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0727A - 센서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센서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0727A
KR20010020727A KR1020000019135A KR20000019135A KR20010020727A KR 20010020727 A KR20010020727 A KR 20010020727A KR 1020000019135 A KR1020000019135 A KR 1020000019135A KR 20000019135 A KR20000019135 A KR 20000019135A KR 20010020727 A KR20010020727 A KR 20010020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upport plate
hole
engagemen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9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쿠시마다다시
고구레에이지
가나야사다오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이시카와 히로아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이시카와 히로아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10020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72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취반기 등에 있어서의 온도센서 등의 센서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센서조립부의 부착작업성이 좋고 생산성의 향상이 가능하며 센서조립부를 센서조립부착부에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피감온부재; 피감온부재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 센서에 대해 피감온부재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부세용 탄성부재 및; 센서부착대의 피감온부재와는 반대측에 걸어고정되고, 부세용 탄성부재를 거쳐서 센서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구비한 센서부착장치에 있어서, 센서부착대 또는 지지판 중 어느 한쪽에 걸어맞춤구멍 또는 걸어맞춤홈을 마련하고, 다른쪽에는 걸어맞춤구멍 또는 걸어맞춤홈과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리브를 돌출해서 마련하고, 걸어맞춤리브와 걸어맞춤구멍 또는 걸어맞춤홈을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부세용 탄성부재의 압축반력에 의해서 걸어맞춤구멍 또는 걸어맞춤홈의 가장자리부와 걸어맞춤리브를 당접시키고 지지판을 센서부착대에 대해 축방향으로 걸어고정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센서의 부착의 작업성이 현저히 개선되어 센서 부착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좋은 센서부착장치가 얻어진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센서부착장치{SENSOR ATTACHING UNIT}
본 발명은 취반기(rice cooker) 등에 있어서의 온도센서 등의 센서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4에 종래의 센서부착장치를 구비한 예를 들면 취반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취반기의 본체, (2)는 이 본체(1)의 상부에 마련된 고리형상의 상부틀, (3)은 이 본체(1)의 내부에 수납되고 상부틀(2)의 내주에 형성된 플랜지(2a)의 상부개구부의 외주에 마련된 칼라(collar)부에 의해서 걸려있는 바닥을 갖는 통형상의 내부솥(피감온부재), (4)는 이 상부틀(2)의 상부에 탑재되어 내부솥(3)의 개구부를 막는 뚜껑체이고, 이 뚜껑체(4)는 상부틀(2)의 후방측에 마련된 힌지(hinge)스프링(5)를 구비한 힌지부(6)에 의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부틀(2)의 전방측에 마련된 걸림버튼(7)을 아래쪽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서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개방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힌지스프링(5)의 부세력에 의해 뚜껑체(4)가 힌지부(6)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고 본체(1)내에 수납된 내부솥(3)의 위쪽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체(1)내에는 내부솥(3)의 바닥면에서 측면몸통부 하측을 따라서 유도가열코일(8)을 구비한 코일(9)(센서부착대)가 내부솥(3)의 하부 외주에 배치되고, 이 코일대(9)의 바닥면 중앙부에 마련된 원형의 센서구멍(10)을 관통하여 삽입된 센서조립부(11)의 감온부(12)(센서)가 내부솥(3)의 저면 외측 중앙에 당접(접촉)하는 것에 의해 내부솥(3)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유도가열코일(8)에서 방출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해 유도가열코일(8)의 아래쪽에는 페라이트(13)이, 또 유도가열코일(8)의 외주에는 자기방지판(14)가 부착되어 있다. 또, 상부틀(2)의 내주에는 내부솥(3)의 외주를 따라서 내차열판(15)가 배치되어 있다.
또, (17)은 상부틀(2)의 앞면부 표면에 마련된 메뉴 등의 선택버튼이나 취사버튼 등의 스위치를 구비한 조작부, (18)은 조작부(17)로 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취반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판, (19)는 유도가열코일(8) 등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기판이다.
또한, 이 종래의 센서부착장치를 구비한 취반기에 있어서는 센서조립부(11)이 코일대(9)상의 센서조립부착부(28)에 나사(41)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센서조립부(11)을 부착할 때는 취반기의 본체(1)을 상하로 반전시킨 상태에서 센서조립부(11)의 감온부(12)를 코일대(9)의 센서구멍(10)내에 삽입한 후, 센서조립부(11)의 지지판(27)을 나사(41)에 의해서 센서조립부착부(28)에 부착 고정시키고 있었다.
다음에, 상기한 종래의 취반기의 동작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쌀 및 물을 넣은 내부솥(3)을 본체(1)내에 수납하고 뚜껑체(4)를 닫은 상태에서 조작부(17)에서 메뉴를 선택하고 취사를 지시하면, 이 정보에 따라서 제어기판(18)이 취반기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원기판(19)에서 유도가열코일(8)로 고주파전력이 공급된다. 이렇게 해서, 유도가열코일(8)에 의해서 발생된 고주파전력의 교번자계에 의해서 내부솥(3)이 유도가열되면 내부솥(3)의 바닥면과 접촉한 감온부(12)에 의해 내부솥(3)의 온도가 검출되고, 이 온도가 제어기판(18)로 피드백되어 유도가열코일(8)로 통전되는 전력이 조정되고 내부솥(3)내의 쌀 및 물을 적절한 온도로 가열시키는 것에 의해 취사가 실행된다.
