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968B1 -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968B1
KR101048968B1 KR1020100120134A KR20100120134A KR101048968B1 KR 101048968 B1 KR101048968 B1 KR 101048968B1 KR 1020100120134 A KR1020100120134 A KR 1020100120134A KR 20100120134 A KR20100120134 A KR 20100120134A KR 101048968 B1 KR101048968 B1 KR 101048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abutment
tape
groove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노국
Original Assignee
김노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노국 filed Critical 김노국
Priority to KR1020100120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9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착부에 홈을 형성시켜 픽스쳐와의 실링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는 나사부와, 밀착부와, 헤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부는 픽스쳐에 삽입되어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밀착부는 상기 픽스쳐의 테이프부에 삽입되어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부의 상부에 테이프져서 형성되고, 상기 픽스쳐의 테이프부와 밀착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이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는 보철이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밀착부의 상부에 형성된다. 특히 여기서 상기 홈은 입구보다 안쪽이 더 넓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착부에 입구가 좁고 안쪽이 넓게 형성 홈이 형성된 어버트먼트를 제공함으로써, 픽스쳐와 체결시 밀착부의 홈의 입구부위가 홈으로 변형된다. 이 경우 어버트먼트의 밀착부가 픽스쳐에 밀착되어 어버트먼트와 픽스쳐의 밀착성을 증가된다. 따라서 실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Abutment for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착부에 홈을 형성시켜 픽스쳐와의 실링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에 대한 것이다.
치아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가 상실된 부위에 인공 치근을 심어 치조골에 유착시키고, 그 인공 치근에 치아 보철(prosthesis or crown)을 고정하여 형성된 인공 치아 구조 또는 이러한 치과 시술방법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티타늄으로 구성된 픽스쳐(fixture)와, 픽스쳐 상에 고정되는 1-piece type의 어버트먼트(abutment)와, 어버트먼트에 고정되는 인공 치아로서 보철(prosthesis)로 구성되거나, 또는 1-piece type의 어버트먼트 대신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 고정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류(abutment screw)를 포함하는 2-piece type 어버트먼트로 구성된다. 어버트먼트는 어떤 구조가 되었던 간에 픽스쳐에 단단히 고정이 되어 수복된 치아가 저작력(씹는 힘)을 받더라도 픽스쳐와 틈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기능을 발휘해야 할 필요가 있다.
도 6은 종래의 픽스쳐와 어버트먼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픽스쳐(1)와 결합하는 어버트먼트(3)의 결합부는 테이퍼(taper) 구조로 되어 있다. 테이퍼 구조는 두 부품의 결합면적을 증가시켜 힘을 받았을 때 충분히 견디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두 부품의 결합시 틈이 없도록 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 되기 때문이다.
테이퍼 결합의 경우 두 개의 면과 면이 결합한다. 그런데 면을 완벽하게 가공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면과 면의 결합의 경우 점 접촉을 하고 이로 인하여 밀착이 완전하지 못하여 결합부위에 틈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결합시부터 틈이 생긴 상태로 보철이 올라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픽스쳐와 결합을 완전하게 하여 실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어버트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는 나사부와, 밀착부와, 헤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부는 픽스쳐에 삽입되어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밀착부는 상기 픽스쳐의 테이프부에 삽입되어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부의 상부에 테이프져서 형성되고, 상기 픽스쳐의 테이프부와 밀착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테이프부와 접촉하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이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는 보철이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밀착부의 상부에 형성된다. 