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3737A -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는 시트형 폴리머 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는 시트형 폴리머 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3737A
KR20010023737A KR1020007002391A KR20007002391A KR20010023737A KR 20010023737 A KR20010023737 A KR 20010023737A KR 1020007002391 A KR1020007002391 A KR 1020007002391A KR 20007002391 A KR20007002391 A KR 20007002391A KR 20010023737 A KR20010023737 A KR 20010023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foam layer
polymer foam
closed cell
inner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2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테판 브라히트
Original Assignee
베헤르, 베슬링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헤르, 베슬링,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아게 filed Critical 베헤르, 베슬링
Publication of KR20010023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37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61K9/7061Poly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elimination of a liquid phase from a macromolecular composition or article, e.g. drying of coagul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4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elimination of a liquid or solid component, e.g. precipitation, leaching out, evaporation
    • C08J2201/05Elimination by evaporation or heat degradation of a liquid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5/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C08J2205/04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foam pores
    • C08J2205/052Closed cells, i.e. more than 50% of the pores are clo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Hematolog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착성 에멀젼이 응집성 외부상 A로서 하나 이상의 유기용매 중의 하나 이상의 폴리머 용액 및 분산성 내부상 B로서 휘발용으로 사용된 액체로 제조되고, 외부상 A의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이 내부상 B의 액체보다 높은 휘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는 시트형 폴리머 폼의 제조방법 {Non-expanded agent method for producing flat-shaped polymer foams}
폼화 공정은 특히 플라스틱의 가공처리시에 매우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폼은 소모되는 재료의 양을 줄이고, 제품의 양을 줄이거나, 특히 강성, 탄성, 취성, 열전도성 및 방음성 등의 재료의 고유특성에 영향을 주는데 현저하게 사용된다. 외부용 약제품의 분야에서, 폼은 개선된 탄성 및 가요성 때문에 사용된다. 노출형 폼, 즉 이중간섭성 구조를 2상 시스템은 액체, 반고체 또는 고체 매트릭스를 개재하기 위한 캐리어 재료로서 적합하다. 캐리어 재료로서의 노출형 폼은 예를 들면 정제 또는 임플란트 등의 내부용으로 조제된 약제품에도 적용된다.
폼을 제조하기 위해, 플라스틱 업계에서는 현저하게 고체 및 액체 발포제를 사용한다. 또한, 상 전환(phase inversion process) 공정이 중요한다. 특별히 중요한 경우는 반응가스들의 폴리우레탄 폼으로의 중합의 동시적 사용에 의해 대표된다. 고형 화학 발포제들은 특정 온도 이상에서 열적으로 분해하고, 다소간 완전히 가스상 생성물로 파괴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발포제는, 폴리머 조성물 내에 분산내장되어, 재료를 폼화한다. 이러한 종류의 공정은 적어도 이 분야의 현 기술에 따라, 적어도 100℃, 일반적으로는 140℃의 높은 공정 온도를 필요로 한다.
또한, 이들 발포제의 대부분은 제품내에 잔류물을 남긴다.
의료 분야에서, 특히 높은 가공 온도는 약학적 활성성분 및 및 보조제의 안정성에 대한 위협이 된다. 발포제 잔류물은 독성학적으로 평가하기 어렵고, 의도적으로 다양한 승인 제도의 문장에서, 이들은 방해 및 위험을 구성한다.
액체 발포제로서, 압력하에서 액화된 가스가 유용성을 가진다. 이 액체는, 제품 내에 분산되어 있고, 이서 대기압 하에서 놓여지게 되면, 가스 상으로 전이를 겪고, 이로서 폼을 형성한다. 이러한 분야에서 유용한 전환 물질은 클로로플루오로카본(CFCs)이다. 이미 알려진 환경적 문제로 인하여, 이들은 점차 플루오르화탄화수소(FHCs), 할로겐 비함유 탄화수소(HCs: 알칸) 및 현재는, 이산화탄소에 의해서도 대체되고 있다.
