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231B1 - 이동통신단말기의 패킷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패킷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231B1
KR100678231B1 KR1020000079040A KR20000079040A KR100678231B1 KR 100678231 B1 KR100678231 B1 KR 100678231B1 KR 1020000079040 A KR1020000079040 A KR 1020000079040A KR 20000079040 A KR20000079040 A KR 20000079040A KR 100678231 B1 KR100678231 B1 KR 100678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pp
data
protocol
iwf
protoco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9759A (ko
Inventor
한승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9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231B1/ko
Publication of KR20020049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9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8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specially adapted for link layer protocols, e.g.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synchronous optical network [SONET] or point-to-point protocol [PP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IWF와 외부 터미널 사이에서 패킷 데이터를 릴레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PPP 프로토콜을 구동시켜 상기 IWF와 PPP 연결하여 IP를 할당받는 제1 프로토콜계층부와, PPP 프로토콜을 구동시켜 상기 외부 터미널과 PPP 연결하며, 상기 할당받은 IP를 상기 외부 터미널에 할당하는 제2 프로토콜계층부를 포함한다.
PPP, IP, Relay Model, Network Model, IWF, Packet Manager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패킷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Method for processing packet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릴레이 모델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모델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네트워크 계층에서 PPP(S) 데이터를 PPP(C)로 릴레이하기 위한 제어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네트워크 계층에서 PPP(C) 데이터를 PPP(S)로 릴레이하기 위한 제어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따른 네트워크 모델에서 단말기의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PPP 연결 및 해제에 따른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프로토콜 계층에서 PPP(S) 데이터를 PPP(C)로 릴레이하기 위한 제어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 프로토콜 계층에서 PPP(C) 데이터를 PPP(S)로 릴레이하기 위한 제어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PPP 프로토콜이 탑재되어 있는 단말기에서 패킷 데이터를 릴레이하기 위한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단말기는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한다. 기존의 회선(circuit)방식이 아닌 패킷(packet) 방식으로 항상 무선채널(Air Channel)이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데이터 서비스 통신을 받고자 할 때 언제든지 채널을 열어 통신한다. 또한 단말기에 PPP(Point-to-Point) 프로토콜(Protocol)이 탑재되며, 상기 PPP 프로토콜은 하위 계층(lower layer)에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상대방(기지국, 서버) PPP와 연결된다. 물론 데스크 탑(Note Book or PC)을 연결할 때는, 단말기에 PPP 프로토콜이 없어도 데스크 탑의 PPP 프로토콜을 사용함으로써 서비스 통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에 적용되는 데이터 서비스 모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릴레이 모델(Relay Model)이고, 다른 하나는 네트워크 모델(Network Model)이다.
도 1은 릴레이 모델을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네트워크 모델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TE2는 터미널(노트북 또는 PC), MT2는 단말기, BS/MSC는 기지국, IWF는 단말기와 연결되는 데이터 터미널 장치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TE2와 MT2를 모빌 스테이션이라고 한다. 그리고, Rm은 터미널과 단말기를 연결하는 직렬라인(Serial Line)으로,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방식으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는 구간이다. Um은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무선 채널(Air Channel) 인터페이스 구간이며, L은 기지국과 데이터 터미널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 인터페이스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도 2와 같은 네트워크 모델은 단말기(MT2)가 자체적으로 PPP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다. 이는 단말기 자체로 기지국의 PPP 프로토콜과 연결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단말기에 여러 가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들이 올라 갈 수 있다. 지금 상용화되고 있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네트워크 모델에서 또 하나의 장점은 모빌(Mobile) IP가 지원되어 패킷 핸드오프(Hand off)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즉 패킷 존(Packet Zone)이 바뀌어도 항상 같은 IP를 유지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중 PPP의 재 연결 후에도 계속 어플리케이션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에 PPP 프로토콜이 두개 올라가는 이유는, Mobile IP로 노트북을 연결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 받고 싶을 때, 하나의 PPP는 기지국과 연결되어야 하고, 다른 하나는 노트북과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네트워크 모델에서 단말기는 IP 레벨(level)에서 데이터를 릴레이(Relay)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다시말해, 게이트웨이와 같은 라우터(Router)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럴 경우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할 경우 단말기는 매우 좋은 성능을 지니고 있어야 하며, 신속한 데이터 처리가 필요하다.
