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0898A - 압전 소자 - Google Patents

압전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0898A
KR20010020898A KR1020000028046A KR20000028046A KR20010020898A KR 20010020898 A KR20010020898 A KR 20010020898A KR 1020000028046 A KR1020000028046 A KR 1020000028046A KR 20000028046 A KR20000028046 A KR 20000028046A KR 20010020898 A KR20010020898 A KR 20010020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substrate
axis
base body
piezoelectr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3838B1 (ko
Inventor
기무라마사히코
안도아키라
사와다다쿠야
오가와히로즈미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무라타 야스타카
Publication of KR20010020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8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17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 H03H9/177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of the energy-trap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 C04B35/46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titanates
    • C04B35/47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titanates based on bismuth tit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60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 C04B35/6261Milling
    • C04B35/6262Milling of calcined, sintered clinker or ceramic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2007Details of bulk acoustic wave devices
    • H03H9/02015Characteristics of piezoelectric layers, e.g. cutting angles
    • H03H9/02031Characteristics of piezoelectric layers, e.g. cutting angles consisting of ceramic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2007Details of bulk acoustic wave devices
    • H03H9/02157Dimensional parameters, e.g. ratio between two dimension parameters, length, width or thickne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3Ceramic compositions
    • H10N30/8561Bismuth-based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05Alkaline earth oxides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beryllium oxide
    • C04B2235/3208Calcium oxide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lim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60Aspects relating to the preparation, properties or mechanical treatment of green bodies or pre-forms
    • C04B2235/604Pressing at temperatures other than sintering temper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4Physical characteristics
    • C04B2235/78Grain sizes and shapes, product microstructures, e.g. acicular grains, equiaxed grains, platelet-structures
    • C04B2235/787Oriented gra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고온 내열성(high-temperature resistance) 및 고주파 저손실(little high-frequency loss) 특성이 있는 층상의 회티탄계(perovskite)구조를 갖는 압전 세라믹을 이용하는 에너지 트래핑(energy-trapping) 효과에 의하여, 실제적인 사용에 적용될 수 있는 전기기계 결합계수(electromechanical coefficient)를 갖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device)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압전 소자는 층상의 회티탄계 구조을 갖는 압전 세라믹으로 형성된 기판을 가지고 있다. 기판에서 c 축은 우선적으로 그 폭방향(width direction)으로 배향되고 상기 기판은 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으로 분극되어 있다. 두 개의 전극은 기판의 양쪽 주면(maim surface)에 형성되어, 기판의 중앙부에서 대향하고 있다. 기판으로 사용되는 재료로서 바람직하게는, 일반식 CaBi4Ti4O15로 표현되는 세라믹 조성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압전 세라믹 조성물이 이용된다.

Description

압전 소자{Piezoelectric Device}
본 발명은 압전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통신용 필터나 클럭 발생기(clock generator)에 사용되는 오실레이터(oscillator)용의 압전 소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통신용 필터나 클럭 발생기에 사용되는 오실레이터에 사용되는 압전 공진기로서, 티탄산 납 지르코네이트(lead titanate zirconate; Pb(TixZr1-x)O3) 또는 티탄산 납(lead titanate; PbTiO3)을 주성분으로 하는 압전 세라믹으로 형성되어, 압전 세라믹의 전단 진동(shear vibration)을 이용하는 압전 소자가 광범위하게 이용되었다. 일반적으로, 상기 압전 소자는 직각의 압전 세라믹으로 형성된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양쪽 주면에 제공된 전극을 가지고 있다. 전극은 기판의 전면에 형성되지는 않고, 표면의 일부에 형성되어 전극의 일부분이 서로 대향하도록 한다.
