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5389A -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 - Google Patents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5389A
KR20010025389A KR1020000079906A KR20000079906A KR20010025389A KR 20010025389 A KR20010025389 A KR 20010025389A KR 1020000079906 A KR1020000079906 A KR 1020000079906A KR 20000079906 A KR20000079906 A KR 20000079906A KR 20010025389 A KR20010025389 A KR 20010025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tating
rod
handle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1926B1 (ko
Inventor
김삼홍
Original Assignee
김삼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삼홍 filed Critical 김삼홍
Priority to KR10-2000-0079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1926B1/ko
Publication of KR20010025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9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t either of two opposite edges
    • E05D15/507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t either of two opposite edges b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양측상하에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회전부재를 위치시키고, 손잡이의 회전 또는 당김운동이 상기 회전부재의 수직운동으로 전환되도록 하여, 도어 일측상하의 회전부재는 문틀과의 결합에서 해방시켜 열림이 준비되게 하고 타측 상하의 회전부재는 문틀과 결합을 유지시켜 회전 지지축으로 작용되게 하는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에 관한 것이다.
이에의해 도어의 개폐시에 손의 피로없이 회전부재가 착탈되는 도어가 가능해지고, 도어의 시공이 간편해지며, 별도의 노력없이 자연스러운 도어의 닫힘을 얻을 수 있고, 무엇보다도 양방향으로 개폐되어 상대적으로 불편을 감수하여 왔던 왼손잡이들의 생활상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door which can be open both side}
본 발명은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양측상하에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회전부재를 위치시키고, 손잡이의 회전 또는 당김운동이 상기 회전부재의 수직운동으로 전환되도록 하여, 도어 일측상하의 회전부재는 문틀과의 결합에서 해방시켜 도어의 열림이 준비되게하고 타측상하의 회전부재는 문틀과 결합을 유지시켜 회전 지지축으로 작용되게 하는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방향 개폐도어는 도어의 일측에 회전축봉이나 경칩을 부착하여 도어의 운동방향이 고정되므로, 제작자는 통상적으로 오른손잡이의 행동양식에 알맞게 제작하여 왼손잡이의 행동양식에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양방향 착탈식 개폐도어의 발명이 있는데, 일례로 선출원된 특허로서 양방향도어 개폐장치(등록번호 0138640, 출원번호 1993-029722)를 제시할 수 있다.
도1은 상기의 선출원 발명에 따른 종래기술의 작용도이다.
도1에서 종래기술은 도어 손잡이(2)와 누름 스위치(1)와 회전축봉(4)과 삽입구(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도면에 따르면, 도어의 개방은 도어의 일측에 부착된 스위치(1)를 누름으로써, 스위치(1)와 연동되는 회전링크가 후퇴되고, 상기 회전링크와 연결된 회전축봉(4)은 수직운동되어 문틀의 삽입구(3)에서 탈출됨으로써 도어의 열림이 준비되고, 스위치(1)를 누르지 않은 타측은 회전축봉(4)이 문틀의 삽입구(3)에 삽입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도어회전이 준비되어 개방이 이루어진다.
