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392B1 -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학습 방법의 프로그램을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학습 방법의 프로그램을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392B1
KR100469392B1 KR10-2002-0030817A KR20020030817A KR100469392B1 KR 100469392 B1 KR100469392 B1 KR 100469392B1 KR 20020030817 A KR20020030817 A KR 20020030817A KR 100469392 B1 KR100469392 B1 KR 100469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data
user
audio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2965A (ko
Inventor
전익승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0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392B1/ko
Publication of KR20030092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3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학습 방법의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정보 단말기로 작업하는 중에도 반복적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학습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20)와, 학습 데이터의 입력 및 수집을 담당하는 데이터 입력부(110)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110)를 제어하여 다양한 학습매체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입력시키며 그 입력된 학습 데이터를 사용자 설정에 따라 편집, 가공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하고 GUI 화면에서 사용자의 학습환경 설정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저장부(120)에 기록되어 있는 해당 학습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 입력부(110)로 입력되는 학습 데이터를 모니터에 표시하도록 비디오 처리부(130)를 제어하며 아울러 상기 모니터 화면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스피커로 출력시키도록 오디오 처리부(140)를 제어하는 학습 제어부(15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학습 방법의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저장한 기록매체{LEARNING SYSTEM AND METHOD AND A COMPUTER USABLE MEDIUM FOR STORING COMPUTER READABLE PROGRAM SOURCE OF SAID METHOD}
본 발명은 학습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학습 방법의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수첩이나 피씨(PC)를 이용한 영어 학습용 기기가 다수 출시되고 있다.
종래의 영어 학습용 기기는 주로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를 입력하면 해당 단어를 뜻과 함께 화면에 표시하거나 발음, 철자(spelling)등의 소리를 출력한다.
또한, 종래의 영어 학습용 기기는 간단한 주제별 영어 회화 문구를 화면에 표시하면서 그 발음을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그러나, 종래의 영어 학습용 기기는 일반 사전과 유사하게 알파벳 순의 단어 또는 주제별 회화 문구에 대한 영어 학습용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일방적으로 영어 학습용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함으로 사용자 자신이 필요로 하는 영어 학습용 정보들을 충분히 접하기 어렵고 아울러 지속적으로 반복 습득을 필요로 하는 영어 학습을 일정 시간에만 하게 됨으로 효율적인 영어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영어 학습용 데이터베이스가 사전과 같이 알파벳 순으로 단어를 저장하여 단순히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 뜻과 그에 관련한 회화 문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능력에 대응하는 학습 내용을 제공할 수 없음은 물론 다양한 학습 방법을 제공하지 못하여 학습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영어 전반에 걸친 체계적인 학습을 원하는 경우 별도의 책자를 구입하여 영어 학습을 수행하여야 함으로 영어 학습을 위한 투자 시간을 중복됨은 물론 경제적인 손실도 감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한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학습 방법의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아래와 같다.
1.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사용자가 정보 단말기로 작업하는 중에도 반복적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학문 분야에 대한 학습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함에 있다.
2.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사용자가 다양한 매체로부터 사용자 자신이 관심있는 학문 분야의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여 학습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학습 의욕을 증진시켜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함에 있다.
3.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사용자 자신이 학습 시간, 학습 수준 및 학습 내용의 복습 환경을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4.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피씨 또는 휴대용 단말기가 액세스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학습 프로그램 및 학습용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그 기록 매체를 피씨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분야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5. 본 발명의 제5 목적은 복수의 기기가 접속되는 경우 복수의 기기에 대해 오디오 출력 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윈도우 설정 화면을 제공하고 그 윈도우 설정 화면에서 각각의 기기에 대한 오디오 출력 방식을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에 부응하는 오디오 출력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학습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2는 도1에서 각 데이터의 배열 형식을 보인 구조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학습 장치의 블록도.
도4는 도3에서 데이터 입력부의 상세 블록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학습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도6 내지 도20은 도3의 학습 제어부에 구비된 GUI 메뉴 기능에 따른 화면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6은 사용자 설정용 GUI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7은 학습 환경 설정용 GUI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8은 학습 데이터 관리용 GUI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9 및 도10는 학습 화면 설정용 GUI 화면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9는 마법 커서의 설정을 위한 GUI 화면의 예시도.
도10은 마법 상자의 설정을 위한 GUI 화면의 예시도.
도11은 학습 내용 및 학습 시간 설정용 GUI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12는 복습 설정용 GUI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13은 SMS를 이용한 복습 설정용 GUI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14는 학습 결과 점검용 GUI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15는 평가 결과 점검용 GUI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16 내지 도20은 학습 결과 평가용 GUI 화면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16은 평가 수준 설정용 GUI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17 및 도18은 단어 평가를 위한 GUI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19는 숙어 평가를 위한 GUI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20은 회화 평가를 위한 GUI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21 및 도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학습 화면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21은 마법 커서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22는 마법 상자와 팝업-잉글리쉬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23은 도3에서 5.1 채널 스피커 시스템 적용시 오디오 처리부의 상세 블록도.
도24는 도23의 5.1 채널 스피커 시스템에서의 2채널 분리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25는 도24에서의 후면 스피커의 장착 위치 및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습을 위한 게임 화면의 예시도.
도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SMS 서비스를 위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28 내지 도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데이터 수집 장치의 구성도로서,
도28은 기록매체 재생기와 연동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의 구성도.
도29는 인터넷과 연동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의 구성도.
도30은 티브이 방송 수신기와 연동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의 구성도.
도31은 래디오 방송 수신기와 연동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의 구성도.
도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데이터 수집을 위한 간편 기록/편집 메뉴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3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한 다채널 오디오 출력 시스템의 구성도.
