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4196A - 단열 하우징 - Google Patents

단열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4196A
KR20010024196A KR1020007002974A KR20007002974A KR20010024196A KR 20010024196 A KR20010024196 A KR 20010024196A KR 1020007002974 A KR1020007002974 A KR 1020007002974A KR 20007002974 A KR20007002974 A KR 20007002974A KR 20010024196 A KR20010024196 A KR 20010024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ipe part
vacuum
cover
monoco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2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3357B1 (ko
Inventor
우도 베니그
위르겐 히라트
한스-프리데어 에베르하르트
울리히 울프
Original Assignee
커셀 조세프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로드 프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커셀 조세프,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로드 프렌즈 filed Critical 커셀 조세프
Publication of KR20010024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4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3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Package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층(18)에 의해 분리되고 서로에 대해 안쪽에 배치된 진공-밀폐 재킷(12,19)을 가지는 단열 하우징(10)에 관련된다. 상기 재킷은 진공 밀폐되게 상호 연결되고 충전구(13)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사용 가능한 영역을 에워싸고 단열한다. 하우징 재킷(12,19)은 오우프닝 중 하나에서 진공 밀폐 캡(15)으로 덮는 관상체 형태로 만들어지고, 다른 오우프닝은 하우징(10)의 충전구로서 사용된다.

Description

단열 하우징{HEAT-INSULATING HOUSING}
가정용 제품에 있어서, 특히 이 가정용 제품의 단열 하우징이 진공 절연 기술에 기초하는 것으로서, 이 분야의 기술은 진공 밀폐되며, 보호층으로 사용되고, 보통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제조되는 경계벽을 복수의 벽 부품들로 짜 맞추어 서로 용접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공지된 제조 기술에 있어서, 경계벽은 평판구조로 제공되며, 이때 각각의 벽 단면은 평탄한 금속판으로서 제공되어 상호 용접된다.
이 외에도 진공 절연 기술에 기초한 가정용 냉동기의 단열 하우징에 있어서, 내부 및 외부 피복으로서 사용되며 미리 제작한 복수의 벽 단면으로 구성된 하우징의 경계벽이 일체로 상호 결합된 프로파일과 조립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경계벽에는 각각 U형태 혹은 L형태로 형성된 프로파일이 사용되며, 이때 베이스와, 덮개와, 측벽의 U프로파일을 통하여, 그리고 L프로파일을 통하여 후방벽과 다른쪽의 측벽이 제공된다. 내부 및 외부 피복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두 가지 프로파일은 뭉퉁하게 상호 용접되거나 아니면 상기 목적을 위하여 제공된 특유의 결합면을 따라서 상호 용접된다. 이러한 두 가지 하우징-제작 기술은, 대량 생산용 하우징 부품에 있어서 덮개벽의 제작을 위해 필요한 개별 부품의 진공 밀폐식 조립과 결합을 보장하기 위하여, 기술적으로 고가이면서 이로 인한 비용집약적인 비절삭 구조가 사용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 제작기술에 있어서, 특히 개별 부품들이 뭉퉁하게 상호 결합될 때, 진공 절연은 다소 감소되긴 하지만 여전히 누설을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예외일 수는 없다. U- 및 L-프로파일로 구성된 구조개념에서 이들 문제점을 피하기 위하여, 프로파일은 이 프로파일의 결합위치에서 소위 결합 플랜지로 변형되며, 결합 플랜지를 따라서 프로파일이 상호 용접된다. 그렇지만, 이것은 결합 플랜지가 제거 가능한 절연 체적내에 돌출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며, 또한 이러한 결과는 양 탱크에 의해 상호 지지된 절연재에 의해 방해될 뿐만 아니라 진공 절연 영역에서 절연이 가능한 부분의 축소로 인하여 진공 절연의 단열 성능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내부 혹은 외부 탱크로서 사용되는 경계벽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와 같은 제조 기술에서는, 개별 부품의 조립시 야기된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결합하고자 하는 부품의 가장자리 영역에 걸쳐서 연속적인 용접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단열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이 하우징은 교호적으로 설치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폭넓게 진공 밀폐되며 단열층을 통하여 상호 이격된 2개의 하우징 덮개를 구비하고 있으며, 여기서 상기 하우징 덮개들은 진공 밀폐식으로 상호 결합되며, 공급 구멍(charge opening)을 통하여 도달할 수 있는 실용 공간(work space)을 단열식으로 둘러싼다.