그러나, 상기 도 14에 도시한 종래의 센서부착장치에 있어서는 센서조립부(11)의 부착에 나사를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나사구멍을 맞추고 나사로 고정시킨다는 2단계의 작업이 필요하고, 또 각 작업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센서조립부(11)의 부착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센서부착장치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센서조립부의 부착작업성이 좋고 생산성의 향상이 가능한 센서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센서조립부를 센서조립부착부에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센서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센서부착장치를 사용한 취반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센서부착장치의 센서조립부 근방의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센서부착장치의 부착상황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센서부착장치의 지지판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센서부착장치의 부착전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다른 걸어맞춤리브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다른 걸어맞춤리브 및 걸어맞춤구멍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센서부착장치의 부착상황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다른 걸어맞춤리브 및 걸어맞춤구멍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센서부착장치의 부착상황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센서부착장치의 센서조립부 근방의 확대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센서부착장치의 부착상황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의한 센서부착장치의 센서조립부 근방의 확대단면도,
도 14는 종래의 센서부착장치를 사용한 취반기의 종단면도.
<부호의 설명>
3; 내부솥(피감온부재), 8; 유도가열코일(가열수단), 9; 코일대(센서부착대), 10; 센서구멍, 11; 센서 조립부(어셈블리), 12; 감온부(센서), 24a; 홈부, 24b; 외주벽, 24c; 가이드홈(오목부), 24d; 오목부, 26; 부세스프링(부세(付勢)용 탄성부재), 27; 지지판, 28; 센서조립부착부, 29; 걸어맞춤구멍, 29a; 삽입구멍(걸어맞춤구멍), 29b; 회전구멍(걸어맞춤구멍), 31; 안내통, 33; 오목부, 34; 원통부, 34a; 내면, 34b; 가이드(볼록부), 34c; 볼록부, 35; L자형리브(걸어맞춤리브), 35a; 암부, 35b; 헤드부, 36; 걸어맞춤돌기(걸어맞춤리브), 37; 걸어맞춤홈.
본 발명에 관한 센서부착장치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피감온부재; 상기 피감온부재에 인접하여 배치된 센서부착대; 상기 센서부착대에 형성된 센서구멍을 관통해서 상기 피감온부재에 당접되어 상기 피감온부재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 대해 상기 피감온부재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부세용 탄성부재 및; 상기 센서부착대의 상기 피감온부재와 반대측에 걸어고정되고 상기 부세용 탄성부재를 거쳐서 상기 센서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구비한 센서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착대 또는 상기 지지판 중 어느 한쪽에 걸어맞춤구멍 또는 걸어맞춤홈을 마련하고, 다른쪽에는 상기 걸어맞춤구멍 또는 상기 걸어맞춤홈과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리브를 돌출해서 마련하고, 상기 걸어맞춤리브와 상기 걸어맞춤구멍 또는 상기 걸어맞춤홈을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부세용 탄성부재의 압축반력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구멍 또는 상기 걸어맞춤홈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걸어맞춤리브를 당접시키고 상기 지지판을 상기 센서부착대에 대해 축방향으로 걸어고정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센서부착장치는 상기 센서부착대 또는 상기 지지판 중 어느 한쪽에 암부와 상기 암부보다 직경방향의 폭이 큰 헤드부를 갖는 여러개의 걸어맞춤리브를 돌출해서 마련하고, 다른쪽에는 상기 헤드부에 대응한 위치에 상기 헤드부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멍을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삽입구멍에 연결해서 상기 암부를 삽입할 수 있고 상기 헤드부보다 직경방향의 폭이 작은 회전구멍을 둘레방향에 형성하고, 상기 헤드부를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한 후 상기 지지판을 상기 센서부착대에 대하여 회전시키고, 상기 암부를 상기 회전구멍내로 이동시켜 상기 걸어맞춤리브를 상기 회전구멍의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부세용 탄성부재의 압축반력에 의해서 상기 회전구멍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헤드부를 당접시키고 상기 지지판을 상기 센서부착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걸어고정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센서부착장치는 상기 회전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헤드부가 끼워넣어지는 오목부를 형성해도 좋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센서부착장치는 상기 피감온부재와는 반대측에 원형의 의 상기 센서구멍과 동심형상의 원통부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원통부의 끝부에는 외주방향으로 돌출된 헤드부를 갖는 L자형의 상기 걸어맞춤리브를 형성해서 상기 센서부착대를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원통부내에 끼워삽입되어 상기 지지판의 회전을 안내함과 동시에 부세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부세용 탄성부재를 안내하는 원통형의 안내통을 마련하고, 상기 센서에 상기 부세스프링이 끼워삽입되고 상기 부세스프링을 안내하는 고리형상의 홈부를 마련해도 좋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센서부착장치는 상기 센서부착대 또는 상기 지지판 중 어느 한쪽에 탄성변형 가능한 암부와 상기 암부의 끝부에 마련된 헤드부를 갖는 여러개의 걸어맞춤리브를 돌출해서 마련하고, 다른쪽에는 상기 헤드부에 대응한 위치에 상기 헤드부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을 마련하고, 상기 헤드부를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하고 상기 걸어맞춤리브를 상기 삽입구멍의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부세용 탄성부재의 압축반력에 의해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삽입구멍의 가장자리부를 당접시키고 상기 지지판을 상기 센서부착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걸어고정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센서부착장치는 상기 센서부착대에 원통부를 마련함 과 동시에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원통부와 끼워맞춰지는 안내통을 마련하고, 상기 원통부 또는 상기 안내통 중 어느 한쪽에 걸어맞춤 돌기를 돌출해서 마련함과 동시에 다른쪽에는 상기 걸어맞춤돌기에 대응한 위치에 상기 걸어맞춤돌기를 삽입할 수 있는 걸어맞춤홈을 원주방향에 형성하고, 상기 걸어맞춤돌기를 상기 걸어맞춤홈에 삽입한 후 상기 지지판을 상기 센서부착대에 대하여 회전시키고, 상기 걸어맞춤돌기를 상기 걸어맞춤홈내에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돌기와 상기 걸어맞춤홈을 걸어맞추고, 상기 부세용 탄성부재의 압축반력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돌기와 상기 걸어맞춤홈의 가장자리부를 당접시키고 상기 지지판을 상기 센서부착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걸어고정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센서부착장치는 