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7484B1 - 이동통신망과 패킷 데이터망간의 호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과 패킷 데이터망간의 호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7484B1
KR100367484B1 KR10-2000-0056256A KR20000056256A KR100367484B1 KR 100367484 B1 KR100367484 B1 KR 100367484B1 KR 20000056256 A KR20000056256 A KR 20000056256A KR 100367484 B1 KR100367484 B1 KR 100367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call
gateway
terminal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4483A (ko
Inventor
양순성
남일원
윤호성
Original Assignee
텔슨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슨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텔슨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6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7484B1/ko
Publication of KR20020024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484B1/ko

Links

Landscapes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패킷 데이터망의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의 특정 이동 무선 단말기로의 호 설정 절차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의 이동 무선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망의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간의 호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설정 요구가 수신되면 게이트웨이가 해당 기지국/기지국 제어기로 호 연결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의 호 수신상태에 따른 호 연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로 채널 할당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이동 무선 단말에게 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로 채널 할당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로 호 진행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 및 망간정합장치와 연동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호를 설정하고, 상기 망간정합장치가 상기 게이트웨이로 호 설정 완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로 호 설정 응답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와 상기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간에 패킷 데이터 호가 설정되는 단계가 적어도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망과 패킷 데이터망간의 호 설정 방법{METHOD FOR CALL SET-UP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PACKET DATA NETWORK}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망과 패킷 데이터망의 연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화상 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의 소정 이동 무선 단말기로 호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망을 이용하여 음성/영상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음성/화상 통신 터미널에서 지상 이동 네트워크(Plain Land Mobile Network:PLMN)의 이동 무선 단말로 착신 호를 요청하는 경우, 이를 위하여 해당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가 무선 채널(패킷 데이터용)을 할당할 수 있도록, 음성/화상 통신 터미널(Terminal)과 기지국 제어기간의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U-T에서 정한 H.323은 TCP/IP와 같은 패킷망을 통한 화상 회의 통신을 위한 표준으로 만들어 졌다. 여기에는 고품질의 비디오를 위한 LAN 표준과 느린 회선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표준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H.323은 인터넷을 이용한 음성 통신(VOIP:Voice over IP)의 표준 방식이 된다.
그런데 H.323 통신 터미널에서 이동 통신망의 착신 이동 무선 단말기로 통화 호를 설정하려는 경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위한 패킷 데이터망에서는 회선 교환 기능을 가지는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이 존재하지 않으며 H.323 게이트웨이(Gateway), H.323 게이트키퍼(Gatekeeper)에서 호 설정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도 1은 종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구성도 이다.
기지국 전송 시스템(Base Transmission System:이하 BTS라 한다.)은 이동 무선 단말기(Mobile Wireless Handset)들과 무선 접속을 수행하고 채널 자원(Resource)을 할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이하 BSC라 한다.)는 복수개의 BTS들을 제어하며 호(Call)의 이동성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이하 MSC라 한다.)은 복수개의 BSC들 간의 호 연결과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와의 정합을 수행하여 음성 통화로를 형성한다.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이하 HLR이라 한다.)는 이동 무선 단말들에 대하여 각각 등록된 서비스 정보와 위치 정보 등을 구비하여 이동통신망 가입자들에 대한 인증 동작, 위치추적 등을 수행하며, 방문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이하 VLR이라 한다.)