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7282A - 방향성 단추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향성 단추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7282A
KR20010027282A KR1019990038968A KR19990038968A KR20010027282A KR 20010027282 A KR20010027282 A KR 20010027282A KR 1019990038968 A KR1019990038968 A KR 1019990038968A KR 19990038968 A KR19990038968 A KR 19990038968A KR 20010027282 A KR20010027282 A KR 20010027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saturated polyester
weight
button
resin composition
polyest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8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득
Original Assignee
김진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득 filed Critical 김진득
Priority to KR1019990038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7282A/ko
Publication of KR20010027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28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6Unsaturated 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2Button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9/00Producing buttons or semi-finished parts of butt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 성분의 함유에 의해서도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이것을 경화시켜서 형성되는 방향성 단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A)(a1) 포화 2염기산 성분 및 (a2) 불포화 2염기산 성분로 이루어진 (a) 산 성분 및 (b) 2가 알코올 성분으로 제조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B)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C) 폴리실록산, (D) 중합성 단량체, (E) 방향 성분 및 (F) 경화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들에 더하여 (G) 안료 및(또는) (H) 경화 촉진제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요구에 따라 각종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향성 단추는 상기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제조된다.

Description

방향성 단추 및 그 제조방법 {Fragrant Button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추, 특히, 방향성 단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경화하여 제조되는 방향성 단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추에 방향성을 부여하기에 적합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단추용 합성수지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통상적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와 이중결합을 가지는 중합성 단량체가 가교반응하여 3차원의 그물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작업성, 내열성, 내약품성, 내충격성 등의 면에서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있고, 성형 후 비중이 작고 외관이 아름다워 단추에 적합하다.
단추는 각종 의류에 부착되어 기본적으로 잠금 작용을 하는 것이며, 여기에 더하여 현대적 감각으로는 악세사리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현대적 패션은 토탈 패션의 측면에서 눈으로 볼 수 있는 것 외에도 향수와 같은 냄새 요소도 패션의 개념에 포함시키고 있다. 따라서, 단추에도 각종 색상, 무늬를 형성하고 향기로운 방향이 지속적으로 발산되게 하여 단추의 기능을 한 층 발전시키는 것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단색의 단추가 주종을 이루고 있고, 복합적인 색이 자연스럽게 혼재되어 있는 단추는 없는 듯하며, 또한, 단추에 단순히 방향 성분을 함유시키면 방향 성분과 단추를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비상용성으로 인하여 단추의 물성이 좋지 않아 단추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향 성분의 함유에 의해서도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형성되는 방향성 단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색상이 혼합된 단일 색상 또는 순수 단일 색상의 단추뿐만 아니라 여러 색상이 혼재되어 자연스러운 무늬가 형성된 단추, 특히 방향성 단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향 성분의 함유에 의해서도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 방향성 단추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향 성분의 함유에 의해서도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형성되는 방향성 단추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방향 성분과 상용성이 좋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인 각종 색상의 액상 재료를 완전히 혼합하지 않으면서 혼재시켜 무늬를 형성함으로써 각종 색상에 의한 무늬를 가지는 방향성 단추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보여준다.
도 2는 도 1의 원통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인 각종 색상의 액상 재료를 완전히 혼합하지 않으면서 혼재시켜 무늬를 형성함으로써 각종 색상에 의한 무늬를 가지는 방향성 단추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보여준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단추, 특히 방향성 단추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A)(a1) 포화 2염기산 성분 및 (a2) 불포화 2염기산 성분로 이루어진 (a) 산 성분 및 (b) 2가 알코올 성분으로 제조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B)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C) 폴리실록산, (D) 중합성 단량체, (E) 방향 성분 및 (F) 경화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들에 더하여 (G) 안료 및(또는) (H) 경화 촉진제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요구에 따라 각종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향성 단추는 상기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방향성 단추는 액상 재료인 상기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단추 크기에 알맞은 봉(pipe) 속으로 흘려서 주입한 다음에 소정의 온도에서 경화시키고, 봉 속에서 꺼낸 후, 연질화하고 절단하여 단추 블랭크 형태로 제조된다. 이러한 단추 블랭크를 소정의 단추 형상으로 가공한 다음에 연마공정 및 광택공정을 거쳐서 최종적인 제품으로서의 단추가 완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라 함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스티렌과 같은 비닐 단량체에 용해시킨 후 라디칼 개시제를 가하여 중합시킴으로써 경화시킨 것을 말한다. 이러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유리섬유 등과 복합재료를 만들어 섬유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FRP)를 제조하는 데 많이 이용된다.
