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3194B1 - 이식물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식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3194B1
KR100513194B1 KR10-1999-7009935A KR19997009935A KR100513194B1 KR 100513194 B1 KR100513194 B1 KR 100513194B1 KR 19997009935 A KR19997009935 A KR 19997009935A KR 100513194 B1 KR100513194 B1 KR 100513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superstructure
delete delete
predetermined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2123A (ko
Inventor
스티그 한슨
Original Assignee
아스트라제네카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트라제네카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아스트라제네카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010012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1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단, 후단(330; 430; 530) 및 전단과 후단 사이에서 연장되고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307; 407; 507)의 전방에서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과 상호결합되도록 조절되는 외면(305; 405; 505)를 갖는, 전방으로의 치환에 의한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312, 314; 512, 514) 내에서의 이식용 고정물(301; 401; 501), 및 고정물의 후단과 계면을 이루는 전단을 갖고, 상부구조물의 전단 및 고정물의 후단이 각각 서로 계면을 이루기 위한 계면을 나타내는, 고정물 상에서의 합착용 상부구조물(402)를 포함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정물의 후단 및 상부구조물의 전단은 상부구조물의 소정의 계면(423)이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의 전방에 배치되는 수준에 있는 고정물의 소정의 계면(311; 409; 525)와 전방으로 계면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일정 치수를 갖는다. 고정물에 인접한 골조직 내의 보다 유리한 응력 분포가 유발된다.

Description

이식물 시스템 {Implant System}
본 발명은 이식물 시스템,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 내로의 이식용 고정물 및 1개 이상의 인공치를 포함하는 치아 회복물을 지지하거나 또는 제공하는 고정물로의 합착용 상부구조물을 포함하는(comprising), 부분 또는 완전 무치증 환자를 위한 치아 이식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 예로서, 상부구조물은 사용 중에 고정시키고자 하는 치관 또는 가공의치와 같은 회복 구조물을 위하여 상악 또는 하악 위에 놓여지는 연조직층(치육)을 메우도록 이식된 고정물에 연결되도록 조절되는 지대치일 수 있다.
전형적인 치아 이식물 시스템에서, 상부구조물은 고정물에 나사에 의해 보유된다. 상기 목적상, 고정물은 고정물의 후단에서 개방되는 암나사 부착된 소켓을 갖는다. 암나사는 소켓 전체에 걸쳐 또는 별법으로는 소켓의 한 단면에만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상부구조물은 (i) 상부구조물을 고정물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암나사 부착된 소켓 내로의 나사결합을 위한 수나사 부착된 돌기와 함께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ii) 가로 지지면이 제공되어 있는 관강을 갖는 슬리브부, 및 슬리브의 관강을 통해 암나사 부착된 소켓 내로 들어가는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는 사용 중에 슬리브의 관강 내의 가로 지지면을 향하게 지지되도록 조절되는 확대된 헤드를 가지므로 나사가 암나사 부착된 소켓 내로 나사결합될 때 상부구조물이 확실하게 고정물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른 치아 이식물 시스템에서는, 상부구조물은 비나사형 연결부를 통해, 예를 들면 시멘트법에 의해 고정물에 고정된다.
상부구조물의 고정물로의 고정 형태에 관계 없이 상부구조물은 상호 계면을 통해 이식 방향으로 고정물에 하중을 전달시킨다.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고정물의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 내에서의 고정은 주로 고정물의 외면에 대한 골조직과의 기계적 상호결합에 의존한다. 고정물의 외면과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 사이의 실질적인 상호결합은 예를 들면 고정물 외면에 나사산, 오목면, 홀 등의 제공(거대조면화), 분사가공, 플라즈마 분무, 에칭, 수산화인회석 코팅에 의한 고정물 외면 중의 피트의 형성, 외면 등 상에 비드의 제공(미세조면화)에 의하거나 또는 고정물 외면을 기계가공함으로써 외면이 조면화되는 경우 발생한다. 고정물의 외면과 고정물이 그 안으로 이식되는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 사이의 상호결합은 고정물이 전단 응력에 보다 잘 견딜 수 있게 한다. 이는 조면화에 의해 생성된 고정물 외면 중의 오목면 내로의 골조직 생장에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거대조면화된 고정물 외면은 기계가공된 고정물 외면보다 효과적인 상호결합을 생성하는 미세조면화된 고정물 외면보다 효과적인 상호결합을 생성한다. 그러나, 이들 모두는 평활한 외면, 예를 들면 연마된 외면을 갖는 고정물보다 효과적인 상호결합을 생성한다. 1가지 형태 이상의 표면 조면화를 고정물에 적용시켜 상호결합을 촉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물에 거대 및 미세조면화된 외면을 제공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1892년에 울프(J. Wolff)는 골조직이 수학적 법칙에 따라 골의 기계적 하중 내력에 대하여 스스로 개조함을 제시하였다 [Das Gesetz der Transformation der Knochen. Berlin: A. Hirschald. 1892]. 이 사실이 이후에 맞는 것으로 증명되었기 때문에 이제는 울프의 법칙으로 알려져 있다. 울프의 법칙의 몇가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골조직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응력 또는 변형이 저하되는 경우, 응력 또는 변형이 정상인 경우 새로운 정상 상태가 얻어질 때까지 골조직의 순손실(골흡수)이 일어난다.
2. 골조직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응력 또는 변형이 정상이라면, 골조직에는 어떠한 순변화도 일어나지 않는다.
3. 골조직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응력 또는 변형이 생리학적 한계 이내에서 증가되는 경우, 응력 또는 변형이 정상인 경우 새로운 정상 상태가 얻어질 때까지 골조직의 증대가 일어난다.
4. 골조직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응력 또는 변형이 극도로 높다면, 골흡수가 일어난다.
따라서 울프의 법칙은 이식 고정물에 인접한 골조직 내에서 골조직 중의 정상 상태의 유지에 유리한 응력 조건을 필요로 함을 나타낸다. 달리 말하면, 골조직과 고정물의 골융합의 불안정화 및 이식되는 경우 상업적으로 중요한 고려사항인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미관의 감소를 유발하는 한계 골흡수가 발생할 것이다.