는 MSC에 일 대 일로 구비되는 경우가 많으며 현재 자신이 관리하는 지역에 위치한 이동 무선 단말기들의 각종 정보를 관리한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의 음성 서비스를 위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는, MSC가 BSC를 통하여 채널 할당 요구 메시지(Assignment Request Message)를 BTS로 송신함으로써 이동 무선 단말기와 BTS간의 무선 채널 할당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멀티 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위한 H.323 터미널과 연결되는 패킷 데이터 망에서는 호 설정 동작이 회선 스위칭(Circuit Switching)을 수행하는 MSC가 아니라 H.323 게이트웨이(Gateway), H.323 게이트키퍼(Gatekeeper)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동통신망과 H.323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패킷망이 연동하기 위해서는 기지국과 게이트웨이에 이동통신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자원할당을 요청하는 별도의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패킷 데이터망의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의 특정 이동 무선 단말기로의 호 설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의 이동 무선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망의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간의 호 설정 방법이, 상기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설정 요구가 수신되면 게이트웨이가 해당 기지국/기지국 제어기로 호 연결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의 호 수신상태에 따른 호 연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로 채널 할당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이동 무선 단말에게 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로 채널 할당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로 호 진행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 및 망간정합장치와 연동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호를 설정하고, 상기 망간정합장치가 상기 게이트웨이로 호 설정 완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로 호 설정 응답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와 상기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간에 패킷 데이터 호가 설정되는 단계가 적어도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의 이동 무선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망의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간의 호 설정 방법이, 상기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설정 요구가 수신되면 게이트웨이가 해당 기지국/기지국 제어기로 호 연결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의 호 수신상태에 따른 호 연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채널 할당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이동 무선 단말에게 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로 채널 할당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로 호 진행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 및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와 연동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호를 설정하고, 상기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로 호 설정 응답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와 상기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간에 패킷 데이터 호가 설정되는 단계가 적어도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망과 H.323망과의 연동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H.323 망 프로토콜에 따른 호 설정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b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IWF가 구비되는 디지털 이동통신망과 H.323망이 연동하는 경우의 호 설정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b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IWF가 구비되지 않는 디지털 이동통신망과 H.323망이 연동하는 경우의 호 설정 절차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망과 H.323망과의 연동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패킷 데이터망의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의 특정 이동 무선 단말기로의 호 설정 절차의 예를 설명한다.
H.323망(20)과 연동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동통신망(10)에 구비되는 망간정합장치(105)(Interworking Function:이하 IWF 라 한다.)는 데이터 모뎀 풀을 가지며, 이동통신망과 H.323 망(20)간의 프로토콜 변환 기능 및 망 내의 서브 시스템과의 속도 정합 기능 등을 갖는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H.323망(20)은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이하 IP라 한다.)망을 기반으로 하며, 이동통신망(10)은 IWF(105)를 사용하여 인터넷(30)과의 연동을 수행한다.
H.323 프로토콜은 랜(Local Area Network),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등의 패킷망을 통해 실시간 멀티미디어 통신을 지원하는 프로토콜로서, 오디오(Audio)와 영상(Visual) 매체용으로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UDP)을 이용하고, 데이터용으로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TCP)을 이용한다.
H.323망(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IP망을 기반으로 하며 H.323 터미널(108), H.323 게이트웨이(106) 및 H.323 게이트키퍼(107)로 구성되어 현재 인터넷 폰, 별정 국제전화 서비스에 사용되고 있다.
인터넷 폰 서비스인 경우, 인터넷(30)에 연결할 수 있는 개인용 컴퓨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서 인터넷 폰 서버(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여 서버에 서비스 가입이 되어 있는 사용자간에 제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개인용 컴퓨터가 H.323 터미널(108)이 되어 이 개인용 컴퓨터가 H.323 프로토콜에 따라 음성을 코딩(Coding)하고 압축 및 패킷화(Packetizing)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지 않고 H.323 프로토콜이 구현되어 있는 IP 폰인 경우에는 직접 IP망에 접속함으로써 H.323 통신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IP 폰이 H.323 터미널(108)이 된다.
H.323망(20)의 시스템 제어로는 H.245(Signaling Control) 제어와 H.225의 호 제어(Call Control) 및 RAS(Registration, Admission, Status, Message) 제어를 포함한다. H.323망(20)은 호 제어 및 RAS 제어를 수행하는데, 상기 호 제어는 H.323 엔티티(Entity)상의 호출방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H.323 엔티티란 터미널, 게이트키퍼, 게이트웨이 및 다중점 제어 유닛(Multipoint Control Unit:MCU)을 말한다.