액체 발포제를 이용한 폼화 공정은 기술적 관점에서, 비교적 복잡한 공정인데, 이는, 조성물의 제조 및 가공이 대기압보다 상당히 높은 압력하의 구성성분들 내에서 발생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발포제에 기초한 폼화 공정의 특별한 경우는 폴리우레탄의 경우이다. 물의 존재시, 중합에 사용된 이소시아네이트는 이산화탄소를 방출하고, 이것은 동시에 발포가스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응용은 이러한 종류의 물질에 제한된다.
이들 일반적 공정에 부가하여, 발포제가 없는 공정이 폴리 폼의 제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열의 작용에 의하여, 다공성 폼 형의 집성체가 용융에 의해 플라스틱 입자의 느슨한 군집(이것은 그 자체로 이미 폼화되어 있다)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공업상, 이것은 에를 들어, 과열 스팀을 이용한 오토클레이빙 공정에 의해 얻어진다. 고온 노출 이외의 주요 단점은 분말 형태에서 처리될 수 있는 폴리머 재료로의 제한이다. 많은 탄성체들은, 그러나, 강한 응집력을 발휘하고, 점착성 폴리머는 전혀 가공될 수 없다.
상 전이 공정의 경우에, 에멀젼이 사용된다. 내부의, 분산상은 가공되는 폴리머 또는 이것의 다른 물질들과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이 공정 중에, 외부상은 건조에 의해 제거되고, 내부상은 궁극적으로 폼형 응집체를 형성한다. 분산 내부상은 따라서, 결합성 상으로 전환한다. 이러한 생성 폼들은 바람직하게는 개방-다공성이고, 따라서, 가스 및 수증기에 대해 높은 투과성을 가진다. 추가로, 이 공극의 체적 분율은 상대적으로 따라서, 이는 폼의 주요 분율이 집성의 폴리머 입자들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클로즈드(closed) 폼의 제조방법 및 상기 폼을 포함하는 경피 치료 시스템(TTS)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도 1a∼도 1c로 구성되고, 건조전, 건조시 및 건조후의 집괴된 액적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2a∼도 2c로 구성되고, 건조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표면상에 형성된 블리스터를 나타낸다.
도 3은 노출된 공극을 갖는 폼 표면을 나타낸다.
도 4는 건조공정이 종료된 후에 내부 라이닝 형태로 잔존하는 저 휘발성 성분을 나타낸다.
도 5는 40υ현미경 배율로 관찰된 제품을 나타낸다.
도 6은 100υ배율로 관찰된 제품을 나타낸다.
도 7은 메틸렌 블루로 착색된 중공 비드를 100υ현미경 배율로 관찰한 도면이다.
도 8은 200υ배율로 메틸렌 블루로 착색된 폴리비닐알콜의 중공 비드 특성을 명확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료용 클로즈드 셀 시트형 폼을 생성하는 공정을 제공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높은 가공 및 발포제의 사용은, 건강 및 환경적 관점에서 회피된다. 이 공정은 또한, 망상 지지체 상으로 용해코팅하고 이어서 건조하는 생산 기술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거친 표면을 가지는 시트형 폴리머 생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들 생성물들은 특히 상이한 시트형, 탄성 또는 자기접착성 폴리머로 적층되었을 때, 개선된 기계적 완전성을 발휘한다.
이들 목적들은 주 청구항의 특징에 따라, 에멀젼 상, 액-액 타입의 분산 시스템에 기초한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는 공정에 의해 얻어진다. 이 응집성 외부상은 폴리머를 포함하고, 반면, 분산성 내부상은 건조에 의한 가공 단계에서 제거된다. 이 건조 공정은 두 단계를 포함한다: 건조의 제 1 부분에서, 폴리머 함유 외부상은 건조 폴리머의 성질에 의존하여. 액체 상태로부터, 고점도, 반고형 또는 고형 상태로 전환된다. 동시에, 분산성 내부상의 조성은, 있다 하더라도 단지 약간 변경된다. 등가하는 것은 외부상의 체적 손실의 결과로서, 증가하는 것은 오직 그 체적 분율이다. 건조의 두번째 단계는 외부상이 기계적 세팅을 겪은 이후, 내부상은 건조에 의해 제거된다. 외부상의 세팅은 용매의 휘발 자체의 결과로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가교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것은 건조과정 중 열적으로 또는 적당한 고 에너지 광양자에 노출함으로써 활성화된다. 내부상의 구성성분은 본질적으로는 외부상에서의 확산 및 표면에서의 기화에 의해 새나간다. 시트 두께가 작은 경우, 이것은 쉽게 일어나고, 이로서 이 공정은 특히 시트형 제품에 특히 적당하다.