도 1은 서로 엇갈려 배치되며 하우징의 구멍에서 각각 후방벽으로 사용되는 2개의 덮개를 통하여 폐쇄된 파이프 부품을 구비한 집합적 소켓을 갖는 냉동기 하우징의 제 1 실시예를 측면에서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후면상에 서로 엇갈려 배치된 파이프 부품을 가지며 기계실을 덮는 덮개를 구비한 냉동기 하우징의 제 2 실시예를 측면에서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본 기술분야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단열 하우징을 간단한 구조적인 조치를 통하여 제작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 목적은 각각의 하우징 덮개를 파이프 부품으로 형성하며, 이 파이프 부품의 구멍을 적어도 폭넓게 진공 밀폐하여 구성한 덮개를 통하여 진공 밀폐식으로 페쇄하고, 또한 삽입된 파이브 부품의 나머지 구멍을 하우징의 공급 구멍으로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해결할 수 있다.
하우징 덮개를 형성하기 위하여 파이프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반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하우징 횡단면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하우징 구조를 마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단지 후방벽만이 비절삭 구조와 결합 장치를 통하여 파이프 부품에 대해 위치설정되어 이 파이프 부품에 용접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특히 공구 비용에 비교하면, 확실히 향상된 진공 밀도를 위한 용접 이음매의 길이도 용접 이음매가 없는 파이프 부품의 벽의 변환영역에 근거하여 감소된다. 또한, 이와 같은 하우징 제작 기술을 통하여 파이프 부품상에서 라운딩된 모서리 영역이 가능하며, 이로써 하우징 덮개의 후방벽으로서 사용된 덮개의 용접 과정을 연속적으로 연장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반경상의 모서리 영역에 설치된 파이프 부품에 의해 결합 프로파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결합 프로파일은 모서리 영역에 끼워진 프로파일 단면과 일체로, 예를 들어 평탄한 금속판의 변형을 통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상물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상응하여, 파이프 부품은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의 밑면을 가지며 파이프 부품의 구멍을 진공 밀폐하여 폐쇄하는 덮개가 모노코크처럼(monocoque-like) 형성된다.
후방벽으로서 사용되는 덮개를 모노코크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뭉퉁한 결합이나 제조 기술상 일종의 공정 불확실성과 연관된 파이프 부품의 결합은 감소되는 데, 이것은 덮개가 파이프 부품의 벽과 조립될 때 모노코크 벽에 의해 파이프 부품에 대해서 충분히 정확하게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로써 비절삭 및 위치설정 기술상의 비용은 확실히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상물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모노코크 벽을 구비한 모노코크 형태의 덮개는 파이프 부품의 구멍들 중 한쪽 자유 단부와 교차되며 파이프 부품상에 진공 밀폐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종류의 덮개와 파이프 부품 사이의 결합을 통하여, 소위 겹치기 결합(overlap joint)이 가능하며, 여기서 서로 위쪽에 배치된 모노코크 벽과 파이프 부품 벽의 벽두께를 고려하면, 양 부품의 진공 밀폐식 결합은, 예를 들어 파이프 부품과 덮개가 내부식성 표면을 갖는 스테인레스 강판이나 강철판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높은 가공 속도가 가능하다. 파이프 부품 구멍의 자유 단부가 모노코크 벽을 교차함으로써, 후방벽은 파이프 부품에 대해 필연적으로 중심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상물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모노코크 형태의 덮개가 파이프 부품 구멍의 횡단면에 삽입될 수 있으며 파이프 부품의 횡단면에서 진공 밀폐식으로 고정된다.