상기와 같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단추의 원료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에 앞서, 방향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특정 조성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단추를 제조하였으며, 또한, 이러한 조성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방향 성분을 첨가하여 방향성 단추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조성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방향 성분을 첨가하여 방향성 단추를 제조하면, 이 방향성 단추는 물성이 만족스럽지 못한 상태로 얻어졌다. 이하에서는, 먼저 본 발명에 앞서, 방향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 수지 조성물에 방향 성분을 함유시키는 경우의 문제점을 서술한 후, 본 발명에 대하여 기술할 것이다.
본 발명에 앞서, 본 발명자는 단추를 제조하기 위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중합성 단량체 및 경화제를 포함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였다.
여기에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서의 중합성 단량체는 중합성 단량체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5~95중량%의 범위로 사용된다.
경화제는 상기의 중합 성분들 전체 중량에 대하여 0.3~3중량% 정도로 사용된다. 이 밖에도, 경우에 따라서는, 경화 지연제, 경화 촉진제, 안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는 포화 2염기산 성분 및 불포화 2염기산 성분을 2가 알코올 성분과 반응시켜서 얻는다.
이 때, 포화 2염기산 성분으로는 무수 프탈산 또는 프탈산을 사용하며, 불포화 2염기산 성분으로는 무수 말레인산(maleic acid anhydride)(또는 말레인산) 또는 무수 푸말산(fumalic acid anhydride)(또는 푸말산) 등을 사용한다. 이 때, 포화 2염기산 성분은 자체에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지 않거나 (벤젠고리의 이중결합과 같은) 반응성이 없는 이중결합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에서 반응성 이중결합을 제공하지는 못하지만,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골격에 참여하여 요구되는 물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불포화 2염기산 성분은 자체에 반응성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골격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중합성 단량체와 가교반응을 할 수 있는 반응성 이중결합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 때, 포화 2염기산 성분과 불포화 2염기산 성분의 비율은 몰비로 1: 0.8~1.3 정도의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2가 알코올 성분으로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사용한다. 여기에서, 에틸렌 및 디에틸렌 글리콜은 스티렌과의 상용성이 좋지 않아 단독으로는 사용하기 힘들며, 프로필렌 글리콜과 병용하여 사용한다. 에틸렌 글리콜은 기계적 강도 및 경도의 향상을 위하여 사용하며, 디에틸렌 글리콜은 기계적 강도 및 내충격성을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프로필렌 글리콜은 기계적 강도와 경도가 뛰어나며, 스티렌과의 상용성이 좋아서 사용된다. 이러한 2가 알코올 성분들의 비율은 원하는 물성에 따라 달라 지지만,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디에틸렌 글리콜:프로필렌 글리콜의 비율은 몰비로 1:0.8~1.2:0.8~1.2의 범위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산 성분과 2가 알코올 성분의 비율은 몰비로 1:0.6~1.4 정도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1~1.1 정도의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경화시켜 단추를 제조할 수 있었다. 이렇게 제조된 단추는 단추로서 적합한 물성을 가지는 것이었다.
그러나, 방향성 단추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방향 성분을 첨가하여 방향성 단추를 제조하면, 제조된 방향성 단추의 경도가 현저히 낮아지고, 안료와 같은 조색제를 첨가하여 색깔이 있는 단추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색분리 현상이 발생하며, 연질 상태에서도 크랙(crack)이 발생하여 만족스러운 품질의 방향성 단추를 얻을 수 없었다. 또한, 기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현상들이 발생하는 이유는 방향 성분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의 혼합에서 가소 역할을 하여 경도를 떨어뜨리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의 물리화학적 비상용성으로 인하여 조색제 혼입시 색분리 현상을 일으킨다고 생각된다. 기포 발생도 상기와 같은 이유들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방향 성분의 첨가를 고려하지 않고 설계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는 만족스러운 품질의 방향성 단추를 제조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본 발명자는 방향 성분과의 상용성을 가지면서 단추로서의 물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향 성분의 함유에 의해서도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형성되는 방향성 단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A) (a1) 포화 2염기산 성분 및 (a2) 불포화 2염기산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a) 산 성분 및 (b) 2가 알코올 성분으로 제조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B)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C) 폴리실록산, (D) 중합성 단량체, (E) 방향 성분 및 (F) 경화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상기에 더하여 (G) 안료 및(또는) (H) 경화 촉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서 (A)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구성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a1) 포화 2염기산 성분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포화 2염기산 성분으로서는 무수 프탈산(또는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4-수소 무수 프탈산, 아디핀산, 무수 헤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이소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형태로는 무수 프탈산(또는 프탈산)과 이소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을 병용하는 것이다. 이 때, 무수 프탈산은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골격을 형성하는 성분으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기계적 강도 등의 물성에 기여하고, 불포화 2염기산 성분으로서 무수 말레인산과 병용하는 경우에 경화 수지의 물성의 발란스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소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은 무수 프탈산과 같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골격을 형성하는 성분으로서 특히 내수성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방향 성분에 대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상용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수프탈산과 이소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의 비율은 몰비로 1:0.5~1.5 정도의 범위로 할 수 있다.