상기의 종래기술의 도어폐쇄는 도어의 스위치(1)를 개방시와 같이 누름으로써 회전축봉(4)을 수직으로 이동시켜, 문틀에 대한 회전축봉(4)의 방해를 제거한 후에 문을 닫고, 상기 스위치(1)를 해방시킴으로써 회전축봉(4)이 문틀의 삽입구(3)로 삽입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상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기술방식은 도어의 손잡이(2)와 회전축봉(4)의 수직운동을 발생시키는 부분이 따로 구성되어, 도어를 열기위하여 손잡이(2)를 잡는 동작과 도어의 회전축봉(4)을 삽입구(3)로부터 탈출시키기 위한 예비동작을 별개의 기작으로 하여 도어개폐의 시간과 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종래기술에 의한 도어개폐는 상기의 스위치(1)에 부착된 스프링 스위치(1)의 누름동작에 의존되어 실행됨으로써, 스위치(1)의 작동에 무리한 힘이 요구되고,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질 때까지 스위치(1)를 계속 누르고 있어야 함에 따라 도어를 개방시키는데 손가락의 피로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의 회전이 도어의 회전축봉(4)에 직접 작용됨에 따라 회전축봉(4)의 내구도에 무리를 줄 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도어의 개폐작용이 일어나지도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어를 닫을 때에도 도어를 열 때와 마찬가지로 도어에 부착된 스위치(1)를 누름으로써 회전축봉(4)을 수직운동시키고, 상기 운동상태를 스위치를 계속 누름으로써 유지시켜 문틀에 회전축봉(4)이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도어의 개폐운동과 회전부재의 수직운동이 동시에 실행되는 도어 손잡이부를 제공하고, 도어의 회전을 도어회전베어링에 전달시켜 부드러운 도어회전이 발생되도록 하며, 도어를 닫을 때에 별도의 회전부재의 운동을 위한 노력없이 자동으로 도어의 잠김이 일어나도록 하는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양방향도어의 작용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의 정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의 손잡이부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의 손잡이부 운동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의 회전봉 작용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문틀과 도어본체로 구성된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상하, 좌우측에 부착되며 가운데 삽입구가 마련되고 일측은 경사가 형성된 판상형의 유도판과; 상기 유도판의 삽입구에 선택적으로 삽입, 토출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상하로 연결되어 회전부재의 수직운동을 연동시켜 상기 회전부재가 문틀의 상하에 부착된 상기 유도판으로부터 토출되도록 하는 도어 손잡이부와; 상기 도어본체에 결합된 도어회전베어링의 내륜으로써, 반구형으로 돌출성형되어 상기 문틀의 유도판에 접촉됨으로써 도어의 회전운동이 도어회전베어링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부재가 삽입되어 안내 및 지지되는 베어링회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를 기술적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 손잡이부는 도어의 여닫음을 안내시키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결합된 막대형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어 손잡이 회전이 안내되는 안내구멍이 중심에 형성된 원통형 손잡이회전축과; 상기 손잡이회전축의 상하에 각 1개씩 결합된 부채꼴모양의 당김쇠와; 판상재료를 ㄷ모양으로 구부린 것으로서, 양측단에 상기 손잡이 회전축의 회전운동시에 상기 당김쇠의 부채꼴모양 양측단과 착탈결합되는 착탈구멍이 마련된 걸림쇠와; 상기 걸림쇠의 중앙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부재와 결합되는 관통구와; 상기 손잡이회전축과 상기 당김쇠와 상기 걸림쇠가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걸림쇠 ㄷ모양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을 결합, 지지 시키는 고정쇠와; 상기 걸림쇠 ㄷ모양의 내부에 위치되고 일측은 상기 고정쇠에 접촉, 지지되며 타측은 걸림쇠에 접촉되어 상기 걸림쇠의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걸림쇠용 스프링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전이 손잡이회전축에 전달되면, 상기 당김쇠는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걸림쇠의 일측에서는 탈출되고 타측에서는 삽입가중되어 상기 걸림쇠를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회전부재를 연동시켜 수직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걸림쇠의 관통구에 통과되어 안내, 지지되며 상기 걸림쇠의 관통구로부터 탈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걸림쇠 내측 단자에 돌출머리가 형성되고, 타측 단자는 수나사산이 구비된 회전지지봉과; 일측단은 상기 회전지지봉의 수나사산과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단은 상기 유도판에 선택적으로 출입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지지봉에 끼워지며 일측단은 상기 걸림쇠에 접촉, 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회전봉에 접촉되어 회전부재의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봉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도어를 닫는 동작에 의해 상기 회전봉이 상기 유도판의 경사각에 안내되면 상기 손잡이부와 독립적인 수직운동이 발생되고, 상기 회전봉이 상기 유도판의 삽입구 상측에 위치되면 회전봉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봉이 삽입구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도어손잡이부는 도어와 결합된 지지기판과; 상기 지지기판에 회전가능한 회전핀으로 