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1792A - 관 이음매 - Google Patents

관 이음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1792A
KR20010021792A KR1020007000356A KR20007000356A KR20010021792A KR 20010021792 A KR20010021792 A KR 20010021792A KR 1020007000356 A KR1020007000356 A KR 1020007000356A KR 20007000356 A KR20007000356 A KR 20007000356A KR 20010021792 A KR20010021792 A KR 20010021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joint
chuck
sealing piston
join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2235B1 (ko
Inventor
노다토모키
Original Assignee
다까따 모토유끼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4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38071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9161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265259B2/ja
Application filed by 다까따 모토유끼,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따 모토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21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2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16L37/2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by means of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1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rovided with a screw-thread adapted to engage and mesh with an appropriate corresponding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유체통로(2)를 갖는 이음매주통체(1)와, 이 이음매주통체 내에 실된 상태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이 이음매주통체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선단부가 피접속관체(6)에 유체접속가능한 중공구조의 실링피스톤(5)을 구비하는 관 이음매 를 제공한다. 각각 요동가능한 복수의 척클릭(12)이 이음매주통체의 선단부로 지지되고, 이음매주통체(1)상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조작슬리브(22)에 의해, 피접속관체(6)를 파지한 위치로 유지된다. 유체통로(2)내로 압력이 있을 때에, 조작슬리브가 척클릭(12)을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음매주통체(1)와 함께 공간부(34)를 형성하는 압압슬리브(26)를 이음매주통체(1)상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장착한다. 공간부(34)에 유체통로(2)로부터 압력유체를 유도하여, 이 공간부(34)내의 압력에 의해, 압압슬리브(26)를 조작슬리브(22)로 향해서 이동하고, 조작슬리브(22)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관 이음매{Pipe Joint}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관 이음매는, 유체통로와 이 유체통로에 연통하는 축방향 구멍을 갖는 이음매 주통체(主筒體)와, 이 축방향 구멍 내에 실(seal)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이 이음매 주통체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선단부가 피접속관체(被接續管體)에 유체접속 가능한 중공구조의 실링 피스톤과, 이 실링 피스톤을 선단부의 방향으로 힘을 더해주는 부세 수단을 구비한다. 각각 이음매 주통체의 선단부에는 이 이음매 주통체의 축선을 포함하는 면내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선단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가 실링 피스톤에 유체접속된 피접속관체를 파지하는 파지위치와, 피접속관체를 착탈가능하게 하는 대기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복수의 척클릭이 설치된다. 이들 척클릭은, 이음매주통체의 축방향을 따라서 안내되는 요동 제어수단이 유지위치에 배치될 때에, 요동이 방지되고, 개방위치에 배치될때에 대기위치에 배치된다. 이 요동 제어수단은, 이음매 주통체의 외주상에 장착된 조작 슬리브에 연결된다. 이 조작 슬리브에 의해, 피접속관체를 분리하기 위하여 요동 제어수단을 유지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수동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관 이음매에 의하면, 피접속관체를 접속할때에, 한쪽 손으로 관 이음매의 실링피스톤의 선단부를 피접속관체의 선단에 밀어대면서, 다른쪽 손으로 조작슬리브를 이동시켜 척클릭을 파지위치에 유지시킨다. 조작 슬리브가 캠 조작겸 안전 루프체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캠 조작겸 안전 루프체를 넘어뜨릴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넘어뜨려진 상태에 있는 캠 조작겸 안전 루프체에 어떤 요인으로 힘이 작용하면, 캠 조작겸 안전 루프체가 기립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캠 조작겸 안전 루프에 연결된 캠이 이동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조작 슬리브가 후퇴하여 요동 제어수단을 유지위치로 부터 개방위치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척클릭이 파지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하고, 피접속관체가 척클릭에 의한 협지로 부터 해방된다. 그 결과, 피접속관체 및 관 이음매내의 압력유체가, 관 이음매와 피접속관체와의 사이로부터 누설하고, 더욱이 관 이음매가 피접속관체로부터 분리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조작슬리브의 이동을 방지하는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관 이음매에 관한 것이며, 특히 기체 또는 액체 등의 압력유체를 봄베 등에 공급할 때에 사용되는 관 이음매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한 관 이음매에 있어서의 실시의 형태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관 이음매의 접속 대기상태를 상반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관 이음매의 접속상태를 상반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관 이음매의 접속상태이며, 또한 록된 상태를 상반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
도 5 는, 본 발명에 관한 관 이음매의 다른 실시형태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6 은, 도 5 에 나타내는 관 이음매의 접속대기상태를 상반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
도 7 은, 도 5 에 나타내는 관 이음매의 접속상태를 상반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
도 8 은, 도 5 에 나타내는 관 이음매의 접속상태이며, 또한 록된 상태를 상반부을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
도 9 는, 종래의 관 이음매의 접속상태에 있어서의 각 부의 자세를 상반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
도 10 은, 도 9 의 종래의 관 이음매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작이 간단하며, 또한 안전성이 높은 관 이음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통로와 이 유체통로에 연통하는 축방향 구멍을 갖는 이음매 주통체와, 이 축방향 구멍내에 실링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이 이음매 주통체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선단부가 피접속관체에 유체접속 가능한 중공 구조의 실링피스톤과, 이 실링피스톤을 선단부의 방향으로 힘을 더해주는 부세수단과, 각각 이음매주통체의 선단부에서, 이 이음매주통체의 축선을 포함하는 면내를 요동(搖動)가능하게 지지되고, 선단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가 실링피스톤에 유체접속된 피접속관체를 파지하는 파지위치와 피접속관체를 착탈가능하게 하는 대기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복수의 척클릭과, 파지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척클릭의 요동을 방지하는 유지위치와 대기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척클릭의 요동을 가능케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이음매 주통체의 축방향을 따라서 안내되는 요동 제어수단과, 이음매 주통체의 외주상에 장착되고 또한 이 요동 제어수단에 연결되고, 피접속관체를 분리하기 위하여, 요동 제어수단을 유지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수동에 의해 이동가능한 조작 슬리브를 구비하는 관 이음매이며, 상기 이음매 주통체의 외주부상에서 조작 슬리브에 인접시켜서 장착되고, 축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압압 슬리브와, 이 이음매 주통체와 압압 슬리브와의 사이에 구획되고, 압압 슬리브가 조작 슬리브에 근접한 단벽을 형성하는 공간부와, 이음매 주통체내로 연설되고, 상기 공간부와 유체통로를 연통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유체통로로 부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공간부내로 유입하는 압력유체에 의해, 상기 압압 슬리브가 조작 슬리브로 향해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서, 조작 슬리브가 요동 제어수단을 유지위치로 부터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피접속관체의 분리를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매가 제공된다.
