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656A - 컴퓨터 음성파일을 활용한 영어공부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음성파일을 활용한 영어공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656A
KR20170017656A KR1020150111891A KR20150111891A KR20170017656A KR 20170017656 A KR20170017656 A KR 20170017656A KR 1020150111891 A KR1020150111891 A KR 1020150111891A KR 20150111891 A KR20150111891 A KR 20150111891A KR 20170017656 A KR20170017656 A KR 20170017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voice
voice file
storage medium
lea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경
Original Assignee
이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경 filed Critical 이유경
Priority to KR1020150111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7656A/ko
Publication of KR20170017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6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학습 방법을 사용하면, 테이프나 시디(CD) 등의 음원 저장 매체에 상관없이 해당 음원 저장 매체로부터 음성 파일을 추출하여 컴퓨터 하드 디스크 등의 저장 매체에 음성 파일을 저장하고, 이를 음성 편집 가능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학습자가 원하는 특정 부분을 즉시 선택하여 청취하고 이를 반복함으로써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암기 및 발음 학습에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어서, 외국어 학습의 소위 4가지 영역인 듣기, 읽기, 쓰기 및 말하기 능력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외국어 학습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컴퓨터 음성파일을 활용한 영어공부 방법{Method of English Study By Using Computer Voice File}
본 발명은 음성 파일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되어 있는 음성 편집 가능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기 음성 파일을 불러와 외국어 학습을 하는 외국어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위 세계화 또는 국제화라는 추세와 함께 외국어 공부, 특히 영어 공부가 학생은 물론 일반인에게까지도 매우 널리 퍼지고 있다. 이와 함께, 학원, 어학원, 학습지 등 학습자가 영어 등의 외국어를 배우기 위한 수단 및 방법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외국어 학습 수단 또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한 외국어 학습 수단 중 널리 알려진 방법 중에서 지금까지 꾸준히 이용되고 있는 수단은 외국인이 직접 녹음한 음성 파일을 선택적으로 반복 청취하는 학습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많은 학습용 외국어 교재에는 외국인 음성이 녹음되어 있는 테이프나 시디(CD)가 포함되어 있어서 학습자는 이를 이용하여 자신이 청취를 원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청취하는 것을 통해 외국어 학습을 한다.
그러나,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 시디(CD)에 저장된 음성 파일에 비해 음질이 떨어질 뿐 아니라,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를 통해 기계적으로 재생을 해야 하므로 청취를 원하는 부분을 즉시 찾기도 불편하고, 게다가 반복 청취를 하는 것은 사람에 따라 매우 불편함을 느끼곤 한다.
그리고, 시디(CD)를 사용하는 경우, CD를 잃어버리거나 보관 부주의로 인해 실행이 불가능 해지는 경우가 발생하면, 새로이 구입해야 하거나 학습을 포기하는 경우까지도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인터넷 기술과 유무선 통신망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인터넷을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들도 많이 소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05-0118340 (공개일자: 2005년 12월 19일)에는 "녹음을 통한 온라인 영어 학습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방법에 따르면, 온라인상에서 영어학습프로그램과 녹음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학습자가 공부한 내용을 개인용 컴퓨터와 마이크를 가지고 녹음한 후 파일을 게시판에 올리는 방식으로 영어 학습을 하는 방법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01-0068345 (공개일자: 2001년 7월 23일)에는 "인터넷을 통한 영어 학습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방법에 따르면, 서버에 저장된 영어 제시문을 부분별로 구분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부분을 읽은 발음을 인터넷을 통해 전송 받아 음성을 재생하여 들을 수 있어서, 사용자는 원하는 문장을 클릭하여 반복 학습할 수 있고 또한, 해석 및 문장의 분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영어를 완전히 분해하여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독해 및 작문 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터넷을 이용한 학습 방법은 학습자가 학습을 위해서는 반드시 인터넷에 접속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고, 단지 녹음된 음성 파일을 사용하여 단순히 반복 청취한다는 기능만 있을 뿐이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05-0099152(공개일자: 2005년 10월 13일)는 "자음이 강조된 원어민 음성파일을 활용한 영어학습"에 관한 출원 발명으로서, 이 방법에 따르면, 영어 학습에 사용할 목적으로 음원에서 발생한 원어민의 음성을 녹음 수단을 사용하여 원시음성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이 원시음성파일을 사운드편집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저음이 강조된 자음별 음성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이 음소별 음성파일을 활용하여 CD 타이틀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타이틀 제작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사운드편집프로그램을 통해 일일이 저음을 찾아 주파수 폭을 강제로 늘리는 작업을 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외국에 듣기 학습에 있어서, 원어민 발음 그대로를 듣는 것이 아니므로, 원어민 발음 그대로를 듣고 이해해야 하는 진정한 외국어 리스닝(listening) 학습이라 할 수 없다.
