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773A -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0773A
KR20140130773A KR1020130049119A KR20130049119A KR20140130773A KR 20140130773 A KR20140130773 A KR 20140130773A KR 1020130049119 A KR1020130049119 A KR 1020130049119A KR 20130049119 A KR20130049119 A KR 20130049119A KR 20140130773 A KR20140130773 A KR 20140130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implant
implant according
detachable dental
coupling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2709B1 (ko
Inventor
허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30049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709B1/ko
Publication of KR20140130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internal slee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결합부(111)와 식립부(112)로 구성되고 치조골에 식립되어지는 픽스츄어(110), 픽스츄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안쪽에 결합부(111)가 삽입되는 결합부삽입홈(121)이 형성된 보철물(120) 및 픽스츄어(110)의 결합부(111)에 보철물(120)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재(1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DETACHABLE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보철물 또는 보철물과 접합되는 어버트먼트가 치조골에 식립되어지는 픽스츄어로부터 외력에 의해 착탈될 수 있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implant)는 구강 내에서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가 상실된 부분에 치근에 해당하는 픽스츄어를 턱뼈에 체결하여 뼈와 유착되게 한 후 인공 치아를 픽스츄어에 결합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는, 치근에 해당하는 픽스츄어(fixture), 인공 치아를 결합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를 상호 결합하는 스크류로 이루어는게 일반적이다.
본 출원인은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를 결합하는 데 있어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 표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구조를 등록특허 제1029068호의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및 등록특허 제1077826호의 「마찰결합식 치과용 임플란트」에 제안하였다.
종래의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와 마찰결합식 치과용 임플란트의 대표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10)는 보철물과 시멘트 결합되는 보철물결합부(11), 임플란트의 상부와 마찰 결합되는 임플란트결합부(12) 및 보철물결합부(11)와 임플란트결합부(12)를 하나로 이어주며 임플란트결합부(12) 주변에 마련되는 잇몸접촉부(1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마찰결합식 치과용 임플란트(20)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식립체(21)와 어버트먼트(10)와 결합되는 어버트먼트결합체(22)로 구성되어 있고, 어버트먼트결합체(22)는 마찰결합부(22a)와 목부(22b)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10)와 마찰결합식 치과용 임플란트(20)는 표면의 마찰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보철물(30)이 시멘트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어버트먼트(10)가 치조골(1)에 식립된 임플란트(20)로부터 착탈이 가능하여, 임플란트 시술 후 발생하는 염증등 발생하는 경우 제거가 수월하였고, 보철물(30)이 손상되는 경우 새로운 보철물의 교체가 수월하였다.
그러나, 마찰력을 이용한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착탈 가능하다는 큰 장점에도 불구하고 저작운동으로 보철물에 가해지는 반복적인 외력에 의해 마찰결합면이 마모되어 마찰결합력이 점차 저하되거나 심한 경우 결합이 해제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임플란트의 마찰결합부가 마모되는 경우에는 임플란트 자체를 새로 교체해야 하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원하는 마찰결합력을 얻기 위해서는 어버트먼트 또는 임플란트 표면의 테이퍼 가공이 매우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했기 때문에 가공 작업이 어렵고 많은 시간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철물 또는 보철물이 접합된 어버트먼트와 치조골에 식립되어지는 픽스츄어를 형상기억합금의 결합재를 사용하여 착탈되게 결합함으로써 저작운동으로 보철물에 가해지는 반복적인 외력에도 결합력이 저하되지 않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보철물의 내면 또는 보철물이 접합된 어버트먼트의 내면과 픽스츄어의 외면 사이에 미세한 틈을 형성함으로써 저작운동시 보철물 또는 보철물이 접합된 어버트먼트가 픽스츄어에 대해 다방향으로 미세 운동이 가능한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결합부와 식립부로 구성되고 치조골에 식립되어지는 픽스츄어, 상기 픽스츄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안쪽에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부삽입홈이 형성된 보철물, 및 상기 픽스츄어의 결합부에 상기 보철물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부와 식립부로 구성되고 치조골에 식립되어지는 픽스츄어, 상기 픽스츄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안쪽에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부삽입홈이 