공지의 공정과 비교하여, 이 공정은, 많은 장점을 결합한다. 이것은 특히 의료 제품 분야에서의 폼화 공정에서 그렇다.
- 고온 및 고형 화학 발포제를 사용에 따른 건강상의 위험이 방지된다.
- 대기압 이상에서 작동할 필요가 없다; 환경적으로 위험한 액체 발포제가 불필요하다.
- 주위 압력 및 온도에서 분말 형태로 가공될 수 없는, 고 탄성 또는 점착성의 생 원료로부터도 폴리머 폼이 제조될 수 있다.
- 폼은 높은 공극 분율을 포함할 수 있다.
- 폴리머 상은 원 분산 부분이 굳음으로써 형성되는 공극 또는 노드부분이 없는, 응집성이고, 완전히 균일한 시트를 형성한다.
추가로, 이 공정에서만 가능한 특별 적용분야가 있으며, 이는 아래에서 기술된다.
형성되는 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탄성체이다. 또한,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수-불용성 폴리머로로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기 용매에서 용해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폴리머들은, 특히 다음과 같다;
폴리우레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비닐피롤리돈 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계재 합성 고무(특히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SIS, 및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SBS), 폴리이소부틸렌과 같은 탄화수소, 폴리이소프렌, 및 실리콘 고무.
이들 모든 폴리머들은 감압성 접착 또는 핫멜트 접착을 위해 변형된 엘라스토머 형태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의해 생성되는 형태이다.
이들 폴리머들은 유기용매 중에서 고 점도 용액(바람직하게는 동적 점성 0.5-10 Pa.s)이다. 외부상을 위한 유기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판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사이클로헥산, 헥산, 헵탄, 옥탄, 석유 에테르 및 톨루엔, 및 상이한 끓는 범위의 미네랄 스피리트(spirit)이다.
이들 폴리머 용액에서는, 실질적으로 비용해성이거나, 또는 용액과 단지 활발하게 혼합하는 액체가 도입되고, 그 내부에서 내부상으로서 액적 형태, 적당한 분산 도구의 도움에 의해 분산된다. 이 액체 내부상은, 바람직하게는, 물, 1 가 및/또는 다가 알콜, 또는 이들과 다른 친수성 용매와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 1 가 알콜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글리세롤, 1,3-부탄디올 및 디프로필렌글리콜이다.
생성된 에멀션을 안정화하기 위해, 다음의 목적을 위해, 관용 수단을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면 장력을 낮추는 계면활성제는 외부상 또는 내부상에 혼합될 수 있다. 이들은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이다.
- 정전기적 반발에 의해 분산상의 응집을 막는, 이온 활성을 가지는 물질이 내부상에 첨가될 수 있다.
- 외부상 및 내부상의 밀도는 내부상의 침강 또는 크리밍을 지연하기 위해 용매의 적당한 선택을 통하여, 또 다른 것으로 어림될 수 있다.
기계적 분산 중의 전단 작용을 개선하기 위해, 내부상의 점도는 친수성 폴리머의 형태에서 증점제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이들 폴리머들은 다음의 그룹으로 대표되는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락티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메타)아크릴산 및 이것의 염, 및 또한 천연 식물 녹말 및 이것의 유도체, 및 키토산.
