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5833A - 캐스터 - Google Patents

캐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5833A
KR20010025833A KR1019990036877A KR19990036877A KR20010025833A KR 20010025833 A KR20010025833 A KR 20010025833A KR 1019990036877 A KR1019990036877 A KR 1019990036877A KR 19990036877 A KR19990036877 A KR 19990036877A KR 20010025833 A KR20010025833 A KR 20010025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witch member
handle
wheel
elastic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6401B1 (ko
Inventor
정광섭
Original Assignee
정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60965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2583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정광섭 filed Critical 정광섭
Priority to KR1019990036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401B1/ko
Publication of KR20010025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4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10/00Manufacturing methods
    • B60B2310/30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 B60B2310/305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20/00Manufacturing or maintenance operations
    • B60B2320/10Assembling; disasse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20/00Manufacturing or maintenance operations
    • B60B2320/50Sec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6Carts; Golf cart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이 출원 발명은 중량물 등에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바퀴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중량물을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는 필요한 위치에 안정되게 정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 레벨링(leveling)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캐스터(caster)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것은 톱니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몸체 바깥쪽으로 돌출 되어 있어 대차 등의 이동시 다른 물체에 부딪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는 데 반해, 이 출원 발명에 따른 캐스터는 톱니바퀴 주변에 좌우로 소정 각도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제 1걸림부와 제 2걸림부를 구비하는 스위치부재, 스위치부재를 선택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어주는 탄성기구, 톱니바퀴와 동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스위치부재 지지부와 탄성기구 설치부, 손잡이 수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및 손잡이 수용부에 수용되어 톱니바퀴의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케 설치된 손잡이를 구비하여 구성된 톱니바퀴 회동기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별도의 공구 없이 받침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 되지 않게 할 수 있어 종래 캐스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캐스터{A caster}
이 출원 발명은 캐스터(cast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량물 등에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바퀴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중량물을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는 필요한 위치에 안정되게 정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 레벨링(leveling)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캐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스터는 바퀴와 바퀴가 설치되는 몸체와 몸체 상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중량물 등의 저면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연결부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캐스터에는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받침대를 더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중량물 등이 필요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정지해있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반적인 캐스터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캐스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터(100)는 몸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몸체(110)는 주로 주물로 만드는 것으로, 바퀴설치부(112)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110)와 바퀴(120)와 대차 등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연결부재(130)와 승강 가능케 설치된 받침대(140)와 받침대(140)를 승강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주면에 다수의 돌기(152)를 형성한 원형 핸들(150)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캐스터(100)에서 핸들(150)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돌리면 받침대(140)가 승강 하게 된다. 즉, 필요한 경우에는 받침대(140)를 바퀴(120)보다 더 아래쪽으로 하강시켜 이 캐스터(100)가 설치되는 대차 등이 필요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정지해 있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캐스터(100)를 특히 수십∼수백 ㎏의 중량물을 실어 나르는 대차 등에 설치한 상태에서 받침대(140)를 바퀴(120) 보다 더 아래쪽으로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큰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스패너 등 별도의 공구를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대차 등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두고자 하는 장소 부근에 스패너 등의 공구를 항상 비치해두어야 한다. 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 캐스터(100)에서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핸들(150)을 돌리는 경우, 그 조작은 엄지손가락 등 어느 하나의 손가락을 몸체(110)의 측공(116) 안쪽으로 약간 밀어 넣은 상태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핸들(150)을 조작하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도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도 1 캐스터의 단점을 개선하여 스패너 등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캐스터를 개발하여 특허출원 1999-31189호(1999년 7월 30출원, 이하에서는 선출원이라함)로 출원한 바 있다. 이는 도 2를 보면 알 수 있다.
