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629B1 - 싱킹 및 착탈 가능한 탄성 결합 임플란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싱킹 및 착탈 가능한 탄성 결합 임플란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629B1
KR101628629B1 KR1020150119807A KR20150119807A KR101628629B1 KR 101628629 B1 KR101628629 B1 KR 101628629B1 KR 1020150119807 A KR1020150119807 A KR 1020150119807A KR 20150119807 A KR20150119807 A KR 20150119807A KR 101628629 B1 KR101628629 B1 KR 101628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fixture
elastic member
tapered portion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호 filed Critical 이준호
Priority to KR1020150119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629B1/ko
Priority to CN201680049885.1A priority patent/CN108770340A/zh
Priority to JP2018508652A priority patent/JP6659923B2/ja
Priority to PCT/KR2016/009457 priority patent/WO2017034350A1/ko
Priority to EP16839638.0A priority patent/EP3342369A4/en
Priority to US15/753,386 priority patent/US2018023573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결합 타입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으로, 치조골에 결합되며 내측에 테이퍼 형상의 암테이퍼부를 포함한 픽스쳐와; 일측은 상기 암테이퍼부와 맞물려 결합 가능하게 상기 암테이퍼부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수테이퍼부를 포함하고, 타측은 보철물이 결합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가 상기 픽스쳐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치조골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록킹위치와 맞물리는 치아의 교합력에 의해 치조골을 향하여 이동하여 가라앉는 위치인 싱킹(sinking)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암테이퍼부와 상기 수테이퍼부 사이에 마련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픽스쳐와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 치아의 맞물린 교합력에 의하여 싱킹 가능하고, 필요시 목표 결합력 이상의 외력을 가하면 픽스쳐로부터 분리가 될 수 있는 어버트먼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싱킹 및 착탈 가능한 탄성 결합 임플란트 시스템 {Elastic Connection type Implant system able to sinking and retrievability}
본 발명은 탄성 결합 타입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픽스쳐에 어버트먼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맞물리는 치아의 교합력에 의해 가라앉을 수 있는 싱킹 효과를 구비하고 픽스쳐에 어버트먼트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탄성 결합 타입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손실 내지 상실된 치아를 대체하는 임플란트 시술이 보편화되어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 방법은 통상 치조골에 드릴링을 형성한 후 픽스쳐를 고정하고, 각종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와 고정하여 최종적으로 보철물을 픽스쳐와 고정시키는 일련의 과정이다.
이렇게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 고정시키기 위해 현재 널리 적용되는 방법으로는, 첫째,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체결 타입, 둘째, 어버트먼트와 픽스쳐를 일정한 각도 범위에서 상호 결합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록킹 타입 등으로 구분된다.
먼저. 첫 번째 ‘체결(혹은 나사) 타입’에서는 통상적으로 어벗먼트와 픽스쳐가 분리되어 있는 2피스 형태로 구비되어 상당한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지만, 결합 부위 부근에서 세균이 번식하거나 나사 등의 결합수단이 풀리거나 파손되는 등의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픽스쳐 및 어벗먼트 일체형 임플란트가 나오기도 하는데, 아무래도 너무 길어서 시술하기가 불편하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직경, 길이 및 각도에 대응하여 제작하기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이 다소 제한적이다.