게이트키퍼(107)는 통신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및 주소변환, 참석노드 등록, 상태관리 등을 수행하는데, 통신에 참석하는 노드는 게이트키퍼(107)와 RAS 메시지를 주고받음으로써 통신을 시작한다. 여기서 H.225 RAS는 종단점(Endpoint)(즉, 터미널 또는 게이트웨이)과 게이트키퍼간의 프로토콜을 말한다. RAS 메시지를 교환하는데 사용되는 RAS 채널은 어떠한 다른 채널의 설정보다 우선해서 게이트키퍼와 종단점 간에 설정된다. H.225 호 시그널링(Call Signaling)은 두 H.323 종단점 간의접속을 설정하는데 사용되며 이는 Call Signaling 채널 상에서 H.323 프로토콜 메시지를 교환하여 이뤄진다. 호 시그널링 채널은 두 H.323 종단점간에 또는 종단점과 게이트키퍼간에 열리게 된다. H.323 엔티티 간에 H.225 호 제어 RAS 제어 과정이 종료되면 H.245 제어채널(Control Channel)이 두 엔티티 사이에 설정된다.
게이트키퍼(107)에 의해 조정되는 모든 터미널, 게이트웨이, MCU의 집합을 H.323 존(Zone)이라고 하는데, 게이트키퍼(107)는 H.323 존 내에 등록된 종단점에 호 제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게이트키퍼(107)는 터미널과 게이트웨이(106)에 대해 RAS에 정의된 IP 또는 IPX 주소로 주소 변환의 기능과 대역폭 관리(Bandwidth Management)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망 관리자(Network Manager)에 의해 랜(LAN)상에서 동시에 통신에 참여할 수 있는 수가 설정되어 있다면, 게이트키퍼(107)는 이 값에 도달할 경우 더 이상의 연결을 거부함으로써 전체 통신의 대역폭을 제한할 수가 있다. 나머지는 이-메일(E-mail), 파일 전송, 그리고 다른 랜 프로토콜을 위해 남아있게 된다.
한편, 게이트웨이(106)는 H.323 통신에서 H.323망(20)의 종단점과 H.323망(20)이 아닌 다른 종류의 망(예:이동통신망(10))의 터미널간의 트랜슬레이션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트랜슬레이션 기능이란 전송 포맷(Transmission Formats)간의 변환(Translation)(즉, H.225를 H.221로)과 통신 절차(Communication Procedures)간의 트랜슬레이션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게이트웨이(106)는 오디오 및 비디오 코덱(CODEC) 간의 트랜슬레이션 기능이 있으며, 랜 측과 스위치 회선 네트워크(Switched Circuit Network:SCN) 측 모두에 호 설정 및 해제를 수행한다.
도 3은 H.323 망 프로토콜에 따른 호 설정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단점(End Point)(1,2)은 H.323 터미널 또는 H.323 게이트웨이가 될 수가 있다.
발신 종단점(Calling Endpoint)(1)은 H.255.0 자동 반복 요구(Automatic Repeat Request:이하 ARQ라 한다.)(메시지 1)를 사용하여 호 설정을 위한 게이트키퍼로의 허가 요청을 한다. 게이트키퍼가 호를 허가하는 경우, 확인 메시지(메시지 2)를 응답한다. 만약 호를 거절하는 경우라면, 게이트키퍼는 거부 메시지(메시지 2)를 응답한다. 게이트키퍼가 존재하지 않거나 허가 이후라면, 발신 종단점(1)은 호 설정 요구 메시지(메시지 3)를 착신 종단점(Called Endpoint)(2)으로 송신한다.
허가의 경우, 착신 종단점(2)은 메시지 처리를 지시하는 호 처리 승인 메시지(Call Proceeding Message)(4)를 발신 종단점(1)으로 송신하여 호 설정 요구 메시지(3)를 승인한다. 그리고 착신 종단점(2)은 상기 인커밍 호(Incoming Call)를 받아들이면 게이트키퍼로 이를 보고한다.