도 2는 선출원 발명에 따른 캐스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출원 발명에 따른 캐스터(200)는 몸체(2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몸체(210)는 상하로 형성된 관통공(214)과 측면으로 소정 각도까지 형성된 측공(216)을 구비하고 있다. 이 몸체(210)의 일 측면으로 바퀴설치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몸체(210)로는 큰 하중을 받기 때문에 주로 금속제 주물을 사용한다. 이 몸체(210)의 바퀴설치부(212)에는 바퀴(2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바퀴(220)는 내부의 축지지를 받아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몸체(210) 상에는 연결부재(2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부재(230)는 관통공(214)의 상부 쪽에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며, 중량물 등 필요한 부분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이다. 이 연결부재(230)의 중앙부에는 하부와 연통 되는 구멍(232)을 형성하고 그 내주면에 나선(234)을 형성하여두고 또 모서리 부근에는 체결공(236)을 각각 형성하여 대차 등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연결부재(230)의 하부 쪽으로는 몸체(210) 상에서 연결부재(23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237)과 베어링 지지구(238)로 된 베어링기구(239)가 결합된다.
선출원 발명에 따른 캐스터(200)는 톱니바퀴(2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톱니바퀴(240)는 연결부재(230) 하부 쪽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손잡이(252)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바퀴(240)의 저면으로는 볼트(2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볼트(260)는 톱니바퀴(240) 아래쪽으로 돌출 되어 있으며, 톱니바퀴(240)가 회전되면 같이 회전되는 부분이다. 이 볼트(260)는 톱니바퀴(240)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아니면 톱니바퀴(240)의 토오크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톱니바퀴(240)의 저면에 홈(244)을 형성하여 결합하고 구멍(232)을 통해 작은 나사(262)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톱니바퀴(240) 아래쪽으로 받침대(27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받침대(270)는 필요한 경우 바퀴(220)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대차 등이 정해진 위치에 안정된 자세로 정지해 있을 수 있도록 하고 또 경우에 따라서는 정지된 상태에서 레벨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볼트(260)에 결합되어 톱니바퀴(240)의 회동정도에 따라 승강 되는 부분이다.
선출원 발명에 따른 캐스터(200)는 톱니바퀴 회동기구(2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톱니바퀴 회동기구(250)는 톱니바퀴(242) 주변에 설치되어, 스위치(258) 조작에 따라 톱니바퀴(240)를 어느 일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이다. 이 톱니바퀴 회동기구(250)는 톱니바퀴(240)를 원하는 방향으로 적은 힘으로도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 끝단은 바깥쪽으로 많이 돌출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캐스터(200)의 구조 및 그 작동구조는 선출원 명세서를 보면 상세히 알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선출원 발명에 따른 캐스터는 스패너 등 별도의 공구 없이도 톱니바퀴(240)를 회동시켜 받침대(270)를 원하는 높이까지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손잡이(250)가 몸체(210) 바깥쪽으로 돌출 되어 있기 때문에 좁은 통로 등에서 선회동작시 다른 물체에 부딪히거나, 통행인이 걸려 넘어지는 등의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상 보기에도 좋지 않다. 뿐만 아니라 부피가 다른 캐스터에 비해 커지기 때문에 포장이 어렵고 공간도 많이 차지한다는 단점도 있다.