다음, 두 번째 ‘록킹 타입’은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테이퍼 형상의 결합이 매우 높은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예컨대, 선박의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를 엔진의 추진축에 결합하는 콜드 웰딩(cold welding) 원리를 적용한 록킹 테이퍼(locking taper)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내부 나사가 없으므로 나사 풀림, 부러짐 등의 염려가 없고, 픽스쳐 및 어버트먼트가 정밀하게 결합하지 않으면 어버트먼트가 빠져버리기 때문에 어버트먼트와 픽스쳐 사이에 세균이 끼이거나 번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 방식은 한 번 정밀하게 결합되면 픽스쳐와 어버트먼트를 분리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다른 한편, 임플란트 시술 후에도 임플란트 보철은 유지관리를 위해서 착탈을 할 필요가 있어 착탈 가능성(retrievability)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시술자가 원할 때는 임플란트 보철 및/또는 어버트먼트를 픽스쳐로부터 분리도 가능하고, 통상의 경우에는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야 한다. 또한, 임플란트 시술 후에 맞물리는 치아와의 교합력에 의하여 미세하게(예를 들면, 수 ㎛에서 수십 ㎛) 어버트먼트가 픽스쳐에 대하여 가라앉는 싱킹(sinking)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요에 의하여 싱킹이 가능하면서도 분리 내지 착탈이 용이한 가칭 ‘탄성 (결합) 타입’이 제안되고 있다. 즉, 통상의 결합 상태에서는 픽스쳐에 대한 어버트먼트의 목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목표 결합력 이상이 외력을 가하면 용이하게 분리도 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일예가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0773호 (2014. 11. 12.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보철물과 어버트먼트 사이에 탄성체가 존재하고 있어 비교적 강도가 약한 보철물의 이동이나 움직임으로 인해 보철물이 손쉽게 파손되거나 보철물의 고정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공개특허공보 10-2015-0072363호 (2015. 06. 26. 공개)는 어버트먼트의 하단부에 스프링 탄성부 내지 체결돌기를 구비하고 있으나, 어버트먼트와 픽스쳐 사이의 틈새로 이물질이나 세균 등이 침투할 우려가 있고,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86560호 (2014. 04. 17 공고)는 어버트먼트의 상측이 탄성 변형 가능한 구조이나,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나사 결합된다는 점, 탄성 변형 가능한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부품이 많다는 점 등의 단점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픽스쳐와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 치아의 맞물린 교합력에 의하여 싱킹 가능한 탄성 결합 타입 임플란트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시 목표 결합력 이상의 외력을 가하면 픽스쳐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탄성 결합 타입 임플란트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을 절감할 수 있으며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탄성 결합 타입 임플란트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임플란트 보철물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환자 및/또는 시술자의 편의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탄성 결합 타입 임플란트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치조골에 결합되며 내측에 테이퍼 형상의 암테이퍼부를 포함한 픽스쳐와; 일측은 상기 암테이퍼부와 맞물려 결합 가능하게 상기 암테이퍼부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수테이퍼부를 포함하고, 타측은 보철물이 결합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가 상기 픽스쳐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치조골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록킹위치와 맞물리는 치아의 교합력에 의해 치조골을 향하여 이동하여 가라앉는 위치인 싱킹(sinking)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암테이퍼부와 상기 수테이퍼부 사이에 마련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결합 타입 임플란트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픽스쳐에 상기 어버트먼트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암테이퍼부 및 상기 수테이퍼부 중 어느 하나에 탄성변형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탄성부재 결합홈과;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록킹위치와 상기 싱킹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암테이퍼부 및 상기 수테이퍼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변형부재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부재는 고리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픽스쳐에 대하여 상기 어버트먼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억제 가능하게 상기 암테이퍼부 및 상기 수테이퍼부 영역 또는 상기 암테이퍼부 및 상기 수테이퍼부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에 마련된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치조골에 결합되며 내측에 테이퍼 형상의 암테이퍼부를 포함한 픽스쳐와; 일측은 상기 암테이퍼부와 맞물려 결합 가능하게 상기 암테이퍼부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수테이퍼부를 포함하고, 타측은 보철물이 결합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픽스쳐에 대하여 상기 어버트먼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억제 가능하게 상기 암테이퍼부 및 상기 수테이퍼부 영역 또는 상기 암테이퍼부 및 상기 수테이퍼부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에 마련된 회전방지부와; 상기 어버트먼트가 상기 픽스쳐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치조골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록킹위치와 맞물리는 치아의 교합력에 의해 치조골을 향하여 이동하여 가라앉는 위치인 싱킹(sinking)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회전방지부에 마련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결합 타입 임플란트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픽스쳐와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 치아의 맞물린 교합력에 의하여 싱킹 가능하고, 필요시 목표 결합력 이상의 외력을 가하면 픽스쳐로부터 분리가 될 수 있는 어버트먼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을 절감할 수 있으며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임플란트 보철물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환자 및/또는 시술자의 편의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버트먼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장치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 분리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장치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c는 어버트먼트 장치의 결합위치와 싱킹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d 및 도 3e는 어버트먼트 장치가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다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싱킹 및 착탈 가능한 탄성 결합 타입 임플란트 시스템(100, 이하에서 ‘어버트먼트 장치’라고 함)에 대하여 아래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장치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 분리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장치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3c는 어버트먼트 장치의 결합위치와 싱킹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3d 및 도 3e는 어버트먼트 장치가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다타내는 단면도이다.