형성된 어버트먼트; 상기 어버트먼트 위에 고정되게 접합되는 보철물, 및 상기 픽스츄어의 결합부에 상기 어버트먼트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식립부는 일체로 연결되게 구성되거나, 또는 연결나사등의 연결수단에 의해 분리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테이퍼진 외주면을 갖고, 상기 결합부삽입홈은 상기 테이퍼진 외주면과 상응하게 테이퍼진 내주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테이퍼진 각도(α)는 2°~ 20°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픽스츄어가 1개이고 상기 보철물이 1개가 적용될 때, 상기 테이퍼진 각도(α)는 2°~ 10°인 것과, 상기 픽스츄어가 2개이고 상기 보철물이 2개 또는 3개가 하나로 연결되어 적용될 때, 상기 테이퍼진 각도(α)는 8°~ 16°인 것과, 상기 픽스츄어가 3개이고 상기 보철물이 3개 또는 4개가 하나로 연결되어 적용될 때, 상기 테이퍼진 각도(α)는 14°~ 20°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상기 테이퍼진 외주면과 상기 결합부삽입홈의 상기 테이퍼진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결합재에 의해 틈이 존재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상기 틈은 간격이 5㎛~100㎛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며, 상기 틈은 간격이 10㎛~30㎛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단부에 외주면을 따라 상기 결합재가 삽입되는 제1결합재삽입홈이 형성되는 것과, 상기 보철물은 내주면을 따라 상기 결합재가 삽입되는 제2결합재삽입홈이 형성되는 것과, 상기 결합재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니켈-티타늄 합금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철물 또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밀봉재는 탄성이 우수한 실리콘재질로 만들어지는 것과, 상기 결합부는 하단부에 외주면을 따라 상기 밀봉재가 삽입되는 밀봉재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는 보철물 또는 보철물이 접합된 어버트먼트와 치조골에 식립되어지는 픽스츄어가 형상기억합금의 결합재에 의해 착탈되게 결합되기 때문에 저작운동으로 보철물에 가해지는 반복적인 외력에도 결합력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는 보철물의 내면 또는 보철물이 접합된 어버트먼트의 내면과 픽스츄어의 외면 사이에 미세한 틈이 형성되기 때문에 저작운동시 보철물 또는 보철물이 접합된 어버트먼트가 픽스츄어에 대해 다방향으로 미세 운동이 가능하여, 보철물이 자연치아와 거의 같은 기능을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와 임플란트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가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가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6a는 도 4의 결합재의 사시도;
도 6b는 도 4의 치과용 임플란트가 결합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7a 내지 도 16a는 다른 변경예에 따른 결합재들의 사시도;
도 7b 내지 도 16b는 도 7a 내지 도 16a의 각 결합재들이 적용되어 도 4의 치과용 임플란트가 결합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가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픽스츄어(110), 보철물(120), 결합재(130) 및 밀봉재(140)를 포함하고 있다.
픽스츄어(110)는 치조골에 식립되어지는 것으로, 금속재질로 만들어지고 결합부(111)와 식립부(112)로 구성된다. 금속재질로는 티타늄 또는 티타늄합금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결합부(111)는 상단면에 식립시 도구가 체결되는 육각형의 도구삽입홈(113)이 형성되고, 외주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테이퍼진 각도(α)는 2°~ 20°가 바람직하다. 픽스츄어(110)가 수직하게 식립되지 않고 다양한 각도로 식립되는 것을 감안할 때, 1개의 보철물 또는 하나로 연결된 수개의 보철물들의 착탈을 위해서는, 테이퍼진 각도(α)는 1개의 픽스츄어에 1개의 보철물이 착탈되는 경우, 2°~ 10°가 바람직하고, 2개의 픽스츄어들에 하나로 연결된 2개 또는 3개의 보철물들이 착탈되는 경우, 8°~ 16°가 바람직하며, 3개의 픽스츄어들에 하나로 연결된 3개 또는 4개의 보철물들이 착탈되는 경우, 14°~ 20°가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부(111)는 상단에 외주면을 따라 제1결합재삽입홈(114)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외주면을 따라 밀봉재삽입홈(115)이 형성된다. 밀봉재삽입홈(115)은 거의 반원의 단면을 갖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식립부(112)는 치조골에 식립되게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결합부(111)와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111)와 식립부(112)가 일체로 연결되게 구성되었지만 이와 달리 연결나사과 같은 연결수단에 의해 따로 분리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보철물(120)은 픽스츄어(110)에 직접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안쪽에 결합부삽입홈(121)이 형성된다. 결합부삽입홈(121)도 결합부(111)와 마찬가지로 내주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데, 테이퍼진 각도는 결합부(111)의 테이퍼진 각도(α)와 같다. 이때, 결합부삽입홈(121)은 결합부(111)가 약간의 틈이 있게 삽입되게 결합부(111)의 외면 보다는 조금 크게 형성된다.
또한 보철물(120)은 결합부삽입홈(121)의 상단에 내주면을 따라 제2결합재삽입홈(1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결합재삽입홈(114)은 결합재(130)의 외형에 맞게 반원 단면 또는 "ㄴ"모양의 각진 단면을 갖게 형성되게 되고, 제2결합재삽입홈(122)은 삽입되어지는 결합재(130)의 외형에 맞게 반원 단면 또는 "ㄷ" 모양의 각진 단면을 갖게 형성되게 된다.