결합되며, 말단부에 결합공가 형성되고 소정위치에 돌출단이 형성된 결합막대가 부착된 손잡이와; 상기 지지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막대를 안내하는 구멍이 형성된 안내부재와; 상기 결합막대에 끼워지며 일측단은 상기 안내부재에 접촉, 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돌출단에 접촉되어 일측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결합부스프링과; 일측단은 상기 결합막대의 결합공과 결합되고, 타측단은 문틀의 상하에 있는 상기 회전부재와 결합된 와이어로프와; 상기 지지기판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로프를 지지, 안내하는 회전로울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후퇴운동이 있으면 상기 와이어로프의 안내에 따라 회전부재의 수직운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로 구성하는 것 역시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는 일측단은 상기 와이어로프와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문틀에 부착된 유도판에 선택적으로 출입되는 회전봉과; 상기 도어회전베어링과 결합되며, 상기 회전봉의 선택적인 운동이 안내지지되는 구멍이 마련된 회전부재하우징과; 상기 회전봉의 소정위치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하우징에 수용되는 지지머리와; 상기 회전봉에 끼워지며 일측단은 회전부재하우징에 접촉, 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지지머리에 접촉, 지지되어 일측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재스프링으로 구성되어; 도어를 닫는 동작에 의해 상기 회전봉이 상기 유도판의 경사각에 안내되면 상기 손잡이부와 독립적인 수직운동이 발생되고, 상기 회전봉이 상기 유도판의 삽입구 상측에 위치되면 회전봉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봉이 삽입구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의해 도어의 개폐시에 손의 피로없이 회전부재가 착탈되는 도어가 가능해지고, 도어의 시공이 간편해지며, 별도의 노력없이 자연스러운 도어의 닫힘을 얻을 수 있고, 무엇보다도 양방향으로 개폐되어 상대적으로 불편을 감수하여 왔던 왼손잡이들의 생활상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의 정단면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삽입구가 마련된 판상형의 유도판(15)과, 상기 유도판(15)이 좌우측, 상하부에 부착된 문틀(10)과, 상기 유도판(15)의 삽입구에 선택적으로 삽입, 토출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어 회전부재의 수직운동을 발생시키는 도어 손잡이부와, 상기 회전부재를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회전부재가 안내및 지지되도록하는 도어회전베어링(40)과, 상기 도어회전베어링(40)의 내륜으로서, 반구형으로 돌출성형되어 상기 문틀(10)의 유도판(15)에 접촉됨으로써 도어의 회전운동이 도어회전베어링(40)으로 전달되도록하는 베어링회전부재(45)와, 내부에 상기 회전부재가 안내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회전베어링(40)이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도어본체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회전지지봉(37)과, 상기 유도판(15)에 선택적으로 출입되는 회전봉(30)과, 상기 회전지지봉(37)에 끼워져 회전봉(30)의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봉스프링(35)으로 구성된다.
도2에서 본 발명의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는 상기 도어 손잡이부의 운동이 없는 상태에서는 항상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유도판(15)의 삽입구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서 도어의 잠김이 유지된다.
여기서 도어 일측단의 상기 도어손잡이부중 하나를 운동시키면 상기 도어손잡이부의 운동은 상기 회전봉(30)의 수직운동으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회전봉(30)은 상기 유도판(15)에서 해방되게 되어 도어의 열림이 준비되고, 운동을 시키지 않은 타측단의 회전봉(30)은 상기 유도판(15)내의 삽입이 유지되어 도어 회전운동의 회전축으로 작용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회전부재(45)는 상기 회전부재가 유도판(15)의 삽입구에 삽입된 때에 상기 유도판(15)에 접촉되어 도어의 회전운동이 발생되면 도어회전베어링(40)으로 회전운동을 전달시켜 도어의 부드러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도어 손잡이부의 운동이 상기 회전부재의 수직운동으로 전달되는 과정은 도어 손잡이부의 구조에 의하여 성립되는데, 도어 손잡이부의 상세한 구조는 도3에 도시되어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손잡이부의 사시도이다.
도3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어 손잡이부는 크게, 도어의 여닫음을 안내시키는 손잡이(77)와, 상기 손잡이(77)에 결합된 지지대(73)와, 상기 지지대(73)가 삽입되어 손잡이(77) 회전이 안내되는 안내구멍(72)이 중심에 형성된 원통형 손잡이회전축(70)과, 상기 손잡이회전축(70)의 상하에 각 1개씩 결합된 부채꼴모양의 당김쇠(75)와, 판상재료를 ㄷ모양으로 구부린 것으로서, 양측단에 상기 손잡이 회전축의 회전운동시에 상기 당김쇠(75)의 부채꼴모양 양측단과 착탈결합되는 착탈구멍(62)이 마련된 걸림쇠(60)와, 상기 걸림쇠(60)의 중앙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안내시키는 관통구(64)와, 상기 손잡이회전축(70)과 상기 당김쇠(75)와 상기 걸림쇠(60)가 수용되는 하우징(80)과, 상기 걸림쇠(60) ㄷ모양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80)을 결합지지시키는 고정쇠(85)와, 상기 걸림쇠(60) ㄷ모양의 내부에 위치되고 일측은 상기 고정쇠(85)에 접촉, 지지되며 타측은 걸림쇠(60)에 접촉되어 상기 걸림쇠(60)의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걸림쇠용 스프링(65)로 구성된다.
