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923A - 마찰결합식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마찰결합식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923A
KR20210057923A KR1020190144708A KR20190144708A KR20210057923A KR 20210057923 A KR20210057923 A KR 20210057923A KR 1020190144708 A KR1020190144708 A KR 1020190144708A KR 20190144708 A KR20190144708 A KR 20190144708A KR 20210057923 A KR20210057923 A KR 20210057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groove
upper connection
fixtur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노국
Original Assignee
(주)예스바이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예스바이오테크 filed Critical (주)예스바이오테크
Priority to KR1020190144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7923A/ko
Publication of KR20210057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9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찰결합식 임플란트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픽스쳐에 어버트먼트 또는 보철물을 고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마찰결합식 임플란트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찰결합식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삽입되는 골삽입부와, 어버트먼트 또는 보철물이 결합될 수 있게 잇몸 위로 노출되도록 골삽입부에서 연장되고 상단에서 내부로 홈이 형성된 상부연결부를 구비한 픽스쳐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연결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또는 상기 보철물과 마찰 결합하기 이하여 외주면과 상기 홈의 내주면에 1°~ 6°로 경사진 테이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홈은 상기 홈의 테이퍼부 아래에 상기 어버트먼트 또는 보철물을 마찰결합시키기 위하여 볼트로 가압할 수 있게 볼트결합 될 수 있는 나사산이 더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픽스쳐의 테이퍼부는 1°~ 6°로 경사져 상부연결부의 외주면과 홈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그래서 외부에서 뿐만 아니라 내부에서도 어버트먼트 또는 보철물과 마찰결합되므로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연결부는 잇몸 위로 노출되도록 골삽입부에서 연장된다. 그래서 보철물 결합시, 어버트먼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철물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연결부의 홈의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어버트먼트에 관통공이 형성되므로 어버트먼트가 상부연결부에 체결시 스크류로 어버트먼트를 가압할 수 있다. 그래서 어버트먼트 결합시 어버트먼트를 용이하게 가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연결부에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연결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뿐만 아니라 상부연결부의 홈에만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를 장착시킬 수 있다. 그래서 필요에 따라 직경이 작은 어버트먼트를 결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마찰결합식 임플란트{Frictional implant}
본 발명은 마찰결합식 임플란트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픽스쳐에 어버트먼트 또는 보철물을 고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마찰결합식 임플란트에 대한 것이다.
치아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가 상실된 부위에 인공 치근을 심어 치조골에 유착시키고, 그 인공 치근에 치아 보철(prosthesis or crown)을 고정하여 형성된 인공 치아 구조 또는 이러한 치과 시술방법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티타늄으로 구성된 픽스쳐(fixture)와, 픽스쳐 상에 고정되는 어버트먼트(abutment)와, 어버트먼트에 고정되는 인공 치아인 보철(prosthesis)로 구성되며, 임플란트를 시술하기 위해서는 치조골에 픽스쳐를 식립하고, 픽스쳐에 나사를 이용하여 어버트먼트를 고정되게 결합한 후, 어버트먼트에 인공치아를 시멘트를 사용하여 고정되게 씌운다.
