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9384A - 찹쌀추출물 및 차추출물을 함유하는 위궤양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찹쌀추출물 및 차추출물을 함유하는 위궤양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9384A
KR20010019384A KR1019990035744A KR19990035744A KR20010019384A KR 20010019384 A KR20010019384 A KR 20010019384A KR 1019990035744 A KR1019990035744 A KR 1019990035744A KR 19990035744 A KR19990035744 A KR 19990035744A KR 20010019384 A KR20010019384 A KR 20010019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lutinous rice
tea extract
tea
ul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7820B1 (ko
Inventor
안봉환
송동업
정영도
양성렬
이민화
최기오
신부안
유종선
장희진
Original Assignee
안봉환
이민화
양성렬
신부안
송동업
정영도
최기오
유종선
장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봉환, 이민화, 양성렬, 신부안, 송동업, 정영도, 최기오, 유종선, 장희진 filed Critical 안봉환
Priority to KR1019990035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820B1/ko
Publication of KR20010019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8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찹쌀추출물 및 차추출물을 함유하는 위궤양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찹쌀추출물 10 중량부에 대하여 차(茶)추출물 1 - 16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찹쌀추출물 및 차추출물을 함유하는 위궤양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 herbal preparation with anti-ulcer activity composed of glutinous rice and tea extracts}
본 발명은 궤양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찹쌀추출물에 대하여 차(茶)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양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화성 궤양에 대한 약물치료의 주목적은 통증을 해소하고, 궤양자체를 치유하는데 있으며, 부수적으로는 궤양 재발과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현재 통용되는 항궤양제로서는 제산제, H2-수용체 길항제, 항콜린성 약물 등이 있으나 이들 약제의 대부분이 다양한 부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장기 복용시 주의를 요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찹쌀추출물이 효과적으로 위궤양 발생을 억제하며, 발생된 궤양을 치유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천연물유래의 추출물로서 생체에 대한 안전성이 높다는 것을 발견하여 이에 관해 특허를 획득한 바 있다(한국특허 제0208969호).
본 발명자들은 상기 특허발명에 대하여 더욱 연구를 진행한 결과, 본 발명자들이 개시한 항궤양 효과를 갖는 찹쌀추출물에 차(茶)추출물을 일정량 혼합하였을 때, 종래의 찹쌀추출물만을 함유한 조성물에 비하여 항궤양효과가 월등히 높아진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찹쌀추출물에 대하여 차(茶)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양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녹차추출물, 우롱(oolong)차추출물 또는 홍차추출물에 의한 찹쌀추출물의 항궤양활성 강화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녹차추출물의 양에 따른 찹쌀추출물의 항궤양활성 강화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여러농도의 찹쌀추출물에 대한 일정량의 녹차추출물에 의한 항궤양활성 강화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찹쌀추출물 10 중량부에 대하여 차(茶)추출물 1 - 16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양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찹쌀추출물은 한국특허 제0208969호에서 개시한 바 있는 찹쌀의 수(水)추출액으로부터 얻어진 찹쌀추출액침전분획의 형태이다.
상기 찹쌀추출물은 한국특허 제0208969호에서 개시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찹쌀의 수(水)추출액에 0.1 - 1%의 구연산이나 초산 또는 사과산을 가하고 원심분리 또는 여과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특징적으로 포함되는 차(茶)추출물은 녹차추출물, 우롱차추출물 또는 홍차추출물이 바람직하며, 찹쌀추출물 10 중량부에 대하여 1 - 16 중량부로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녹차추출물, 우롱차추출물 또는 홍차추출물은 녹차, 우롱차 또는 홍차를 약 100 배 무게의 끓는 증류수에 넣어 10 분간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액체상태로 얻어지거나 이를 다시 냉동건조시켜 분말 상태로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차추출물의 양을 기술할 때는 분말상태일때의 중량으로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은 찹쌀추출물 및 차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경구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경구투여용 제형으로는 액제, 정제, 캅셀제 등과 같은 통상의 경구투여용 제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함유할 수 있으며, 그 예를 들면, 젤라틴, 솔비톨, 트라가칸트,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결합제; 유당, 설탕, 옥수수 전분, 글리신 등의 충전제;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카 등의 윤활제; 전분 등의 붕해제; 습윤제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약제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첨가제, 예를 들어 설탕, 셀룰로오스 또는 그 유도체, 식품염료, 염색락카, 방향족화제 및 안료 등과 같은 보호제, 향미제 및/또는 착색제를 이용하여 당의정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액제형태의 음료조성물은 찹쌀추출물 및 차추출물을 포함하는 희석액에 액상과당 7 - 10 중량%, 구연산 0.1 - 0.2 중량%를 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액상과당 대신 설탕 또는 포도당을, 구연산 대신에 초산 또는 사과산을 각각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과, 오렌지, 파인애플, 포도, 자몽 과즙을 1 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10 - 30 중량%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투여 대상 및 목적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1 일 약 1 - 10 g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경구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정상인 지원자 3 명에게 찹쌀추출물 1.3 g 및 녹차추출물 0.5 g을 포함하는 혼합액(100 ml)을 하루 세차례씩 10 주간 복용시킨 결과 부작용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안전성이 매우 높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것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찹쌀추출물의 제조
찹쌀분말 100 g에 10 배 무게의 증류수를 가하고 믹서기를 사용하여 30 초간 3 회 진탕하였다. 진탕후 1,000 × g에서 1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찹쌀추출액) 800 ml를 얻었다. 이 찹쌀추출액을 실온에 12 시간 방치하고 1,000 × g에서 10 분간 원심하여 침전물을 얻은 다음 이를 건조하여 찹쌀추출물 5 g을 얻었다.