상기 센서부착대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센서에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와 걸어맞춰지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센서부착대에 대해서 상기 센서가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예>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센서부착장치에 대해서 취반기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도 1의 종단면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1)은 취반기의 본체, (2)는 이 본체(1)의 상부에 마련된 고리형상의 상부틀, (3)은 이 본체(1)의 내부에 수납되고 상부틀(2)의 내주에 형성된 플랜지(2a)의 상부 개구부의 외주에 마련된 칼라부에 의해서 걸려있는 바닥을 갖는 원통형상의 내부솥(피감온부재), (4)는 이 상부틀(2)의 상부에 탑재되고 내부솥(3)의 개구부를 막는 뚜껑체이고, 이 뚜껑체(4)는 상부틀(2)의 후방측에 마련된 힌지스프링(5)를 구비한 힌지부(6)에 의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부틀(2)의 전방측에 마련된 걸림버튼(7)을 누르는 것에 의해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개방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힌지스프링(5)의 부세력에 의해 뚜껑체(4)가 힌지부(6)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여 본체(1)내에 수납된 내부솥(3)의 윗쪽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체(1)내에는 내부솥(3)의 바닥면에서 측면몸통부 하측을 따라서 유도가열코일(8)(가열수단)을 구비한 코일대(9)(센서부착대)가 내부솥(3)의 하부외주에 배치되고, 이 코일대(9)의 바닥면 중앙부에 마련된 원형의 센서구멍(10)을 관통하여 삽입된 센서조립부(11)의 감온부(12)(센서)가 내부솥(3)의 바닥면 외측 중앙에 당접하는 것에 의해 내부솥(3)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유도가열코일(8)에서 방출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유도가열코일(8)의 아래쪽에는 페라이트(13)이, 또 유도가열코일(8)의 외주에는 자기방지판(14)가 부착되어 있다. 또, 상부틀(2)의 내주에는 내부솥(3)의 외주를 따라서 내부 차열판(15)가 배치되고, 내부 차열판(15)의 외면에는 취사, 보온시에 통전가열하는 몸통히터(16)이 밀착해서 부착되어 있다.
또, (17)은 상부틀(2)의 앞면부 표면에 마련된 메뉴 등의 선택버튼이나 취사버튼 등의 스위치를 구비한 조작부, (18)은 조작부(17)로 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취반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판, (19)는 유도가열코일(8) 등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기판이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의한 센서부착장치를 구비한 취반기의 동작은 도 14에 도시한 종래예와 완전히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점인 센서조립부(11)의 구성과 구조 및 조립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우선, 도 2를 사용해서 센서부착장치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센서조립부(11)의 근방(A)를 조립시의 상태에 맞게 반전 확대시킨 단면도이고, 도 2에 있어서 (20)은 바닥을 갖는 통형상으로서 바닥외면이 내부솥(3)의 바닥표면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내부솥(3)의 온도를 전달하는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재료(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로 이루어지는 캡(cap)(20), (21)은 캡(20)의 바닥면 내측과 접촉한 서미스터로 이루어지는 감온소자, (22)는 바닥을 갖는 원통형상의 바닥면의 일부에 판형상의 스프링부를 형성하고 이 스프링부의 한쪽끝을 캡(20)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다른쪽 끝에 형성된 반원형부에 의해 감온소자(21)을 캡(20)의 바닥면에 압압하는 센서누름부재, (23)은 이상온도 상승시에 용단(溶斷)하는 것에 의해 전원을 차단하는 작용을 하는 온도 퓨즈, (24)는 감온소자(21)과 온도퓨즈(23)을 내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캡(20)을 고정시키는 지지대, (25)는 감온소자(21)과 온도퓨즈(23)에 접속된 리드선으로서 전체적으로 감온부(12)(센서)를 구성하고 있다.
또, 지지대(24)의 외주에는 고리형상의 홈부(24a)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홈부(24a)에는 부세용 탄성부재로서 부세스프링(26)이 끼워삽입되고, 이 부세스프링(26)을 압축하면서 지지판(27)을 코일대(9)의 바닥면에 형성된 센서조립부착부(28)에 걸어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코일대(9)에 형성된 센서구멍(10)에서 삽입된 감온부(12)가 부세스프링(26)에 의해서 내부솥(3) 방향으로 힘을 받고, 내부솥(3)의 바닥면과 접촉해서 내부솥(3)의 온도가 검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각각 코일대(9)의 바닥면방향에서 본 경우의 지지판(27)과 부세스프링(26) 및 코일대(9)의 바닥면 특히 센서조립부착부(28)의 분해사시도와 지지판(27)의 상부 평면도(a), 측단면도(b) 및 하부 평면도(c)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27)에는 삽입구멍(29a)와 이 삽입구멍(29a)보다 직경방향으로 작은 폭을 갖는 회전구멍(29b)를 연결한 걸어맞춤구멍(29)가 원호형상으로 2개소 형성됨과 동시에 중앙에는 원형의 리드선구멍(30)이 형성되고, 또 아래쪽에는 걸어맞춤구멍(29)와 동심형상의 안내통(31)을 구비하고 있다. 또, 회전구멍(29b)의 외주측의 가장자리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서 비스듬하게 경사진 안내리브(32)가 형성됨과 동시에 안내리브(32)의 종단에는 오목부(3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코일대(9)의 바닥면에는 센서구멍(10)에 대하여 동심형상으로 돌출해서 마련된 원통부(34)와 원통부(34)의 끝부에 마련된 L자형 리브(35)(걸어맞춤리브)로 이루어지는 센서조립부착부(28)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판(27)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29)를 이 L자형 리브(35)와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지지판(27)이 코일대(9)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지지판(27)의 삽입구멍(29a)에 대응한 위치에는 암부(35a)와 이 암부(35a)의 끝부에서 외주측으로 돌출해서 마련된 헤드부(35b)를 갖는 L자형 리브(35)를 2개소 마련함과 동시에, 이 암부(35a)를 지지판(27)의 회전구멍(29b)에, 또 헤드부(35b)를 삽입구멍(29a)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하고, 또 헤드부(35b)의 외부 직경을 회전구멍(29b)의 외부 직경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헤드부(35b)를 삽입구멍(29a)에 삽입한 후 지지판(27)을 회전시키면 암부(35a)가 회전구멍(29b)내로 이동해서 헤드부(35b)가 회전구멍(29b)의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춰지고, 회전구멍(29b)의 가장자리부가 부세스프링(26)의 압축반력에 의해서 헤드부(35b)의 하측 끝면에 압압되고, 지지판(27)이 축방향에 위치결정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5를 사용해서 센서조립부(11)의 부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상측은 코일대(9)를 바닥면측에서 본 평면도, 하측은 종단면도이고, 도 5의 (a)는 부착 전의 상태, 도 5의 (b)는 부착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부착작업은 취반기의 본체(1)의 바닥면을 위로 한 상태에서 실행한다. 우선, 코일대(9)의 바닥면의 중앙에 마련된 센서구멍(10)에 유도가열코일(8)측에서 감온부(12)를 삽입한 후, 부세스프링(26)을 지지대(24)의 홈부(24a)에 삽입하고 지지대(24)에서 인출된 리드선(25)를 지지판(27)의 리드선구멍(30)에 삽입한다(도 5의 (a)).