상기 설명된 압전 소자에 있어서, 압전 세라믹의 타입 및 전극의 모양을 적당하게 선택함으로써, 압전 세라믹의 압전 진동에서의 에너지를 서로 대향하고 있는 전극 사이의 영역에 편재시키는 현상, 즉 에너지 트래핑(energy-trapping)을 실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일의 압전 진동모드를 얻을 수 있고, 통신용 필터 및 클럭 발생기에 사용되는 오실레이터용의 압전 공진기와 같은 효과적인 압전 소자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압전 세라믹은 고온 내열성이 부족하고 고주파 영역에서 손실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CaBi4Ti4O15및 PbBi4Ti4O15와 같은 층상의 회티탄계 구조를 갖는 압전 세라믹은, 티탄산 납 지로코네이트 또는 티탄산 납을 주성분으로 하는 압전 세라믹에 비하여 고온 내열성, 고주파 저손실과 같은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상기 압전 세라믹은 고온의 조건 또는 고주파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압전 공진기용의 적당한 재료로 기대된다. 그러나, 상기 압전 세라믹은 결정 내에서 강한 이방성(anisotropic characteristics)을 나타내기 때문에, 압전 세라믹에 대한 일반적인 제조방법에 의해서는 높은 전기기계 결합계수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큰 전기기계 결합계수를 얻기 위하여, 층상의 회티탄계 구조를 갖는 압전 세라믹에서의 c-축을 우선적으로 한쪽 방향으로 배향하게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T. Takenaka 등은, 핫 포징 법(hot forging method)에 의하여 형성된 PbBi4Ti4O15과 같은 배향성의 세라믹을 이용하는 실린더형 오실레이터의 수직 기본진동에서, 종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압전 세라믹의 전기기계 결합계수의 1.6배를 얻었다고 발표했다(J. Appln. Phys., vol. 55, No. 4, 15(1984).
일반적으로, 통신용 필터 및 클럭 발생기에 사용되는 오실레이터용의 압전 공진기를 얻기 위하여, 약간의 의사 진동(spurious vibration)을 갖는 단일의 압전 진동모드가 필요하다. 수직 진동 및 전단 진동을 이용하는 압전 소자에 있어서, 대향하는 전극을 사용하는 트랩 에너지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단일의 모드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압전 세라믹의 포아송 비율(Poisson ratio)이 1/3 이하일 때, 수직의 기본 진동은 에너지를 트랩(trap)할 수 없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CaBi4Ti4O15및 PbBi4Ti4O15와 같이 층상의 회티탄계 구조를 갖는 대부분의 압전 세라믹의 포아송 비율은 1/3 이하이기 때문에 에너지를 트랩하기가 어렵다.
고차의 하모닉(harmonic) 수직 진동에 있어서, 기본파에 비하여 포아송 비율의 제한이 그렇게 엄격하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를 트랩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기본파에 비하여 전기기계 결합계수는 상당히 감소된다. 따라서, 하나의 진동 모드가 얻어졌다고 하더라도, 압전 공진기로의 응용은 제한된다. 반대로, 전단 진동과 관련하여, 전기기계 결합계수는 수직 진동에서의 값과 비슷한 수준이며, 포아송 비율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c-축이 우선적으로 한 방향으로 배향된 층상의 회티탄계 구조를 갖는 압전 세라믹을 사용하여, 전단 진동의 에너지를 트랩하려는 실험이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CaBi4Ti4O15및 PbBi4Ti4O15와 같은 층상의 회티탄계 구조를 갖는 압전 세라믹이, 종래의 압전 재료에서는 제공되지 않았던 고온 내열성 및 고주파 저손실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통신용 필터 및 클럭 발생기에 사용되는 실제로 사용될 수 있는 오실레이터용의 압전 공진기는 아직까지 제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고온 내열성 및 고주파 저손실 특성이 있는 층상의 회티탄계 구조를 갖는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에너지 트래핑 효과에 의하여, 실제로 사용 가능한 전기기계 결합계수(20% 이상)를 갖는 압전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소자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c-축이 우선적으로 배향(orient)된 소성 시료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b 내지 2d는 도 2에 나타난 소성 시료로부터 잘라내어 얻은 기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서 형성된 기판에 전극을 형성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압전 소자는 층상의 회티탄계 구조를 갖는 압전 세라믹으로 구성된 기판(substrate) 및 상기 기판에 제공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되, 이 경우 기판에서 하나의 결정축(crystal axis)은 우선적으로 배향되어 있고, 기판은 결정축이 우선적으로 배향되어 있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분극되어 있으며, 복수의 전극은 결정축이 우선적으로 배향되어 있는 방향과 대략 평행하고 기판이 분극되어 있는 방향과도 역시 대략 평행한 기판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전 소자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일반식 CaBi4Ti4O15로 표현되는 세라믹 조성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압전 세라믹 조성물을 사용하는 압전 세라믹으로 형성되어 있다.