실시예 2 : 찹쌀추출물의 제조
찹쌀분말 100 g에 10 배 무게의 증류수를 가하고 믹서기를 사용하여 30 초간 3 회 진탕하였다. 진탕후 1,000 × g에서 1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찹쌀추출액) 800 ml를 얻었다. 이 찹쌀추출액에 구연산 8 g을 가하여 녹인후 10 분간 방치하고 1,000 × g에서 10 분간 원심하여 침전물을 얻은 다음 이를 건조하여 찹쌀추출물 5 g을 얻었다.
실시예 3 : 녹차추출물의 제조
녹차(태평양사의 설록차, 상품명: 한라) 10 g을 100 배 무게의 끓는 증류수에 넣어 10 분간 추출한 다음, 여과액(약 1 ℓ)을 얻었다. 이 여과액을 그대로 차추출물로 사용하거나 여과액을 다시 냉동건조시켜 분말상태(약 2.5 g)로 만든 뒤 차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4 : 우롱차추출물의 제조
우롱차(中國福建 烏龍茶) 10 g을 100 배 무게의 끓는 증류수에 넣어 10 분간 추출한 다음, 여과하였다. 이 여과액을 그대로 차추출물로 사용하거나 여과액을 다시 냉동건조시켜 분말상태(약 2.2 g)로 만든 뒤 차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5 : 홍차추출물의 제조
홍차(영국의 Lipton사제) 10 g을 100 배 무게의 끓는 증류수에 넣어 10 분간 추출한 다음, 여과하였다. 이 여과액을 그대로 차추출물로 사용하거나 여과액을 다시 냉동건조시켜 분말상태(약 2.3 g)로 만든 뒤 차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6 : 찹쌀추출물 및 녹차추출물을 함유하는 궤양 예방 및 치료용 액제
조성물 제조
상기와 같이 제조한 찹쌀추출물 1.3 g과 녹차추출물 0.5 g을 증류수에 부유시켜 90 ml로 한 후, 여기에 액상 과당을 10 중량%, 구연산을 0.1 중량% 되도록 가하여 100 ml의 혼합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 찹쌀추출물 및 우롱차추출물을 함유하는 궤양 예방 및 치료용 액제
조성물 제조
상기와 같이 제조한 찹쌀추출물 1.3 g과 우롱차추출물 0.5 g을 증류수에 부유시켜 90 ml로 한 후, 여기에 액상 과당을 10 중량%, 구연산을 0.1 중량% 되도록 가하여 100 ml의 혼합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 찹쌀추출물 및 홍차추출물을 함유하는 궤양 예방 및 치료용 액제
조성물 제조
상기와 같이 제조한 찹쌀추출물 1.3 g과 홍차추출물 0.5 g을 증류수에 부유시켜 90 ml로 한 후, 여기에 액상 과당을 10 중량%, 구연산을 0.1 중량% 되도록 가하여 100 ml의 혼합음료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 흰쥐에서 에탄올 유발 위궤양에 대한 찹쌀추출물의 항궤양활성에
미치는 차(茶)추출물의 강화효과 확인
(1) 항궤양효과 측정 방법
체중 250 ± 20 g의 흰쥐(Sprague-Dawley)에게 에탄올 1 ㎖를 경구투여하여 위궤양을 유발시켰다. 에탄올 투여 후 1.5 시간에 개복하여 위를 절취하고 대만곡을 따라 절개한 다음 사진을 찍고, 화상분석기(image analyzer, 독일 Kontron사 Model IBAS 2000)를 이용하여 궤양부위의 면적을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는 궤양지수로 표시하였으며, 이는 위점막 전체면적에 대한 궤양부위 면적의 백분율(위궤양면적/위점막전체면적 × 100 %)이다. 측정된 결과에 대한 통계학적 유의성 검증은 Student's t-test에 의하였다.