상기와 같이 나사를 사용하여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 고정결합하는 경우, 저작력에 의해 나사가 풀리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1029068호에는 어버트먼트와 픽스쳐의 상호 마찰력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마찰결합식 치과용 임플란트가 개시되어 있다. 도 5는 국내 등록특허 제1029068호에 개시된 종래의 마찰결합식 치과용 임플란트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종래의 마찰결합식 치과용 임플란트는 어버트먼트 결합체(550)가 잇몸(2) 이내에 형성된다. 그래서 보철물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어버트먼트가 필요하다. 그리고 어버트먼트와의 결합시, 어버트먼트가 외주면의 마찰결합부(552)에만 마찰결합하므로 결합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어버트먼트를 어버트먼트 결합체(55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어버트먼트를 가압해야 하는데 환자의 구강내에서 이루어지므로 일정한 하중을 가하여 어버트먼트를 어버트먼트 결합체(550)에 결합시키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 뿐만 아니라 내부에서도 마찰결합을 할 수 있는 마찰결합식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버트먼트 또는 보철물을 용이하게 가압하여 마찰결합시킬 수 있는 마찰결합식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찰결합식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삽입되는 골삽입부와, 어버트먼트 또는 보철물이 결합될 수 있게 잇몸 위로 노출되도록 골삽입부에서 연장되고 상단에서 내부로 홈이 형성된 상부연결부를 구비한 픽스쳐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연결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또는 상기 보철물과 마찰 결합하기 위하여 외주면과 상기 홈의 내주면에 1°~ 6°로 경사진 테이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홈은 상기 홈의 테이퍼부 아래에 상기 어버트먼트 또는 보철물을 마찰결합시키기 위하여 볼트로 가압할 수 있게 볼트결합 될 수 있는 나사산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의 마찰결합식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홈과, 상기 볼트가 상기 픽스쳐의 홈의 나사산과 나사결합하기 위하여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게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상기 어버트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어버트먼트의 체결홈은 상기 상부연결부와 마찰결합할 수 있게 1°~ 6°로 테이퍼져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볼트가 상기 픽스쳐와 나사결합하여 상기 볼트에 의해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마찰결합식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체결홈의 바닥이 상기 상부연결부의 상단과 일정 간격의 틈이 형성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마찰결합식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는 상기 외주면과 상기 홈의 테이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결합그루브가 복수개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픽스쳐의 테이퍼부는 1°~ 6°로 경사져 상부연결부의 외주면과 홈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그래서 외부에서 뿐만 아니라 내부에서도 어버트먼트 또는 보철물과 마찰결합되므로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연결부는 잇몸 위로 노출되도록 골삽입부에서 연장된다. 그래서 보철물 결합시, 어버트먼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철물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연결부의 홈의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어버트먼트에 관통공이 형성되므로 어버트먼트가 상부연결부에 체결시 스크류로 어버트먼트를 가압할 수 있다. 그래서 어버트먼트 결합시 어버트먼트를 용이하게 가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연결부에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연결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뿐만 아니라 상부연결부의 홈에만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를 장착시킬 수 있다. 그래서 필요에 따라 직경이 작은 어버트먼트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찰결합식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픽스쳐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어버트먼트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찰결합식 임플란트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마찰결합식 치과용 임플란트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찰결합식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찰결합식 임플란트는 픽스쳐(10)와, 어버트먼트(20)를 포함한다.
픽스쳐(10)는 골삽입부(11)와 상부연결부(13)를 구비한다.
골삽입부(11)는 치조골(1)에 삽입된다. 여기서 골삽입부(11)는 치조골(1)을 파고 들어가면서 식립될 수 있게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부연결부(13)는 어버트먼트(20) 또는 보철물이 결합될 수 있게 잇몸(3) 위로 노출되도록 골삽입부(11)에서 연장되며, 상단(14)에서 내부로 홈(1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연결부(13)는 외주면 및 홈(15)이 형성된 내주면에 테이퍼부(17)가 형성된다. 이때, 테이퍼부(17)가 형성된 홈(15)에는 테이퍼부(17)의 아래에 나사산(16)이 더 형성된다.
테이퍼부(17)는 어버트먼트(20) 또는 보철물과 마찰 결합되며, 상부연결부(13)의 상단(14)에서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테이퍼진다. 이때, 테이퍼부(17)의 경사진 각(α)은 1°~ 6°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테이퍼부(17)는 상부연결부(13)의 외부 및 내부에 형성되므로 어버트먼트(20) 또는 보철물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홈(15)에 형성된 나사산(16)은 스크류(미도시)가 어버트먼트(20) 또는 보철물을 가압하여 상부연결부(13)에 마찰결합되도록 스크류와 나사결합된다.
어버트먼트(20)는 체결홈(21)과 관통공(23)이 형성되며, 픽스쳐(10)와 마찰결합한다.