이를 명심하며 본 출원인들은 상호결합이 시작되는 고정물 외면 상의 수준에 대해 상부구조물에 의해 고정물이 이를 통해 이식 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계면의 위치 및 이식 고정물에 인접한 골조직 내에서의 응력 조건과의 상호의존성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이식된 고정물의 외면에 인접한 골조직 내에서의 응력 조건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상호의존성을 고려한 치아 이식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전단,
후단 및
전단과 후단 사이에서 연장되고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의 전방에서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과 상호결합되도록 조절되는 외면을 가지며 전방으로의 치환에 의한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 내에서의 이식용 고정물, 및
고정물의 후단과 계면을 이루는 전단을 가지며 상부구조물의 전단 및 고정물의 후단이 서로 계면을 이루기 위한 계면을 제공하는, 고정물 상에서의 합착용 상부구조물을 포함하며,
고정물의 후단 및 상부구조물의 전단은 상부구조물의 소정의 계면이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의 전방에 배치되는 수준에 있는 고정물의 소정의 계면과 전방으로 계면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일정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배열에 따라 고정물이 이식되는 경우 이식된 고정물과 골조직이 상호결합하기 시작하는 부착 수준인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 전방에 배치되는 수준에 있는 계면을 통해 상부구조물은 전방으로 고정물에 하중을 인가한다. 유한 요소 분석은 부착 수준의 전방에서 전방으로 고정물이 하중을 받는 것은 상악 또는 하악의 인접 골조직 내의 응력 분포를 개선시킴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부착 수준의 전방의 계면을 통한 전방으로 배향된 하중의 인가는 피크 계면 전단 응력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며, 여기서는 응력 유도된 골흡수를 유발시킬 위험성이 더 적어진다. 또한, 골조직 내의 종방향 압축 응력 (상악 또는 하악 융선에 대함) 및 고정물 상의 굴곡 모멘트 또는 횡방향 하중에 의해 유발된 응력들은 골조직 내의 보다 전방으로 이동할 때 보다 적으므로 골조직 내에 생성된 피크 계면 전단 응력은 보다 용이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피크 계면 전단 응력값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고정물 및 상부구조물의 소정의 계면은 전방으로 서로 계면을 이루도록 조절되는 고정물 및 상부구조물의 유일한 계면이다. 따라서, 고정물이 상부구조물로부터 받는 전방으로 배향된 모든 하중은 부착 수준 아래의 수준에 있다. 유한 요소 분석은 부착 수준 전방에서 모든 전방으로 배향된 하중을 고정물에 인가하는 것은 상악 또는 하악의 인접한 골조직 내의 응력 분포에 최대한의 개선을 제공함을 제시한다.
고정물이 부착 수준의 전방의 계면 및 부착 수준에 있거나 또는 그 후방의 계면을 통해 전방으로 하중을 받을 때에도 여전히 본 발명의 이점이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서는 고정물 및 상부구조물의 소정의 계면이 소정의 전방의 계면이고, 상부구조물의 전단 및 고정물의 후단은 상부구조물의 전단이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거나 또는 그의 후방에 배치되는 수준에 있는 고정물의 후단에 의해 제공되는 소정의 후방 계면과 전방으로 계면을 이루기 위한 소정의 후방 계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일정 치수를 갖는다. 상기 경우, 고정물에 인가된 전방으로 배향된 집합적 하중의 주 부분은 부착 수준 또는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의 전방의 일정 수준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것이 부착 수준과 일치하는 수준의 양면 상에 분포된 전방으로 배향된 하중의 주 부분이거나 또는 부 부분인 것에 관계없이 전방으로 배향된 하중이 부착 수준의 전방에서 고정물에 인가되는 경우에는 이하 예시하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전방으로 배향된 모든 하중이 부착 수준 또는 그 후방에서 인가되는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고정물에 인접한 골조직 내에서 개선된 응력 분포가 발생된다.
고정물의 소정의 계면이 고정물 외면 상에서 소정의 위치의 한계적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경우, 예를 들면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의 약 0.1 내지 1 mm 전방인 수준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고정물에 인접한 골조직 내에서의 개선된 응력 조건이 얻어진다. 그러나, 고정물의 소정의 계면이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보다 훨씬 전방에 배치될 경우에 보다 많이 개선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고정물 및 상부구조물은 사용 중에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보다 1 mm 이상 전방,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보다 3 mm 이상 전방, 및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보다 5 mm 이상 전방, 예를 들면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보다 약 10 mm 전방의 수준에서 계면을 이루도록 조절된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서 후단 내의 개구부로부터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보다 전방의 일정 수준으로까지 연장되는 경계벽을 갖는 고정물의 후단 내에 자형 오목면이 제공되고, 고정물의 소정의 계면이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자형 오목면의 경계벽의 소정의 표면이고, 상부구조물의 소정의 계면은 상부구조물의 전단에 제공되어 있는 웅형 돌기의 경계벽의 소정의 표면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자형 오목면 및 웅형 돌기의 경계벽의 소정의 표면은 일반적으로 공통각 또는 실질적으로 공통각으로 전방으로 수렴하는 측면들을 갖는 원뿔 윤곽을 갖는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웅형 돌기 및 자형 오목면의 경계벽의 소정의 표면은 경계벽 각각의 소정의 전방 단면들에 의해 제공되고 웅형 돌기 및 자형 오목면의 경계벽 각각은 소정의 전방 단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전방 단면이 계면을 이루는 경우 이들이 이격되도록 구성되고 일정 치수를 갖는 후방 단면을 갖는다. 상기 목적상, 자형 오목면의 경계벽의 후방 단면은 공통각 또는 실질적으로 공통각으로 전방으로 수렴하는 측면을 갖는 원뿔 윤곽일 수 있고, 웅형 돌기의 후방 단면은 공통각보다 전방에 대하여 보다 예각으로 전방으로 수렴하는 측면들을 갖는 원뿔 윤곽일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자형 오목면의 경계벽의 후방 단면은 고정물의 후단으로 후방으로 연장된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는, 자형 오목면 및 웅형 돌기의 경계벽의 소정의 표면이 경계벽 각각의 소정의 전방 단면에 의해 제공되고, 고정물의 소정의 후방 계면은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 또는 그의 후방에 배치되는 자형 오목면의 경계벽의 소정의 후방 단면에 의해 제공되고, 상부구조물의 소정의 후방 계면은 웅형 돌기의 경계벽의 소정의 후방 단면에 의해 제공된다. 