(2) 녹차추출물, 우롱차추출물 및 홍차추출물의 강화 효과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찹쌀추출물 5 ㎎을 1 ㎖의 증류수 또는 액체상태의 차추출물 (2.0 ㎎/㎖의 고형물을 함유하도록 증류수를 가하여 조정하였음)에 부유시켜 흰쥐에 경구투여하고, 30 분 후에 에탄올 1 ㎖를 경구투여한 뒤 위궤양 발생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과 같다. 각 실험군의 흰쥐의 수는 10 마리였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증류수만을 경구투여한 증류수 대조군의 궤양지수는 평균 68 %인데 비해, 찹쌀추출물 단독 투여군의 궤양지수는 29 %로 크게 낮아 졌다. 또한, 찹쌀추출물에 녹차추출물이나 우롱차추출물 또는 홍차추출물이 첨가된 경우는 궤양지수가 더욱 낮아져 녹차추출물 첨가시 평균 3 %, 우롱차추출물 첨가시 평균 5 %, 홍차추출물 첨가시 평균 5 %이었다. 그러나 녹차추출물이나 우롱차추출물 또는 홍차추출물 단독 투여시에는 궤양지수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차추출물이 그 자체로는 항궤양활성을 나타내지 않으나 찹쌀추출물과 병용할 경우 찹쌀추출물의 항궤양활성을 현저히 강화시킴을 보여주는 것이다.
(3) 차추출물의 양에 따른 효과 확인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찹쌀추출물 5 ㎎을 1 ㎖ 증류수에 부유시키고 여기에 0.25, 0.5, 1.0, 2.0, 4.0, 8.0 ㎎의 냉동건조된 녹차추출물을 첨가하여 흰쥐에 경구투여하고, 30 분 후에 에탄올 1 ㎖를 경구투여한 뒤 위궤양 발생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와 같다. 각 실험군의 흰쥐의 수는 10 마리였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녹차추출물을 0.25 ㎎ 첨가하였을 때는 찹쌀추출물 단독투여군과 위궤양발생정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녹차추출물을 0.5 ㎎이상 첨가하였을 때는 첨가된 녹차추출물의 양이 증가할수록 평균 위궤양지수가 점차 낮아졌으며 녹차추출물을 2 ㎎ 이상 첨가함에 따라 평균 위궤양 지수는 3 % 이하로 위궤양 발생이 대부분 억제되었다.
(4) 여러농도의 찹쌀추출물의 항궤양활성에 미치는 차추출물의 영향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찹쌀추출물 2.5, 5, 10, 25 ㎎을 각각 1 ㎖ 증류수에 부유시키고 여기에 냉동건조된 녹차추출물을 2 ㎎ 씩 첨가하여 흰쥐에 경구투여하고, 30 분 후에 에탄올 1 ㎖를 경구투여한 뒤 위궤양 발생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과 같다. 각 실험군의 흰쥐의 수는 10 마리였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녹차추출물 첨가군과 비첨가군 모두에서 찹쌀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궤양활성이 점차 크게 나타났으며, 녹차추출물 첨가군이 녹차추출물 비첨가군에 비하여 현저히 강한 항궤양활성을 나타내었다. 녹차추출물 비첨가군에서는 찹쌀추출물을 25 ㎎ 투여할 때 궤양발생이 90 % 이상 억제되었으나, 녹차추출물 첨가군에서는 찹쌀추출물을 5 ㎎ 이상 투여할 때 궤양발생이 90 % 이상 억제되었다. 따라서 녹차추출물 첨가에 의해 찹쌀추출물의 항궤양활성이 최소한 5 배 강화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결과를 종합하면, 찹쌀추출물 10 중량부에 차추출물을 1 - 16 중량부 첨가함에 따라 찹쌀추출물의 항궤양활성이 유의하게 강화되었으며, 약 5 ㎎의 찹쌀추출물과 약 2 ㎎의 차추출물을 함께 흰쥐에 투여하면 에탄올에 의한 위궤양 발생을 거의 완전히 방어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에서 사용한 흰쥐의 체중은 평균 250 g이었으므로, 이상의 양을 흰쥐에서의 기준에 따라 60 - 70 kg 체중의 사람에게 필요한 양으로 환산하면 찹쌀추출물은 약 1.3 g, 차추출물은 약 0.5 g에 해당한다. 물론 상기 투여량은 투여대상 및 목적에 따라 적절히 변화시킬 수 있다.
찹쌀추출물 및 차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궤양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차추출물의 병용에 의하여 찹쌀추출물의 항궤양활성을 효과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으며,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거의 없다.