어버트먼트 장치(100)을 포함하는 임플란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10)에 결합되며 내측에 테이퍼 형상의 암테이퍼부(113)를 포함한 픽스쳐(110)와, 치조골(10) 상측에 외부로 노출된 잇몸(50) 내지 치은과, 픽스쳐(110)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130)와, 어버트먼트(130)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고 맞물리는 치아와 교합되는 보철물(30) 내지 크라운을 포함한다.
어버트먼트(130)의 일측은 상기 암테이퍼부(113)와 맞물려 결합 가능하게 상기 암테이퍼부(113)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수테이퍼부(133)를 포함하고, 타측은 보철물(30)이 결합된다.
탄성부(150)는 상기 어버트먼트(130)가 상기 픽스쳐(1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치조골(10)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록킹위치(도 3c 참조)와 맞물리는 치아의 교합력의 작용에 의해 치조골(10)을 향하여 이동하여 가라앉는 위치인 싱킹(sinking)위치(도 3c의 하측 화살표 표시 참조)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암테이퍼부(113)와 상기 수테이퍼부(133)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150)는, 상기 픽스쳐(110)에 상기 어버트먼트(13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된 탄성부재(153)와; 상기 탄성부재(153)가 상기 암테이퍼부(113) 및 상기 수테이퍼부(133) 중 어느 하나에 탄성변형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탄성부재 결합홈(155)과; 상기 탄성부재(153)가 상기 록킹위치와 상기 싱킹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암테이퍼부(113) 및 상기 수테이퍼부(133)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탄성부재 그루브(157)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도시한 도 1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록킹위치에서 탄성부재(153)가 픽스쳐(110)에 결합되며, 탄성부재 결합홈(155)은 어버트먼트(130)에 형성되어 있고, 탄성부재 그루브(157)는 픽스쳐(110)에 형성되는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탄성부재(153)는, 일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인 링 내지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어 링 형상의 원주가 이어져 있지 않고 일부가 절단된 형상으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며, 결합위치에서 픽스쳐(110)의 탄성부재 그루브(157)에 밀착될 수 있는 탄성력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153)의 단면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원형이 아니라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탄성부재(153)의 재질은 일예를 형성 기억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체에 해를 주지 않은 허가된 재질이나 이러한 재질로 코팅을 할 수도 있다.
탄성부재 결합홈(155)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픽스쳐(110)에 어버트먼트(13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153)가 탄성부재 결합홈(155) 내측으로 오므라들도록/수축하도록 변형하여 그루브걸림턱(157a)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 3a의 확대도의 ‘GAP’인 공간으로 탄성부재(153)가 탄성변형되고 오므라들어/수축되어 탄성부재(153)이 제일 좁은 구간인 그루브걸림턱(157a)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 결합홈(155)의 하단부는 록킹위치에서 암테이퍼부(113) 및 수테이퍼부(133)의 결합력 이외에 어버트먼트(130)가 픽스쳐(110)로부터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부재(153)에 걸리는 홈걸림턱(155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홈걸림턱(155a)은 추후 필요에 따라 어버트먼트(130)를 픽스쳐(110)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탄성부재(153)가 외력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라들도록 가압하여 후술하는 그루브걸림턱(157a)과 함께 탄성부재 결합홈(155)으로 탄성부재(153)를 안내되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