이 관 이음매에서는, 피접속관체는, 실링 피스톤과 유체 연통한 상태에서 복수의 척클릭으로 파지된다. 이들의 척클릭은, 조작 슬리브에 연결된 요동 제어수단에 의해, 요동이 방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이 피접속관체를 통하여 유체통로에 압력유체가 흐르면, 이음매주통체에 형성된 관통공을 거쳐 이음매 주통체와 압압 슬리브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압력유체가 유입한다. 이에 의해 이 압력유체의 압력을 받아서 압압 슬리브가 조작 슬리브로 향해서 이동하고, 조작 슬리브가 요동 제어수단을 유지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에 의해 유체 통로내에 압력이 잔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조작 슬리브의 이동이 방지되고, 피접속관체가 분리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이 관 이음매에 의하면, 조작 슬리브에 대하여 특별한 조작을 행함이 없이 유체통로내의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조작 슬리브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퍽 조작이 간단하며 또한 안전성이 높은 관 이음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작 슬리브와 압압 슬리브와의 사이에, 압축스프링이 끼워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유체 통로내의 압력이 저하하면, 압압 슬리브가 조작 슬리브로 부터 이격하고, 피 접속관체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압압 슬리브가, 공간부내로 보내지는 압력유체에 의해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 슬리브와 맞닿는 경우에는, 압압 슬리브가 조작 슬리브를 직접 걸리게하는 퍽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척 클릭이 피접속관체의 외면을 파지할 경우에는, 상기 이음매 주통체는, 상기 선단부에, 반경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칼라(collar)부를 가지며, 상기 실링 피스톤은, 그 선단부로 부터 축방향으로 향해서 피접속관체에 대하여 실하는 실링과, 소경부와 대경부를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척클릭은, 각각 이 칼라부에 맞물리는 걸림오목부와, 이 걸림오목부와 걸어맞춤부와의 사이의 부위로부터 실링 피스톤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접촉편을 가지며, 이것들의 척클릭은, 접촉편이 소경부상에 배치되어 있을때에, 파지위치에 배치되고, 실링피스톤이 선단부의 방향으로 이동하였을때에, 접촉편이 실링피스톤의 대경부로 압압됨으로써, 걸림 오목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되고, 파지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실링피스톤의 선단부에 피접속관체의 접속단을 밀어대고, 실링피스톤을 힘을 더해주는 부세력에 버티면서 이동시키면, 대기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척클릭의 접촉편이 실링 피스톤의 대경부위를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접촉편이 소경부에 도달하면 접촉편은 대경부에 의한 압압으로부터 해방되고, 척클릭은 파지위치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피접속관체는, 실링 피스톤의 선단부와 유체접속된 상태에서 퍽 간단히 척클릭으로 파지된다.
상기 조작 슬리브는, 상기 척클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요동 제어수단은, 이 연장부의 내주로부터 돌출하여 척클릭의 대향하는 면에 걸어맞춤 가능한 돌부를 가지며, 척클릭이 대기위치에 있을 때에, 이것들의 척클릭으로 돌부가 걸려짐으로써, 조작 슬리브 및 요동 제어수단이 개방위치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대기위치의 척 클릭이 조작 슬리브 및 요동 제어수단을 개방위치로 유지하기 위하여 퍽 간단히 척 클릭과 조작 슬리브를 연동시킬 수 있다.
또한 척 클릭이 피접속관체의 내면을 파지할 경우에는, 상기 이음매 주통체는, 상기 선단부에 형성되어서 반경방향내방으로 개구하는 오목부와, 상기 척 클릭이 대기위치에 있을때에, 실링 피스톤과 조작 슬리브를 걸고, 실링 피스톤의 선단부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제2 록수단을 가지며, 상기 척 클릭은, 후단부에서 이 이음매 주통체의 오목부에 맞물리고, 선단부에 실링 피스톤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돌부를 가지며, 상기 실링 피스톤은, 선단부로부터 축방향내방으로 향해서, 피접속관체에 대하여 실하는 실링과, 반경방향 외방으로 개구하고, 척 클릭이 대기위치에 있을때에, 이 척 클릭의 돌부를 수용하는 환상 오목부와,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고, 선단부의 방향으로 이동할때에, 척 클릭을 대기위치로 부터 파지위치로 압압하는 압압돌부와, 상기 제 1, 제 2 록수단에 걸어맞추고, 실링 피스톤과 조작 슬리브가 이음매 주통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걸리게 하기 위한 제어돌기를 가지며, 제 2 록수단은 제 1 록수단이 실링 피스톤의 걸림을 해제하였을때에, 조작 슬리브의 걸림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척 클릭의 각각은 대기위치에 있을때에 선단부의 돌부가 실링 피스톤에 형성된 환상오목부내로 수용되고, 이들의 척 클릭의 반경방향 외방의 면에서 형성되는 포락선이 소경의 원상으로 된다. 이때, 실링과 조작 슬리브는 제 1,제 2 록수단에 의해 이음매주통체에 대하여 걸려진다.
상기 제1록수단은,이음매 주통체의 선단부의 근부에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또한 이음매 주통체의 반경방향 내방으로 향해서 축경된 복수의 반경 방향구멍과, 이들의 반경방향 구멍내로 수용되고, 그 일부가 이음매 주통체의 내주면으로 부터 돌출가능한 복수의 볼과, 이음매 주통체의 상기 선단부의 근부에서 외주부상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각 볼을 이음매 주통체의 내주면으로 부터 돌출시키는 누름부와 각 볼을 끌어넣는 오목부를 갖는 슬라이드슬리브를 구비하고, 이 슬라이드슬리브는, 이음매 주통체의 선단부로 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스프링으로 힘이 더해지고, 조작 슬리브에 의해 누름부가 반경방향 구멍위에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더욱 선단부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피접속관체를 접속하기 위하여, 이 피접속관체를 실링 피스톤 및 척클릭위에 삽입하고, 슬라이드슬리브를 그 힘을 더해주는 부세력에 버티면서 압압하면, 볼이 이음매 주통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끌어들여진다. 이것에 의해, 실링피스톤의 걸림이 해제되어, 실링 피스톤이 선단부로 향해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압압돌부가 척클릭을 대기위치로 부터 파지위치로 압압한다.
상기 제 2 록수단은, 상기 제 1 록수단의 반경방향 구멍보다도 선단부로 부터 축방향 내방으로 이격한 위치에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또한 이음매주통체의 반경방향 내방으로 향해서 축경된 복수의 반경 방향구멍과, 이들의 반경방향 구멍내에 수용되고, 그 일부가 이음매주통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가능한 복수의 볼과, 상기 조작슬리브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각 볼을 이음매주통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단부(段部)와, 이 단부의 선단부측에 형성된 연장부를 구비하고, 이 연장부는, 이음매 주통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슬라이드 슬리브를 슬라이딩시키는 환상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단부는 실링 피스톤이 볼에 걸어 맞추었을 때에, 이 볼에 걸어맞춤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실링 피스톤이 제 1 록수단에 의한 걸림이 해제되어, 선단부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2 록수단의 볼이 실링 피스톤의 제어 돌기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이것에 의해 조작슬리브의 단부가 제 2 록수단의 볼에 의한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따라서, 조작슬리브는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조작슬리브와 실링피스톤은, 적어도 1 개의 연결나사로 서로 연결되고, 이 연결나사는, 이음매 주통체를 반경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이음매 주통체의 반경방향으로 뻗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조작링을 이동함으로써, 실링피스톤도 이동한다.
