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7492A - 자기 매트릭스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매트릭스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7492A
KR20010017492A KR1019990033037A KR19990033037A KR20010017492A KR 20010017492 A KR20010017492 A KR 20010017492A KR 1019990033037 A KR1019990033037 A KR 1019990033037A KR 19990033037 A KR19990033037 A KR 19990033037A KR 20010017492 A KR20010017492 A KR 20010017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holes
screen
cathode
electr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판규
송창호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90033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7492A/ko
Publication of KR20010017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49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10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29/18Luminescent screens
    • H01J29/30Luminescent screen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i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네비게이션(nevigation)등과 같은 스크린상으로 화상을 구현시키는 표시장치(display)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자빔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전극을 스크린 인쇄할 수 있어 제조원가를 낮추고, 고 해상도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은, 전자를 방출하는 캐소드(10)와, 전자비임이 충돌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형광층(22)이 형성된 스크린(20) 및, 상기 캐소드(10)와 스크린(20) 사이에 장착되며, 내부에 자계를 형성토록 유입되는 전자를 집속하여 전자빔을 구현토록 형성되는 복수의 홀(30)들 과, 상기 캐소드(10)로 부터 유입되는 전자흐름을 제어토록 형성되는 제어전극(40)을 갖는 자석판(50)을 포함하며, 상기 홀(30)들은 상기 자석판(30)의 행 및 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지 않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하나의 홀로서 두개의 스크린(GBR) 도트를 구현함으로써, 고 행상도를 갖는 스크린을 제공하며, 홀간의 여유공간으로 제어전극의 스크린 인쇄가 용이하여 표시장치의 제조원가가 저하되고, 마름모 형상으로 위치되는 홀들에 의하여 추가적인 간섭 차폐전극(guard grid)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기 매트릭스 표시장치{Magnetic Matrix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네비게이션(navigation; 차량 항법장치)등의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장치(display)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표시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자계를 형성시키어 전자비임을 구현하는 자석판의 홀들을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함으로 인하여, 자석판의 홀 가공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제어전극의 스크린 인쇄가 용이하며, 동시에 하나의 홀로서 두개의 스크린 도트를 구현할 수 있어 보다 고해상도의 스크린 화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이나 퍼스널컴퓨터 등의 표시장치(display)로 주로 사용되는 CRT(cathod ray tube)는 표시면적의 증가에 따라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최근에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가 매우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ED(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PDP(Pasma Display Panel device),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device) 등이 주로 제안되고 있는데, 상기한 평판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제조기술 등의 고 레벨(high level)의 기술을 이용해야만 하기 때문에, 제조가 복잡하며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면적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경우에도, 화질이 저하되거나 색상의 변이(shift)가 발생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제품으로 양산되기에는 많은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표시장치 특히, 차량의 도로상황등을 표시하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차량 항법장치) 등과 같은 스크린 면적이 소형인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자석판을 이용하여 전자비임을 구현한후 가속된 전자비임을 스크린의 형광층에 쏘아주는 새로운 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IBM사 등에서 진행되어 왔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브라운관(CRT)의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며 