탄성부재 그루브(157)는, 픽스쳐(110)에 형성되어 록킹위치에서 탄성부재(153)가 결합되어 위치 유지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153)의 단면 형상으로 구비된 그루브걸림턱(157a)과, 그루브걸림턱(157a) 하측으로 그루브걸림턱(157a)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연장된 그루브벽(157b)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탄성부재(153)의 상측과 외측은 탄성부재 그루브(157)의 그루브걸림턱(157a)에 밀착되며, 탄성부재(153)의 하측은 홈걸림턱(155a)과 접촉되어 어버트먼트(130)는 록킹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록킹위치에서 픽스쳐(110)에 어버트먼트(130)가 결합되어 록킹을 유지하는 목표 결합력을 고려하여 암테이퍼부(113)와 수테이퍼부(133)의 경사각도(도 2에서의 ‘B’참조) 및 정밀도, 탄성부재(153)의 재질, 직경, 단면의 형상. 링의 직경 등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부(150)의 록킹 유지 작용으로 인해 종래기술에서 아주 높은 정밀도로 록킹되는 것에 비하여 암테이퍼부(113)와 수테이퍼부(133)의 정밀도를 다소 줄일 수도 있으므로 종래의 록킹 타입보다 제작비를 줄일 수 있으며, 반면에 본 발명에서도 암테이퍼부(113)나 수테이퍼부(133) 사이에서 세균이 침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정도의 정밀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어버트먼트 장치(100)의 결합 과정을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쳐(110)가 치조골(10)에 식립된 상태에서 탄성부재(153)를 탄성부재 결합홈(155)에 결합한 채로 어버트먼트(130)를 픽스쳐(110)에 결합시키도록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력에 의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탄성부재(153)가 가장 좁은 영역인 그루브걸림턱(157a)에서 탄성부재 결합홈(155) 내측으로 탄성변형되어 오므라든 후(도 3b의 ‘점선’ 및 ‘dmin’ 참조) 더 하강하면 그루브걸림턱(157a)을 넘어서면 탄성부재(153)의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탄성력에 의해 ‘딸깍’하면서 그루브걸림턱(157a)에 결합(도 3b의 ‘실선’ 및 ‘dsink’ 참조)되어 탄성부재(153)는 록킹위치에서 위치 유지될 수 있다. 즉, 록킹위치에서 탄성부재(153)의 상단에서 외측단을 향하는 영역은 픽스쳐(110)의 그루브걸림턱(157a)에 접촉되고 하측은 어버트먼트(130)의 홈걸림턱(155a)에 결합된 상태인 록킹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도 3c 참조).
이러한 록킹위치에서 맞물리는 치아의 교합력에 의하여 싱킹 작용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의 교합력(도 3c의 ‘Y1’참조)이 작용하면, 어버트먼트(130)는 픽스쳐(110)에 대하여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물론, 여기서의 이동량은 아주 미세한 수 미크론 내지 수십 미크론 범위일 수 있다). 이동이 가능한 이유는 종래기술과 달리 탄성부재(153)가 탄성부재 그루브(157)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맞물리는 치아의 교합력에 의하여 어버트먼트(13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가라앉는 싱킹 작용을 할 수 있다.
다만, 일정한 목표 결합력 이상의 분리 가능한 외력 이하(도 3c에서 화살표 ‘Y2’ 참조)에서는 암테이퍼부(113)와 수테이퍼부(133)의 결합력 및 탄성부재(153)의 록킹 작용에 의하여 어버트먼트(130)가 픽스쳐(110)로부터 분리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어버트먼트(130)를 픽스쳐(11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도 3d 및 3e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분리 가능한 외력(도 3d 및 도 3e의 ‘F-ext’참조)을 가하면, 홈걸림턱(155a)이 탄성부재(153)를 상측으로 가압하고, 탄성부재(153)의 상측은 그루브걸림턱(157a)을 따라 탄성부재(153)가 탄성부재 결합홈(155)으로 안내될 수 있다.