다음에, 지지판(27)의 삽입구멍(29a)와 L자형 리브(35)의 헤드부(35b)의 위치를 맞추고, 지지판(27)을 아래쪽으로 눌러 부세스프링(26)을 압축하면서 지지판(27)의 안내통(31)을 원통부(34)내에 끼워삽입하고, 헤드부(35b)를 삽입구멍(29a)내에 삽입한다. 이 때, 부세스프링(26)은 지지대(24)의 홈부(24a)의 내외면 및 안내통(31)의 내면에 의해서 안내되는 것에 의해 좌굴이나 직경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이렇게 해서, 헤드부(35b)가 삽입구멍(29a)내에 삽입되고, 지지판(27)이 원통부(34)의 끝면에 당접된 상태에서 지지판(27)을 도면 중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L자형 리브(35)의 암부(35a)가 회전구멍(29b)내를 이동함과 동시에 헤드부(35b)가 안내리브(32)를 타고 넘고, 약 45도 회전한 지점에서 헤드부(35b)가 오목부(33)에 끼워넣어지고 부세스프링(26)의 반력에 의해 이 상태에서 지지판(27)이 고정된다(도 5의 (b)).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 1에 의하면 지지판(27)에 삽입구멍(29a)와 이 삽입구멍(29a)보다 직경방향으로 작은 폭을 갖는 회전구멍(29b)를 연결한 걸어맞춤구멍(29)를 형성함과 동시에 코일대(9)의 바닥면에는 끝부에 회전구멍(29b)보다 직경방향으로 폭이 넓은 헤드부(35b)를 갖는 L자형 리브(35)를 구비한 센서조립부착부(28)을 형성하여, 헤드부(35b)를 삽입구멍(29a)에 삽입한 후 지지판(27)을 회전시키고 지지판(27)을 부세스프링(26)의 반력에 의해서 헤드부(35b)의 하측 끝면에 압압해서 고정시키도록 구성했으므로, 지지판(27)을 아래쪽으로 밀면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센서조립부(11)의 부착을 완료할 수 있고, 나사고정작업에 비해 현저히 작업성이 개선되어 센서조립부(11)의 부착의 생산성이 향상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 지지판(27)의 회전방향의 종단에 헤드부(35b)가 끼워넣어지는 오목부(33)을 형성했으므로, 센서조립부(11)을 부착한 후에 취사시의 내부솥(3)의 비등에 의한 진동 등에 의해서 지지판(27)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감온부(12)를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지지판(27)에 센서조립부착부(28)의 원통부(34)에 끼워삽입하는 안내통(31)을 마련했으므로, 원통부(34)에 대하여 지지판(27)이 동심형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암부(35a)와 회전구멍(29b)의 위치결정이 확실하게 실행되고, 그 때문에 지지판(27)의 회전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 L자형 리브(35)를 원통부(34)의 끝부에 마련했으므로, 지지판(27)을 원통부(34)의 끝부에 당접시키면서 회전시킬 수 있어 지지판(27)의 삽입시 및 회전시의 축방향의 위치결정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성이 한층 개선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지지판(27)에 마련한 안내통(31)과 지지대(24)에 마련한 홈부(24a)에 의해 부세스프링(26)을 안내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조립시에 부세스프링(26)의 위치가 이동하는 일이 없어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에서는 부세스프링(26)의 압축반력에 의해서 지지판(27)을 헤드부(35b)의 끝면에 압압하고 지지판(27)의 축방향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원통부(34)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L자형 리브(35)를 코일대(9)에 직접 부착하도록 구성해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코일대(9)측에 L자형 리브(35)를 형성하고 지지판(27)측에 걸어맞춤구멍(29)를 형성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반대로 코일대(9)측에 걸어맞춤구멍(29)를 형성하고 지지판(27)측에 L자형 리브(35)를 형성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지지판(27)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원통부(34)의 끝면과 헤드부(35b)의 하단면사이의 간격을 지지판(27)의 축방향의 두께에 대하여 넓게 설정하였지만, 원통부(34)의 끝면과 헤드부(35b)의 하단면사이의 간격과 지지판(27)의 오목부(33) 등의 축방향의 두께를 대략 동일하게 하고 지지판(27)을 원통부(34)와 헤드부(35b)사이에 끼워 유지하도록 구성하면 지지판(27)을 한층 더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예를 들면 취사시의 비등에 의해서 내부솥(3)이 진동하고 감온부(12) 및 부세스프링(26)을 거쳐서 이 진동이 지지판(27)로 전달되어도 지지판(27)의 축방향의 진동이 억제되어 지지판(27)의 진동에의한 소음이나 헤드부(35b)의 마모 등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변형예로서 도 6의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L자형 리브(35)의 헤드부(35b)의 아래쪽에 칼라부(35c)를 마련하고, 이 헤드부(35b)와 칼라부(35c) 사이에 지지판(27)을 끼워 유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 1에서는 헤드부(35b)를 회전구멍(29b)의 외주측으로 돌출시킨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내주측으로 돌출시켜도 좋고 또 도 7의 사시도에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반형태의 형상으로 해도 좋으며, 헤드부(35b)의 직경방향의 폭이 회전구멍(29b)의 직경방향의 폭보다 큰 것이면 암부(35a) 및 헤드부(35b)로서 여러가지의 형상이 가능하다.