자형 오목면의 경계벽의 소정의 전방 단면의 전방으로의 정도가 자형 오목면의 경계벽의 소정의 후방 단면의 전방으로의 정도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부구조물에 의해 고정물에 인가되는 전방으로 배향된 하중의 주 부분이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의 전방에 인가되게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자형 오목면 및 웅형 돌기의 경계벽들의 소정의 전방 및 후방 단면들은 연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자형 오목면 및 웅형 돌기의 경계벽의 소정의 후방 단면들은 일반적으로 공통각 또는 실질적으로 공통각으로 전방으로 수렴하는 측면들을 갖는 원뿔 윤곽을 갖는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별법의 실시태양에서는, 자형 오목면의 경계벽의 소정의 표면이 경계벽의 횡단면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자형 오목면의 경계벽의 횡단면은 자형 오목면의 횡기저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자형 오목면은 고정물의 후단에서 개방되는 후방의 원뿔부 및 그의 후단에서 후방의 원뿔부와 이어지고 그의 전단에서 횡단면을 나타내는 다각형 전방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암나사 부착된 보어(bore)는 본 발명에 의해 보장되는 이점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서 횡단면으로부터 고정물 내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상부구조물은 상악 또는 하악 위에 놓여지는 연조직층을 메우기 위한 지대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고정물의 외면의 하나 이상의 단면은 골조직과 상호결합되도록 조면화되고, 외면의 하나 이상의 단면이 후방 연부 및 전방 연부를 갖고,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가 그의 후방 연부 또는 후방 및 전방 연부의 중간 위치에 의해 한정된다. 후자의 예는 후방 연부가 고정물의 이식 시에 상악 또는 하악으로부터 돌출되는 경우일 수 있다. 조면화는 예를 들면 나사산, 오목면, 홀 등의 제공에 의한 거대조면화, 또는 분사가공, 플라즈마 분무, 에칭, 수산화인회석 코팅, 외면 상에 비드의 제공 등을 통한 미세조면화, 또는 이 둘의 혼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조면화는 또한 기계가공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부착 수준이 고정물 외면 상에서 보다 후방에 배치될수록, 보다 많은 골조직이 하중 운반에 관여한다. 유한 요소 분석은 또한 부착 수준이 고정물 외면 상에서 보다 후방에 배치될수록, 피크 계면 전단 응력 값이 보다 낮아짐을 제시한다. 따라서, 후방에 배치되는 부착 수준이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는 전단을 나타내는 고정물의 하나 이상의 전방 단면이 사용 중에 고정물의 이식을 위해 골조직 내로 삽입되도록 조절되고, 하나 이상의 전방 단면은 후방 연부를 갖고,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가 하나 이상의 전방 단면의 후방 연부에 배치됨으로써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가 고정물이 이식될 때 상악 또는 하악의 외면과 함께 위치일치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위치일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물 외면은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와 고정물의 전단 사이의 골조직이 상호결합하도록 조절된다.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는 고정물의 후단과 일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고정물 및 상부구조물의 소정의 계면은 나사가 없는 표면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고정물 및 상부구조물의 소정의 계면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하여 서로 계면을 이룬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고정물은 치근 형태의 골내막 고정물이다. "치근 형태"란 고정물이 고정물의 사용시에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 내에 이식되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축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축의 외면은 골조직과의 상호결합을 위하여 조면화되는데, 예를 들면 축은 나사 형태일 수 있다. "치근 형태"라는 용어는 본 고정물을 다른 골내막 고정물, 예를 들면 블레이드 형태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각종 형태의 골내막 고정물이 문헌 [Biomaterials Science: An Introduction to Materials in Medicine, Ratner, Buddy D. 등, Chapter 7.4, Academic Press, 1996]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고정물 및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상부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하나 이상의 단면에서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과 상호결합되도록 조절되는 외면을 갖는 고정물을 제공하는 단계, 치아 회복물이 그 위에 형성되거나 또는 합착될 수 있는 상부구조물을 제공하는 단계, 고정물을 그의 외면의 하나 이상의 단면의 적어도 전방 부분이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과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환자의 상악 또는 하악 내에 전방으로 이식시키는 단계, 및 상부구조물이 고정물 외면과 골조직 사이의 상호결합이 개시되는 위치보다 전방 수준에 위치하는 고정물의 표면 상에서 고정물과 전방으로 계면을 이루도록 상부구조물을 고정물 상에 합착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환자의 구강내 치아 회복물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태양들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고정물의 외면이 평활한 후방 단면 및 상호결합되는 전방 단면을 포함하고 시스템의 상부구조물이 외면의 상호결합되는 전방 단면의 후방에 배치되는 계면을 통하여 고정물에 이식 방향으로 하중을 인가하도록 고정물과 계면을 이루는,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 내에 이식된 종래 기술의 치아 이식물 시스템 중의 고정물의 후단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상부구조물이 계면을 통하여 고정물에 1000 N의 하중이 이식 방향으로 인가되도록 고정물과 계면을 이루는 경우 도 1의 고정물에 인접한 골조직 내의 응력 분포에 대한 유한 요소 분석이다.
도 3은 골조직 내로의 고정물 유입점과 일치하는 부착 수준을 갖는 상호결합되는 외면을 갖고, 시스템의 상부구조물이 부착 수준과 일치하게 배치되는 계면을 통하여 고정물에 이식 방향으로 하중을 인가하도록 고정물과 계면을 이루는,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 내에 이식된 종래 기술의 치아 이식물 시스템 중의 또다른 고정물의 후단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상부구조물이 계면을 통하여 고정물에 1000 N의 하중이 이식 방향으로 인가되도록 고정물과 계면을 이루는 경우 도 3의 고정물에 인접한 골조직 내의 응력 분포에 대한 유한 요소 분석이다.
도 5A는 고정물이 이식되는 경우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의 외면의 후방에서 돌출되고 자형 오목면이 제공되는 후단을 갖고, 이식되는 경우 골조직 내의 고정물의 유입점에서 시작되는 부착 수준을 갖는 상호결합되는 외면을 추가로 갖는 고정물, 및 부착 수준의 후방에 배치되는 계면을 통하여 이식 방향으로 고정물이 하중을 받도록 고정물 및 지대치가 계면을 이루게 하기 위해 자형 오목면과 마주하게 구성되고 일정 치수를 갖는 웅형 돌기를 그의 전단에 갖는, 회복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악 또는 하악 위에 놓여지는 연조직층을 메우기 위한 지대치를 포함하는 종래 기술의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고정물 및 지대치 사이의 계면 접촉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6은 지대치가 계면을 통하여 고정물에 1000 N의 하중이 이식 방향으로 인가되도록 고정물과 계면을 이루는 경우 도 5A 및 도 5B의 고정물에 인접한 골조직 내의 응력 분포에 대한 유한 요소 분석이다.
도 7은 골조직 내로의 고정물 유입점과 일치하는 부착 수준을 갖는 상호결합되는 외면을 갖고, 시스템의 상부구조물이 부착 수준의 전방 위치에서 계면을 통하여 고정물이 이식 방향으로 하중을 받도록 계면을 이루게 조절되는,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 내에 이식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이식물 시스템 중의 고정물의 후단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부착 수준을 가로질러 연장되거나 또는 부착 수준의 전방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부구조물에 의하여 1000 N의 하중이 계면을 통하여 고정물에 이식 방향으로 인가될 때 도 7의 고정물에 인접한 골조직 내의 응력 분포에 대한 유한 요소 분석이다.
