부(102)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매핑 엔티티부(102)에서 요구한 프리미티브를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321)에 전달한다.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321)는 상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320)에서 얻어지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를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322)로 인터페이스 한다. 상기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322)는,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321)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무선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하는 물리 계층에서의 무선 인터페이스에 연관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물리 계층과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여 상위 레이어인 매핑 엔티티부(102)에서 요구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이렇게 획득한 정보는, 상기와는 역순으로,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322), 레이어 연결기능 수행부(321),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320)를 순차 통해 상위 레이어인 매핑 엔티티부(102)에 전달된다.
한편, 비동기 단말(200)내의 매핑 엔티티부(201)는 상기 비동기 무선망(100)내의 매핑 엔티티부(102)와 메시지 통신을 통해 동기식 코어망의 전송 정보를 수신하고, 그 동기식 코어망으로 전송할 정보를 상기 매핑 엔티티부(102)에 전달해준다. 이때 동기식 코어망과의 연동이므로 메시지 및 파라미터의 매핑 또는 생성 기능을 수행하게되며, 이러한 메시지 및 파라미터의 매핑 또는 생성 기능은 비동기 무선망(100)내의 매핑 엔티티부(102)의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서 그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비동기 단말(200)내의 각 레이어도 주지한 비동기 무선망내의 각 레이어와 유사하게 작용을 한다.
즉, 매핑 엔티티부(201)는 무선자원 제어부(203)내 서포팅 엔티티부(203a)로 파라미터 매핑 또는 파라미터 생성을 위해서 필요한 정보 요구를 상기 서포팅 엔티티부(203a)에 요구하게 되고, 이를 수신한 상기 서포팅 엔티티부(203a)는 도 4a에 도시된 구성에 의거 필요한 정보를 상기 매핑 엔티티부(201)에 전송한다.
즉, 상기 서포팅 엔티티부(203a)는,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411), 레이어 연결기능 수행부(412),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413)로 구성되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411)에서 상위 레이어인 매핑 엔티티부(201)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매핑 엔티티부(201)에서 요구한 프리미티브를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412)에 전달한다.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412)는 상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411)에서 얻어지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를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413)로 인터페이스 한다. 상기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413)는,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412)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무선 설정 및 관리를 제어하고 무선 자원에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며, 무선자원 제어 레이어와 통신을 통해 상위 레이어에서 요구한 정보를 얻는다. 이렇게 얻어지는 정보는 상기와는 역순으로,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413), 레이어 연결기능 수행부(412),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411)를 순차 통해 상위 레이어인 매핑 엔티티부(201)에 전달된다.
한편, 무선링크 제어부(204)는 상기 무선자원 제어부(203)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무선링크의 연결 및 설정을 제어하게 되고, 상기 무선링크 제어부(204)내의 서포팅 엔티티부(204a)는 상기 매핑 엔티티부(201)에서 파라미터 매핑 또는 파라미터 생성을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요구하면, 도 4b에 도시된 구성에 의거 필요한 정보를 상기 매핑 엔티티부(201)에 전송한다.
즉, 상기 서포팅 엔티티부(204a)는,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414), 레이어 연결기능 수행부(415),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416)로 구성되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414)에서 상위 레이어인 매핑 엔티티부(201)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매핑 엔티티부(201)에서 요구한 프리미티브를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415)에 전달한다.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415)는 상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414)에서 얻어지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를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416)로 인터페이스 한다. 상기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416)는,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415)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L2 연결의 설정과 해제를 제어하고,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무선링크 제어부와의 연결설정과 데이터 전송에 연관된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무선링크 제어부(204)에서 얻어지는 정보는, 상기와는 역순으로,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416), 레이어 연결기능 수행부(415),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414)를 순차 통해 상위 레이어인 매핑 엔티티부(201)에 전달된다.
또한, 매체접근 제어부(205)는 상기 무선링크 제어부(204)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물리적인 매체와의 접근을 제어하게 되고, 상기 매체접근 제어부(205)내의 서포팅 엔티티부(205a)는 상기 매핑 엔티티부(201)에서 파라미터 매핑 또는 파라미터 생성을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요구하면, 도 4c에 도시된 구성에 의거 필요한 정보를 상기 매핑 엔티티부(201)에 전송한다.
즉, 상기 서포팅 엔티티부(205a)는,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417), 레이어 연결기능 수행부(418),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419)로 구성되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417)에서 상위 레이어인 매핑 엔티티부(201)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매핑 엔티티부(201)에서 요구한 프리미티브를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418)에 전달한다.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418)는 상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417)에서 얻어지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를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419)로 인터페이스 한다. 상기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419)는,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418)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무선 자원의 재할당을 제어하게 되고, 물리 계층과 무선자원 제어 계층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해주며, 매체 접근 제어부(205)와 레이어간의 인터페이스에 연관된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매핑 엔티티부(201)에서 요구한 정보를 매체접근 제어부(205)로부터 획득한다. 이렇게 획득된 정보는, 상기와는 역순으로,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419), 레이어 연결기능 수행부(418),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417)를 순차 통해 상위 레이어인 매핑 엔티티부(201)에 전달된다.