또, 부세용 탄성부재로서 상기한 부세스프링(26) 이외에 예를 들면 가요성재료를 원통형상으로 성형하여 지지대(24)와 지지판(27)사이에 끼워 유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실시예 2>
도 8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인 센서부착장치의 부착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에 있어서 (27)은 지지판, (29a)는 지지판(27)에 형성된 삽입구멍, (35)는 삽입구명(29a)에 대응한 코일(9)상의 위치에 돌출해서 마련된 걸어맞춤리브로서, 내주측에 강성변형 가능한 암부(35a), 암부(35a)의 선단에 삽입구멍(29a)에 삽입가능하게 마련되고 삽입방향에 대해서 경사를 갖는 헤드부(35b) 및 헤드부(35b)의 아래쪽에 마련된 칼라부(35c)로 구성된다.
이하, 이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센서부착장치의 부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지지판(27)상의 삽입구멍(29a)를 걸어맞춤리브(35)의 위치에 맞춘 후 아래쪽으로 누르면, 헤드부(35b)가 경사부분에 의해서 안내되면서 삽입구멍(29a)내에 삽입된다. 여기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35b)의 외주측의 끝부는 통상시 삽입구멍(29a)의 외주측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헤드부(35b)가 삽입구멍(29a)내에 삽입되는 동안 암부(35a)는 탄성변형하여 내주측으로 휘는 것에 의해 헤드부(35b)가 삽입구멍(29a)내에 삽입된다. 이렇게 해서, 헤드부(35b)가 삽입구멍(29a)내에 완전히 삽입되고 지지판(27)이 헤드부(35b)와 칼라부(35c) 사이에 오면, 휘어 있던 암부(35a)가 외측으로 되돌아가고 지지판(27)은 헤드부(35b)와 칼라부(35c)사이에 끼워 유지되어 지지판(27)의 축방향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 2에 의하면 지지판(27)에 삽입구멍(29a)를 형성함과 동시에 코일대(9)의 바닥면에는 삽입방향에 경사부분을 갖는 헤드부(35b)를 구비한 걸어맞춤리브(35)를 형성하고 헤드부(35b)를 삽입구멍(29a)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헤드부(35b)의 끝면과 삽입구멍(29a)의 가장자리부를 걸어맞추고 지지판(27)을 부세스프링(26)의 반력에 의해서 헤드부(35b)의 끝면에 압압해서 고정시키도록 구성했으므로, 지지판(27)을 아래쪽으로 누르는 것만으로 센서조립부(11)의 부착을 완료할 수 있고, 나사고정 작업에 비해 작업성이 개선되어 센서조립부(11)의 부착의 생산성이 향상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 지지판(27)의 회전작업도 불필요하게 되어 한층 조립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걸어맞춤리브(35)와 삽입구멍(29a)에 의해서 지지판(27)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감온부(12)를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실시예 2에서는 걸어맞춤리브(35)로서 헤드부(35b)의 아래쪽에 칼라부(35c)를 마련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칼라부(35c) 대신에 원통부(34)의 끝면에 당접하도록 구성해도 좋고, 또 상기한 설명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지지판(27)이 부세스프링(26)의 반력에 의해서 헤드부(35b)의 끝면에 압압되고 고정되 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칼라부(35c)를 생략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 2의 변형예로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27)측에 걸어맞춤리브(35)를 형성하고 또 코일대(9)상의 원통부(34)의 측면에 삽입구멍(29a)를 형성하여 지지판(27)과 원통부(34)를 측면에서 걸어맞추도록 구성해도 좋다.
<실시예 3>
도 1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인 센서부착장치의 부착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에 있어서, (27)은 지지판, (31)은 지지판(27)에 마련된 안내통, (36)은 안내통(31)의 외주상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 (34)는 코일대(9)상에 마련된 원통부, (37)은 원통부(34)의 내주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36)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홈이다.