도 9A는 고정물이 이식되는 경우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의 외면의 후방에서 돌출되고 자형 오목면이 제공되는 후단을 갖고 이식되었을 때 골조직 내의 고정물의 유입점에서 시작되는 부착 수준을 갖는 상호결합되는 외면을 추가로 갖는 고정물, 및 부착 수준의 전방 위치에 배치되는 계면을 통하여 이식 방향으로 고정물이 하중을 받도록 고정물 및 지대치가 계면을 이루게 하기 위해 자형 오목면과 마주하게 구성되고 일정 치수를 갖는 웅형 돌기를 그의 전단에 갖는, 회복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악 또는 하악 위에 놓여지는 연조직층을 메우기 위한 지대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고정물 및 지대치 사이의 계면 접촉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10은 골조직 내로의 고정물 유입점과 일치하는 부착 수준을 갖는 상호결합되는 외면을 갖고, 시스템의 상부구조물이 부착 수준의 전방에 배치되는 계면을 통하여 고정물이 이식 방향으로 하중을 받도록 고정물과 계면을 이룰 수 있는,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 내에 이식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이식물 시스템 중의 또다른 고정물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부구조물이 계면을 통하여 고정물에 1000 N의 하중이 이식 방향으로 인가되도록 고정물과 계면을 이룰 때 도 10의 고정물에 인접한 골조직 내의 응력 분포에 대한 유한 요소 분석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에는 피질골조직(12) 및 해면골조직(14)를 모두 포함하는 정도로 상악 또는 하악 내에 이식된 종래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치근 형태의 골내막 고정물(1)의 후단 일부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고정물(1)은 골조직(12, 14)를 향하는 고정물(1)의 외면을 나타내고 지대치와 같은 상부구조물(도시되지 않음)을 고정물(1)의 후단에 연결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하여 소켓(8)이 고정물(1)의 후단내의 개구부로부터 고정물(1)의 전단 및 후단 중간 위치로까지 전방으로 연장되는 몸체(6)을 갖는다.
고정물(1)의 외면은 피질골(12)에 인접한 평활한 후방 단면(3) 및 피질골조직 및 해면골조직(12, 14) 모두를 포함하는 축 범위를 갖는 상호결합 나사 부착된 전방 단면(5)로 분할된다. 따라서 고정물 외면과 주변 골조직(12, 14) 사이의 실질적인 상호결합은 고정물(1)의 골조직(12, 14) 내로의 유입점의 전방 또는 아래의 수준에 배치되는 수준(7)("부착 수준")에서 시작된다.
상기 치아 이식물 시스템에서 상부구조물은 소켓(8)의 나사가 없는 연부 표면(9) 상에서 고정물(1)과 계면을 이루는 나사가 없는 계면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식된 고정물(1)은 도 1에서 화살표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부착 수준(7)의 훨씬 위 또는 후방의 상부구조물에 의해 이식 방향 또는 전방으로 하중을 받는다.
도 2는 전방으로 배향된 1000 N의 하중이 연부 표면(9) 상에서 고정물(1)에 인가될 때 도 1의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고정물(1)에 인접한 골조직에서 유발되는 응력 분포의 유한 요소 분석이다. 분석에서 x축은 고정물 외면으로부터의 거리(D1)을 나타내는 한편, y축은 골조직 표면(B)로부터 골조직 내로의 거리 (D2)를 나타낸다. 우측의 수직 막대 차트는 분석에서 나타내는 응력(MPa)에 대한 기호표이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적 높은 계면 전단 응력 피크는 부착 수준(7)에서 또는 바로 아래에서 고정물(1)에 인접한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에서 발생한다. 또한 유한 요소 분석은 매우 낮은 응력은 평활한 후방 외면 단면(3)에 인접한 골조직 중에서 발생함을 나타낸다. 울프의 법칙을 고려해보면, 한계 골흡수가 후방 단면(3) 주위에서 실제로 관측되는 이유, 즉 상부구조물 및 고정물(1)의 계면 체결이 골조직 내의 정상 상태의 유지에 불리한 부착 수준(7) 및 평활한 후방 외면 단면(3)에 인접한 골조직 내의 응력 조건을 유발하는 이유를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3에는 지금까지 제시되어 있는 또다른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치근 형태의 골내막 고정물(101)에 대한 계면 하중 및 골조직 상호결합 조건이 나타나 있다. 고정물(101)에는 고정물(101)이 골조직으로 유입되는 곳에서 시작되는 부착 수준(107)을 갖는 기계가공된 상호결합 외면(105)가 제공되고, 상부구조물(도시되지 않음)은 부착 수준(107)에 상응하는 수준에 있는 고정물(101)의 소켓(108)의 나사가 없는 연부 표면(109)와 계면을 이루는 나사가 없는 표면을 갖는다. 따라서 고정물 (101)의 이식 방향 또는 전방으로의 하중이 또한 부착 수준(107)의 수준에서 발생한다.
전방으로 배향된 1000 N의 하중이 연부 표면(109) 상에서 고정물(101)에 인가되는 경우 도 3의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고정물(101)에 인접한 골조직 내에서 발생되는 응력 분포의 유한 요소 분석이 도 4에 나타나 있다. 최대 계면 전단 응력은 부착 수준이 고정물 외면 상에서 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도 1의 시스템과 비교하였을 때 감소되지만, 여전히 부착 수준(107)과 일치한다. 또한, 모든 치관측 피질이 상기 배열에서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미사용 발육부전에 기인한 한계 골흡수의 위험이 상기 배열의 경우에 감소된다.
그러나, 피크 계면 전단 응력은 여전히 매우 높다. 또한, 골조직 중의 피크 계면 전단 응력이 골조직 내로의 고정물 유입점 바로 아래에 불리하게 위치한다. 골조직 내로의 고정물(101)의 유입점이 수술 외상으로부터 초래되는 온화한 염증 과정 때문에 민감하기 때문에 이러한 피크 계면 전단 응력의 위치는 불리하다.
도 5A 및 도 5B는 종래 기술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치근 형태의 골내막 고정물(201) 및 지대치(202)를 추가로 제시한다. 이 시스템의 고정물(201)에는 지대치(202)의 고정물(201)로의 체결을 위하여 계면을 이루는 수나사 부착된 전방 부분(217) 및 나사가 없는 원뿔 후방 부분(215)을 갖는 지대치(202)의 전단에 있는 돌기에 대한 암나사 부착된 전방 부분(213) 및 나사가 없는 원뿔 후방 부분(211)을 갖는 후단(230) 내에 소켓(208)이 제공된다. 고정물(201)에는 추가로 고정물(201)이 골조직으로 유입되는 곳에서 시작되는 부착 수준(207)을 갖는 상호결합되는 외면(205)가 제공된다.
