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9382A -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에서의 차량간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에서의 차량간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9382A
KR20010019382A KR1019990035741A KR19990035741A KR20010019382A KR 20010019382 A KR20010019382 A KR 20010019382A KR 1019990035741 A KR1019990035741 A KR 1019990035741A KR 19990035741 A KR19990035741 A KR 19990035741A KR 20010019382 A KR20010019382 A KR 20010019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data
signal
vehic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7936B1 (ko
Inventor
이병헌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35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93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9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9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2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with access to wir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을 이용하여 그룹으로 이동하는 차량간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하는데 적당한 차량간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성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특히 본 발명은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을 이용하여 교통 정보 서비스뿐만 아니라 그룹으로 이동하는 차량간 음성 통화를 지원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과 이를 위한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에서의 차량간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method for communicating among vehicles with wireless in intelligent traffic network system, and terminal for realiz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을 이용하여 그룹으로 이동하는 차량간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하는데 적당한 차량간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이란 교통 정보에 관한 서비스를 주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도로상의 교통 정보를 수집한 교통 정보 제공업자는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을 이용하여 현재 교통 상황을 각 차량의 가입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은 기존에 사용 중인 무선망을 이용하는 부가 서비스 형태이기 때문에, 전반적인 시설 투자비가 훨씬 저렴하다. 따라서 저가의 비용으로 손쉽게 교통 정보를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반적인 시스템 구성은 차량용 단말기(10,11,12)와, 노변 기지국(20,21)과, 관제 센터(30)를 포함한다.
차량용 단말기(10,11,12)는 차량 내부에 장착되며, 노변 기지국(20,21)과의 접속을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로 주변에 위치한 노변 기지국(20,21)은 차량용 단말기(10,11,12)에 무선 접속 및 무선 통신을 지원하며, 관제 센터(30)와 유선으로 연결된다.
관제 센터(30)는 도로 주변에 위치한 여러 노변 기지국(20,21)으로부터 각종 데이터, 즉 해당 도로를 사용하는 차량의 위치, 주행 속도 등의 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지리 정보와 결합하여 가공 처리하고, 이 처리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31)에 실시간으로 관리한다.
이렇게 관제 센터(30)는 노변 기지국(20,21)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처리하여, 차량으로부터 정보 제공 주문이 있을 경우 차량 위치의 해당 노변 기지국을 통해 요구한 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차량용 단말기(10,11,12)는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차량 가입자로 하여금 선택한 도로 교통 상황 정보를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display)한다.
상기 설명한 기존의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을 이용하는 예를 들자면, 만약 차량용 단말기(T1)(10)가 구비된 차량의 가입자가 서울에서 어느 지방을 가고자 할 때, 가입자는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의 지리 정보나 목적지까지의 도로 상황, 소요 시간 및 병목 구간 등 전반적인 교통 정보를 선택하여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노변 기지국(B1)(20)으로 요구한다.
이후 해당 노변 기지국(B1)(20)은 차량 가입자의 요구를 관제 센터(30)에 알리고, 수집 가공된 해당 교통 정보를 관제 센터(30)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차량 가입자의 차량용 단말기(T1)(10)에 전송한다.
차량용 단말기(T1)(10)는 노변 기지국(B1)(20)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 장치를 통해 가입자에게 보여 준다.
지금까지 설명한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에서는 데이터만 송수신되고 음성신호는 송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음성신호 송수신을 위한 어떠한 장치도 구비되지 않았다.