결합재(130)는 픽스츄어(110)의 결합부(111)에 보철물(120)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초탄성력과 형상회복력이 우수한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들어진다. 형상기억합금으로는 니켈-티타늄 합금 대표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결합재(130)는 속이 찬 원형의 단면을 갖게 "○" 모양 또는 "C" 모양으로 만들어진다. 결합재(130)는 보관온도인 실온에서 영하 10℃로 냉각되면 흐물거리면서 늘어나게 된다. 이 상태의 결합재(130)를 픽스츄어(110)의 제1결합재삽입홈(114)에 삽입시킨 후 실온에 방치하면 결합재(130)가 원상태로 회복되면서 제1결합재삽입홈(114)에 아주 꽉 조이게 삽입된다. 결합재(130)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경예들을 포함하여 아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밀봉재(140)는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해 보철물(120)과 결합부(111) 사이의 틈을 밀봉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이 우수한 실리콘재질로 만들어진다. 밀봉재(140)는 원형 단면을 갖게 "○" 모양으로 만들어지고, 결합부(1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밀봉재삽입홈(115)에 꽉 조이게 삽입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110)가 결합된 모습을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에는 설명에 있어 불필요한 치조골 및 치조골에 식립된 식립부는 도시하지 않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재(130)는 제1결합재삽입홈(114)에 꽉 조이게 삽입되어 있고, 밀봉재(140)는 밀봉재삽입홈(115)에 삽입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보철물(120)이 픽스츄어(110)에 결합되게 되면, 보철물(120)의 결합부삽입홈(121)에 픽스츄어(110)의 결합부(111)가 삽입되게 되고, 결합재(130)의 노출면은 보철물(120)의 제2결합재삽입홈(122)에 꽉 끼이게 삽입되게 된다.
이때, 결합부삽입홈(121)의 하단 부위의 내경과 결합재(130)의 외경 보다 조금 작거가 같기 때문에 결합부삽입홈(121)에 의해 결합재(130)가 안쪽으로 약간 수축되는 상태에서 삽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삽입이 완료되면, 결합재(130)는 제2결합재삽입홈(122)에서 원상태로 약간 팽창되게 되고, 밀봉재(140)는 보철물(120)의 내주면에 의해 안쪽으로 눌려 압축되게 된다.
보철물(120)이 픽스츄어(110)에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결합부(111)의 외주면과 보철물(120)의 내주면 사이에는 틈(g)이 존재하게 된다. 이 틈(g)의 간격은 약 5㎛~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틈(g)이 존재함으로써 저작운동시 보철물(120)에 외력이 가해질 때 보철물(120)이 픽스츄어(110)에 대하여 미세하게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어느 한쪽으로 밀리거나 또는 아래쪽으로 눌리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사실상 보철물(120)이 자연치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가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200)는 픽스츄어(210), 어버트먼트(220), 보철물(230), 결합재(240) 및 밀봉재(250)를 포함하고 있다.
픽스츄어(210)는 치조골에 식립되어지는 것으로, 금속재질로 만들어지고 결합부(211)와 식립부(212)로 구성된다. 금속재질로는 티타늄 또는 티타늄합금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결합부(211)는 상단면에 식립시 도구가 체결되는 육각형의 도구삽입홈(213)이 형성되고, 외주면이 약간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테이퍼진 각도(α)는 2°~ 20°가 바람직하다. 픽스츄어(210)가 수직하게 식립되지 않고 다양한 각도로 식립되는 것을 감안할 때, 1개의 보철물 또는 하나로 연결된 수개의 보철물들의 착탈을 위해서는, 테이퍼진 각도(α)는 1개의 픽스츄어에 1개의 보철물이 착탈되는 경우, 2°~ 10°가 바람직하고, 2개의 픽스츄어들에 하나로 연결된 2개 또는 3개의 보철물들이 착탈되는 경우, 8°~ 16°가 바람직하며, 3개의 픽스츄어들에 하나로 연결된 3개 또는 4개의 보철물들이 착탈되는 경우, 14°~ 20°가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부(211)는 상단에 외주면을 따라 제1결합재삽입홈(214)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외주면을 따라 밀봉재삽입홈(215)이 형성된다. 밀봉재삽입홈(215)은 거의 반원의 단면을 갖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식립부(212)는 치조골에 식립되게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결합부(211)와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211)와 식립부(212)가 일체로 연결되게 구성되었지만 이와 달리 연결나사등의 연결수단에 의해 따로 분리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어버트먼트(220)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지고 픽스츄어(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안쪽에 결합부삽입홈(221)이 형성된다. 금속재질로는 티타늄 또는 티타늄합금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결합부삽입홈(221)도 결합부(211)와 마찬가지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는데, 테이퍼진 각도는 결합부(211)의 테이퍼진 각도(α)와 같다. 이때, 결합부삽입홈(221)은 결합부(211)가 약간의 틈이 있게 삽입되게 결합부(211)의 외면 보다는 조금 크게 형성된다.
또한 어버트먼트(220)는 결합부삽입홈(221)의 상단에 내주면을 따라 제2결합재삽입홈(2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결합재삽입홈(214)은 결합재(240)의 외형에 맞게 반원 단면 또는 "ㄴ"모양의 각진 단면을 갖게 형성되게 되고, 제2결합재삽입홈(222)의 형상은 삽입되어지는 결합재(240)의 외형에 맞게 반원 단면 또는 "ㄷ" 모양의 각진 단면을 갖게 형성되게 된다.
보철물(230)은 어버트먼트(220) 위에 시멘트에 의해 고정되게 접합되게 된다.