제조비용이 대폭 절감되고 소형 표시장치로서 적합한 평판표시장치가 알려져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자계를 이용하므로 자기 표시장치(magnetic display)라고도 하고, 더하여는 상기 홀들이 자석판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되었다하여, 자기 매트릭스 표시장치(magnetic matrix display)라고도 하는데, 이러한 자기 매트릭스 표시장치는 영국특허 제204981∼8호와 IBM 사의 특허들에서 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표시장치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데, 간략하게 살펴보면, 표시장치(100)는 전자를 방출하는 기판상의 캐소드(cathode)(110)와, 연속적인 레드(R), 블루(G) 및 그린(B)(이하, 이를 합하여 'RGB' 이라한다) 형광체로 이루어 진 형광층(122)이 형성되어 실제 화상(image)이 구현되는 유리판 등의 스크린(120) 및, 상기 캐소드(110)와 스크린(120) 사이에 위치되어 캐소드(110)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를 집속하는 자석판(140)으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자석판(140)은 내부에 자계를 구현하여 전자비임을 구현하는 다수 홀(130)들과 상기 자석판(140)의 양측으로 형성되어 유입되는 전자흐름을 제어하는 그리드전극(142)과 제어된 전자흐름을 스크린측으로 가속하는 애노드(144)로 된 제어전극(150)이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한 형광층(120)위에는 추가작인 애노드(anode)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석판(140)은 영구자석판으로서, 상술된 복수의 홀(holes)(142)은 상술한 바와 같이 매트릭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때 상기 그리드전극(142)은 캐소드(110)와 마주하는 자석판(140)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데, 행과 열의 제 1,2 그리드전극(142a)(142b)이 겹쳐져 배열 형성되며, 상기 제 1,2 그리드전극(142a)(142b)의 교차점에 상기 홀(130)이 형성되고, 반대측 형광층(122)과 마주하는 자석판(140)의 타면에는 홀(130)의 행으로 연장된 제 1 ,2 애노드(144a)(144b)가 배열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 표시장치(100)에서 그리드전극(142)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캐소드(110)로부터 방출된 전자들이 그리드전극(142)쪽으로 이끌린 후 상기한 그리드전극(142)을 통해 홀(130)들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홀(130)의 내부에는 자석판(140)에 의해 일정 크기의 자계가 형성되어 있어 홀(130) 내부로 유입된 전자는 자석판(140)의 타면에 형성된 제 1,2 애노드(144a)(144b)에 의해 가속될 뿐만 아니라 상기 애노드(144a)(144b) 사이의 전압차에 의해 굴절된다.
즉, 상기 제 1 그리드전극(142a)으로서 전자가 선택(유입)되고, 제 2 그리드전극(142b)로서 전자의 흐름양이 조정되며, 제 1,2 애노드전극(144a)(144b)으로서 전자비임이 편향되며, 이때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홀(130)에 대하여 하나의 스크린 도트(sreen dot) 즉, RGB 도트(dot)(122')로서 대응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어전극(150)을 자석판(140)에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는, 무전해도금, 박막 에칭후 부착 및 스크린 인쇄등이 있는데, 공정의 단순화, 크기의 대형화등에서 고찰하면 스크린 인쇄방법이 가장 적당하다.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종래의 표시장치 자석판의 제어전극(150)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차량용 네비게이션등의 표시장치(100)는 그 크기가 5-8인치정도 되므로, 상술한 RGB 도트(122')를 스크린 인쇄하여 구현하기 위해서는 도트(122') 피치 즉, 홀(130)사이의 피치(P1)가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스크린도트를 만족토록 최소한 350μm 이하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 표시장치(100)에 있어서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락이 일어나지 않는 그리드전극(142) 및 애노드(144)간의 간격(S1)을 80μm 로 하고, 홀(130)의 주위의 여유 간격(S2)을 10μm라 하면, 홀(130) 주위의 전극폭(S3)은 40μm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따라서, 종래 표시장치(100)에 있어서는, 자석판(140)의 제어전극(150)들을 실질적으로 스크린 인쇄하는 것을 불가능하며, 결국 스크린 인쇄가 아닌 다른 인쇄방법 즉, 무전해도금 및 박막 에칭등의 방법으로 제어전극(150)을 형성해야 하며, 이는 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이 복잡하게 되는 한편, 제조원가가 상승되고 복잡한 공정으로 인한 불량률이 증가하여 표시장치의 제품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매트릭스 형상의 홀(130) 구성은 홀(130)들간의 간섭 영향이 손쉽게 발생하여, 도 5에서와 같이, 별도의 간섭 차폐전극(160)을 형성시키야 하며, 동시에 하나의 홀(130)로서 다수의 스크린 도트(122')를 구현하기가 어렵게 됨으로 인하여, 보다 고해상도의 스크린 화상을 제공할 수 없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추가적인 애노드전극부분(146a)(146b)을 형성시켜야 하는 복잡한 공정이 필요하고 결국, 제품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표시장치의 전자흐름을 형성토록 내부에 자계가 형성되는 홀들을 마름모 형상으로 구현함으로 인하여, 홀들간의 여유공간으로 자석판의 제어전극을 용이하게 스크린 인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제공공정의 간소화 