이하, 이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센서부착장치의 부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지지판(27)상의 걸어맞춤돌기(36)을 걸어맞춤홈(37)의 원통부(34)의 끝면에 노출된 부분에 맞춘 후 아래쪽으로 누르면서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어맞춤돌기(36)이 걸어맞춤홈(37)내에 끼워넣어진다. 그리고, 지지판(27)을 또 회전시키면 걸어맞춤홈(37)에 의해서 안내되면서 지지판(27)의 안내통(31)이 원통부(34)내에 삽입되고, 걸어맞춤돌기(36)이 걸어맞춤홈(37)의 종단에 도달하여 지지판(27)과 원통부(34)가 걸어맞춰져 고정된다. 여기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홈(37)의 종단은 원통부(34)의 끝면방향(도면중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걸어맞춤돌기(36)에는 부세스프링의 반력에 의해서 항상 상측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걸어맞춤돌기(36)이 일단 종단에 도달하면 이 걸어맞춤홈(37)의 경사부분에 의해서 역방향(걸어맞춤이 느슨해지는 방향)의 회전이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 3에 의하면 지지판(27)의 안내통(31)의 외주상에 걸어맞춤돌기(36)을 형성함과 동시에 코일대(9)의 바닥면에는 내주에 걸어맞춤홈(37)을 형성한 원통부(34)를 배치하고 이 걸어맞춤돌기(36)을 걸어맞춤홈(37)에 걸어맞춰 고정시키도록 구성했으므로, 지지판(27)을 아래쪽으로 누르고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센서조립부(11)의 부착을 완료할 수 있고, 나사고정 작업에 비해 작업성이 개선되어 센서조립부(11)의 부착의 생산성이 향상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 걸어맞춤홈(37)의 종단부를 부세스프링(26)의 반력의 작용방향으로 경사지게 했으므로, 지지판(27)의 회전이 방지되어 감온부(12)를 확실하게 고정시킬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3에서는 안내통(31)의 외주에 걸어맞춤돌기(36)을 형성하고 또 원통부(34)의 내주에 걸어맞춤홈(37)을 형성했지만, 안내통(31)의 외주에 걸어맞춤홈(37)을 형성하고 또 원통부(34)의 내주에 걸어맞춤돌기(36)를 형성해도 좋다. 또, 안내통(31)을 원통부(34)의 외주측에 배치하고 원통부(34)를 안내통(31)내에 끼워삽입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걸어맞춤돌기(36)은 부세스프링(26)의 압축반력에 의해서 도면중 상측방향에 힘을 받기 때문에 걸어맞춤홈(37)의 폭은 걸어맞춤돌기(36)보다 큰 것이면 좋고, 이 경우 걸어맞춤돌기(36)은 걸어맞춤홈(37)의 상단의 가장자리부에 당접되면서 회전되게 된다.
또, 상기 실시예 1∼실시예 3에서는 모두 취반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관한 센서부착장치의 적용범위는 취반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또 감온부(12)를 피감온부재(3)의 측벽 등에 당접하도록 구성해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4>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인 센서부착장치의 센서조립부 근방의 확대단면도, 도 12는 그 센서조립부의 부착상황을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도면에 있어서 (24b)는 지지대(24)의 외주벽, (24c)는 이 외주벽(24b)상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오목형상의 가이드홈으로서, 2개의 가이드홈(24c)가 서로 180도의 각도를 갖고 외주벽(24b)상의 대향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34a)는 원통부(34)의 내면, (34b)는 이 내면(34a)내의 상기 가이드홈(24c)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된 볼록형상의 가이드로서, 가이드홈(24c)와 이 가이드홈(24c)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가이드(34b)가 서로 걸어맞춰지는 것에 의해 지지대(24)가 원통부(34)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 도 2와 동일 또는 상당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이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센서조립부(11)의 착탈에 대해서 도 11 및 도 12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우선, 지지대(24)의 가이드홈(24c)와 원통부(34)의 가이드(34b)의 위치를 맞추면서 코일대(9)의 바닥면의 중앙에 마련된 센서구멍(10)에 감온부(12)를 삽입하고, 그후 부세스프링(26)을 지지대(24)의 홈부(24a)에 삽입함과 동시에 지지대(24)에서 인출된 리드선(25)를 지지판(27)의 리드선구멍(30)에 삽입한다. 다음에, 지지판(27)의 삽입구멍(29a)와 L자형 리브(35)의 헤드부(35b)의 위치를 맞추고, 지지판(27)을 아래쪽으로 눌러 부세스프링(26)을 압축하면서 지지판(27)의 안내통(31)을 원통부(34)내에 끼워삽입하고 헤드부(35b)를 삽입구멍(29a)내에 삽입한다. 이렇게 해서, 헤드부(35b)가 삽입구멍(29a)내에 삽입되어 지지판(27)이 원통부(34)의 끝면에 당접된 상태에서 지지판(27)을 회전하면, L자형 리브(35)의 암부(35a)가 회전구멍(29b)내를 이동하여 헤드부(35b)와 지지판(27)의 끝면이 걸어맞춰지는 상태로 되고 부세스프링(26)의 반력에 의해서 지지판(27)이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 4에 의하면 지지대(24)에 형성된 가이드홈(24c)와 원통부(34)상에 형성된 가이드(34b)를 걸어맞추고 지지판(27)의 회전시에 지지대(24)가 원통부(34)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했으므로, 조립시에 센서조립부(11)이 회전하는 일이 없어 리드선(25)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35b)와 가이드(34b)가 원통부(34)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동일 축상에 배치되도록 구성했으므로, 가이드홈(24c)와 가이드(34b) 및 헤드부(35b)와 삽입구멍(29a)의 위치맞춤이 용이하게 되어 센서조립부(11)을 원통부(34)에 부착할 때의 작업성이 개선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4에서는 지지대(24)의 외주벽(24b)에 오목형상의 가이드홈(24c)를 형성하고 또 원통부(34)의 내면(34a)에 볼록형상의 가이드(34b)를 형성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지지대(24)의 외주벽(24b)에 볼록형상의 가이드를 형성하고 또 원통부(34)의 내면(34a)에 오목형상의 가이드홈을 형성해도 좋으며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5>