이 때문에, 양 파이프 부품상에는 무단 표면이 간단히 형성되며, 이때 삽입된 파이프 부품의 무단 형태는, 예를 들어 개방 셀 폴리우레탄 발포체나 폴리스티롤 발포체와 같은 단열재를 사용함으로써 반죽을 확실히 용이하게 하며, 한편 바깥쪽에 배치된 하우징 덮개의 무단 구성은 반복작업없이 단열 하우징의 정면으로서 미리 사용할 수 있다. 모노코크 가장자리가 파이프 부품의 자유 단부를 향하는 경우에, 덮개와 파이프 부품은,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강판이나 내부식성 강철판으로 형성될 때, 특히 간단하게, 예를 들어 연속 용접(continuous welding)을 통하여 상호 진공 밀폐되어 결합된다.
특히, 모노코크 형태의 덮개가 본 발명에 따른 대상물이 바람직한 형태에 따라서 제공될 때, 모노코크 형태의 덮개에는 계단처럼 형성된 돌출부가 제공되어 기계실로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합목적적으로 구성된다.
스테인레스 강판 백금이나 내부식성 강철판 백금을 딥드로잉(deep drawing)하여 모노코크 형태의 덮개를 얻는 경우에, 돌출부로서 사용되는 기계실이, 제조 기술상, 특히 합목적적으로 그리고 특히 형상고정식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상물이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공될 때, 파이프 부품은 스테인레스 강판 백금이나 내부식성 강철판 백금을 구부려서 얻으며, 이때 강판 백금의 자유 단부는 용접 기술상 진공 밀폐되어 상호 결합된다.
상술한 해결책을 통하여, 특히 모서리 영역의 성형과 관련하여 규격 파이프와 다른 파이프 부품의 치수가 가능하며, 이로써 양 파이프 부품의 용접 과정은 진공 밀폐되어 상호 결합된 공급측 결합 프로파일과 파이프 부품을 통하여 높은 용접 안정성과 높은 작업속도로써 연속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냉동기의 단열 하우징이 본 발명에 따른 대상물의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공될 때, 단열 하우징은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서 형성되는 것이 특히 공정상 안정되며 이로 인하여 비용절감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외에, 특히 자연 친화적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높은 단열 성능을 갖는 냉동기 하우징을 제작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정용 화로의 단열 화로 머플이 본 발명에 따른 대상물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공될 때, 이 단열 화로 머플은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이 특히 공정상 안정되고 강하며 더 높은 작업속도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로 머플은 특히 자연친화적으로 처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게 단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서 간략하게 도시한 2개의 냉동기 하우징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가정용-냉동기, 예를 들어 가정용 냉동- 또는 냉장기로 사용될 수 있는 단열 하우징(10)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이 도면에서 냉동- 또는 내장실로서 역할하는 실용 공간(11)은 파이프 부품(12)으로서 형성된 내부 하우징 덮개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이 덮개는 실용 공간(11)을 피복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입구(13)의 구멍 단면을 둘러싸며,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강판 백금이나 내부식성 강철판 백금을 복수회 구부려서 제작하며, 이러한 구부림을 통하여 상호 대면하는 단부(14)는 마이크로 플라즈마 용접이나 전자빔 용접 등을 통하여 진공 밀폐되어 상호 결합된다. 