한편, 물리 계층부(206)는 상기 매체접근 제어부(205)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물리매체와의 연결을 제어하게 되며, 상기 물리계층부(206)내의 서포팅 엔티티부(206a)는 상기 매핑 엔티티부(201)에서 파라미터 매핑 또는 파라미터 생성을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요구하면, 도 4d에 도시된 구성에 의거 필요한 정보를 상기 매핑 엔티티부(201)에 전송한다.
즉, 상기 서포팅 엔티티부(206a)는,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420), 레이어 연결기능 수행부(421),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422)로 구성되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420)에서 상위 레이어인 매핑 엔티티부(201)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매핑 엔티티부(201)에서 요구한 프리미티브를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421)에 전달한다.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421)는 상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420)에서 얻어지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를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422)로 인터페이스 한다. 상기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422)는,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421)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무선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하는 물리 계층에서의 무선 인터페이스에 연관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물리 계층과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여 상위 레이어인 매핑 엔티티부(201)에서 요구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이렇게 획득한 정보는, 상기와는 역순으로,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422), 레이어 연결기능 수행부(421),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420)를 순차 통해 상위 레이어인 매핑 엔티티부(402)에 전달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 "비동기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 장치"에 따르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망이 동기식 코어망인 ANSI-41 망인 경우에도 비동기 단말이 동기식 코어망과 연동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효과에 의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가 동기식 ANSI-41 코어망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비동기 단말, 비동기 무선망(UTRAN), 상기 비동기 무선망과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는 코어망으로 이루어진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 무선망은,
    동기식 코어망과 연동시 동기식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동기식 프로토콜 처리부와;
    상기 동기식 프로토콜 처리부와 연결되고 동기식 코어망과의 연동시 파라미터를 매핑 또는 생성하는 매핑 엔티티부와;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연결되고 호 관리 및 이동성 관리를 제어하는 호 제어 및 이동성 관리부와;
    상위 매핑 엔티티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서포팅 엔티티부를 구비하고 무선 자원을 컨트롤하는 무선 자원 제어부와;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서포팅 엔티티부를 구비하고 무선 링크를 제어하는 무선링크 제어부와;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서포팅 엔티티부를 구비하고 물리 계층과의 매체 접근을 제어하는 매체 접근 제어부와;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통신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부를 구비하고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고 물리적인 매체를 통하여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물리 계층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자원 제어부내 서포팅 엔티티부는,
    상위 레이어인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서 수신한 정보는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며 그 하위 계층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 전달하는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와;
    상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와 하위 레이어에서 전송된 정보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와;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무선 설정 및 관리를 제어하고 무선 자원에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링크 제어부내 서포팅 엔티티부는,
    상위 레이어인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서 수신한 정보는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며 그 하위 계층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 전달하는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와;
    상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와 하위 레이어에서 전송된 정보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와;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L2 연결의 설정과 해제를 제어하고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무선링크 제어부와의 연결설정을 제어하고 전송에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접근 제어부내 서포팅 엔티티부는,
    상위 레이어인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서 수신한 정보는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며 그 하위 계층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 전달하는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와;
    상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와 하위 레이어에서 전송된 정보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와;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무선 자원의 재할당을 제어하고, 물리 계층부와 무선링크 제어부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계층부내 서포팅 엔티티부는,
    상위 레이어인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서 수신한 정보는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며 그 하위 계층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 전달하는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와;
    상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와 하위 레이어에서 전송된 정보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와;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물리 계층과 무선 인터페이스에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 장치.
  6. 비동기 단말, 비동기 무선망(UTRAN), 상기 비동기 무선망과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는 코어망으로 이루어진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 단말은,
    상기 비동기 무선망과 연결되고 동기식 코어망과의 연동시 파라미터를 매핑 또는 생성하는 매핑 엔티티부와;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연결되고 호 관리 및 이동성 관리를 제어하는 호 제어 및 이동성 관리부와;
    상위 매핑 엔티티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서포팅 엔티티부를 구비하고 무선 자원을 컨트롤하는 무선 자원 제어부와;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서포팅 엔티티부를 구비하고 무선 링크를 제어하는 무선링크 제어부와;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서포팅 엔티티부를 구비하고 물리 계층과의 매체 접근을 제어하는 매체 접근 제어부와;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통신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부를 구비하고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고 물리적인 매체를 통하여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물리 계층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자원 제어부내 서포팅 엔티티부는,
    상위 레이어인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서 수신한 정보는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며 그 하위 계층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 전달하는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와;
    상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와 하위 레이어에서 전송된 정보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와;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무선 설정 및 관리를 제어하고 무선 자원에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링크 제어부내 서포팅 엔티티부는,
    상위 레이어인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서 수신한 정보는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며 그 하위 계층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 전달하는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와;
    상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와 하위 레이어에서 전송된 정보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와;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L2 연결의 설정과 해제를 제어하고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무선링크 제어부와의 연결설정을 제어하고 전송에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접근 제어부내 서포팅 엔티티부는,
    상위 레이어인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서 수신한 정보는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며 그 하위 계층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 전달하는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와;
    상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와 하위 레이어에서 전송된 정보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와;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무선 자원의 재할당을 제어하고, 물리 계층부와 무선링크 제어부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계층부내 서포팅 엔티티부는,
    상위 레이어인 상기 매핑 엔티티부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서 수신한 정보는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며 그 하위 계층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상기 매핑 엔티티부에 전달하는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와;
    상기 서포팅 엔티티 서비스 시작점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와 하위 레이어에서 전송된 정보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와;
    상기 레이어 연결 기능 수행부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물리 계층과 무선 인터페이스에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어 특별기능 수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 장치.