이 출원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공구 없이도 대차 등을 필요한 위치에 안정되게 정지시켜둘 수 있고 또 레벨링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손잡이가 몸체 바깥쪽으로 돌출 되지 않도록 하여 손잡이로 인한 제반 단점을 제거한 캐스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캐스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선출원 발명에 따른 캐스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이 출원 발명에 따른 캐스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케이스 본체의 저면모습을 보여주는 반폭 사시도,
도 5는 도 3 톱니바퀴 회동기구의 반폭 사시도이고,
도 6은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톱니바퀴 회동기구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 : 캐스터 310 : 몸체
312 : 바퀴설치부 314 : 관통공
316 : 측공 320 : 바퀴
330 : 연결부재 332 : 구멍
334 : 나선 336 : 체결공
340 : 톱니바퀴 350 : 톱니바퀴 회동기구
352 : 케이스 352a : 케이스 본체
352b : 덮개 352c : 받침판
353 : 톱니바퀴 설치홈 354 : 스위치부재 지지부
355 : 탄성기구 설치부 357 : 스위치부재
357a : 제 1걸림부 357b : 제 2걸림부
357c : 돌출부 358 : 탄성기구
358a : 스프링 358b : 볼
359 : 손잡이 359a : 이탈방지턱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출원 발명은 바퀴, 상하로 형성된 관통공과 측면으로 소정 각도까지 형성된 측공을 구비하고 일측으로는 바퀴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 몸체 상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중량물 등 필요한 부분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연결부재, 연결부재 하부에 회동 가능케 설치된 톱니바퀴, 톱니바퀴에 연결되어 아래쪽으로 돌출 되고 톱니바퀴가 회전되면 같이 회전되는 볼트, 볼트에 결합되어 톱니바퀴의 회동정도에 따라 승강 되고 필요에 따라 바퀴보다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대차 등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캐스터에 있어서, 톱니바퀴 주변에 좌우로 소정 각도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톱니바퀴를 일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걸리는 제 1걸림부와 톱니바퀴를 타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걸리는 제 2걸림부를 구비하는 스위치부재, 스위치부재를 선택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어주는 탄성기구, 톱니바퀴와 동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일측면에는 스위치부재 지지부와 탄성기구 설치부가 타측면에는 손잡이 수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및 손잡이 수용부에 수용되어 톱니바퀴의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바깥쪽으로 돌출 시켜 케이스를 적은 힘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손잡이를 구비하여 구성된 톱니바퀴 회동기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위 스위치부재는 대략 ㄷ자 모양을 하고 있고, 위 탄성기구는 스프링과 볼로 이루어져 있고, 위 탄성기구 설치부는 스위치부재와 톱니바퀴 사이에 스위치부재와 대향 되게 대략 ㄷ자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손잡이는 끝단에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대략 U자 형태를 하고 있으며, 케이스는 상면에 스위치부재 지지부와 탄성기구 설치부 및 톱니바퀴를 수용하기 위한 톱니바퀴 수용부를 하면에 손잡이 지지부를 갖는 케이스 본체와, 톱니바퀴, 스위치부재, 탄성기구, 탄성기구 설치부를 상면에서 덮어주는 덮개와 손잡이를 하면에서 지지하여주는 받침판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 출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이 출원 발명에 따른 캐스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케이스 본체의 저면모습을 보여주는 반폭 사시도이다.
도 3∼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출원 발명에 따른 캐스터(300)는 몸체(3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몸체(310)는 상하로 형성된 관통공(314)과 측면으로 소정 각도까지 형성된 측공(316)을 구비하고 있다. 이 몸체(310)의 일 측면으로 바퀴설치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몸체(310)로는 큰 하중을 받기 때문에 주로 금속제 주물을 사용한다. 이 몸체(310)의 바퀴설치부(312)에는 바퀴(3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바퀴(320)는 내부의 축지지를 받아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몸체(310) 상에는 연결부재(3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부재(330)는 관통공(314)의 상부 쪽에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며, 중량물 등 필요한 부분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이다. 이 연결부재(330)의 중앙부에는 하부와 연통 되는 구멍(332)을 형성하고 그 내주면에 나선(334)을 형성하여두고 또 모서리 부근에는 체결공(336)을 각각 형성하여 대차 등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연결부재(330)의 하부 쪽으로는 몸체(310) 상에서 연결부재(33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337)과 베어링 지지구(338)로 된 베어링기구(339)가 결합된다.
