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0327A - 이식물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식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0327A
KR20010020327A KR1019997009936A KR19997009936A KR20010020327A KR 20010020327 A KR20010020327 A KR 20010020327A KR 1019997009936 A KR1019997009936 A KR 1019997009936A KR 19997009936 A KR19997009936 A KR 19997009936A KR 20010020327 A KR20010020327 A KR 20010020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interface
bone tissue
superstructure
maxill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3195B1 (ko
Inventor
스티그 한슨
Original Assignee
클래스 빌헬름슨
아스트라제네카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래스 빌헬름슨, 아스트라제네카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클래스 빌헬름슨
Publication of KR20010020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1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단, 상부구조물의 계면과 계면을 이루기 위한 계면(350)을 나타내는 후단(330) 및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307)의 전방에서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과 상호결합되도록 조절되는 외면(305)를 갖는, 지대치와 같은 상부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전방으로의 치환에 의한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312, 314) 내로의 이식을 위한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고정물에 관한 것이다. 고정물의 계면은 고정물 외면으로부터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 및 고정물의 계면의 전방의 수준으로 구조적으로 격리된다.

Description

이식물 시스템 {Implant System}
본 발명은 이식물 시스템,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 내로의 이식용 고정물 및 1개 이상의 인공치를 포함하는 치아 회복물을 지지하거나 또는 제공하는 고정물로의 합착용 상부구조물을 포함하는(comprising), 부분 또는 완전 무치증 환자를 위한 치아 이식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 예로서, 상부구조물은 사용 중에 고정시키고자 하는 치관 또는 가공의치와 같은 회복 구조물을 위하여 상악 또는 하악 위에 놓여지는 연조직층(치육)을 메우도록 이식된 고정물에 연결되도록 조절되는 지대치일 수 있다.
전형적인 치아 이식물 시스템에서, 상부구조물은 고정물에 나사에 의해 보유된다. 상기 목적상, 고정물은 고정물의 후단에서 개방되는 암나사 부착된 소켓을 갖는다. 암나사는 소켓 전체에 걸쳐 또는 별법으로는 소켓의 한 단면에만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상부구조물은 (i) 상부구조물을 고정물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암나사 부착된 소켓 내로의 나사결합을 위한 수나사 부착된 돌기와 함께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ii) 가로 지지면이 제공되어 있는 관강을 갖는 슬리브부, 및 슬리브의 관강을 통해 암나사 부착된 소켓 내로 들어가는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는 사용 중에 슬리브의 관강 내의 가로 지지면을 향하게 지지되도록 조절되는 확대된 헤드를 가지므로 나사가 암나사 부착된 소켓 내로 나사결합될 때 상부구조물이 확실하게 고정물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른 치아 이식물 시스템에서는, 상부구조물은 비나사형 연결부를 통해, 예를 들면 시멘트법에 의해 고정물에 고정된다.
상부구조물의 고정물로의 고정 형태에 관계 없이 상부구조물은 상호 계면을 통해 이식 방향으로 고정물에 하중을 전달시킨다.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고정물의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 내에서의 고정은 주로 고정물의 외면에 대한 골조직의 기계적 상호결합에 의존한다. 고정물의 외면과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 사이의 실질적인 상호결합은 예를 들면 고정물 외면에 나사산, 오목면, 홀 등을 제공(거대조면화)하고, 분사가공, 플라즈마 분무, 에칭, 수산화인회석 코팅에 의한 고정물 외면 중의 피트를 형성하고, 외면 등 상에 비드를 제공(미세조면화)하거나 또는 고정물 외면을 기계가공함으로써 외면이 조면화되는 경우 발생한다. 고정물의 외면과 고정물이 그 안으로 이식되는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 사이의 상호결합은 고정물이 전단 응력에 보다 잘 견딜 수 있게 한다. 이는 조면화에 의해 생성된 고정물 외면 중의 오목면 내로의 골조직 생장에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거대조면화된 고정물 외면은 기계가공된 고정물 외면보다 효과적인 상호결합을 생성하는 미세조면화된 고정물 외면보다 효과적인 상호결합을 생성한다. 그러나, 이들 모두는 평활한 외면, 예를 들면 연마된 외면을 갖는 고정물보다 효과적인 상호결합을 생성한다. 1가지 형태 이상의 표면 조면화를 고정물에 적용시켜 상호결합을 촉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물에 거대 및 미세조면화된 외면을 제공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1892년에 울프(J. Wolff)는 골조직이 수학적 법칙에 따라 골의 기계적 하중 내력에 대하여 스스로 개조함을 제시하였다 [Das Gesetz der Transformation der Knochen. Berlin: A. Hirschald. 1892]. 이 사실이 이후에 맞는 것으로 증명되었기 때문에 이제는 울프의 법칙으로 알려져 있다. 울프의 법칙의 몇가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골조직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응력 또는 변형이 저하되는 경우, 응력 또는 변형이 정상인 경우 새로운 정상 상태가 얻어질 때까지 골조직의 순손실(골흡수)이 일어난다.