및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도록 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석판의 하나의 홀로서 적어도 두개이상의 스크린 도트를 구현할 수 있어 추가적인 제어전극 인쇄작업이 없이도 고해상도의 스크린 화상을 얻을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석판에 마름모 형상으로 홀들을 형성함으로써, 중심 홀 주위의 다른 홀들이 감싸는 형태로 인하여, 홀간의 간섭이 감소하여 별도의 간섭 차폐전극을 형성시키지 않아도 보다 안정적인 전자계가 구현되어 표시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의 (a) 및 (b)는 종래 표시장치의 자석판 그리드전극 및 애노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종래 표시장치로서 구현되는 스크린 도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4의 (a) 및 (b)는 종래 표시장치의 자석판 그리드전극, 애노드 및 홀을 도시한 요부도
도 5는 간섭 차폐전극을 갖는 종래의 다른 표시장치의 그리드전극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스크린 도트의 확대를 위한 종래의 다른 표시장치의 애노드부분을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8의 (a),(b) 및 (c)는 본 발명인 표시장치의 자석판 제 1,2 그리드전극 및, 겹쳐져 인쇄된 그리드전극을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표시장치의 자석판 애노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표시장치에 의해 구현된 스크린 도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의 (a) 및 (b)는 표시장치의 제어전극에 의한 전자흐름 및 자기흐름의 편향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및 명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표시장치 10.... 캐소드(casode)
20.... 스크린(screen) 22.... 형광층
30.... 홀 40.... 제어전극
42.... 그리드 전극 44.... 애노드
50.... 자석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전자를 방출하는 캐소드와,
전자비임이 충돌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형광층이 형성된 스크린 및,
상기 캐소드와 스크린 사이에 장착되며, 내부에 자계를 형성토록 유입되는 전자를 집속하여 전자빔을 구현토록 형성되는 복수의 홀들 및, 상기 캐소드로 부터 유입되는 전자흐름을 제어토록 형성되는 제어전극을 갖는 자석판을 포함하며,
상기 홀들은 상기 자석판의 행 및 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지 않게 구성되는 표시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8의 (a),(b) 및 (c)는 본 발명인 표시장치의 자석판 제 1,2 그리드전극 및, 겹쳐져 인쇄된 그리드전극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인 표시장치의 자석판 애노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인 표시장치에 의해 구현된 스크린 도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1의 (a) 및 (b)는 표시장치의 제어전극에 의한 전자흐름 및 저자흐름의 편향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및 명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표시장치(1)의 전체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차량 네비게이션등과 같은 정보를 스크린 화상으로 나타내는 표시장치(1)의 전자흐름을 제어하는 제어전극(40)을 스크린 인쇄할 수 있도록 한 표시장치(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1a는 홀(30)들 내부의 자계(70)와 그와 관련된 전자(60)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b는 홀(30)들 내부의 전계(70)와 그와 관련된 전자(60)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인데, 도면에는 단일 홀(30) 주의의 자석에 의한 자계(70)만을 도시하였다.
상기 도 11a 및 도 11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석판(50)의 일면과 타면 사이에는 제 1,2 그리드전극(42a)(42b)과 제 1, 2 애노드(44a)(44b)의 전압차에 의해 전기포텐셜(electrostatic potential) Va가 인가되어 있으며, 홀(30)의 상부 양측면에 배열된 제 1 애노드(44a)와 제 2 애노드(44b) 사이에는 전기포텐셜 Vd가 인가되어 있고, 상기 캐소드(10)로부터 방출된 전자는 자석판(50)의 일면 부근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를 가진다.
즉, 이 영역에서 전자는 불규칙(random)한 진행방향을 갖는 전자구름 (electron cloud) 형태를 취한다. 전자가 전기포텐셜(Va)에 의해 인도됨에 따라 전자의 수직 방향속도가 증가한다. 전자가 자계(60)와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전자에 작용하는 측방향힘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60)가 전계(70)를 따라 진행하며, 결국 전자(60)의 흐름은 자계(70)에 의하여 편향되고 이와 같은 전계(60)의 편향은 스크린(20)의 형광층(22)에 반복적으로 형성된 R,G,B에 충돌하여 스크린의 실질적인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이때,도 1에서 도시한 봐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1)는, 크게 전자를 방출하는 캐소드(10)와, 전자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제어전극(40) 및,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자계를 형성시키는 홀들(30)이 형성되는 자석판(50)과 상기 자석판(50)에 의해 제어된 전자비임이 방출되어 충돌하는 형광층(22)이 형성된 스크린(20)으로 구성된다.
