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6110A -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6110A
KR20010026110A KR1019990037289A KR19990037289A KR20010026110A KR 20010026110 A KR20010026110 A KR 20010026110A KR 1019990037289 A KR1019990037289 A KR 1019990037289A KR 19990037289 A KR19990037289 A KR 19990037289A KR 20010026110 A KR20010026110 A KR 20010026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munication
terminal
iwf
connection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3477B1 (ko
Inventor
이은복
홍성철
최창호
나동원
Original Assignee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정남
Priority to KR1019990037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477B1/ko
Publication of KR20010026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6Transport layer protocols, e.g. TCP [Transport Control Protocol] over 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터미널과 단말기간을 연결한 후 무선환경에서 데이터통신을 하고자 할 때 단말기내의 TCP/IP/PPP 스텍(Stack)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나 특정 IP주소 등으로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선통신용 단말기에 데이터통신용 프로토콜과 응용 프로그램을 실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무선통신용 단말기가 상기 터미널로부터 데이터통신 연결 준비 명령어를 전달받아 데이터통신을 할 수 있도록 데이터통신용 프로토콜 사용을 준비하는 제 2 단계; 상기 무선통신용 단말기가 상기 터미널로부터 데이터통신 연결 명령어를 전달받아 데이터통신 정합장치(IWF : Inter Working Function)와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회선을 설정하는 제 3 단계;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사용자 인증, 주소 할당 등을 위해 상기 무선통신용 단말기와 상기 데이터통신 정합장치(IWF)간에 메시지를 처리하여 데이터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에 이용됨.

Description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METHOD FOR CONNECTING DATA COMMUNICATION IN WIRELESS ENVIRONMENT}
본 발명은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환경에서 단말기와 터미널간이 연결되어 있고 터미널에서 점대점 프로토콜(PPP : Point to Point Protocol) 접속을 요구하는 경우 터미널의 전송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TCP/I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스텍(Stack)없이 터미널의 명령어에 의해 단말의 전송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TCP/IP) 스텍(Stack)을 이용하여 점대점 프로토콜(PPP)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단말기에 TCP/IP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터미널의 TCP/IP를 이용해서만 PPP접속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무선환경에서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나 특정 IP 주소로의 접속은 터미널에 TCP/IP/PPP 스텍(Stack)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터미널과 단말기간을 연결한 후 무선환경에서 데이터통신을 하고자 할 때 단말기내의 TCP/IP/PPP 스텍(Stack)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나 특정 IP주소 등으로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데이터통신 시스템의 구성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데이터통신 시스템에서 프로토콜의 구성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환경에서의 인터넷 접속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환경에서의 인터넷 접속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호 처리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터미널 12 : 단말기
13 : 기지국/교환기 14 : 데이터통신 정합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미널에 연결되는 무선통신용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통신 연결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용 단말기에 데이터통신용 프로토콜과 응용 프로그램을 실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무선통신용 단말기가 상기 터미널로부터 데이터통신 연결 준비 명령어를 전달받아 데이터통신을 할 수 있도록 데이터통신용 프로토콜 사용을 준비하는 제 2 단계; 상기 무선통신용 단말기가 상기 터미널로부터 데이터통신 연결 명령어를 전달받아 데이터통신 정합장치(IWF : Inter Working Function)와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회선을 설정하는 제 3 단계;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사용자 인증, 주소 할당 등을 위해 상기 무선통신용 단말기와 상기 데이터통신 정합장치(IWF)간에 메시지를 처리하여 데이터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통신 시스템에, 무선통신용 단말기에 데이터통신용 프로토콜과 응용 프로그램을 실장하는 제 1 기능; 상기 무선통신용 단말기가 상기 터미널로부터 데이터통신 연결 준비 명령어를 전달받아 데이터통신을 할 수 있도록 데이터통신용 프로토콜 사용을 준비하는 제 2 기능; 상기 무선통신용 단말기가 상기 터미널로부터 데이터통신 연결 명령어를 전달받아 데이터통신 정합장치(IWF : Inter Working Function)와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회선을 설정하는 제 3 기능;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사용자 인증, 주소 할당 등을 위해 상기 무선통신용 단말기와 상기 데이터통신 정합장치(IWF)간에 메시지를 처리하여 데이터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선데이터 통신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하고자 할 경우 단말기와 터미널을 케이블로 연결하고 터미널의 일반 에뮬레이터를 실행시킨 후에 에뮬레이터에서 단말기의 PPP 스텍(Stack)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준비명령어(AT+CRM=135)를 단말기로 전달한다. 이때, "AT+CRM=135"는 단말기를 통한 인터넷 접속 준비명령어로 터미널과 단말기간에 서로 약속된 특정 명령어의 한 예이다.