상기 척클릭은, 대기위치로 향해서 스프링으로 힘이 더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척클릭은, 파지위치로의 압압이 해제되면 바로 대기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도 9 및 도 10 은 종래기술에 의한 관 이음매의 예를 나타낸다. 이 관 이음매는, 유체통로(49)를 갖는 이음매 주통체(41)와, 이음매 주통체(41)의 선단측 내부에 후단측을 슬라이딩을 자유롭게 끼어맞추어 피접속관체에 실링(42)을 통하여 맞닿는 통상의 실링 피스톤(43)과, 이음매 주통체(41)의 선단에 형성된 칼라부(44)에 그 중간 정도를, 이 이음매주통체(41)의 축선을 포함하는 면내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실링피스톤(43)에 맞닿는 피접속관체를 파지하는 복수의 척클릭(45)과, 이음매 주통체(41)의 선단측 외주부에 끼워맞추어지고, 전진하여 척클릭(45)을 그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내방으로 압압하여 록하는 조작슬리브(46)와, 이 조작슬리브(46)를 전진, 후퇴시키는 편심캠(47)과, 이 편심캠(47)을 회전조작하는 동시에 피접속관체와의 접속시에 피접속관체를 구비한 봄베 등을 포위하는 캠조작겸 안전루프체(48) 로 구성되어 있다.
이 종래의 관 이음매는, 피접속관체에 접속할 경우에, 한쪽 손으로 관 이음매의 실링피스톤(43)의 선단을 피접속관체의 선단에 밀어대면서, 다른쪽 손으로 캠 조작겸 안전루프체 (48)를 넘어뜨리는 것이 필요하며, 접속작업이 번거롭다.
또, 넘어뜨린 상태에 있는 캠 조작겸 안전루프체 (48)에, 어떤 요인으로 기립방향으로의 힘이 가하여질 가능성이 있다. 캠 조작겸 안전루프체(48)가 기립하면, 편심캠(47)이 회전하고, 이것에 의해, 조작슬리브(46)가 후퇴하여 척클릭(45)의 록을 해제할 가능성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관 이음매의 폐단을 해소한 본 발명에 관한 관 이음매의 실시의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와 같이, 이음매 주통체(1)는, 내부에 유체통로(2)를 가지며, 어댑터(3)가 이 이음매주통체(1)의 후단부에 접속된다. 이 어댑터(3)는, 유체통로(2)에 연통하는 내부통로(4)를 가지며, 압력유체의 공급원에 접속된다. 이음매주통체(1)의 선단측 내부에는, 중공구조의 실링피스톤(5)의 후단측이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어 맞춘다. 이 실링피스톤(5)의 선단부에는 피접속관체(6)(도3)에 맞닿는 실링(7)이 설치되어 있다.
실링피스톤(5)의 후단측 외주에는, 축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원주홈(8)이 형성되고, 그리고, 이음매주통체(1)에 설치한 비스(9)의 선단이 상기 원주홈(8)에 걸어 맞추어져 있으며, 실링피스톤(5)은 원주홈(8)의 축방향의 폭의 범위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링피스톤(5)을 선단방향으로 힘을 더해주는 코일스프링(10)이 실링피스톤(5)과 이음매주통체(1)와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있다. 부호11은, 이음매주통체(1)의 내주면과 실링피스톤(5)의 외주면과의 사이를 실하는 실링이다.
복수(본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6개)의 척클릭(12)이 이음매주통체(1)의 선단에 형성된 칼라부(13)에 그 중간 정도가 지지되고, 이 이음매 주통체(1)의 축선을 포함하는 면내에서 요동할 수 있다. 이들 척클릭(12)의 선단부는 반경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고, 실링피스톤(5)의 선단에 맞닿는 피접속관체(6)의 외주부를 파지할 수 있다. 이들 척클릭(12)은 내주측에 피접속관체(6)의 숫나사부(14)와 맞물리는 암나사부(15)를 가진 걸어맞춤부(16)와, 축방향 중간부에 형성된 이음매주통체(1)의 칼라부(13)와 맞물리는 걸림오목부(17)를 갖는다. 각 척클릭(12)는, 칼라부(13)를 지점으로 하여 피접속관체(6)의 외주면을 파지하는 파지위치(도3 및 도4)와, 피접속관체(6)를 착탈가능하게 하는 대기위치(도2)와의 사이를 요동할 수 있다.
각 척클릭(12)의 후단부의 외주에는 스프링밴드(18)가 감겨져 있다. 이 스프링밴드(18)는 각 척클릭(12)의 후단부를 반경방향 내방으로 힘을 더해주고 있으며, 각 척클릭(12)의 걸어맞춤부(16)를 갖는 전단측은 상기 칼라부(13)를 지점으로 하여 반경방향 외방으로 이동된다. 이 스프링밴드(18)는 환상구조의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척클릭(12)은 걸어맞춤부(16)의 후방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접촉편(19)을 가지며, 이 접촉편(19)은, 이음매 주통체(1)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실링피스톤(5)의 외주면상을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 접촉편(19)이 맞닿는 실링피스톤(5)에는 대경부(20)와 소경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대경부(20)는, 실링피스톤(5)이 선단부의 방향으로 이동할때에 이 접촉편(19)을 밀어올려, 척클릭(12)의 걸어맞춤부(16)를 반경방향 외방으로 이동시킨다. 또 소경부(21)는, 반대방향 즉 후단부의 방향으로 이동할때에 접촉편(19)의 밀어올림을 해제하여 척클릭(12)의 걸어맞춤부(16)의 반경방향 내방으로의 이동을 가능케 한다.
조작슬리부(22)가 이음매 주통체(1)의 선단측 외주부상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이 조작슬리브(22)의 내주면에는, 환상의 걸림돌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돌부(23)는, 각 척클릭(12)의 걸어맞춤부(16)가 반경방향 외방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을 때, 각 척클릭(12)의 외주면에서 걸려져서 조작슬리브(22)의 전진을 저지한다. 척클릭(12)의 걸어맞춤부(16)가 반경방향 내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걸림돌부(23)가 척클릭(12)의 외주면에 의한 걸림으로부터 해방되어, 조작슬리브(22)를 전진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슬리브(22)의 선단부에는, 척클릭(12)의 요동을 제어하는 요동제어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본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요동 제어수단은, 조작슬리브(22)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방으로 돌출하는 압압 돌부(24)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의 압압 돌부(24)는, 조작슬리브(22)가 전진하였을 때에, 척클릭(12)의 선단부를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 내방으로 압압하고, 척클릭(12)의 걸어맞춤부(16)가 반경방향 외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조작슬리브(22)가 후퇴하였을 때는, 압압돌부(24)에 의한 압압이 해제되기 때문에, 척클릭(12)은 요동할 수 있다.
부호 25는, 조작슬리브(22)를 전진방향으로 힘을 더해주는 압축스프링 또는코일스프링을 나타낸다. 이 코일스프링(25)은, 조작슬리브(22)와 이 조작슬리브(22)의 이동을 방지하기위한 압압슬리브와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있다.