도34는 도33의 실시예에서 다채널 오디오 출력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0 : 데이터 입력부 120 : 데이터 저장부
130 : 비디오 처리부 140 : 오디오 처리부
150 : 학습 제어부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습 프로그램, 학습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관련 정보(학습수준, 학습시간, 학습방법)를 저장하도록 하드디스크, 플래시 메모리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저장부와, CD-ROM, DVD-ROM, 플래시 메모리, 비디오 테이프, 오디오 테이프 등의 기록매체, 티브이 방송, 래디오 방송의 방송매체 또는 인터넷 등의 통신매체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입력부와, 작업 화면과 사용자가 선택한 학습 화면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비디오 처리부와, 상기 작업 화면 또는 학습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와, 학습 프로그램 및 학습 데이터의 저장 및 학습 데이터 수집을 위해 상기 데이터 입력부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에서 수집된 학습 데이터를 편집, 구출한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기록하고 학습 환경 설정을 위한 GUI 화면을 표시함은 물론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시간이 될 때마다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학습 데이터를 읽어 사용자가 설정한 방식대로 모니터에 표시하도록 상기 비디오 처리부를 제어하며 아울러 상기 모니터 화면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스피커로 출력시키도록 상기 오디오 처리부를 제어하는 학습 제어부를 구비하여 무의식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학습 시스템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기록매체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록매체 재생기 및 제1 인터페이스회로와, 티브이 방송 또는 래디오 방송으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송 수신기 및 제2 인터페이스회로와, 인터넷에 접속된 웹 사이트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통신회로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 처리부는 학습 제어부가 학습 시간으로 판단한 경우 전면 스피커로 작업 내용에 대응하는 음을 출력하고 동시에 우퍼 스피커 및 후면 스피커로 학습 OSD 내용에 대응하는 발음을 출력하도록 5.1 채널 스피커 시스템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학습 제어부는 학습수준, 학습 시간, 실행 방법 등의 학습 관련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GUI 메뉴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학습 가이드 프로세서와, 데이터 입력부에서 수집하는 학습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예로, HDD)에 기록하도록 간단 녹화/녹음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에서 기록한 학습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하게 가공하도록 간단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학습 데이터 편집 프로세서와, 상기 학습 가이드 프로세서에서 설정된 학습 관련 정보에 따라 학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학습 데이터를 읽어 영상 및 음성으로 제공하도록 비디오 처리부 및 오디오 처리부를 제어하는 학습 실행 프로세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학습 데이터 편집 프로세서는 음성을 자막으로 변환시키도록 음성 인식 기능 및 자막 생성 기능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학습 실행 프로세서는 커서에 연동하는 박스 내에 학습할 외국어를 표시하는 마법 커서 기능과, 작업 화면의 일부분에 학습 화면에 상세 학습 내용을 표시하는 마법 상자 기능과, 커서 이동 또는 작업 전환 등으로 작업이 일시 중지되는 경우 학습 화면을 일정 크기로 확대시키는 팝업-잉글리쉬 기능을 사용자의 설정 방식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학습 제어부는 휴대용 단말기가 케이블로 직접 연결된 경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학습 내용 또는 복습 내용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직접 다운로드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학습 제어부는 사용자가 SMS 또는 E-mail 서비스를 이용한 학습 내용의 복습을 설정한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분량만큼의 학습이 종료되거나 시스템이 오프됨을 판단하면 데이터 입력부에 구비된 통신회로를 구동함에 의해 통신사업자측의 통신 서버에 자동 접속하여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복습 내용을 전송하거나 사용자가 필요시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한 학습 시스템을 학습기라 가정할 때 다양한 매체와 연동하는 학습 시스템을 다음과 같이 각기 구현할 수 있다.
1. 본 발명에서의 학습 시스템은 비디오 테이프/카세트 테이프, CD-ROM, DVD-ROM으로부터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 처리하는 기록매체 재생기와,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기록매체 재생기에서 복원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가공하여 내부의 학습 데이터베이스에저장함은 물론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학습 관련 정보(학습 수준, 학습 시간 및 실행 방법)를 저장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시간으로 판단되면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학습 데이터를 읽어 영상으로 표시하면서 그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학습기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2. 본 발명에서의 학습 시스템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서버와, 이 통신 서버에서 제공되는 인터넷으로 학습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 서버와,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웹 서버에서 제공되는 학습 데이터를 검색하여 내부의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은 물론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학습 관련 정보(학습 수준, 학습 시간 및 실행 방법)를 저장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시간으로 판단되면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학습 데이터를 읽어 영상으로 표시하면서 그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학습기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3. 본 발명에서의 학습 시스템은 학습용 방송을 제공하는 방송 송신기와, 이 방송 송신기에서 송출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채널 선택에 의해 선국된 학습 방송을 복원 처리하여 학습 영상을 표시하면서 그 학습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방송 수신기와,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기에서 재생중인 영상 및 음성에 해당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수집한 후 편집, 가공하여 학습 데이터를 내부의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설정된 학습 관련 정보(학습 수준, 학습 시간 및 실행 방법)을 저장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시간으로 판단되면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학습 데이터를 읽어 영상으로 표시하면서 그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학습기를 구비하여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4. 본 발명에서의 학습 시스템은 SMS 또는 E-mail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서버와, 이 통신 서버에서 제공되는 SMS 또는 E-mail로부터 학습/복습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사용자에게 그 학습/복습 데이터를 영상 및 음성으로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관련 정보(학습 수준, 학습 시간 및 실행 방법)에 의해 학습 시간으로 판단되면 학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학습 데이터를 읽어 영상 및 음성으로 제공하고 사용자가 사용 도중 필요에 의해 직접 선택하거나 설정한 분량의 학습이 완료되었거나 시스템이 오프되는 경우 상기 통신 서버에 접속하여 학습/복습 데이터를 SMS 또는 E-mail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학습기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학습기는 데스크탑 피씨, 노트북 피씨, 포켓 피씨, PDA, 티브이, 셋탑 박스, VTR, DVD-P, DVD-R, DVR 등의 각종 저장 매체 또는 인터넷 티브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포켓 피씨, PDA, 게임기 또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구성함을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습 프로그램 및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고 학습 관련 정보(학습자, 학습 수준, 학습 시간 및 실행 방법)을 설정하는 학습 메뉴 설정 단계와, 다양한 매체(방송 매체, 기록매체, 웹사이트)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학습 데이터를 가공하여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학습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와,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시간으로 판단될 때마다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학습 데이터를 읽어 영상 및 음성으로 제공하는 학습 실행 단계를 수행하여 무의식적으로 다양한 분야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학습메뉴 설정 단계는 사용자 정의, 학습수준 설정, 학습시간 설정, 학습내용 설정, 실행방법 설정, 복습 설정, 학습결과 점검, 학습 평가를 위한 GUI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각 항목별로 해당 정보를 설정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는 방송 매체, 기록 매체 또는 웹사이트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수집된 