한편, 최근에 입력 음성에서 기인하는 주파수 성분을 추출/분석하여 이를 하나의 문장/음성을 기준으로 대역폭으로 구분/변환한 다음 각 주파수 성분을 통합하여 얻어진 대역폭을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곡선 그래프 등과 같이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음성 편집 가능한 프로그램 등이 많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음성 편집 가능한 프로그램으로는 '사운드 포지(Sound Forge)', '웨이브 패드(WavePad)', '쿨 에디트(Cool edit)'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기타 음성 편집 가능한 툴(tool) 등이 많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음성 편집 가능한 프로그램들의 특징은, 작업을 위해 불러온 음성 파일을 모니터상에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게 표시해 주는데에 있는데, 특히, 음성 파일의 음성 주파수 대역 그래프 형태로 표시해 줌으로써 시각적으로 즉시 구별 및 확인이 가능하므로 작업자가 해당 음성 파일의 원하는 특정 부분을 마우스를 통해 바로 선택하여 편집할 수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또한,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를 통해 테이프에 녹음된 음성 파일을 청취하는 것이 불편하여,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학습자에 따라서는 컴퓨터에 설치된 음성 재생 프로그램 또는 별도의 장치를 통해 테이프에 녹음된 음성 파일을 하드 디스크 등의 저장 매체에 디지털 음성 파일로 저장하여 활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 대부분 웨이브(*.wave) 파일로 저장되는데, 사용자에 따라서는 컴퓨터상에 설치된 상기 음성 재생 프로그램에 포함된 음성 변환 기능 또는 별도의 음성 파일 편집/변환 프로그램을 통해 이를 엠피쓰리(*.mp3)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여 저장 용량을 줄이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음성 파일 편집 및 변환에 관한 발명이 아니므로 이들 음성 파일 편집/변환 프로그램의 기능 및 음성 파일 변환 방법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종래 테이프나 시디(CD)를 사용한 또는 인터넷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방법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언급한 공지된 음성 편집 가능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음원 저장 매체가 상기 테이프이건 시디(CD)이건 상관없이 상기 음원 저장 매체에 저장된 음성 파일을 디지털 음성 파일로 저장시킨 다음 저장된 음성 파일을 불러와서 청취를 원하는 특정 부분을 바로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를 반복 학습하는 것을 통해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외국어 학습을 할 수 있는 외국어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에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내장된 불러오기 기능을 통해 음원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파일을 선택적으로 불러올 수 있고 상기 컴퓨터와 연결된 모니터를 통해 상기 선택된 재생되는 음성 파일의 소리 부분과 무음 부분이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어서 이용자가 상기 음성 파일의 재생 위치를 선택할 수 있어 상기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선택한 재생되는 음성 파일의 재생 위치 중에서 상기 이용자가 듣기를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여 그 선택된 부분만 재생시키는 기능을 포함하는 음성 파일 편집 가능한 프로그램을 이용한 영어 학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파일 편집 가능한 프로그램상에 내장된 저장 기능을 사용하여 상기 선택하여 불러온 음성 파일을 저장 매체에 구별 가능하게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파일 편집 가능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음성 파일을 선택적으로 불러와서 실행시킨 후 상기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된 표시를 통해 상기 음성 파일의 실행 위치를 파악한 후 특정 부분을 선택하여 재생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더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특정 부분은 상기 불러온 음성 파일 전체 중 한 문장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하게 디스플레이되는 형태는 상기 재생되는 음성 파일의 음성 주파수 대역 그래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음성 파일은 웨이브(*.wave) 또는 엠피쓰리(*.mp3) 파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으 더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저장 매체는 상기 컴퓨터상에 내장된 하드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저장 매체는 상기 컴퓨터와 연결되어 데이터 교환 가능한 외장 저장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외장 저장 매체는 외장 하드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외장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음원 저장 매체는 컴팩트 디스크(C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음원 저장 매체는 상기 컴퓨터상에 내장된 하드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음원 저장 매체는 상기 컴퓨터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상에 내장된 하드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저장 매체는 상기 컴퓨터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상에 내장된 하드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선택하여 불러온 음성 파일을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파일이 엠피쓰리(*.mp3) 파일이 아닌 경우, 엠피쓰리 파일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학습 방법을 