이 출원 발명에 따른 캐스터(300)는 톱니바퀴(3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톱니바퀴(340)는 연결부재(330) 하부 쪽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케이스(352)의 톱니바퀴 설치홈(353) 상에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바퀴(340)의 저면으로는 볼트(3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볼트(360)는 톱니바퀴(340) 아래쪽으로 돌출 되어 있으며, 톱니바퀴(340)가 회전되면 같이 회전되는 부분이다. 이 볼트(360)는 톱니바퀴(340)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아니면 톱니바퀴(340)의 토오크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톱니바퀴(340)의 저면에 홈을 형성하여 결합하고 구멍(332)을 통해 작은 나사(362)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이 출원 발명에 따른 캐스터(300)는 톱니바퀴 회동기구(3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톱니바퀴 회동기구(350)는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스위치부재(357), 탄성기구(358), 케이스(352) 및 손잡이(359)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스위치부재(357)는 톱니바퀴(340) 주변에 좌우로 소정 각도 회동 가능케 설치되며, 톱니바퀴(34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이다. 이 스위치부재(357)는 톱니바퀴(340)를 일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걸리는 제 1걸림부(357a)와 톱니바퀴(340)를 타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걸리는 제 2걸림부(357b)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대략 ㄷ자모양을 하고 있다. 그리고 중앙부위에는 뒤에서 설명되는 탄성기구(358)가 선택된 일 방향으로 스위치부재(357)에 힘을 작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중앙부를 안쪽으로 볼록하게 형성하고, 내주면은 부드러운 곡면형태로 하는 것이 좋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톱니바퀴 회동기구(350)는 탄성기구(358)를 구비하고 있다. 이 탄성기구(358)는 스위치부재(357)를 선택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어주기 위한 것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58a)과 스프링 끝단에 설치된 볼(358b)로 이루어져 있다. 볼(358b)은 스위치부재(357)의 방향전환시 부드럽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바퀴 회동기구(350)는 케이스(35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스(352)는 톱니바퀴(340)와 동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상면에 스위치부재 지지부(354)와 탄성기구 설치부(355) 및 톱니바퀴(340)를 수용하기 위한 톱니바퀴 수용부(353)를 하면에는 손잡이 수용부(353a)를 갖는 케이스 본체(352a)와, 톱니바퀴(340), 스위치부재(357), 탄성기구(358), 탄성기구 설치부(355)를 상면에서 덮어주는 덮개(352b)와 손잡이(359)를 하면에서 지지하여주는 받침판(352c)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 본체(352a)의 저면 모습은 도 4를 바면 알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케이스 본체(352a)의 저면 손잡이 수용부(353a)에 U자 형태의 손잡이(359)를 설치하고, 그 아래쪽에 받침판(352c)을 볼트 등으로 케이스 본체(352a) 저면에 체결하여 손잡이(359)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 된다.
이 출원 발명에 따른 캐스터(300)의 톱니바퀴 회동기구(350)는 손잡이(359)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손잡이(359)는 손잡이 수용부(353a)에 수용되어 톱니바퀴(340)의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바깥쪽으로 돌출 시켜 케이스(352)를 적은 힘으로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이 손잡이(359)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U자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좋고, 그 끝단에는 이탈방지턱(359a)을 형성하여 일정 길이 이상 빠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바퀴 회동기구(350) 아래쪽으로는 받침대(37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받침대(370)는 필요한 경우 바퀴(320)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대차 등이 정해진 위치에 안정된 자세로 정지해 있을 수 있도록 하고 또 경우에 따라서는 정지된 상태에서 레벨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볼트(360)에 결합되어 톱니바퀴(340)의 회동정도에 따라 승강 되는 부분이다.
즉, 대차 등 중량물 운반기구에 설치된 상태에서 스위치부재(357)의 왼쪽 끝단을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밀어주면 일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걸림부(357a)가 톱니바퀴(340)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탄성기구(358)는 스위치부재(357)를 시계방향으로 밀어준다. 그런 다음 손잡이(359)를 몸체(310) 바깥쪽으로 빼내어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손잡이(359)의 토오크는 케이스 본체(310), 스위치부재(357)의 제 1걸림부(357a)를 거쳐 톱니바퀴(34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톱니바퀴(34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볼트(36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손잡이(359)를 시계 방향으로 충분히 회동시킨 후 다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스위치부재(357)의 제 1걸림부(357a)는 톱니바퀴(340)를 타고 넘게 된다. 손잡이(359)를 충분히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받침대(370)는 다시 상승하고, 이 동작을 되풀이하면 볼트(360)에 결합되어 있는 받침대(370)는 계속 상승하게 된다. 받침대(370)를 충분히 상승시키면 바퀴(320)가 지면에 닿는 상태가 되고 대차 등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대차 등을 운행 중에는 다시 손잡이(359)를 손잡이 수용부(353a)로 밀어 넣어둔다.