이들은 또한, 셀룰로스 유도체, 특히 메틸-, 카르복시메틸-, 히드록시메틸-, 에틸-, 히드록시에틸-,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등을 포함한다.
내부상 및 외부상에 불필요한 혼합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내부상에, 내부상의 극성을 높이는 해리염을 용해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염들은 특히,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염의 할로겐염이다. 우레아는 또한, 약학분야에서 잘 알려진 이것의 히드로트로픽(hydrotropic) 효과로 인하여, 이러한 목적에 적당하다.
본 발명에 따라, 비혼화성에 부가하여, 휘발성의 차이가 두 상에 대해 보장되어야 한다. 외부상의 휘발성은 내부상의 그것보다 실질적으로 높아야 한다. 단지 이 수단에 의해, 본질적으로 2단계 건조 공정이 가능하게 된다. 제 1 단계는 이 상의 기계적 세팅이 있을 때까지 외부상의 용매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 2 단계에서는, 내부상은 이미 치수가 안정하게 된 외부상으로부터의 건조에 의해 제거된다. 외부상의 세팅은 가교 공정에 의해 보조되는데, 이 가교공정은 열적으로 또는 고에너지 방사에 의해 개시된다. 건조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무엇보다도 저온수준에서 그리고 이어서 보다 높은 온도에서 발생한다.
휘발성의 충분한 차이는, 상기 용매가 외부 및 내부상 각각에 대해 사용되는 경우, 거의 언제나 보장된다. 두 상 사이의 가열 범위내의 차이는 내부상의 가열 범위가 더 높은 경우, 유용할 수 있다. 그러나, 순수 용매의 경우, 가열 범위 또는 끓는 점은 휘발성보다 덜 중요할 수 있는데, 이는 공업적 건조 공정이 기화에 의해 주로 발생하고, 휘발성 성분의 가열에 의해서는 덜 발생하기 때문이다.
최종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얻어진 에멜젼은 얇은 층으로 바람직하게는로 적절한 표면이나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웨브형 지지체에 가해진다. 이는 적절한 도포장치, 예를 들면 롤 애플리케이터, 필름 드로잉 프레임, 또는 적절한 압출다이에 의해 행해진다.
압출공정과 관련해서, 외부상에 내부상을 분산시키는 것은 압출다이 압출다이 바로 전에만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 폼의 코팅공정의 적절한 기판은 폴리머 필름, 금속박 및 얇은 페이퍼 등의 릴리스 코팅된 웨브형 지지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완성된 폼 층은 지지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분리된 후속 용도에 공급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폴리머계 필름의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이다. 릴리스 코팅은 전형적으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실리콘 또는 플루오로폴리머로 구성된다.
다층 복합물, 예를 들면 경피 치료 시스템의 구조를 위해, 폴리머 폼 층은 전형적으로 추가로 리라미네이션(relamination)에 의해 처리된다. 리라미네이션이라 함은 폼 층이 다른 시트 제품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프레스되는 것을 말한다. 폼 층은 다른 시트 제품과 영구적인 기계적 통합을 행한다. 형성된 복합물은 계속해서 충분히 강해서 시트 제품에 접착하는 폼을 이의 지지체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상술한 시트 제품은 전형적으로 접착제 또는 감압성 접착제 표면을 갖는다.
공기 순환 또는 공기 제거에 의해 건조된다. 제 1 건조공정의 온도 레벨은 0∼6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2 건조단계는 60∼120℃에서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는 또는 프로그램을 짜서 저온에서 고온으로 스무스하게 변화할 수 있다.