층상의 회티탄계 구조를 갖는 압전 세라믹으로 구성된 기판에 전극이 형성될 때, 및 기판이 분극되는 방향과 기판에서 하나의 결정축이 우선적으로 배향되는 방향이 대략 수직하며, 또한 기판에서 결정축이 우선적으로 대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할 뿐 아니라 기판이 분극된 방향에 대하여도 역시 대략 평행한 기판의 표면에 전극이 형성될 때, 우수한 고온 내열성 및 고주파 저손실이 얻어진다. 또한, 그렇게 얻어진 소자는 실제로 사용가능한 전기기계 결합계수를 가진다.
상기 설명한 압전 소자에 있어서, 특히 일반식 CaBi4Ti4O15로 표현되는 세라믹 조성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된 압전 세라믹 조성물이 사용될 때, 우수한 공진주파수의 온도 안정성이 얻어진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목적,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고로 하는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진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소자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압전 소자 10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평행육면체(parallelepiped) 형상의 기판 12를 포함한다. 기판 12의 재료로서 CaBi4Ti4O15등이 사용된다. 기판 12는 층상의 회티탄계 구조를 가지며, c-축은 실선의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기판 12의 폭 방향으로 우선적으로 배향된다. 또한, 점선의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기판 12는 그 길이 방향으로 분극되어 있다. 첫 번째 전극 14 및 두 번째 전극 16은 각각 기판 12의 두께 방향에 대한 각 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첫 번째 전극 14는 기판 12의 길이 방향의 한 쪽 끝에서부터 중앙부까지 형성되어 있다. 두 번째 전극 16은 기판 12의 길이방향의 다른 쪽 끝에서부터 중앙부까지 형성되어 있다. 첫 번째 전극 14 및 두 번째 전극 16은 기판 12의 중앙부 근처에서 서로 대향되어 있다. 따라서, 첫 번째 전극 14 및 두 번째 전극 16은, c-축이 우선적으로 배향되어 있는 방향(이하 "c-축의 우선 배향 방향" 이라 한다)과 평행하고, 기판이 분극된 방향(이하 "분극 방향" 이라 한다)과 평행한 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압전 소자 10에 있어서, c-축의 우선 배향 방향 및 분극 방향이 수직으로 교차하고, 첫 번째 전극 14 및 두 번째 전극 16이 상기 양쪽의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표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단 진동의 에너지 트랩을 실현할 수 있고, 의사 진동이 없는 단일의 압전 진동 모드를 얻을 수 있다. 기판 12를 형성하는 압전 세라믹에서 c-축이 우선적으로 배향되지 않은 경우, 또는 c-축의 우선 배향 방향과 분극 방향의 관계 또는 상기 방향들과 전극의 관계가 상기 설명과 다른 경우와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소자 10의 전기기계 결합계수는 더 크며, 또한 더 우수한 공진 주파수의 온도 변화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압전 소자 10에 사용된 기판이 CaBi4Ti4O15와 같은 층상의 회티탄계 구조를 갖는 압전 세라믹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우수한 고온 내열성, 적은 고주파 손실 등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c-축의 우선 배향 방향 및 분극 방향이 서로 대략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으며, 그 사이의 수직점에 대하여 10° 이상을 벗어나지 않는 각도, 즉 80° 내지 100°의 범위에서 교차할 때, 본 발명의 이점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첫 번째 전극 14 및 두 번째 전극 16은 c-축의 우선 배향 방향 및 분극 방향과 대략 평행한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전극이 이러한 방향과 평행한 표면으로부터 10°이하로 경사져 있을 때는 본 발명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출발 재료로서 CaO, Bi2O3및 TiO2를 준비하고, CaBi4Ti4O15의 조성을 얻기 위하여 양을 측정한 후, 상기 출발 재료를 볼 밀(ball mill)로 4 시간 동안 습식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건조 후 상기 혼합물을 900℃에서 사전 소성(pre-bake)하고, 대략 조분하고(coarsely pulverize), 상기 혼합물에 적당한 양의 유기 바인더를 첨가한 후, 볼 밀을 사용하여 4시간 동안 습식 분쇄하였다. 입자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이렇게 제조된 결과물을 # 40의 체로 걸렀다. 다음으로, 상기 결과물을 1,000 kg/cm2의 압력에서 성형하여, 지름 20mm 및 두께 10mm인 실린더를 형성하고, 그렇게 형성된 실린더를 600℃에서 열처리하여 유기 바인더를 제거하여 전처리된 시료를 얻었다.