한편, (a2) 불포화 2염기산 성분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골격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중합성 단량체와 가교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반응성 이중결합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불포화 2염기산 성분으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무수 말레인산(또는 말레인산), 푸말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불포화 2염기산 성분과 포화 2염기산 성분의 비율은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 몰비로 1:0.5~1.5 정도의 범위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b) 2가 알코올 성분으로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수소첨가 비스페놀 A,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는 네오펜틸 글리콜, 수소첨가 비스페놀 A,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네오펜틸 글리콜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기본적인 성질을 제공하기 위하여 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사용한다. 특히, 에틸렌 글리콜은 스티렌 등의 비닐 단량체와의 상용성이 좋지 않으므로 적게 사용하고 프로필렌 글리콜을 보다 많이 사용한다. 디프로필렌 글리콜은 가소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적은 양으로 사용하며, 네오펜틸 글리콜은 방향 성분의 혼합으로 인하여 생기는 문제점을 해소 또는 완화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성분이다. 본 발명에서는 2가 알코올 성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에틸렌 글리콜 7~15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35~45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 5~10중량% 및 네오펜틸 글리콜 36~53중량%로 2가 알코올 성분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A)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성분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에틸렌 글리콜 3~7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15~21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 2~5중량%, 네오펜틸 글리콜 15~25중량%, 무수 프탈산 15~25중량%, 무수 말레인산 15~25중량%, 테레프탈산 15~25중량%로 구성되는 반응 성분들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무수 프탈산은 프탈산과 동등물로서 무수 프탈산 대신에 프탈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되는 프탈산의 중량은 무수 프탈산의 중량으로 환산하여 계산될 수 있다. 무수 말레인산에 대해서도 이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B)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는 방향성 단추의 제조시 방향성분에 의하여 안료의 색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성분이다. 이러한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와 블렌딩되고, 또한, 첨가되는 방향 성분에 대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사용성을 향상시켜서 방향성 단추에서 방향 성분의 추가로 인하여 발생하는 안료의 색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는 안료의 색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양으로 첨가하여야 하지만, 너무 많이 첨가하는 경우에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고유한 물성을 해칠 수 있으므로 안료의 색분리 현상을 방지하면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물성에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는 범위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의 양은 형성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중량에 대하여 1~3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C) 폴리실록산은 방향성 단추의 제조시 방향성분에 의하여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성분이다. 이러한 폴리실록산은 방향성 단추에서 방향 성분의 추가로 인하여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양으로 첨가하여야 하지만, 너무 많이 첨가하는 경우에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고유한 물성을 해칠 수 있으므로 기포 발생을 방지하면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물성에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는 범위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실록산의 양은 형성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중량에 대하여 1~3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A)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는 (F) 경화제의 존재하에서 (D) 중합성 단량체와 가교반응하여 3차원 그물 구조를 형성한다. 이 때, 이러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는 (A)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물성을 개선하고 방향 성분과의 상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B)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C) 폴리실록산 그리고, (D) 중합성 단량체 및 (F) 경화제 외에도 (E) 방향 성분이 더 포함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G) 안료 및(또는) (H) 경화 촉진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키고자 할 때에, 경화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화제가 포함되지 않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자연적으로 경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경화 지연제 또는 저해제를 소량 첨가하기도 한다.