2. 골조직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응력 또는 변형이 정상이라면, 골조직에는 어떠한 순변화도 일어나지 않는다.
3. 골조직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응력 또는 변형이 생리학적 한계 이내에서 증가되는 경우, 응력 또는 변형이 정상인 경우 새로운 정상 상태가 얻어질 때까지 골조직의 증대가 일어난다.
4. 골조직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응력 또는 변형이 극도로 높다면, 골흡수가 일어난다.
따라서 울프의 법칙은 이식 고정물에 인접한 골조직 내에서 골조직 중의 정상 상태의 유지에 유리한 응력 조건을 필요로 함을 나타낸다. 달리 말하면, 골조직과 고정물의 골붕해의 불안정화 및 이식되는 경우 상업적으로 중요한 고려사항인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미관의 감소를 유발하는 한계 골흡수가 발생할 것이다.
이를 명심하며 본 출원인들은 상호결합이 개시되는 고정물 외면 상의 수준에 대해 상부구조물에 의해 고정물이 이를 통해 이식 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계면의 위치 및 이식 고정물에 인접한 골조직 내에서의 응력 조건과의 상호의존성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이식된 고정물의 외면에 인접한 골조직 내에서의 응력 조건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상호의존성을 고려한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전단, 상부구조물의 계면과 계면을 이루기 위한 계면을 나타내는 후단 및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의 전방에서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과 상호결합되도록 조절되는 외면을 가지며, 고정물의 계면은 고정물 외면으로부터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 및 고정물의 계면의 전방의 일정 수준으로 구조적으로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전방으로의 치환에 의한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 내에서의 이식을 위한 고정물이 제공된다.
상기 계면 배열은 상악 또는 하악의 인접하는 골조직 내에 응력 분포를 개선한다. 예를 들면, 피크 계면 전단 응력은 응력 유도된 골흡수를 개시하는 위험이 감소되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보다 낮은 피크 계면 전단 응력값이 일반적으로 얻어진다. 또한, 골조직 내의 종방향 압축 응력 (상악 또는 하악 융선에 대함) 및 고정물 상의 굴곡 모멘트 또는 횡방향 하중에 의해 유발된 응력들은 골조직 내로 보다 전방으로 이동할 때 보다 적으므로 골조직 내에 생성된 피크 계면 전단 응력은 보다 용이하게 받아들여 질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피크 계면 전단 응력값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서 고정물의 계면은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거나 또는 그의 후방에 배치되는 수준에 존재한다.
후술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서 계면은 랜드를 둘러싸는 후단에 무한 오목면에 의해 외면으로부터 구조적으로 격리되는 고정물의 후단에 존재하는 랜드이며, 상기 오목면은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에 전방으로 위치하는 기저부를 갖고, 상기 랜드는 상기 기저부의 후방 수준에 배치된다. 무한 오목면은 다양한 단면 형상, 예를 들면 환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서 오목면은 무한 내부 및 외부 후방 연부를 갖고 랜드는 무한 외부 후방 연부와 일치하는 수준, 이의 전방의 수준 또는 이의 후방의 수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서 랜드는 오목면의 무한 내부 후방 연부와 일치하는 수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서 상부구조물 및 고정물은 계면을 통해서만 계면을 이룬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고정물의 외면의 하나 이상의 단면은 골조직과 상호결합되도록 조면화되고, 외면의 하나 이상의 단면이 후방 연부 및 전방 연부를 갖고,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가 후방 및 전방 연부의 중간 위치 또는 후방 연부에 의해 한정된다. 후자의 예는 후방 연부가 고정물의 이식 시에 상악 또는 하악으로부터 돌출되는 경우일 수 있다. 조면화는 예를 들면 나사산, 오목면, 홀 등의 제공에 의한 거대조면화, 또는 분사가공, 플라즈마 분무, 에칭, 수산화인회석 코팅, 외면 상에 비드의 제공 등을 통한 미세조면화, 또는 이 둘의 혼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조면화는 또한 기계가공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소정의 위치 또는 부착 수준이 고정물 외면 상에서 보다 후방에 배치되수록, 보다 많은 골조직이 하중 운반에 관여한다. 