결합재(240)는 픽스츄어(210)의 결합부(211)에 어버트먼트(22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초탄성력과 형상회복력이 우수한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들어진다. 형상기억합금으로는 니켈-티타늄 합금 대표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결합재(240)는 속이 찬 원형의 단면을 갖게 "○" 모양 또는 "C" 모양으로 만들어진다. 결합재(240)는 보관온도인 실온에서 영하 10℃로 냉각되면 흐물거리면서 늘어나게 된다. 이 상태의 결합재(240)를 픽스츄어(210)의 제1결합재삽입홈(214)에 삽입시킨 후 실온에 방치하면 결합재(240)가 원상태로 회복되면서 제1결합재삽입홈(214)에 아주 꽉 조이게 삽입된다. 결합재(240)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경예들을 포함하여 아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밀봉재(250)는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해 어버트먼트(220)와 결합부(211) 사이의 틈을 밀봉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이 우수한 실리콘재질로 만들어진다. 밀봉재(250)는 원형 단면을 갖게 "○" 모양으로 만들어지고, 결합부(2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밀봉재삽입홈(215)에 꽉 조이게 삽입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200)가 결합된 모습을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에는 설명에 있어 불필요한 치조골 및 치조골에 식립된 식립부는 도시하지 않았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재(230)는 제1결합재삽입홈(214)에 꽉 조이게 삽입되어 있고, 밀봉재(140)는 밀봉재삽입홈(115)에 삽입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보철물(230)이 시멘트 접합된 어버트먼트(220)가 픽스츄어(110)에 결합되게 되면, 어버트먼트(220)의 결합부삽입홈(221)에 픽스츄어(210)의 결합부(211)가 삽입되게 되고, 결합재(240)의 노출면은 어버트먼트(220)의 제2결합재삽입홈(222)에 꽉 끼이게 삽입되게 된다.
이때, 결합부삽입홈(221)의 하단 부위의 내경과 결합재(240)의 외경 보다 조금 작거가 같기 때문에 결합부삽입홈(221)에 의해 결합재(240)가 안쪽으로 약간 수축되는 상태에서 삽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삽입이 완료되면, 결합재(240)는 제2결합재삽입홈(222)에서 원상태로 약간 팽창되게 되고, 밀봉재(250)는 보철물(120)의 내주면에 의해 안쪽으로 눌려 압축되게 된다.
보철물(230)이 시멘트 접합된 어버트먼트(220)가 픽스츄어(210)에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결합부(211)의 외주면과 어버트먼트(220)의 내주면 사이에는 틈(g)이 존재하게 된다. 이 틈(g)의 간격은 약 5㎛~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틈(g)이 존재함으로써 저작운동시 보철물(230)에 외력이 가해질 때 어버트먼트(220)가 픽스츄어(210)에 대하여 미세하게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어느 한쪽으로 밀리거나 또는 아래쪽으로 눌리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사실상 보철물(230)이 자연치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 앞서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결합재 및 그의 다양한 변경예들에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a는 결합재의 개략도이다. 결합재(240)는 전체적으로 "○" 모양으로 형성되고, 속이 찬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도 6b는 보철물이 접합된 어버트먼트가 픽스츄어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1)은 결합 시작, (2)는 결합 중, (3)은 결합 완료된 모습을 하나의 도면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1)에서는 어버트먼트(220)의 결합부삽입홈(221)의 끝단이 결합재(240) 상단의 둥그런 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2)에서는 결합부삽입홈(221)의 테이퍼진 내주면을 따라 결합재(240)가 압축되게 된다. (3)에서는 결합재(240)의 압축이 해제되고 결합부삽입홈(221)에 형성된 제2결합재삽입홈(222)에 결합재(240)의 노출면이 삽입되게 된다.
도 7a는 결합재의 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결합재(240-1)는 전체적으로 "○" 모양으로 형성되고, 속이 찬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도 7b는 보철물이 접합된 어버트먼트가 픽스츄어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1)은 결합 시작, (2)는 결합 중, (3)은 결합 완료된 모습을 하나의 도면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1)에서는 어버트먼트(220)의 결합부삽입홈(221)의 끝단이 결합재(240-1) 상단의 둥그런 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2)에서는 결합부삽입홈(221)의 테이퍼진 내주면을 따라 결합재(240-1)가 압축되게 된다. (3)에서는 결합재(240-1)의 압축이 해제되고 결합부삽입홈(221)에 형성된 제2결합재삽입홈(222)에 결합재(240-1)의 노출면이 삽입되게 된다.
도 8a는 결합재의 또 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결합재(240-2)는 전체적으로 "○" 모양으로 형성되고, 속인 빈 환형의 단면을 갖는다.
도 8b는 보철물이 접합된 어버트먼트가 픽스츄어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1)은 결합 시작, (2)는 결합 중, (3)은 결합 완료된 모습을 하나의 도면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1)에서는 어버트먼트(220)의 결합부삽입홈(221)의 끝단이 결합재(240-2) 상단의 둥그런 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2)에서는 결합부삽입홈(221)의 테이퍼진 내주면을 따라 결합재(240-2)가 압축되게 된다. (3)에서는 결합재(240-2)의 압축이 해제되고 결합부삽입홈(221)에 형성된 제2결합재삽입홈(222)에 결합재(240-2)의 노출면이 삽입되게 된다.