이 압압슬리브(26)는 이음매 주통체(1)의 후단측 외주상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이음매 주통체(1)의 유체통로(2)내로 압력이 형성되어 있을때에 선단부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전진한 조작슬리브(22)의 후퇴를 저지한다. 이 압압 슬리브(26)는, 선단측의 소경내공부(27)와, 후단측의 대경내공부(28)와, 후단측의 소경내공부(27)와 대경내공부(28)와의 사이의 중경내공부(29)를 갖는다.
한편, 압압슬리브(26)가 장착되는 이음매주통체(1)의 후단부의 외면은, 소경내공부(27)가 슬라이딩하는 소경부(30)와, 대경내공부(28)가 슬라이딩하는 대경부(31)를 갖는다. 이 소경부(30)와 대경부(31)는 조립작업의 용이성등 때문에 별개부재인 통부재(3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통부재(32)는, 이음매주통체(1)의 외주면에 고착된 스톱링(33)에 의해서 이음매주통체(1)에 일체화되어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이 통부재(32)를 이음매주통체(1)에 일체 성형하여도 좋은 것은 명백하다.
이음매주통체(1)의 후단측 외주에 끼워 맞춘 압압 슬리브(26)는, 전진하였을 때에, 그 선단부가 조작슬리브(22)의 후단에 맞닿고, 후퇴하였을때에, 중경내공부(29)의 단부가 통부재(32)에 형성된 대경부(31)의 단부에 맞닿을 수 있다. 이 중경 내공부(29)의 단부가 대경부(31)의 단부에 맞닿았을 때에, 중공내공부(29)와,이음매주통체(1) 즉 통부재(32)의 소경부(30)와의 사이에, 공간부(34)가 구획된다. 이 공간부(34)는, 선단부측의 단벽은, 압압 슬리부(26)로 형성되어 있다.
압압 슬리브(26)의 내주면에는, 공간부(34)를 실하기위하여, 소경내공부(27)와 소경부(30)와의 사이를 실하는 실링(36)과, 대경내공부(28)와 대경부(31)와의 사이를 실하는 실링(37)이 설치되어 있다. 이음매 주통체(1)와 통부재(32)에는, 공간부(34)와 이음매 주통체(1)내의 유체통로(2)를 연통하는 관통공(35)이 형성되어 있다.
이음매 주통체(1)의 외주면에는, 이 이음매 주통체(1)와 통부재(32)에 형성된 관통공(35)을 끼운 위치에, 실링(38,39)이 설치되어 있다. 부호 40은 안전루프체이다.
상기한 관 이음매를 피접속관체(6)에 접속시킬 때는, 이하와 같이 한다.
우선, 조작슬리브(22)를 코일스프링(25)의 탄성력에 버티면서 후퇴한다. 이 조작슬리브(22)의 후퇴에 의해, 척클릭(12)은 압압돌부(24)에 의한 압압으로 부터 해방되고, 요동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척클릭(12)의 후단부 외주에 감은 스프링밴드(18)의 수축력과, 코일스프링(10)의 탄성력으로 전진하는 실링 피스톤(5)의 외주의 대경부(20)에 의한 척클릭(12)의 접촉편(19)의 밀어올리는 힘에 의해, 척클릭(12)은 이음매주통체(1)의 선단에 형성된 칼라부(13)를 지점으로 하여 걸어맞춤부(16)가 반경방향 외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각 척클릭(12)의 선단부가 플레어형태로 퍼지고, 대경부(20)에 맞닿는 접촉편(19)이 이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로 조작슬리브(22)를 해방하면 조작슬리브(22)는 코일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방향으로 힘이 더해진다. 이 전진방향으로 힘이 더해진 조작슬리브(22)는,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부(23)가 플레어형태의 척클릭(12)의 외주면에서 걸려져서 전진이 저지된다. 이 상태가 접속대기상태이다(도 2).
이 상태에서, 피접속관체(6)의 선단에 실링피스톤(5)의 선단을 맞닿게 해서 이 실링피스톤(5)을 밀어넣으면, 실링피스톤(5)은 코일스프링(10)의 탄성력에 버티면서 후퇴한다. 이 실링피스톤(5)의 후퇴에 수반하여, 실링피스톤(5)의 대경부(20)에 맞닿고 있는 접촉편(19)이 동 부위를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소경부(21)에 도달하였을 때, 접촉편(19)은 대경부(20)에 의한 밀어올림으로부터 해방되고, 척클릭(12)은 요동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되면, 척클릭(12)은, 그 외주면을 조작슬리브(22)로 압압하고, 칼라부(13)를 지점으로 하여, 걸어맞춤부(16)를 갖는 선단측이 반경방향 내방으로 요동한다. 걸어맞춤부(16)의 암나사부(15)가 실링피스톤(5)의 선단에 맞닿아 있는 피접속관체(6)의 선단의 숫나사부(14)에 맞물려지도록 하여 파지한다. 척클릭(12)의 요동에 수반하여 조작슬리브(22)는, 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척클릭(12)의 외주면을 미끄러지면서 전진하고, 조작슬리브(22)가 전진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조작슬리브(22)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압압돌부(24)가, 척클릭(12)의 선단부 외주를 반경방향 내방으로 압압하고, 척클릭(12)의 되돌아가는 방향으로의 요동을 방지한다(도3).
이와 같이해서 접속상태로 된 곳에서, 공급원측의 밸브(도시하지않음)를 열면 어댑터(3)의 내부통로(4)를 경유하여 이음매주통체(1)의 유체통로(2)내로 압력유체가 흐른다. 이 압력유체는, 이음매주통체(1)에 접속되어 있는 피접속관체(6)로 흐르고, 이음매 주통체(1)에 형성된 관통공(35)을 통하여 이음매 주통체(1)와 압압슬리브(26)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34)에도 흘러 들어간다. 이 공간부(34)는,선단측이 실링(36)으로 실되고, 후단측이 실링(37)으로 실되고, 더욱이 선단측 단벽이 압압슬리브로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이 공간부(34)의 선단측단벽에 작용하는 공간부(34)내의 압력에 의해, 압압슬리브(26)가 조작슬리브(22)로 향해서 선단측에 힘이 더해진다. 이것에 의해 압압슬리브(26)는 코일스프링(25)의 탄성력에 버티면서 전진하고, 조작슬리브(22)의 후단측에 맞닿고, 조작슬리브(22)의 후퇴를 저지한다(도4). 압압슬리브(26)는 공간부(34)를 따라서 유체통로(2)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큰 힘으로 선단부측으로 힘이 더해진다.
이와 같이해서 접속된 이음매 주통체(1)를 피접속관체(6)로부터 분리할 경우는, 압력유체의 공급원측의 밸브를 조이고, 압력유체의 공급을 정지시킨후, 이음매주통체(1)의 유체통로(2)내의 유체압력을 낮춘다. 이것에 의해, 압압슬리브(26)에힘을 더해주는 힘이 제거된다. 전진하여 조작슬리브(22)를 유지하고 있었던 압압슬리브(26)는 코일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후퇴하고, 조작슬리브(22)의 압압을 해제한다(도 3).