유한 요소 분석은 또한 부착 수준이 고정물 외면 상에서 보다 후방에 배치되수록, 피크 계면 전단 응력 값이 보다 낮아짐을 제시한다. 따라서, 후방에 배치되는 부착 수준이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는 전단을 나타내는 고정물의 하나 이상의 전방 단면이 사용 중에 고정물의 이식을 위해 골조직 내로 삽입되도록 조절되고, 하나 이상의 전방 단면은 후방 연부를 갖고,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가 하나 이상의 전방 단면의 후방 연부에 배치됨으로써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가 고정물이 이식될 때 상악 또는 하악의 외면과 함께 위치일치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위치일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물 외면은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와 고정물의 전단 사이의 골조직이 상호결합하도록 조절된다.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는 고정물의 후단과 일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고정물 및 상부구조물의 소정의 계면은 나사가 없는 표면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고정물은 치근 형태의 골내막 고정물이다. "치근 형태"란 고정물이 고정물의 사용시에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 내에 이식되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축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축의 외면은 골조직과 상호결합되도록 조면화되는데, 예를 들면 축은 나사 형태일 수 있다. "치근 형태"라는 용어는 본 고정물을 다른 골내막 고정물, 예를 들면 블레이드 형태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각종 형태의 골내막 고정물이 문헌 [Biomaterials Science: An Introduction to Materials in Medicine, Ratner, Buddy D. 등, Chapter 7.4, Academic Press, 1996]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고정물 및 고정물에 합착시키기 위한 상부구조물을 포함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상부구조물은 고정물의 계면과 전방으로 계면을 이루기 위한 계면을 나타내는 전단을 갖는다.
본 발명은 추가로 하나 이상의 단면이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과 상호결합되도록 조절되는 외면을 갖는 고정물을 제공하는 단계, 치아 회복물이 그 위에 형성되거나 또는 합착될 수 있는 상부구조물을 제공하는 단계, 고정물을 외면의 하나 이상의 단면의 적어도 전방 부분이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과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환자의 상악 또는 하악 내에 전방으로 이식시키는 단계, 및 상부구조물이 고정물 외면과 골조직 사이에서 상호결합이 개시되는 위치 및 고정물 계면의 전방으로의 수준으로 고정물 외면으로부터 구조적으로 격리된 고정물의 계면 상에 전방으로 고정물과 계면을 이루도록 상부구조물을 고정물 상에 합착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환자의 구강내 치아 회복물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상부구조물은 상악 또는 하악의 위에 놓이는 연조직층을 메우기 위한 지대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태양들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고정물의 외면이 평활한 후방 단면 및 상호결합되는 전방 단면을 포함하고 시스템의 상부구조물이 외면의 상호결합되는 전방 단면의 후방에 배치되는 계면을 통하여 고정물에 이식 방향으로 하중을 인가하도록 고정물과 계면을 이루는,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 내에 이식된 종래 기술의 치아 이식물 시스템 중의 고정물의 후단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상부구조물이 계면을 통하여 고정물에 1000 N의 하중이 이식 방향으로 인가되도록 고정물과 계면을 이루는 경우 도 1의 고정물에 인접한 골조직 내의 응력 분포에 대한 유한 요소 분석이다.
도 3은 골조직 내로의 고정물 유입점과 일치하는 부착 수준을 갖는 상호결합되는 외면을 갖고, 시스템의 상부구조물이 부착 수준과 일치하게 배치되는 계면을 통하여 고정물에 이식 방향으로 하중을 인가하도록 고정물과 계면을 이루는,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 내에 이식된 종래 기술의 치아 이식물 시스템 중의 또다른 고정물의 후단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상부구조물이 계면을 통하여 고정물에 1000 N의 하중이 이식 방향으로 인가되도록 고정물과 계면을 이루는 경우 도 3의 고정물에 인접한 골조직 내의 응력 분포에 대한 유한 요소 분석이다.