도 9a는 결합재의 또 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결합재(240-3)는 "○" 모양을 갖고 권선모양이 "○" 모양에 가까운 코일스프링이다.
도 9b는 보철물이 접합된 어버트먼트가 픽스츄어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1)은 결합 시작, (2)는 결합 중, (3)은 결합 완료된 모습을 하나의 도면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1)에서는 어버트먼트(220)의 결합부삽입홈(221)의 끝단이 결합재(240-3)의 노출측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된다. (2)에서는 결합부삽입홈(221)의 테이퍼진 내주면을 따라 결합재(240-3)가 압축되게 된다. (3)에서는 결합재(240-3)의 압축이 해제되고 결합부삽입홈(221)에 형성된 제2결합재삽입홈(222)에 결합재(240-3)의 노출면이 삽입되게 된다.
도 10a는 결합재의 또 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결합재(240-4)는 "○" 모양을 갖고 권선모양이 "
Figure pat00001
" 모양에 가까운 코일스프링이다.
도 10b는 보철물이 접합된 어버트먼트가 픽스츄어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1)은 결합 시작, (2)는 결합 중, (3)은 결합 완료된 모습을 하나의 도면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1)에서는 어버트먼트(220)의 결합부삽입홈(221)의 끝단이 결합재(240-4)의 노출측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된다. (2)에서는 결합부삽입홈(221)의 테이퍼진 내주면을 따라 결합재(240-4)가 압축되게 된다. (3)에서는 결합재(240-4)의 압축이 해제되고 결합부삽입홈(221)에 형성된 제2결합재삽입홈(222)에 결합재(240-4)의 노출면이 삽입되게 된다.
도 11a는 결합재의 또 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결합재(240-5)는 "○" 모양을 갖고 권선모양이 "
Figure pat00002
" 모양에 가까운 코일스프링이다.
도 11b는 보철물이 접합된 어버트먼트가 픽스츄어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1)은 결합 시작, (2)는 결합 중, (3)은 결합 완료된 모습을 하나의 도면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1)에서는 어버트먼트(220)의 결합부삽입홈(221)의 끝단이 결합재(240-5)의 노출측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된다. (2)에서는 결합부삽입홈(221)의 테이퍼진 내주면을 따라 결합재(240-5)가 압축되게 된다. (3)에서는 결합재(240-5)의 압축이 해제되고 결합부삽입홈(221)에 형성된 제2결합재삽입홈(222)에 결합재(240-5)의 노출면이 삽입되게 된다.
도 12a는 결합재의 또 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결합재(240-6)는 "○" 모양을 갖고 권선모양이 "
Figure pat00003
" 모양에 가까운 코일스프링이다.
도 12b는 보철물이 접합된 어버트먼트가 픽스츄어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1)은 결합 시작, (2)는 결합 중, (3)은 결합 완료된 모습을 하나의 도면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1)에서는 어버트먼트(220)의 결합부삽입홈(221)의 끝단이 결합재(240-6)의 노출측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된다. (2)에서는 결합부삽입홈(221)의 테이퍼진 내주면을 따라 결합재(240-6)가 압축되게 된다. (3)에서는 결합재(240-6)의 압축이 해제되고 결합부삽입홈(221)에 형성된 제2결합재삽입홈(222)에 결합재(240-6)의 노출면이 삽입되게 된다.
도 13a는 결합재의 또 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결합재(240-7)는 "
Figure pat00004
"모양의 단면을 갖는 "○" 모양의 체결부(a)와 체결부(a)의 상단에 등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
Figure pat00005
"모양의 단면을 갖는 초탄성부(b)로 구성된다. 체결부(a)는 픽스츄어(210)의 제1결합재삽입홈(214)에 꽉 조이게 삽입되고, 초탄성부(b)는 제2결합재삽입홈(222)에 삽입된다.
도 13b는 보철물이 접합된 어버트먼트가 픽스츄어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1)은 결합 시작, (2)는 결합 중, (3)은 결합 완료된 모습을 하나의 도면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1)에서는 어버트먼트(220)의 결합부삽입홈(221)의 끝단이 결합재(240-7)의 초탄성부(b)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된다. (2)에서는 결합부삽입홈(221)의 테이퍼진 내주면을 따라 결합재(240-7)의 초탄성부(b)가 안쪽으로 밀리게 된다. (3)에서는 밀렸던 결합재(240-7)가 원상태로 회복되어 결합부삽입홈(221)에 형성된 제2결합재삽입홈(222)에 삽입되게 된다.
도 14a는 결합재의 또 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결합재(240-8)는 "
Figure pat00006
"모양의 단면을 갖는 "○" 모양의 체결부(a)와 체결부(a)의 상단에 등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
Figure pat00007
"모양의 단면을 갖는 초탄성부(b)로 구성된다. 체결부(a)는 픽스츄어(210)의 제1결합재삽입홈(214)에 꽉 조이게 삽입되고, 초탄성부(b)는 제2결합재삽입홈(222)에 삽입된다.