직사각형 단면으로 설치된 내부 파이프 부품(12)은 입구(13)와 마주하여 놓여있는 파이프 부품의 정면측에서 내부식성 강철판이나 스테인레스 강철 백금으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딥드로잉 방법으로 형성되고, 평탄한 모노코크 형태로 형성된 덮개(15)가 제공되며, 이 부품의 모노코크 몸체는 실용 공간(11)의 후방벽을 형성하며, 한편 이 부품과 일체로 진행하여 형성된 모노코크 벽(17)은 입구(13)와 마주하여 놓여있는 내부 파이프 부품(12)의 단면과 교차한다. 모노코크 벽(17)을 통한 단면의 교차에 의해서, 파이프 부품(12)과 덮개(15) 사이에는 겹치기 결합이 이루어지며, 이곳을 따라서 덮개(15)는 파이프 부품(12)과,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진공 밀폐되어 결합된다. 파이프 부품(12)은 실용 공간(11)으로부터 이격된 파이프 부품의 외측에서, 평판형태로 제공되며, 예를 들어 개방 셀 폴리우레탄 발포체나 개방 셀 폴리스티롤 발포체로 형성된 단열층(18)과 결합된다. 단열층(18)은 파이프 부품(12)으로부터 이격된 파이프 부품의 외측에서 외부 파이프 부품(19)에 의해 둘러싸이며, 이로써 또한 내부 파이프 부품(12)을 둘러싸며 스테인레스 강철 백금이나 내부식성 강철판 백금을 복수회 구부려서 제작되며, 상호 대면하는 단부(20)를 구부려서, 예를 들어 전자빔 용접이나 마이크로 플라즈마 용접 등을 통하여 상호 진공 밀폐되어 자유롭게 결합된다. 외부 파이프 부품(19)은 입구(13)와 마주하여 놓이며 덮개(15)에 대하여 돌출한 단부상에서 파이프 부품(12)과 마찬가지로 노출 상태로 도시한 모노코크 형태의 덮개(21)가 제공되며, 이 모노코크 몸체(22)는 하우징 후방벽을 형성하며, 얇게 차단되어 뻗어 있는 모노코크 벽(23)은 이 벽을 향한 외부 파이프 부품(19)의 단면과 조립 상태로 교차하며, 그 결과 덮개(21)와 외부 파이프 부품(19) 사이에도 소위 겹치기 결합이 이루어지고, 여기서 덮개(21)를 따라서 진공 밀폐되어 외부 파이프 부품(19)상에 고정된다. 덮개(21)는 또한 평판 형태로 제공된 단열 부품(24)의 수용부로서 사용되며, 여기서 예를 들어 개방 셀 폴리우레탄 발포체나 개방 셀 폴리스테롤 발포체로서 제조된다. 단열 부품(24)은, 입구(13)와 마주하여 놓여있는 외부 파이프 부품(19)의 단부가 모노코크 형태로 형성된 덮개(21)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이 부품의 외형을 따라서 덮개(21)와 조립상태로 단열층(18)의 자유 단부에 대하여 압착되며 모노코크 벽(23)에 대하여 대항한다. 덮개(21)에 대하여 입구(13)상에는, 외부 파이프 부품(19)이 결합 프로파일(25)을 통하여 내부 파이프 부품(12)과 진공 밀폐식으로 결합되며, 이 결합 프로파일은 횡단면이 U형태로 형성되며 파이프 부품(12, 19)을 향한 U-프로파일 레그와 용접을 통하여 진공 밀폐식으로 고정된다. 결합 프로파일(25)은 진공 밀폐되어 상호 결합되는 복수개의 개별 층으로 함께 구성되며, 이때 단열 하우징(10)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 개별 층(26)은 상호 조립된 파이프 부품(12, 19)의 가장자리 영역에 걸쳐서 접촉하지 않고 통과하여 뻗어 있다. 파이프 부품(12, 19)은 상호 조립된 상태로 이 파이프 부품의 후방측에 제시된 덮개(15, 21)와 전방측에 배치된 결합 프로파일(25)과 함께 제거 가능한 사이공간을 한정하며, 이 사이공간은 단열재(18, 25)로 충진되며, 제거 상태에서 파이프 부품(12, 19)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양 파이프 부품(12, 19)으로부터, 외부 파이프 부품(19)상에는 이 파이프 부품의 하측에 상세히 표시하지 않은 냉동 기술상의 장치를 수용하기 위해서 수용 하우징(27)이 고정되며, 이 수용 하우징은 입구(13)를 향한 하우징 쪽에서 공기 틈새를 갖는 하우징 벽이 설치된다.