도 5B에서 보다 분명하게 나타나는 바와 같이, 소켓 및 돌기의 원뿔 후방 부분(211, 215)의 측면의 각은 원뿔 후방 부분(215)가 골조직 외면(216) 및 부착 수준(207) 모두의 후방 수준에 있는 소켓(208)의 개방 단부에서 원뿔 후방 부분(211)의 연부 표면(209)와 계면을 이루도록 하는 각이다. 이러한 이식 방향 또는 전방으로의 계면 체결은 고정물(201) 내로 아래로 나사결합될 때 지대치(202)에 미치는 "인장 효과 (pulling effect)"를 갖는다. 이러한 "인장 효과"의 결과는 나사산(217)의 후방 측면만이 암나사산(213)의 전방 측면을 체결시킨다는 것, 즉 나사 결합이 고정물(201)에 후방으로 배향된 하중을 부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대치(202)에 의한 고정물(201)의 전방의 하중은 부착 수준(207)의 후방에서만 발생한다.
지대치(202)는 또한 그의 전단에 원뿔 부분(215)를 갖는 슬리브부 및 슬리브부를 통과하여 나사산 전방 부분(217)을 나타내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지대치 조립체 형태일 수도 있음이 주목된다. 상기 경우, 나사부는 슬리브부를 고정물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물 내로 아래로 나사결합되었을 때 슬리브부 내에서 숄더 등을 향하여 지지하기 위한 확대된 헤드를 갖는다. 그러므로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은 나사 결합시의 동일한 "인장 효과"가 이 경우에도 또한 유발될 것이다.
지대치(202)에 의해 나사가 없는 계면(209) 상에서 고정물(201)에 전방으로 배향된 1000 N의 하중이 인가될 때 도 5A 및 도 5B의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고정물(201)에 인접한 골조직 내에 발생되는 응력 분포의 유한 요소 분석이 도 6에 나타나 있다. 상기 시스템 중에서 고정물(201) 및 지대치(202)의 계면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 시스템과 비교하였을 때 부착 수준(207)의 약간 전방으로 피크 계면 전단 응력을 이동시키고 1000 N의 하중 하에서 고정물(201) 주위의 골조직 내에서 피크 응력을 감소시킨다. 피크 계면 전단 응력은 여전히 부착 수준(207), 즉 고정물(201)의 골조직 내로의 유입점에 근접하게 위치한다.
도 7에는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 내로 이식된 본 발명에 따른 치근 형태의 골내막 고정물(301)이 나타나 있다. 고정물(301)은 고정물(301)의 골조직 내로의 유입점과 함께 위치일치되는 부착 수준(307)을 갖는 상호결합되는 외면(305) 및 골조직으로부터 돌출되고 지대치(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상부구조물의 전단 상의 웅형 돌기와 체결하기 위하여 웅형 돌기에 대한 소켓 또는 자형 오목면(308)이 제공되는 후단(330)을 갖는다. 외면의 상호결합 성능은 예를 들면, 거대조면화, 미세조면화, 기계가공 또는 임의의 표면 특징의 배합에 의해 고정물의 외면을 조면화시킴으로써 달성된다.
고정물 오목면(308)은 상부구조물 돌기의 나사가 없는 원뿔 부분과 계면을 이루기 위하여 이들에 대한 나사가 없는 후방 원뿔 부분(311)을 포함한다. 오목면(308) 및 돌기의 원뿔 부분의 측면 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계면을 이룰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부구조물에 의해 고정물(301)에 인가되는 전방으로 배향된 하중 모두 또는 일부가 부착 수준(307)의 전방에 배치되는 고정물 오목면(308)의 원뿔 부분(311)의 측면 상의 1개 이상의 노드 상에서 발생시키는 각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각각 고정물 오목면(308) 및 상부구조물 돌기의 원뿔 부분들의 측면들이 다음과 같이 조절되는 경우 도 7의 이식된 고정물(301)에 인접한 골조직 내의 응력 분포에 대한 유한 요소 분석이다:
- 상부구조물이 오목면 측면 상의 노드(4) 상에서만 1000 N의 전방으로 배향된 하중을 인가한다.
- 상부구조물은 오목면 측면 상의 노드(7) 상에서만 1000 N의 전방으로 배향된 하중을 인가한다.
- 상부구조물은 오목면 측면 상의 노드(1 내지 5) 상에 걸쳐 1000 N의 전방으로 배향된 하중을 분포시킨다.
유한 요소 분석은 상부구조물에 의한 전방으로 배향된 고정물(301)의 하중이 부착 수준(307)의 전방에 배치되는 계면들을 통하여 빌생하도록 상부구조물 및 고정물(301)의 계면 단부들을 조절함으로써, 고정물(301)에 인접한 골조직 내의 피크 계면 전단 응력이 부착 수준(307)의 점진적으로 보다 전방에 배치되도록 하고, 또한 응력이 종래 기술의 시스템과 비교하였을 때 그 값이 일반적으로 감소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7 및 도 8A 내지 도 8C를 참고로 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계면 접촉이 달성되는 방법에 대한 한 예로서, 도 9A 및 도 9B는 이식 후에 골조직 내의 고정물(401)의 유입점과 위치일치되는 외면의 상호결합되는 단면(405)의 후방 연부(407)의 전방 수준에서 계면을 이루는 계면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지대치(402) 및 치근 형태의 골내막 고정물(401)을 보여준다. 외면의 상호결합 성능은 예를 들면, 거대조면화, 미세조면화, 기계가공 또는 임의의 표면 특징의 배합에 의해 고정물의 외면을 조면화시킴으로써 달성된다.
고정물(401)은 이식되었을 때 골조직으로부터 돌출하게 되고 나사가 없는 후방 원뿔 부분(411)을 갖는 소켓(408)이 제공되어 있는 후단(430)을 나타낸다. 지대치(402)는 고정물(401) 내의 소켓(408)과 계면을 이루기 위하여 나사가 없는 후방 원뿔 부분(415)와 함께 그의 전단에 웅형 돌기를 갖는다. 지대치 돌기의 원뿔 부분(415)의 측면은 이식 방향 또는 전방의 고정물(401) 및 지대치(402)의 계면 접촉이 부착 수준(407) 또는 그의 후방 연부의 전방의 소켓(408)의 원뿔 부분(411)의 한 단면(409)과 지대치 돌기의 단면(423) 사이에서 발생하도록 약간 상이한 각을 갖는 2개의 단면(421, 423)으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전방으로 배향된 하중의 필수적인 전달은 지대치(402) 및 고정물(401) 사이의 필수적인 계면 접촉이 고정물(401) 내의 소켓(408)의 원뿔 부분(411) 내에서 더욱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부착 수준(407) 또는 그의 후방 연부의 전방의 수준에서 발생한다. 계면 접촉은 부착 수준(407) 또는 그의 후방 연부의 전방 0.1 내지 5 mm 범위에서 발생한다.