도3에서 상기 손잡이의 회전운동이 없으면, 상기 부채꼴모양의 당김쇠(75)는 양측단이 상기 걸림쇠(60)의 양측단에 형성된 상기 착탈구멍(62)에 항상 삽입되어 있게 된다.
도3에서 상기 손잡이의 회전운동이 있으면, 상기 손잡이의 회전운동은 상기 손잡이 지지대(73)의 안내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회전축(70)에 전달되고, 상기 당김쇠(75)는 상기 손잡이회전축(70)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손잡이회전축(70)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당김쇠(75)의 부채꼴모양의 양측단은 상기 걸림쇠(60)의 일측에서는 탈출되고 타측에서는 삽입가중되어 상기 걸림쇠(60)를 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쇠(60)는 상기 하우징(80)의 안내에 의하여 직선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걸림쇠(60)에 결합된 회전부재가 수직운동되는 것이다.
도4는 상기한 도어 손잡이부의 수직운동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4에서 도4a는 손잡이(77) 회전운동전의 손잡이부의 상태가 도시된 것이고, 도4b는 손잡이(77) 회전운동후의 손잡이부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
도4에는 상기 회전부재와 도어 손잡이부의 결합 또한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걸림쇠(6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64)에 통과되어 안내, 지지되며 상기 관통구(64)로부터 탈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걸림쇠(60) 내측 단자에 돌출머리(32)가 형성되고 타측 단자는 수나사산(33)이 구비된 회전지지봉(37)과, 일측단은 상기 회전지지봉(37)의 수나사산(33)과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구비되고 타측단은 상기 유도판(15)에 선택적으로 출입되는 회전봉(30)과, 상기 회전지지봉(37)에 끼워지며 일측단은 상기 걸림쇠(60)에 접촉, 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회전봉(30)에 접촉되어 회전부재의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봉스프링(35)로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된다.
도4에서 도어의 사용자가 상기 도어 손잡이(77)의 운동을 멈추고 손잡이(77)를 놓게되면, 도어 손잡이(77)는 상기 하우징(80)에 수용되고 상기 걸림쇠(60)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걸림쇠(60)용 스프링의 작용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즉, 상기 걸림쇠(60)용 스프링는 항상 일측단은 상기 하우징(80)에 결합된 고정쇠(85)에 접촉, 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걸림쇠(60)에 접촉되어 상기 걸림쇠(60)에 항상 탄성력을 인가시키고 있으므로, 상기 손잡이(77)의 운동이 종료되면 상기 탄성력은 상기 걸림쇠(60)의 복원력으로 작용되어 상기 걸림쇠(60)의 원위치가 복원된다.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의 상기 회전봉스프링(35)는 도어를 여는 과정에서는 항상 회전부재의 회전봉(30)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상태이어서 회전부재 자체의 변화는 거의 없다.
그러나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지지봉(37)은 도어의 닫힘과정에서 회전부재의 독립적인 운동이 발생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회전봉(30)의 복귀에 개입된다.
회전부재의 독립적인 운동은 상기 문틀의 유도판(15)에 형성된 경사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그 원리는 도5에 도시되어 있다.
도5는 상기 유도판(15)의 측단면도와 도어를 닫는 때의 회전봉(30)의 운동이 도시된 작용도이다.