도 5A는 고정물이 이식되는 경우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의 외면의 후방에서 돌출되고 자형 오목면이 제공되는 후단을 갖고, 이식되는 경우 골조직 내의 고정물의 유입점에서 개시되는 부착 수준을 갖는 상호결합되는 외면을 추가로 갖는 고정물, 및 부착 수준의 후방에 배치되는 계면을 통하여 이식 방향으로 고정물이 하중을 받도록 고정물 및 지대치가 계면을 이루게 하기 위해 자형 오목면과 마주하게 구성되고 일정 치수를 갖는 웅형 돌기를 그의 전단에 갖는, 회복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악 또는 하악 위에 놓여지는 연조직층을 메우기 위한 지대치를 포함하는 종래 기술의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고정물 및 지대치 사이의 계면 접촉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6은 지대치가 계면을 통하여 고정물에 1000 N의 하중이 이식 방향으로 인가되도록 고정물과 계면을 이루는 경우 도 5A 및 도 5B의 고정물에 인접한 골조직 내의 응력 분포에 대한 유한 요소 분석이다.
도 7은 골조직 내로의 고정물 유입점과 일치하는 부착 수준을 갖는 상호결합되는 외면을 갖고, 시스템의 상부구조물이 부착 수준 및 고정물의 외면의 전방의 수준으로 고정물 외면으로부터 구조적으로 격리된 고정물의 계면과 계면을 이루게 조절되는,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 내에 이식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이식물 시스템 중의 고정물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고정물의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에는 피질골조직(12) 및 해면골조직(14)를 모두 포함하는 정도로 상악 또는 하악 내에 이식된 종래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치근 형태의 골내막 고정물(1)의 후단 일부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고정물(1)은 골조직(12, 14)를 향하는 고정물(1)의 외면을 나타내고 지대치와 같은 상부구조물(도시되지 않음)을 고정물(1)의 후단에 연결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하여 소켓(8)이 고정물(1)의 후단내의 개구부로부터 고정물(1)의 전단 및 후단 중간 위치로까지 전방으로 연장되는 몸체(6)을 갖는다.
고정물(1)의 외면은 피질골(12)에 인접한 평활한 후방 단면(3) 및 피질골조직 및 해면골조직(12, 14) 모두를 포함하는 축 범위를 갖는 상호결합 나사 부착된 전방 단면(5)로 분할된다. 따라서 고정물 외면과 주변 골조직(12, 14) 사이의 실질적인 상호결합은 고정물(1)의 골조직(12, 14) 내로의 유입점의 전방 또는 아래의 수준에 배치되는 수준(7)("부착 수준")에서 개시된다.
상기 치아 이식물 시스템에서 상부구조물은 소켓(8)의 나사가 없는 연부 표면(9) 상에서 고정물(1)과 계면을 이루는 나사가 없는 계면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식된 고정물(1)은 도 1에서 화살표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부착 수준(7)의 훨씬 위 또는 후방의 상부구조물에 의해 이식 방향 또는 전방으로 하중을 받는다.
도 2는 전방으로 배향된 1000 N의 하중이 연부 표면(9) 상에서 고정물(1)에 인가될 때 도 1의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고정물(1)에 인접한 골조직에서 유발되는 응력 분포의 유한 요소 분석이다. 분석에서 x축은 고정물 외면으로부터의 거리(D1)을 나타내는 한편, y축은 골조직 표면(B)로부터 골조직 내로의 거리 (D2)를 나타낸다. 우측의 수직 막대 차트는 분석에서 나타내는 응력(MPa)에 대한 기호표이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교적 높은 계면 전단 응력 피크는 부착 수준(7)에서 또는 바로 아래에서 고정물(1)에 인접한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에서 발생한다. 또한 유한 요소 분석은 매우 낮은 응력은 평활한 후방 외면 단면(3)에 인접한 골조직 중에서 발생함을 나타낸다. 울프의 법칙을 고려해보면, 한계 골흡수가 후방 단면(3) 주위에서 실제로 관측되는 이유, 즉 상부구조물 및 고정물(1)의 계면 체결이 골조직 내의 정상 상태의 유지에 불리한 부착 수준(7) 및 평활한 후방 외면 단면(3)에 인접한 골조직 내의 응력 조건을 유발하는 이유를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3에는 지금까지 제시되어 있는 또다른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치근 형태의 골내막 고정물(101)에 대한 계면 하중 및 골조직 상호결합 조건이 나타나 있다. 고정물(101)에는 고정물(101)이 골조직으로 유입되는 곳에서 개시되는 부착 수준(107)을 갖는 기계가공된 상호결합 외면(105)가 제공되고, 상부구조물(도시되지 않음)은 부착 수준(107)에 상응하는 수준에 있는 고정물(101)의 소켓(108)의 나사가 없는 연부 표면(109)와 계면을 이루는 나사가 없는 표면을 갖는다. 따라서 고정물 (101)의 이식 방향 또는 전방으로의 하중이 또한 부착 수준(107)의 수준에서 발생한다.