상기 전처리 시료를 단일축 압축(mono-axial pressing)에 의하여 전체 1톤의 압력에서 그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는 동안, 상기 전처리 시료를 1,200℃에서 2시간 동안 소성하여 소성된 시료를 얻었다. 상기 소성된 시료를 x-선 분석에 의하여 평가했을 때, 도 2a에서 화살표로 나타난 바와 같이, 단일축 압축 방향에 따라 c-축이 우선적으로 배향된 소성 시료가 얻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소성 시료를 하기 세가지 다른 방법에 의해 길이 10mm, 폭 2.5mm, 두께 0.25mm의 직사각형의 기판으로 잘랐다.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주면이 c-축 배향 방향(소성 시료의 두께 방향)에 평행하고, 길이 방향이 그와 직각이 되는 기판을 시료 1로 정하였다.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주면이 c-축 배향 방향에 평행하고, 길이 방향도 그와 평행이 되는 기판을 시료 2로 정하였다. 또한 도 2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주면이 c-축 배향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기판을 시료 3으로 하였다. 도 2b 내지 2d에서 실선 화살표는 c-축 배향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전처리 시료는 공기 중, 1,200℃에서 2시간 동안 소성 하였다. 결과물인 소성 시료를 x-선 분석에 의하여 평가하였을 때, 어떠한 배향도 관찰할 수 없었다. 상기 소성된 시료 역시, c-축의 우선 배향을 갖는 소성 시료에서 절단한 시료 1 내지 3과 비슷하게, 길이 10mm, 폭 2.5mm, 두께 0.25mm의 직사각형의 기판으로 잘랐다. 두 개의 주면이 소성 시료의 두께 방향에 평행하고, 길이 방향은 그것과 수직인 기판을 시료 4로 하였다. 두 개의 주면이 소성 시료의 두께 방향에 평행하고, 길이 방향도 그것과 평행한 기판을 시료 5로 하였다. 두 개의 주면이 소성 시료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기판을 시료 6으로 하였다.
소성에 이어서, 시료 1 내지 6의 길이 방향에서 대향하는 단면(edge face) 전체에 은 페이스트(paste)를 코팅함으로써 은 전극을 형성하고, 200℃의 절연 오일에서 시료에 5kV/mm의 직류를 한 시간 동안 인가하여 분극을 실행하였다. 따라서, 기판은 길이 방향으로 분극되었다. 즉, 시료 1 내지 3은 도 2b 내지 2d에서 점선의 화살표로 지시된 방향으로 분극되었다. 도 3에 나타나 바와 같이 시료에서 은 전극을 제거한 후, 기판 양쪽 주면에 전극을 형성하였다. 기판의 한 쪽 주면에, 기판 길이 방향의 한 쪽 끝에서부터 중앙부에 이르기까지 7.5mm 길이의 전극을 형성하였다. 또한 기판의 다른 쪽 주면에, 기판 길이 방향의 한 쪽 끝에서부터 중앙부에 이르기까지 7.5mm 길이의 전극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시료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 5mm 길이의 지역에서 두 개의 전극은 서로 대향되었다.
압전 소자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료 1 내지 6 각각의 기판에 전극을 제공함으로써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시료 1, 2, 3, 4, 5, 및 6으로부터 얻어진 압전 소자를 각각 시료 a, b, c, d, e, 및 f라 한다. 얻어진 시료 a 내지 f에 대한 전기기계 결합계수 및 -20℃부터 80℃까지의 공진 주파수의 온도 변화율(fr-TC)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공진 주파수의 온도 변화율은 하기의 식 (fr-TC) = {(80℃에서의 공진 주파수) - (-20℃에서의 공진 주파수)}/{(20℃에서의 공진 주파수) x 100} 으로 표현된다.