체결홈(21)은 상부연결부(13)의 상단(14)이 삽입된다. 여기서, 체결홈(21)은 상부연결부(13)와 마찰결합할 수 있게 1°~ 6°로 테이퍼지고, 바닥(21a)이 상부연결부(13)의 상단(14)과 일정 간격의 틈(d)이 형성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틈(d)은 0.1mm ~ 3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공(23)은 스크류가 삽입될 수 있게 관통된다. 체결홈(21)에 상부연결부(13)의 상단(14)을 삽입시킨 후 스크류를 관통공(23)에 삽입하여 홈(15)의 나사산(16)과 결합시키면 어버트먼트(20)가 스크류에 가압되어 상부연결부(13)와 마찰결합된다. 어버트먼트(20)가 결합되면 스크류를 해체하여 분리시킨다. 또한, 어버트먼트(20)의 경우, 상부연결부(13)의 상단(14) 사이에 틈(d)이 형성된다. 이 경우, 어버트먼트(20)가 충분히 변형되어 상부연결부(13)에 마찰결합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결합식 치과용 임플란트는 어버트먼트 결합체(550)가 잇몸(2) 이내에 형성된다. 그래서 보철물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어버트먼트가 필요하다. 그리고 어버트먼트와의 결합시, 어버트먼트가 외주면의 마찰결합부(552)에만 마찰결합하므로 결합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어버트먼트를 어버트먼트 결합체(55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어버트먼트를 가압해야 하는데 환자의 구강내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일정한 하중을 가하여 어버트먼트를 어버트먼트 결합체(550)에 결합시키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실시예의 경우, 픽스쳐(10)의 상부연결부(13)는 잇몸(2) 위로 노출되도록 골삽입부(11)에서 연장된다. 그래서 환자의 치아가 작을 경우, 어버트먼트(20)를 사용하지 않고 픽스쳐(10)에 바로 보철물을 결합할 수 있다. 즉, 환자의 치아 상태 또는 결합되는 보철물에 따라 픽스쳐(10)에 어버트먼트(20)를 마찰결합시킨 후 보철물을 결합시키거나 픽스쳐(10)에 어버트먼트(20) 없이 보철물을 마찰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픽스쳐(10)의 상부연결부(13)는 외주면과 홈(15)의 내주면에 1°~ 6°로 경사진 테이퍼부(17)가 형성된다. 그래서 상부연결부(13)의 외부 뿐만 아니라 내부에서도 어버트먼트(20)와 마찰결합되므로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어버트먼트(20)가 상부연결부(13)의 외주면 및 홈(15)이 형성된 내주면에 모두 마찰결합을 한다. 그래서 어버트먼트(20)의 직경은 상부연결부(13)의 직경보다 커진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작은 직경의 보철물이 장착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는 상부연결부(13)의 홈(15)에만 삽입되는 어버트먼트를 픽스쳐(1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직경이 상부연결부(13)보다 작은 어버트먼트를 픽스쳐(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픽스쳐(10)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또는 보철물이 상부연결부(13)의 내부에만 마찰결합된다. 또한, 픽스쳐(10)의 홈(15)에는 나사산(16)이 형성되므로 상부연결부(13)의 외부에서는 마찰결합을 하고 상부연결부(13)의 내부에서는 스크류로 나사결합을 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어버트먼트 또는 보철물이 픽스쳐(10)의 상부연결부(13)의 외부 및 내부에서 모두 마찰결합되거나, 내부에서만 마찰결합되거나 또는 외부에서만 마찰결합되고 스크류와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어버트먼트(20)는 관통공(23)이 형성되고, 픽스쳐(10)의 홈(15)에는 나사산(16)이 형성된다. 픽스처(10)에 어버트먼트(20)를 마찰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일정한 하중이 작용되어야 한다. 그래서 어버트먼트(20)에 일정한 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스크류를 관통공(23)에 삽입한 후 스크류를 픽스쳐(10)의 나사산(16)과 나사결합시킨다. 그러면 스크류가 어버트먼트(20)를 일정한 하중으로 가압하여 픽스쳐(10)에 마찰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픽스쳐(10)의 테이퍼부(17)와 어버트먼트(20)의 체결홈(21)이 1°~ 6°로 테이퍼지므로 상부연결부(13)의 상단(14)이 어버트먼트(20)의 체결홈(21)에 삽입되어 마찰결합될 때, 보다 용이하게 픽스쳐(10)에 어버트먼트(20)를 마찰결합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찰결합식 임플란트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찰결합식 임플란트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에 따른 마찰결합식 임플란트의 픽스쳐(10)는 상부연결부(13)의 외주면의 테이퍼부(17a)와 홈(15)의 테이퍼부(17b)에 결합그루브(18)가 형성된다.
