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0917A - 차량의 횡단보도 알림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횡단보도 알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0917A
KR20010020917A KR1020000028937A KR20000028937A KR20010020917A KR 20010020917 A KR20010020917 A KR 20010020917A KR 1020000028937 A KR1020000028937 A KR 1020000028937A KR 20000028937 A KR20000028937 A KR 20000028937A KR 20010020917 A KR20010020917 A KR 20010020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rosswalk
car
radio wav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용식
Original Assignee
유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용식 filed Critical 유용식
Priority to KR1020000028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0917A/ko
Publication of KR20010020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91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중인 차량에게 전방에 횡단보도가 있음을 인식시켜 주어 미리 차량의 속도를 줄여줄수 있도록 하므로서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안전하게 횡단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줄수 있도록 한 차량의 횡단보도 알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횡단보도의 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행및 정지를 알려주게 되는 신호등(10)에 설치하여 횡단보도 전방에 도달하게 되는 차량을 감지할수 있도록 하는 차량감지부(20)와; 상기 차량감지부에 차량이 감지되면 이의 신호에 의해 전파를 발사시켜 주는 전파발사부(30)와; 차량의 외부 적당한 위치에 밧데리(40)와 연결시켜 전파발사부로 부터 발사되는 전파를 감지하는 전파감지부(50)와; 상기 전파감지부에 전파가 감지되면 스위치(SW)를 ON 시켜 밧데리의 전원이 인가되어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70)로 음이 발생될수 있도록 하는 음발생부(60)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횡단보도 알림시스템 {The alarm system of cross over}
본 발명은 차량의 횡단보도 알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횡단보도 전방에 주행중인 차량이 진입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주행중인 차량에 신호음을 발생시켜 주어 운전자가 전방에 횡단보도가 있음을 인식하여 미리 차량의 속도를 줄여줄수 있도록 하므로서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안전하게 횡단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줄수 있도록 한 차량의 횡단보도 알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도로를 빠른 속도로 주행하는 것으로서 사람의 이동수단및 물건등의 운반에 매우 편리한 것으로 현대 문명사회에서 없어서는 안될 필수적인 것임은 물론, 최근에는 거의 한가정에 한대의 꼴로 보급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차량은 현대문명사회에서 필수적인 것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의 차량을 과격하게 운행시켜 주거나 신호를 무시하는 사례가 많아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어 차량을 운행하는 자신이나 다른 차량을 운행하는 사람 또는 보행자에게 불행을 안겨주는 등의 무서운 흉기로도 둔갑할수 있는 것이다.
예를들어 도로는 차량이 주행하기 위한 도로이기는 하나, 도로의 중간 중간에 횡단보도를 설치하여 도로를 횡단하고자 하는 보행자가 안전하게 도로를 횡단할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횡단보도에는 보편적으로 신호등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신호등의 신호에 따라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나 횡단보도를 횡단하려는 보행자가 안전하게 보행할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그러나, 차량의 운전자가 규정속도를 위반한 과속 상태에서는 횡단보도가 시야에 들어온 상태에서는 상기 횡단보도 전방에서 안전하게 차량을 정지시켜 주지 못하게 되어 그대로 지나치게 되는데, 특히 어두운 밤 또는 주변의 여건 예를들어 비가 많이 내리거나 먹구름이 심하게 끼어 있을 경우에는 운전자로서는 전방을 확인할수 있는 시야가 짧아져 횡단보도와 상기 횡단보도를 횡단하고 있는 보행자를 식별하지 못해 뒤늦게 급 정거를 하거나 그렇치 못할 경우에는 횡단보도를 그대로 지나치게 됨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으며, 실제로 횡단보도를 횡단하고 있는 보행자를 치어 귀중한 생명을 잃게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중인 차량이 횡단보도의 일정거리에 도달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차량으로 전파를 발사시켜 주어 차량으로 부터 신호가 발생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전방에 횡단보도가 있음을 인식하여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를 낮추어 주므로서 횡단보도의 전방에서 급정거가 일어나지 않고 안전하게 차량을 정지시켜 줄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보행자로서는 안전한 상태에서 횡단보도를 건널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개략적인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흐름도를 보인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신호등 20:차량감지부
30:전파발사부 40:밧데리
50:전파감지부 60:음발생부
70:스피커 80:조도감지부
SW,SW1:스위치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블럭도로서, 횡단보도의 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행및 정지를 알려주게 되는 신호등(10)에 설치하여 횡단보도 전방에 도달하게 되는 차량을 감지할수 있도록 하는 차량감지부(20)와; 상기 차량감지부에 차량이 감지되면 이의 신호에 의해 전파를 발사시켜 주는 전파발사부(30)와; 차량의 외부 적당한 위치에 밧데리(40)와 연결시켜 전파발사부로 부터 발사되는 전파를 감지하는 전파감지부(50)와; 상기 전파감지부에 전파가 감지되면 스위치(SW)를 ON 시켜 밧데리의 전원이 인가되어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70)로 음이 발생될수 있도록 하는 음발생부(60)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때, 신호등에 설치되는 차량감지부(20)로 부터 발사되는 전파는 횡단보도(80)로 부터 약 30 - 50M 전방에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할수 있을 정도의 전파가 발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음발생부로 부터 발생되는 음은 필요에 따라 횟수및 음의 발생 길이는 설정할수 있게되어 있으며, 스피커로 전달되는 경로는 라듸오의 전원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상태로 하여 전원이 공급될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신호등(10)에 