다시 받침대(370)를 바퀴(320) 아래쪽으로 내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위치부재(357)의 오른쪽 끝단을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밀어준다. 그렇게 하면 스위치부재(357)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그에 따라 제 1걸림부(357a)는 톱니바퀴(340)에서 이탈되고 대신에 제 2걸림부(357b)가 톱니바퀴(340)에 걸리게 된다. 이 때 탄성기구(358)의 볼(358b)은 스위치부재(357)의 중앙 돌출부(357c)를 타고 넘으면서 처음과는 반대 방향으로 스위치부재(357)에 힘을 작용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359)를 손잡이 수용부(353a)에서 빼내어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 2걸림부(357b)는 톱니바퀴(340)를 타고 넘게된다. 손잡이(359)를 시계 방향으로 충분히 회동시킨 후 다시 반시계 방향으로 손잡이(359)를 회동시키면 손잡이(359)의 토오크는 케이스 본체(352a), 스위치부재(357)의 제 2걸림부(357b)를 거쳐 톱니바퀴(34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톱니바퀴(34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그에 따라 볼트(36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받침대(370)는 하강하게 된다. 받침대(370)를 바퀴(320) 아래쪽으로 내린 후에는 다시 손잡이(359)를 손잡이 수용부(353a)로 밀어 넣어두면 된다.
도 5는 도 3 톱니바퀴 회동기구의 반폭 사시도이고, 도 6은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톱니바퀴 회동기구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52) 내부에 톱니바퀴(340)가 수용되어 있다. 이 톱니바퀴(340)는 볼트(360)와 도 3에 나타낸 나사(352)를 통해 결합되고, 그에 따라 톱니바퀴(340)가 회동되면 볼트(360)도 같은 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톱니바퀴(340)에 이웃하여 ㄷ자형태의 탄성기구 설치부(355)가 설치되어 있고, 그 안쪽에 볼(358b)과 스프링(358a)으로 이루어진 탄성기구(358)가 설치되어 있다.
탄성기구(358)와 마주보고 스위치부재(357)가 소정 각도 좌, 우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352a) 저면으로 손잡이(359)가 도 6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 수용부(353a)에 수용되어 있고, 그 아래쪽에서 받침판(352c)이 케이스 본체(352a)에 결합되어 손잡이(359)가 아래쪽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하여주고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출원 발명에 따른 캐스터를 이용하면 받침대의 높낮이 조절이 매우 용이하고 특히 중량물 등에서 받침대를 바퀴보다 더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중량물 등을 안정되게 지지하고자 하거나 레벨링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적은 힘으로 쉽게 받침대를 승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받침대의 높낮이 조절을 하지 않을 때에는 손잡이가 몸체 바깥쪽으로 돌출 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대차 등이 이동시 여타 물체의 방해를 받지 않게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손잡이를 손잡이 수용부에 수용시켜둘 수 있으므로 유통을 위한 포장이 용이하고, 보관 공간도 작게 차지한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2)

  1. 바퀴, 상하로 형성된 관통공과 측면으로 소정 각도까지 형성된 측공을 구비하고 일측으로는 바퀴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 상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중량물 등 필요한 부분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 하부에 회동 가능케 설치된 톱니바퀴, 상기 톱니바퀴에 연결되어 아래쪽으로 돌출 되고 상기 톱니바퀴가 회전되면 같이 회전되는 볼트, 상기 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톱니바퀴의 회동정도에 따라 승강 되고 필요에 따라 바퀴보다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대차 등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캐스터에 있어서,
    상기 톱니바퀴 주변에 좌우로 소정 각도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톱니바퀴를 일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걸리는 제 1걸림부와 상기 톱니바퀴를 타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걸리는 제 2걸림부를 구비하는 스위치부재;
    상기 스위치부재를 선택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어주는 탄성기구;
    상기 톱니바퀴와 동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스위치부재 지지부와 상기 탄성기구 설치부가 타측면에는 손잡이 수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및