이 상태에서, 조작슬리브(22)를 코일스프링(25)의 탄성력에 버티면서 후퇴시키면, 이음매주통체(1)와 피접속관체(6)는 분리되어 도2의 접속대기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형태에 의한 관 이음매는, 피접속관체(6)에 접속할때에, 단순히 피접속관체(6)에 밀어대는 것만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 조작슬리브(22)를 후퇴시키는 것만으로 피접속관체(6)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극히 간단한 한 번의 조작만으로, 관 이음매를 피접속관체에 대하여 결합하고, 혹은 분리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관 이음매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다.
이 관 이음매는, 내부에 유체통로(101)를 갖는 이음매 주통체(10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이음매 주통체(102)의 후단부 또는 기단부에는 도시하지않은 압력유체의 공급원에 접속되는 어댑터(103)가 접속되고, 이 어댑터(103)내의 유체통로(104)가 이음매 주통체(102)의 유체통로(101)에 연통되어 있다. 이음매 주통체(102)내의 선단측의 피스톤수용공(105)에는, 통상의 실링피스톤(106)의 후단측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을 자유롭게 수용되고, 이 실링피스톤(106)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유체통로(107)가 이음매 주통체(102)의 유체통로(101)에 연통되어 있다. 실링피스톤(106)의 선단 외주에는 실링(O링)(108)이 삽입장착되어 있으며, 이 실링(108)을 통하여 실링피스톤(106)의 선단부는 피접속관체(109)내의 단부(109a)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이음매 주통체(102)와 실링피스톤(106)의 사이에는, 실링피스톤(106)의 선단측이 이음매주통체(10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힘을 더해주는 코일스프링(110)이 탄성적으로 개재되어 있다. 또 실링피스톤(106)의 후부 외주와 이음매주통체(102)의 내주의 사이는, 실부재(111)(본실시 형태에서는 O링과 백업링으로 구성되어 있다)로 실되어 있다.
이음매주통체(102)의 선단부의 내주면에는, 반경방향 내방으로 개구하는 오목부(10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02a)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 사용)의 척클릭(112)의 후단부가, 이 이음매 주통체(102)의 축선을 포함하는 면내를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척클릭(112)은 그 외주면위의 예컨대, O링 또는 코일스프링밴드로 형성된 힘을 더해주는 수단(113)에 의해, 반경방향 내방으로 힘을 더해주고 있다. 또,이 대기상태에서는 각 척클릭(112)은, 그 선단측이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링피스톤(106)의 선단측 외주에 설치되어 있는 척 도피 오목부(106a)로 끼어 들어가 있다. 이것에 의해 이것들의 척클릭(112)의 선단측 외주부에서 형성되는 원의 반경이 작아지고, 피접속관체(109)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들 척클릭(112)은, 실링피스톤(106)이 전진하였을 때에, 이 실링피스톤(106)의 외주에 설치되어서 요동제어수단을 형성하는 척압압 돌기(106b)에 의해 반경 방향 외방으로 회전 운동되고, 선단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가 피접속관체(109)의 내면에 걸어 맞춤되어 이 피접속관체(109)을 파지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척클릭(112)의 선단측의 외면에는 숫나사(112a)가 설치되고, 피접속관체(109)의 선단 내주면에는 숫나사(112a)에 맞물리는 암나사부(109b)가 설치되고, 이것들의 숫나사(112a)와 암나사부(109b)로 도 7 및 도 8 에 표시한바와 같은 맞물리는 걸어맞춤부(114)가 형성된다. 척클릭(112)의 선단으로 실링피스톤(106)에 대향하는 면에는, 척압압 돌기(106b)의 높이에 거의 같은 돌부(112b)가 돌설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척클릭(112)의 선단측의 외면이 피접속관체(109)의 선단 내주면에 맞물린 상태에서는, 도7 및 도 8 에 표시한바와 같이 각 척클릭(112)의 선단측의 외면이 피접속관체(109)의 선단 내주면과 평행으로 된다.
이음매주통체(102)의 외주에는 조작슬리브(115)가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어 맞추어져 있다. 이 조작슬리브 (115)와 실링피스톤(106)은 도 5 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음매주통체(102)에 축선방향을 따라서 대칭위치에 설치된 긴구멍(116)을 관통하는 한쌍의 연결나사(117)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실링피스톤(106)의 피접속관체(109)로부터의 분리를, 이 조작슬리브(115)의 후퇴조작으로 행할 수 있다.
조작슬리브(115)의 외주에는 링형태의 홀더(118)가 고정되고, 이 링형태 홀더(118)에는, 도5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피접속관체(109)를 구비한 봄베(119) 등의 헤드부(120)를 포위하는 안전루프체(121)가 회전자재로 연결되어 있다.
이음매주통체(102)의 후단측 외주부에는, 축선방향으로 필요한 길이의 오목부(102b)가 설치되고,이 오목부(102b)에, 통부재(123)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 통부재(123)는, 스톱링(124)에 의해 빠져나감이 방지되어 있다. 통부재(123)는,선단측이 이음매주통체(102)와 같은 지름의 소경부(123a)로형성되고, 후단측은 소경부(123a) 보다 대경의 대경부(123b)로 형성되고, 이것들의 소경부와 대경부의 사이에 단부(123c)가 설치되어 있다. 이음매주통체(102)와 통부재(123)의 사이는 실부재(125)(본 실시형태에서는 O링과 백업링으로 구성되어 있다.)로 실되어 있다. 통부재(123)와 이음매주통체(102)에 걸쳐서 압압슬리브(126)가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압압슬리브(126)의 선단측은, 통부재(123)의 소경부(123a)위를 슬라이딩가능한 소경내공부(126a)를 가지며, 후단측은 통부재(123)의 대경부(123b)위를 슬라이딩이 가능한 대경내공부(126b)를 가지며, 후부측은 통부재(123)의 대경부(123b)위를 슬라이딩이 가능한 대경내공부(126b)를 가지며, 이것들의 소경내공부와 대경내공부와의 사이에는 중경내공부(126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경내공부(126c)에 의해 압압슬리브(126)와, 이음매주통체 즉 통부재(123)와의 사이에 공간부(127)가 구획된다. 이 공간부(127)의 조작슬리브(115)에 근접한 단벽은, 압압슬리브(126)로 형성되어 있다.
또, 압압스리브(126)의 외주측은, 선단측이 소경부(126d)로 형성되고, 후단측이 대경부(126e)로 형성되고, 이것들의 소경부와 대경부와의 사이에는 중경부(126f)가 형성되어 있다. 소경부(126d)와 중경부(126f)와 대경부(126e)와의 사이에는 단부가 형성된다. 압압슬리브(126)와 통부재(123)의 사이는 실부재(128)(본 실시형태에서는 O링과 백업링으로 구성되어 있다.)로 실되어있다. 이 압압슬리브(126)의 대경부(126e)의 외주면에는 상기 압압슬리브(126)의 이동을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137)(본 실시형태에서는 칼라링)이 설치되어 있다.