여기서, 노트북과 연결되는 PPP를 PPP(S)라 칭하고, 기지국과 연결되는 PPP를 PPP(C)로 칭한다. 상기 PPP(C)는 IWF의 PPP와 연결되는 데이터 링크의 프로토콜로서 IP 할당 또는 등록/인증을 수행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의미로 C를 표기하였다. 그리고, PPP(S)는 TE2의 PPP와 연결되며, TE2에 가상의(임이의) IP를 할당해 주는 서버로 동작하기 때문에 S를 표기하였다. 한편, 네크워크 계층(network layer)에서는 보통의 IP 기능과 IP 릴레이 기능을 수행한다. 즉, TE2가 연결되었을 경우 RLP에서 PPP(C)로 들어온 데이터는 PPP(S)로 연동해주고, EIA-232에서 PPP(S)로 들어온 데이터는 PPP(C)로 데이터를 연동해준다. TE2가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는 PPP(C)의 데이터를 상위 계층(High Layer)으로 올려 준다. 이때 단말기(MT2)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TE2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MT2의 어플리케이션은 동작하지 않으며, 단 Mobile IP 어플리케이션만 동작한다. IWF에서 PPP(C)로 전송한 데이터의 IP는 IWF에서 할당 또는 등록된 IP이다. 하지만 PPP(S)에서 TE2에 할당해 준 IP와 틀리기 때문에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PPP(C)로 들어온 데이터의 IP를 바꾸어서 전송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TE2가 일반 네트워크 망에 연결된 *TE2와 연결하여 서비스를 받고자 할 때의 상황이다. 상기 TE2는 MT2와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 MT2의 PPP(C)는 IWF로부터 IP인 165.213.233.198(MT2)를 할당받고, TE2에 가상의 IP인 192.168.1.1(TE2)을 할당한다. 각각의 구성은 PPP 접속을 하기 때문에 PPP(C)와 PPP(S)의 설정 옵션이 MT2와 IWF에 따라 각각 달리 설정 될 수 있다. TE2가 *TE2에 연결하기 위해 데이터를 보낼 때 IP 데이터 헤더에는 Source IP:192.165.1.1/Remote IP : 203.241.132.102를 채워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MT2의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Source IP:165.213.233.198/Remote IP:203.241.132.102로 Source IP를 바꾸어서 IWF로 보낸다. 마찬가지로 *TE2에서 TE2로 보내는 IP 데이터의 헤더는 Source IP:203.241.132.102/Remote IP:165.213.233.198이 채워진다. 따라서, MT2의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Source IP:203.241.132.102/Remote IP:192.165.1.1로 바꾸어서 TE2로 전송한다. 즉, Remote IP를 TE2에 할당해준 IP로 바꾸어서 전송한다. 즉, MT2의 네트워크 계층이 계속해서 IP 변환을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네트워크 계층에서 PPP(S) 데이터를 PPP(C)로 릴레이하기 위한 제어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네크워크 계층은 401단계에서 PPP(S) 데이터를 수신하고, 403단계에서 PPP(C) 모빌 IP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만일, 모빌 IP가 존재하면, 상기 네트워크 계층은 405단계에서 상기 PPP(S) 데이터의 가상 IP를 PPP(C)의 모빌 IP로 변환한다. 상기 모빌 IP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네트워크 계층은 407단계에서 상기 PPP(S) 데이터의 가상 IP를 PPP(C)의 심플 IP로 변환한다. 이후, 상기 네트워크 계층은 409단계에서 PPP(S) IP의 체크섬(check sum)을 다시 계산하 고, 411단계에서 PPP(S) IP가 조각나지 않았거나 혹은 첫 번째 조각인지 검사한다. 상기한 검사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네트워크 계층은 413단계에서 PPP(S) TCP 혹은 UDP 가 존재하는지 검사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419단계에서 IP가 변환된 PPP(S) 데이터를 PPP(C)로 전송한다. 만일, 413단계에서 TCP가 존재한다고 검사되면 상기 네트워크 계층은 515단계에서 TCP 체크섬을 다시 계산한후 상기 419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413단계에서 UDP가 존재한다고 검사되면 517단계에서 상기 UDP 체크섬을 다시 계산한후 상기 419단계로 진행한다.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네트워크 계층에서 PPP(C) 데이터를 PPP(S)로 릴레이하기 위한 제어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계층에서 501단계에서 PPP(C) 데이터를 수신하고, 503단계에서 PPP(C) 데이터의 실제 IP를 PPP(S)의 가상 IP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계층은 505단계에서 PPP(C) IP의 체크섬을 다시 계산한다. 이후, 상기 네트워크 계층은 507단계에서 PPP(C)의 IP가 조각나지 않았거나 혹은 첫 번째 조각인지 검사한다. 상기한 검사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네트워크 계층은 509단계에서 PPP(C)의 TCP 혹은 UDP 가 존재하는지 검사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515단계에서 IP가 변환된 PPP(C) 데이터를 PPP(S)로 전송한다. 만일, 509단계에서 TCP가 존재한다고 검사되면 상기 네트워크 계층은 511단계에서 TCP 체크섬을 다시 계산한후 상기 515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509단계에서 UDP가 존재한다고 검사되면 513단계에서 상기 UDP 체크섬을 다시 계산한후 상기 5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을 살펴보았을 때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 다.