이는 향후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성 서비스가 요구될 경우에는 이를 지원해 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성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을 이용하여 교통 정보 서비스뿐만 아니라 그룹으로 이동하는 차량간 음성 통화를 지원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에서의 차량간 무선 통신 방법의 특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용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변 기지국으로 구성되어, 정보 데이터 전송을 기본으로 하는 교통망 시스템에서, 호출 차량용 단말기로 입력된 데이터에 대해 그 성격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 결과 음성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호출 가입자 음성을 부호화하여 일정 길이의 데이터군을 형성한 후 이를 송신하는 단계와, 피호출 차량용 단말기가 상기 송신 데이터군을 수신하여, 복호화한 후 해당 음성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되는 데이터군에 상기 호출 가입자의 음성을 부호화한 음성 데이터와, 상기 호출 차량용 단말기에 부여된 호출측 고유 번호와, 상기 피호출 차량용 단말기에 부여된 피호출측 고유 번호와, 동기를 위한 동기 코드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송신 데이터군의 수신 단계가, 상기 수신된 데이터군에 삽입된 호출측 고유 번호와 피호출측 고유 번호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군에 삽입된 동기 코드를 이용하여 동기를 맞추는 단계와, 상기 고유 번호 및 동기가 맞을 경우, 상기 데이터군에 삽입된 음성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복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피호출 가입자의 선택에 의해 음성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의 특징은, 차량간 데이터 통신을 기본으로 하며, 무선 통신을 위해 음성 데이터가 송수신 처리되는 다수의 차량용 단말기와, 상기 차량용 단말기들간의 무선 접속을 지원하는 다수의 노변 기지국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단말기가, 입출력되는 수신신호와 송신신호의 흐름을 제어하는 듀플렉서와, 수신신호를 하향주파수 처리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수신 처리부와, 가입자의 음성을 상향주파수 처리하여 무선신호로 송신하는 송신 처리부와, 상기 수신 처리부에서 하향주파수 처리된 디지털 신호의 복호화 및 상기 송신 처리부에서 상향 주파수 처리될 디지털 신호를 부호화하는 코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노변 기지국은 상기 차량용 단말기와 동일한 구성의 음성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가 구비되며, 유선 연결을 위한 유선 접속 장치가 더 구비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차량용 단말기는 상기 노변 기지국과의 음성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모뎀(modem)이 더 구비된다.
도 1 은 일반적인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에서의 차량간 무선 통신 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듀플렉서(Duplexer) 120 : 스피커
130 : 마이크로폰 140 : 전원 공급부
150 : 외부 접속부 160 : 키입력부
170 : 화면 표시부 180 : 제어부
200 : 모뎀(modem) 210 : 코덱(CODEC)
300 : 수신 처리부 500 : 송신 처리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에서의 차량간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이 보다 명확하도록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차량용 단말기는 무선신호가 송수신되는 안테나(100)와, 안테나(100)를 통해 입출력되는 수신신호와 송신신호의 흐름을 제어하는 듀플렉서(Duplexer)(110)와, 무선신호를 하향주파수 처리하여 음성신호를 출력시키는 수신 처리부(300)와, 음성신호를 가입자가 들을 수 있게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20)와, 가입자의 음성신호를 상향주파수 처리하여 무선신호를 출력시키는 송신 처리부(500)와, 음성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130)과, 상기 수신 처리부(300)와 송신 처리부(5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40)와, 차량용 단말기의 상태를 눈으로 볼 수 있게끔 해주는 화면 표시부(150)와, 가입자가 차량용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게끔 다수 버튼이 배열된 키입력부(160)와, 외부의 기타 장치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접속부(170)와, 상기 열거된 모든 각 부의 상태에 따라 적절히 제어하는 제어부(180)와, 상기 제어부(180)에서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 및 차량용 단말기의 부가서비스에 관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9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신 처리부(300)는 수신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수신 고주파 증폭부(310)와, 증폭된 수신 고주파 신호 중 필요한 신호만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수신 고주파 필터부(320)와, 국부발진 중간주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중간주파 발진부(330)와, 증폭된 수신 고주파 신호와 중간주파 발진부(330)로부터 발생된 국부발진 중간주파 신호를 혼합하는 주파수 혼합부(340)와, 혼합된 신호 중 필요한 신호만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수신 중간주파 필터부(350)와, 필터링된 중간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1차 중간주파 증폭부(360)와, 2차 중간주파 증폭기(미도시)와 발진기를 내장하고 있으며 중간주파 증폭된 신호를 복조시키는 복조부(370)와, 복조된 신호에서 필요로 하는 대역의 음성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음성대역 필터부(380)와, 음성신호를 필요한 크기로 증폭하는 수신 음성신호 증폭부(390)와, 수신된 신호의 잡음정도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하는 잡음 제어 스위치(4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송신 처리부(500)는 마이크로폰(130)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제1 송신 음성신호 증폭부(510)와, 증폭된 음성신호 중 필요한 주파수 대역만 통과시키는 음성신호 필터부(520)와,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송신 음성신호 증폭부(530)와, 국부발진 송신주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송신주파 발진부(540)와, 송신주파 발진부(540)로부터 발생된 국부발진 송신주파 신호와 음성신호를 혼합하는 변조부(550)와, 고주파의 송신신호를 증폭하는 송신 고주파 증폭부(560)와, 필요한 주파수의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송신 고주파 필터부(570)와, 최종적으로 필요한 출력까지의 고주파 신호로 증폭시키는 종단 증폭부(58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는 이외에도, 노변 기지국과의 음성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모뎀(modem)(200)과, 음성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부호화(coding) 및 복호화(decoding)를 수행하는 코덱(CODEC)(210)을 포함한다.
