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7480A - 학습용 디지털 캡션 출력방법 - Google Patents

학습용 디지털 캡션 출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7480A
KR20010017480A KR1019990033007A KR19990033007A KR20010017480A KR 20010017480 A KR20010017480 A KR 20010017480A KR 1019990033007 A KR1019990033007 A KR 1019990033007A KR 19990033007 A KR19990033007 A KR 19990033007A KR 20010017480 A KR20010017480 A KR 20010017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tion
digital
sentence
digital audio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진
Original Assignee
박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규진 filed Critical 박규진
Priority to KR1019990033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7480A/ko
Publication of KR20010017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48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11B27/007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reproducing continuously a part of the information, i.e. repe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오디오와 디지털 오디오에 삽입되는 캡션데이터를 재생 출력하는 디지털신호 처리장치를 이용한 시청각 어학 학습시 그 학습효과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용 디지털 캡션 출력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청각 어학 학습기기인 캡션기능의 디지털신호 처리장치에 의해 디지털 오디오가 재생되고 또한 재생되는 디지털 오디오에 동기되어 해당 캡션이 디스플레이장치 상에 표시될 때, 그 표시되는 캡션문장에 사용된 주어, 동사, 보어, 목적어 등이 구분되어 표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캡션기능 디지털신호 처리장치를 이용한 어학 학습시 캡션 표시창에 나타나는 캡션문장의 뜻을 신속하게 파악 할 수 있어 어학학습의 효율화와 속독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Description