전방으로 배향된 1000 N의 하중이 연부 표면(109) 상에서 고정물(101)에 인가되는 경우 도 3의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고정물(101)에 인접한 골조직 내에서 발생되는 응력 분포의 유한 요소 분석이 도 4에 나타나 있다. 최대 계면 전단 응력은 부착 수준이 고정물 외면 상에서 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도 1의 시스템과 비교하였을 때 감소되지만, 여전히 부착 수준(107)과 일치한다. 또한, 모든 치관측 피질이 상기 배열에서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무위 무생활력에 기인한 한계 골흡수의 위험이 상기 배열의 경우에 감소된다.
그러나, 피크 계면 전단 응력은 여전히 매우 높다. 또한, 골조직 중의 피크 계면 전단 응력이 골조직 내로의 고정물 유입점 바로 아래에 불리하게 위치한다. 골조직 내로의 고정물(101)의 유입점이 수술 외상으로부터 초래되는 온화한 염증 과정 때문에 민감하기 때문에 이러한 피크 계면 전단 응력의 위치는 불리하다.
도 5A 및 도 5B는 종래 기술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치근 형태의 골내막 고정물(201) 및 지대치(202)를 추가로 제시한다. 이 시스템의 고정물(201)에는 지대치(202)의 고정물(201)로의 체결을 위하여 계면을 이루는 수나사 부착된 전방 부분(217) 및 나사가 없는 원뿔 후방 부분(215)을 갖는 지대치(202)의 전단에 있는 돌기에 대한 암나사 부착된 전방 부분(213) 및 나사가 없는 원뿔 후방 부분(211)을 갖는 후단(230) 내에 소켓(208)이 제공된다. 고정물(201)에는 추가로 고정물(201)이 골조직으로 유입되는 곳에서 개시되는 부착 수준(207)을 갖는 상호결합되는 외면(205)가 제공된다.
도 5B에서 보다 분명하게 나타나는 바와 같이, 소켓 및 돌기의 원뿔 후방 부분(211, 215)의 측면의 각은 원뿔 후방 부분(215)가 골조직 외면(216) 및 부착 수준(207) 모두의 후방 수준에 있는 소켓(208)의 개방 단부에서 원뿔 후방 부분(211)의 연부 표면(209)와 계면을 이루도록 하는 각이다.
지대치(202)는 또한 그의 전단에 원뿔 부분(215)를 갖는 슬리브부 및 슬리브부를 통과하여 나사산 전방 부분(217)을 나타내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지대치 조립체 형태일 수도 있음이 주목된다.
지대치(202)에 의해 나사가 없는 계면(209) 상에서 고정물(201)에 전방으로 배향된 1000 N의 하중이 인가될 때 도 5A 및 도 5B의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고정물(201)에 인접한 골조직 내에 발생되는 응력 분포의 유한 요소 분석이 도 6에 나타나 있다. 상기 시스템 중에서 고정물(201) 및 지대치(202)의 계면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 시스템과 비교하였을 때 부착 수준(207)의 약간 전방으로 피크 계면 전단 응력을 이동시키고 1000 N의 하중 하에서 고정물(201) 주위의 골조직 내에서 피크 응력을 감소시킨다. 피크 계면 전단 응력은 여전히 부착 수준(207), 즉 고정물(201)의 골조직 내로의 유입점에 근접하게 위치한다.
도 7 및 도 8에는 골조직 외면(316)에 필수적으로 일치하는 후단(330), 전단(370), 및 고정물(301)의 후단(330)에서 부착 수준(307)을 갖는 상호결합 외면(305)를 갖는,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312), (314)에 이식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치근 형태 골내막 고정물(301)을 나타낸다. 상호결합 표면(305)는 거대조면화, 미세조면화 또는 기계가공, 또는 임의의 표면 특성의 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물(301)의 후단(330)에서 후단(330)으로부터 부착 수준(307)의 전방의 위치 또는 수준, 상기 경우 피질골층(312) 및 해면골층(314) 사이에 이동과 일치하는 수준에 배치된 기저면(380)으로 확장되는 환상 오목면(360)이 제공된다. 따라서 후단(330)은 환상 외면(340), 및 환상 오목면(360)에 의해 환상 외면(340)으로부터 격리된 내면(350)을 제공한다.