인터넷 접속 준비명령어(AT+CRM=135)에 따라 단말기에서 TCP/IP/PPP 스텍(Stack)을 동작시킨 후, ATDT001(기약속된 번호로 어느 번호나 무관)을 입력하게 되면 단말기와 데이터통신 접속장치(IWF : Inter Working Function)간 PPP접속이 가능하게 되며, 접속한 뒤에는 연결명령어(LINK)에 의해서 특정 IP주소로 접속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단말기에는 TCP/IP/PPP 스텍(Stack)이 올라가 있어야 하며, 응용(Application) 계층에 텔넷(Telnet) 프로그램이 올라가 있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데이터통신 시스템의 구성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은 터미널(11), 단말기(12), 기지국/교환기(13) 및 데이터통신 정합장치(IWF : Inter Working Function, 14)로 구성된다.
터미널(11)은 인터넷 환경에서 필요한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단말기(12)는 터미널(11)에 연결되어 실제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터미널(11)로부터 요청을 받아 무선 환경에서 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이다.
기지국/교환기(13)는 무선망에서 단말기(12)로부터 전송된 호를 받아 그 종류를 구분하여 이를 전달하며, 유선망에서 받은 호를 변환하여 무선망에 연결된 단말기(12)로 전송한다.
IWF(14)는 기지국/교환기(13)를 거친 단말기(12)로부터의 데이터통신 호를 인터넷으로 연결하며, 인터넷을 통하여 전달된 호를 해당 목적지인 단말기(12)로 전달될 수 있도록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데이터통신 시스템에서 프로토콜의 구성예시도이다.
도 2 에서는 무선 데이터통신을 위한 각 장치에 프로토콜 계층이 올려진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우선, 노트북이나 개인용 컴퓨터(PC) 등과 같은 터미널(11)에는 사용자층에서의 활용과 이해를 위한 상위 프로토콜 계층(Upper Protocol Layer, 111)과 터미널(11)과 모뎀, 즉 단말기(12)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규격인 EIA232 계층(112)으로 이루어진다.
터미널(11)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무선통신용 단말기(12)는 터미널(11) 쪽으로는 EIA232 계층(121)으로 연결되어 있어, 터미널(11)의 EIA232 계층(112)과 원활하게 소통이 가능하고, EIA232 계층(121)을 통해 전달된 EIA232 형식의 데이터는 응용 계층(App, 122)에서 TCP/IP 형식으로 변환된다.
응용 계층(122)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는 TCP 계층(123)을 거쳐, IP 계층(124)과 PPP 계층(125)을 거치게 된다. 이후 무선 연결 프로토콜(RLP : Radio Link Protocol) 계층(126)에서 무선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부호분할 다중 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위한 IS-95(A 또는 B 또는 C) 계층(127)을 통해 기지국/교환기(103)로 CDMA 방식을 통한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기지국/교환기(103)는 수신된 데이터의 원활한 처리를 위해 단말기(12)와 대칭을 이루는 IS-95(A 또는 B 또는 C) 계층(131)과 RLP 계층(132)을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에 의한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고, 기지국/교환기(103)의 전달 계층(Relay Layer, 133)은 유선에서의 통신을 위한 형식으로 데이터를 변환하여 IWF(14)로 전달하게 된다.
IWF(14)의 이더넷(Ethernet) 연결 계층(141)은 기지국/교환기(13)의 전달 계층(Relay Layer, 133)에 대응하여 유선 데이터를 전달받게 되고, 이를 상위 계층인 PPP 계층(142)에서 단말기(12)의 PPP 계층(125)에 대응하여 단말기(12)를 통한 데이터 통신 접속을 받게 되며, 그 위의 IP 계층(143)이 인터넷 접속을 처리하게 된다. 이 IP 계층(143)은 단말기(12)의 IP 계층(143)과 서로 대응하게 된다.
IWF(14)는 라우터로 데이터를 전달해 인터넷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환경에서의 인터넷 접속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단말기(12)와 터미널(11)간 데이터 케이블이 연결되고 에뮬레이터가 실행되면, 에뮬레이터에 인터넷 접속 준비명령어(AT+CRM=135)를 쳐 넣음으로 시작된다.