이음매주통체(102)와 통부재(123)에는, 이음매주통체(102)의 유체통로(101)를 공간부(127)에 연통시키는 관통공(129,129)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슬리브(115)의 후부에는, 이음매주통체(102)의 외주위를 슬라이딩하는 소경내공부(115a)와, 압압슬리브(126)의 중경부(126f)의 외주위를 슬라이딩하는 중경내공부(115b)와, 압압슬리부(126)의 대경부(126e) 의 외주위를 슬라이딩하는 대경내공부(115c)가 설치되어 있다.
압압슬립(126)와 조작슬리브(115)와의 사이에는, 조작슬리브(115)를 선단측에 힘을 더해주는 코일스프링(130)이 탄성적으로 개재되어 있다. 이음매주통체(102)와 조작슬리브(115)에는, 코일스프링(130)의 힘을 더해주는 것에 의한 조작슬리브(115)의 전진이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톱퍼(102c,115d) 가 설치되어 있다.
이음매주통체(102)에는, 척클릭(112)이 대기위치에 있을때에, 실링피스톤(106)과 조작슬리브(115)를 걸어, 선단부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제1,제2록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링피스톤(106)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이음매주통체(102)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위치를 달리하고 그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제2의 반경방향구멍(102d,102e)이 각각 복수 설치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의 제1, 제2의 반경방향구멍(102d,102e)은, 반경방향 내방으로 축경되고, 각각 반경방향으로 이동자재로 수용한 제1,제2 의 볼(131,132)의 일부를,이음매주통체(102)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다. 제1의 볼(131)은 실링피스톤(106)을 그의 후퇴상태시에 록하고, 제2의 볼(132)은, 조작슬리브(115)를 그 후퇴상태시에 록한다. 조작슬리브(115)에는 그 후퇴상태시에 제2의 볼(132)에 의해 록되도록 단부(115e)가 설치되어 있다.
실링피스톤(106)에는, 도 6 에 표시한바와 같은 상기 실링피스톤(106)의 후퇴상태시에 반경방향 내방으로 이동된 제1의 볼(131)에 닿아 상기 실링피스톤(106)의 전진을 저지하는 동시에, 반경방향 외방으로 이동된 제2의 볼(132)을 유지시키는 볼 제어돌기(106c)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볼제어돌기(106c)의 선단측의 면(척클릭(112)이 존재하는 측)은,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으로 서서히 확경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볼제어돌기(106c)의 후단측의 면은,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으로 향해서 서서히 축경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조작슬리브(115)의 선단부와 이음매주통체(102)의 선단부와의 사이에는, 슬라이드슬리브(133)가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개재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슬리브(133)는, 실링피스톤(106)의 후퇴상태시에 제1의 볼(131)이 상기 실링피스톤(106)을 록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볼 누름부(133a)를 후부에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슬라이드슬리브(133)에는 제1의 볼(131)의 반경방향 외방으로 이동하여 이음매주통체(102)의 내주면으로부터 끌어넣기 위한 볼도피오목부(133b)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슬리브(133)는, 이음매주통체(2)의 선단부와 상기 슬라이드슬리브(133)의 선단에 지지된 스프링홀더(134)와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개재된 코일스프링(135)에 의해, 조작슬리브(115)의 선단으로부터 밖으로 돌출되도록 힘이 더해져 있다. 스프링홀더(134)는 환상구조를 가지며, 슬라이드슬리브(133)내를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드슬리브(133)로부터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톱링(136)이 슬라이드슬리브(133)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관이음매에 의해, 피접속관체(109)을 구비한 봄베(119)에 압력유체를 충전하는 조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관 이음매는, 도6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버티면서 조작슬리브(115)를 후퇴시키면, 연결나사(117)의 존재에 의해 실링피스톤(106)이 함께 후퇴 이동한다.
이 실링피스톤(106)의 후퇴이동에 수반하여 척압압돌기(106b)가 후퇴이동하면, 힘을 더해주는 수단(113)의 부세력에 의해 각 척클릭(112) 의 선단이 반경방향 내방으로 이동하여 도6 에 나타낸바와 같이 척도피 오목부(106a)에 끼어들어간다. 이 때문에 각 척클릭(112)의 선단부가 이루는 원이 소경으로 된다. 이 도6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제1의 볼(131)이 반경방향 내방으로 이동하고, 이 제1의 볼(131)에 실링피스톤(106)의 볼 제어돌기(106c)의 선단부가 걸려지고, 실링피스톤(106)을 후퇴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 이 상태에서는 제2의 볼(132)이 볼제어돌기(106c)의 후부에서 반경방향 외방으로 이동되고, 이 제2의 볼(132)로 조작슬리브(115)의 단부(115e)가 걸려지고, 조작슬리브(115)가 후퇴위치에 유지된다. 이 도 6에 나타낸상태가, 이 관 이음매의 대기상태이다.
피접속관체(109)를 접속할때는, 대기상태에 있는 각 척클릭(112)의 선단부를 피접속관체(109)내에 삽입하여, 도 7에 나타낸바와 같이 코일스프링(135) 의 탄성력에 버티면서 스프링홀더(134)의 선단을 피접속관체(109)에 밀어댄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홀더(134)의 후단부가 슬라이드슬리브(133)의 내주단부에 맞닿아서, 슬라이드슬리브(133)가 후퇴 이동한다. 제1의 볼(131)의 누름이 없어지기 때문에, 제1의 볼(131)이 볼제어돌기(106c) 의 경사면에 의해 반경방향 외방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실링피스톤(106)이 자유롭게되어 전진이동한다. 실링피스톤(106)의 전진이동으로 그 선단의 실링(O링)(108)이 피접속관체(109)내의 단부(109a)에 닿고, 또 척압압돌기(106b)의 전진이동으로 각 척클릭(112)의 선단측이 반경방향 외방으로 이동하고, 각척클릭(112)의 선단외면의 숫나사부(112a)가 피접속관체(109)의 내면의 암나사부(109b)와 맞물리며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피접속관체(109)는 확실히 접속된다. 또, 실링피스톤(106)의 전진이동으로 볼제어돌기(106c)가 전진하기 위하여, 제2의 볼(132)이 반경방향 내방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조작슬리브(115)가 자유롭게되어 스프링(130)의 부세력에 의해 전진이동한다. 조작슬리브(115)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스톱퍼부(115d)가 이음매주통체(102)의 스톱퍼부(102c)에 닿은 곳에서 전진동작이 정지한다.
안전루프체(121)는, 피접속관체(109)를 접속하는데 형편이 좋은 위치, 예컨대 어댑터(103)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고압호스에 걸리게 한 상태에서 관 이음매를 피접속관체(109)에 접속시킨 후에 봄베(119)측으로 넘어뜨려서 헤드부(120)를 포위한 상태로 한다.
