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400B1 - 이동 통신망에서의 ppdn 연동을 위한 무선 패드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망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망에서의 ppdn 연동을 위한 무선 패드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망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400B1
KR100282400B1 KR1019980055159A KR19980055159A KR100282400B1 KR 100282400 B1 KR100282400 B1 KR 100282400B1 KR 1019980055159 A KR1019980055159 A KR 1019980055159A KR 19980055159 A KR19980055159 A KR 19980055159A KR 100282400 B1 KR100282400 B1 KR 100282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network
call
mobil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9738A (ko
Inventor
김태원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80055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400B1/ko
Publication of KR20000039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4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04L2012/647Frame Relay, X.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MA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가입자가 회선 데이터 서비스 옵션을 이용하여 공중 패킷 데이터망(Public Packet Data Network; X.25 Network) 연동을 할 수 있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망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이동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망연동장치는 데이터 호처리, 자원 관리, 통계, 장애 및 진단 기능 등을 수행하는 주 처리장치와, 이동 단말기와 회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갖고 무선망을 통하여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신뢰성 보장 기능, 모뎀 풀 기능, X.25 루팅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회선 데이터 처리장치와, 상기 회선 데이터 처리장치를 통하여 제공받은 데이터를 받아 X.25 프로토콜 처리 및 공중 가입자 데이터망(PSDN)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X.25 패킷 데이터 처리 및 접속장치로 구성된다. 따라서, 데이터 망연동장치에 무선 패드 기능을 제공하여 X.25 패킷 데이터망과 접속하여 이동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망에서의 PPDN 연동을 위한 무선 패드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망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망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방식의 이동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망연동장치에 무선 패드기능을 제공하여 이동 전화 가입자가 공중 데이터망으로 직접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에 적당하도록 한 이동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망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킷 데이터의 전송은 공중 패킷 데이터망 또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공중 패킷 데이터망을 이용하는 경우, 기존 유선망에서는 망종단 장치에 패드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유선망의 가입자는 패드 기능이 제공된 망종단 장치를 조작하여 X.25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을 할 수 있었다.
또한,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는 경우, 이동 통신 가입자는 공중 가입자 전화망(PSTN)을 통해서 X.25패킷망을 접속한다. 이어, 무선 패킷 데이터를 회선 데이터 모뎀신호로 변경하고, 이어 원하는 착신측으로 전송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CDMA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가입자가 회선 데이터 서비스 옵션을 이용하여 공중 패킷 데이터망(Public Packet Data Network; X.25 Network) 연동을 할 수 없다.
또한,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무선 통신망의 패킷을 다시 회선 데이터 모뎀신호로 변경하고 전송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CDMA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가입자가 회선 데이터 서비스 옵션을 이용하여 공중 패킷 데이터망(Public Packet Data Network; X.25 Network) 연동을 할 수 있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망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전화 가입자가 X.25를 백본으로 한 사설 정보 서버나 공중 정보 서비스 제공자(ISP; Information Service Provider)의 서버를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망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이동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망연동장치가 데이터 호처리, 자원 관리, 통계, 장애 및 진단 기능 등을 수행하는 주 처리장치와, 이동 단말기와 회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갖고 무선망을 통하여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신뢰성 보장 기능, 모뎀 풀 기능, X.25 루팅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회선 데이터 처리장치와, 상기 회선 데이터 처리장치를 통하여 제공받은 데이터를 받아 X.25 프로토콜 처리 및 공중 가입자 데이터망(PSDN)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X.25 패킷 데이터 처리 및 접속장치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동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망연동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이 입력된 착신번호의 정보를 분석하여 X.25 루팅 호인지를 확인하고, X.25 루팅 호인 경우, 호 절차를 갖고 X.25 루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착신번호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호 도중 착신 전화번호 정보를 수신한 데이터 망연동장치에 X.25 루팅 호인지를 확인하고, 판단 결과가 X.25 루팅 호인 경우, 기 할당된 모뎀 태스크로 X.25 루팅 호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데이터 망연동장치에 무선 패드 기능을 제공하여 X.25 패킷 데이터망과 접속하여 이동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데이터 망연동장치는 이동 전화기를 이용하여 회선 데이터 서비스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회선 데이터 서비스 옵션을 이용한 직접 패킷망 접속을 통하여 보다 접속시간이 빠르고 전송 속도가 자유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망의 구성도.