학습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하도록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가공된 학습 데이터를 사용빈도순, 알파벳순으로 정렬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정렬된 학습 데이터를 주제별로 그룹핑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정렬 및 그룹핑된 학습 데이터에 대해 각각의 인덱스를 부가하여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학습 데이터 가공을 위한 단계는 학습 데이터에 자막이 있는지 점검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자막이 없다고 확인되면 오디오 데이터를 음성으로 재생하면서 자막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생성된 자막을 비디오 데이터의 해당 위치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자막이 부가된 학습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학습 데이터로 가공하는 대상물이 오디오 데이터만으로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애니메이션 또는 특정 영상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부가한 후 자막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방송매체는 유무선 티브이방송, 래디오방송, 위성방송, 인터넷 방송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록매체는 CD-ROM, DVD-ROM, CD 등의 광디스크와 비디오 테이프, 오디오 테이프 등의 자기 테이프, 플래시 메모리, HDD임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제4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습 메뉴 설정 단계, 학습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 및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시간으로 판단될 때마다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학습 데이터를 읽어 영상 및 음성으로 제공하는 학습 실행 단계로 이루어지는 외국어 학습 방법의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하고 그 기록매체가 장착된 컴퓨터가 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방식대로 학습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5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기에 대한 오디오 출력을 설정하기 위한 윈도우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윈도우 설정 화면 내의 특정 기기의 오디오 출력 설정 화면을 선택하면 해당 기기의 상세 오디오 출력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표시된 상세 오디오 출력 설정 화면에서 해당 기기에 대한 오디오 출력 방식을 설정하는 단계와, 특정 기기에 대한 작업이 실행되면 그 특정 기기에 대해 상기에서 설정한 방식대로 오디오 출력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복수의 기기가 연결된 시스템에 적용하여 다채널 스피커 시스템에 제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외국어, 수학, 물리, 화학, 법학 등과 같은 다양한 학문에 대해사용자가 원하는 학문의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외국어 학습 특히, 영어 학습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영어 학습을 위한 기기는 개인용 피씨(PC)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영어 학습용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영어 학습 데이터의 배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영어 학습용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는 도1의 구조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등단어/중학단어/중학숙어/고등단어/고등숙어/고급단어/어원/회화등 학습 수준 및 종류별로 분류된 영어 데이터, 회화 데이터, 인덱스 테이블, 각 데이터의 시작 인덱스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각 데이터의 배열 형식은 도2의 구조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순위, 학습수준, 표제어, 발음기호, 뜻, 예문, 예문뜻, 발음, 그림 이미지, 동의어, 어원번호 등의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 데이터의 인식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분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위 205번인 단어 'cheer'의 경우 동의어 및 어원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동의어 및 어원번호란에 제1 구분자(예로, ',')를 추가하여 동의어 및 어원의 내용이 없음을 표시하고 순위 213번인 단어 'stream'의 경우 동의어가 3개 존재하므로 제2 구분자(예로, '/')를 사용하여 각 동의어간을 구분한다.
또한, 도2의 구조와 같이 각 데이터를 배열함에 있어서, 사용빈도를 참조하여 우선순위별로 분류(sorting)하고 고급초등단어/중학단어/중학숙어/고등단어/고등숙어/고급단어/어원/회화와 같이 다수의 학습수준으로 구분하며 각 학습수준 내의 데이터를 주제별(예로, 계절/국가/시간 등)로 그룹핑한다.
이때, 주제별로 분류되는 영어 데이터에도 주제별 데이터 독출이 용이하도록 주제별 인덱스를 부가한다.
그리고, 인덱스 테이블은 각각의 영어 데이터를 용이하게 찾고 메모리를 유연성있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것으로, 각 영어 데이터의 길이가 다르므로 각 영어 데이터의 길이를 참고하여 인덱스값을 부여함으로써 그 인덱스값을 읽으면 해당 영어의 시작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각 영어 데이터의 길이가 각각 '15'와 '20'이라면 인덱스 테이블의 값을 2000, 2015, 2035 순으로 기재하여 인덱스 테이블 값을 읽으면 해당 어휘의 시작위치를 알 수 있다.
또한, 시작 인덱스는 데이터의 교체 또는 갱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시스템에서 별도의 동작없이 시작 인덱스를 읽어 영어 데이터의 갱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도1 및 도2의 구조와 같은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영어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피씨(PC)는 도3의 블록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어 학습 데이터, 학습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20)와,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영어 학습 프로그램과 영어 학습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데이터 입력부(110)와, 현재의 작업 화면과 사용자가 설정한 영어 학습 화면을 동시에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는 비디오 처리부(130)와, 상기 모니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스피커로 재생하는 오디오 처리부(140)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110)에서 입력시키는 영어 학습 프로그램 및 영어 학습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함은 물론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데이터 입력부(110)에서 입력시킨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편집, 가공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영어 학습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GUI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비디오 처리부(130)를 제어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영어 학습 시간이 될 때마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120)로부터 해당 학습 데이터를 읽어 들인 후 상기 비디오 처리부(130)를 제어하여 영어 학습 화면을 모니터 화면에 표시시킴과 아울러 상기 오디오 처리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영어 학습 화면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학습 제어부(150)로 구성한다.
상기 데이터 입력부(110)는 도4의 블록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CD-ROM, DVD-ROM, 비디오 테이프, 오디오 테이프 등의 기록 매체 재생기 또는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 회로(210)와, 티브이, 래디오 등의 방송 수신기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 회로(220)와, 인터넷에 접속된 웹 사이트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한 통신 회로(23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1 인터페이스 회로(210)는 RS-232, RS-422, IEEE 1394, USB 규격을 적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2 인터페이스 회로(220)는 티브이의 영상/음성 출력단자 또는 래디오의 음성 출력단자에 접속할 수 있도록 비디오/오디오 입출력단자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통신 회로(230)는 단문메시지 서비스(SMS) 또는 이메일(E-mail)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웹사이트 접속을 위하여 랜(LAN) 또는 모뎀(MODEM)으로 구성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120)는 하드디스크(HDD),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한다.
상기 비디오 처리부(130)는 OSD 처리 기능을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학습 제어부(150)는 도6 내지 도20의 예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습 환경 설정, 학습 데이터 관리, 학습 시간 설정, 학습 결과 점검, 복습 설정, 학습 평가, 사용자 정의, 학습 화면 설정을 위한 GUI 화면 표시 기능을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사용자 정의용 GUI 화면은 도6의 예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설정, 캐릭터 설정을 위한 메뉴를 구비한다.
상기 학습 환경 설정용 GUI 화면 즉, 영어 마법사 화면은 도7의 예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습수준, 시작위치, 반복회수, 표시시간, 발음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와 학습 시작, 복습을 위한 버튼을 구비한다.
상기 학습 데이터 관리용 GUI 화면은 도8의 예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화, 동요, 만화, 뉴스, 컬럼, 회화 등의 학습 데이터에 대한 종류, 제목, 저장 위치, 크기 등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메뉴를 구비한다.