게이트키퍼로부터의 승인이 수신되면, 착신 종단점(2)은 발신 종단점(1)으로 인커밍 호를 알리도록 지시하는 경보 메시지(Alerting Message)(7)를 송신한다. 그리고 발신 종단점(1)이 이에 응답하면, 착신 종단점(2)은 발신 종단점(1)으로 연결 완료 메시지(Connect Message)(8)를 송신한다.
이후에 발신 종단점(1)은 H.245 제어 채널을 설정하고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미디어 스트림 채널들(Media Stream Channels)을 오픈 한다. 상기 도 2 내지 도 3의 설명에서, 상기 도 2의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도 3과같은 시그널링 처리 절차를 가지는 H.323 망과 기존의 디지털 이동통신망과의 정합은 H.323 게이트웨이에서 이루어져야함을 알 수가 있다.
망 구성 요소 중 교환기가 사용되지 않는 패킷 교환 기반의 망에서는 회선 교환망의 기존의 디지털 이동통신망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간에 이루어졌던 자원할당 기능을 게이트웨이와 기지국 제어기 사이에서 추가적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IWF가 구비되는 이동통신망과 H.323망이 연동하는 경우의 호 설정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조부호(c)는 이동 무선 단말(101)로의 착신을 요구하는 H.323 터미널(108)과 H.323 게이트웨이(106)간의 H.323 시그널링 절차를 나타낸다. 참조부호(b)는 본 발명에 따라서 H.323 망(20)에 구비되는 H.323 게이트웨이(106)와 이동통신망(10)에 구비되는 기지국/기지국 제어기(103, 104)간의 자원할당 절차를 나타낸다. 참조부호(a)는 상기 H.323 게이트웨이(108)의 자원 할당 요구에 따라, 기지국/기지국 제어기(103, 104)와 이동 무선 단말(101)간의 무선 채널 할당 절차를 도시한다.
먼저, H.323 터미널(108)로부터 H.323 시그널링에 의해 호 설정(Setup)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H.323 게이트웨이(106)는 연결된 기지국/기지국 제어기(103, 104)로 연결 지시 메시지(Connection Indication Message)를 송신하여(109단계) 이동 무선 단말기(102)로의 호 착신 요구가 있음을 알린다. 상기 연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기지국 제어기(103, 104)는 이동 무선 단말기(102)로 페이징 메시지를 보내고 해당 이동 무선 단말기(102)가 응답을 한 경우, 즉 이동 무선단말기(102)의 호 수신 가능 상태에 따라 기지국/기지국 제어기(103, 104)는 H.323 게이트웨이(106)로 연결 응답 메시지(Connection Response Message)를 송신한다.(110단계)
상기 정상적인 연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H.323 게이트웨이(106)는 이동통신망(10)으로 자원할당 요구를 하는 할당 지시 메시지(Assign Indication Message)를 기지국/기지국 제어기(103, 104)로 송신한다.(111단계) 이를 수신한 기지국/기지국 제어기(103, 104)는 채널 할당 요구 메시지(Channel Assign Request Message)를 이동 무선 단말(102)로 송신하고, 정상적인 응답이 수신되면(Channel Assign Complete Message 수신), 기지국/기지국 제어기(103, 104)는 이 결과를 통보하기 위해, 할당 응답 메시지(Assign Response Message)를 H.323 게이트웨이(106)로 송신한다.(112단계) 상기한 절차들에 의해, 이동통신망(10)의 무선 채널이 할당되어 진다. 상기 할당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H.323 게이트웨이(106)는 H.323 터미널(108)로 호 처리 진행 메시지(Call Proceeding Message)와 경보 메시지(Alerting Message)를 송신한다.