도 2는 단열 하우징(30)을 도시하며, 이 도면에는 도 1과 유사하게 도시한 하우징(10)이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실용 공간(31)을 가지며, 이 실용 공간의 피복은 직사각형 모양의 횡단면으로 설치된 내부 파이프 부품(32)에 의해 형성되며, 이 파이프 부품은 실용 공간(31)의 적재와 하역을 위하여 적재물로 사용된 입구(33)를 크기 설정함으로써 한정된다. 내부 파이프 부품(32)은, 예를 들어 0.4mm 두께의 스테인레스 강철 백금이나 내부식성 강철판 백금을 복수회 구부려서 제작하며, 이러한 구부림을 통하여 상호 마주하는 자유 단부는 적절한 용접 방법을 통하여, 예를 들어 마이크로 플라즈마 용접이나 전자빔 용접을 통하여 진공 밀폐되어 서로 결합된다. 내부 파이프 부품(32)에는 입구(33)와 대향하여 놓여있는 이 파이프 부품의 단부상에서 모노코크 형태로 구성된 덮개(35)가 제공되며, 이 덮개의 모노코크 몸체(36)는 실용 공간(31)의 후방벽으로서 형성되고 계단 형태의 돌출부(37)를 가지며, 모노코크 몸체(36)의 폭에 걸쳐서 뻗어 있다. 모노코크 몸체(36)는 이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선회되어 배치되며 얇게 폐쇄된 모노코크 벽(38)으로 한정되고, 입구(33)와 대향하여 놓여있는 파이프 부재(32)의 단부와 교차하고 덮개(34)는 조립 상태로 파이프 부품(32)과 겹치기 결합을 형성하며, 이 부품을 따라서, 스테인레스 강판 백금이나 강철판 백금의 딥드로잉을 통하여 형성된 덮개가 파이프 부품(32)상에서 용접 기술로 고정된다. 이것은 실용 공간(31)으로부터 이격된 이 실용 공간의 외측에서 단열층(39)과 모든 측면에서 둘러싸이며, 평판 형태의 개방 셀 폴리스티롤 발포체 혹은 개방 셀 폴리우레탄 발포체로서 제조되며 적어도 거의 내부 파이프 부품(32)의 전체 길이를 차지한다. 단열층(39)은 이 단열층쪽에서 하우징 덮개로서 형성된 외부 파이프 부품(40)에 의해 둘러싸이며, 파이프 부품(32)과 유사하게 내부식성 강철판 백금이나 스테인레스 강판 백금을 복수회 구부려서 각각 0.4mm의 벽두께로 형성되고, 상호 마주하는 단부를 구부려서 진공 밀폐식으로 상호 용접된다. 외부 파이프 부품(40)에는 입구와 마주하여 놓여있는 파이프 부품의 후측에서 노출된 상태로 도시한 모노코크 형태의 덮개(42)가 제공되며, 이 덮개의 모노코크 몸체(43)는 하우징(30)의 후방벽을 형성하고 계단 형태의 돌출부(34)를 가지며, 기계실로서 상세히 도시하지 않은 냉동기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한다. 모노코크 몸체(43)에는 단열층(45)이 설치되며, 단열층은, 예를 들어 개방 셀 폴리우레탄이나 개방 셀 폴리스티롤 발포체 평면으로서 생성된다. 또한, 모노코크 몸체(43)에는 이 몸체의 가장자리에서 단열층 평판을 옆으로 고정하여 모노코크 몸체(43)의 외형을 따라서 뻗어 있는 모노코크 벽(46)이 제공된다. 이들은 덮개를 향한 파이프 부품(40)의 단면과 덮개(42)가 조립된 상태로 교차하며, 이들과 함께 조립 상태로 겹치기 결합을 형성하고, 이곳을 따라서,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강판 백금 혹은 내부식성 강철판 백금의 딥드로잉을 통하여 생성된 덮개(42)가 파이프 부품(40)과 진공 밀폐되어 용접된다. 덮개(42)에 대항하여, 입구(33)를 향한 상호 연장된 파이프 부품(32, 40)의 자유 단부는 진공 밀폐되어 횡단면이 U형태로 형성된 결합 프로파일과 결합되며, 이 U-프로파일 레그는 파이프 부품(32, 40)의 자유 단부를 가리킨다. 결합 프로파일(47)은 파이프 부품의 횡단면을 따라서 뻗어 나와 진공 밀폐식으로 상호 결합된 프로파일 단면의 외형을 따라서 조립되며, 이 단면으로부터 파이프 부품(32, 40)의 가장자리 영역에 제공된 프로파일 단면(48)은 가장자리 영역을 일체로 통과하여 뻗어 나와 형성된다. 결합 프로파일(47)을 통하여 단열 하우징(32)의 입구측에서, 그리고 하우징(30)의 후측에서 진공 밀폐되어 외부 파이프 부품(40)상에 고정된 모노코크 형태의 덮개(42)를 통하여, 덮개(35)를 구비한 내부 파이프 부품(32)과 덮개(42)를 구비한 외부 파이프 부품(40) 사이에 형성된 제거 가능한 사이공간이 설치된다. 파이프 부품(32, 40)의 덮개 영역에서의 사이공간은 단열층(39)으로 충진되며, 하우징 후방벽의 영역에서는 단열층(45)으로 충진되고, 이때 양 단열층(39, 45)을 통하여 하우징 덮개로서 사용되는 파이프 부품(32, 40)이 이 파이프 부품의 덮개(35, 42)와 사이공간에서 제거 가능한 상태로 상호 대향하여 지지된다.