    상기 손잡이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톱니바퀴의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바깥쪽으로 돌출 시켜 상기 케이스를 적은 힘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손잡이를 구비하여 구성된 톱니바퀴 회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재는 대략 ㄷ자 모양을 하고 있고, 상기 탄성기구는 스프링과 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탄성기구 설치부는 상기 스위치부재와 상기 톱니바퀴 사이에 상기 스위치부재와 대향 되게 대략 ㄷ자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는 끝단에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대략 U자 형태를 하고 있으며, 상기 케이스는 상면에 상기 스위치부재 지지부와 탄성기구 설치부 및 상기 톱니바퀴를 수용하기 위한 톱니바퀴 수용부를 하면에 상기 손잡이 지지부를 갖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톱니바퀴, 스위치부재, 탄성기구, 탄성기구 설치부를 상면에서 덮어주는 덮개와 상기 손잡이를 하면에서 지지하여주는 받침판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KR1019990036877A 1999-09-01 1999-09-01 캐스터 KR100316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877A KR100316401B1 (ko) 1999-09-01 1999-09-01 캐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877A KR100316401B1 (ko) 1999-09-01 1999-09-01 캐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833A true KR20010025833A (ko) 2001-04-06
KR100316401B1 KR100316401B1 (ko) 2001-12-12

Family

ID=19609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877A KR100316401B1 (ko) 1999-09-01 1999-09-01 캐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4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903B1 (ko) * 2012-11-22 2013-06-28 박병철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
WO2016117917A1 (ko) * 2015-01-20 2016-07-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공연용 왜건 캐스터
CN114571913A (zh) * 2017-05-03 2022-06-03 施耐宝公司 悬浮脚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920B1 (ko) 2011-10-13 2013-08-22 이헌문 캐스터용 손잡이 회전장치
KR101882626B1 (ko) * 2017-11-16 2018-07-26 여신동 레벨캐스터
KR20230143815A (ko) 2022-04-06 2023-10-13 황이경 높낮이 조절 및 레벨링이 용이한 캐스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903B1 (ko) * 2012-11-22 2013-06-28 박병철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
WO2016117917A1 (ko) * 2015-01-20 2016-07-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공연용 왜건 캐스터
CN114571913A (zh) * 2017-05-03 2022-06-03 施耐宝公司 悬浮脚轮
CN114571913B (zh) * 2017-05-03 2024-02-27 施耐宝公司 悬浮脚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6401B1 (ko) 200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2574A (en) Caster locking mechanism and carriage
US8960625B2 (en) Movable base with control surface
KR100336383B1 (ko) 고정을 위한 지지 장치
US4503943A (en) Caster with a stopper
CA2661796A1 (en) Caster assembly for a bed frame member or furniture
SE467730B (sv) Laenkrulle med en fixeringsanordning
US5829096A (en) Locking caster
KR100316401B1 (ko) 캐스터
USRE34433E (en) Caster locking mechanism and carriage
KR20100066191A (ko) 캐스터
US20060054770A1 (en) Rotatable base assembly for waste containers
US4927105A (en) Convertible leg/roller structure
KR100327784B1 (ko) 캐스터
JPH11334303A (ja) キャスタ装置
KR200227755Y1 (ko) 의자의 이동장치
US5720079A (en) Propping device for a caster of a baby walker
JPH0930423A (ja) 搬送台車における荷物リフターのロック機構
JP3151107B2 (ja) 移動装置付き家具
JP3576830B2 (ja) 机用サイドチェスト
JP2668278B2 (ja) キャスタ
JPS6039828Y2 (ja) テンプのロック装置
JPH11301489A (ja) コンテナキャリア
CA2931716C (en) Dustbin lock assembly
JPH0721788Y2 (ja) 鞄用の錠金具
KR200373460Y1 (ko) 이동수단이 구비된 장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13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1220

Effective date: 2014071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1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41104

Effective date: 2015042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818

Effective date: 20150828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0526

Effective date: 2015082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