도 2는 유선 망에서의 X.25를 이용한 서버 접속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X.25를 이용하여 공중 패킷 데이터망(Public Packet Data Network:PPDN)연동을 위한 데이터 망연동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선데이터 처리장치와 X.25 패킷데이터 처리장치와의 연동관계를 보인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X.25 패킷 서비스 호 설정 절차를 보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인식 AT명령어에 의한 X.25 패킷 서비스 호 설정 절차를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10n : 개인용 컴퓨터 20 : 이동 전화기
30 : 무선 기지국 40 : 기지국 제어 및 교환 시스템
50 : 데이터 망 연동 장치
60 : 공중 패킷 데이터망/인터넷
70 : X.25 서버 80 : 정보 서비스 제공자
90 : 공중 패킷 데이터망 100 : 공중 가입자 전화망
110 : 정보 서비스 제공자 서버 120 : 개인 정보 서비스 서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망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망은 개인용 컴퓨터(10)와, 개인용 컴퓨터(10)와 연결되는 이동 전화기(20)와, 이동 전화기(20)와 기지국 제어 및 교환 시스템(40)간의 중계국의 역할을 담당하는 기지국(30)과, 기지국(30)을 제어하고, 기지국(30)을 교환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기지국 제어 및 교환 시스템(40) 그리고 기지국 제어 및 교환 시스템(40)이 다른 통신망과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망연동장치(5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유선 패킷 데이터망에서 패킷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개인용 컴퓨터(10,10a-10n)와 별도 장착하는 망 종단장치(12,14)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 망종단 장치(12,14)에는 패킷 데이터를 묶고 푸는 패드(Packet Assembler Disassembler:PAD;X.3)와, 사용자 터미널과, 착신측 및 발신측 망종단장치(12,14)의 PAD간의 상호 연동에 관한 것을 정의한 X.28규격 사항과, 망 종단장치(12,14)에 있는 PAD와 공중 가입자 전화망(PSDN)간의 상호 연동에 관한 것을 정의한 X.29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기능이 제공된다. 여기서, PAD는 문자 스트림(Character Stream)을 패킷으로, 패킷을 문자 스트림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X.25를 이용하여 공중 패킷 데이터망(Public Packet Data Network:PPDN)연동을 위한 데이터 망연동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데이터 망연동장치(50)는 이동 교환국과 프레임 릴레이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동 전화기와 망연동장치(50)간의 데이터로 설정/해제 및 데이터 전송하는 이동 데이터로 접속 장치(51)와, 망연동장치(50)에서의 데이터 호처리, 자원 관리, 통계, 장애 및 진단 기능 등을 수행하는 주 처리장치(52)와, 이동 전화기(10)와 회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갖고 무선망을 통하여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신뢰성 보장 기능, 모뎀 풀 기능, X.25 루팅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회선 데이터 처리장치(53)와, 회선 데이터 처리장치(53)를 통하여 제공받은 데이터를 받아 X.25 프로토콜 처리 및 공중 가입자 데이터망(PSDN)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X.25 패킷 데이터 처리 및 접속장치(54)와, 이동 교환국과 ISDN 프레임 릴레이를 이용하여 망연동장치(50)의 모뎀과 공중 가입자 전화망의 가입자 모뎀과의 데이터로 설정/해제 및 모뎀 데이터 전송기능을 제공하는 공중 가입자 전화망 데이터로 접속장치(55)로 구성된다.
여기서, 회선 데이터 처리장치(5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선 프로토콜 처리모듈(56)과, 모뎀 데이터 처리모듈(57)로 구성되며, X.25 패킷 데이터 처리 및 접속장치(54)는 패드 처리모듈(58)과 공중 패킷 데이터망 연동 모듈(59)로 구성되어 X.25 망연동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망연동장치 내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에 대한 설명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이동 데이터 통신망에서, 이동 전화 가입자가 개인용 컴퓨터(10)와 데이터 서비스 가능한 이동 전화기(20)를 갖고 회선 데이터 서비스를 원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동 전화 가입자가 개인용 컴퓨터(10)와 데이터 서비스 가능한 이동 전화기(20)를 연결선으로 연결한 후, 일반적으로 공중 가입자 전화망(Public Subscriber Telephone Network:PSTN)으로 연결할 것인지 또는 공중 패킷 데이터망(Public Packet Data Network:PPDN)으로 연결할 것인지는 착신 전화번호를 통하여 정해진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동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받으려는 이동 전화 가입자가 PSTN와 연동된 정보 서비스 제공자(Information Service Provider:ISP)(110)의 서버 또는 개인 정보 서비스(Private Information Service:PIS)(120)의 서버와 연동할 수 있는 착신 번호를 갖고 "ATD 착신번호"를 개인용 컴퓨터(10)의 통신 이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요구를 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이다.