전기기계 결합계수K (%) 온도 변화율fr-TC (ppm)
시료 a 28.0 -30
시료 b 측정 불가 측정 불가
시료 c 5.1 - 139
시료 d 12.1 - 69
시료 e 12.4 - 73
시료 f 11.9 - 72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료 a, 및 c 내지 f에서 의사 진동 없는 단일의 압전 진동 모드를 얻었다. 그러나, 시료 b에 있어서, 압전 진동이 너무 약해서 측정을 실행할 수 없었다. 시료 c 내지 f와 관련하여, 전기기계 결합계수 K는 대략 5 내지 10%로서, 그 결과는 실제상의 사용에 충분하지 않았다. 반면, 시료 a는 전기기계 결합계수 K가 20% 이상으로서, 그 결과는 실제상의 사용에 충분하였다. 또한, 시료 a에 있어서, 공진 주파수의 온도 변화율의 절대값은 시료 c 내지 f에서의 값에 비해 상당히 적었다. 통신용 필터 및 클럭 발생기에 사용되는 오실레이터용의 압전 공진기로서, 공진 주파수의 온도 변화율의 절대값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상기 시료 a는 시료 c 내지 f에 비해 우수하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층상의 회티탄계 구조를 갖는 세라믹에 있어서, c-축이 우선적으로 배향되고, c-축의 우선 배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분극이 실행되고, c-축의 우선 배향 방향 및 분극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 전극이 형성되었을 때, 전단 진동의 에너지 트랩이 실현될 수 있고, 의사 진동이 없는 단일의 압전 진동 모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c-축이 우선적으로 배향되지 않은 경우 및 상기의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할 때, 더 큰 전기기계 결합계수 및 우수한 공진 주파수의 온도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압전 소자는 통신용 필터 및 클럭 발생기에 사용되는 오실레이터용의 압전 공진기에 사용될만한 특성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 또한, 전극의 모양 및 크기는 도 3에 나타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단 진동의 에너지 트랩을 실현할 수 있는 임의적인 전극의 모양 및 크기를 적용할 경우, 상기의 이점은 관찰할 수 있다.
또한, c-축의 우선 배향 방향 및 분극 방향에 의하여 형성된 각이 90°, 80°, 70°인 시료에서, 전기기계 결합계수 및 공진 주파수의 온도 변화율(fr-TC)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시료와 관련하여, c-축의 우선 배향 방향 및 전극에 의하여 형성된 각이 0°(평행), 10°, 20°인 경우, 분극된 방향 및 전극에 의하여 형성된 각이 0°(평행), 10°, 20°인 경우, 및 각 경우가 조합된 경우의 전기기계 결합계수 및 공진 주파수의 온도 변화율도 역시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나 있다.
우선배향, 분극, 전극의 관계 전기기계 결합계수K (%) 공진 주파수의 온도 변화율fr-TC (ppm)
우선배향 vs. 분극 우선배향 vs. 전극 분극 vs. 전극
수직(90°) 평행(0°) 평행(0°) 28.0 30
10° 24.2 41
20° 18.2 51
10° 평행(0°) 23.2 45
10° 22.8 53
20° 14.9 63
20° 평행(0°) 16.6 51
10° 13.8 61
20° 13.1 72
80° 평행(0°) 평행(0°) 24.8 40
10° 22.6 52
20° 15.8 65
10° 평행(0°) 22.8 48
10° 20.2 59
20° 13.4 72
20° 평행(0°) 15.8 60
10° 12.7 72
20° 10.3 78
70° 평행(0°) 평행(0°) 19.4 53
10° 14.8 66
20° 13.1 71
10° 평행(0°) 15.2 61
10° 13.1 72
20° 12.8 75
20° 평행(0°) 13.4 67
10° 12.8 72
20° 12.2 79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c-축의 우선 배향 방향 및 분극 방향에 의하여 형성된 각이 90° 및 80°이고, c-축의 우선 배향 방향 및 전극에 의하여 형성된 각이 0° 및 10°이며, 분극 방향과 전극이 형성된 각이 0° 및 10°인 시료의 경우, 전기기계 결합계수는 20% 이상이며, 공진 주파수의 온도 변화율 또한 작았다. 반면, 다른 시료의 경우 전기기계 결합계수가 20%보다 작았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c-축의 우선 배향 방향 및 분극 방향에 의하여 형성된 각이 그 사이의 수직점에 대하여 10°이하이고, 전극이 c-축의 우선 배향 방향으로부터 10°이하의 각도 및 분극 방향으로부터 10°이하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을 때, 큰 전기기계 결합계수 및 작은 공진 주파수의 온도 변화율을 얻었다.