사용하면, 테이프나 시디(CD) 등의 음원 저장 매체에 상관없이 해당 음원 저장 매체로부터 음성 파일을 추출하여 컴퓨터 하드 디스크 등의 저장 매체에 음성 파일을 저장하고, 이를 음성 편집 가능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학습자가 원하는 특정 부분을 즉시 선택하여 청취하고 이를 반복함으로써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암기 및 발음 학습에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어서, 외국어 학습의 소위 4가지 영역인 듣기, 읽기, 쓰기 및 말하기 능력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외국어 학습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될 수 있는 음성 편집 가능한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성 편집 가능한 프로그램과는 다른 본 발명의 실시예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음성 편집 가능한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성 편집 가능한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중에서 음성 주파수대역창 부분만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소리 부분 중에서 특정 부분을 마우스로 드레그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학습교재별로 폴더를 만들어 저장한 것을 보여주는 컴퓨터 모니터 화면,
도 6은 어느 학습교재 폴더 내에 페이지별로 음성 파일을 저장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음성 파일을 엠피쓰리 파일로 저장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지금부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의 방법으로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사용되는 공지된 음성 편집 가능한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으로서, 이들 프로그램들의 특징은 재생되는 음성 파일의 소리 부분과 무음 부분이 시각적으로 구별/확인 가능하도록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학습자가 청취를 원하는 소리 부분을 즉시 구별하여 선택할 수 있다는데 있다. 앞서 '배경기술'란을 통해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공지된 음성 편집 가능한 프로그램으로는 '사운드 포지(Sound Forge)', '웨이브 패드(WavePad)', '쿨 에디트(Cool edit)' 등이 있는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는 이러한 특정 프로그램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도 1 및 도 2는 동일한 음성 파일을 재생시킨 후 디스플레이된 형태를 캡처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파형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상의 소리 부분과 무음 부분이 같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형태 중에서 음성 파일 재생 창 부분만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이 음성 파일 재생시 모니터 화면상에 소리 부분과 무음 부분이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음성 편집 가능한 프로그램은, 재생시 해당 재생 위치가 세로줄로 표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보면 화면상에 세로줄이 보이는 데, 이 부분이 현재 재생되는 위치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재생중인 음성 파일 중 학습자가 마우스로 소리 부분 중에서 특정 부분을 드래그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되는 음성 편집 가능한 프로그램들은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나타난 부분 중에서 드레그를 한 후 재생을 시키면 해당 부분만 재생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는 자신이 선택한 음성 파일 재생시 소리 부분이 포함된 특정 부분을 드레그 시킨 후 재생시키는 것을 통해 그 특정 부분을 무한 반복 청취할 수 있다.
그럼, 지금부터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학습 방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음성 편집 가능한 프로그램은 공지된 프로그램으로서, 어떠한 특정 프로그램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음성 파일을 재생시키면 학습자가 모니터 화면상에서 재생되는 음성 파일의 재생 위치를 시각적으로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들어, 음성 파일의 음성 주파수 대역 그래프 형태로 디스플레이되어 소리 부분과 무음 부분이 구별됨으로써 학습자가 청취를 원하는 위치를 즉시 구별/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면 충분하며, 이러한 음성 편집 가능한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컴퓨터상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학습자는 시중의 서점 등을 통해 외국어 학습 교재를 구입할 수 있으며, 대부분 테이프나 시디(CD) 등의 음원 저장 매체가 함께 제공된다.
그런데, 상기 음원 저장 매체가 테이프인 경우에는, 컴퓨터상에 설치된 공지된 음성 편집 프로그램의 녹음 기능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변환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테이프에 녹음된 음성 파일을 디지털 음성 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컴퓨터상에 내장된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한다. 학습자에 따라서는, 외장 하드디스크나 외장 USB 메모리 장치 등의 외장 저장 매체에 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음원 저장 매체가 시디(CD)인 경우, 만일 저장된 음성 파일이 웨이브(*.wave) 또는 엠피쓰리(*.mp3) 파일인 경우에는, 직접 복사를 통해 상기 컴퓨터상에 내장된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한다. 그러나, 저장된 음성 파일이 직접 복사가 되지 않는 숨겨진 파일이라면, 상기 음성 편집 가능한 프로그램의 불러오기 기능을 통해 상기 시디(CD)에 저장된 음성 파일을 선택적으로 불러온 후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 기능을 통해 상기 컴퓨터상에 내장된 하드 디스크 등의 저장 매체에 적절한 이름으로 저장시킨다.