결합그루브(18)는 상부연결부(13)의 외주면의 테이퍼부(17a) 또는 홈(15)의 테이퍼부(17b)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어버트먼트(20)와 상부연결부(13)가 접촉시 이론상으로는 면접촉을 해야 한다. 그러나 가공이 이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점접촉이 발생된다. 이 경우, 결합그루브(18)가 형성되어 있으면 어버트먼트(20)를 가압시 어버트먼트(20)의 면이 결합그루브(18) 방향으로 변형되어 어버트먼트(20)와 상부연결부(13)의 접촉면적을 넓혀준다. 따라서, 어버트먼트(20)와 상부연결부(13)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결합그루브(18)는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 : 치조골 2 : 잇몸
10 : 픽스쳐 11 : 골삽입부
13 : 상부연결부 14 : 상단
15 : 홈 16 : 나사산
17(17a,17b) : 테이퍼부 18 : 결합그루브
20 : 어버트먼트 21 : 체결홈
21a : 바닥 23 : 관통공

Claims (4)

  1. 치조골에 삽입되는 골삽입부와, 어버트먼트 또는 보철물이 결합될 수 있게 잇몸 위로 노출되도록 골삽입부에서 연장되고 상단에서 내부로 홈이 형성된 상부연결부를 구비한 픽스쳐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연결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또는 상기 보철물과 마찰 결합하기 위하여 외주면과 상기 홈의 내주면에 1°~ 6°로 경사진 테이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홈은 상기 홈의 테이퍼부 아래에 상기 어버트먼트 또는 보철물을 마찰결합시키기 위하여 볼트로 가압할 수 있게 볼트결합 될 수 있는 나사산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홈과, 상기 볼트가 상기 픽스쳐의 홈의 나사산과 나사결합하기 위하여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게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상기 어버트먼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버트먼트의 체결홈은 상기 상부연결부와 마찰결합할 수 있게 1°~ 6°로 테이퍼져서 형성되며,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볼트가 상기 픽스쳐와 나사결합하여 상기 볼트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임플란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체결홈의 바닥이 상기 상부연결부의 상단과 일정 간격의 틈이 형성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임플란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는 상기 외주면과 상기 홈의 테이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결합그루브가 복수개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임플란트.
KR1020190144708A 2019-11-13 2019-11-13 마찰결합식 임플란트 KR20210057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708A KR20210057923A (ko) 2019-11-13 2019-11-13 마찰결합식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708A KR20210057923A (ko) 2019-11-13 2019-11-13 마찰결합식 임플란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923A true KR20210057923A (ko) 2021-05-24

Family

ID=76153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708A KR20210057923A (ko) 2019-11-13 2019-11-13 마찰결합식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79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87272A1 (en) 2021-05-04 2022-11-09 LG Display Co., Ltd. Apparatus for outputting soun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87272A1 (en) 2021-05-04 2022-11-09 LG Display Co., Ltd. Apparatus for outputting sou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14390B1 (en) A set of dental components
CN108697492B (zh) 可拆卸的种植体结合假体
US6227860B1 (en) Dental implant
US20080233538A1 (en) Two-part screw for a dental implant
EP2868291A1 (en) Dental implant
KR101965332B1 (ko) 투피스 힐링어버트먼트용 하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힐링어버트먼트
JPH0390144A (ja) 骨に着床する個々の移植歯及びそのような移植歯に用いる締付け工具
KR20010052059A (ko) 의치 이식 시스템
WO2022085865A1 (ko) 교합력 완충기능을 갖는 치과 임플란트용 지대주
EP1745758A1 (en) Dental implant for magnetic attachment
JP2019524384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構造物
KR101559823B1 (ko) 치아 임플란트 구조물
KR20160009325A (ko) 몸체와 고정부재의 결합력이 향상된 어버트먼트
KR20210057923A (ko) 마찰결합식 임플란트
KR102104765B1 (ko) 견고함을 갖는 치과 임플란트
KR102409904B1 (ko) 마찰결합식 임플란트
KR101573520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648742B1 (ko) 어버트먼트 및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0839231B1 (ko) 테이퍼 핀으로 체결되는 임플란트 구조
KR20150007185A (ko) 치아 임플랜트
KR20150019314A (ko) 풀림방지 임플란트
EP0788781B1 (en) Abutment screw
KR200282971Y1 (ko) 풀림이 방지된 인공치아 임플란트장치
RU2397731C1 (ru) Зубной протез
CA2286616C (en) Implan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