상술한 공정의 한 특수 적용예는 거친 표면을 갖는 얇은 층 폼의 제조법이다. 건조후에, 노출면에, 시트형 코팅 제품은 내부상의 특성 및 양에 의해 제조 중에 조절될 수 있는 거칠음도를 갖는다. 이를 위해 상이한 두가지 현상을 이용할 수 있다.
a) 내부상의 체적 분율은 건조공정의 제 1 단계, 즉 외부상의 집괴 및 세팅시에 최대 패킹 밀도를 초과하도록 선택된다. 내부상의 집괴된 액적은 스무드한 표면을 통해 릴리프처럼 돌출한다. 이 공정은 도 1a ∼ 도 1c의 건조전, 건조시 및 건조후로 나타내어진다.
b) 내부상의 액적 크기는 분산공정에 의해 조절되고, 경우에 따라, 액적의 평균 직경이 건조 제품의 층두께보다 크도록 표면 활성 첨가제에 의해 조절된다. 따라서, 건조공정이 행해지면, 건조 제품의 표면상에 블리스터가 얻어진다.
이 공정은 도 2a ∼ 도 2c의 건조 전후로 나타내어진다.
두 경우에는, 거친 표면으로 다른 시트형 폴리머 재료를 갖는 다층 복합물로 처리하는데 특히 적합한 제품이 얻어진다. 계속해서, 다층 제품을 형성하도록 2개 이상의 시트형 폴리머 제품을 결합하는 것은 전형적으로 층의 기계적 압축, 예를 들면 롤 라미네이터의 기계적 압축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공정은 가열, 아마도 한 성분이 부분 용융을 행하는 온도로의 가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경피 치료 시스템, 의약용 플라스터 또는 의약용 붕대의 제조에 있어서, 포함된 하나 이상의 층이 일반적으로 감압성 접착제로 이루어져서, 다른 층과의 통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기계적 라미네이션의 공정에 의하면, 종종 상이한 폴리머를 함유하는 2개의 층간의 결합세기 또는 내구력이 불충분하게 된다. 특히 TTS의 경우에는, 디라미네이션(delamination)은 시스템이 피부에서 박리될 때에 사용후에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원하지 않는 결과는 피부에 대한 감압성 접착층의 부분 또는 완전 잔류분극 및 TTS의 다른 층만이 제거되어, 라미네이트가 파괴된다는 것이다. 감압성 접착층간 및 추가의 비접착성 폴리머층간의 결합은 상기 폴리머층이 거친 면을 갖는 폼 구조를 갖는다면 상당히 향상될 수 있다. 라미네이션시에, 거칠음도의 결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계면이 증가된다. 또한, 기계적 압축시에, 거친 면 구조는 또한 상호 연동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연동은 특히 폼의 표면에서 파열하는 기포 현상에 의해 향상된다. 도 3에 나타낸 폼 표면은 상이한 재료층과의 기계적 상호 연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노출된 공극(5)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방법의 또 하나의 적용예에 있어서, 내부상은 휘발성 용매는 물론, 경우에 따라, 분산도에 영향을 주는 제제 및 저 휘발성 성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저 휘발성 성분은 건조공정이 종료된 후에(도 4)폼의 분산 공극에 잔존한다. 전형적으로, 이들 성분은 공극의 벽의 다소간 두꺼운 내부 라이닝(6) 형태로 잔존한다.
라이닝은 폼의 기계적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이들은 재료의 강성화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이들 라이닝은 용해되거나 미용해된 형태의 약제학적 활성물질을 함유할 수 있거나, 오로지 이러한 물질로만 구성된다. 그러한 경우에는, 매우 큰 내부 계면에 의해, 활성물질은 외부상을 통해 인접한 분포 영역으로 방출되도록 폼의 외부상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사용예:
4개의 실시예는 이들 실제적인 이행 측면에서 하기의 공통 특징을 갖는다.
에멀젼은 A + B의 한정된 중량비(WR)로 2개의 상이한 용매로부터 제조된다. 용액 A는 외부상을 구성하고, 용액 B는 내부상을 구성한다. 필름 드로잉 프레임을 사용하여, 에멀젼은 제한된 층두께(LT)로 적절한 웨브형 지지필름상에 코팅된다. 계속해서, 얻어진 필름은 상이한 건조조건(DC)하에 건조된다.