학습용 디지털 캡션 출력방법{A display method of digital caption for learning to study languages}
본 발명은 디지털신호 처리장치를 이용한 어학학습용 오디오신호 및 캡션데이터 출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에 동기되어 디지털신호 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자막문장에 그 문장의 주어, 동사, 목적어 등이 구분되어 표시되게 함으로써 어학 학습자로 하여금 문장의 의미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여 효과적으로 어학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한 학습용 디지털 캡션 출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래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음성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하고 있었다. 그러나 디지털신호 처리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에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 될 수 있는 캡션정보를 저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와 켑션을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어폰과 같은 음성출력장치와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이들을 동시에 재생시킬 수 있게 되었다.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그 비트열이 프레임(또는 AAU : Audio Access Unit)이라 불리워지는 최소단위로 구성된다. 이러한 프레임단위는 디지털신호 처리장치의 한 예인 MP3형식 외에 모든 DVD(Digital Versatile Disk)표준과 AC3 등의 오디오부분에 적용된다.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상에 캡션데이터를 입력시키는 소프트 웨어는 캡션이 표시되는 위치를 상기 프레임번호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것은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의 비트열 구성을 가지는 모든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에 적용될 수 있다.
디지털 오디오에 캡션데이터를 적재시키는 방법으로서 캡션데이터의 캡션단위 첫 어절 또는 첫 음절을 핵심어로 하여 그 핵심어의 파형을 추출 및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재생시점 정보를 찾아 캡션단위별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에 수록하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에서 다양한 캡션정보의 편집과 불러오기를 가능하게 하고 액정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표시능력에 따라 캡션표시량을 적정화시킬 수 있는 간략화된 캡션지정 알고리즘이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앞서 특허출원된 바 있다.
이러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상에 캡션을 적재시키는 방법은 먼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상에 캡션데이터의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캡션표시화면의 크기와 캡션중에 어절 끊김 여부와 표시화면 구분 에러 여부를 판단하고, 이후 음절, 어절, 줄, 문단, 페이지 순으로 캡션단위를 생성한 후 목록을 표시하고, 프레임데이터 적재과정을 거쳐 동기화시킬 캡션단위를 선택한 후 프레임데이터를 재생하여 프레임번호의 자동지정여부를 판단하고, 여기에서 프레임번호의 자동지정이면 캡션단위 프레임번호 자동지정 서브루틴을 수행하고 자동지정이 아니면 재생내용에 맞추어 캡션단위에 동기프레임번호를 지정한 다음 캡션단위중 프레임번호 수정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단계 수행결과 수정이 필요 없게 되면 음절단위와 어절단위를 구분하여 음절단위와 어절단위 별로 각각 프레임번호를 지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상에 캡션데이터를 적재시킬 때 캡션데이터의 캡션단위 첫 어절 또는 첫 음절을 핵심어로 하여 그 핵심어의 파형을 추출 및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재생시점 정보를 신속히 찾아 캡션단위별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에 수록되게 함으로써,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에서 다양한 캡션정보의 편집과 불러오기를 가능하게 하고 액정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표시능력에 따라 캡션표시량을 적정화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또한 캡션지정 알고리즘을 간략화 시킬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개선된 캡션지정 알고리즘을 통하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상에 캡션 데이터를 수록하는 방식으로 어학학습 정보나 가요 등을 포함하는 음악정보를 메모리장치에 저장한 후, 이를 반복재생 청취하는 것을 통하여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어학학습의 경우 듣기능력의 배양에 초점이 맞추어지게 되는데, 그 듣기학습과 동시에 해당 자막이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므로 청각과 시각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어 학습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디지털 오디오 및 캡션으로 구성된 외국어 연설문, 외국어 뉴스, 외국 극영화 시나리오, 팝송가요 등을 이용하여 외국어 듣기 학습을 수행하거나 문장독해 학습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 디지털신호 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장치 상에 표시되는 캡션문장을 한눈에 쉽게 이해하게 되는데까지는 상당한 학습시간과 노력을 요구하게 된다.
대부분의 어학 학습훈련자는 디지털 캡션표시창에 나타나는 캡션문장의 의미를 알아내기 위해서 전체문장을 읽고 난후, 그 문장에 포함된 주어, 동사, 보어, 목적어 등을 찾아낸 다음 해당 문장의 의미를 이해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문장이 표시창에 나타나게 되어도 자신이 사용하는 국어처럼 즉시 이해할 수 없어 학습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 캡션데이터를 적재시키는 것으로 제작된 어학학습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어학학습을 수행할 때,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캡션문장의 의미를 학습자가 속독형식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되도록 한 학습용 디지털 캡션 출력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캡션 출력방법에 따른 1형식 문장의 출력예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캡션 출력방법에 따른 2형식 문장의 출력예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캡션 출력방법에 따른 3형식 문장의 출력예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청각 어학 학습기기인 캡션기능의 디지털신호 처리장치에 의해 디지털 오디오가 재생되고 또한 재생되는 디지털 오디오에 동기되어 해당 캡션이 디스플레이장치 상에 표시될 때, 그 표시되는 캡션문장의 의미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해당 캡션문장의 주어, 동사, 보어, 목적어 등이 문장형식에 따라 구분되어 표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캡션 출력방법은 휴대형 캡션형 디지털 오디오 재생기와 모든 컴퓨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서(DSP)와 오디오 출력장치와 캡션 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지는 어떠한 형태의 신호처리장치에서도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외국어 연설문이나 뉴스 또는 외국어 극영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어학학습이나 팝송과 같은 가요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 방법에 따라 1형식의 영문장이 디지털 캡션 플레이어에서 출력되는 상태의 예시도이다.
영문장 제1형식은 주어와 동사로 구성되는 문장 형식이므로, 예를 들어 "Mary lives in Chicago."라는 1형식 영문장의 캡션이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경우, 여기에서 주어가 되는 "Mary"는 볼드체(Mary)로 표시되게 하고 동사가 되는 "lives"는 이탤릭체(lives)로 표시되게 하여 주어와 동사가 한눈에 식별되게 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 방법에 따라 2형식의 영문장이 디지털 캡션 플레이어에서 출력되는 상태의 예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영문장 제2형식은 주어와 동사와 보어로 구성되는 문장 형식이므로, 예를 들어 "The balloon grew bigger."라는 제2형식의 영문장이 디지털 캡션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창에 표현되는 경우, 여기에서 주어가 되는 "balloon"은 볼드체(balloon)로 표시되게 하고 동사가 되는 "grew"는 이탤릭체(grew)로 표시되게 하고 보어가 되는 "bigger"는 언더라인(bigger)로 표시되게 하여 주어, 동사, 보어가 한눈에 식별되게 함으로써 캡션문장의 속독을 가능하게 한다.
도 1c는 본 발명 방법에 따라 3형식의 영문장이 디지털 캡션 플레이어에서 출력되는 상태의 예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영문장 제3형식은 주어와 동사와 목적어로 구성되는 문장 형식이므로, 예를 들어 "John likes swimming."이라는 제3형식의 영문장이 디지털 캡션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창에 표현되는 경우, 여기에서 주어가 되는 "John"은 볼드체(John)로 표시되게 하고 동사가 되는 "likes"는 이랠릭체(likes)로 표시되게 하고 목적어가 되는 "swimming"은 언더라인 및 볼드체(swimming)로 표시되게 하여 주어, 동사, 목적어가 한눈에 식별되게 함으로써 캡션문장의 속독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도입하여 임의의 영문장에 적용된 동사를 자동사와 타동사로 구체적으로 구분하고 또한 영문장에 적용된 목적어를 직,간접 목적어 및 목적보어로 각각 구분하는 것으로 영문장 제4형식 및 제5형식을 포함하는 전 문장형식에 걸쳐 해당 문장의 핵심어를 추출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상기에서는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 등을 식별시켜주기 위해 볼드체, 이탤릭체, 언더라인 등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인 것이며, 기타 음영비나 사각테두리 한정 방식등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디지털 캡션 출력을 위해 각 문장별 핵심어, 즉, 주어와 동사 등은 디지털 오디오에 대한 캡션적재시 사전에 지정하여 디지털 캡션을 입력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캡션문장에 대한 핵심어(주어 및 동사 등)의 사전 설정을 통한 캡션적재와는 달리, 임의의 영문장의 형식과 해당 영문장의 핵심어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인식된 핵심어를 주어, 동사, 보어 등으로 구분하여 디지털 캡션 표시창을 통해 출력되게 할 수 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캡션기능 디지털신호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시청각적으로 외국어를 학습하는 경우 학습자가 디지털신호 처리장치의 캡션 표시창을 통하여 표시되는 문장의 뜻을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어학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디지털신호 처리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북 독서시 속독이 가능하게 되는 특유의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1)