첫째,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IP의 교환을 하는 라우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많은 부하가 걸린다는 점이다. 소스상에서 PPP에서 IP로 올려 주는 데이터는 프레임 형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어디가 IP 어드레스이고 포트번호인지 쉽게 포인트 조작으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IP 어드레스를 찾아 IP를 바꾸는 것은 큰 노드가 걸리지 않는다. 하지만 IP만 바꾸어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은 아니다. IP 데이터 프레임에는 IP 헤더 체크섬(Header CheckSum)이 있고, TCP와 UDP의 데이터에는 각각의 체크섬이 존재한다. 즉 상기한 체크섬들은 IP 어드레스를 포함한 계산이므로 IP 어드레스를 바꾸었을 경우 두 번의 체크섬을 다시 계산하여 만들어 줘야 하는 프로세스상의 부하가 걸린다. PPP(S)에서 PPP(C)로 릴레이될때 IP 프레임은 두번의 체크섬을 계산하여 다시 넣어 주어야 하며, 마찬가지로 PPP(C)에서 PPP(S) 전달될 때도 2번의 체크섬을 계산해야 한다. 상기 체크섬은 프레임 내부를 다시 분석해야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속 데이터 전송에는 상당한 부하(load)로 작용한다.
둘째, 큰 데이터 전송률을 요구하지 않을 경우 예를 들어 TE2이 인터넷을 할 경우 앞의 문제는 큰 문제가 아니다. 하지만 만약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안에 자신의 IP 어드레스를 포함 할 경우 문제에 부딪친다. 즉 TE2의 자신 IP는 192.165.1.1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데이터 안에는 이 값이 그대로 들어가게 된다. IP+에서는 실제 데이터는 검색하지 하고, 헤더 부분의 IP 어드레스만 바꾸기 때문에 데이터를 수신 받은 쪽은 잘 못된 상대방의 IP를 인식하게 된다.