냉동기 하우징의 일례로서 기술한 하우징 구조는 가정용 화로 특유의 구조적인 변용예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단열은 화로에서 작업상 고유의 조성으로 발생된 온도 이상으로 적용된다.
또한, 강철판 등과 같은 백금 형태의 재료로 형성되며 원형 단면을 갖는 파이프 부품이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파이프 부품으로 변형되는 일례를 제시할 수 있다.

Claims (9)

  1. 서로 엇갈려 배치되어 폭넓게 진공 밀폐되며 2개의 단열층을 통하여 상호 이격된 2개의 하우징 덮개를 가지며, 이 하우징 덮개는 진공 밀폐되어 서로 결합되고 입구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실용 공간을 단열하여 둘러싸는 단열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각 하우징 덮개는 파이프 부품(12, 19; 32, 40)으로 형성되며, 이 파이프 부품은 입구에서 적어도 폭넓게 진공 밀폐되어 형성된 덮개(15, 21; 35, 42)로 진공 밀폐되어 폐쇄되고, 한편 삽입된 파이프 부품(12, 32)에 제공된 구멍은 하우징(10, 30)의 입구(13, 33)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부품(12, 19; 32, 40)은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의 밑면을 가지며, 상기 파이프 부품의 구멍을 진공 밀폐하여 폐쇄된 덮개(15, 21; 35, 42)는 모노코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하우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코크 형태의 덮개(15, 21; 35, 42)는 파이프 부품 구멍의 자유 단부를 교차하며, 파이프 부품(12, 19; 32, 40)상에서 진공 밀폐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하우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코크 형태의 덮개(15, 21; 35, 42)는 파이프 부품 구멍들 중 하나의 구멍 횡단면에 사용될 수 있으며, 파이프 부품(12, 19; 32, 49)의 구멍 횡단면에서 진공 밀폐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하우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코크 형태의 덮개(35, 42)에는 계단 형태로 형성된 돌출부(37, 44)가 제공되며, 이 돌출부는 기계실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하우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코크 형태의 덮개(15, 21; 35, 42)는 스테인레스 강철 백금이나 내부식성 강철 백금을 딥드로잉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하우징.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부품(12, 19; 32, 49)은 스테인레스 강판 백금이나 내부식성 강철 백금을 구부려서 생성되며, 이때 강철 백금의 자유 단부는 용접 기술상 진공 밀폐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하우징.