상기한 코덱(CODEC)(210)은 수신시 부호화된 음성신호를 복호화하며, 송신시 음성신호를 부호화한다.
그밖에도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차량용 단말기와의 무선 접속 및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노변 기지국에 상기한 차량용 단말기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단말기가 구비되며, 유선 연결을 위한 별도의 유선 접속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한 단말기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는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에서의 음성 서비스를 위해 음성신호 송수신을 위한 신호 처리 블록들이 추가되며, 음성 출력을 위한 스피커(120)와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130)이 또한 추가된다.
결국 가입자가 차량용 단말기를 통해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면, 가입자의 차량 및 노변 기지국에 구비된 각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과 차량간 근거리 무선 통신을 선택적으로 서비스한다.
다음은 상기한 단말기 구성에 따른 차량간 무선 통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기본적으로 각 차량용 단말기에는 고유 번호가 부여된다. 이는 가입자에게 특정 차량의 가입자와의 전용 음성 통신을 지원해 주기 위한 것으로, 이 때 호출 차량용 단말기는 자신에게 부여된 고유 번호와 호출 가입자에 의해 선택된 피호출 차량용 단말기에 부여된 고유 번호를 음성신호와 함께 노변 기지국에 자동으로 송신한다.
이후 노변 기지국이 수신된 음성신호와 고유 번호들을 피호출 차량용 단말기에 송출함으로써, 피호출 차량용 단말기는 호출 차량용 단말기를 감지한다. 따라서 피호출 차량용 단말기는 상대의 호출에 대해 정확한 응답을 할 수 있다.
별 예로, 만약 상기에서 이미 언급한 차량용 단말기가 구비된 다수의 차량이 동일한 목적지를 향해 근거리 간격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 호출 가입자는 다수 가입자를 호출하여 일대 다자간 통신을 할 수 있다.
일대 다자간 통신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에서 각 차량용 단말기(10,11,12)에 부여된 고유 번호가 각각 "001", "002", "003"이라 하자.
이 때 호출 가입자가 나머지 두 가입자와 음성 통신을 서비스 받고자 키입력부를 사용하여 피호출 차량용 단말기(T2,T3)의 해당 고유 번호들을 선택하고 또한 마이크로폰을 통해 보내고자 하는 음성을 입력하면, 호출 차량용 단말기(T1)는 자신에게 부여된 고유 번호 "001"과 호출 가입자에 의해 선택된 피호출 차량용 단말기(T2,T3)의 고유 번호 "002"와 "003"을 음성 신호와 함께 노변 기지국(B1)에 자동으로 송신한다.
이후 노변 기지국(B1)은 수신된 음성 신호와 각 고유 번호들을 해당 피호출 차량용 단말기들(T2,T3)에 송출함으로써, 피호출 차량용 단말기들(T2,T3)은 호출 차량용 단말기(T1)를 감지한 후 피호출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해당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한다. 따라서 피호출 차량용 단말기는 상대의 호출에 대해 정확한 응답을 할 수 있다.
이후 이들 가입자간에는 연속적인 음성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차량간 음성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신호에 대한 통신 규약이 필요하다.