고정물 (301)이 부품 일부를 형성하는 시스템의 지대치(도시되지 않음)의 후단이 지대치가 고정물(301)의 후단(330)에 나타내어지는 적어도 내면(350) 상에서 전방으로 고정물(301)과 계면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일정 치수를 갖는다. 도 7에 전단 분포 그래프에 의해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물(301)의 우측으로 상기 배열은 부착 수준(307) 및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312), (314) 내로의 고정물 유입점 모두의 보다 전방으로 위치하는 고정물 외면(305)에 인접하는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312), (314) 내에 피크 계면 전단 응력 α를 유발한다. 이는 오목면(360)이 고정물 외면(305)로부터 부착 수준(307)의 전방의 수준으로 구조적으로 격리되어, 따라서 고정물(301)을 통한 고정물 외면의 단면으로의 직접 이동 경로가 없으므로 오목면(360)의 기저면(380)의 후방으로 고정물 외면에 인접한 골조직(312)에 이동되는 지대치에 의한 내면(350)으로 인가된 전방으로 배향된 하중을 억제하거나 또는 방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고정물의 표면을 이동시키는 하중이 고정물 외면으로부터 부착 수준(307)의 전방의 위치로 구조적으로 격리되어 있는 사실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외면(350)이 골조직 표면(316) 위에 내면(350)을 가짐으로써 부착 수준(307) 위에 내면(350)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해당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내면(350)은 도시된 것 보다 전방, 즉 부착 수준(307)의 전방의 수준에 위치될 수 있다. 유한 요소 분석에 의해 상부구조물이 부착 수준에 대하여 고정물에 전방의 하중을 보다 전방으로 인가할수록 골조직 내에 피크 계면 전단 응력은 보다 많이 감소되고 골조직 표면(316)으로부터 이동된다는 것을 제시하는 것에 의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기재된 종래 시스템과 비교하면 고정물(301)에 인접한 골조직 내에 전단 분포는 여전히 개선된다.
지대치는 고정물(301)내에 오목면(360)내로 위치시키기 위한 이의 전단에 환상 돌기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기는 지대치가 전방으로 배향된 하중을 부착 수준(307) 아래에 존재할 뿐만 아니라 고정물 외면으로부터 오목면 기저면(380)의 전방의 수준으로 구조적으로 격리되는 고정물의 표면에 인가될 것이기 때문에 오목면(360)의 최내각 경계벽과 유일하게 계면을 이루도록 조절된다. 고정물(301)에 인접한 골조직 내에 전단 분포는 지대치가 오목면(360)의 최외각 경계벽과 계면을 이루도록 조절될 뿐만 아니라, 또는 대신에 오목면(360)의 최내각 경계벽에 접촉하도록 조절되는 경우에도 개선될 것이다. 또는, 지대치는 오목면 (360)과 전혀 계면을 이루지 않는다.
내면(350)은 고정물(301)에 대한 지대치를 보유하기 위하여 나사에서 나사로 지대치의 나사 돌기에 대해 전방으로 배향된 암나사 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나사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대치 또는 다중 부분 지대치의 부품의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부품은 종래 재료, 예를 들면 시판되는 순수 티타늄 및 이의 합금물로부터 종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고정물과 상부구조물 사이의 계면 접촉을 상부구조물이 고정물의 상호결합되는 외면의 부착 수준의 전방의 수준에 배치되는 위치에서 계면을 통하여 고정물에 전방으로 배향된 하중을 인가하도록 조절시킴으로써 이식되었을 때 고정물 주위의 응력 분포가 향상되는, 고정물과 계면을 이룰 수 있는 상부구조물 및 상호결합되는 외면을 갖는 고정물을 포함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을 제공한다.

Claims (26)

  1. 전단,
    상부구조물의 계면과 계면을 이루기 위한 계면(350)을 나타내는 후단(330) 및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307)의 전방에서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과 상호결합되도록 조절되는 외면(305)를 가지며,
    고정물의 계면은 고정물 외면으로부터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 및 고정물의 계면의 전방의 일정 수준으로 구조적으로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전방으로의 치환에 의한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312, 314) 내에서의 이식을 위한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고정물(301).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물의 계면이 외면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거나 또는 그의 후방에 배치되는 수준에 존재하는 것인 고정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계면은 랜드를 둘러싸는 후단에서의 무한 오목면(360)에 의해 외면으로부터 구조적으로 격리된 고정물의 후단에 있는 랜드(350)이며, 상기 오목면은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 위치의 전방에 위치하는 기저면(380)을 갖고, 랜드는 상기 기저면의 후방의 수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물.
  4. 제3항에 있어서, 오목면은 무한 내부 및 외부 후방 연부를 갖고, 랜드는 무한 외부 후방 연부와 일치하는 수준, 이의 전방의 수준 또는 이의 후방의 수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물.