상기 학습 화면 설정용 GUI 화면은 도9 및 도10의 예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서 내에 학습 단어의 표시 여부, 그 커서 내의 글자크기, 단어 뜻 표시 여부, 영어 학습을 위한 부화면 크기, 부화면 표시 위치 등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구비한다.
상기 학습 시간 설정용 GUI 화면은 도11의 예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학습 데이터에 대한 학습 시작 시간, 학습 종료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구비한다.
상기 복습 설정용 GUI 화면은 도12 및 도13의 예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 온/오프시, 스크린세이버, 단문메시지(SMS)를 이용한 복습 설정을 위한 메뉴를 구비한다. 특히, 도13의 GUI 화면은 상기 단문메시지를 위한 복습 설정의 경우 학습 내용을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자동으로 전송하기 위한 메뉴를 구비한다.
상기 학습 결과 점검용 GUI 화면은 도14의 예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별 일자별, 주별, 월별의 학습량, 평가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메뉴를 구비한다.
상기 학습 평가용 GUI 화면은 도16 내지 도20의 예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를 검사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한다. 여기서, 도16의 GUI 화면은 현재 학습 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GUI 화면이고 도17 내지 도20은 단어, 숙어, 회화에 대한 학습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한 GUI 화면이다.
그리고, 상기 도16 내지 도20과 같은 GUI 화면을 이용하여 학습 성취도를 평가한 후 그 평가 결과는 도15의 학습 평가 점검용 GUI 화면을 이용하여 점검할 수있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효과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영어 학습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동작 순서도이고, 도21 및 도22는 영어 학습 화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또한, 도23은 5.1 채널 스피커 시스템을 적용한 오디오 처리부(140)의 블록도이고, 도24는 도23의 스피커 시스템에서의 2채널 분리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25는 5.1 채널 적용시의 후면 스피커의 장착 위치를 보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26은 학습 내용 복습을 위한 게임 화면의 예시도이고, 도27은 SMS를 이용하여 복습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영어 학습 기능을 구비한 피씨(PC)는 영어학습 가이드, 영어학습 시간표, 데이터 관리 등을 설정할 수 있는 GUI 화면을 제공한다. 이때, 정당한 사용자인지의 확인 과정없이 바로 학습 과정으로 바로 진행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우선, 사용자가 학습 프로그램의 설치를 설정하면 학습 제어부(150)는 데이터 입력부(110)를 통해 CD 또는 DVD와 같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학습 프로그램을 액세스하여 그 학습 프로그램을 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설치하게 된다.
이때, 학습 프로그램을 설치함과 동시에 기본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하게 된다.
이후, 학습 프로그램의 설치가 완료되면 학습 제어부(150)는 사용자 정의, 학습환경 설정, 학습데이터 관리, 학습시간 설정, 학습화면 설정, 복습 설정, 학습결과 표시, 학습 평가를 위한 학습 프로그램 메뉴 화면을 GUI 기능을 실행하여 영상 처리부(130)를 통해 모니터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학습데이터, 학습방법, 학습시간 등을 설정하도록 한다.
상기 학습 프로그램 메뉴 화면에는 도6 내지 도20의 예시도와 같은 GUI 화면 메뉴를 포함한다.
우선, 사용자는 도6의 예시도와 같은 사용자 정의용 GUI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 및 자신의 캐릭터를 설정하고 도7의 예시도와 같은 학습 환경 설정용 GUI 화면 즉, 영어마법사 화면에서 학습수준, 시작위치, 반복회수, 표시시간, 발음간격 등을 설정하며 도8의 예시도와 같은 학습 데이터 관리용 GUI 화면에서 현재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수준에 상응하는 동화, 동요, 만화, 영화, 기타 등의 학습 데이터의 제목, 저장 위치, 크기 등의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학습 데이터를 선택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도9 및 도10의 예시도와 같은 학습 화면 설정용 GUI 화면에서 커서 내에 학습 단어의 표시 여부, 그 커서 내의 글자크기, 단어 뜻 표시 여부, 영어 학습을 위한 부화면 크기, 부화면 표시 위치 등을 설정하고 도11의 예시도와 같은 학습 시간 설정용 GUI 화면에서 현재 선택한 학습 데이터에 대한 학습 시작 시간, 학습 종료 시간을 설정하며 도12 및 도13의 예시도와 같은 복습 설정용 GUI 화면에서 임의로 시스템 온/오프시, 스크린세이버, 단문메시지(SMS) 등을 이용한 복습시간을 설정한다.
상기에서 도13의 GUI 화면을 이용하여 단문메시지, E-mail을 위한 복습 설정의 경우 학습 내용을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자동 및 수동으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설정된 정보는 학습 제어부(150)에 의해 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된다.