이러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D) 중합성 단량체로는 스티렌, 클로로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초산비닐, 아크릴산에스테르, 디아크릴프탈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스티렌을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중합성 단량체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중합성 단량체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및 중합성 단량체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5~95중량%를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10~70중량%를 사용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5~55중량%를 사용한다. 이러한 중합성 단량체는 경화제의 라디칼 개시반응에 의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와 라디칼 반응을 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사이를 가교화시킨다.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F) 경화제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디벤조일퍼옥사이드, ter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t-부틸큐밀퍼옥사이드, 큐멘 히드로퍼옥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H) 촉진제로는 예를 들어, 옥텐산코발트, 나트텐산코발트 등의 유기금속 염류, 디메틸아닐린, 디에틸아닐린 등의 유기 아민류, 도데실메르캅탄 등의 메르캅탄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경화제의 양은 경화의 속도 및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중합성 단량체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3~3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사용되는 경화 촉진제의 양은 0.3~2중량%의 범위이다. 경화 동안에 방향 성분의 휘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화는 낮은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더불어 경화제의 양은 보다 많아져야 한다. 이와 아울러, 경화 촉진제의 양을 많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100℃ 이상의 가열 경화시에는 경화제 및 경화 촉진제를 포함시키지 않거나 소량 포함시키면 되지만, 이 때에는 방향 성분의 휘발로 인하여 최종적인 단추에 포함되는 방향성분이 적게 될 뿐만 아니라 단추에 함유되어 있는 방향 성분도 빨리 휘발되어 단추가 지속적인 방향을 낼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방향 성분을 단추에 함유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경화반응의 온도를 80℃ 이하의 온도로 유지하고, 경화제 및 경화 촉진제를 통상적인 양보다 많이 함유시켜 빠른 경화를 수행함으로써 경화동안에 방향 성분이 휘발하는 것을 막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100℃ 이상의 온도에서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촉진제 0.5중량%, 경화제 0.5중량%를 사용하는 데 반하여, 80℃ 이하의 온도에서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촉진제 1중량% 및 경화제 1.5중량%를 사용한다. 이렇게 낮은 온도에서 많은 양의 경화제를 사용하여 빠른 경화를 수행하는 것은 경화동안에 방향 성분의 휘발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최종적인 단추 제품에 방향 성분이 골고루 분산되고 적절히 포집된 상태로 존재하게 하여 방향성분이 천천히 휘발되도록 함으로써 단추의 방향이 지속적으로 발산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G) 안료로는 통상의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색안료로서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리토폰(Lithopone), 염기성 탄산염 등, 흑색안료로서 산화철흑, 카본블랙 등, 노란색안료로서 크롬산납, 황색산화철, 카드뮴 옐로우, 티타늄 옐로우 등, 주황색 안료로서 크롬 오렌지, 몰리브데이트 오렌지 등, 빨간색안료로서 적색산화철, 사삼산화납, 카드뮴 레드 등, 보라색 안료로서 망가네이즈 바이올렛 등, 파랑색 안료로서 감청, 군청, 코발트 블루 등, 초록색 안료로서 크롬 그린, 에메랄드 그린, 비리단 등의 무기안료를 들 수 있으며, 금속광택안료로서 알루미늄분, 브론즈 분말 등, 형광안료로서 황화아연 등, 진주광택안료로서 염기성 탄산납, 옥시염화비스무스, 운모티탄, 비소산수소납 등의 특수 안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유기안료로서 아조계 안료,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안료의 양은 안료의 종류 및 원하는 색의 농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중합성 단량체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5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E) 방향 성분은 천연 정유 또는 합성 향료 등의 일반적인 방향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물체 내에 포함되어 있는 천연 정유(Essential oil)로서 클로브 오일, 게라늄 오일, 자스민 오일, 라벤다 오일,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장미 오일 등을 들 수 있으며, 합성 향료로서 β-피넨으로부터 합성되는 α-테르핀올, 네롤, 리날롤, 게라니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천연 정유 또는 합성 향료는 그 자체로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사용할 수도 있으나, 다른 성분들과 적절하게 조제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제 방향 물질로서 볼락 주식회사(Bolak company limited)에서 제조한 딸기 향 물질, 라일락 향 물질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의 딸기 향 물질은 벤질 알콜 7.0중량%, 에틸 부티레이트 1.0중량%, 디에틸 말로네이트 7.0중량%,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5.0중량%, 헥산알 7.0중량%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 73.0중량%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의 라일락 향 물질은 리날롤(Linalool) 12.0중량%, 페닐 에틸 알콜 10.0중량%, 벤질 아세테이트 20.0중량%, 오이게놀(Eugenol) 5.0중량%, 이소아밀 살리실레이트 10.0중량%, 및 이소프로필 미린테이트 43.0중량%로 구성된다. 