단말기(12)는 터미널(11)로부터 인터넷 접속 준비명령어(AT+CRM=135)를 수신한다(301). 단말기(12)의 유아트(uart)를 통해서 입력된 명령어는 에이티(AT)명령어를 처리하는 스텍(Stack)으로 들어가게 되며, 이 스텍(Stack)에서는 AT명령어를 분석하여 이 명령어를 어떻게 처리 수행할 것인지 판단하게 된다. 판단 결과에 따라 단말기(12)에서는 IWF(14)와 링크 제어 프로토콜(LCP : Link Control Protocol) 협상을 수행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TCP/IP/PPP 프로토콜을 준비하게 된다. 즉, 단말기(12)에서 인터넷 접속을 위해 필요한 TELNET, TCP, IP, PPP 등을 구동시키게 된다(302).
여기서, LCP는 PPP가 가진 옵션 프로토콜의 하나로서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데이터 압축 기능을 이용할 것인지, 또는 사용자 인증 방법을 어떻게 할 것인지 등을 정할 수 있다.
다음은 터미널(11)에서 인터넷 접속 요청(ATDT001)을 입력받는다(303). 단말기(12)는 먼저 무선통신 서비스에 대한 규약에서 정의된 호의 분류에 따라 데이터 통신에 관한 옵션인 서비스 옵션 4번(9.6k 접속) 또는 12번(14.4k 접속)으로 교환 가상 회선(SVC : Switched Virtual Circuit) 연결을 요청하게 되며 발신한 메시지는 IWF(14)까지 간다. IWF(14)에서는 서비스 옵션과 발신자 번호 등을 보고 단말기(12)로 SVC 연결통지(CONNECT)를 전달한다.
연결통지(CONNECT)를 받은 단말기(12)는 IWF(14)로 LCP 요청을 하게 된다(304). 이렇게 LCP 요청을 한 후 단말기(12)와 IWF(14)간에는 LCP 협상을 하게 되고(305), LCP 협상을 한 후 단말기(12)는 인터넷 프토토콜(IP) 제어 프로토콜(IPCP : IP Control Protocol) 형상(Config)을 요청하게 된다. 단말기(12)에서는 자기가 가지고 있는 초기 IP 주소인 0,0,0,0을 IWF(14)로 보내게 되며, IWF(14)에서는 자신의 IP 주소와 단말기(12)가 가져야 할 IP 주소를 단말기(12)로 보낸다. 두 가지의 IP 주소를 받은 단말기(12)는 단말기의 IP 주소만을 IWF(14)로 보낸다. 그러면 IWF(14)에서는 수신한 IP 주소를 보고 단말기(12)의 직접 접속 구조로 인식하며 IP부여 및 PPP 접속이 완료되어 인터넷을 위한 준비가 된 것이다(306).
단말기(12)에서는 이 상태에서 터미널(11)로 연결통지(CONNECT) 문자를 주고 사용자는 연결되었음을 인식하게 된다. 사용자는 터미널(11)에서 접속하고 싶은 IP 주소를 연결명령어(LINK)와 함께 입력하게 되면 TC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IP주소를 IWF(14)로 보내고 어느 사이트에 대해서도 접속 가능하게 되어,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된다(307).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환경에서의 인터넷 접속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호 처리 흐름도이다.
상기한 도 3에서 도시된 흐름에 따른 무선환경에서의 인터넷 접속을 호 처리 흐름으로 나타내면 도 4 와 같다.
터미널(11)에서 인터넷 접속 준비명령어(AT+CRM=135)를 단말기(12)로 전달하면, 단말기(12)는 이에 따라 TELNET/TCP/IP/PPP 등을 동작시켜, 인터넷 접속 준비를 한다(401).
터미널(11)에서 다시 인터넷 접속 명령어(ATDT001)를 단말기(12)로 전달한다(402). 단말기(12)에서는 교환 가상 회선(SVC) 설정을 위해 시작 메시지(Originate msg)를 기지국/교환기(13)로 전송하고(403), 기지국/교환기(13)에서는 단말기(12)로부터 주어진 정보에 따라 서비스 옵션 등을 설정하여 교환 가상 회선(SVC) 셋업(setup) 메시지(FrSVC setup)를 IWF(14)로 전달한다(404).