기존 디지털 통신의 경우에는 디지털 신호가 데이터군(stream)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데이터군은 원활한 통신을 위해 2바이트의 프리앰블(preamble)과, 4바이트의 동기 필드(sync)와, 2바이트의 기능 필드(function)와, 64바이트의 데이터 필드(data)로 구성된다.
여기서, 프리앰블(preamble)에는 호출 차량용 단말기의 고유 번호와 피호출 차량용 단말기의 고유 번호가 삽입된다.
또한 동기 필드(sync)는 정확한 동기를 위한 동기용 코드가 삽입된다.
그밖에 필드 중 기능 필드(function)는 데이터 필드(data)에 삽입된 데이터의 성격을 규정하는 필드로써, 차량 및 노변 기지국에 구비된 단말기가 데이터군을 수신하면 제어부(CPU)는 이를 분석한 후 기능 필드(function)의 분석 결과에 따라 데이터 필드(data)의 데이터를 처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CPU)가 기능 필드(function)를 분석한 결과, 데이터 필드(data)에 삽입된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일 경우에는, 이후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군을 수신한 피호출 가입자가 호출 대상인지를 확인한다.
제어부(CPU)는 확인 결과 자신의 단말기가 호출 대상이면, 수신된 데이터군 중 데이터 필드(data)에 삽입된 데이터를 코덱(CODEC)으로 보내어 복호화(decoding)한다.
코덱(CODEC)은 입력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음성신호로 재생시키며, 이 재생된 음성신호는 증폭된 후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이와 반대로 단말기로부터 음성신호를 송신할 때는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된 음성신호를 코덱(CODEC)에서 부호화한 다음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이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제어부(CPU)의 처리에 의해 음성 무선 통신의 규약(Protocol)에 맞는 데이터군(stream)이 된다.
이후 이 데이터군은 모뎀(modem)과 송신 처리부를 거쳐 노변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이 때 송신 데이터군의 기능 필드(function)에는 음성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필드(data)의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임이 규정되며, 또한 송신 데이터군에는 호출 대상이 되는 피호출 차량용 단말기의 고유 번호와 음성 데이터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호출 가입자와 피호출 가입자간에는 연속적인 음성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은 상기한 본 발명의 장치 구성에 의한 차량간 근거리 무선 통신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에서의 차량간 무선 통신 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챠트로써, 도 3a는 수신 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고, 도 3b는 송신 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차량간 무선 통신에 있어 수신 절차는, 수신 대기 중인 피호출 차량용 단말기에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군(stream)이 수신되면(S1,S2), 프리앰블(preamble)과 동기 필드(sync)를 분석한다(S3).
상기에서 이미 설명했듯이 프리앰블에는 호출측 고유 번호와 피호출측 고유 번호가 삽입되어 있으며, 또한 데이터군 길이 정보가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피호출 차량용 단말기는 프리앰블에 삽입된 고유 번호들을 확인한 후 동기 필드에 삽입된 동기용 코드를 이용하여 동기가 맞는지를 확인한다(S4).
이 때 피호출 차량용 단말기는 수신된 데이터군의 피호출측 고유 번호가 자신의 고유 번호가 아니거나, 자신의 고유 번호라 할지라도 동기가 정확하지 않으면 계속 수신 대기 상태로 있게 된다.
반면에 수신된 데이터군의 피호출측 고유 번호가 자신의 고유 번호이고 또한 동기도 정확하면, 이후 기능 필드(function)를 분석한다(S5).
기능 필드는 데이터 필드(data)에 삽입된 데이터의 성격을 규정하는 필드이기 때문에, 분석 결과를 통해 현재 수신된 데이터군이 음성 통신을 위한 것인가를 알 수 있다.
이후 피호출 가입자는 단말기에 표시되는 분석 결과를 통해 자신의 피호출 여부를 알 수 있으며, 피호출 가입자가 음성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결정한다. 피호출 가입자가 음성 데이터 수신을 선택하면 코덱(CODEC)을 통해 복호화된 음성이 스피커로 출력되지만(S7,S8), 피호출 가입자가 음성 데이터 수신을 선택하지 않으면 다시 수신 대기 상태가 된다.