접속상태로 된 곳에서, 도시하지 않은 압력유체 공급원의 콕을 열어서 어댑터(103)의 유체통로(104)에 압력유체를 흘리면, 이 압력유체가 이음매주통체(102)의 유체통로(101)로 흐르고, 또한 상기 이음매주통체(102)에 형성된 관통공(129)을 경유하여 이음매주통체(102)와 압압슬리브(126)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27)에 압력유체가 흘러 들어간다. 이 압력유체의 압력으로 압압슬리브(126)가 도8에 도시한바와 같이 전진이동하고, 전진위치에 있는 조작슬리브(115)의 후단측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조작슬리브(115)의 후퇴를 저지하고, 조작슬리브(115)를 그 위치에 록한다. 이때, 압압슬리브(126)의 표면의 표시부(137)가 조작슬리브(115)의 후단내면에 가리워지기 때문에, 압압슬리브(126)의 이동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봄베(119)에 대한 압력유체의 충전작업을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압력유체의 충전작업이 종료한 후, 봄베(119)측의 콕을 닫는 동시에 공급측에서 압력유체 공급원의 콕을 닫아서 어댑터(103)의 유체통로(104)에 대한 압력유체의 공급을 정지한다. 이후, 압력유체 공급원측의 감압밸브를 조작하여 공간부(127)의 압력유체의 잔압을 뽑아낸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130)의 부세력에 의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압슬리브(126)가 원래의 대기위치로 되돌아간다.
이 도7에 도시한 상태로 되돌아가면,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버티면서 조작슬리브(115)를 후퇴시키고, 연결나사(117)를 통하여 실링피스톤(106)을 함께 후퇴시키는 것이 가능한 도 6에 도시한 대기상태로 되돌아가게 할 수 있다. 도 6 에 도시한 상태로 되면, 각 척클릭(112)의 선단부가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여 피접속관체(109)로부터 이탈되어 피접속관체(109)에 대한 연결이 해제된다.
이 실시의 형태에 의한 관 이음매는, 피접속관체(109)와의 접속에 있어서는, 안전루프체(121)에 연동시켜서 접속조작을 행하지 않고, 단순히 피접속관체(109)에 밀어대고, 또 분리에 있어서는 단순히 조작슬리브(115)를 후퇴시킨다고 하는 원터치조작에 의해 행할 수 있으므로 접속분리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접속상태에 있어서의 조작슬리브(115)의 록에 대하여 특별한 조작을 행하는 일없이 유로내의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조작슬리브(115)의 록을 행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높은 관 이음매를 얻을 수 있다. 또, 안전루프체(121)에 연동하지않고 접속조작을 행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요인으로 넘어뜨린 상태에 있는 안전루프체(121)에 기립방향으로의 힘이 가하여지더라도, 접속이 빠지는 일이 없이 안전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관 이음매에서는, 이음매주통체의 외주부위를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압압슬리브가 이음매주통체와 함께 구획하는 공간부의 조작슬리브측단벽을 형성하고, 유체통로내의 압력유체를 이 공간부에 송입하므로써 압압슬리브를 조작슬리브로 향해서 이동하여, 조작슬리브의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에 의해 피접속관체를 파지한 척클릭은, 조작슬리브에 연결된 요동제어수단에 의해 요동이 방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유체통로 내를 흐르는 압력유체의 압력이 높을수록 큰 힘으로 조작슬리브의 되돌아감이 저지되고, 이 조작슬리브의 되돌아감을저지하기 위한 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은 필요치 않다,
본 발명의 관 이음매는, 가스봄베 등에의 고압가스의 공급 또는 펌프 등의 고압원에의 관로의 접속을 위한 용도에 퍽 유익하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해서, 여러 가지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와의 관련에서 설명해 왔으나, 본 발명은 어느하나의 실시의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그 범위는, 첨부한 청구범위의 기재에 따라서 해석되는 것이다.

Claims (10)

  1. 유체통로(2,101)와 이 유체통로에 연통하는 축방향 구멍을 갖는 이음매 주통체(1,102)와, 이 축방향 구멍내에 실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이 이음매 주통체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선단부가 피접속관체에 유체접속가능한 중공구조의 실링피스톤(5,106)과, 이 실링피스톤을 선단부의 방향으로 힘을 더해주는 부세수단(10,110)과, 각각 이음매 주통체의 선단부에서, 이 이음매 주통체의 축선을 포함하는 면내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선단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가 실링피스톤에 유체접속된 피접속관체를 파지하는 파지위치와 피접속관체를 착탈가능하게하는 대기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복수의 척클릭(12,112)과, 파지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척클릭의 요동을 방지하는 유지위치와 대기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척클릭의 요동을 가능하게 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이음매 주통체의 축방향을 따라서 안내되는 요동제어수단(24,106b)과, 이음매 주통체(1,102)의 외주상에 장착되고 또한 이 요동제어수단에 연결되고, 피접속관체를 분리하기 위하여, 요동제어수단을 유지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수동에 의해 이동가능한 조작슬리브(22,115)를 구비하는 관 이음매이며,
    상기 이음매주통체(1,102)의 외주부상에서 조작슬리브(22,115)에 인접시켜서 장착되고,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압압슬리브(26,126)와, 이 이음매 주통체와 압압슬리브와의 사이에 구획되고, 압압슬리브가 조작슬리브에 근접한 단벽을 형성하는 공간부(34,127)와, 이음매 주통체 내에 연설되고, 상기 공간부(34,127)와 유체통로(2,101)를 연통하는 관통공(35,129)을 구비하고, 유체통로로부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공간부(34,127)내로 유입하는 압력유체에 의해, 상기 압압슬리브(26,126)를 조작슬리브(22,115)로 향해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조작슬리브가 요동제어수단을 유지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피접속관체의 분리를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슬리브(22,115)와 압압슬리브(26,126)와의 사이에, 압축스프링(25,130)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슬리브(26,126)는, 공간부(34,127)내로 보내지는 압력유체에 의해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슬리브(22,115)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주통체(1)는, 상기 선단부에, 반경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칼라부(13)를 가지며, 상기 실링피스톤(5)에는, 그 선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향해서, 피접속관체에 대하여 실하는 실링(7)과, 소경부(21)와, 대경부(20)가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척클릭(12)은, 각각 상기 칼라부(13)에 맞물리는 걸림오목부(17)와, 이 걸림오목부(17)와 걸어맞춤부(16)와의 사이의 부위로부터 실링피스톤(5)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접촉편(19)을 가지며, 이들 척클릭(12)은 접촉편(19)이 소경부(21)위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 파지위치에 배치되고, 실링피스톤(5)이 선단부의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접촉편(19)이 실링피스톤(5)의 대경부(20)에서 압압됨으로써, 걸림오목부(17)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어 파지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슬리브(22)는 상기 척클릭(1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요동 제어수단은 이 연장부의 내주로부터 돌출하여 척클릭(12)의 대향하는 면에 걸어맞춤이 가능한 돌부(24)를 가지며, 척클릭(12)이 대기위치에 있을 때에, 이들 척클릭(12)으로 돌부(24)가 걸려짐으로써, 조작슬리브 및 요동제어수단이 개방위치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매.