IWF(14)에서는 교환 가상 회선(SVC) 연결 메시지(FrSVC Connect)를 기지국/교환기(13)로 전송하게 되고(405), 이는 다시 기지국/교환기(13)에서 무선환경에서의 전달을 위한 연결 메시지(Connect Msg)로 되어 단말기(12)로 전달된다(406). 이렇게 하여 단말기(12)와 IWF(14)간에 교환 가상 회선(SVC)이 설정되어 가상의 회선을 통한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제, 단말기(12)와 IWF(14)에서 각각 상대방으로 LCP 형상 요청 메시지(LCP Config Request)를 전달하고(407), LCP 형상 응답 메시지(LCP Config Ack)를 수신하게 된다(408). 이렇게 하여 LCP 협상이 이루어진다.
LCP 협상 후, 단말기(12)에서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이름(Username)과 비밀번호(Password)를 담아 패스워드 인증 프로토콜(PAP : Password Authenication Protocol) 요청 메시지(PAP Request)를 IWF(14)로 보내게 되고(409),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후 IWF(14)에서는 PAP 응답 메시지(PAP Reply)를 단말기(12)로 보내게 된다(410).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후, 단말기(12)에서는 단말기(12)의 IP 주소를 0,0,0,0으로 하여 IWF(14)로 IPCP 형상 요청 메시지(IPCP Config Request)를 보내게 되고(411), IWF(14)에서는 IWF(14)의 IP 주소를 IPCP 형상 요청 메시지(IPCP Config Request)의 형태로 단말기(12)로 보내고, 또한 IWF(14)에서는 단말기(12)가 가지게 되는 IP 주소를 IPCP 형상 수정응답 메시지(IPCP Config Nack) 형태로 단말기(12)로 보내게 된다(412). 단말기(12)에서의 IWF(14)의 IP 주소를 담은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IPCP 형상 응답 메시지(IPCP Config Ack)를 IWF(14)로 보내게 된다(413).
이렇게 하여, 터미널(11)과 케이블로 연결된 단말기(12)는 IWF(14)와 PPP 연결을 통한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진 것이다. 단말기(12)에서는 이를 터미널(12)로 연결통지(CONNECT) 메시지를 보내어 사용자가 이를 알 수 있도록 한다(414).
이후,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터미널에 연결되는 무선 통신용 단말기의 TCP/IP/PPP 스텍을 사용하여 무선환경에서 인터넷 접속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 해서 터미널의 TCP/IP/PPP 스텍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터미널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기존에 사용중인 각종 기기에서도 TCP/IP/PPP 스텍을 올리지 않아도 손쉽게 PPP 연결을 통한 인터넷 접속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터미널에 연결되는 무선통신용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통신 연결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용 단말기에 데이터통신용 프로토콜과 응용 프로그램을 실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무선통신용 단말기가 상기 터미널로부터 데이터통신 연결 준비 명령어를 전달받아 데이터통신을 할 수 있도록 데이터통신용 프로토콜 사용을 준비하는 제 2 단계;
    상기 무선통신용 단말기가 상기 터미널로부터 데이터통신 연결 명령어를 전달받아 데이터통신 정합장치(IWF : Inter Working Function)와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회선을 설정하는 제 3 단계;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사용자 인증, 주소 할당 등을 위해 상기 무선통신용 단말기와 상기 데이터통신 정합장치(IWF)간에 메시지를 처리하여 데이터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용 프로토콜은,
    전송제어 프로토콜(TC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인터넷 프로토콜(IP : Internet Protocol), 점대점 프로토콜(PPP : Point to Point Protocol)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무선통신용 단말기에서 교환 가상 회선(SVC : Switched Virtual Circuit) 설정을 위해 시작 메시지(Originate msg)를 기지국/교환기로 전송하는 제 5 단계;
    상기 기지국/교환기에서 상기 무선통신용 단말기로부터 주어진 정보에 따라 서비스 옵션 등을 설정하여 교환 가상 회선(SVC) 셋업(setup) 메시지(FrSVC setup)를 상기 데이터통신 정합장치(IWF)로 전달하는 제 6 단계;
    상기 데이터통신 정합장치(IWF)에서 회선 연결 준비를 하여 교환 가상 회선(SVC) 연결 메시지(FrSVC Connect)를 기지국/교환기로 전송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기지국/교환기에서 상기 교환 가상 회선(SVC) 연결 메시지(FrSVC Connect)를 무선환경에서의 전달을 위한 연결 메시지(Connect Msg)로 만들어 상기 무선통신용 단말기로 전달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무선통신용 단말기와 상기 데이터통신 정합장치(IWF)간에 사용자 인증 방법, 데이터 압축 기능 이용 여부 등을 결정하기 위해 링크 제어 프로토콜(LCP : Link Control Protocol) 협상을 수행하는 제 9 단계;
    상기 무선통신용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통신 정합장치(IWF)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제 10 단계;
    상기 무선통신용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데이터통신 정합장치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는 제 11 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용 단말기가 데이터통신 연결을 상기 터미널로 통보하는 제 12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
  5.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통신 시스템에,
    무선통신용 단말기에 데이터통신용 프로토콜과 응용 프로그램을 실장하는 제 1 기능;
    상기 무선통신용 단말기가 상기 터미널로부터 데이터통신 연결 준비 명령어를 전달받아 데이터통신을 할 수 있도록 데이터통신용 프로토콜 사용을 준비하는 제 2 기능;