  8. 단열 하우징을 구비한 냉동기에 있어서,
    상기 단열 하우징(10, 30)은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
  9. 단열 화로 머플을 구비한 가정용 화로에 있어서,
    상기 단열 화로 머플은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4 항 및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화로.
KR1020007002974A 1997-10-16 1998-10-16 단열 하우징 KR100563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45826.2 1997-10-16
DE19745826A DE19745826A1 (de) 1997-10-16 1997-10-16 Wärmeisolierendes Gehäuse
PCT/EP1998/006602 WO1999020963A1 (de) 1997-10-16 1998-10-16 Wärmeisolierendes gehä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4196A true KR20010024196A (ko) 2001-03-26
KR100563357B1 KR100563357B1 (ko) 2006-03-22

Family

ID=784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2974A KR100563357B1 (ko) 1997-10-16 1998-10-16 단열 하우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488172B1 (ko)
EP (1) EP1023562B1 (ko)
JP (1) JP2001521129A (ko)
KR (1) KR100563357B1 (ko)
CN (1) CN1143110C (ko)
BR (1) BR9813064A (ko)
DE (2) DE19745826A1 (ko)
DK (1) DK1023562T3 (ko)
ES (1) ES2218863T3 (ko)
PL (1) PL190651B1 (ko)
TR (1) TR200000766T2 (ko)
WO (1) WO19990209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36058A1 (de) * 2001-12-27 2003-07-17 Weiss Umwelttechnik Gmbh Vibrations-Prüfschrank-Anlage
AU2003227568A1 (en) * 2002-04-05 2003-10-20 Dometic Gmbh Refrigerator housing
US20040181870A1 (en) * 2003-03-19 2004-09-23 Richard Bohacik Blank for a sink
DE102006005319B4 (de) * 2006-02-06 2010-12-30 Infineon Technologies Ag Heizvorrichtung zum Testen integrierter Bauelemente
US9532660B2 (en) * 2011-06-30 2017-01-03 Pepsico, Inc. Refrigerated merchandise display system
CN102564029A (zh) * 2012-03-20 2012-07-11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冰箱壳体及其成形方法和具有该壳体的冰箱
CN103047822A (zh) * 2012-12-30 2013-04-17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
WO2014186299A1 (en) * 2013-05-13 2014-11-20 Ciuperca Romeo Llarian Insulated concrete battery mold, insulated passive concrete curing system, accelerated concrete c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DE202014006563U1 (de) * 2014-08-12 2014-08-29 NARR Isoliersysteme GmbH Klima-Prüfkammer
KR102366410B1 (ko) * 2014-10-16 2022-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되는 진공 단열재
CN112722591A (zh) 2015-11-25 2021-04-30 野醍冷却器有限责任公司 具有真空绝热面板的绝热容器和方法
US11391506B2 (en) * 2016-08-18 2022-07-19 Whirlpool Corporation Machine compartment for a vacuum insulated structure
US11287142B2 (en) 2016-10-04 2022-03-29 Whirlpool Corporation High temperature super insulated cavity for cooking applications
USD820647S1 (en) 2017-05-16 2018-06-19 Yeti Coolers, Llc Insulating device
USD821155S1 (en) 2017-05-16 2018-06-26 Yeti Coolers, Llc Insulating device
USD820648S1 (en) 2017-05-16 2018-06-19 Yeti Coolers, Llc Insulating device
USD821157S1 (en) 2017-05-16 2018-06-26 Yeti Coolers, Llc Insulating device
USD821156S1 (en) 2017-05-16 2018-06-26 Yeti Coolers, Llc Insulating device
USD821824S1 (en) 2017-05-16 2018-07-03 Yeti Coolers, Llc Insulating device
EP3728970A4 (en) * 2017-12-18 2021-12-08 Whirlpool Corporatio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VACUUM INSULATED CABINET FOR A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873A (en) * 1910-08-06 1911-02-21 Grand Rapids Refrigerator Company Refrigerator-lining.