  1. 시청각 어학 학습기기인 캡션기능의 디지털신호 처리장치에 의해 디지털 오디오가 재생되고 또한 재생되는 디지털 오디오에 동기되어 해당 캡션이 디스플레이 표시창에 표시될 때, 그 표시되는 캡션문장의 의미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해당 캡션문장의 형식에 따라 주어, 동사, 보어, 목적어 등이 구분되어 표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디지털 캡션 출력방법.
KR1019990033007A 1999-08-11 1999-08-11 학습용 디지털 캡션 출력방법 KR20010017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007A KR20010017480A (ko) 1999-08-11 1999-08-11 학습용 디지털 캡션 출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007A KR20010017480A (ko) 1999-08-11 1999-08-11 학습용 디지털 캡션 출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480A true KR20010017480A (ko) 2001-03-05

Family

ID=1960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007A KR20010017480A (ko) 1999-08-11 1999-08-11 학습용 디지털 캡션 출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74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850B1 (ko) * 2002-10-14 2005-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자막 재생방법
KR100968364B1 (ko) * 2009-12-09 2010-07-06 신효상 영어속독을 위한 동적 영문그래픽 상영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828A (ko) * 1992-07-15 1994-02-19 강진구 자막 색 변환 기능을 가진 영상재생장치
KR960036585A (ko) * 1995-03-30 1996-10-28 구자홍 폰트가 가변되는 캡션장치
KR970078577A (ko) * 1996-05-18 1997-12-12 배순훈 사용자 지정단어에 대한 해석정보 제공기능을 갖춘 캡션 텔레비전
JPH10208446A (ja) * 1996-11-22 1998-08-07 Toshiba Corp 多種言語記録媒体
KR19980055782A (ko) * 1996-12-28 1998-09-25 오봉환 캡션데이타가 저장된 외국어학습용 비디오 씨디 및 캡션데이타 표시방법
KR19990042393A (ko) * 1997-11-26 1999-06-15 전주범 텔레비젼에서의 문자 치환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828A (ko) * 1992-07-15 1994-02-19 강진구 자막 색 변환 기능을 가진 영상재생장치
KR960036585A (ko) * 1995-03-30 1996-10-28 구자홍 폰트가 가변되는 캡션장치
KR970078577A (ko) * 1996-05-18 1997-12-12 배순훈 사용자 지정단어에 대한 해석정보 제공기능을 갖춘 캡션 텔레비전
JPH10208446A (ja) * 1996-11-22 1998-08-07 Toshiba Corp 多種言語記録媒体
KR19980055782A (ko) * 1996-12-28 1998-09-25 오봉환 캡션데이타가 저장된 외국어학습용 비디오 씨디 및 캡션데이타 표시방법
KR19990042393A (ko) * 1997-11-26 1999-06-15 전주범 텔레비젼에서의 문자 치환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850B1 (ko) * 2002-10-14 2005-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자막 재생방법
KR100968364B1 (ko) * 2009-12-09 2010-07-06 신효상 영어속독을 위한 동적 영문그래픽 상영방법
US8310505B2 (en) 2009-12-09 2012-11-13 Hyo Sang Shin Method for playing dynamic english graphics of english sentences for speed rea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mbier The position of audiovisual translation studies
KR20160111275A (ko)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외국어 학습 방법
JP5083155B2 (ja) 辞書機能を備えた電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469392B1 (ko)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학습 방법의 프로그램을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저장한 기록매체
JP2674658B2 (ja) 光ディスク媒体に記億された音声データのアドレステーブル作成装置
KR20010017480A (ko) 학습용 디지털 캡션 출력방법
KR19980055782A (ko) 캡션데이타가 저장된 외국어학습용 비디오 씨디 및 캡션데이타 표시방법
KR100383061B1 (ko) 디지털 오디오와 그의 캡션 데이터를 이용한 학습방법
KR100316508B1 (ko)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캡션 동기화 방법
KR20010049233A (ko)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시스템
JPH10312151A (ja) 英単語等の学習支援装置並びに英単語等の学習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10076136A (ko) 휴대용 독서기
JPH10333537A (ja) 語学学習媒体
KR100389451B1 (ko) 저장된 질의/응답문의 재생을 통한 학습 보조 장치
KR20040040960A (ko) 디지털 학습장치
KR102523746B1 (ko) 프레젠테이션 문서를 구성하는 슬라이드에 음성 데이터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56262B1 (ko) 이미지를 이용한 중국어 연상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JP2514200Y2 (ja) 語学のヒアリング学習機
KR20170017656A (ko) 컴퓨터 음성파일을 활용한 영어공부 방법
JP2581700B2 (ja) 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再生方式
KR950025598A (ko) 엠디(md) 기록 자동 판매장치 및 제어방법
KR200305678Y1 (ko) 디지털 학습장치
JP2017117149A (ja) 電子図書表示装置
JP2000099308A (ja) 電子ブックプレーヤ
Salt Film dialogue and R-styl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