도5에서 상기 유도판(15)은 판상소재로 되어 일측단에 소정의 곡면경사가 형성되어 있고 가운데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5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어를 닫는 과정에서 도어가 문틀(10)에 도착되면, 상기 회전봉(30)은 유도판(15)의 곡면부를 따라 안내되어 수직운동되는데, 상기 회전봉(30)의 수직운동은 상기 회전지지봉(37)이 상기 걸림쇠(6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64)의 안내, 지지를 받아 독립적으로 운동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봉스프링(35)는 손잡이부의 걸림쇠(60)에 접촉, 지지되고 상기 회전봉(30)에 접촉되어 회전봉(30)측으로 항상 탄성력을 인가시키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봉(30)이 상기 유도판(15)의 곡면부분을 지나서 삽입구의 상부에 위치되면, 상기 회전봉(30)은 상기 회전봉스프링(35)의 탄성력을 받아 유도판(15)의 삽입구로 삽입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회전봉(30)은 도어를 닫는 과정에 있어서는 단순히 도어를 미는 동작에 의해서만 상기 유도판(15)에 삽입됨으로써 도어의 잠김이 준비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내용을 요약하면, 도어의 열림과정에서는 손잡이(77)의 회전이 당김쇠(75)를 회전시키고, 상기 당김쇠(75)는 걸림쇠(60)를 직선운동시키고, 걸림쇠(60)는 회전부재를 직선운동시켜 문틀(10)의 유도판(15)으로부터 탈출시켜 도어의 열림이 준비되며, 도어개방시 회전은 베어링회전부재(45)에 의하여 도어회전베어링(40)에서 발생되고, 문틀(10)의 유도판(15)의 곡면부는 문틀(10)과 접촉한 베어링의 내륜부분이 문틀(10)과의 마찰에서 일찍 해방되게 하며, 손잡이(77)를 놓으면 걸림쇠(60)내부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손잡이(77)는 원위치로 복귀되며, 이에 따라 회전부재도 원위치로 복귀된다.
도어의 닫힘과정에서는 도어를 미는 동작에 의하여 문틀의 유도판(15)에 형성된 곡면부의 안내에 따라 회전봉(30)이 운동되고, 회전봉(30)이 유도판(15)의 삽입구 위치에 도착되면 회전봉스프링(35)의 역활로 원위치로 복귀된다.
도6은 본 발명의 도어손잡이부와 회전부재의 구성을 달리한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6에서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도어 손잡이부는, 도어와 결합된 지지기판(200)과, 상기 지지기판(200)에 일측단은 회전가능한 회전핀(111)으로 결합되고 타측단은 막대형 결합막대(112)가 돌출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결합막대(112)의 말단부에 형성된 결합공(114)과, 상기 결합막대 결합공(114)으로부터 소정위치에 형성된 돌출단(113)과, 상기 지지기판(200)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막대(112)를 안내하는 구멍이 형성된 안내부재(201)와, 상기 결합막대(112)에 끼워지며 일측단은 상기 안내부재(201)에 접촉, 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돌출단(113)에 접촉되어 일측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결합부스프링(115)과, 일측단은 상기 결합막대의 결합공(114)과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회전부재와 결합된 와이어로프(130)와, 상기 지지기판(200)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로프(130)를 지지, 안내하는 회전로울러(1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일측단은 상기 와이어로프(130)와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문틀(10)에 부착된 유도판(15)에 선택적으로 출입되는 회전봉(30)과, 상기 도어회전베어링(40)과 결합되며 상기 회전봉(30)의 선택적인 운동이 안내, 지지되는 구멍이 마련된 회전부재하우징(38)과, 상기 회전봉(30)의 소정위치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하우징(38)에 수용되는 지지머리(39)와, 상기 회전봉(30)에 끼워지며 일측단은 회전부재하우징(38)에 접촉,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지지머리(39)에 접촉되어 일측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봉스프링(35)로 구성된다.
도6에서 상기 도어의 열림은, 상기 손잡이(110)의 후퇴운동이 있으면, 상기 손잡이의 결합막대(112) 말단부에 형성된 결합공(114)과 결합된 상기 와이어로프(130)가 당겨지게 되고, 상기 와이어로프(130)의 당김은 회전부재를 구성시키는 회전봉(30)의 수직운동으로 전달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봉(30)이 상기 유도판(15)의 삽입구에서 토출됨으로써 도어의 열림이 준비되며, 회전봉이 삽입되지 않은 타측단의 도어회전베어링(40)내 베어링회전부재(45)의 회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 결합막대(112)에 끼워진 결합부스프링(115)는 항상 손잡이(110)에 복원력을 인가시키는 상태이고 상기 회전부재하우징(38)에 수용된 회전봉스프링(35) 역시 상기 회전봉(30)에 항상 복원력을 인가시키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110)의 후퇴운동후에 상기 손잡이(110)를 놓으면 상기 손잡이(110)가 원위치로 복원됨에 따라 회전봉(30)이 원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도6에서 상기 도어의 닫힘은, 단순히 도어를 미는 과정에 의하여 도어의 회전봉(30)은 상기 유도판(15) 경사의 안내에 의하여 수직운동되고, 회전봉(30)이 유도판(15)의 삽입구 상측에 위치되면 회전봉(30)의 회전봉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하여 유도판(15) 삽입구로 삽입되게 된다.