기판에 대한 재료로서, c-축 방향에 대하여 상당한 이방성(anisotropy)이 있는 층상의 회티탄계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압전 세라믹이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이것을 보면, CaBi4Ti4O15를 포함하여, 예를 들어, Bi3TiNbO9, Bi4Ti3O12, PbBi3Ti2NbO12, BaBi3Ti2NbO12, SrBi3Ti2NbO12, CaBi3Ti2NbO12, PbBi4Ti4O15, SrBi4Ti4O15, BaBi4Ti4O15, Na0.5Bi4.5Ti5O15, K0.5Bi4.5Ti5O15, Sr2Bi4Ti5O18, Ba2Bi4Ti5O18, Pb2Bi4Ti5O18, Ca2Bi4Ti5O18, Bi6Ti3WO18, Bi7Ti4NbO21, 및 Bi10Ti3W3O30등이 있다.
그러나, CaBi4Ti4O15는 특히 높은 큐리 온도(curie temperature; 약 790℃)를 가지며 층상의 회티탄계 구조를 갖는 화합물 중에서 우수한 온도 안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CaBi4Ti4O15를 사용하여 압전 소자를 만드는 것이 특히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전단 진동의 에너지 트래핑 효과를 이용하여, 통신용 필터 및 클럭 발생기에 사용되는 오실레이터용의 효과적인 압전 공진기로서의 압전 소자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 소자는 실제적인 사용에 적용될 수 있는 전기기계 결합계수를 가지며, 층상의 회티탄계 구조를 갖는 압전 세라믹 재료에 부여되는 고온 내열성 및 고주파 저손실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또한, 압전 세라믹의 재료로서 CaBi4Ti4O15를 사용 사용함으로써, 공진 주파수의 온도 변화율이 적은 압전 소자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층상의 회티탄계(perovskite) 압전 세라믹을 포함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에서 하나의 결정축(crystal axis)은 우선적으로 배향되어 있고, 기판은 결정축이 우선적으로 배향되어 있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분극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전극은 결정축이 우선적으로 배향되어 있는 방향과 대략 평행하고 또한 기판이 분극되어 있는 방향과도 대략 평행한 기판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일반식 CaBi4Ti4O15로 표현되는 세라믹 조성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압전 세라믹 조성물을 사용하는 압전 세라믹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소자.