한편, 도 8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홀(30)들은 상기 평판상의 자석판(50)의 행 및 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지 않게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홀(30)들의 위치가 중요한 이유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제어전극(40)과 함께 실질적으로 전자흐름을 제어함은 물론, 특히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홀(30)로서 적어도 두개의 스크린 도트(22')가 서로 대응하기 때문이며, 이는 결국 고해상도의 스크린 화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도 6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다른 표시장치에서 다수개의 스크린 도트(122')를 대응토록 추가적인 애노드(146)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홀(30)의 형성된 위치가 가장 중요한 특징인데, 상기 홀(30)들은 자석판(50)의 열 및 행의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홀(30)을 갖도록 구성되며, 결국 상기 홀(30)들은 4 지점이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와 같은 홀(30)의 마름모형성으로 종래 표시장치(100)의 같은 단위면적과 같은 수의 홀(30)들을 형성시키면서도 홀(30)간의 제어전극(40) 인쇄공간을 증가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홀(30)은 원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자계특성을 구현하는 것이면 어느 형상도 상관없고 제한되는 것이 아닌데, 이때 상기 홀(30)들의 직경(d1)은 종래에서와 같이 홀(30)간의 피치(P2)를 최소 350μm 로 형성시키는 조건하에서 최소 180μm 로 형성되며, 이와 같은 홀(30)의 직경(d1)은 제어전극(40)의 스크린 인쇄에 영향을 미친다.
한편, 상기 제어전극(40)은 캐소드(10)로 부터 유입되는 전자흐름을 제어토록 하는 그리드전극(42) 및, 유입된 전자를 스크린(20)에 가속하는 애노드(44)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그리드전극(42)은 상기 캐소드(10)와 마주하는 자석판(50)의 표면에 형성되고, 애노드(44)는 캐소드(10)와 마주하지 않는 자석판(50)의 타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그리드전극(42)도 일정폭(d2) 즉, 최소 85μm 이상으로 형성되며, 이와 같은 그리드전극(42)의 폭(d2)은 실질적으로 스크린 인쇄에 있어서 최소 조건이다.
또한, 상기 그리드전극(42)은 홀(30)들의 열 및 행을 따라 배열 형성되는 제 1,2 그리드전극(42a)(42b)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2 그리드전극(42a)(42b)은 각각 인접 제 1 또는 제 2 그리드전극(42a)(42b)과 접속되어 매트릭스 형상으로 겹쳐져 인쇄되며, 특히 상기 홀(30)들은 제 1,2 그리드전극(42a)(42b)의 교차점에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홀(30) 주위를 감싸는 링 형상의 링전극(42a')(42b')이 각각 형성되고, 이와 같은 링전극(42')도 최소한 65μm의 일정폭(d3)으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폭(d3)은 스크린 인쇄의 최소조건이며, 상기 링전극(42') 부분은 홀(30) 주위를 감싸면서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홀(30)들간의 간섭을 중심 홀(30)을 둘러싼 4개의 홀들(30)이 차단시키어 보다 안정적인 전자흐름을 구현하며,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다른 표시장치에서와 같은 간섭 차폐전극(160)을 형성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한편,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애노드(44)는 자석판(50)의 행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1 및 제 2 애노드(44a)(44b)로서 구성되는데, 특히 상기 제 1,2 애노드(44a)(44b)는 그 선택하는 행에 따라 홀수가 제 1 애노드(44a)이면, 짝수는 제 2 애노드(44b)의 역활을 수행하고, 이는 제 1,2 애노드(44a)(44b)에 가해지는 전압에 따라 전자비임이 편향되는 것이며, 특히 자석판(50)의 행방향을 중심으로 제 1 또는 제 2 애노드(44a)(44b)로 가변토록 구성되어 상기 애노드(44) 전극의 형성작업이 종래에 비하여 감소되며, 이때 상기 제 1,2 애노드(44a)(44b)는 가변적인 작용을 가능토록 홀(30)들과 접속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상기 애노드(44)들의 형성폭(d4)는 최소한 100μm 으로 구성되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전극(40)의 스크린 인쇄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스크린(20)의 형광층(22)의 상측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별도의 제 3 애노드가 추가로 설치되는데, 상기 제 3 애노드는 자석판(50)을 통하여 편향된 전자를 스크린(20)의 형광층(22)에 가속시키어 충돌토록 한다.