그런데 만약 기능 필드를 분석한 결과가 음성 데이터 수신이 아니면, 데이터 필드(data)에 삽입된 데이터는 교통 정보를 알리는 데이터이므로, 해당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 후 수신 대기 상태가 된다(S9).
다음은 차량간 무선 통신에 있어 송신 절차를 설명한다.
호출 가입자가 수신 대기 중인 호출 차량용 단말기에 데이터 송신을 요청하면(S10,S11), 호출 차량용 단말기는 지금의 송신 요청이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요청인지를 확인한다(S12).
이후 마이크로폰을 통해 호출 가입자의 음성이 입력되면(S13), 입력된 음성은 코덱(CODEC)을 통해 부호화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S14).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호출측 고유 번호, 피호출측 고유 번호 및 음성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군으로 구성된다(S15).
그러나, 지금의 송신 요청이 교통 정보를 알리는 데이터 송신 요청이면, 현 위치의 교통 정보가 삽입된 데이터군을 구성한 후 이를 송신한다(S17)
이후 송신을 위한 데이터군은 호출 차량용 단말기로부터 노변 기지국을 통해 해당 피호출 차량용 단말기로 송신되며(S16), 호출 차량용 단말기는 음성 데이터 송신 이후 수신 대기 상태로 있게 된다(S10).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그룹으로 이동하는 다수 차량들간에 근거리 음성 무선 통신을 서비스할 수 있다.
이 때, 차량 및 노변 기지국에 구비된 단말기간 통신에는 최소한의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차량용 단말기의 송신 전력은 근거리(예로써, 약 200m 내외) 통신용으로 저출력을 사용한다.
따라서 목적지가 같은 다수 차량들끼리 그룹으로 이동할 때 다른 통신 시스템에 대한 간섭의 영향이 적으므로, 차량간 최적의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용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변 기지국으로 구성되어, 정보 데이터 전송을 기본으로 하는 교통망 시스템에서,
    호출 차량용 단말기로 입력된 데이터에 대해 그 성격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 결과 음성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호출 가입자 음성을 부호화하여 일정 길이의 데이터군을 형성한 후 이를 송신하는 단계와,
    피호출 차량용 단말기가 상기 송신 데이터군을 수신하여, 복호화한 후 해당 음성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간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되는 데이터군에는,
    상기 호출 가입자의 음성을 부호화한 음성 데이터와, 상기 호출 차량용 단말기에 부여된 호출측 고유 번호와, 상기 피호출 차량용 단말기에 부여된 피호출측 고유 번호와, 동기를 위한 동기 코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간 무선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데이터군의 수신 단계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군에 삽입된 호출측 고유 번호와 피호출측 고유 번호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군에 삽입된 동기 코드를 이용하여 동기를 맞추는 단계와,
    상기 고유 번호 및 동기가 맞을 경우, 상기 데이터군에 삽입된 음성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복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피호출 가입자의 선택에 의해 음성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간 무선 통신 방법.
  4. 차량간 데이터 통신을 기본으로 하며, 무선 통신을 위해 음성 데이터가 송수신 처리되는 다수의 차량용 단말기와,
    상기 차량용 단말기들간의 무선 접속을 지원하는 다수의 노변 기지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단말기는,
    입출력되는 수신신호와 송신신호의 흐름을 제어하는 듀플렉서와,
    수신신호를 하향주파수 처리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수신 처리부와,
    가입자의 음성을 상향주파수 처리하여 무선신호로 송신하는 송신 처리부와,
    상기 수신 처리부에서 하향주파수 처리된 디지털 신호의 복호화 및 상기 송신 처리부에서 상향 주파수 처리될 디지털 신호를 부호화하는 코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에서의 차량간 무선 통신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변 기지국은, 상기 차량용 단말기와 동일한 구성의 음성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가 구비되며, 유선 연결을 위한 유선 접속 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에서의 차량간 무선 통신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단말기는,
    상기 노변 기지국과의 음성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모뎀(modem)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에서의 차량간 무선 통신 장치.