카리플렉스(Cariflex) TR 1107: SIS 블록 공중합체(Shell 사제)
모비얼(Mowiol): 각종 폴리비닐알콜의 상품명(Hoechst 사제)
실라스틱(Silastic) MDX 4: 이성분계 실리콘 고무(Dow Corning 사제)
에토셀(Ethocel): 각종 에틸셀룰로스의 상품명(Dow Chemical Corp.)
호스타판(Hostapha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상품명(Hoechst 사제)
스카치팍(Scotchpak): 각종 필름의 상품명(3M 사제)
트윈(Tween) 80: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메틸렌 블루: 친수성 염료
실시예 1에서 얻은 제품은 40υ현미경 배율로 도 5에 나타낸다(필터되지 않은 투과광). 이는 얇은 스펀지형 층으로 구성된다. 이 층은 그 안에 개재된 빽빽하게 패킹된 공극을 갖는 탄성 폴리머로 형성된다. 표면은 거칠고 갈라져 있다.
100υ배율로, 실시예 2에서 건조층의 표면을 통해 공극의 분화구형 개구를 볼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실시예 1과 동일한 외관을 갖는다(도 6). 이는 도 3에서 이론적으로 나타낸 원리와 일치한다.
실시예 3은 더욱 온건한 건조조건으로 행할 수 있는 실시예 2의 변형체이다.
실시예 4는 중공 비드 형태의 친수성 폴리머(폴리비닐알콜)가 친유성 탄성 실리콘 고무로 개재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도 4에서 이론적으로 나타낸 현상과 일치한다.
도 7에서, 메틸렌 블루로 착색된 중공 비드는 100υ현미경 배율로 볼 수 있다. 200υ배율(도 8)은 비교적 큰 파열된 대상물로부터 실리콘에 분산되게 개재되고 메틸렌 블루로 착색된 폴리비닐알콜의 중공 비드 특성을 명확히 나타낸다. 본 병세서에서, 메틸렌 블루는 약제학적 활성물질을 나타낸다.
힌드(hind) 층으로서 폴리머 폼이 포접된 완전한 TTS의 제조에 관한 사용예:
접착제로 처리된 백킹층, 하나 이상의 활성물질층 및 실질적으로 활성물질에 대하여 불침투수성을 지닌 힌드 층으로 구성된 경피 치료 시스템.
실시예: 활성물질 디클로페낙나트륨염을 갖는 TTS
감압성 접착성 활성물질층은 하기 혼합물로 제조된다.
디클로페낙나트륨염 10.0g, 라우르산 8.3g, 아디프산 1.6g, 유드래지트 (Eudragit) E 100 14.3g, 물 64.9g, 글리세롤 0.9g.
유드래지트 E 100은 염기성 암모늄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의 상표명 (사제)이다.
액체 조성물은 얇은 층으로 실리코나이즈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에 전착되어, 공기 제거 오븐에서 80℃에서 건조된다. 건조된 감압성 접착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30∼300g/㎡, 바람직하게는 60∼120g/㎡이다.
이러한 전구 제품의 노출된 감압성 접착층은 사용예 2에 따라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된 거친 면을 갖는 폴리머 폼과 함께 라미네이트된다. 라미네이션 공정은 기계적 압축, 바람직하게는 롤 라미네이터에 의해 일어난다.
폴리머 폼은 TTS의 힌드 층으로 구성되고 실질적으로 활성물질에 대하여 불침투성을 지닌다.