또한, 상기 그리드 전극(32)과 애노드(34)에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홀(30)을 통해 캐소드(10)로부터 형광층(22)에 도달하는 전자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저신호공급수단이 추가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홀(130), 그리드전극(142) 및, 애노드(144) 의 각 직경, 간격, 피치 및 폭들이 차량 네비게이션의 소형 표시장치에 최소한으로 필요한 350μm 의 조건을 맞추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스크린 인쇄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마름모 형상으로 홀(30)들을 자석판(50)에 구성함으로써, 홀(30)의 피치는 종래와 같이 동일하면서도 그리드전극(42) 및 애노드(44)의 형성공간을 화대되어 스크린 인쇄가 보다 용이하며, 결국 표시장치의 간소화, 제조시간 및 원가를 절감시키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홀(30)에 대응하는 스크린 도트(22')도 서로 인접한 부분까지 포함하여 대응함으로써, 하나의 홀(30)로서 두개의 스크린 도트(22')로서 대응하여 편향단계도 두배로 확대되며, 이는 스크린 도트(22')의 간격이 줄게되어 보다 고해상도의 스크린 화상을 구현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잇점을 표로서 종래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항목 종래 본 발명
전극층 수 3 3
홀:RGB 도트 1 : 1 1: 2
편향단계 3 6
차폐전극 추가 추가 필요없음
스크린인쇄시 해상도 350 μm 260 μm
이에 따라서, 내부에 자계를 형성시키어 전자흐름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홀(30)들을 종래 매트릭스 형상에서 서로 열 및 행방향으로 인접하지 않는 마름모형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홀(30)로서 두개의 스크린 도트를 구현하고, 미세한 스크린 인쇄가 가능하여 고 해상도의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표시장치에 의하면, 홀들간의 여유공간으로 자석판의 제어전극을 용이하게 스크린 인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제공공정의 간소화 및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자석판의 홀들에 대한 RGB 도트의 대응성이 향상되어 하나의 홀들로서 다수의 RGB 도트를 대응하기 위한 추가적인 전극 인쇄작업이 필요 없어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더하여, 자석판에 마름모 형상으로 홀들을 형성함으로써, 중심 홀 주위의 다른 홀들이 감싸는 자계를 구현하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전계가 구현되며, 홀 간섭을 피하기 위한 별도의 차폐전극을 형성시키지 않아도 표시장치의 신뢰성은 향상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0)

  1. 전자를 방출하는 캐소드(10)와,
    전자비임이 충돌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형광층(22)이 형성된 스크린(20) 및,
    상기 캐소드(10)와 스크린(20) 사이에 장착되며, 내부에 자계를 형성토록 유입되는 전자를 집속하여 전자빔을 구현토록 형성되는 복수의 홀(30)들 및, 상기 캐소드(10)로 부터 유입되는 전자흐름을 제어토록 형성되는 제어전극(40)을 갖는 자석판(50)을 포함하며,
    상기 홀(30)들은 상기 자석판(50)의 행 및 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지 않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매트릭스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30)은 자석판(50)의 행 및 열방향의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홀(30)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홀(30)들은 4 지점이 마름모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30)은 원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홀(30)들의 직경(d1)은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홀(30)의 직경(d1)은 최소 180μm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30)은 사각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30)들간의 피치(P2)는 일정하게 구성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홀(30)들간의 피치(P2)는 최소 350μm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극(40)은 캐소드(10)로 부터 유입되는 전자흐름을 제어토록 하는 그리드전극(42) 및, 유입된 전자를 스크린(20)에 가속하는 애노드(4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전극(42)은 상기 캐소드(10)와 마주하는 자석판(50)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전극(42)은 일정간격(d2)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전극(42)간의 간격(d2)은 최소 85μm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전극(42)은 홀(30)들의 행 및 열을 따라 배열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그리드전극(42a)(42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그리드전극(42a)(42b)은 각각 인접 하는 제 1 및 제 2 그리드전극(42a)(42b)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그리드전극(42a)(42b)은 매트릭스(matrix)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7. 