KR10-1999-0035741A 1999-08-26 1999-08-26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에서의 차량간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KR100407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741A KR100407936B1 (ko) 1999-08-26 1999-08-26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에서의 차량간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741A KR100407936B1 (ko) 1999-08-26 1999-08-26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에서의 차량간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382A true KR20010019382A (ko) 2001-03-15
KR100407936B1 KR100407936B1 (ko) 2003-12-01

Family

ID=19608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741A KR100407936B1 (ko) 1999-08-26 1999-08-26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에서의 차량간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9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962B1 (ko) * 1999-11-24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모듈 내에서 데이터 통신 방법
KR100775142B1 (ko) * 2001-08-29 2007-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에서 지리정보 및 교통정보 제공방법 및 장치
KR100821841B1 (ko) * 2001-12-20 2008-04-11 주식회사 케이티 능동형 단거리전용무선통신을 이용한 음성메일 서비스 방법
WO2015088222A1 (ko) * 2013-12-09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를 통한 차량간 이상 신호 교환이 가능한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8880A (en) * 1991-07-08 1997-09-16 Alajajian; Philip Michael Inter-vehicle personal data communications device
JP2560652B2 (ja) * 1994-12-26 1996-12-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車運転案内装置
DE59602383D1 (de) * 1995-09-26 1999-08-12 Haeni Prolectron Ag Bronschho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unkkommunikation in verkehrstechnischen leitsystemen
JP3364646B2 (ja) * 1997-05-30 2003-01-08 国土交通省 国土技術政策総合研究所長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100297543B1 (ko) * 1997-08-30 2001-10-24 구자홍 부가정보서비스방법및이를이용한부가정보서비스시스템
KR100337136B1 (ko) * 1999-08-16 2002-05-18 황영헌 차량간 무선 통신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962B1 (ko) * 1999-11-24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모듈 내에서 데이터 통신 방법
KR100775142B1 (ko) * 2001-08-29 2007-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에서 지리정보 및 교통정보 제공방법 및 장치
KR100821841B1 (ko) * 2001-12-20 2008-04-11 주식회사 케이티 능동형 단거리전용무선통신을 이용한 음성메일 서비스 방법
WO2015088222A1 (ko) * 2013-12-09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를 통한 차량간 이상 신호 교환이 가능한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9842499B2 (en) 2013-12-09 2017-12-12 Lg Electronics Inc. Device enabling exchange of abnormal signal among vehicles via Wi-Fi direct network,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7936B1 (ko) 200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8646B1 (ko) 통신 시스템 액세스하기 위한 블루틴 보드 리소스
US6091961A (en) System for broadcasting messages from a mobile radio terminal
CN101485112B (zh) 为向无线通信设备无线传输信息确定前向信道速率的系统和方法
US7010312B1 (en) 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to convert messages into television signals
US20060075439A1 (en) System and method of streaming audio from a common video device
GB2366151A (en) Provision of local emergency information
US200501175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messages in a network
KR100407936B1 (ko)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에서의 차량간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US7444140B2 (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pparatus,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JP2912332B1 (ja) 携帯通信端末の位置検索方法
KR20070005706A (ko) 패킷-지향 방송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US6292658B1 (en) Method for forwarding call in high penetration notification mode in satellit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30119560A1 (en) Radio communication control st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KR100677480B1 (ko) 발신 메시지를 이용하여 dmb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79368B1 (ko) 유선망 서비스의 지역번호와 상호 연계되는 이동 단말의 통신방법
JPH10200943A (ja) 携帯型無線端末装置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KR100702649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49201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단문 메시지 수신 방법
EP1072160A1 (en) A two-way pager for providing two-way communication of alphanumeric messages over the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gprs) network
JP2989733B2 (ja) 無線呼出方式および無線呼出用受信機
KR100360844B1 (ko)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송채널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에서의학습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JPH06120917A (ja) Catv告知放送システム
KR20010018426A (ko) 위성 광역 페이징 시스템 및 광역 페이징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00001887A (ko) 지역 정보 제공이 가능한 무선 호출 시스템
JP2001211128A (ja) 情報配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