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주통체(102)는, 상기 선단부에 형성되어 반경방향 내방으로 개구하는 오목부(102a)와, 상기 척클릭(112)이 대기위치에 있을 때에, 실링피스톤(106)과 조작슬리브(115)를 걸고, 실링피스톤의 선단부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제2 록수단을 가지며, 상기 척클릭(112)은, 후단부에서 이 이음매주통체의 오목부(102a)에 맞물리고, 선단부에 실링피스톤(106)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돌부(112b)를 가지며, 상기 실링피스톤(106)은, 선단부로부터 축방향 내방으로 향해서, 피접속관체(109)에 대하여 실하는 실링(107)과, 반경방향 외방으로 개구되고, 척클릭(112)이 대기위치에 있을 때에, 이 척클릭의 돌부(112b)를 수용하는 환상오목부(106a)와, 반경방향 외방으로 돌출하고, 선단부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척클릭을 대기위치로부터 파지위치로 압압하는 압압돌부(106b)와, 상기 제1, 제2 록수단에 걸어맞추어 실링피스톤(106)과 조작슬리브(115)가 이음매주통체(10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걸리게 하기 위한 제어돌기(106c)를 가지며, 제2 록수단은, 제1록수단이 실링피스톤(106)의 걸림을 해제하였을 때에, 조작슬리브(115)의 걸림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록수단은, 이음매주통체(102)의 선단부의 근부에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또한 이음매주통체(102)의 반경방향 내방으로 향해서 축경된 복수의 반경방향구멍(102d)과, 이들 반경방향 구멍내로 수용되고, 그 일부가 이음매주통체(102)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가능한 복수의 볼(131)과, 이음매주통체(102)의 상기 선단부의 근부에서 외주부상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장착되어 각 볼을 이음매주통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누름부(133a)와 각 볼을 끌어넣는 오목부(133b)를 갖는 슬라이드슬리브(133)를 구비하고, 이 슬라이드슬리브(133)는, 이음매주통체(102)의 선단부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스프링으로 힘을 더 해주고, 조작슬리브(115)에 의해, 누름부(133a)가 반경방향 구멍(102d)상에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더욱 선단부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록수단은, 상기 제1록수단의 반경방향 구멍(102d)보다도, 선단부로부터 축방향 내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또한 이음매주통체(102)의 반경방향 내방으로 향해서 축경된 복수의 반경방향 구멍(102e)과, 이들 반경방향 구멍 내에 수용되고, 그 일부가 이음매주통체(102)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가능한 복수의 볼(132)과, 상기 조작슬리브(115)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각 볼을 이음매주통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단부(115e)와, 이 단부(115e)의 선단부측에 형성된 연장부를 구비하고, 이 연장부는, 이음매주통체(10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슬라이드슬리브(133)를 슬라이딩시키는 환상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단부(115e)는, 실링피스톤(106)이 볼(132)에 걸어 맞춤되었을 때에, 이 볼(132)에 걸어 맞춤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매.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슬리브(115)와 실링피스톤(106)은, 적어도 1개의 연결나사(117)로 서로 연결되고, 이 연결나사는, 이음매주통체(102)를 반경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구멍(116)을 통해서, 이음매주통체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척클릭(12,112)은, 대기위치로 향해서 스프링으로 힘이 더 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매.
KR1020007000356A 1997-07-28 1998-07-28 관 이음매 KR100362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01847 1997-07-28
JP20184797A JP3380714B2 (ja) 1997-07-28 1997-07-28 管継手
JP10-119161 1998-04-28
JP11916198A JP3265259B2 (ja) 1998-04-28 1998-04-28 管継手
PCT/JP1998/003354 WO1999005444A1 (fr) 1997-07-28 1998-07-28 Raccord de tuyau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792A true KR20010021792A (ko) 2001-03-15
KR100362235B1 KR100362235B1 (ko) 2002-11-23

Family

ID=2645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356A KR100362235B1 (ko) 1997-07-28 1998-07-28 관 이음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62235B1 (ko)
DE (1) DE19882564C2 (ko)
WO (1) WO19990054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16647B4 (de) * 2006-04-08 2010-08-19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ung für Medienleitungen
WO2012021642A2 (en) * 2010-08-10 2012-02-16 Konishi Howard M Rapid-connect coupler
ES2961816T3 (es) 2011-03-21 2024-03-14 Engineered Controls Int Llc Acoplador de conexión rápida con parada de descarga
CN110594520B (zh) 2015-04-27 2021-03-30 国际工程控制公司 流体耦合器
ES2965302T3 (es) 2015-12-03 2024-04-12 Engineered Controls Int Llc Boquillas y receptáculos de bajas emisiones
DE102017126459B4 (de) * 2017-11-10 2021-07-08 U.M. Gewerbeimmobilien Gmbh & Co. Kg Kupplungselement für eine Hydraulikkupplung
DE102017126479B4 (de) * 2017-11-10 2019-09-26 U.M. Gewerbeimmobilien Gmbh & Co. Kg Kupplungselement für eine Hydraulikkupplu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5110Y2 (ko) * 1986-04-18 1990-09-21
JPH0235111Y2 (ko) * 1986-11-10 1990-09-21
DE8712845U1 (ko) * 1987-02-11 1988-06-16 Erwin Weh
JPH0239111Y2 (ko) * 1987-06-17 1990-10-19
DE8709818U1 (ko) * 1987-07-17 1988-11-10 Erwin Weh
US5209528A (en) * 1987-07-17 1993-05-11 Erwin Weh Pressure-tight plug coupling
DE9204384U1 (ko) * 1992-03-31 1992-07-09 Weh Gmbh, Verbindungstechnik, 7918 Illertissen, De
DE29711842U1 (de) * 1997-07-07 1998-08-06 Weh Verbindungstechnik Schnellanschlußkupp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2235B1 (ko) 2002-11-23
DE19882564T1 (de) 2000-08-10
DE19882564C2 (de) 2002-02-28
WO1999005444A1 (fr) 199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4574B2 (en) Hydrostatic testing tool and methods of use
CN107429866B (zh) 宽公差流体连接器
US2937666A (en) Internal tube seal
US6073974A (en) High pressure coupling
JP3942644B2 (ja) 迅速結合継手
JP2003509218A (ja) フェルールのスエージ加工装置
KR100362235B1 (ko) 관 이음매
US7918002B2 (en) Tubing disconnect tool and a method of disconnecting tubing
JPH0620953Y2 (ja) 管継手のソケット
JP2004084934A (ja) 管継手
CN109642693A (zh) 内螺纹夹持的流体连接器
JP2003172487A (ja) 連結装置
JP4115395B2 (ja) 接続カップリング
JP4662847B2 (ja) 流体管継手
US20120001418A1 (en) Connector
JPS60500333A (ja) タイヤ弁継手
KR100537777B1 (ko) 원터치 튜브커넥터
JPH04185992A (ja) 管継手
EP1030993A1 (en) Quick-action coupling
JP2758380B2 (ja) 流体圧機器の雌ねじポート用接続具
JP2002327885A (ja) 管継手のソケット
US5022630A (en) Pipe connector for a high-pressure fluid pipe
JPH083825Y2 (ja) 管継手
JPH07178480A (ja) 管端膨出部形成装置
JP2022090183A (ja) 自動接続用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