도 14b는 보철물이 접합된 어버트먼트가 픽스츄어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1)은 결합 시작, (2)는 결합 중, (3)은 결합 완료된 모습을 하나의 도면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1)에서는 어버트먼트(220)의 결합부삽입홈(221)의 끝단이 결합재(240-8)의 초탄성부(b)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된다. (2)에서는 결합부삽입홈(221)의 테이퍼진 내주면을 따라 결합재(240-8)의 초탄성부(b)가 안쪽으로 밀리게 된다. (3)에서는 밀렸던 결합재(240-8)가 원상태로 회복되어 결합부삽입홈(221)에 형성된 제2결합재삽입홈(222)에 삽입되게 된다.
도 15a는 결합재의 또 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결합재(240-9)는 "
Figure pat00008
"모양의 단면을 갖는 "○" 모양의 체결부(a)와 체결부(a)의 상단에 등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
Figure pat00009
"모양의 단면을 갖는 초탄성부(b)로 구성된다. 체결부(a)는 픽스츄어(210)의 제1결합재삽입홈(214)에 꽉 조이게 삽입되고, 초탄성부(b)는 제2결합재삽입홈(222)에 삽입된다.
도 15b는 보철물이 접합된 어버트먼트가 픽스츄어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1)은 결합 시작, (2)는 결합 중, (3)은 결합 완료된 모습을 하나의 도면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1)에서는 어버트먼트(220)의 결합부삽입홈(221)의 끝단이 결합재(240-9)의 초탄성부(b)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된다. (2)에서는 결합부삽입홈(221)의 테이퍼진 내주면을 따라 결합재(240-9)의 초탄성부(b)가 안쪽으로 밀리게 된다. (3)에서는 밀렸던 결합재(240-9)가 원상태로 회복되어 결합부삽입홈(221)에 형성된 제2결합재삽입홈(222)에 삽입되게 된다.
도 16a는 결합재의 또 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결합재(240-10)는 "
Figure pat00010
"모양의 단면을 갖는 "○" 모양의 체결부(a)와 체결부(a)의 상단에 등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
Figure pat00011
"모양의 단면을 갖는 초탄성부(b)로 구성된다. 체결부(a)는 픽스츄어(210)의 제1결합재삽입홈(214)에 꽉 조이게 삽입되고, 초탄성부(b)는 제2결합재삽입홈(222)에 삽입된다.
도 16b는 보철물이 접합된 어버트먼트가 픽스츄어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1)은 결합 시작, (2)는 결합 중, (3)은 결합 완료된 모습을 하나의 도면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1)에서는 어버트먼트(220)의 결합부삽입홈(221)의 끝단이 결합재(240-10)의 초탄성부(b)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된다. (2)에서는 결합부삽입홈(221)의 테이퍼진 내주면을 따라 결합재(240-10)의 초탄성부(b)가 안쪽으로 밀리게 된다. (3)에서는 밀렸던 결합재(240-10)가 원상태로 회복되어 결합부삽입홈(221)에 형성된 제2결합재삽입홈(222)에 삽입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100, 200 :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110, 210 : 픽스츄어
120, 230 : 보철물 130, 240, 240-1~240-10 : 결합재
140, 250 : 밀봉재 111, 211 : 결합부
112, 212 : 식립부 220 : 어버트먼트

Claims (47)

  1. 결합부와 식립부로 구성되고 치조골에 식립되어지는 픽스츄어;
    상기 픽스츄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안쪽에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부삽입홈이 형성된 보철물; 및
    상기 픽스츄어의 결합부에 상기 보철물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식립부는 일체로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식립부는 연결나사등의 연결수단에 의해 분리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테이퍼진 외주면을 갖고, 상기 결합부삽입홈은 상기 테이퍼진 외주면과 상응하게 테이퍼진 내주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진 각도(α)는 2°~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가 1개이고 상기 보철물이 1개가 적용될 때, 상기 테이퍼진 각도(α)는 2°~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가 2개이고 상기 보철물이 2개 또는 3개가 하나로 연결되어 적용될 때, 상기 테이퍼진 각도(α)는 8°~ 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가 3개이고 상기 보철물이 3개 또는 4개가 하나로 연결되어 적용될 때, 상기 테이퍼진 각도(α)는 14°~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상기 테이퍼진 외주면과 상기 결합부삽입홈의 상기 테이퍼진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결합재에 의해 틈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틈은 간격이 5㎛~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틈은 간격이 1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단부에 외주면을 따라 상기 결합재가 삽입되는 제1결합재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은 내주면을 따라 상기 결합재가 삽입되는 제2결합재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니켈-티타늄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과 상기 결합부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는 탄성이 우수한 실리콘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하단부에 외주면을 따라 상기 밀봉재가 삽입되는 밀봉재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19. 결합부와 식립부로 구성되고 치조골에 식립되어지는 픽스츄어;
    상기 픽스츄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안쪽에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부삽입홈이 형성된 어버트먼트;
    상기 어버트먼트 위에 고정되게 접합되는 보철물; 및
    상기 픽스츄어의 결합부에 상기 어버트먼트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식립부는 일체로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식립부는 연결나사등의 연결수단에 의해 분리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테이퍼진 외주면을 갖고, 상기 결합부삽입홈은 상기 테이퍼진 외주면과 상응하게 테이퍼진 내주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진 각도(α)는 2°~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가 1개이고 상기 보철물이 1개가 적용될 때, 상기 테이퍼진 각도(α)는 2°~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가 2개이고 상기 보철물이 2개 또는 3개가 하나로 연결되어 적용될 때, 상기 테이퍼진 각도(α)는 8°~ 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가 3개이고 상기 보철물이 3개 또는 4개가 하나로 연결되어 적용될 때, 상기 테이퍼진 각도(α)는 14°~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상기 테이퍼진 외주면과 상기 결합부삽입홈의 상기 테이퍼진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결합재에 의해 틈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틈은 간격이 5㎛~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틈은 간격이 1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3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단부에 외주면을 따라 상기 결합재가 삽입되는 제1결합재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내주면을 따라 상기 결합재가 삽입되는 제2결합재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3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니켈-티타늄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3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과 상기 결합부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는 탄성이 우수한 실리콘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하단부에 외주면을 따라 상기 밀봉재가 삽입되는 밀봉재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37.