제 1 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홀(30)들은 제 1,2 그리드전극(42a) (42b)의 교차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전극(42)은 홀(30) 주위를 감싸는 링 형상의 그리드전극(42a')(42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링전극(42')은 일정폭(d3)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링전극(42')의 폭(d3)은 최소한 65μm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44)는 상기 캐소드(10)와 마주하지 않는 자석판(50)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44)는, 상기 자석판(50)의 열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1 및 제 2 애노드(44a)(4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애노드(44a)(44b)는 자석판(50)의 열방향 중심으로 제 1 또는 제 2 애노드(44a)(44b)로 가변토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애노드(44a)(44b)는 홀(30)들과 접속되지 않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5.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44)들은 일정폭(d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44)의 폭(d4)은 최소한 100μm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27. 제 1항 내지 제 2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극(40)은 스크린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층(22)은 반복되는 레드(R), 그린(G), 블루(B)의 복수의 성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층(22)의 상측에는 별도의 제 3 애노드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전극(42)과 애노드(44)에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홀(30)을 통해 캐소드(10)로부터 형광층(22)에 도달하는 전자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신호공급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19990033037A 1999-08-12 1999-08-12 자기 매트릭스 표시장치 KR20010017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037A KR20010017492A (ko) 1999-08-12 1999-08-12 자기 매트릭스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037A KR20010017492A (ko) 1999-08-12 1999-08-12 자기 매트릭스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492A true KR20010017492A (ko) 2001-03-05

Family

ID=19606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037A KR20010017492A (ko) 1999-08-12 1999-08-12 자기 매트릭스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749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816A (ja) * 1992-08-18 1994-03-11 Mitsubishi Materials Corp 平面型表示装置の電子線制御電極板
JPH0969332A (ja) * 1995-08-31 1997-03-11 Futaba Corp 電界放出型表示素子
JPH1116510A (ja) * 1997-06-20 1999-01-22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
US6051921A (en) * 1997-04-05 2000-04-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gnetic matrix display device and computer system for displaying data there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816A (ja) * 1992-08-18 1994-03-11 Mitsubishi Materials Corp 平面型表示装置の電子線制御電極板
JPH0969332A (ja) * 1995-08-31 1997-03-11 Futaba Corp 電界放出型表示素子
US6051921A (en) * 1997-04-05 2000-04-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gnetic matrix display device and computer system for displaying data thereon
JPH1116510A (ja) * 1997-06-20 1999-01-22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7292A (en) Super high resolution cold cathode fluorescent display
US6072272A (en) Color flat panel display device
JP2008251548A (ja) 電界放出ディスプレイの三極管構造およびその製法
JPS5842583B2 (ja) 画像表示装置
JP3892769B2 (ja) 表示装置
KR20040084272A (ko) 다층 구조의 그리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전계 방출표시장치
KR20010017492A (ko) 자기 매트릭스 표시장치
EP1830379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0363219B1 (ko) 전계방출 표시장치
KR100658738B1 (ko) 면전자원을 구비한 대면적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장치의 구동 방법
JP2007095321A (ja) 画像表示装置
US6177759B1 (en) Spacer, support, grid and anode design for a display device compensating for localized variations in the emission of electrons
KR20050096536A (ko) 그리드 전극을 갖는 전자 방출 표시장치
KR100290250B1 (ko) 표시장치
JP4222162B2 (ja) 電界電子放出表示装置
KR20010046802A (ko) 집속 전극을 갖는 전계 방출 표시 소자, 그 제조방법 및이를 이용한 전자빔 집속 방법
KR100378003B1 (ko) 전계방출소자
JPH10269973A (ja) 電子放出素子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
KR100357830B1 (ko) 전계 방출 표시장치
KR100565200B1 (ko) 탄소 나노튜브 전계방출소자 및 제조방법
KR100556744B1 (ko) 탄소 나노튜브 전계방출소자 및 제조 방법
KR100296955B1 (ko) 전계방출표시소자및에미터제조방법
JP2789210B2 (ja) 電子線発生装置及び該電子線発生装置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950003827B1 (ko) 저전압 구동 평면 형광표시장치 및 제조방법
KR20010071308A (ko) 필드 이온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