KR1019990040165A 1999-07-28 1999-09-17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 장치 KR100624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165A KR100624616B1 (ko) 1999-09-17 1999-09-17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 장치
DE2000636446 DE60036446T2 (de) 1999-07-28 2000-07-28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chnittstellenbildung zwischen einem synchronen Basisnetzwerk und einem asynchronen Funknetzwerk
JP2000229669A JP2001095033A (ja) 1999-07-28 2000-07-28 同期コア網と非同期無線網を連動させる方法及び装置
US09/628,316 US6853852B1 (en) 1999-07-28 2000-07-28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synchronous core network with asynchronous radio network
EP20000306450 EP1096816B1 (en) 1999-07-28 2000-07-28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synchronous core network with asynchronous radio network
US11/022,497 US7443881B2 (en) 1999-07-28 2004-12-22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synchronous core network with asynchronous radio network
US12/212,118 US8135030B2 (en) 1999-07-28 2008-09-17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synchronous core network with asynchronous radio network
US13/397,044 US8687651B2 (en) 1999-07-28 2012-02-15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synchronous core network with asynchronous radio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165A KR100624616B1 (ko) 1999-09-17 1999-09-17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097A true KR20010028097A (ko) 2001-04-06
KR100624616B1 KR100624616B1 (ko) 2006-09-18

Family

ID=1961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165A KR100624616B1 (ko) 1999-07-28 1999-09-17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서포팅 엔티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616B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84784B1 (it) * 1996-09-09 1998-05-21 Olivetti Telemedia Spa Sistema e dispositivo multiprotocollo per lo scambio di informazioni.
KR19990040165A (ko) * 1997-11-17 1999-06-05 양재신 오버헤드 행거의 크램핑 장치
KR100256959B1 (ko) * 1997-12-29 2000-05-15 윤종용 기지국 제어기에서 비동기 전송 모드와 비-비동기 전송 모드사이의 네트워크 연동 방법
KR19990075738A (ko) * 1998-03-24 1999-10-15 윤종용 데이터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교환기와 연동기능장치간정합방법
FI108103B (fi) * 1998-04-15 2001-11-15 Nokia Mobile Phones Ltd Välittäjätaso protokollasovitusten toteuttamiseksi digitaalisessa langattomassa tiedonsiirtojärjestelmässä
KR100346788B1 (ko) * 1999-06-23 2002-08-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순수 에이티엠 망의 웹 브라우저와 인터넷 망의 웹 서버간의 연동 프락시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웹 서비스 연동방법
KR100659196B1 (ko) * 1999-07-28 2006-12-21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비동기식 utran과 동기식 cn 간 핸드오프를 위한 계층 3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제어국
KR20010019462A (ko) * 1999-08-27 2001-03-15 박종섭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프로토콜 매핑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4616B1 (ko) 2006-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95842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максимизирования продолжительности работы в режиме ожидания во время контролирования канала управления
JP4354646B2 (ja) 高速の制御トラフィック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CA2208415C (en)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from a home location register to an external node
CN1181696C (zh) 利用cdma无线频率信号调制的无线电信系统
CN100512546C (zh) 用于在无线lan内寻呼移动终端的方法和设备
AU2007262746B2 (en) Network selection
CN100518409C (zh) 在移动通信终端中转移数据的方法
US20020150228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source switching method thereof, network control apparatus included therein, same and network control method
US200901962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synchronous core network with asynchronous radio network
JP2004504743A (ja) 双方向性のマルチメディアステーションの起動
JP2002521912A5 (ko)
JP2001231082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暗号化番号を送信する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CN101204103B (zh) 减少无线连通性改变期间的延迟的方法和设备
EP1726176A1 (en) Operating mode extens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JP2002515708A (ja)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の非透過的データ送信
KR10051414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음성 및 패킷 데이터 동시 서비스방법
US20070165600A1 (en) Method for management of communications,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and associated equipment
JP2000232670A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3983814B2 (ja) 電気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非実時間クリティカルなメッセージ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JP2001258068A (ja) 移動通信端末とその制御方法
KR20010019462A (ko)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프로토콜 매핑 장치 및 그 방법
US6842771B2 (en) Adapter for rendering data transmission request and responses compatible between the requesting client and its target ser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US690428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1197080A (ja) ブルーツースデバイスにおいて一時的な接続を減らす方法
KR20010020226A (ko) 통신 시스템에서 트랜스코더의 스위칭시 동기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