설치된 차량감지부(20)로 부터 전파가 발사되는데, 이때 발사되는 전파는 횡단보도 전방 약 30 - 50M에 위치하는 차량만이 전파를 받을수 있도록 하여 도로를 주행중인 차량이 차량감지부(20)로 부터 발사되는 전파에 부딪히면 이를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고,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면 차량감지부(20)로 부터 신호를 전달받은 전파발사부(30)에서 전파가 발사되는 것이고, 발사된 전파는 차량에 부착되어 밧데리(40)의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전파감지부(50)에 감지되는 것이며, 상기 전파감지부에 전파가 감지되면 스위치(SW)가 ON 됨에 따라 밧데리의 전원이 음발생부(60)로 인가되어 이로 부터 발생되는 음이 스피커(70)를 통해 발산되므로서 운전자가 스피커로 부터 발산되는 신호음에 의해 전방에 횡단보도가 있음을 인식하게 되어 차량의 주행 속도를 안전하게 줄여 주므로서 운전자로서는 안전운행을 할수 있게되는 것이고,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보행자에게는 안전한 횡단을 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감지부(80)에 의해 조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조도에 이루게 되면 스위치(SW1)를 온시켜 주어 차량을 감지할수 있도록 할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조도감지부(80)에 의해 일정 이상의 조도가 감지되면 스위치(SW1)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어 차량김지부(20)가 작동되지 않게되는 것이고, 일정 이하의 조도가 감지되면 스위치(SW1)를 온시켜 주어 차량감지부(20)가 주행중인 차량을 감지할수 있도록 할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에게 전방의 일정범위내에 횡단보도가 있을 경우 경보음에 의해 횡단보도가 있음을 인식시켜 주어 횡단보도가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아도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켜 주도록 하므로서, 안전운행을 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로인해 횡단보도를 보행하는 보행자가 안전하게 횡단할수 있어 횡단보도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시켜 줄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횡단보도의 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행및 정지를 알려주게 되는 신호등(10)에 설치하여 횡단보도 전방에 도달하게 되는 차량을 감지할수 있도록 하는 차량감지부(20)와; 상기 차량감지부에 차량이 감지되면 이의 신호에 의해 전파를 발사시켜 주는 전파발사부(30)와; 차량의 외부 적당한 위치에 밧데리(40)와 연결시켜 전파발사부로 부터 발사되는 전파를 감지하는 전파감지부(50)와; 상기 전파감지부에 전파가 감지되면 스위치(SW)를 ON 시켜 밧데리의 전원이 인가되어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70)로 음이 발생될수 있도록 하는 음발생부(60)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횡단보도 알림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차량감지부(20)는 조도(照度)를 감지하여 주는 조도감지부(80)에 의해 일정 이하의 조도가 감지되면 스위치(SW1)가 ON 되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차량감지부(30)가 작동될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횡단보도 알림시스템.
KR1020000028937A 1999-08-18 2000-05-29 차량의 횡단보도 알림시스템 KR20010020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937A KR20010020917A (ko) 1999-08-18 2000-05-29 차량의 횡단보도 알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137 1999-08-18
KR19990034137 1999-08-18
KR1020000028937A KR20010020917A (ko) 1999-08-18 2000-05-29 차량의 횡단보도 알림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917A true KR20010020917A (ko) 2001-03-15

Family

ID=26636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937A KR20010020917A (ko) 1999-08-18 2000-05-29 차량의 횡단보도 알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09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4632B2 (en) 2006-11-27 2011-02-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of estimating center line of interse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4632B2 (en) 2006-11-27 2011-02-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of estimating center line of inters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US99879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related work zone intrusion detection
US20090256698A1 (en) Brake light warning system with early warning feature
US20100134266A1 (en) Vehicular system having a warning system to alert motorists that a mobile phone is in use
US9165460B2 (en) Pedestrian warning light system for vehicles with illumination in different directions
KR101750008B1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CZ299159B6 (cs) Zarízení pro projekci svazku laserových paprsku zvozidla do jeho okolí
KR20200082970A (ko) 복합 신호등 장치
JP2001233138A (ja) 自動車内で使用する移動電話のための警告装置
KR101748804B1 (ko) 자전거 사고 방지를 위한 능동형 안전 시스템
KR20180059663A (ko) 긴급차량 접근 알림 신호 시스템
KR102034285B1 (ko) 감지 장치와 경보 수단을 이용한 안전 보행 시스템
JP3832955B2 (ja) 交通安全システム
KR100980486B1 (ko) 횡단보도 보행자 사전 감지 및 안전운전 경고장치
US200201758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warning of an upcoming precautionary zone
KR20110116929A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KR20010020917A (ko) 차량의 횡단보도 알림시스템
KR20030080842A (ko) 차량의 과속 및 도로상태 표시장치
KR200249452Y1 (ko) 보행자 안전장치
KR20190057465A (ko) 초지향성 스피커를 포함하는 경고 안내 출력 시스템
JP2005084940A (ja) 車両接近警報装置
US20060061484A1 (en) Wireless system for notifying a driver of an oncoming emergency vehicle
KR102568530B1 (ko) 바닥신호등과 연동되는 횡단보도조명장치
KR200164558Y1 (ko) 도로작업차량의후방감시/경보장치
KR101377991B1 (ko) 보행자의 안전을 고려한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