특히 여기서 상기 홈은 입구보다 안쪽이 더 넓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는 회전방지부와, 밀착부와, 헤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방지부는 픽스쳐에 삽입되어 상기 픽스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밀착부는 상기 픽스쳐의 테이프부에 삽입되어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방지부의 상부에 테이프져서 형성되고, 상기 픽스쳐의 테이프부와 밀착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테이프부와 접촉하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이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는 보철이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밀착부의 상부에 형성된다. 특히 여기서 상기 홈은 입구보다 안쪽이 더 넓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착부에 입구가 좁고 안쪽이 넓게 형성 홈이 형성된 어버트먼트를 제공함으로써, 픽스쳐와 체결시 밀착부의 홈의 입구부위가 홈으로 변형된다. 이 경우 어버트먼트의 밀착부가 픽스쳐에 밀착되어 어버트먼트와 픽스쳐의 밀착성을 증가된다. 따라서 실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버트먼트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버트먼트와 픽스쳐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어버트먼트의 홈의 단면의 개념도,
도 4는 어버트먼트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버트먼트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6은 종래의 어버트먼트와 픽스쳐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버트먼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어버트먼트는 1-piece type의 어버트먼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버트먼트(10)는 나사부(11)와, 밀착부(13)와, 헤드부(15)를 포함한다. 나사부(11)는 픽스쳐(1)에 삽입되어 나사결합을 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밀착부(13)는 픽스쳐(1)의 테이프부(2)에 삽입되어 접촉할 수 있도록 나사부(11)의 상부에서 테이프져서 형성된다. 밀착부(13)와 픽스쳐(1)의 테이프부(2)는 이론상 면접촉을 하여야 하지만 면가공을 완벽하게 하는 것을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점접촉을 한다. 이 경우 어버트먼트(10)와 픽스쳐(1)의 밀착성이 떨어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픽스쳐(1)와 접촉하는 밀착부(13)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14)이 복수 개 형성된다. 이때 홈(14)은 그 입구부(14a)가 좁고 안쪽(14b)이 넓게 형성된다. 홈(14)의 단면의 형상은 도 3의 (a)와 같이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3의 (b)와 같이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홈(14)이 입구부(14a)가 좁고 안쪽(14b)이 넓게 형성된 경우 픽스쳐(1)와 어버트먼트(10)가 체결되면 체결력에 의하여 어버트먼트(10)의 밀착부(13)에 힘이 가해지어 홈(14)의 입구부(14a)에 힘이 전달된다. 홈(14)은 입구부(14a)가 좁고 안쪽(14b)이 넓기 때문에 홈(14)의 입구부(14a)는 힘이 전달되면 화살표 14c와 같이 내부로 변형된다. 그러면 밀착부(13)에 형성된 홈(14)의 입구부(14a)의 변형에 의하여 픽스쳐(1)와 어버트먼트(10)간에 밀착성이 증가된다. 따라서 어버트먼트(10)와 픽스쳐(1)는 완벽하게 실링된다. 도 4와 같이 밀착부(13)에 형성된 홈(16)이 입구부(16a)가 넓고 안쪽(16b)이 넓게 형성되면, 어버트먼트(10)가 픽스쳐(1)와 결합하여 밀착부(13)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홈(16)의 입구부(16a)는 지지되어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래서 픽스쳐(1)와 어버트먼트(10) 간에는 여전히 틈이 발생한다. 그래서 밀착부(13)에 형성된 홈은 입구부가 좁고 안쪽이 넓게 형성되어야 한다.
헤드부(15)는 보철이 결합할 수 있도록 밀착부(13)의 상부에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버트먼트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어버트먼트는 2-piece type의 어버트먼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버트먼트(20)는 회전방지부(21)와, 밀착부(23)와, 헤드부(25)를 포함한다. 회전방지부(21)는 픽스쳐에 삽입되어 상기 픽스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밀착부(23)는 상기 픽스쳐의 테이프부에 삽입되어 접촉할 수 있도록 회전방지부(21)의 상부에 테이프져서 형성된다. 이때 밀착부(23)는 상기 픽스쳐의 테이프부와 접촉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픽스쳐의 테이프부와 접촉하는 부위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돤 홈(24)이 복수 개 형성된다.이때 형성된 홈(24)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입구부가 좁고 안족이 넓게 형성된다.
헤드부(25)는 보철이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밀착부의 상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어버트먼트 스크류(미도시)가 어버트먼트(20)에 삽입되어 어버트먼트(20)와 픽스쳐를 체결시킨다. 어버트먼트(20)의 밀착부(23)에 형성된 홈(24)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픽스쳐와 체결시 밀착성을 증가시킨다.