즉, 도6에의한 본 발명을 요약하면 도어 손잡이(110)의 당김운동이 회전봉(30)의 수직운동으로 전달되게 하여, 도어의 열림이 준비되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손잡이(110)와 회전봉(30)은 복귀되며, 단순히 도어를 미는 것에 의하여 도어의 잠김이 준비되는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가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손잡이(110)가 도어의 개폐운동과 동시에 회전부재의 착탈시켜 손의 피로함을 제거시키고, 무엇보다도 도어의 닫힘에 별도의 노력을 요구하지 않아 도어의 개폐에 편리감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두번째 실시예에 의할 경우에는 도어의 개폐방향과 회전부재의 착탈운동방향이 같아서 도어를 개폐하는 노력을 절감 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문틀(10)과 도어본체(20)로 구성된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상하, 좌우측에 부착되며 가운데 삽입구가 마련되고 일측은 경사가 형성된 판상형의 유도판(15)과;
    상기 유도판(15)의 삽입구에 선택적으로 삽입, 토출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상하로 연결되어 회전부재의 수직운동을 연동시켜 상기 회전부재가 문틀의 상하에 부착된 상기 유도판(15)으로부터 토출되도록 하는 도어 손잡이부와;
    상기 도어본체에 결합된 도어회전베어링(40)의 내륜으로써, 반구형으로 돌출성형되어 상기 문틀의 유도판(15)에 접촉됨으로써 도어의 회전운동이 도어회전베어링(40)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부재가 삽입되어 안내 및 지지되는 베어링회전부재(4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손잡이부는
    도어의 여닫음을 안내시키는 손잡이(77)와;
    상기 손잡이(77)에 결합된 막대형 지지대(73)와;
    상기 지지대(73)가 삽입되어 손잡이(77) 회전이 안내되는 안내구멍(72)이 중심에 형성된 원통형 손잡이회전축(70)과;
    상기 손잡이회전축(70)의 상하에 각 1개씩 결합된 부채꼴모양의 당김쇠(75)와;
    판상재료를 ㄷ모양으로 구부린 것으로서, 양측단에 상기 손잡이 회전축의 회전운동시에 상기 당김쇠(75)의 부채꼴모양 양측단과 착탈결합되는 착탈구멍(62)이 마련된 걸림쇠(60)와;
    상기 걸림쇠(60)의 중앙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부재와 결합되는 관통구(64)와;
    상기 손잡이회전축(70)과 상기 당김쇠(75)와 상기 걸림쇠(60)가 수용되는 하우징(80)과;
    상기 걸림쇠(60) ㄷ모양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80)을 결합지지시키는 고정쇠(85)와;
    상기 걸림쇠(60) ㄷ모양의 내부에 위치되고 일측은 상기 고정쇠(85)에 접촉, 지지되며 타측은 걸림쇠(60)에 접촉되어 상기 걸림쇠(60)의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걸림쇠용 스프링(6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77)의 회전이 손잡이회전축(70)에 전달되면, 상기 당김쇠(75)는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걸림쇠(60)의 일측에서는 탈출되고 타측에서는 삽입가중되어 상기 걸림쇠(60)를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회전부재를 연동시켜 수직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걸림쇠(60)의 관통구(64)에 통과되어 안내, 지지되며 상기 걸림쇠의 관통구(64)로부터 탈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걸림쇠(60) 내측 단자에 돌출머리(32)가 형성되고, 타측 단자는 수나사산(33)이 구비된 회전지지봉(37)과;
    일측단은 상기 회전지지봉(37)의 수나사산(33)과 결합되는 암나사산(34)이 형성되고 타측단은 상기 유도판(15)에 선택적으로 출입되는 회전봉(30)과;
    상기 회전지지봉(37)에 끼워지며 일측단은 상기 걸림쇠(60)에 접촉, 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회전봉에 접촉되어 회전부재의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봉스프링(3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도어를 닫는 동작에 의해 상기 회전봉(30)이 상기 유도판(15)의 경사각에 안내되면 상기 손잡이부에 대하여 독립적인 수직운동이 발생되고, 상기 회전봉(30)이 상기 유도판(15)의 삽입구 상측에 위치되면 회전봉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봉(30)이 삽입구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손잡이부는
    도어와 결합된 지지기판(200)과;
    상기 지지기판(200)에 회전가능한 회전핀(111)으로 결합되며, 말단부에 결합공(114) 형성되고 소정위치에 돌출단(113)이 형성된 결합막대(112)가 부착된 손잡이(110)와;
    상기 지지기판(200)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막대(112)를 안내하는 구멍이 형성된 안내부재(201)와;
    상기 결합막대(112)에 끼워지며 일측단은 상기 안내부재(201)에 접촉, 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돌출단에(113)에 접촉되어 일측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결합부스프링(115)과;
    일측단은 상기 결합막대의 결합공(114)과 결합되고, 타측단은 문틀의 상하에 있는 상기 회전부재와 결합된 와이어로프(130)와;