셋째, TE2가 할당받은 IP는 가상의 IP이다. 따라서, TE2는 상대방에게 자기 자신의 IP를 알려 줄 수가 없다. 예를 들어 넷 미팅(Net Meeting)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은 IP로 상대방에게 연결한다. 이는 데이터 안에 IP 어드레스가 있지 않고 단지 헤더에 상대방의 IP주소를 넣기 위해 필요한 경우이다. 무엇보다도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데이터 서비스는 릴레이 모델이고, 네트워크 모델은 구현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터미널 장치(IWF)와 터미널(예 : 노트북) 사이에서 패킷 데이터를 릴레이 해주는 단말장치에서 IP변환없이 데이터를 릴레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IWF와 외부 터미널 사이에서 패킷 데이터를 릴레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PPP 프로토콜을 구동시켜 상기 IWF와 PPP 연결하여 IP를 할당받는 제1 프로토콜계층부와, PPP 프로토콜을 구동시켜 상기 외부 터미널과 PPP 연결하며, 상기 할당받은 IP를 상기 외부 터미널에 할당하는 제2 프로토콜계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 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모델에서 단말기(MT2)의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PPP(C) 프로토콜 계층은 IWF(PPP)와 연결되어 IP 할당 및 등록/인증을 수행한다. IP+ 프로토콜 계층의 패킷관리기(PM)는 상기 IWF에서 할당받은 IP를 터미널(TE2)에 IP를 할당할수 있도록 상기 할당받은 IP를 기억한다. PPP(S) 프로토콜 계층은 상기 터미널(TE2)과 PPP 연결을 수행하고, PPP 연결시 상기 패킷관리기(PM)에서 기억하고 있는 IP를 상기 터미널에 할당해준다. IP+ 프로토콜 계층은 보통의 IP 기능과 IP 릴레이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즉, TE2가 연결되었을 경우 RLP에서 PPP(C)로 들어온 데이터는 PPP(S)로 연동해주고, RS-232C에서 PPP(S)로 들어온 데이터는 PPP(C)로 데이터를 연동해준다. TE2가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는 PPP(C)의 데이터를 상위 계층(High Layer)으로 올려 준다. 이때 단말기(MT2)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한다. TE2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MT2의 어플리케이션은 동작하지 않으며, 단 Mobile IP 어플리케이션만 동작한다. 이때 예를들어, IP+ 프로토콜 계층은 PPP(C)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조사해서 UDP 데이터이고 포트(port)번호가 434이면 상위 계층(upper protocol layer)로 올려준다. 이는 Mobile IP의 포트번호가 "434"로 미리 예약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 이외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PPP(S)로 릴레이해 주는데 TE2에 할당해준 IP가 IWF로부터 할당받은 IP이기 때문에, 상기 IP+ 프로토콜 계층은 IP변환없이 바로 데이터를 릴레이할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TE2로 IP를 할당할 때 PPP(C)가 IWF에서 할당받은 IP를 할당한다. 여기서 상기 PPP(C)와 PPP(S)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두 개의 프로토콜을 제어해줄 수 있는 프로세서가 필요하다. 상기 프로세서는 앞서 설명한 상기 IP+ 프로토콜 계층에 구비되는 패킷관리기(PM : Packet Manager)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PP 연결 및 해제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패킷관리기702는 PPP(C)703으로 PPP(C) 연결구동 메시지 및 PPP(C) 해제구동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PPP(C) 연결구동 메시지는 네트워크 모델에서 PPP 셋업시 PPP(S) 구동이전에 상기 PPP(C)703을 구동(open)시키기 위해 송신되고, 상기 PPP(C) 해제구동 메시지는 PPP(S) 해제(closed)시키기 위해 송신되어진다. PPP(C)703은 상기 패킷관리기702로 PPP(C) 구동(open)메세지 및 PPP(C) 종료(closed)메세지를 전송한다. 상기 PPP(C) 구동 메세지는 PPP(C)703과 IWF가 PPP연결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해 전송되고, 상기 PPP(C) 해제 메시지는 PPP연결이 해제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해 전송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동메세지는 IWF에서 할당받은 IP를 포함한다.