이러한 방향 성분은 단추에 함유되어 방향을 발산하여 사용자의 후각에 신선한 느낌을 주는 성분으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중합성 단량체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5~15중량%의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본 발명의 방향 성분을 함유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 방향성 단추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인 액상의 재료를 단추 크기에 알맞은 봉(pipe) 속으로 흘려서 주입한다. 이 때, 봉은 고무나 그 밖의 다른 수단에 의하여 아래가 밀폐된 것이며, 예를 들어, 직경이 10mm~50mm, 길이가 1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봉에 주입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킨다. 이 때, 경화 온도는 50 내지 120℃의 온도, 특히 80℃ 이하의 온도가 바람직하다.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킬 때, 온도가 높을수록 경화에는 유리하나, 온도가 높을수록 함께 함유된 방향 성분이 많이 휘발하게 되므로 가능한 한 온도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80℃ 이하의 온도에서 경화시키고, 경화제 및 촉진제를 높은 온도에서 사용하는 것보다 많은 양으로 첨가함으로써 경화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봉에 주입하는 것은 단순한 방법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나, 여러 가지 색상의 액상 재료를 완전히 혼합하지 않으면서 서로 혼재시켜 자연스러운 무늬를 형성하도록 액상 재료를 봉에 주입할 수도 있다. (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함). 다음으로, 경화되어 봉의 형상으로 성형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형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봉속에서 꺼낸다. 그리고, 고온의 물에 담가서 연질화시킨 후, 절단하여 단추 블랭크를 만든다. 이 때, 연질화시키기 위한 물의 온도는 보통 90~100℃의 범위일 수 있다. 단추 블랭크의 두께는 통상 2~15mm 정도로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단추 블랭크를 소정의 단추 형상으로 가공한다. 이 때, 단추 블랭크는 단추 가공기계(자동양면기계)에 한 개씩 자동으로 투입되고, 기계 내의 작크가 블랭크를 물고 바이트(Bite) 위치로 이송시킨다. 이송된 단추 블랭크는 회전하는 바이트에 의하여 여러 형태의 형상으로 가공된다. 다음으로, 이렇게 가공된 단추는 연마 및 광택 공정을 거치게 된다. 연마 공정에서는, 가공된 단추를 물, 잔돌, 규조토와 함께 섞어서 연마통에 넣은 다음에 약 60rpm으로 8시간에서 12시간 정도 연마한다. 이렇게 연마된 단추는 이어서 광택공정에 투입되는 데, 광택 공정에서는, 연마된 단추를 대나무, 광약과 함께 혼합하여 약 60rpm으로 4시간에서 12시간 정도 회전시키면 우수한 광택의 단추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봉 속에 주입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할 수 있다. 즉, 여러 가지 색상의 재료를 주입하되, 이것들이 완전히 혼합되어 단일 색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색상이 혼재되어 자연스러운 무늬를 형성하도록 주입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인 각종 색상의 액상 재료를 완전히 혼합하지 않으면서 혼재시켜 무늬를 형성함으로써 각종 색상에 의한 무늬를 가지는 방향성 단추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보여준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원통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를 보여준다. 먼저, 도 1 및 2를 참조하면, 하부가 고무마개(11)로 밀폐된 봉(10)이 놓여져 있고, 봉의 상부에는 액상의 재료를 주입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깔때기(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깔때기의 상부에는 원점을 중심으로 소정 간격으로 2개의 칸막이(31, 32)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원통은 2개의 칸막이(31, 32)에 의하여 3개의 구역(A, B 및 C)이 분리되어 있다. 이 원통의 하부는 막힌 형태로 되어 있으며, 원통의 하부는 구분된 3개의 구역(A, B 및 C)에 대응하는 위치에 작은 구멍(33)이 골고루 뚫려 있다. 이렇게 설치된 원통을 회전하면서, 원통(30)의 각 구역(A, B, C)에 색상이 서로 다른 3개의 액상 재료를 주입하면, 이 서로 다른 색상의 재료들은 원통의 밑면에 뚤어진 구멍(33)을 통하여 중력에 의하여 흘러내리게 된다. 그리하여 서로 다른 색상의 재료들은 깔때기(20)에서 완전히 혼합되지는 않으면서 서로 혼재되어 봉 속으로 주입된다. 따라서, 서로 혼재된 서로 다른 색상의 재료들은 자연스러운 무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복수의 액상 재료를 무늬가 형성되도록 혼재시키는 수단으로서 칸막이에 의하여 구획이 나누어진 원통이 사용되었고, 이러한 수단으로서 가장 적합한 수단은 상기와 같은 원통이지만, 원통 이외에도 다각형통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도 3를 참조하면, 하부가 고무마개(11)로 밀폐된 봉(10)이 놓여 있고, 그 상부에 수직으로 5각형의 판(4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판은 4개의 점이 직사각형을 이루고 제5의 점(41)에 의해 이등변을 형성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5의 점(41)은 봉(10)의 바로 위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5의 점(41)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등변에는 턱(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판의 상면에는 각기 색상이 서로 다른 액상 재료를 공급하는 호스들(A, B 및 C)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호스들의 바로 아래에는 판(40)면에 접하여 좌우로 움질일 수 있는 핀(51)이 수평으로 설치된 긴 대(5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긴 대(50)는 회전체(6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하여 회전체(60)가 좌우로 회전하면, 그 회전력을 전달받아 긴 대(50)는 좌우 수평으로 움직이게 된다. 