US1543349A (en) * 1921-12-05 1925-06-23 Sheridan A Walker Refrigerator
US2002366A (en) * 1932-11-18 1935-05-21 Gen Electric Metallic cabinet structure
US2039255A (en) * 1935-05-21 1936-04-28 Wood John Mfg Co Inc Fluid container and method of welding the same
US2275365A (en) * 1938-07-25 1942-03-03 Hermes Patentverwertungs Gmbh Refrigerator
US2319487A (en) * 1940-10-28 1943-05-18 Weatherhead Co Tank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699583A (en) * 1952-12-30 1955-01-18 Gen Electric Method of making insulated cabinets
US2727363A (en) * 1953-05-19 1955-12-20 Henry P Niemczyk Refrigerator insulator unit
US3351189A (en) * 1966-04-01 1967-11-07 Gen Electric Support brace
US3933398A (en) * 1974-01-14 1976-01-20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ion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IT1144387B (it) * 1981-07-16 1986-10-29 Indesit Sistema di isolamento per un apparecchio frigorifero
US4563559A (en) * 1982-12-27 1986-01-07 Enami Seiki Mfg. Co., Ltd. Inner box for a cooking appliance
US4573603A (en) * 1985-06-03 1986-03-04 Worthington Industries, Inc. Fluid container
US5168621A (en) * 1988-07-12 1992-12-0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domestic appliance
SE505193C2 (sv) * 1993-12-22 1997-07-14 Electrolux Ab Låda utgörande vakuumisolerade väggar hos ett kyl- eller frysskåp
WO1995019255A1 (en) * 1994-01-12 1995-07-20 Oceaneering International, Inc. Enclosure for thermoelectric refrigerator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811115D1 (de) 2004-05-06
DK1023562T3 (da) 2004-08-02
EP1023562A1 (de) 2000-08-02
ES2218863T3 (es) 2004-11-16
CN1276051A (zh) 2000-12-06
PL190651B1 (pl) 2005-12-30
TR200000766T2 (tr) 2000-07-21
EP1023562B1 (de) 2004-03-31
DE19745826A1 (de) 1999-04-22
JP2001521129A (ja) 2001-11-06
WO1999020963A1 (de) 1999-04-29
BR9813064A (pt) 2000-08-22
KR100563357B1 (ko) 2006-03-22
CN1143110C (zh) 2004-03-24
PL339302A1 (en) 2000-12-04
US6488172B1 (en) 200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357B1 (ko) 단열 하우징
KR100419455B1 (ko) 단열 벽
KR100385773B1 (ko) 단열벽
KR100539125B1 (ko) 단열 벽
US6725624B2 (en) Heat-insulating walling
KR20010024263A (ko) 단열벽
EP2589904B1 (en) Refrigerator
RU2000111994A (ru) Теплоизолирующая стенка
RU2230266C2 (ru) Теплоизолирующая стенка, холодильник и домашняя печь с такими стенками
US20030008100A1 (en) Heat-insulating wall
RU2000111993A (ru) Теплоизолирующая стенка
US6393798B1 (en) Heat-insulating wall
RU2221973C2 (ru) Теплоизолирующая стенка, холодильник и домашняя печь с такими стенками
US4794748A (en) Sealing device for expansion gaps between evacuated heat insulating wall components
KR100346243B1 (ko) 스테인리스 단위패널 제조방법 및 스테인리스 패널수조
KR20230146921A (ko) 진공단열체
JP2001201058A (ja) 加熱調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