다음으로 상기 무선 채널 할당이 이루어지면, 기지국/기지국 제어기(103, 104)는 이동 무선 단말기(102) 및 IWF(105)와 연동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호 설정 절차들을 단계적으로 수행한다. 상기 절차들은 종래의 일반적인 것으로써, 상기 도 4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무선 링크 프로토콜 설정(Radio Link Protocol Setup) 단계(113 단계), 무선 링크 프로토콜 레이어 설정(Radio Link Protocol Layer Setup) 단계(114 단계), 점대점(Point-To-Point) 직렬 링크 설정 단계(115단계)등을 포함한다.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호 설정 절차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면, IWF(105)는 미리 정해져 있는 H.323 게이트웨이(106)의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호 설정 완료 메시지를 H.323 게이트웨이(106)로 송신한다.(116단계) 상기 호 설정 완료 메시지는 TCP/IP 연결 메시지가 될 수가 있다. 그러면 H.323 게이트웨이는 상기 IWF(105)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H.323 터미널(108)로 연결 메시지(Connect Message)를 송신함으로써, H.323 터미널(108)과 이동 무선 단말기(102)간의 정상적인 호 설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후 단계에서부터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b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IWF가 구비되지 않는 디지털 이동통신망과 H.323망이 연동하는 경우의 호 설정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a 내지 도 5b는 H.323 게이트웨이(106)에서 점대점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로서, 상기 도 4에서 IWF(105)와 이동 무선 단말기(102) 사이에서 이루어지던 패킷 데이터 호 설정 단계들을 참조부호(d)와 같이 H.323 게이트웨이(106)에서 처리한다.
상기 도 4 내지 도 5의 설명에서, H.323 게이트웨이는 기존의 교환기의 기능인 HLR을 구비하여 특정한 해당 기지국 제어기를 선택 및 호 설정 절차를 위한 신호들을 송/수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패킷 데이터망의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의 특정 이동 무선 단말기로의 호 설정 절차의 예로서, H.323 게이트웨이부터의 착신호에 대한 채널 할당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적용된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제어기와 패킷데이터망의 음성/화상 통신 단말기간의 호 설정 절차를 위한 별도의 방안을 제시하여, 이동통신망과 패킷 데이터망이 연동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이동통신망의 이동 무선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망의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간의 호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설정 요구가 수신되면 게이트웨이가 해당 기지국/기지국 제어기로 호 연결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의 호 수신상태에 따른 호 연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로 채널 할당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이동 무선 단말에게 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로 채널 할당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로 호 진행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 및 망간정합장치와 연동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호를 설정하고, 상기 망간정합장치가 상기 게이트웨이로 호 설정 완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로 호 설정 응답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와 상기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간에 패킷 데이터 호가 설정되는 단계가 적어도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설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및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가,
    각각 H.323 게이트웨이(H.323 Gateway) 및 H.323 터미널(H.323 Terminal)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 설정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호를 설정하는 단계가,
    무선 링크 프로토콜 설정 단계, 무선 링크 프로토콜 레이어 설정 단계 및 점대점 직렬 링크 설정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설정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망간정합장치가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호 설정 완료 메시지가,
    전송 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 연결 완료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 설정 방법.
  5. 이동통신망의 이동 무선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망의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간의 호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설정 요구가 수신되면 게이트웨이가해당 기지국/기지국 제어기로 호 연결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의 호 수신상태에 따른 호 연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채널 할당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이동 무선 단말에게 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로 채널 할당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로 호 진행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 및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와 연동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호를 설정하고, 상기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로 호 설정 응답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와 상기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간에 패킷 데이터 호가 설정되는 단계가 적어도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설정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및 음성/영상 통신 단말기가,
    각각 H.323 게이트웨이(H.323 Gateway) 및 H.323 터미널(H.323 Terminal)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 설정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호를 설정하는 단계가,
    무선 링크 프로토콜 설정 단계, 무선 링크 프로토콜 레이어 설정 단계 및 점대점 직렬 링크 설정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설정 방법.