한편, 패킷관리기702는 PPP(S)704으로 PPP(S) 연결구동 메시지 및 PPP(S) 해제구동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PPP(S) 연결구동 메시지는 네트워크 모델에서 PPP 셋업시 PPP(C)가 구동된후 상기 PPP(S)703을 구동(open)시키기 위해 전송되고, 상기 PPP(S) 해제구동 메시지는 PPP(C)703을 해제(closed)시키기 위해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PPP(S) 연결구동 메시지는 상기 IWF에서 할당받은 IP를 포함한다. PPP(S)704은 상기 패킷관리기702로 PPP(S) 구동(open)메세지 및 PPP(S) 해제메세지를 전송한다. 상기 PPP(S) 구동메세지는 PPP(S)704과 터미널(TE2)이 PPP연결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해 전송되고, 상기 PPP(S) 해제 메시지는 PPP연결이 해제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해 전송되어진다. 한편, 상기 PPP(C)703과 상기 PPP(S)704는 IP+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터미널(TE2)에서 PPP 연결요청이 수신되면 패킷관리기702는 먼저 PPP(C)와 IWF이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보통 상기 터미널(TE2)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는 AT 명령(Command) 로서 패킷관리기702는 이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 서비스 모델을 선택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모델이라 가정한다. PPP(C)가 IWF와 연결되면 PPP(S)와 터미널(TE2)를 연결시킨다. 이때 터미널(TE2)에 할당해주는 IP는 PPP(C)에서 할당받은 IP를 그대로 넘겨준다. PPP(S)에서 IP 할당 테이블 값은 기본적으로 "0000" 이며, PPP(C)에서 IP를 할당받으면 할당받은 값으로 세팅된다. 그리고, PPP연결이 해제되면 다시 0 값으로 설정된다. 상기 패킷관리기702는 각각의 PPP상태를 관리하고 있으므로 만일 PPP(S)가 종결되면 PPP(C)로 종결시킨다. 다시말해, 터미널(TE2)에서 PPP(S)를 종결시켰을 때 상기 패킷관리기702는 PPP(C)와 IWF 사이의 PPP연결도 종결시킨다. 만일, PPP(S)가 해제되지 않았는데 PPP(C)가 오류로 인해 해제가 되었을 경우, 패킷관리기(PM)는 PPP(C)를 다시 연결 구동시킨다. 그런데 만일, 할당받은 IP가 이전의 IP와 상이하면 PPP(S)를 연결해제하고 다시 연 결시킬 준비를 한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의 데이터 릴레이 제어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과 도 9는 각각 상기 도 5와 도 6에 대응되는 도면들이며, 종래기술에서 보여줬던 복잡한 절차 없이 단순히 데이터를 릴레이하는 기능만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은 IP변환 절차가 없기 때문에 부수적으로 따르던 체크섬의 재계산등의 절차를 제거할수 있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IP+는 801단계에서 PPP(S) 프로로콜 계층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러면, 상기 IP+는 803단계에서 IP 변환없이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PPP(S) 프로트콜 계층으로 릴레이시켜준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IP+는 901단계에서 PPP(C) 프로토콜 계층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러면, 상기 IP+는 903단계에서 IP 변환없이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PPP(C) 프로토콜 계층으로 릴레이시켠준다. 여기서, 터미널에 할당되는 IP는 PPP(C)가 IWF와 PPP 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IWF로부터 할당받은 IP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PP 프로토콜이 탑재되는 단말기에서, 터미널(노트북, 데스크탑)에 연결되어 패킷 데이터 통신을 할 경우, 단말기에서 상기 터미널로 가상의 IP를 주지 않기 때문에 네트워크 계층에서 릴레이 데이터의 IP 어드레스를 바꾸고 IP어드레스 변환에 따른 체크섬을 다시 계산해야 되는 부하를 제거할수 있다. 즉, 데이터 전송성능을 향상시킬수 있다. 또한, 터미널에서 실제 IWF에서 할당받은 IP를 확인할수 있고, IP 데이터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IWF와 외부 터미널 사이에서 패킷 데이터를 릴레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
    PPP 프로토콜을 구동시켜 상기 IWF와 PPP 연결하여 IP를 할당받는 제1 프로토콜계층부와,
    PPP 프로토콜을 구동시켜 상기 외부 터미널과 PPP 연결하며, 상기 할당받은 IP를 상기 외부 터미널에 할당하는 제2 프로토콜계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 계층부와 상기 제2프로토콜 계층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IWF로부터 할당받은 IP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IP를 상기 제1 프로토콜 계층부로 제공하는 패킷관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 계층부로부터 전달받은 패킷 데이터를 상기 제2 프로토콜 계층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2프로토콜 계층부로부터 전달받은 패킷 데이터를 상기 제2 프로토콜 계층부로 전달하는 제 3 프로토콜 계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로토콜 계층부는 상기 패킷 데이터를 분석하여 UDP 데이터이고 포트번호가 미리 결정된 값이면 상기 패킷 데이터를 상위 계층부(upper layer)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IWF와 외부 터미널 사이에서 패킷 데이터를 릴레이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패킷 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제1 프로토콜 계층부가 PPP 프로토콜을 구동시켜 상기 IWF와 PPP 연결하여 IP를 할당받는 과정과,
    제2 프로토콜 계층부가 PPP 프로토콜을 구동시켜 상기 외부 터미널과 PPP 연결하고, 상기 할당받은 IP를 상기 외부 터미널에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IWF와 외부 터미널 사이에서 패킷 데이터를 릴레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패킷 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터미널로부터 PPP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제1 PPP 프로토콜을 구동시켜 상기 IWF와 PPP 연결하여 IP를 할당받는 과정과,