상기 저장하는 방법의 예를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5는 학습 교재 이름별로 폴더를 생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해당 폴더내에 교재 페이지 별로 음성 파일 이름을 저장하여 구별되도록 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테이프에 저장된 음성 파일을 컴퓨터 하드 디스크상에 저장하는 경우, 대부분 웨이브(*.wave) 파일로 저장되는데, 이는 용량이 상당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학습자에 따라서는 이를 엠피쓰리(*.mp3) 파일로 변환시켜 저장하는 경우도 있다(도 7 참조). 본 발명은 음성 변환 방법에 관한 발명이 아니며, 웨이브 파일을 엠피쓰리 파일로 변환하는 방법은 공지된 각종 음성 편집 프로그램 등을 통해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Claims (1)

  1. 컴퓨터에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내장된 불러오기 기능을 통해 음원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파일을 선택적으로 불러올 수 있고 상기 컴퓨터와 연결된 모니터를 통해 상기 선택된 재생되는 음성 파일의 소리 부분과 무음 부분이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어서 이용자가 상기 음성 파일의 재생 위치를 선택할 수 있어 상기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선택한 재생되는 음성 파일의 재생 위치 중에서 상기 이용자가 듣기를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여 그 선택된 부분만 재생시키는 기능을 포함하는 음성 파일 편집 가능한 프로그램을 이용한 영어 학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파일 편집 가능한 프로그램상에 내장된 저장 기능을 사용하여 상기 선택하여 불러온 음성 파일을 저장 매체에 구별 가능하게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파일 편집 가능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음성 파일을 선택적으로 불러와서 실행시킨 후 상기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된 표시를 통해 상기 음성 파일의 실행 위치를 파악한 후 특정 부분을 선택하여 재생시키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파일을 이용한 영어 학습 방법.
KR1020150111891A 2015-08-06 2015-08-06 컴퓨터 음성파일을 활용한 영어공부 방법 KR20170017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891A KR20170017656A (ko) 2015-08-06 2015-08-06 컴퓨터 음성파일을 활용한 영어공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891A KR20170017656A (ko) 2015-08-06 2015-08-06 컴퓨터 음성파일을 활용한 영어공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656A true KR20170017656A (ko) 2017-02-15

Family

ID=58112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891A KR20170017656A (ko) 2015-08-06 2015-08-06 컴퓨터 음성파일을 활용한 영어공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76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61413A2 (en) 2017-02-08 2018-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selecting candidate fingerprint image for fingerprint recogn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61413A2 (en) 2017-02-08 2018-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selecting candidate fingerprint image for fingerprint recogn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861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narration audio
KR101164379B1 (ko) 사용자 맞춤형 컨텐츠 제작이 가능한 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 방법
Audacity Audacity
Fernandez et al. Portable MP3 players: innovative devices for recording qualitative interviews
KR100830689B1 (ko) 청킹을 이용한 언어학습용 멀티미디어 재생방법 및 상기 재생방법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8792818B1 (en) Audio book editing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the integration of images into the text
KR20170017656A (ko) 컴퓨터 음성파일을 활용한 영어공부 방법
Derry PC Audio Editing: From broadcasting to home CD
JP2005321706A (ja) 電子書籍の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80099408A (ko) 컴퓨터 음성파일을 활용한 영어공부 방법
Chan The digital age and speech technology for Chinese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KR20170023684A (ko) 컴퓨터 음성파일을 활용한 외국어 공부 방법
KR20090082602A (ko) 음성 파일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
Camlot Historicist audio forensics: The archive of voices as repository of material and conceptual artefacts
Derry PC audio editing with Adobe Audition 2.0: Broadcast, desktop and CD audio production
Ingram et al. Digital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KR20000063615A (ko) 구간 지정된 문자에 대응하는 오디오신호의 재생방법과이를 위한 재생장치
JP2020154057A (ja) 音声データのテキスト編集装置及び音声データのテキスト編集方法
JP2019175245A (ja) 音声合成装置
Peoples et al. Preserving audio
Branley Making and managing audio recordings
KR20010076136A (ko) 휴대용 독서기
KR100912118B1 (ko) 콘텐츠에 연동된 학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학습 방법
Walsh Editing Audio with Audacity
Bernstein Making Audio Visible: The Lessons of Visual Language for the Textualization of S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