여기서, 록킹위치에서 홈걸림턱(155a)이 탄성부재(153)와 접촉한 위치는 탄성부재(153) 단면의 상하 중심축선(도 3e의 ‘Y-Y’참조)보다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도 3e의 ‘K’ 참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의 상단 내지 상단에서 근접되게 최외측을 향하는 영역에서 최외측을 향하는 영역은 원형의 탄성부재(153) 형상에 대응한 그루브걸림턱(157a)에 의하여 접촉되어 있어 외력의 가압에 의해 탄성부재(153)가 탄성부재 결합홈(155)의 내측을 향하여 용이하게 수축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점점 가압을 하여 어버트먼트(130)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탄성부재(153)가 도 3e와 같이 어버트먼트(130)의 탄성부재 결합홈(155)에 위치하여 어버트먼트(130)를 픽스쳐(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픽스쳐와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 치아의 맞물린 교합력에 의하여 싱킹 가능하고, 필요시 목표 결합력 이상의 외력을 가하면 픽스쳐로부터 분리가 될 수 있는 어버트먼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을 절감할 수 있으며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임플란트 보철물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환자 및/또는 시술자의 편의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버트먼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어버트먼트 장치(200)를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의 참조번호에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의 참조번호 ‘일’단위, ‘십’단위 번호와 동일하게 표시하였고 이하의 실시예에도 동일하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탄성부재(253)가 탄성변형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부재 결합홈(255)이 픽스쳐(210)에 형성되어 있고, 탄성부재(253)가 이동할 수 있어 싱킹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탄성부재 그루브(257)가 어버트먼트(230)에 형성되어 있다. 즉, 록킹위치에서는 탄성부재(253)가 탄성부재 그루브(257)의 내경에 밀착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구성들은 전술한 바의 구성들과 위치를 제외하고 각 구성의 기능, 작용, 효과 등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장치(300)를 도시한 것으로, 암테이퍼부(313)와 수테이퍼부(333)가 각각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하 회전을 억제하는 예를 들면, 육각형 단면과 같은 회전방지부(115, 135)를 더 포함하고 탄성부(350)가 이러한 회전방지부(115, 135)에 형성되어 있으며, 각 구성의 기능, 작용, 효과 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회전방지부(115, 135)는 암테이퍼부(313) 및 수테이퍼부(333)에 형성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어버트먼트 장치 10 : 치조골
30 : 보철물 50 : 잇몸
110 : 픽스쳐
113 : 암테이퍼부 115 : 암회전방지부
130 : 어버트먼트 133 : 수테이퍼부
135 : 수회전방지부
150 : 탄성부 153 : 탄성부재
155 : 탄성부재 결합홈 155a : 홈걸림턱
157 : 탄성부재 그루브 157a : 그루브걸림턱
157b : 그루브 벽

Claims (5)

  1. 치조골에 결합되며 내측에 테이퍼 형상의 암테이퍼부를 포함한 픽스쳐와;
    일측은 상기 암테이퍼부와 맞물려 결합 가능하게 상기 암테이퍼부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수테이퍼부를 포함하고, 타측은 보철물이 결합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가 상기 픽스쳐와 상호 중심축선을 따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치조골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록킹위치와 맞물리는 치아의 교합력에 의해 치조골을 향하여 이동하여 가라앉는 위치인 싱킹(sinking)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암테이퍼부와 상기 수테이퍼부 사이에 마련된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는, 상기 픽스쳐에 상기 어버트먼트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원형 단면을 갖는 고리형상으로 마련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암테이퍼부 및 상기 수테이퍼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픽스쳐에 대하여 상기 어버트먼트와 착탈하는 과정에서 상기 중심축선의 가로방향인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하측에 홈걸림턱을 구비한 탄성부재 결합홈과;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록킹위치에서 위치 유지되면서 상기 중심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암테이퍼부 및 상기 수테이퍼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탄성부재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위치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원형 단면의 중심을 이은 선은 상기 홈걸림턱을 이는 선과 어긋나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록킹위치에서 고정 유지되고 상기 어버트먼트가 상기 픽스쳐에 대하여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결합 타입 임플란트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에 대하여 상기 어버트먼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억제 가능하게 상기 암테이퍼부 및 상기 수테이퍼부 영역 또는 상기 암테이퍼부 및 상기 수테이퍼부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에 마련된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결합 타입 임플란트 시스템.