    상기 지지기판(200)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로프(130)를 지지, 안내하는 회전로울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110)의 후퇴운동이 있으면 상기 와이어로프(130)의 안내에 따라 회전부재의 수직운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일측단은 상기 와이어로프(130)와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문틀(10)에 부착된 유도판(15)에 선택적으로 출입되는 회전봉(30)과;
    상기 도어회전베어링(40)과 결합되며, 상기 회전봉(30)의 선택적인 운동이 안내지지되는 구멍이 마련된 회전부재하우징(38)과;
    상기 회전봉(30)의 소정위치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하우징(38)에 수용되는 지지머리(39)와;
    상기 회전봉(30)에 끼워지며 일측단은 회전부재하우징(38)에 접촉,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지지머리(39)에 접촉지지되어 일측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재스프링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도어를 닫는 동작에 의해 상기 회전봉(30)이 상기 유도판(15)의 경사각에 안내되면 상기 손잡이부에 대하여 독립적인 수직운동이 발생되고, 상기 회전봉(30)이 상기 유도판(15)의 삽입구 상측에 위치되면 회전봉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봉(30)이 삽입구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
KR10-2000-0079906A 2000-12-21 2000-12-21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 KR100411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906A KR100411926B1 (ko) 2000-12-21 2000-12-21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906A KR100411926B1 (ko) 2000-12-21 2000-12-21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308U Division KR200223214Y1 (ko) 2000-12-23 2000-12-23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389A true KR20010025389A (ko) 2001-04-06
KR100411926B1 KR100411926B1 (ko) 2003-12-24

Family

ID=19703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906A KR100411926B1 (ko) 2000-12-21 2000-12-21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19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89227A (zh) * 2015-07-13 2015-10-21 刘文勋 如意门
KR101634072B1 (ko) * 2015-08-12 2016-06-28 주식회사 정원엘피 가로등용 점검구 커버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051B1 (ko) * 2014-10-02 2016-07-22 장희정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89227A (zh) * 2015-07-13 2015-10-21 刘文勋 如意门
KR101634072B1 (ko) * 2015-08-12 2016-06-28 주식회사 정원엘피 가로등용 점검구 커버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1926B1 (ko) 200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9949A (en) Latch device
KR100418132B1 (ko) 창문 개폐장치용 핸들구조
KR101219207B1 (ko)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
KR100411926B1 (ko)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
KR200223214Y1 (ko)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
US6421888B1 (en) Static line snap
KR20020043421A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S59133192A (ja) 吊上げクランプ
KR101956107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200401542Y1 (ko) 도어의 열림상태 고정장치
KR100840141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20030087384A (ko)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KR102287873B1 (ko) 미닫이문 원터치 잠금장치
KR100393016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890003501Y1 (ko) 도어 개폐장치
KR200241005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3271450B2 (ja) カバーロック機構
KR970003226B1 (ko) 걸쇠장치
KR100250908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142673Y1 (ko) 차량용 도어 래치
JPH0516376Y2 (ko)
KR200305368Y1 (ko)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JPS5828138Y2 (ja) 窓用ア−ムのストツパ−装置
KR200150793Y1 (ko) 도어 록 장치
JPH02105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