이후, 학습 제어부(150)는 현재 사용자가 진행하고 있는 작업 화면을 모니터에 표시할 때 비디오 처리부(130)를 제어하여 모니터 화면의 일부분 예로, 도22의 예시도와 같이 영어 학습용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작업 중이라면 상기 도22와 같은 영어학습용 화면을 배경 화면으로 설정하여 모니터 화면 상에 표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학습 제어부(150)는 현재 사용자의 작업 화면 및 영어학습용 화면을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도록 비디오 처리부(130)를 제어하면서 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학습 환경 설정 정보를 참고하여 학습 화면 및 그 학습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을 발생시키기 위한 학습 모드가 온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현재 진행중인 작업을 위하여 커서 이동 또는 원하는 키워드 검색 등의 실행으로 학습 모드가 온되는 것을 판단하면 학습 제어부(150)는 도21의 예시도와 같이 커서에 연동되는 박스 내에 학습할 단어를 표시하거나 도22의 예시도와 같이 영어학습용 화면을 화면 일부분에 표시하거나 그 영어학습용 화면의 크기를 확대하였다가 축소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모니터 화면에 사용자가 선택한 영어 학습 내용을 표시하도록 비디오 처리부(130)를 제어하고 동시에 그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음성을 발생시키도록 오디오 처리부(140)를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에서 학습 방식은 도21의 예시도와 같이 커서에 부가된 박스 내에 학습할 단어를 반복 표시하는 마법 커서와, 도22의 예시도와 같이 현재 작업중에 화면에 일부분에 학습 내용을 표시하는 마법 상자와, 현재 작업을 진행하면서 파일 다운로드 등의 과정으로 인하여 작업이 잠시 중지되는 동안 화면의 일부분에 표시되고 있던 마법 상자를 확장하였다가 다시 축소시키는 팝업(PopUp)-잉글리쉬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작업을 진행하면서 무의식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학습 과정에서 학습 제어부(150)는 도7의 예시도와 같은 학습 환경 설정용 GUI 메뉴 화면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수준, 시작번호, 반복개수, 표시시간, 발음간격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학습할 단어, 어휘, 회화문구 등의 영상 표시 및 그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음성의 발생이 순차적으로 실행되도록 비디오 처리부(130) 및 오디오 처리부(140)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학습 데이터는 어휘, 발음기호, 해석, 동의어, 어원, 그림, 영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후, 현재 진행중이던 학습이 종료되어 학습 모드가 오프되면 학습 제어부(150)는 계속 현재 실행중인 작업 화면을 표시하고 경우에 따라 그 작업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을 발생시키도록 비디오 처리부(130) 및 오디오 처리부(140)를 제어하면서 다시 학습 모드가 온되는지 판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학습 방법을 실행할 때 학습 제어부(150)는 오디오 처리부(140)를 제어하여 현재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음성만을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하거나 현재 학습 내용과 더불어 현재 작업에 대응하는 음성을 동시에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학습 내용과 작업 내용에 대응하는 음성을 동시에 스피커로 출력시키기 위해서 오디오 처리부(140)는 도23의 블록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작업 내용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원래의 음성으로 복원하는 제1 오디오 처리회로(310)와, 현재의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원래의 음성으로 복원하는 제2 오디오 처리회로(320)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수의 스피커를 2채널로 분리하여 상기 제1,제2 오디오 처리회로(310)(320)의 출력 음성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회로(330)와, 상기 제1,제2 오디오 처리회로(310)(320)의 출력 음성을 사용자의 설정대로 2채널로 분리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회로(330)에 입력시키는 스위칭회로(34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스위칭 회로(340)는 오디오 출력회로(330)에 일체형으로 내장하여 학습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2채널 분리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24의 예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스피커로 현재 진행중인 작업에 대응하는 음성을 들으면서 동시에 우퍼 스피커 및 후면 스피커로 현재의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음성을 들을 수 있으므로 더블 타스킹(double tasking)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5.1채널 이상의 스피커를 설치하는 경우 후면 스피커를사용자의 후면에 설치하여야 하지만 사용자의 후면 위치에 스피커를 설치함에 있어 불편함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25(a)(b)의 예시도와 같이 컴퓨터 책상 하단에 후면 스피커를 밀어 넣었다가 필요한 경우 스피커를 잡아 당긴 후 좌우로 밀어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방식을 채용하게 된다.
따라서, 피씨(PC)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후면 스피커를 책상 하단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사용 공간을 확보하고 피씨를 사용할 경우에는 후면 스피커를 잡아 당긴 후 좌우로 밀어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2채널 음 분리의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여기서, 도25(a)(b)의 예시도에 도시된 방식은 스피커 지지대의 휨 여부만이 다르고 동일한 방식이다.
한편, 상기에서 5.1 채널 스피커 시스템을 적용한 경우 더블 타스킹이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는데, 복수의 기기가 연결된 호스트 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 각각의 기기에 대해 오디오 출력 방식을 미리 설정하여 해당 기기가 동작할 때 사용자가 설정한 방식대로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된 학습 기능은 호스트 시스템에 탑재되어 특정 기기가 동작할 때 학습 화면과 그 학습 화면에 대응하는 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33의 구성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트 시스템으로 동작하는 피씨(PC)(910)에 모니터(920)가 연결됨과 아울러 다채널 스피커 시스템(930)이 연결되고 그 다채널 스피커 시스템(930)에 다수의 스피커(940)이 연결되며 상기 피씨(910)에 VTR(951), CD(952), DVD(953), TV(954), RADIO(955), 캠코더(956) 등의 다수의 기기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다채널 스피커 시스템(930)은 피씨(910)에 내장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33과 같이 구성한 시스템에서 복수의 기기에 대한 오디오 출력 방식을 설정하는 과정과 이에 따른 오디오 출력 과정을 도34의 동작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호스트 시스템으로 동작하는 피씨(910)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모니터(920)의 화면에 메인 메뉴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메인 메뉴에서 오디오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모니터(920)의 화면에 다수의 기기 예로, VTR(951), CD(952), DVD(953), TV(954), RADIO(955), 캠코더(956)를 구동할 때의 오디오 출력를 설정하기 위한 윈도우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윈도우 설정 화면 내에는 VTR(951), CD(952), DVD(953), TV(954), RADIO(955), 캠코더(956) 등과 같이 피씨(910)에 연결된 다수의 기기에 대응하는 선택 화면 또는 오디오 출력 방식 설정을 위한 윈도우 화면을 표시한다.
이 경우, 호스트 시스템으로 동작하는 피씨(910)는 VTR(951), CD(952), DVD(953), TV(954), RADIO(955) 및 캠코더(956)의 연결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하여 각 기기의 종류를 확인한 후 그 각각의 기기에 대응하는 오디오 출력 방식 설정을 위한 윈도우 화면을 윈도우 설정 화면 내에 자동으로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모니터(920)에 표시된 윈도우 설정 화면 내에 VTR(951), CD(952), DVD(953), TV(954), RADIO(955) 및 캠코더(956)와 같은 다수의 기기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의 윈도우 화면을 선택하여 해당 기기에 대한 오디오 출력 방식을 원하는대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임의의 작업을 실행함에 의해 VTR(951), CD(952), DVD(953), TV(954), RADIO(955) 및 캠코더(956) 등의 다수의 기기중 임의의 기기를 구동시켜야 하는 경우 호스트 시스템으로 동작하는 피씨(91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기기의 오디오 출력 방식을 확인하여 그 방식대로 오디오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다채널 스피커 시스템(930)을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채널 스피커 시스템(930)은 다수개의 스피커(940)을 구동하여 현재 작업 화면 및 학습 화면에 대응하는 음을 동시에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실행 작업에 대응하여 2개 이상의 기기를 구동시키려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작업에 대해 구동할 각각의 기기에 대해 오디오 출력 방식을 설정함으로써 해당 작업이 실행될 때 다채널 스피커 시스템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방식대로 해당 작업에 대한 오디오 출력을 각각의 기기별로 구분하여 출력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학습한 내용은 사용자가 도12 및 도13과 같은 GUI 화면에서 복습 모드를 설정한대로 학습 제어부(150)가 스크린세이버, 시스템 온/오프 등의 경우에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거나 SMS 또는 E-mail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학습한 내용을 복습하도록 구성할 수있다.