도 1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인 센서부착장치의 센서조립부 근방의 확대단면도를 도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24d)는 지지대(24)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 (34c)는 원통부(34)의 내면(34a)의 오목부(24d)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된 볼록부로서, 이 오목부(24d)와 볼록부(34c)가 걸어맞춰지는 것에 의해 지지대(24)가 원통부(34)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면 중 도 11 및 도 12와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 5에 의하면 조립시에 지지대(24)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24d)와 원통부(34)에 형성된 볼록부(34c)를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지지대(24)의 원통부(34)에 대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어 조립시의 리드선(25)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5에서는 지지대(24)에 오목부(24d)를 형성하고 또 원통부(34)에 볼록부(34c)를 형성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지지대(24)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또 원통부(34)에 오목부를 형성해도 좋으면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피감온부재; 상기 피감온부재에 인접하여 배치된 센서부착대; 상기 센서부착대에 형성된 센서구멍을 관통해서 상기 피감온부재에 당접되고 상기 피감온부재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 대해 상기 피감온부재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부세용 탄성부재 및; 상기 센서부착대의 상기 피감온부재와는 반대측에 걸어 고정되고 상기 부세용 탄성부재를 거쳐서 상기 센서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구비한 센서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착대 또는 상기 지지판 중 어느 한쪽에 걸어맞춤구멍 또는 걸어맞춤홈을 마련하고, 다른쪽에는 상기 걸어맞춤구멍 또는 상기 걸어맞춤홈과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리브를 돌출해서 마련하고, 상기 걸어맞춤리브와 상기 걸어맞춤구멍 또는 상기 걸어맞춤홈을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부세용 탄성부재의 압축반력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구멍 또는 상기 걸어맞춤홈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걸어맞춤리브를 당접시키고 상기 지지판을 상기 센서부착대에 대해 축방향으로 걸어고정시키도록 구성했으므로, 종래의 나사고정에 비해 상기 센서의 부착의 작업성이 현저히 개선되어 상기 센서의 부착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좋은 센서부착장치가 얻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센서부착대 또는 상기 지지판 중 어느 한쪽에 암부와 상기 암부보다 직경방향의 폭이 큰 헤드부를 갖는 여러개의 걸어맞춤리브를 돌출해서 마련하고, 다른쪽에는 상기 헤드부에 대응한 위치에 상기 헤드부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멍을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삽입구멍에 연결해서 상기 암부를 삽입할 수 있고 상기 헤드부보다 직경방향의 폭이 작은 회전구멍을 둘레방향에 형성하고, 상기 헤드부를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한 후 상기 지지판을 상기 센서부착대에 대하여 회전시키고, 상기 암부를 상기 회전구멍내로 이동시켜 상기 걸어맞춤리브를 상기 회전구멍의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부세용 탄성부재의 압축반력에 의해서 상기 회전구멍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헤드부를 당접시키고 상기 지지판을 상기 센서부착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걸어고정시키도록 구성했으므로, 상기 지지판을 아래쪽으로 누르면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센서의 부착을 완료할 수 있어 부착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좋은 센서부착장치가 얻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회전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헤드부가 끼워넣어지는 오목부를 형성하면, 부착 후의 상기 지지판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센서를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센서부착대에 상기 센서구멍과 동심형상으로 원통부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판에 상기 원통부내에 끼워 삽입하는 원통형의 안내통을 마련하면, 상기 원통부에 대해서 상기 지지판이 동심형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상기 지지판의 회전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생산성이 향상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지지판에 마련된 상기 안내통과 상기 센서에 형성한 고리형상의 홈부에 의해 상기 부세용 탄성부재인 부세스프링을 안내하도록 구성하면, 조립시에 상기 부세스프링의 위치가 이동하는 일이 없게 되어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걸어맞춤리브를 상기 원통부의 끝부에 마련하면 상기 지지판을 상기 원통부의 끝부에 당접시키면서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지지판의 삽입 및 회전시의 축방향의 위치결정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성이 한층 더 개선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센서부착대 또는 상기 지지판 중 어느 한쪽에 탄성변형 가능한 암부와 상기 암부의 끝부에 마련된 헤드부를 갖는 여러개의 걸어맞춤리브를 돌출해서 마련하고, 다른쪽에는 상기 헤드부에 대응한 위치에 상기 헤드부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을 마련하고, 상기 헤드부를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하고 상기 걸어맞춤리브를 상기 삽입구멍의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부세용 탄성부재의 압축반력에 의해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삽입구멍의 가장자리부를 당접시키고 상기 지지판을 상기 센서부착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걸어고정시키도록 구성하면, 상기 지지판을 누르는 것 만으로 상기 센서의 부착을 완료할 수 있어 부착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좋은 센서부착장치가 얻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센서부착대에 원통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원통부와 끼워맞춰지는 안내통을 마련하고, 상기 원통부 또는 상기 안내통 중 어느 한쪽에 걸어맞춤 돌기를 돌출해서 마련함과 동시에 다른쪽에는 상기 걸어맞춤돌기에 대응한 위치에 상기 걸어맞춤돌기를 삽입할 수 있는 걸어맞춤홈을 원주방향에 형성하고, 상기 걸어맞춤돌기를 상기 걸어맞춤홈에 삽입한 후 상기 지지판을 상기 센서부착대에 대하여 회전시키고, 상기 걸어맞춤돌기를 상기 걸어맞춤홈내에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돌기와 상기 걸어맞춤홈을 걸어맞추고, 상기 부세용 탄성부재의 압축반력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돌기와 상기 걸어맞춤홈의 가장자리부를 당접시키고 상기 지지판을 상기 센서부착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걸어고정시키도록 구성하면, 상기 지지판을 아래쪽으로 누르면서 회전시키는 것 만으로 상기 센서의 부착을 완료할 수 있어 부착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좋은 센서부착장치가 얻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센서부착대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센서에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와 걸어맞춰지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센서부착대에 대해서 상기 센서가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했으므로, 상기 센서를 상기 센서부착대에 부착시킬 때 상기 센서에 접속된 리드선이 비틀어지는 일이 없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피감온부재;
    상기 피감온부재에 인접하여 배치된 센서부착대;