    제2 PPP프로토콜을 구동시켜 상기 외부 터미널과 PPP 연결하고, 상기 할당받은 IP를 상기 외부 터미널에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0079040A 2000-12-20 2000-12-20 이동통신단말기의 패킷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678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040A KR100678231B1 (ko) 2000-12-20 2000-12-20 이동통신단말기의 패킷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040A KR100678231B1 (ko) 2000-12-20 2000-12-20 이동통신단말기의 패킷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759A KR20020049759A (ko) 2002-06-26
KR100678231B1 true KR100678231B1 (ko) 2007-02-01

Family

ID=27683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040A KR100678231B1 (ko) 2000-12-20 2000-12-20 이동통신단말기의 패킷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2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2243A (ko) * 1997-05-02 1998-12-05 양승택 디지털 이동통신망 무선 데이터 통신 연동 장치에서의 호 제어 방법
WO1999043133A2 (en) * 1998-02-09 1999-08-26 Nokia Networks Oy High-speed access from mobile station to tcp/ip network
WO2000076173A1 (en) * 1999-06-07 2000-12-14 Qualcomm Incorporated Establishing a packet network call between a mobile terminal device and an interworking function
KR20010026110A (ko) * 1999-09-03 2001-04-06 조정남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
KR20020082842A (ko) * 2000-01-14 2002-10-31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Ipcp 협상 동안에 ppp 시간경과를 피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2243A (ko) * 1997-05-02 1998-12-05 양승택 디지털 이동통신망 무선 데이터 통신 연동 장치에서의 호 제어 방법
WO1999043133A2 (en) * 1998-02-09 1999-08-26 Nokia Networks Oy High-speed access from mobile station to tcp/ip network
WO2000076173A1 (en) * 1999-06-07 2000-12-14 Qualcomm Incorporated Establishing a packet network call between a mobile terminal device and an interworking function
KR20010026110A (ko) * 1999-09-03 2001-04-06 조정남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
KR20020082842A (ko) * 2000-01-14 2002-10-31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Ipcp 협상 동안에 ppp 시간경과를 피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759A (ko) 200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81916B (zh) 一种在通信设备间实现通信的方法及装置
KR100748814B1 (ko) Ipcp 협상 동안에 ppp 시간경과를 피하는 방법
US6278706B1 (en) Wireless packet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260516B1 (ko)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망에서의 비동기통신 데이터발신호 및 착신호 서비스 방법
CN101600224B (zh) 无线数据卡支持多个pdp上下文的实现方法及无线数据卡
US201200931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oaming between wireless networks
RU2012127127A (ru) Инфраструктура архитектуры ретрансляции
AU763662B2 (en) Simultaneous setup of PPP on a UM and RM interface
KR100633204B1 (ko) Um 및 Rm 인터페이스에서 PPP 링크의 독립적인동기화
KR2005009090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데이터 프로토콜에 따른 vpn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20070274254A1 (en) Connection adapter for communication device
KR20050040429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패킷 데이터 서비스 방법
KR100621537B1 (ko) Um 및 Rm 인터페이스 상에서 협상된 옵션들에 따른PPP 패킷들의 선택적 프레이밍 및 언프레이밍
US20100165848A1 (en) Connection adapter for communication device
JP4322879B2 (ja) 通信機器用の接続装置
MXPA02000448A (es) Metodo y aparato para evitar la perdida de datos durante una renegociacion ppp en una interfase um.
KR10067823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패킷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4304720A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Bhagwat et al. Bluesky: A cordless networking solution for palmtop computers
KR20050095420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그널링을 제외한 사용자 트래픽에대한 과금 방법
US20020039358A1 (en) Method for separating and processing signal and bearer in all IP radio access network
KR100700145B1 (ko) 와이브로 모뎀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593477B1 (ko)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
JP2005244366A (ja) 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移動端末機とlan間接続方法
CN101651612A (zh) 数据传输系统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