일례로서, 스크린세이버 또는 시스템 온/오프의 경우 도26의 예시도와 같은 게임을 실행하여 사용자가 학습 내용을 복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SMS 또는 E-mail을 이용하는 경우 도27의 구성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통신 시스템은 통신서비스 사업자측에 설치되어 SMS 또는 E-mail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서버(430)와, 사용자가 설정한 분량의 학습이 종료되거나 시스템을 오프시키는 경우 상기 통신 서버(430)에서 제공되는 SMS 또는 E-mail 서비스를 이용하여 복습 내용을 전송하도록 영어 학습기로 동작하는 피씨(410)와, 이 피씨(410)에서의 복습 내용을 상기 통신 서버(430)에서 제공하는 SMS 또는 E-mail 서비스를 통해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이하, 휴대폰이라 칭함)(420)로 구성한다.
즉, 다른 예의 경우 피씨(410)는 사용자가 도13과 같은 복습 설정용 GUI 화면에서 통신서버(430)에 등록한 사용자 ID, 비밀번호, 자신의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고 사용자가 자동 전송 설정 여부에 따라 복습 내용을 상기 통신서버(430)를 통해 SMS 또는 E-mail 방식으로 상기 휴대폰(420)으로 전송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폰(420)에서 SMS 또는 E-mail를 검색하여 학습 내용을 복습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에서와 같이 SMS 또는 E-mail을 이용함이 없이휴대폰(420)을 직접 피씨(410)에 연결하여 학습한 내용을 다운로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라도 복습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복습 과정에서는 이전 학습 데이터중 가장 마지막으로 학습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회수만큼 학습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학습한 결과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학습 제어부(150)가 도14의 학습 결과 점검용 GUI 화면을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도록 비디오 제어부(130)를 제어함에 의해 사용자는 학습 진도 상황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일자별, 주별, 월별 등으로 학습량을 확인함은 물론 평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이 학습한 결과의 성취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평가를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학습 평가 모드를 설정하면 학습 제어부(150)는 비디오 처리부(130)를 제어하여 모니터 화면에 도16의 예시도와 같은 학습 평가용 GUI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도16의 평가 수준 설정용 GUI 화면에서 자신이 학습 수준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학습 제어부(150)가 도17 내지 도20의 예시도와 같은 학습 평가용 GUI 화면을 모니터 화면에 표시시킴으로써 사용자는 학습 평가용 GUI 화면에 표시되는 평가 문제를 풀고 학습 제어부(150)는 상기에서 입력한 답이 정답인지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모니터 화면에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언제라도 도15의 평가결과 점검용 GUI 화면에서 학습 성취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여 영어 학습기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포맷으로 편집, 가공하고 이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록 매체, 통신 매체 및 방송 매체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여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시킬 수 있도록 도3의 데이터 입력부(110)를 도28 내지 도31의 구성도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이를 각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8은 데이터 입력부(110)를 CD-ROM, DVD-ROM과 같은 광디스크 또는 비디오 테이프, 오디오 카세트테이프와 같은 자기 테이프를 기록, 재생하기 위한 기록매체 재생기(510)로 구성하는 일실시예로서, CD-ROM, DVD-ROM 또는 비디오 테이프와 같은 기록 매체에서 학습용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독출하면 피씨(520)에 구비된 학습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각 문구에서 추출한 어휘를 사용빈도순, 알파벳순으로 정렬하여 인덱스를 부가하고 아울러 각기 정렬된 어휘를 주제별로 그룹핑하여 인덱스를 부가함으로써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한 포맷 형태로 편집, 가공하여 기존의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게 된다.
그리고,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와 같은 기록 매체에서 학습용 오디오 데이터를 독출한 경우 학습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각 어휘를 사용빈도순, 알파벳순으로 정렬하여 각 어휘에 대응되는 그래픽 영상을 부가한 후 인덱스를부가하고 상기에서 정렬된 어휘를 주제별로 그룹핑하여 인덱스를 부가함으로써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한 포맷 형태로 편집, 가공하여 기존의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게 된다.
도29는 데이터 입력부(110)를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통신 모뎀으로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통신 모뎀을 이용하여 학습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웹 서버(610)에 접속하고 원하는 학습 데이터를 검색하여 다운로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피씨(620)에 구비된 학습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기록 매체에서 수집한 학습 데이터와 동일한 방식으로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한 포맷으로 편집, 가공하거나 현재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한 포맷의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에서의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존의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게 된다.
도30 및 도31은 데이터 입력부(110)를 방송 수신기로 구성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30은 티브이 방송 수신기의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31은 래디오 방송 수신기의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30과 같은 실시예의 경우 데이터 입력부(110)를 티브이 방송 수신기로 구성한 경우로서, 피씨(PC)(720)와 티브이 방송 수신기(710) 간을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단자로 직접 연결하여 상기 피씨(720)에 구비된 학습 제어부(150)가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영어 학습용으로 적합한 영상 신호를 녹화함에 의해 학습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에 따라, 학습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녹화된 영상 신호를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분리, 추출하여 각기 학습 데이터에 적합한 포맷으로 처리한 후 다시 하나의 영상신호로 합성하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각 문구에서 추출한 어휘를 사용빈도순, 알파벳순으로 정렬하여 인덱스를 부가하고 아울러 각기 정렬된 어휘를 주제별로 그룹핑하여 인덱스를 부가함으로써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한 포맷 형태로 편집, 가공하여 기존의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게 된다.