    상기 센서부착대에 형성된 센서구멍을 관통해서 상기 피감온부재에 당접되고 상기 피감온부재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 대해 상기 피감온부재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부세용 탄성부재 및;
    상기 센서부착대의 상기 피감온부재와는 반대측에 걸어 고정되고, 상기 부세용 탄성부재를 거쳐서 상기 센서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구비한 센서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착대 또는 상기 지지판 중 어느 한쪽에 걸어맞춤구멍 또는 걸어맞춤홈을 마련하고, 다른쪽에는 상기 걸어맞춤구멍 또는 상기 걸어맞춤홈과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리브를 돌출해서 마련하고, 상기 걸어맞춤리브와 상기 걸어맞춤구멍 또는 상기 걸어맞춤홈을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부세용 탄성부재의 압축반력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구멍 또는 상기 걸어맞춤홈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걸어맞춤리브를 당접시키고 상기 지지판을 상기 센서부착대에 대해 축방향으로 걸어고정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착대 또는 상기 지지판 중 어느 한쪽에 암부와 상기 암부보다 직경방향의 폭이 큰 헤드부를 갖는 여러개의 걸어맞춤리브를 돌출해서 마련하고, 다른쪽에는 상기 헤드부에 대응한 위치에 상기 헤드부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멍을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삽입구멍에 연결해서 상기 암부를 삽입할 수 있고 상기 헤드부보다 직경방향의 폭이 작은 회전구멍을 둘레방향에 형성하고, 상기 헤드부를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한 후 상기 지지판을 상기 센서부착대에 대하여 회전시키고, 상기 암부를 상기 회전구멍내로 이동시켜 상기 걸어맞춤리브를 상기 회전구멍의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부세용 탄성부재의 압축반력에 의해서 상기 회전구멍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헤드부를 당접시키고 상기 지지판을 상기 센서부착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걸어고정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부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착대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센서에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와 걸어맞춰지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센서부착대에 대해서 상기 센서가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부착장치.
KR1020000019135A 1999-07-07 2000-04-12 센서부착장치 KR200100207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192780 1999-07-07
JP19278099 1999-07-07
JP1999-323834 1999-11-15
JP32383499A JP3532807B2 (ja) 1999-07-07 1999-11-15 センサ取付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727A true KR20010020727A (ko) 2001-03-15

Family

ID=26507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135A KR20010020727A (ko) 1999-07-07 2000-04-12 센서부착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532807B2 (ko)
KR (1) KR20010020727A (ko)
CN (1) CN1213683C (ko)
TW (1) TW46361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4944A (ja) * 2005-03-15 2006-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WO2008149450A1 (ja) * 2007-06-07 2008-12-11 Yoshihiro Katayama 全自動式炊飯器
JP5493353B2 (ja) * 2008-12-26 2014-05-14 株式会社トヨトミ 石油燃焼器の芯上下装置
CN101949918B (zh) * 2010-08-24 2013-04-17 甘肃农业大学 土壤湿度传感器安装装置
US8492652B2 (en) * 2011-05-12 2013-07-23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to attach probe to junction box
JP2014202727A (ja) * 2013-04-10 2014-10-27 株式会社デンソー トルクセンサ
CN104440050B (zh) * 2013-09-25 2018-02-1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用于安装传感器的安装装置
CN104776576B (zh) * 2015-04-03 2018-03-20 四川行之智汇知识产权运营有限公司 一种空气传感器安装结构
CN107478351A (zh) * 2017-08-28 2017-12-15 信宜华宇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热熔保险和地线固定支架及使用该固定支架的温度传感器
CN107839391A (zh) * 2017-12-07 2018-03-27 义乌市鼎邦文体用品有限公司 削笔机摇手安装结构及削笔机
CN108324090A (zh) * 2018-04-16 2018-07-27 广东天际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同轴多功能探测的炖煮装置
CN108852055B (zh) * 2018-07-13 2023-12-05 熊兴剑 牛奶饮料加热搅拌机
CN111374538A (zh) * 2018-12-27 2020-07-07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感温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3683C (zh) 2005-08-10
JP2001070146A (ja) 2001-03-21
CN1279925A (zh) 2001-01-17
TW463616U (en) 2001-11-11
JP3532807B2 (ja) 2004-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0727A (ko) 센서부착장치
SK132696A3 (en) Food processor with a mixing vessel and a drive mechanism for an agitator in the mixing vessel
JP3992756B2 (ja) 加熱器具および加熱要素の組立方法
US20180070775A1 (en) Preparation vessel for an electric motor-operated food processor
JP4671920B2 (ja) 炊飯器
CN109853190B (zh) 洗涤桶组件及桶中桶洗衣机
CN213070950U (zh) 按钮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5820628U (zh) 加热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JPH06342688A (ja) 電子調理器の温度感知素子取付装置
JP2512118B2 (ja) 誘導加熱炊飯器
JP2562425B2 (ja) 射出成形機のノズル装置
CN215411487U (zh) 一种灯具
CN214964445U (zh) 一种烹饪器具
CN216534881U (zh) 一种煲体和烹饪器具
CN210121072U (zh) 烹饪器具
JP3107706B2 (ja) 炊飯器
CN212413459U (zh) 电磁烹饪器具
KR100942570B1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 패널구조
JPH08256909A (ja) 調理用加熱装置の温度検知装置
KR200460621Y1 (ko) 전기조리기의 센서 장착장치
JPH03915Y2 (ko)
JPH02264615A (ja) 電気調理器
KR0127785Y1 (ko) 자동조리용 써미스타 온도센서 어셈블리
JPH085098B2 (ja) 射出成形機のノズル装置
JPH0693864B2 (ja) 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