즉, 회전체(60)의 회전 운동은 긴 대(50)의 수평운동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회전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기구는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도면에서는 그 구체적 구조를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긴 대(50)가 좌우로 수평운동을 하면 그에 의하여 지지되는 핀(51)도 판면에 밀착하여 좌우로 수평운동을 하게 된다. 이 때, 호스들(A, B 및 C)을 통하여 서로 다른 색상의 액상 재료를 공급하면, 공급된 액상의 재료들은 중력의 작용에 의하여 흘러내리게 되고, 핀(51)의 좌우 수평운동에 의하여 완전히 혼합되지는 않으면서 서로 혼재되어 무늬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혼재된 액상 재료들은 중력의 작용에 의하여 계속 판(40)을 따라 흘러내리게 되고, 판(40)의 모서리(42)까지 흘러내린 액상 재료들은 판의 모서리에 설치된 턱(42)의 안내에 따라 판의 가장 낮은 지점(41)으로 유도되고 그곳에서 봉(10)으로 주입된다. 핀(51)의 수평운동에 의하여 어느 정도 혼재된 액상의 재료들은 중력에 의하여 흘러내리는 동안, 특히, 판의 모서리에 설치된 턱(42)의 안내에 따라 판의 가장 낮은 지점(41)으로 유도되는 동안 보다 완벽하게 혼재되어 보기 좋은 무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5각형의 판은 완전히 수직으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편면을 따라 액상의 재료가 중력에 의하여 흘러내릴 수 있을 정도로 기울어져 있어도 무방하며, 상기의 5각형의 판 대신에 3각형의 판 또는 그 밖의 다각형의 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여러 색상에 의한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방향성 단추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단추의 제조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히 받아들여질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단추뿐만 아니라 악세사리, 그 밖의 성형물을 제조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예를 설명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에틸렌 글리콜 36g, 프로필렌 글리콜 128g, 디프로필렌 글리콜 25g, 네오펜틸 글리콜 136g, 무수 프탈산 138g,무수 말레인산 127g, 테레프탈산 113g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한 다음에 여기에 스티렌 단량체 297g,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100g, 폴리실록산 100g, 경화제로서 큐멘 히드로퍼옥사이드 5g, 방향성분으로서 볼락 주식회사의 딸기향 제품 45g, 촉진제로서 나프텐산 코발트 3g 및 각종 색상의 안료 2~10g을 혼합하여 여러 가지 색상의 액상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이 재료들을 도 1의 장치를 사용하여 길이 1m, 직경 30mm의 봉 속에 주입한 다음에 80℃의 온도에서 경화시켰다. 경화된 성형물을 실온으로 냉각한 후에 봉에서 꺼내고 절단하여 단추 블랭크를 얻었다. 이 단추 블랭크를 단추 가공기계를 사용하여 단추의 형상으로 가공한 다음에, 단추 1.5Kg, 물 0.4L, 잔돌 3Kg 및 규조토(CaCO2) 50g을 연마통에 넣은 다음에 약 60rpm으로 10시간 가량 연마하였다. 이어서, 단추 1.5Kg, 광약 10g 및 대나무 2Kg을 혼합하여 약 60rpm으로 6시간 가량 회전하여 우수한 광택의 단추를 얻었다.
비교예 1
에틸렌 글리콜 75g, 디에틸렌 글리콜 102g, 프로필렌 글리콜 80g, 무수 프탈산 316g, 무수 말레인산 96g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한 후에, 여기에 스티렌 단량체 33.1g, 경화제로서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3g, 촉진제로서 나프텐산 코발트 1g, 적당한 색상의 안료 2g을 혼합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이것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봉에 주입한 후, 경화, 탈형, 절단, 가공, 연마 및 광택 공정을 거쳐 단추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에틸렌 글리콜 75g, 디에틸렌 글리콜 102g, 프로필렌 글리콜 80g, 무수 프탈산 316g, 무수 말레인산 96g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한 후에, 여기에 스티렌 단량체 33.1g, 경화제로서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3g, 촉진제로서 나프텐산 코발트 1g, 적당한 색상의 안료 2g을 혼합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이것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봉에 주입한 후, 경화, 탈형, 절단, 가공, 연마 및 광택 공정을 거쳐 단추를 제조하였다.
상기 비교예 1은 방향성분가 함유되지 않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것을 경화시켜서 단추를 제조한 것으로서, 단추의 물성에 특별한 문제점이 없었다. 그러나, 상기 비교예 2는 상기 비교예 1의 조성에 방향 성분을 더 추가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것을 경화시켜서 단추를 제조한 것으로서, 제조된 단추는 그 색깔이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색분리 현상이 육안으로 관찰되었으며, 표면에 크랙이 발생하는 등 경도에 문제가 있음을 육안으로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실시예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및 그 성분비를 방향성분의 추가에 적합하도록 개량한 것으로서, 비교예 2에 의해 제조된 단추에서 나타나는 현상이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단추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단추의 방향은 강하지 않고 은은하였다.