또한 고정물 소켓(408)의 원뿔 부분(411)의 측면의 각은 부착 수준(407) 또는 그의 후방 연부의 전방의 고정물(401) 및 지대치(402)의 표면들 사이의 유리한 계면 접촉이 가능하도록 나누어질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실리콘 고무와 같은 연질 완충재를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전방으로 배향된 하중이 고정물(401)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매질을 제공하지 않고서도 지대치(402)를 지지하기 위하여 고정물(401) 내의 소켓(408)의 원뿔 부분(411)과 지대치(402)의 웅형 돌기의 후방 원뿔 부분(415)의 후방 단면(421) 사이의 환상 공간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예로서, 소켓(408)의 원뿔 부분(411) 상에 페인팅된 층 또는 초박형 연질 중합체 O-고리의 사용을 언급할 수 있다.
지대치 돌기의 원뿔 부분(415)의 측면 각을 고정물(401) 내의 소켓(408)의 원뿔 부분(411)의 측면 각과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만든 경우, 부착 수준(407)을 가로질러 계면을 이루는 웅형 돌기 및 소켓(408)의 원뿔 부분(411, 415)로 인하여 전방으로 배향된 하중이 부착 수준(407)을 가로질러 분포하게 된다.
2가지 경우 모두, 고정물(401)이 부착 수준(407)의 전방 표면 상에서 전방으로 하중을 받는 것에 의해 고정물(401)에 인접한 골조직 내의 감소된 계면 전단 응력 피크 및 보다 유리한 응력 분포가 유발될 것이다.
도 10에 있어서, 이식되었을 때 골조직 표면과 일치하는 부착 수준(507)을 갖는 상호결합되는 외면(505) 및 고정물이 이식되었을 때 골조직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지대치(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상부구조물 상의 돌기를 그 안에 자리잡게 하기 위하여 그 돌기에 대한 소켓(508)이 제공되어 있는 후단(530)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치근 형태의 골내막 고정물(501)이 나타나 있다. 역시, 외면의 상호결합 성능은 예를 들면, 거대조면화, 미세조면화, 기계가공 또는 임의의 표면 특징의 배합에 의해 고정물의 외면을 조면화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경우, 고정물(501)의 소켓(508) 및 지대치 돌기는 고정물(501) 및 상부구조물 사이의 전방으로의 계면 접촉이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착 수준(507)의 전방에 배치되는 소켓(508)의 기저면(525) 상에서만 일어나도록 조절된다. 따라서 고정물의 전방으로의 축 하중은 부착 수준(507)의 전방에서만 발생한다. 기저면(525)는 부착 수준(507)의 전방 0.1 mm 내지 약 10 mm 범위에 있어, 이 범위의 상한치를 향해 추가로 진행될 때 보다 개선된 응력 조건이 얻어진다.
도 11은 상부구조물에 의해 소켓(508)의 기저면(525)에 전방으로 배향된 1000 N의 하중이 인가될 때 도 10의 이식된 고정물(501)에 인접한 골조직 내의 응력 분포의 유한 요소 분석이다. 이것은 전방으로 배향된 하중이 부착 수준(507) 아래에 인가되기 때문에 고정물(501)에 인접한 골조직 내의 응력이 역시 바람직하게 분포됨을 보여준다. 이 계면 접촉이 기저면(525)로부터 고정물(501) 내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암나사 부착된 보어 내로 나사결합되는 상부구조물의 전단에 있는 나사 부착된 돌기와 함께 유지되는 경우에 동일한 결과가 또한 관찰되게 된다.
이것은 고정물의 상호결합되는 외면의 후방 단면이 상악 또는 하악으로부터 돌출되게 되는 경우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경우, 부착 수준은 고정물이 이식될 때 상호결합되는 외면의 후단 및 전단 사이에 있는 고정물의 상악 또는 하악 내로의 유입점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부구조물에 의한 고정물의 이식 방향 또는 전방으로의 축 하중은 상호결합되는 외면의 후단과 전단 사이에 있는 상기 위치의 전방의 계면을 통해 일어나게 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부품들은 당 업계의 종래의 물질, 예를 들면 시판되는 순수한 티타늄으로부터 및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음을 당 업계의 통상의 숙련인들은 알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고정물과 상부구조물 사이의 계면 접촉을 상부구조물이 고정물의 상호결합되는 외면의 부착 수준의 전방의 수준에 배치되는 위치에서 계면을 통하여 고정물에 전방으로 배향된 하중을 인가하도록 조절시킴으로써 이식되었을 때 고정물 주위의 응력 분포가 향상되는, 고정물과 계면을 이룰 수 있는 상부구조물 및 상호결합되는 외면을 갖는 고정물을 포함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을 제공한다.

Claims (7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전단,
    오목면 개구부로부터 전방으로 및 소정의 위치(307; 407; 507)를 넘어 연장되는 경계벽 및 후방 개구부를 갖는 자형 오목면을 제공하는 후단(330; 430; 530) 및
    전단과 후단 사이에서 연장되고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의 전방에서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과 상호결합되도록 조절되는 외면(305; 405; 505)를 갖는, 상악 또는 하악에서 전방으로의 고정물의 치환에 의한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312, 314; 512, 514) 내에서의 이식용 고정물(301; 401; 501), 및
    고정물의 후단과 계면을 이루고, 경계벽을 갖는 웅형 돌기를 제공하는 전단을 갖고, 상부구조물의 전단 및 고정물의 후단이 서로 계면을 이루기 위한 계면을 나타내는, 고정물 상에서의 합착용 상부구조물(402)를 포함하며,
    고정물의 후단 및 상부구조물의 전단은 상부구조물의 소정의 계면(423)이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의 전방에 배치되는 수준에 있는 고정물의 소정의 계면(311; 409; 525)와 전방으로 계면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일정 치수를 가지며,
    (i) 고정물의 자형 오목면의 경계벽 및 상부구조물의 돌기의 경계벽은 각각 서로 계면을 이룰 수 있는, 소정의 위치의 전방으로 각각 배치되는 소정의 계면을 제공하고,
    (ii) 상부구조물의 돌기의 경계벽 및 고정물의 자형 오목면의 경계벽은 소정의 단면이 경계를 이루는 경우 후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되고 일정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39. 제38항에 있어서, 각각의 계면은 각 경계벽의 소정의 전방 단면에 의해 제공되며 실질적으로 공통각으로 전방으로 수렴하는 측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원뿔인 윤곽을 갖는 것인 치아 이식물 시스템.