  5. 삭제
KR1020150119807A 2015-08-25 2015-08-25 싱킹 및 착탈 가능한 탄성 결합 임플란트 시스템 KR101628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807A KR101628629B1 (ko) 2015-08-25 2015-08-25 싱킹 및 착탈 가능한 탄성 결합 임플란트 시스템
CN201680049885.1A CN108770340A (zh) 2015-08-25 2016-08-25 可下沉以及可拆装的弹性结合型种植体系统
JP2018508652A JP6659923B2 (ja) 2015-08-25 2016-08-25 シンキングおよび着脱可能な弾性結合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PCT/KR2016/009457 WO2017034350A1 (ko) 2015-08-25 2016-08-25 싱킹 및 착탈 가능한 탄성 결합 임플란트 시스템
EP16839638.0A EP3342369A4 (en) 2015-08-25 2016-08-25 Easily retrievable implant-abutment device
US15/753,386 US20180235736A1 (en) 2015-08-25 2016-08-25 Easily retrievable implant-abut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807A KR101628629B1 (ko) 2015-08-25 2015-08-25 싱킹 및 착탈 가능한 탄성 결합 임플란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629B1 true KR101628629B1 (ko) 2016-06-08

Family

ID=56194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807A KR101628629B1 (ko) 2015-08-25 2015-08-25 싱킹 및 착탈 가능한 탄성 결합 임플란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6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4350A1 (ko) * 2015-08-25 2017-03-02 (주)애크로덴트 싱킹 및 착탈 가능한 탄성 결합 임플란트 시스템
KR20190111903A (ko) * 2016-12-15 2019-10-02 이보클라 비바덴트 아게 상부 구조 받침대 홀더 및 접착 갭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5563B1 (en) * 1998-04-08 2001-11-13 IMZ FERTIGUNGS-UND VERTRIEBSGESELLSCHAFT FüR DENTALE TECHNOLOGIE MBH Single-tooth enossal implant
KR20140130773A (ko) * 2013-05-02 2014-11-12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KR20150032977A (ko) * 2013-09-23 2015-04-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흡수장치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KR20150072363A (ko) * 2013-12-19 2015-06-29 김형우 치과용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5563B1 (en) * 1998-04-08 2001-11-13 IMZ FERTIGUNGS-UND VERTRIEBSGESELLSCHAFT FüR DENTALE TECHNOLOGIE MBH Single-tooth enossal implant
KR20140130773A (ko) * 2013-05-02 2014-11-12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KR20150032977A (ko) * 2013-09-23 2015-04-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흡수장치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KR20150072363A (ko) * 2013-12-19 2015-06-29 김형우 치과용 임플란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4350A1 (ko) * 2015-08-25 2017-03-02 (주)애크로덴트 싱킹 및 착탈 가능한 탄성 결합 임플란트 시스템
KR20190111903A (ko) * 2016-12-15 2019-10-02 이보클라 비바덴트 아게 상부 구조 받침대 홀더 및 접착 갭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550951B1 (ko) 2016-12-15 2023-07-03 이보클라 비바덴트 아게 상부 구조 받침대 홀더 및 접착 갭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1247B2 (ja) 修復のための歯科インプラントおよびアバットメントの結合部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730572B2 (en) Apparatus for attaching a dental component to a dental implant
KR101842179B1 (ko) 코니칼 실링과 탄성 체결 방식을 채택한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
JP6355651B2 (ja) 歯プロテーゼアッセンブリおよび歯プロテーゼシステム
EP2119414B1 (en) Coupling for a multi-part dental implant system
US9314318B2 (en) Dental anchor apparatus and method
EP2934367B1 (en) Abutment
EP3629997B1 (en) Dental connection system
US10531937B2 (en) Dental implant system with positive abutment screw locking and retrieval mechanism
US10842597B2 (en)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EP2486890A2 (en) Abutment for implant
EP3243480B1 (en) Dental implant bolt fastening structure
JP6659923B2 (ja) シンキングおよび着脱可能な弾性結合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EP3854344B1 (en) Dental attachment assembly
KR101953301B1 (ko)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KR101628629B1 (ko) 싱킹 및 착탈 가능한 탄성 결합 임플란트 시스템
KR20090002387A (ko) 2중 접촉식 치과용 임플란트
JP2014168592A (ja)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並びに、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に使用するアバットメント、締結ねじ、及び弛緩防止ねじ
JP2019202124A (ja) 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JP2011200647A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印象キャップ
KR101525397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
KR102208556B1 (ko)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US9968423B2 (en) Dental implant and set thereof
KR102208219B1 (ko) 임플란트 구조체
TWI826521B (zh) 用於形成義齒之坯料及製造義齒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