1 : 픽스쳐 2 : 테이프부
3 : 어버트먼트 10 : 어버트먼트
11 : 나사부 13 : 밀착부
14 : 홈 14a : 입구부
14b : 안쪽 15 : 헤더부
16 : 홈 16a : 입구부
16b : 안쪽 20 : 어버트먼트
21 : 회전방지부 23 : 밀착부
24 : 홈 25 : 헤더부

Claims (2)

  1. 픽스쳐에 삽입되어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와,
    상기 픽스쳐의 테이프부에 삽입되어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부의 상부에 테이프져서 형성되고, 상기 픽스쳐의 테이프부와 밀착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테이프부와 접촉하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이 복수 개 형성된 밀착부와,
    보철이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밀착부의 상부에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은 입구보다 안쪽이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2. 픽스쳐에 삽입되어 상기 픽스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방지부와,
    상기 픽스쳐의 테이프부에 삽입되어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방지부의 상부에 테이프져서 형성되고, 상기 픽스쳐의 테이프부와 밀착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테이프부와 접촉하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이 복수 개 형성된 밀착부와,
    보철이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밀착부의 상부에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은 입구보다 안쪽이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20100120134A 2010-11-30 2010-11-30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048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134A KR101048968B1 (ko) 2010-11-30 2010-11-30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134A KR101048968B1 (ko) 2010-11-30 2010-11-30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8968B1 true KR101048968B1 (ko) 2011-07-12

Family

ID=44923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134A KR101048968B1 (ko) 2010-11-30 2010-11-30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9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4814A1 (ko) * 2013-11-04 2015-05-07 (주)예스바이오테크 임플란트용 스크류
KR102252783B1 (ko) * 2020-11-20 2021-05-14 장천석 응력 및 교합력 분산을 위해 커프에 다수의 홀이 형성된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06636A2 (en) 1991-03-27 1992-09-30 Nobelpharma AB Temporary cylinder
US5282746A (en) 1992-11-04 1994-02-01 Grady C. Sellers Method of installing a dental prosthesis
WO1998048728A1 (en) * 1997-04-28 1998-11-05 Astra Aktiebolag (Publ) Implant system
EP1323394A1 (en) 2001-12-27 2003-07-02 Aichi Steel Corporation Dental magnetic attach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06636A2 (en) 1991-03-27 1992-09-30 Nobelpharma AB Temporary cylinder
US5282746A (en) 1992-11-04 1994-02-01 Grady C. Sellers Method of installing a dental prosthesis
WO1998048728A1 (en) * 1997-04-28 1998-11-05 Astra Aktiebolag (Publ) Implant system
EP1323394A1 (en) 2001-12-27 2003-07-02 Aichi Steel Corporation Dental magnetic attach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4814A1 (ko) * 2013-11-04 2015-05-07 (주)예스바이오테크 임플란트용 스크류
KR102252783B1 (ko) * 2020-11-20 2021-05-14 장천석 응력 및 교합력 분산을 위해 커프에 다수의 홀이 형성된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625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151081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714974B1 (ko) 나사풀림방지 구조를 갖춘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US9248007B2 (en) Set of dental components
US20130224689A1 (en) Implant, implant body, and abutment body
US10729519B2 (en) Dental implant bolt fastening structure
KR101048968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559823B1 (ko) 치아 임플란트 구조물
JP2014168592A (ja)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並びに、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に使用するアバットメント、締結ねじ、及び弛緩防止ねじ
KR101573520B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10143540B2 (en) Dental implant system
US11517409B2 (en) Dental implant analog
KR101642743B1 (ko) 하이브리드형 치아 임플란트 구조물
KR10159715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140008805A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20190029162A (ko) 보철결합용 스크류
KR20150019314A (ko) 풀림방지 임플란트
KR101628629B1 (ko) 싱킹 및 착탈 가능한 탄성 결합 임플란트 시스템
KR20150051348A (ko) 임플란트용 스크류
TW202128094A (zh) 假牙之結合組件
KR101850799B1 (ko) 어버트먼트
KR20210057923A (ko) 마찰결합식 임플란트
KR10217737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306079B1 (ko) 임플란트 구조체
KR100884457B1 (ko) 치아용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