KR10-2000-0056256A 2000-09-25 2000-09-25 이동통신망과 패킷 데이터망간의 호 설정 방법 KR100367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256A KR100367484B1 (ko) 2000-09-25 2000-09-25 이동통신망과 패킷 데이터망간의 호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256A KR100367484B1 (ko) 2000-09-25 2000-09-25 이동통신망과 패킷 데이터망간의 호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483A KR20020024483A (ko) 2002-03-30
KR100367484B1 true KR100367484B1 (ko) 2003-01-10

Family

ID=19690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256A KR100367484B1 (ko) 2000-09-25 2000-09-25 이동통신망과 패킷 데이터망간의 호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74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638B1 (ko) * 2001-10-04 2004-09-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다중 패킷 호 지원이 가능한 패킷 단말기 및 이 패킷단말기에서의 다중 패킷 호 지원 방법
KR101036144B1 (ko) * 2005-03-03 2011-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화상통화시 링백톤을 출력하기 위한방법
KR100880992B1 (ko) * 2005-05-10 2009-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엠에스망과 에이치.323망간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0723548B1 (ko) * 2005-06-15 2007-05-31 엘지노텔 주식회사 유엠티에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호 요구 처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0579A (ja) * 1993-09-06 1995-07-04 Nokia Mobile Phones Ltd 無線電話システム、及び無線電話ネットワーク内でのデータ送信方法、並びに無線電話器
KR19980076546A (ko) * 1997-04-10 1998-11-16 송재인 이동통신망의 가입자간 데이타 통신을 위한 데이타망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39738A (ko) * 1998-12-15 2000-07-05 서평원 이동 통신망에서의 ppdn 연동을 위한 무선 패드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망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US6118778A (en) * 1996-12-09 2000-09-12 At&T Wireless Ser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network call process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0579A (ja) * 1993-09-06 1995-07-04 Nokia Mobile Phones Ltd 無線電話システム、及び無線電話ネットワーク内でのデータ送信方法、並びに無線電話器
US6118778A (en) * 1996-12-09 2000-09-12 At&T Wireless Ser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network call processing
KR19980076546A (ko) * 1997-04-10 1998-11-16 송재인 이동통신망의 가입자간 데이타 통신을 위한 데이타망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39738A (ko) * 1998-12-15 2000-07-05 서평원 이동 통신망에서의 ppdn 연동을 위한 무선 패드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망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483A (ko) 200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225478B2 (en) Method of providing packet voice call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network architecture therefor
US6018360A (en) Method of switching a call to a multipoint conference call in a H.323 communication compliant environment
EP151009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parties in real-time data group communication using acknowledgement packets
US7058042B2 (en) One-to-one communication
KR100561686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화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CA2371192A1 (en) Using pstn to convey participant ip addresses for multimedia conferencing
US20040029615A1 (en) Transmission of voice over packet-switched systems
EP1049340B1 (en) A gateway arrangement
RU2236766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услуг мобильной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EP1380182B1 (en) One-to-one communication in a system having different control plane and user plane logical entities
KR100367484B1 (ko) 이동통신망과 패킷 데이터망간의 호 설정 방법
KR100556914B1 (ko) 일대일 방식의 휴대폰 화상통화 서비스 방법
KR100401262B1 (ko) 이동전화망에서의 화상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7342905B1 (en) Communications system
RU2260253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активизации контекста пакетных данных абонента для пакетных данных
WO2000070825A1 (en)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KR100645923B1 (ko) 패킷 통신망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음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100398658B1 (ko) 이동전화망에서의 개인 컴퓨터와 이동전화 단말기간의화상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009953B1 (ko) 데이터 통신망과 전화망 간의 즉시 그룹통신을 위한 즉시 그룹통신 시스템 및 그 장치
KR100493734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0527200B1 (ko) 교환 시스템의 다자간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제공방법
JP2000183950A (ja) ダイヤルアップ環境でのip網経由の接続方法および網アクセス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