KR10-2000-0028046A 1999-05-24 2000-05-24 압전 소자 KR100373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43070 1999-05-24
JP14307099 1999-05-24
JP2000080558A JP3651348B2 (ja) 1999-05-24 2000-03-22 圧電素子
JP2000-080558 2000-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898A true KR20010020898A (ko) 2001-03-15
KR100373838B1 KR100373838B1 (ko) 2003-02-26

Family

ID=26474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046A KR100373838B1 (ko) 1999-05-24 2000-05-24 압전 소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445110B1 (ko)
JP (1) JP3651348B2 (ko)
KR (1) KR100373838B1 (ko)
CN (1) CN1156969C (ko)
DE (1) DE10025576C2 (ko)
GB (1) GB2350478B (ko)
TW (1) TW4497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70005B (zh) * 2002-10-17 2010-06-02 京瓷株式会社 促动器及其制造方法以及打印头
EP1457471B1 (en) * 2003-03-14 2014-02-26 Denso Corporation Crystal oriented ceramics and production method of same
JP4910390B2 (ja) 2005-12-26 2012-04-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セラミ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圧電共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13269B2 (ja) * 2006-01-17 2012-08-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共振アクチュエータ
JP5245107B2 (ja) * 2006-05-09 2013-07-24 キヤノン株式会社 圧電素子、圧電アクチュエータ、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ヘッド
WO2008090758A1 (ja) * 2007-01-24 2008-07-3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共振アクチュエータ
TWI417594B (zh) * 2008-10-31 2013-12-01 Hon Hai Prec Ind Co Ltd 晶圓級鏡頭模組及其製造方法
KR101044116B1 (ko) 2009-11-30 2011-06-28 삼성전기주식회사 햅틱 디바이스의 엑츄에이터 모듈
CN108947519B (zh) * 2018-09-18 2021-08-03 铜仁学院 压电陶瓷及其制备方法、压电装置及其应用
CN110350076B (zh) * 2019-07-15 2022-10-21 陕西科技大学 一种人造多层结构钛酸锶热电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923816B (zh) * 2019-12-18 2021-03-12 山东大学 一种钛酸铋钙光电功能晶体及其生长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12310A (ja) * 1989-05-27 1990-12-27 Murata Mfg Co Ltd 圧電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5248564A (en) * 1992-12-09 1993-09-28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C-axis perovskite thin films grown on silicon dioxide
JP3094717B2 (ja) * 1993-02-09 2000-10-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共振部品
JPH07240546A (ja) * 1994-02-28 1995-09-12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大変位用圧電セラミックスおよび圧電セラミックスの分極処理方法
JP3435966B2 (ja) * 1996-03-13 2003-08-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強誘電体素子とその製造方法
JPH09321361A (ja) * 1996-05-27 1997-12-12 Tdk Corp 圧電振動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327942B2 (ja) * 1999-05-20 2009-09-09 Tdk株式会社 薄膜圧電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39766A (ja) 2001-02-13
US6445110B1 (en) 2002-09-03
US20020125796A1 (en) 2002-09-12
CN1156969C (zh) 2004-07-07
KR100373838B1 (ko) 2003-02-26
GB2350478B (en) 2001-08-01
US6534902B2 (en) 2003-03-18
CN1274994A (zh) 2000-11-29
TW449757B (en) 2001-08-11
GB0011920D0 (en) 2000-07-05
JP3651348B2 (ja) 2005-05-25
GB2350478A (en) 2000-11-29
DE10025576C2 (de) 2003-04-30
DE10025576A1 (de) 200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ura et al. Energy trapping characteristics of bismuth layer structured compound CaBi4Ti4O15
KR100373838B1 (ko) 압전 소자
JP4147954B2 (ja) 圧電素子の製造方法
KR100645753B1 (ko) 압전 자기 조성물, 압전 세라믹 소자 및 압전 자기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01181030A (ja) 圧電磁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電セラミック素子
KR100685327B1 (ko) 압전자기 조성물, 압전소자
KR100414332B1 (ko) 압전 세라믹 콤팩트 및 그를 이용한 압전 세라믹 장치
JP3864840B2 (ja) 圧電磁器組成物、圧電セラミック素子および圧電磁器組成物の製造方法
KR100610495B1 (ko) 압전 자기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압전 세라믹 소자
US760821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iezoelectric ceramic composition
KR100414333B1 (ko) 압전 세라믹 조성물과 압전 세라믹 소자
Ogawa et al. Piezoelectric properties of SrBi2Nb2O9 textured ceramics
KR100397136B1 (ko) 압전 소자
KR100470101B1 (ko) 압전 세라믹 및 그것을 사용한 압전 세라믹 소자
Takenaka et al. Piezoelectric ceramics of (Bi1/2Na1/2) TiO3‐PbTiO3‐BaTiO3 system
KR100356485B1 (ko) 압전 세라믹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압전 세라믹 소자
Murty et al. Hysteresis behaviour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of Nb doped PLZT ceramics
JP4479089B2 (ja) 圧電磁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電セラミック素子
CN1286476A (zh) 压电陶瓷组合物和使用它的压电器件
JP2003002741A (ja) 圧電磁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電セラミック素子
JPH014577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