개인용 컴퓨터(10)와 연결된 이동 전화기(20)는 발신 설정(SETUP) 메시지를 회선 데이터 서비스 옵션을 갖고 무선 기지국(30)에 제공한다. 이를 수신한 무선 기지국(30)은 기지국 제어 및 교환 시스템(40)의 기지국 제어기로 서비스 옵션과 착신번호, 발신 이동 전화기(20)의 정보 등을 기지국 제어 및 교환 시스템(40)의 이동 교환기에게 제공한다. 이동 교환기는 이동 가입자가 현재 요구한 호의 서비스 옵션을 확인하여 이동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요구한다고 판단되면 데이터 망연동장치(50)로 호 설정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망연동장치(50)의 주처리 장치(52)에 구비된 프레임 릴레이 인터페이스 호 제어기(Frame Relay Interface Call Controller:FRICC)는 호 설정 요구신호(CDL_AVS_REQ)를 주처리 장치(52)에 구비된 회선 데이터 인터페이스 호 제어기(Circuit Data Interface Call Controller:CDICC)로 전달한다(S1). 호 설정 요구신호(CDL_AVS_REQ)를 받은 회선 데이터 인터페이스 호 제어기(CDICC)는 착신번호를 확인하여 모뎀 타입 또는 X.25 타입인지를 결정한다(S2). 이때, X.25 루팅 요구인 경우에는 주 처리장치(52)의 모뎀 호 제어기(Modem Call Controller:MDMCC)는 X.25 루팅 호가 왔음을 알리는 신호(PAD_CRT_CMD)를 회선 데이터 처리장치(Circuit Data Processor Assembly:CDPA)(53)로 전달한다(S3). 이어, 회선 데이터 처리장치(CDPA)(53)는 CDICC로 해당 태스크를 열어주는 신호(PAD_CRT_EVT)를 전달한다(S4). 그러면, CDICC는 FRICC로 호 설정 지시신호(CDL_ACS_IND)를 전달한다(S5).
따라서, X.25 루팅 태스크와 단말기간에 TCP/IP/PPP 프로토콜을 설정할 수 있으며(S6), 이어 프로토콜 설정 완료를 알리는 신호(PAD_TCP_EST)를 주 처리장치(52)의 CDICC에게 알려준다(S7). 주 처리장치(52)의 CDICC는 X.25 패킷 데이터 처리 및 접속장치(54)에 구비된 패킷 데이터 인터페이스 호 제어기(Packet Data Interface Call Conteroller:PDICC)에게 X.25 루팅 호가 왔음을 알리는 신호(PDP_SETUP_REQ)를 전달하고(S8), X.25 자원 할당을 요청하는 신호(PAD_SVC_REQ)를 X.25 패킷 데이터 처리(Packet Data Processor Assembly:PDPA) 및 접속장치(54)에 전달한다(S9). 이어, X.25 자원할당이 끝나면 PDICC는 CDICC로 자원 할당됨을 알리는 신호(PDP_CON_EST)를 전달한다(S10).
주 처리장치(52)의 CDICC는 회선 데이터 처리장치(CDPA)(53)로 X.25 루팅 관련 신호처리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PDP_DTI_CMD)를 전달하고(S11), X.25 패킷 데이터 처리장치의 호 자원 정보를 제공 받는다. 회선데이터 처리장치(CDPA)(53)는 X.25 패킷 데이터 처리 및 접속장치(54)의 해당 자원으로 이동 데이터 경로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PEER_PATH_ READY)를 전달한다(S12).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이동 데이터 경로와 X.25 패킷 데이터 경로의 논리 링크가 완전하게 연결된다(S13,S14). 이때, X.25 패킷 데이터 처리 및 접속장치(54)는 패드 지시자(Prompt)를 제공하고, 가상 논리 채널을 연결한 후에 X.25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한다(S15).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인식 AT명령어에 의한 X.25 패킷 서비스 호 설정 절차를 보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이동전화 가입자가 회선데이터 서비스 옵션으로 발신 호를 했을 때, 착신번호 없이 호 설정을 요구한 경우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보통 비인식 AT명령어에 의한 호 설정시 데이터 전송방법이라 한다.