Claims (30)

  1. 전착성 에멀젼이 응집성 외부상 A로서 하나 이상의 유기용매 중의 하나 이상의 폴리머 용액 및 분산성 내부상 B로서 휘발용으로 사용된 액체로 제조되고, 외부상 A의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이 내부상 B의 액체보다 높은 휘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기판상에 층 형태로 전착된 에멀젼이 치수적으로 안정한 응집성 외부상의 형성과 함께 외부상 A로부터 용매가 증발되는 제 1 단계에서 건조되고, 제 2 단계에서 내부상 액체의 확산 및 증발이 일어나서, 공극이 잔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단계에서의 건조가 제 1 단계보다 높은 온도에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단계에서의 건조가 0∼60℃, 경우에 따라, 제 2 단계에서 60∼120℃에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가 공기 순환 또는 공기 제거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제로 처리되거나 처리되지 않은 웨브형 지지체가 기판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멀젼이의 층두께로 기판상에 전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 또는 복사선에 의해 개시되는 가교가 추가로 폴리머 외부상 A의 세팅시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멀젼이 분산액을 압출함으로써 전착되며, 이는 압출다이 바로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수불용성 엘라스토머가 폴리머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비닐피롤리돈 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계 고무, 특히 SIS 블록 코폴리머 및 SBS 블록 코폴리머, 폴리이소부틸렌 등의 순수한 탄화수소, 폴리이소프렌, 및 실리콘 고무가 엘라스토머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감압성 접착 또는 핫멜트 접착을 위해 변형된 엘라스토머 형태, 또는 엘라스토머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소프로판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사이클로헥산, 헥산, 헵탄, 옥탄, 석유 에테르, 톨루엔 및 상이한 끓는 범위의 미네랄 스피리트가 외부상 A의 유기용매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친수성 용매, 특히 물, 1 가 및/또는 다가 알콜이 내부상 B의 생성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친수성 폴리머가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부상 B에 증점제로서 가해지고, 상기 폴리머는 폴리비닐알콜, 부분 가수분해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락티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메타)아크릴산 및 이의 염, 천연 식물 녹말 및 이의 유도체, 키토산 및 셀룰로스 유도체, 특히 메틸셀룰로스,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외부상 A 및/또는 내부상 B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상 A 및 내부상 B의 밀도가 용매 선택에 의해 서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온 활동도를 갖는 물질이 내부상 B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품 표면이 내부상 B의 적당히 높은 체적 분율을 선택하거나, 또는 내부상 B 액적의 평균 직경을 건조제품의 층두께보다 크게 함으로써 거칠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내부상 B의 체적 분율은 25∼90%, 바람직하게는 40∼70%(건조상태에 대하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이 층두께보다 1.1∼1.5 계수만큼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품 표면이 표면 공극의 파괴에 의해 거칠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건조단계에서 잔존 공극의 벽에 라이닝을 형성하는 저 휘발성 성분이 내부상 B에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친수성 폴리머가 저 휘발성 성분으로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저 휘발성 성분은 약제학적 활성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26.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부여제, 증강제, 가소제, 응집향상제, 흡수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착제, 광예방보호제, 염료, 안료 및 증백제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약제학적 활성물질 및/또는 보조제가 외부상 A 및/또는 내부상 B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즈드 셀 폴리머 폼 층의 제조방법.
  27. 활성물질을 피부에 직접 투여하고/하거나 피부를 통해 투여하기 위한 피부용 치료 시스템, 특히 피부용 패치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얻어진 하나 이상의 폴리머 폼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치료 시스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응집상이 감압성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고 사용시에 피부에 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치료 시스템.
  29. 제 27 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폴리머 폼 층이 중공 비드 및/또는 내부상 B에 친수성 폴리머를 첨가하여 형성되는 벽 라이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치료 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폴리머 폼 층의 중공 비드의 체적 분율이 5∼95%, 바람직하게는 10∼50%이고, 전체 중공 비드 체적의 벽형성 폴리머의 분율이 1∼90%, 바람직하게는 5∼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치료 시스템.