본 발명의 방향성 단추는 방향 성분의 추가에 의해서도 그 물성이 유지될 뿐만 아니라 단추의 방향성이 지속적이어서 토탈 패션의 개념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향성 단추는 방향성뿐만 아니라 여러 색상의 원료가 자연스럽게 혼재되어 형성된 아름다운 무늬를 가지므로 단추의 기능외에도 악세사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Claims (17)

  1. (A)(a1) 포화 2염기산 성분 및 (a2) 불포화 2염기산 성분로 이루어진 (a) 산 성분 및 (b) 2가 알코올 성분으로 제조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B)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C) 폴리실록산, (D) 중합성 단량체, (E) 방향 성분 및 (F) 경화제를 포함하는 방향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단량체는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중합성 단량체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70중량%이고, 상기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는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중량에 대하여 1~30중량%이며, 상기 폴리실록산은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중량에 대하여 1~30중량%이고, 상기 방향 성분은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중합성 단량체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5~15중량%이며, 상기 경화제는 0.3~3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중합성 단량체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G) 안료 0.001~5중량% 및(또는) (H) 경화 촉진제 0.3~2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 2염기산 성분은 무수 프탈산(또는 프탈산) 및 이소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으로 구성되고, 상기 불포화 2염기산 성분은 무수 말레인산(또는 말레인산)으로 구성되며, 상기 2가 알코올 성분은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네오펜틸글리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성분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에틸렌 글리콜 3~7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15~21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 2~5중량%, 네오펜틸 글리콜 15~25중량%, 무수 프탈산 15~25중량%, 무수 말레인산 15~25중량%, 테레프탈산 15~25중량%로 구성되는 반응 성분들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6.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성분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에틸렌 글리콜 3~7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15~21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 2~5중량%, 네오펜틸 글리콜 15~25중량%, 무수 프탈산 15~25중량%, 무수 말레인산 15~25중량%, 테레프탈산 15~25중량%로 구성되는 반응 성분들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7. (A)(a1) 포화 2염기산 성분 및 (a2) 불포화 2염기산 성분로 이루어진 (a) 산 성분 및 (b) 2가 알코올 성분으로 제조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B)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C) 폴리실록산, (D) 중합성 단량체, (E) 방향 성분 및 (F) 경화제를 포함하는 방향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경화에 의하여 제조되는 방향성 단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단량체는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중합성 단량체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70중량%이고, 상기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는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중량에 대하여 1~30중량%이며, 상기 폴리실록산은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중량에 대하여 1~30중량%이고, 상기 방향 성분은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중합성 단량체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5~15중량%이며, 상기 경화제는 0.3~3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단추.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중합성 단량체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G) 안료 0.001~5중량% 및(또는) (H) 경화 촉진제 0.3~2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단추.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 2염기산 성분은 무수 프탈산(또는 프탈산) 및 이소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으로 구성되고, 상기 불포화 2염기산 성분은 무수 말레인산(또는 말레인산)으로 구성되며, 상기 2가 알코올 성분은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네오펜틸글리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단추.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성분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에틸렌 글리콜 3~7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15~21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 2~5중량%, 네오펜틸 글리콜 15~25중량%, 무수 프탈산 15~25중량%, 무수 말레인산 15~25중량%, 테레프탈산 15~25중량%로 구성되는 반응 성분들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단추.
  12.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중합성 단량체, 안료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인 액상 재료를 단추 크기에 알맞은 봉(pipe) 속으로 흘려서 주입하는 단계,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50 내지 120℃의 온도에서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성형된 경화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봉 속에서 꺼내는 단계,
    상기 성형된 경화물을 고온의 물에 담가서 연질화시키는 단계,
    상기 성형된 경화물을 절단하여 단추 블랭크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액상 재료를 봉 속에 흘려서 주입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액상 재료를 완전히 혼합하지 않으면서 혼재되도록 하여 복수의 색상이 무늬를 형성하도록 하면서 상기 액상 재료를 봉 속에 흘려서 주입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방향 성분,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실록산 및(또는) 경화 촉진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의 제조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추 블랭크를 소정의 단추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가공된 단추를 물, 잔돌, 규조토와 함께 통에 혼합하고 통을 회전시켜 상기 단추를 연마하는 단계, 및
    상기 연마된 단추를 대나무, 광약과 함께 통에 혼합하고 통을 회전시켜 상기 단추의 광택을 내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의 제조방법.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인 액상의 재료를 단추 크기에 알맞은 봉(pipe) 속으로 흘려서 주입하는 상기 단계는,
    원점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간격으로 칸막이가 형성되어 있고 밑면이 막힌 원통 또는 다각형통으로서, 밑면에는 골고루 작은 구멍이 뚫려 있는 원통 또는 다각형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봉의 상부에 깔때기를 설치하고, 상기 깔때기의 상부에 상기 원통 또는 다각형통을 설치하는 단계, 및
    각기 다른 색상의 상기 액상 재료들을 회전하는 상기 원통 또는 다각형통의 구획들에 주입함으로써 주입된 액상 재료들이 상기 원통 또는 다각형통의 밑면에 형성된 구멍들 및 상기 깔때기를 통하여 흘러내려 상기 봉 내에서 무늬가 형성되도록 상기 봉에 상기 액상 재료들을 주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의 제조방법.