  5. 제4항에 있어서, 랜드는 오목면의 무한 내부 후방 연부와 일치하는 수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물의 외면(305)의 하나 이상의 단면이 골조직과 상호결합하기 위하여 조면화되고, 외면의 하나 이상의 단면이 후방 연부 및 전방 연부를 갖고 외면 상의 소정 위치는 후방 연부 또는 후방 연부 및 전방 연부 중간 위치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물.
  7. 제6항에 있어서, 고정물 외면의 하나 이상의 단면이 거대조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물.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고정물 외면의 하나 이상의 단면이 미세조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물.
  9. 제6항에 있어서, 고정물 외면의 하나 이상의 단면이 그의 기계가공에 의해 조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단을 나타내는 고정물의 하나 이상의 전방 단면이 사용 중에 고정물의 이식을 위해 골조직 내로 삽입되도록 조절되고, 하나 이상의 전방 단면은 후방 연부를 갖고,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가 하나 이상의 전방 단면의 후방 연부에 배치됨으로써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가 고정물이 이식될 때 상악 또는 하악의 외면과 함께 위치일치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위치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고정물 외면이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 위치 및 고정물의 전단 사이에서 골조직과 상호결합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 위치가 고정물 외면의 후방 연부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물의 계면이 나사 없는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물이 치근 형태의 골내막 고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물.
  15. 전방으로의 치환에 의해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312, 314) 내로의 이식을 위한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고정물(301), 및 고정물 상에 합착하기 위한 상부구조물을 포함하며, 상부구조물은 전방으로 고정물의 계면과 상호결합하기 위한 계면을 나타내는 전단을 갖는 것인 치아 이식물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부구조물이 상악 또는 하악 위에 놓이는 연조직층을 메우기 위한 지대치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고정물 및 상부구조물의 계면이 나사 없는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물 및 상부구조물의 계면이 유일한 계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19. 하나 이상의 단면이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312, 314)와 상호결합되도록 조절되는 외면(305)를 갖는 고정물(301)을 제공하는 단계, 치아 회복물이 그 위에 형성되거나 또는 합착될 수 있는 상부구조물을 제공하는 단계, 고정물을 외면의 하나 이상의 단면의 적어도 전방 부분이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과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환자의 상악 또는 하악 내에 전방으로 이식시키는 단계, 및 상부구조물이 고정물 외면과 골조직 사이에서 상호결합이 개시되는 위치(307) 및 고정물 계면의 전방으로의 수준으로 고정물 외면으로부터 구조적으로 격리된 고정물의 계면(350) 상에 전방으로 고정물과 계면을 이루도록 상부구조물을 고정물 상에 합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의 구강내 치아 회복물 설치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고정물의 계면이 고정물 외면 및 골조직 사이에 상호결합이 개시하는 위치(307)에서, 또는 그의 후방의 수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고정물 외면의 하나 이상의 단면이 상악 또는 하악의 인접하는 골조직에 배치되도록 고정물을 이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19항,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 및 고정물 외면 사이의 상호결합이 상악 또는 하악의 표면에서 개시되도록 고정물을 이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물의 계면이 상악 또는 하악 표면의 후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첨부된 도면의 도 7 및 도 8을 참고로 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고정물(301).
  25. 첨부된 도면의 도 7 및 도 8을 참고로 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치아 이식물 시스템.
  26. 첨부된 도면의 도 7 및 도 8을 참고로 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환자의 구강내 치아 회복물의 설치 방법.