  40.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고정물 및 상부구조물의 소정의 계면은 전방으로 서로 계면을 이루도록 조절되는 고정물 및 상부구조물의 유일한 계면인 치아 이식물 시스템.
  41.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고정물 및 상부구조물의 소정의 계면은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의 전방 1 mm 내지 약 10 mm 이하 범위에 있는 수준에서 계면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일정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42.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고정물 및 상부구조물의 소정의 계면은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의 전방 약 0.1 내지 1 mm인 수준에서 계면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일정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43.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자형 오목면의 경계벽의 소정의 전방 단면의 전방으로의 정도가 자형 오목면의 경계벽의 소정의 후방 단면의 전방으로의 정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44.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자형 오목면의 경계벽의 소정의 경계면의 후방의 자형 오목면의 경계벽의 단면이 전방으로 수렴하는 측면들을 갖는 원뿔 윤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45.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자형 오목면 및 웅형 돌기의 경계벽들의 소정의 전방 및 후방 단면들이 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46. 제44항에 있어서, 자형 오목면의 경계벽의 후방 단면의 측면들이 공통각으로 전방으로 수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47. 제46항에 있어서, 웅형 돌기의 후방 단면이 공통각보다 전방 방향에 대하여 보다 예각으로 전방으로 수렴하는 측면들을 갖는 원뿔 윤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48. 제47항에 있어서, 자형 오목면 및 웅형 돌기의 경계벽의 소정의 표면이 일반적으로 공통각 또는 실질적으로 공통각으로 전방으로 수렴하는 측면들을 갖는 원뿔 윤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49.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자형 오목면의 경계벽의 후방 단면이 고정물의 후단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50.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자형 오목면의 경계벽의 소정의 표면이 경계벽의 횡단면(525)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51. 제50항에 있어서, 자형 오목면의 경계벽의 횡단면이 자형 오목면의 횡기저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52. 제50항에 있어서, 자형 오목면이 고정물의 후단에서 개방되는 후방의 원뿔 부분 및 그의 후단에서 후방의 원뿔 부분과 이어지고 그의 전단에서 횡단면을 나타내는 다각형 전방 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53. 제38항에 있어서, 상부구조물이 상악 또는 하악 위에 놓여지는 연조직층을 메우기 위한 지대치(402)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54.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고정물의 외면(305; 405; 505)의 하나 이상의 단면이 골조직과 상호결합되도록 조면화되고, 외면의 하나 이상의 단면이 후방 연부 및 전방 연부를 갖고,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가 후방 및 전방 연부들 중간 위치 또는 후방 연부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55. 제54항에 있어서, 고정물 외면의 하나 이상의 단면이 거대조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56. 제54항에 있어서, 고정물 외면의 하나 이상의 단면이 미세조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57.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물 외면의 하나 이상의 단면이 그의 기계가공에 의해 조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58. 제38항에 있어서, 전단을 나타내는 고정물의 하나 이상의 전방 단면이 사용 중에 고정물의 이식을 위해 골조직 내로 삽입되도록 조절되고, 하나 이상의 전방 단면이 후방 연부를 갖고,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가 하나 이상의 전방 단면의 후방 연부에 배치됨으로써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가 고정물이 이식될 때 상악 또는 하악의 외면과 함께 위치일치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위치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59.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고정물 외면이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와 고정물의 전단 사이의 골조직과 상호결합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60.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고정물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가 고정물의 후단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61.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고정물 및 상부구조물의 소정의 계면이 나사가 없는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62.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고정물 및 상부구조물의 소정의 계면이 직접적인 접촉을 통하여 서로 계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63. 제38항에 있어서, 오목면의 경계벽의 계면의 전방에 배치된 고정물의 오목면의 경계벽의 단면은 나사 부착되고, 상부구조물은 상부구조물의 경계벽의 계면의 전방에 배치된 수나사 부착된 돌기와 함께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오목면의 나사 부착된 단면 및 나사 부착된 돌기는 서로 나사에 의해 체결되어 계면들이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일정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64. 제38항에 있어서, 고정물의 외면은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과 나사 삽입될 수 있는 나사산을 포함함으로써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과 상호결합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
  65. 전단,
    오목면 개구부로부터 전방으로 및 소정의 위치(307; 407; 507)를 넘어 연장되는 경계벽 및 후방 개구부를 갖는 자형 오목면을 제공하는 후단(330; 430; 530) 및
    전단과 후단 사이에서 연장되고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의 전방에서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과 상호결합되도록 조절되는 외면(305; 405; 505)를 가지며,
    또한 경계벽을 갖는 웅형 돌기를 제공하는 전단을 갖는 상부구조물이 그 위에 고정 합착되도록 조절되며,
    (i) 고정물의 자형 오목면의 경계벽 및 상부구조물의 돌기의 경계벽은 각각 서로 계면을 이룰 수 있는, 소정의 위치의 전방으로 각각 배치되는 소정의 계면을 제공하고,
    (ii) 상부구조물의 돌기의 경계벽 및 고정물의 자형 오목면의 경계벽은 소정의 단면이 경계를 이루는 경우 후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되고 일정 치수를 갖는 갖는, 상악 또는 하악에서 전방으로의 고정물의 치환에 의해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312, 314; 512, 514) 내에 이식될 수 있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고정물(301; 401; 501).
  66. 제65항에 있어서, 각각의 계면은 각 경계벽의 소정의 전방 단면에 의해 제공되며 실질적으로 공통각으로 전방으로 수렴하는 측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원뿔인 윤곽을 갖는 것인 고정물.
  67. 제65항 또는 제66항에 있어서, 오목면의 경계벽의 계면의 전방에 배치된 고정물의 오목면의 경계벽의 단면은 나사 부착되어 상부구조물과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수나사 부착된 돌기와 나사 체결할 수 있는 것인 고정물.
  68. 전단,
    오목면 개구부로부터 전방으로 및 소정의 위치(307; 407; 507)를 넘어 연장되는 경계벽 및 후방 개구부를 갖는 자형 오목면을 제공하는 후단(330; 430; 530) 및
    전단과 후단 사이에서 연장되고 외면 상의 소정의 위치의 전방에서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과 상호결합되도록 조절되는 외면(305; 405; 505)를 갖는, 상악 또는 하악에서 전방으로의 고정물의 치환에 의해 상악 또는 하악의 골조직(312, 314; 512, 514) 내에 이식될 수 있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고정물(301; 401; 501) 상에 고정 합착될 수 있으며,
    경계벽을 갖는 웅형 돌기를 제공하는 전단을 가지며,
    (i) 고정물의 자형 오목면의 경계벽 및 상부구조물의 돌기의 경계벽은 각각 서로 계면을 이룰 수 있는, 소정의 위치의 전방으로 각각 배치되는 소정의 계면을 제공하고,
    (ii) 상부구조물의 돌기의 경계벽 및 고정물의 자형 오목면의 경계벽은 소정의 단면이 경계를 이루는 경우 후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되고 일정 치수를 갖는 갖는, 치아 이식물 시스템의 상부구조물(402).