  16.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인 액상의 재료를 단추 크기에 알맞은 봉(pipe) 속으로 흘려서 주입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봉 상부에 다각형 판을 수직으로 또는 상기 액상의 재료가 중력에 의하여 흘러내릴 수 있을 정도의 기울기로 설치하는 단계 - 이 때, 상기 봉의 상부에 판의 가장 낮은 지점으로서 판의 한 꼭지점이 놓이고, 이 꼭지점에서 만나는 두 모서리에는 턱이 형성되어 있어 있음 -,
    상기 판 면의 상면에 접하도록 색상이 서로 다른 복수의 상기 액상 재료를 공급하는 호스들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호스들의 하부의 상기 판 면에 접하여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는 핀, 이 핀을 지지하는 수평으로 설치된 긴 대 및 이 대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회전체를 좌우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이 상기 대에 전달되어 상기 대가 좌우로 왕복운동을 하게 하고 상기 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판에 접촉하는 상기 핀이 좌우로 왕복운동을 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회전체를 작동시키면서, 색상이 서로 다른 복수의 상기 액상 재료들을 상기 호스들을 통하여 공급함으로써 공급된 상기 액상 재료들이 중력에 의하여 상기 판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리고 상기 핀의 좌우 왕복운동에 의하여 무늬를 가질 수 있도록 혼재된 후 상기 판의 모서리에 설치된 턱에 의하여 유도되어 상기 봉의 상부에 있는 상기 꼭지점으로 흐르는 동안 더욱 혼재되어 상기 꼭지점에서 상기 봉 속으로 무늬를 형성하면서 주입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의 제조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촉진제를 1% 이상, 경화제를 1.5% 이상 사용하고, 경화온도를 8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의 제조방법.
KR1019990038968A 1999-09-13 1999-09-13 방향성 단추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27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968A KR20010027282A (ko) 1999-09-13 1999-09-13 방향성 단추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968A KR20010027282A (ko) 1999-09-13 1999-09-13 방향성 단추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282A true KR20010027282A (ko) 2001-04-06

Family

ID=19611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968A KR20010027282A (ko) 1999-09-13 1999-09-13 방향성 단추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72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139B1 (ko) * 2006-12-28 2007-12-18 문정희 폴리에스테르 수지 액세서리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8671A (ko) * 1986-03-11 1987-10-20 이상희 단추 제조방법
JPH06200002A (ja) * 1993-01-06 1994-07-19 Showa Highpolymer Co Ltd 不飽和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H0726000A (ja) * 1993-07-14 1995-01-27 Dainippon Ink & Chem Inc 樹脂組成物
JPH09202852A (ja) * 1996-01-26 1997-08-05 Dainippon Ink & Chem Inc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0084956A (ja) * 1998-09-14 2000-03-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人工大理石成形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8671A (ko) * 1986-03-11 1987-10-20 이상희 단추 제조방법
JPH06200002A (ja) * 1993-01-06 1994-07-19 Showa Highpolymer Co Ltd 不飽和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H0726000A (ja) * 1993-07-14 1995-01-27 Dainippon Ink & Chem Inc 樹脂組成物
JPH09202852A (ja) * 1996-01-26 1997-08-05 Dainippon Ink & Chem Inc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0084956A (ja) * 1998-09-14 2000-03-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人工大理石成形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139B1 (ko) * 2006-12-28 2007-12-18 문정희 폴리에스테르 수지 액세서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96067A (en) Resinous product simulating onyx
US5043377A (en) Granite-like artificial stone
CN102510844B (zh) 人造大理石及其制造方法
US3773886A (en) Process for forming simulated marble
US5321055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synthetic quartzite-marble/granite material
IN192198B (ko)
KR101259219B1 (ko) 마블 패턴을 구현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EP0607330B2 (fr) Matiere a mouler a effet decoratif
KR20010027282A (ko) 방향성 단추 및 그 제조방법
KR100390805B1 (ko) 감온성 또는 감광성 색소 물질을 포함하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성형물
EP0527444A1 (en) The use of a resin composition for a sculpturing material and process for sculpturing a sculptured product
CN102718436A (zh) 人造玛瑙制品及制备方法
CN109385061A (zh) 一种树脂纽扣及其制备方法
JP3435269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FI84489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formade produkter fraon haerdbara kompositioner och pigmenterad komposition foer anvaendning vid foerfarandet.
KR101293340B1 (ko) 초대형 칩을 이용한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71951B1 (ko) 충전 아크릴 고체 표면 재료에서의 3차원 옹이의 형성
JP3700647B2 (ja) 人造大理石の製造方法
KR100199642B1 (ko) 시이트몰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성형방법
JP2005154457A (ja) シートモールディングコンパウンド
JP2003245930A (ja) 人造大理石の製造方法
US5623048A (en) Clear amber-based varnish and production thereof
JPS6341562A (ja) 人造大理石の製造方法
KR100230211B1 (ko) 램프커버 및 그 제조방법
JPS6475559A (en) Unsaturated polyester polymer composition for normal temperature mo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