Claims (8)

  1. 찹쌀추출물 10 중량부에 대하여 차(茶)추출물 1 - 16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양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차(茶)추출물이 녹차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양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차(茶)추출물이 우롱차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양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차(茶)추출물이 홍차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양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찹쌀추출물이 찹쌀분말에 증류수를 가하여 혼합기로 진탕한 후 혼합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고, 이 상층액을 실온에서 방치하거나, 구연산, 초산 또는 사과산을 가한 후 원심분리 또는 여과하여 얻어지는 침전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궤양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차추출물이 녹차, 우롱차 또는 홍차를 끓는 증류수에서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액체상태로 얻어지거나 이를 다시 냉동건조시켜 분말상태로 얻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궤양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항궤양제 조성물이 경구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궤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경구투여용 제형이 액제, 정제, 및 캅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궤양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990035744A 1999-08-26 1999-08-26 찹쌀추출물 및 차추출물을 함유하는 위궤양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27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744A KR100627820B1 (ko) 1999-08-26 1999-08-26 찹쌀추출물 및 차추출물을 함유하는 위궤양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744A KR100627820B1 (ko) 1999-08-26 1999-08-26 찹쌀추출물 및 차추출물을 함유하는 위궤양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384A true KR20010019384A (ko) 2001-03-15
KR100627820B1 KR100627820B1 (ko) 2006-09-25

Family

ID=19608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744A KR100627820B1 (ko) 1999-08-26 1999-08-26 찹쌀추출물 및 차추출물을 함유하는 위궤양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8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841B1 (ko) * 2005-02-28 2006-07-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세포결합 저해활성을 갖는 녹차에서분리된 산성 다당체와 이를 함유하는 소화성 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WO2008117996A1 (en) * 2007-03-27 2008-10-02 Dasan M & F, Inc. Anti-peptic ulcer composition in the form of clear liquid comprising glutinous rice extract and tea extract
JP2011516467A (ja) * 2008-04-02 2011-05-26 ダサン エムアンドエフ,アイエヌシー. 米プロラミンを含む抗消化性潰瘍組成物
WO2013162126A1 (en) * 2012-04-24 2013-10-31 Dasan M&F, Inc.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for the intestine comprising glutinous rice water-extrac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863B1 (ko) * 2012-09-28 2014-12-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찹쌀추출물과 차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을 위한 외용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841B1 (ko) * 2005-02-28 2006-07-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세포결합 저해활성을 갖는 녹차에서분리된 산성 다당체와 이를 함유하는 소화성 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WO2008117996A1 (en) * 2007-03-27 2008-10-02 Dasan M & F, Inc. Anti-peptic ulcer composition in the form of clear liquid comprising glutinous rice extract and tea extract
JP2011516467A (ja) * 2008-04-02 2011-05-26 ダサン エムアンドエフ,アイエヌシー. 米プロラミンを含む抗消化性潰瘍組成物
WO2013162126A1 (en) * 2012-04-24 2013-10-31 Dasan M&F, Inc.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for the intestine comprising glutinous rice water-extra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7820B1 (ko) 2006-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6484B2 (en) Composition comprising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Lindera obtusiloba blume extract, or herbal mixture extract thereof
KR100627820B1 (ko) 찹쌀추출물 및 차추출물을 함유하는 위궤양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4516958B2 (ja) 抗糖尿病用組成物
KR101565964B1 (ko) 아위버섯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377313B1 (ko) 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WO2020091265A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EP1889638A1 (en) Medicaments and food for treatment or prevention of obesity and/or diabetes containing cicer arietinum extract
JP2000014354A (ja) 抗アレルギーまたは抗炎症作用を有する組成物
CN110269920A (zh) 缓解胃疾的中药混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247702B1 (ko) 위염 또는 소화성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92720A (ko) 노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4922B1 (ko) 감초 유래 글라블리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화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208969B1 (ko) 찹쌀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궤양제
JP2001261569A (ja) 抗肥満症剤
KR20020046418A (ko) 강장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강장제
KR100821943B1 (ko) 찹쌀추출물과 차추출물을 포함하는 맑은 액제 형태의항궤양 조성물
KR100376030B1 (ko) 2형 당뇨에 효능이 있는 생약제제
Walt et al. Antacids and ulcer healing: a review of the evidence
KR0179088B1 (ko)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KR100810110B1 (ko) 찹쌀추출물 및 수삼추출물을 포함하는 투명 액제 형태의항궤양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955679B2 (ja) エタノール代謝促進剤
KR20010104425A (ko) 찹쌀추출물 및 수삼추출물을 함유하는 궤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446061B1 (ko) 유기용매흡착성 생약 미립구를 포함하는 숙취경감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 보조식품
KR101319552B1 (ko) 조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및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50107362A (ko) 유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증진용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