도31과 같은 실시예의 경우 데이터 입력부(110)를 래디오 방송 수신기로 구성한 경우로서, 피씨(PC)(820)와 래디오 방송 수신기(810) 간을 오디오 입출력단자로 직접 연결하여 상기 피씨(820)에 구비된 학습 제어부(150)가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영어 학습용으로 적합한 오디오 신호를 녹음함에 의해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녹음된 오디오 신호에서 음성을 추출하여 학습 데이터로 편집, 가공하게 된다
이후, 편집, 가공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존의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여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에 있어서, 학습 제어부(150)에 음성으로부터 자막을 생성하기 위한 자막생성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학습 데이터에 대한 자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학습 데이터 수집을 위한 모드를 설정하면 학습 제어부(150)는 도32의 예시도와 같은 기록/편집 GUI 화면을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해당 매체에 해당하는 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학습 제어부(150)는 해당 매체에 대응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한 회로를 구동하여 예약 녹화, 녹음, 복사 등의 기능에 의해 하드디스크(HDD)에 학습 데이터를 간편하게 수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학습 제어부(150)는 해당 학습 데이터를 편집, 가공하여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디스크, 비디오/오디오 테이프, 인터넷, 티브이/래디오 방송와 같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플래쉬, 동영상, 이미지, 사운드를 선택적으로 수집하고 이 수집된 데이터들을 도1 및 도2의 구조도와 같이 편집, 가공하여 학습 데이터로 변환한 후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어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일본어, 중국어, 불어, 독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등과 같이 다양한 외국어 뿐만 아니라 문학, 법학, 물리, 수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여 동일한 학습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만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1.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일과중에도 사용자가 선택한 학습 내용을 사용자에게 노출시켜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반복 학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강제적인 암기 방법이 아닌 일과중에도 자투리 시간을 이용하여 무의식적인 반복 학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학습 시간이 없이도 지속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지게 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2. 본 발명은 커서에 연동하는 박스 형태의 글자창을 표시하거나 화면의 일부에 학습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부화면을 표시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학습 내용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킴은 물론 집중도를 증대시킬 수 있어 학습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3. 본 발명은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학습 수준, 시작 번호, 반복 개수, 표시 시간, 발음 간격의 제공 방식 등을 선택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 집중도 및 욕구를 증대시켜 학습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4.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양한 매체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여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관심 분야 및 학습 수준에 적합한 다양한 학습 데이터로 체계적인 학습을 할 수 있어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양한 매체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빈도별, 주제별, 학습수준별로 분류하고 이를 필요에 따라 체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인 학습을 기대할 수 있다.
5. 본 발명은 학습한 내용을 복습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 자신이 작업하는 단말기 뿐아니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복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작업이 일시 중지된 동안 스크린세이버가 표시될 때 또는 시스템 온/오프시, 사용자 필요시 학습 내용을 복습하도록 함은 물론 SMS 또는 E-mail 서비스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학습한 내용을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 후 복습함으로써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라도 학습 내용을 복습할 수 있어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6. 본 발명은 학습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언제라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학습을 진행하도록 하여 학습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7. 본 발명은 5.1 채널의 스피커 시스템과 같은 다채널 스피커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학습 내용과 작업 내용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2원화하여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더블 타스킹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0)

  1. 다양한 매체(방송, 기록매체, 웹 사이트 등)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학습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관련 정보(학습수준, 학습시간, 학습방법)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수단과,
    다양한 매체(방송, 기록매체, 웹 사이트 등)로부터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입력 수단과,
    상기 데이터 입력 수단에서 수집된 학습 데이터를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편집하여 구축한 학습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관련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 갱신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작업을 진행하다가 사용자가 임의로 학습 키를 입력할 때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학습 시간이 될 때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학습 데이터를 읽어 사용자가 설정한 방식으로 학습 내용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학습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무의식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학습 제어 수단은
    사용자의 설정 또는 임의의 키 입력에 의해 학습 모드가 인에이블되면 사용자가 설정한 방식대로 해당 학습 내용을 영상으로 표시하도록 비디오 처리 수단을 제어함과 아울러 그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재생하도록 오디오 처리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 저장 수단은
    하드디스크(HDD) 또는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 입력 수단은
    기록매체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록매체 재생기 및 제1 인터페이스회로와,
    방송 매체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송 수신기 및 제2 인터페이스회로와,
    통신 매체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통신회로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는
    CD-ROM, DVD-ROM 등의 광디스크, 비디오 테이프, 오디오 테이프 등의 자기 테이프, 플래시 메모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방송 매체는
    유무선 티브이 방송, 위성 방송, 래디오 방송, 인터넷 방송임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통신 매체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웹 사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음성 처리 수단은
    학습 제어 수단에서 학습 시간으로 판단한 경우 작업 내용에 대응하는 음과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음을 동시에 재생하도록 다채널 스피커 시스템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다채널 스피커 시스템은
    현재 작업 내용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원래의 음성으로 복원하기 위한 제1 오디오 처리회로와,
    현재의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원래의 음성으로 복원하기 위한 제2 오디오 처리회로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제1,제2 오디오 처리회로의 출력 음성을 2채널로 분리, 처리하여 전,후면 스피커 및 우퍼 스피커에서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오디오 출력회로와,
    상기 제1,제2 오디오 처리회로의 출력 음성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오디오 출력회로에 입력시키기 위한 스위칭회로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다채널 스피커 시스템은 5.1 채널 스피커 시스템임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후면 스피커는
    필요에 따라 잡아 당긴 후 좌우로 밀어 위치를 고정하도록 작업대 하단에 삽탈 가능하도록 장착하여 작업 공간의 확보와 함께 2채널 음 분리를 최적화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학습 제어 수단은
    학습수준, 학습 시간, 실행 방법 등의 학습 관련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GUI 메뉴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학습 가이드 프로세서와,
    데이터 입력 수단에서 수집하는 학습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 수단에 기록하도록 간단 녹화/녹음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에서 기록한 학습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하게 가공하도록 간단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학습 데이터 편집 프로세서와,
    상기 학습 가이드 프로세서에서 설정된 학습 관련 정보에 따라 학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학습 데이터를 읽어 영상 및 음성으로 제공하도록 비디오 처리 수단 및 오디오 처리 수단을 제어하는 학습 실행 프로세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학습 데이터 편집 프로세서는
    음성을 자막으로 변환시키도록 음성 인식 기능 및 자막 생성 기능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학습 실행 프로세서는
    커서에 연동하는 박스 내에 학습할 어휘, 문장, 회화 문구 등을 표시하는 마법 커서 기능과,
    작업 화면의 일부분에 학습 화면에 상세 학습 내용을 표시하는 마법 박스 기능과,
    커서 이동 또는 작업 전환으로 작업이 일시 중지되는 경우 학습 화면을 일정 크기로 확대시키는 팝업-잉글리쉬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설정 방식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학습 제어 수단은
    휴대용 단말기가 케이블로 직접 연결된 경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학습 내용 또는 복습 내용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직접 다운로드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학습 제어 수단은
    사용자가 SMS 또는 E-mail 서비스를 이용한 학습 내용의 복습을 설정한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분량만큼의 학습이 종료되거나 시스템이 오프됨을 판단하면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데이터 입력 수단에 구비된 통신회로를 구동함에 의해 통신사업자측의 통신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복습 내용을 전송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학습 제어 수단은