  69. 제68항에 있어서, 각각의 계면은 각 경계벽의 소정의 전방 단면에 의해 제공되며 실질적으로 공통각으로 전방으로 수렴하는 측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원뿔인 윤곽을 갖는 것인 상부구조물.
  70. 제68항 또는 제69항에 있어서, 상부구조물이 상악 또는 하악 위에 놓여지는 연조직층을 메우기 위한 지대치(402)인 상부구조물.
  71. 제68항 또는 제69항에 있어서, 상부구조물이 상부구조물의 경계벽의 계면의 전방에 배치된 수나사 부착된 돌기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나사 체결할 수 있는 것인 상부구조물.
KR10-1999-7009935A 1997-04-28 1998-04-21 이식물 시스템 KR100513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701581A SE9701581D0 (sv) 1997-04-28 1997-04-28 Implant system
SE9701581-2 1997-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123A KR20010012123A (ko) 2001-02-15
KR100513194B1 true KR100513194B1 (ko) 2005-09-07

Family

ID=20406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935A KR100513194B1 (ko) 1997-04-28 1998-04-21 이식물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474991B1 (ko)
EP (1) EP0999803B1 (ko)
JP (1) JP4285782B2 (ko)
KR (1) KR100513194B1 (ko)
AT (1) ATE296584T1 (ko)
AU (1) AU7353498A (ko)
CA (1) CA2286752C (ko)
DE (1) DE69830407T2 (ko)
ES (1) ES2241136T3 (ko)
SE (1) SE9701581D0 (ko)
WO (1) WO19980487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055A (ko) * 2017-12-27 2019-07-0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인공치아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5420A1 (en) * 2003-03-18 2004-09-23 Schulter Carl W. Dental implant abutment
US7179088B2 (en) * 2003-03-18 2007-02-20 Cagenix, Inc. Lobed dental implant
MD2490G2 (ro) * 2004-04-01 2005-01-31 Мариан ПОПОВИЧ Implant dentar lamă amovibil
WO2009015102A1 (en) * 2007-07-20 2009-01-29 Cochlear Americas Bone anchor fixture for a medical prosthesis
IT1391016B1 (it) * 2008-07-11 2011-10-27 Luigi Canullo Sistema implantare perfezionato.
KR101048968B1 (ko) * 2010-11-30 2011-07-12 김노국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AT511387B1 (de) * 2011-04-20 2013-02-15 Redtenbacher Praez Steile Ges M B H Zahnprothese
US9168110B2 (en) 2012-05-29 2015-10-27 Biomet 3I, Llc Dental implant system having enhanced soft-tissue growth features
US11240613B2 (en) 2014-01-30 2022-02-01 Cochlear Limited Bone conduction implan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46370B (sv) * 1983-11-25 1986-09-08 Astra Meditec Ab Implantat for infestning av dentala proteser
JPH0712365B2 (ja) * 1985-04-04 1995-02-15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人工歯根
US4758160A (en) * 1986-11-20 1988-07-19 Isis International, Inc. Dental implant
SE455370C (sv) * 1987-04-22 1997-02-13 Astra Tech Ab Hylsa för uppbärande av en tandprotes
US5114343A (en) * 1990-08-27 1992-05-19 Essential Dental Systems, Inc. Resilient support structure
US5110292A (en) * 1990-08-30 1992-05-05 Calcitek, Inc. Endosseous implant system with internal jam nut
US5092771A (en) * 1990-11-21 1992-03-03 Tatum Iii O Hilt Rotary dental implant post
US5458488A (en) * 1991-12-30 1995-10-17 Wellesley Research Associates, Inc. Dental implant and post construction
US5282746A (en) * 1992-11-04 1994-02-01 Grady C. Sellers Method of installing a dental prosthesis
US5417570A (en) * 1994-01-03 1995-05-23 Zest Anchors, Inc. Dental anchor assembly
AT400804B (de) * 1994-10-10 1996-03-25 Mke Metall Kunststoffwaren Implanta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055A (ko) * 2017-12-27 2019-07-0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인공치아 구조물
KR102120826B1 (ko) * 2017-12-27 2020-06-0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인공치아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86752A1 (en) 1998-11-05
AU7353498A (en) 1998-11-24
EP0999803A1 (en) 2000-05-17
KR20010012123A (ko) 2001-02-15
JP4285782B2 (ja) 2009-06-24
ES2241136T3 (es) 2005-10-16
SE9701581D0 (sv) 1997-04-28
US6474991B1 (en) 2002-11-05
WO1998048728A1 (en) 1998-11-05
DE69830407T2 (de) 2006-01-26
CA2286752C (en) 2007-08-28
EP0999803B1 (en) 2005-06-01
DE69830407D1 (de) 2005-07-07
JP2001523132A (ja) 2001-11-20
ATE296584T1 (de) 200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2488A (en) Dental implants with resorption preventing means
US20080227057A1 (en) Narrow Dental Implant and Associated Parts
JPH1043207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ための補綴取付け合釘
KR20060135786A (ko) 뼈에 사용하기 위한 앵커링 요소
KR100513194B1 (ko) 이식물 시스템
AU743811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executing a cemented superstructure and also distance member and set of distance members
US6250924B1 (en) Dental implant system and a method for its manufacture
KR100513195B1 (ko) 이식물 시스템
JP2001523132A5 (ko)
KR10047314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AU2015311605B2 (en) A dental implant
US20150079355A1 (en) Dental implant
CN101909542A (zh) 牙齿植入物
Pandey et al. Macrodesign of dental implant–A review
KR100649628B1 (ko) 치과용 임플란트
JPH031855A (ja) 足首、腰もしくはその他の再構成関節の関節機構を支持するための固定要素
US20220087787A1 (en) Adaptor for dental implant abutment
RU177115U1 (ru) Эндооссальный цельнокерамический винтовой одноэтапный иммедиат - имплантат
Reis et al. An Overview Regarding Contemporary Biomechanical Aspects on Immediate Loading Dental Implants
CN111012532A (zh) 具有翼固位结构的短种植体及其制备方法
GB2475106A (en) A bifunctional dental and maxillofacial implant
SE514531C2 (sv) Tandimplantat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