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는 "○" 모양으로 형성되고 속이 찬 원형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38.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는 "○" 모양으로 형성되고 속이 찬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39.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는 "○" 모양으로 형성되고 속인 빈 환형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40.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는 "○" 모양을 갖고 권선모양이 "○" 모양에 가까운 코일스프링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41.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는 "○" 모양을 갖고 권선모양이 "
    Figure pat00012
    " 모양에 가까운 코일스프링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42.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는 "○" 모양을 갖고 권선모양이 "
    Figure pat00013
    " 모양에 가까운 코일스프링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43.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는 "○" 모양을 갖고 권선모양이 "
    Figure pat00014
    " 모양에 가까운 코일스프링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44.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는 "
    Figure pat00015
    "모양의 단면을 갖는 "○" 모양의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상단에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되는 "
    Figure pat00016
    "모양의 단면을 갖는 탄성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45.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는 "
    Figure pat00017
    "모양의 단면을 갖는 "○" 모양의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상단에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되는 "
    Figure pat00018
    "모양의 단면을 갖는 탄성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46.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는 "
    Figure pat00019
    "모양의 단면을 갖는 "○" 모양의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상단에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되는 "
    Figure pat00020
    "모양의 단면을 갖는 탄성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47.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는 "
    Figure pat00021
    "모양의 단면을 갖는 "○" 모양의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상단에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되는 "
    Figure pat00022
    "모양의 단면을 갖는 탄성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KR1020130049119A 2013-05-02 2013-05-02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KR102212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119A KR102212709B1 (ko) 2013-05-02 2013-05-02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119A KR102212709B1 (ko) 2013-05-02 2013-05-02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773A true KR20140130773A (ko) 2014-11-12
KR102212709B1 KR102212709B1 (ko) 2021-02-05

Family

ID=52452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119A KR102212709B1 (ko) 2013-05-02 2013-05-02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709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629B1 (ko) * 2015-08-25 2016-06-08 이준호 싱킹 및 착탈 가능한 탄성 결합 임플란트 시스템
WO2016098921A1 (ko) * 2014-12-15 2016-06-23 장재우 치과 임플란트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WO2017034350A1 (ko) * 2015-08-25 2017-03-02 (주)애크로덴트 싱킹 및 착탈 가능한 탄성 결합 임플란트 시스템
KR20170102831A (ko) * 2016-03-02 2017-09-12 (주)애크로덴트 코니칼 실링과 탄성 체결 방식을 채택한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
KR20180002942U (ko) * 2017-04-04 2018-10-15 디자인치과기공소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WO2018216837A1 (ko) * 2017-05-23 2018-11-29 이민영 이물질 침입을 방지한 인공치아용 임플란트
KR20190101590A (ko) * 2018-02-23 2019-09-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결합링커를 구비한 임시 임플란트
KR20200005809A (ko) * 2018-07-09 2020-01-17 샤드린 이브기니 하이브리드 이층형 코르티칼 임플란트
KR20200029330A (ko) * 2019-04-02 2020-03-18 하명헌 임플란트 구조물
WO2020054948A1 (ko) * 2018-09-10 2020-03-19 하명헌 임플란트 구조물
KR20200065247A (ko) * 2018-11-30 2020-06-09 (주)예스바이오테크 맞춤형 오버덴쳐용 보철물 부착용 맞춤형 어버트먼트
KR20200129839A (ko) 2019-05-10 2020-11-18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20200129833A (ko) 2019-05-10 2020-11-18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WO2020230918A1 (ko) * 2019-05-10 2020-11-19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20200143955A (ko) * 2019-06-17 2020-12-2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시술실습 교육을 위한 치아모형