먼저, 전화 가입자가 착신번호 없이 회선데이터 서비스 옵션으로 발신 호를 요청한 경우에는 규격에 근거하여 일차적으로 이동 전화기(10)로부터 데이터 망연동장치(50)의 회선데이터 처리장치(CDPA)(53)와 TCP/IP/PPP 프로토콜을 설정한다(S21). 이때, 이동 전화 가입자는 어떠한 회선데이터 호 설정을 요구할지 모르기 때문에 데이터 망연동장치(50)의 모뎀 자원을 일차적으로 초기화하고, 자원 할당을 우선적으로 해놓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X.25 루팅에 관한 것으로, 이동 가입자가 X.25 루팅 관련된 착신 번호를 TCP 프레임을 통하여 제공한다면, 착신번호 정보를 감지한 회선데이터 처리장치(CDPA)(53)는 주 처리장치(52)의 MDMCC에게 착신 전화번호 정보(OG_TNO_EVT)를 제공한다(S22). 이를 수신한 주 처리장치(52)의 MDMCC는 착신번호를 확인하여 모뎀 타입 또는 X.25 타입인지를 결정한다(S23). 이때, 착신번호가 X.25 루팅의 요구 호라면, 회선데이터 처리장치(CDPA)(53)에게 X.25 호 처리변환 명령(PAD_ACT_CMD)을 지시한다(S24). 이를 수신한 회선데이터 처리장치(CDPA)(53)는 X.25 루팅 처리 가능한 트래픽 경로를 설정한다(S25). 이후, 회선데이터 처리장치(CDPA)(53)는 X.25 루팅 태스크로 기존 태스크가 전환됨을 알리는 메시지(PAD_ACT_EUT)를 주 처리장치(52)의 MDMCC로 알리면(S26), MDMCC는 CDICC로 호정보 변환 확인 메시지(PAD_ACT_IND)를 제공한다(S27,S28). 이때,CDICC는 X.25 패킷 데이터 처리 및 접속장치(54)의 자원을 할당 요구(PDP_ACS_REQ)를 PDICC에 전달한다(S28).
이어, 주 처리장치(52)의 PDICC는 PDP_ACS_REQ를 근거하여 X.25 패킷 데이터 처리 및 접속장치(54)에게 자원 할당 요청 메시지(PAD_SVC_REQ)를 제공한 후(S29), 주 처리장치(52)의 PDICC는 CDICC에게 X.25 루팅 호에 대한 자원 설정이 완료 됨을 나타내는 메시지(PDP_ACS_CON)를 제공한다(S30). 주 처리장치(52)의 CDICC는 회선데이터 처리장치(CDPA)(53)로 X.25 루팅 호 관련된 X.25 루팅 정보와 함께 자원 할당됨을 알리는 메세지(PDP_CDI_CMD)를 전달한다(S31).
이를 수신한 회선데이터 처리장치(CDPA)(53)는 X.25 패킷 데이터 처리 및 접속장치(54)로 X.25 루팅 관련 논리 링크 설정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PEER_PATH_READY)를 제공한다(S33). 이때, 메시지를 X.25 패킷 데이터 처리 및 접속장치(54)가 수신을 완료하면, 이동 데이터 경로와 X.25 패킷 데이터 논리 경로가 상호 연동할 수 있게 된다(S34,S35).