    상기 무선통신용 단말기가 상기 터미널로부터 데이터통신 연결 명령어를 전달받아 데이터통신 정합장치(IWF : Inter Working Function)와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회선을 설정하는 제 3 기능;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사용자 인증, 주소 할당 등을 위해 상기 무선통신용 단말기와 상기 데이터통신 정합장치(IWF)간에 메시지를 처리하여 데이터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990037289A 1999-09-03 1999-09-03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 KR100593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289A KR100593477B1 (ko) 1999-09-03 1999-09-03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289A KR100593477B1 (ko) 1999-09-03 1999-09-03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110A true KR20010026110A (ko) 2001-04-06
KR100593477B1 KR100593477B1 (ko) 2006-06-28

Family

ID=19609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289A KR100593477B1 (ko) 1999-09-03 1999-09-03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34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231B1 (ko) * 2000-12-20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패킷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778799B1 (ko) * 2007-03-28 2007-11-23 주식회사 데브구루 무선통신모듈을 가상 이더넷으로 이용한 인터넷 접속방법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2738A (ja) * 1996-10-03 1998-04-28 Nec Telecom Syst Ltd 無線データ通信可能なデータ端末装置
KR100260516B1 (ko) * 1997-04-01 2000-07-01 정선종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망에서의 비동기통신 데이터발신호 및 착신호 서비스 방법
JPH1141295A (ja) * 1997-07-23 1999-02-12 Nitsuko Corp Phsデータ通信システム
KR100272567B1 (ko) * 1997-12-31 2000-11-15 서평원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인터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231B1 (ko) * 2000-12-20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패킷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778799B1 (ko) * 2007-03-28 2007-11-23 주식회사 데브구루 무선통신모듈을 가상 이더넷으로 이용한 인터넷 접속방법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3477B1 (ko)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7036B2 (ja)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を使用して、移動装置内の汎用集積回路カードと通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748814B1 (ko) Ipcp 협상 동안에 ppp 시간경과를 피하는 방법
EP2448185B1 (en) Internet connection system and server for routing connections to client device
KR20000027732A (ko) 무선 데이터 전송 방법과 그 이동 단말기 및 이종신호간 연동장치
CN101600224B (zh) 无线数据卡支持多个pdp上下文的实现方法及无线数据卡
JP4763211B2 (ja) 移動局のアプリケーションが生のパケット化されたデータを受信および送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663221B (zh) 用于仿真以太网网络接口卡的体系结构
EP1155551A1 (en) Simultaneous setup of ppp on a um and rm interface
JP2003110596A (ja) データ通信サービス提供方法
AU775367B2 (en) Selectively framing and unframing PPP packets depending on negotiated options on the Um and Rm interfaces
KR100294704B1 (ko) 데이터통신시스템및데이터통신운용방법
WO2013185696A2 (zh) 一种数据处理的方法与设备
US20060153221A1 (en) Methods for IP configuration negotiation and related devices
KR100593477B1 (ko)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
JP3599717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2010050750A (ja) 通信端末、通信制御方法、通信制御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KR1004640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프로토콜 세션 공유 방법
KR100339338B1 (ko)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방법
KR100778799B1 (ko) 무선통신모듈을 가상 이더넷으로 이용한 인터넷 접속방법및 시스템
JP363289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ゲートウェイ切り替え方法
KR100271310B1 (ko) 무선가입자망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방법
KR100878077B1 (ko) 고정포트 할당을 통한 포트별 무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능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282400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ppdn 연동을 위한 무선 패드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망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KR100755530B1 (ko) 무선 모뎀과 모뎀을 내장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JP377574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ゲートウェイ切り替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