WO2023094934A1 (ko) * 2021-11-24 2023-06-01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WO2023094933A1 (ko) * 2021-11-24 2023-06-01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940B1 (ko) * 2022-10-11 2023-05-03 이노덴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2075A (ko) * 2006-05-19 2007-11-22 오성균 치과 임플란트의 분리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치과보철물의 제조방법
JP2010500138A (ja) * 2006-08-15 2010-01-07 アキュラ ホールディング ビー.ヴィー. 一次クラウンと二次クラウンを有する歯科インプラント
KR20120038690A (ko) * 2010-10-14 2012-04-24 (주) 시원 치과용 임플란트 결합물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JP2012511362A (ja) * 2008-12-12 2012-05-24 メルホフ・イン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ズ・ゲーエムベーハー 歯インプラント
KR20130019234A (ko) * 2011-08-16 2013-02-26 이상철 다공성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2075A (ko) * 2006-05-19 2007-11-22 오성균 치과 임플란트의 분리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치과보철물의 제조방법
JP2010500138A (ja) * 2006-08-15 2010-01-07 アキュラ ホールディング ビー.ヴィー. 一次クラウンと二次クラウンを有する歯科インプラント
JP2012511362A (ja) * 2008-12-12 2012-05-24 メルホフ・イン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ズ・ゲーエムベーハー 歯インプラント
KR20120038690A (ko) * 2010-10-14 2012-04-24 (주) 시원 치과용 임플란트 결합물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KR20130019234A (ko) * 2011-08-16 2013-02-26 이상철 다공성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8921A1 (ko) * 2014-12-15 2016-06-23 장재우 치과 임플란트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US11083540B2 (en) 2014-12-15 2021-08-10 Jae woo Jang Dental implant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28629B1 (ko) * 2015-08-25 2016-06-08 이준호 싱킹 및 착탈 가능한 탄성 결합 임플란트 시스템
WO2017034350A1 (ko) * 2015-08-25 2017-03-02 (주)애크로덴트 싱킹 및 착탈 가능한 탄성 결합 임플란트 시스템
JP2018523537A (ja) * 2015-08-25 2018-08-23 エクロデン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Acrodent Co.,Ltd シンキングおよび着脱可能な弾性結合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KR20170102831A (ko) * 2016-03-02 2017-09-12 (주)애크로덴트 코니칼 실링과 탄성 체결 방식을 채택한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
KR20180002942U (ko) * 2017-04-04 2018-10-15 디자인치과기공소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WO2018216837A1 (ko) * 2017-05-23 2018-11-29 이민영 이물질 침입을 방지한 인공치아용 임플란트
KR20190101590A (ko) * 2018-02-23 2019-09-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결합링커를 구비한 임시 임플란트
KR20200005809A (ko) * 2018-07-09 2020-01-17 샤드린 이브기니 하이브리드 이층형 코르티칼 임플란트
WO2020054948A1 (ko) * 2018-09-10 2020-03-19 하명헌 임플란트 구조물
JP2022500166A (ja) * 2018-09-10 2022-01-04 ミョン ホン ハ インプラント構造物
EP3851070A4 (en) * 2018-09-10 2022-06-08 Myung Heon Ha IMPLANT STRUCTURE
KR20200065247A (ko) * 2018-11-30 2020-06-09 (주)예스바이오테크 맞춤형 오버덴쳐용 보철물 부착용 맞춤형 어버트먼트
KR20200029330A (ko) * 2019-04-02 2020-03-18 하명헌 임플란트 구조물
KR20200129839A (ko) 2019-05-10 2020-11-18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20200129833A (ko) 2019-05-10 2020-11-18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WO2020230916A1 (ko) * 2019-05-10 2020-11-19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WO2020230917A1 (ko) * 2019-05-10 2020-11-19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WO2020230918A1 (ko) * 2019-05-10 2020-11-19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20200143955A (ko) * 2019-06-17 2020-12-2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시술실습 교육을 위한 치아모형
WO2023094934A1 (ko) * 2021-11-24 2023-06-01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WO2023094933A1 (ko) * 2021-11-24 2023-06-01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709B1 (ko) 202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0773A (ko)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EP2934367B1 (en) Abutment
KR10194343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ES2699427T3 (es) Conexión de una estructura de prótesis con una estructura de implante
JP2012501217A (ja) 歯科用固定装置および方法
KR101311250B1 (ko) 틀니용 어태치먼트
KR20030089602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US20220160474A1 (en) Cementless Type Dental Implant
KR101669893B1 (ko) 임플란트의 2중 구조 어버트먼트
KR20130097036A (ko) 가이드홀 내면에 어뷰트먼트 체결용 탄성체 어댑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픽스처
EP3040047A1 (en) Attachment for plate denture
KR102387700B1 (ko)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결합조립체
KR100788455B1 (ko)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100785660B1 (ko) 교환이 용이한 임플란트 픽스쳐
KR20200082806A (ko)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KR101646168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KR20200020784A (ko) 치아 복원용 조립체
KR101155702B1 (ko) 일체형 임플란트
KR101707596B1 (ko) 치과 임플란트의 상호 호환용 어버트먼트
KR20120008672A (ko) 인공치근 및 이를 이용한 의치구조
US10543063B2 (en) Dental prosthesis arrangement
KR10235644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101072274B1 (ko) 분리형 치과용 임플란트
KR102218969B1 (ko) 틀니 임플란트 어셈블리의 틀니지지체
KR10142965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및 이를 가지는 임플란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