KR10-1999-7009936A 1997-04-28 1998-04-21 이식물 시스템 KR100513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701582-0 1997-04-28
SE9701582A SE9701582D0 (sv) 1997-04-28 1997-04-28 Implant system
PCT/SE1998/000730 WO1998048729A1 (en) 1997-04-28 1998-04-21 Impla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327A true KR20010020327A (ko) 2001-03-15
KR100513195B1 KR100513195B1 (ko) 2005-09-07

Family

ID=20406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936A KR100513195B1 (ko) 1997-04-28 1998-04-21 이식물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109919A (ko)
EP (1) EP0999804B1 (ko)
JP (1) JP4146906B2 (ko)
KR (1) KR100513195B1 (ko)
AR (1) AR012606A1 (ko)
AT (1) ATE293931T1 (ko)
AU (1) AU7353598A (ko)
CA (1) CA2286616C (ko)
DE (1) DE69829970T2 (ko)
ES (1) ES2241137T3 (ko)
SE (1) SE9701582D0 (ko)
WO (1) WO19980487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15271A1 (de) * 2002-04-07 2003-10-30 Robert Laux Kieferimplantat und Aufbaupfosten für zahnmedizinische Zwecke zur Halterung eines Zahnersatzes am menschlichen Kiefer
DE102005035475B4 (de) * 2005-07-28 2019-08-08 Institut Straumann Ag Verfahren, computerlesbares Medium, Computerprogramm die Herstellung von Zahnersatzteilen betreffend
EP3258879B9 (en) * 2015-02-16 2023-06-21 Sweden & Martina SpA Implant for dental prostheses
US20220202539A1 (en) * 2020-12-30 2022-06-3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Dental implan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19650C3 (de) * 1976-05-04 1985-06-05 Friedrichsfeld Gmbh, Steinzeug- Und Kunststoffwerke, 6800 Mannheim Dentalimplantat
DE2733394C3 (de) * 1977-07-23 1984-10-25 Riess, Guido, Prof. Dr.med.dent., 8100 Garmisch-Partenkirchen Kunstzahn mit implantierbarer Zahnwurzel
DE2830025B2 (de) * 1978-07-07 1980-08-28 Guido Dr.Med.Dent. 8100 Garmisch-Partenkirchen Riess Anordnung zur stoßgedämpften Anbringung und Lagerung einer dentalen Supras tinktur
US4270905A (en) * 1979-02-21 1981-06-02 Mohammed M Hamdi A Replacement system for dental and other bone implants
SE446370B (sv) * 1983-11-25 1986-09-08 Astra Meditec Ab Implantat for infestning av dentala proteser
SE455370C (sv) * 1987-04-22 1997-02-13 Astra Tech Ab Hylsa för uppbärande av en tandprotes
US5052930A (en) * 1989-11-22 1991-10-01 Lodde Jean Pierre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implantation
US5092771A (en) * 1990-11-21 1992-03-03 Tatum Iii O Hilt Rotary dental implant post
ES2124255T3 (es) * 1991-02-25 1999-02-01 Nobel Biocare Ab Anclaje oseo.
CH692542A5 (de) * 1991-09-18 2002-07-31 Implant Innovations Inc Vorrichtung zur Rekonstruktion von Zähnen.
US5419701A (en) * 1991-12-19 1995-05-30 Propper; Robert H. Endosteal dental implant with supplementary stabilizer
US5269686A (en) * 1993-05-10 1993-12-14 James Robert A Threaded drivable dental implant
US5366374A (en) * 1993-05-18 1994-11-22 Vlassis James M Dental implant
US5427526A (en) * 1993-12-13 1995-06-27 Fernandes; Americo Dental implant and dentistry implant method
US5658147A (en) * 1995-09-19 1997-08-19 Shopvest, Inc. Working model for prosthodontic preparation of a crown for installation on an implant fix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353598A (en) 1998-11-24
EP0999804A1 (en) 2000-05-17
JP2001523133A (ja) 2001-11-20
AR012606A1 (es) 2000-11-08
WO1998048729A1 (en) 1998-11-05
EP0999804B1 (en) 2005-04-27
ATE293931T1 (de) 2005-05-15
DE69829970T2 (de) 2006-02-09
CA2286616A1 (en) 1998-11-05
CA2286616C (en) 2007-06-26
US6109919A (en) 2000-08-29
ES2241137T3 (es) 2005-10-16
DE69829970D1 (en) 2005-06-02
SE9701582D0 (sv) 1997-04-28
KR100513195B1 (ko) 2005-09-07
JP4146906B2 (ja) 200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9431B1 (en) Narrow dental implant and associated pieces
EP2172166B1 (en) Modified dental implant
US8721335B2 (en) Implant with internal multi-lobed interlock
EP1460960B1 (en) Modified dental implant fixture
JP5017285B2 (ja) セラミック/金属製の歯科用アバットメント
RU2193872C2 (ru) Зубная имплант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0513194B1 (ko) 이식물 시스템
KR100513195B1 (ko) 이식물 시스템
JP2001523132A5 (ko)
CN101909542A (zh) 牙齿植入物
US20210228321A1 (en) Dental Implant
US20220087787A1 (en) Adaptor for dental implant abutment
US20130209959A1 (en) Inter locking implants
KR20240018759A (ko) 일체형 임플란트용 앵글어버트먼트
Reis et al. An Overview Regarding Contemporary Biomechanical Aspects on Immediate Loading Dental Implants
Abdulrazzaq Implant abutment connection technologies
SE514531C2 (sv) Tandimplantat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