KR1020007002391A 1997-09-05 1998-08-21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는 시트형 폴리머 폼의 제조방법 KR200100237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38856.6 1997-09-05
DE19738856A DE19738856C2 (de) 1997-09-05 1997-09-05 Treibmittelfreies Verfahren zur Herstellung flächenförmiger Polymerschäume
PCT/EP1998/005322 WO1999013001A1 (de) 1997-09-05 1998-08-21 Treibmittelfreies verfahren zur herstellung flächenförmiger polymerschäu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3737A true KR20010023737A (ko) 2001-03-26

Family

ID=7841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2391A KR20010023737A (ko) 1997-09-05 1998-08-21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는 시트형 폴리머 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1017741B1 (ko)
JP (1) JP2001515941A (ko)
KR (1) KR20010023737A (ko)
AT (1) ATE201706T1 (ko)
AU (1) AU9264298A (ko)
CA (1) CA2302634A1 (ko)
DE (2) DE19738856C2 (ko)
DK (1) DK1017741T3 (ko)
ES (1) ES2159962T3 (ko)
GR (1) GR3036336T3 (ko)
NO (1) NO20000972L (ko)
WO (1) WO19990130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9342B2 (ja) * 2003-12-25 2012-09-05 シンジーテック株式会社 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多孔質体
JP2011026617A (ja) * 2003-12-25 2011-02-10 Synztec Co Ltd 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多孔質体
GB0426282D0 (en) * 2004-11-30 2004-12-29 Uws Ventures Ltd Polymer scaffol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36336A (en) * 1970-03-19 1974-12-31 Jacob E Microporous moisture vapor permeable sheets
GB2198739B (en) * 1986-12-03 1990-06-20 Domnick Hunter Filters Ltd Microporous membrane
US4820525A (en) * 1987-09-17 1989-04-11 American Home Products Corporation (Del.)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DE3810757A1 (de) * 1988-03-30 1989-10-26 Freudenberg Carl Fa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ikroporoesen folie
CA2023097C (en) * 1990-01-16 1999-07-06 Kenji Tsubota Method for producing an air-permeable adhesive tape
DE4223360C1 (ko) * 1992-07-16 1993-04-08 Lts Lohmann Therapie-Systeme Gmbh & Co Kg, 5450 Neuwied,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000972D0 (no) 2000-02-25
EP1017741B1 (de) 2001-05-30
DE19738856C2 (de) 2001-06-13
CA2302634A1 (en) 1999-03-18
DE59800805D1 (de) 2001-07-05
GR3036336T3 (en) 2001-11-30
ES2159962T3 (es) 2001-10-16
EP1017741A1 (de) 2000-07-12
WO1999013001A1 (de) 1999-03-18
ATE201706T1 (de) 2001-06-15
DK1017741T3 (da) 2001-08-13
JP2001515941A (ja) 2001-09-25
AU9264298A (en) 1999-03-29
DE19738856A1 (de) 1999-03-11
NO20000972L (no) 200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3406B2 (en) Super-hydrophobic bandag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U705376B2 (en) Blen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US5441810A (en) Adhesive sheet
WO1994007468A1 (en) Two-phase matrix for sustained release drug delivery device
JPH05194202A (ja) 活性物質としてチュロブテロールを有する医療システム
JP2009539786A5 (ko)
JP2587365B2 (ja) 経皮吸収性製剤の製法
US5049417A (en) Method for producing an air-permeable adhesive tape
NO177663B (no) Fremgangsmåte til fremstilling av farmasöytisk preparat med nitroglyserin til perkutan administrering
KR100215278B1 (ko) 경고제
KR20010023737A (ko)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는 시트형 폴리머 폼의 제조방법
JPWO2018025895A1 (ja) テープ材用支持フィルム、テープ材、およびテープ材用支持フィルムの製造方法
EP2898879B1 (en) Support body for transdermal patch or transdermal preparation, and transdermal patch and transdermal preparation using same
KR20040025705A (ko) 활성성분 함유 입자를 포함하는 피부 또는 점막 적용용투약제형
WO2021138710A1 (en) Substrate for use in a transdermal patch or dressing
JPS5846959A (ja) 貼付剤の製造方法
JPH04368323A (ja) 貼付剤
JPH03191957A (ja) 医療用支持体
JPS5835113A (ja) 複合製剤
JPH07145047A (ja) 局所麻酔用経皮吸収テープ
MXPA00002313A (en) Non-expanding agent method for producing flat-shaped polymer foams
JPH0722594B2 (ja) 貼付剤
JPS6344723B2 (ko)
JP3895815B2 (ja) 粘着シート類の製造方法
JPS63241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