이렇게 형성된 이동 데이터 경로와 X.25 패킷 데이터 논리 경로를 이용하여 X.25 패킷 데이터 처리 및 접속장치(54)는 패드 지시자를 제공하고, 가상 논리 채널을 연결한 후에 X.25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한다(S36).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CDMA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가입자가 회선데이터 서비스 옵션을 이용하여 공중 패킷 데이터망(Public Packet Data Network; X.25 Network)과 연동을 할 수 있게 하였으며, 이동 전화 가입자는 X.25를 백본으로 한 사설 정보 서버나 공중 정보 서비스 제공자(ISP; Information Service Provider)의 서버를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는 종래의 기술에서 모뎀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볼 때, 접속시간이 짧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자유롭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이동 전화 가입자에게 제공되는 데이터 서비스가 회선데이터 서비스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구분하여 차별화를 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응용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데이터 호처리, 자원 관리, 통계, 장애 및 진단 기능 등을 수행하는 주 처리장치와,
    이동 단말기와 회선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갖고 무선망을 통하여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신뢰성 보장 기능, 모뎀 풀 기능, X.25 루팅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회선데이터 처리장치와,
    상기 회선데이터 처리장치를 통하여 제공받은 데이터를 받아 X.25 프로토콜 처리 및 공중 가입자 데이터망(PSDN)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X.25 패킷 데이터 처리 및 접속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망연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와 망연동장치간의 데이터로 설정/해제 및 데이터 전송하는 이동 데이터로 접속 장치와,
    상기 망연동장치의 모뎀과 공중 가입자 전화망의 가입자 모뎀과의 데이터로 설정/해제 및 모뎀 데이터 전송기능을 제공하는 공중 가입자 전화망 데이터로 접속장치가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망연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망연동장치에 X25 PAD처리모듈과 PPDN연동모듈이 구비되어, X.25 망연동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망연동장치.
  4. 입력된 착신번호의 정보를 분석하여 X.25 루팅 호인지를 확인하고, X.25 루팅 호인 경우, 호 절차를 갖고 X.25 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망연동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번호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호 도중 착신 전화번호 정보를 수신한 데이터 망연동장치에 X.25 루팅 호인지를 확인하고, 판단 결과가 X.25 루팅 호인 경우, RL 할당된 모뎀 태스크에 X.25 루팅 처리 가능한 트래픽 경로를 설정하여 X.25 루팅 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망연동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KR1019980055159A 1998-12-15 1998-12-15 이동 통신망에서의 ppdn 연동을 위한 무선 패드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망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KR100282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159A KR100282400B1 (ko) 1998-12-15 1998-12-15 이동 통신망에서의 ppdn 연동을 위한 무선 패드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망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159A KR100282400B1 (ko) 1998-12-15 1998-12-15 이동 통신망에서의 ppdn 연동을 위한 무선 패드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망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738A KR20000039738A (ko) 2000-07-05
KR100282400B1 true KR100282400B1 (ko) 2001-03-02

Family

ID=19562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159A KR100282400B1 (ko) 1998-12-15 1998-12-15 이동 통신망에서의 ppdn 연동을 위한 무선 패드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망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4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223A (ko) * 2000-07-25 2002-02-01 윤종용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 망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장치 및 방법
KR100367484B1 (ko) * 2000-09-25 2003-01-10 텔슨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망과 패킷 데이터망간의 호 설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738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9224B1 (en) Method for making mobile-to-mobil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KR100365357B1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방법
KR100343347B1 (ko) 접속 설정 방법 및 그 제어 장치
JPH10271213A (ja) 通信装置及び通信経路選択方法
US5553128A (en) Control of call forwarding by a target telephone
EP1083730A2 (en) Callback system and method for internet phone
US6977920B1 (en) CDMA mobile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using the system
KR100282400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ppdn 연동을 위한 무선 패드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망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KR100750777B1 (ko) 아이엠티-2000 에스지에스엔에서의 패킷 호 지정 경로설정 방법
US20040081307A1 (en) IP network system and H.323 gatekeeper
JP2003092624A (ja) 接続選択方法および通信エンドポイント装置
KR100249856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위한 가입자 호 제어방법
JP3587174B2 (ja) ダイアルアップ接続システムおよびダイアルアップ接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36937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교환기 및 고객정보 관리 시스템간연동장치 및 방법
KR100311312B1 (ko) 광대역 무선 이동 단말 기지국 제어기에서의 멀티미디어 호설정 시험 방법
JP3450255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322674B1 (ko) 무선시스템에서 접속번호 전송을 이용한 정보제공사업자 접속방법
US7860080B2 (en) Service provisioning in telecommunications system comprising call control service capability servers
KR100233909B1 (ko) Isdn 교환 시스템의 프레임 릴레이 교환 방법
KR100605612B1 (ko) 프레임 릴레이 교환 가상 회선 방식을 이용한 통신 처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JP3689036B2 (ja) 構内交換装置
KR100957636B1 (ko) 데이터 세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442056B1 (ko) 알에이에스에서 멀티채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236959B1 (ko) 광대역 통신망에서의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 방법
KR100798189B1 (ko) 이종 프로토콜 환경에서의 단말상태 확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