    시스템 오프시 복습 내용을 게임 방식의 영상과 음성으로 표시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18. 비디오 테이프/카세트 테이프, CD-ROM, DVD-ROM으로부터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 처리하는 기록매체 재생기와,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기록매체 재생기에서 복원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학습 데이터로 가공하여 내부의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은 물론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학습 관련 정보(학습 수준, 학습 시간 및 실행 방법)를 저장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시간으로 판단되면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학습 데이터를 읽어 영상으로 표시하면서 그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학습기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19.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서버와,
    이 통신 서버에서 제공되는 인터넷으로 학습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 서버와,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웹 서버에서 제공되는 학습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검색하여 내부의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은 물론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학습 관련 정보(학습 수준, 학습 시간 및 실행 방법)를 저장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시간으로 판단되면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학습 데이터를 읽어 영상으로 표시하면서 그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학습기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20. 어휘 학습용 방송을 제공하는 방송 송신기와,
    이 방송 송신기에서 송출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채널 선택에 의해 선국된 언어 학습 방송을 복원 처리하여 학습 영상을 표시하면서 그 학습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방송 수신기와,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기에서 재생중인 영상 및 음성에 해당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수집한 후 편집, 가공하여 학습 데이터를 내부의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설정된 학습 관련 정보(학습 수준, 학습 시간 및 실행 방법)을 저장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시간으로 판단되면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학습 데이터를 읽어 영상으로 표시하면서 그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학습기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21. SMS 또는 E-mail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서버와,
    이 통신 서버에서 제공되는 SMS 또는 E-mail로부터 학습/복습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사용자에게 그 학습/복습 데이터를 영상 및 음성으로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관련 정보(학습 수준, 학습 시간 및 실행 방법)에 의해 학습 시간으로 판단되면 학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학습 데이터를 읽어 영상 및 음성으로 제공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분량의 학습이 완료되었거나 시스템이 오프되는 경우 상기 통신 서버에 접속하여 학습/복습 데이터를 SMS 또는 E-mail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학습기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는
    포켓 피씨, PDA, 게임기 또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23. 제18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학습기는
    데스크탑 피씨, 노트북 피씨, 포켓 피씨, PDA, 셋탑 박스 또는 인터넷 티브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24. 다채널 스피커 시스템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기가 연결된 학습 시스템의 학습 방법에 있어서,
    다채널 스피커로 작업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다채널 스피커 출력 수단과,
    복수의 기기에 대한 오디오 출력을 설정하기 위한 윈도우 설정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각 기기의 오디오 출력 방식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임의의 기기에서 실행하는 작업에 대응하는 음을 사용자가 설정한 오디오 출력 방식으로 복수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다채널 스피커 출력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윈도우 설정 화면은
    복수의 기기에 대한 오디오 출력 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각각의 기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윈도우 화면과, 복수의 기기에 대응하는 음을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복수의 스피커를 각 기기별로 할당하는 화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26. 삭제
  27. 제24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임의의 기기에 대응하는 음을 발생시키도록 다채널 오디오 출력 수단을 제어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에 대한 음을 동시에 발생시키도록 상기 다채널 오디오 출력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
  28. 학습 프로그램 설치 및 학습 데이터베이스 저장을 수행하고 학습 관련 정보(학습자, 학습 수준, 학습 시간 및 실행 방법)을 설정하는 학습 메뉴 설정 단계와,
    다양한 매체(방송, 기록매체, 웹 사이트 등)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수집하고 그 수집된 학습 데이터를 가공하여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학습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와,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시간으로 판단될 때마다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학습 데이터를 읽어 영상 및 음성으로 제공하는 학습 실행 단계를 수행하여 무의식적으로 다양한 분야의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학습메뉴 설정 단계는
    사용자 정의, 학습수준 설정, 학습시간 설정, 학습내용 설정, 실행방법 설정, 복습 설정, 학습결과 점검, 학습 평가를 위한 GUI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각 항목별로 해당 정보를 설정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학습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는
    방송매체, 기록매체 또는 웹사이트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1 단계와,
    상기에서 수집된 학습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하도록 가공하는 제2 단계와,
    상기에서 가공된 학습 데이터를 사용빈도순, 알파벳순으로 정렬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에서 정렬된 학습 데이터를 주제별, 학습 수준별로 그룹핑하는 제4 단계와,
    상기에서 정렬 및 그룹핑된 학습 데이터에 대해 각각의 인덱스를 부가하여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방법.
  31. 삭제
  32. 제30항에 있어서, 방송 매체는
    유무선 티브이방송, 래디오방송, 위성방송, 인터넷 방송임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방법.
  33. 제30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는
    CD-ROM, DVD-ROM, CD 등의 광디스크와 비디오 테이프, 오디오 테이프 등의 자기 테이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방법.
  34. 제30항에 있어서, 학습 데이터 가공을 위한 제2 단계는
    학습 데이터에 자막이 있는지 점검하는 과정과,
    자막이 있는 학습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학습 데이터에 자막이 없다고 확인되면 오디오 데이터에서 음성을 추출하면서 자막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생성된 자막을 비디오 데이터의 해당 위치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자막이 부가된 학습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학습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애니메이션 또는 특정 영상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부가한 후 자막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방법.
  36. 다채널 스피커 시스템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기가 연결된 학습 시스템의 학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기기에 대한 오디오 출력을 설정하기 위한 윈도우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제1 단계와,
    상기에서 윈도우 설정 화면 내의 오디오 출력 설정 화면에서 복수의 기기 각각에 대한 오디오 출력 방식 및 복수의 기기 각각에 대해 복수의 스피커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할당하여 해당 기기의 오디오 출력 방식을 설정하는 제2 단계와,
    특정 기기에 대한 작업이 실행되면 그 특정 기기에 대해 상기에서 설정한 방식대로 오디오 출력을 발생시키는 제3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방법.
  37. 삭제
  38. 삭제
  39. 제36항에 있어서, 제3 단계는
    임의의 기기에 대응하는 음 발생을 제어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에 대한 음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방법.
  40. 학습 메뉴 설정 단계, 학습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 및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시간으로 판단될 때마다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학습 데이터를 읽어 영상 및 음성으로 제공하는 학습 실행 단계로 이루어지는 학습 방법의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실행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도록 학습 방법의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저장한 기록매체.
KR10-2002-0030817A 2002-05-31 2002-05-31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학습 방법의 프로그램을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저장한 기록매체 KR100469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817A KR100469392B1 (ko) 2002-05-31 2002-05-31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학습 방법의 프로그램을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저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817A KR100469392B1 (ko) 2002-05-31 2002-05-31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학습 방법의 프로그램을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저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965A KR20030092965A (ko) 2003-12-06
KR100469392B1 true KR100469392B1 (ko) 2005-02-02

Family

ID=32385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817A KR100469392B1 (ko) 2002-05-31 2002-05-31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학습 방법의 프로그램을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3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084B1 (ko) * 2011-08-18 2013-08-09 김민석 애니메이션 영상강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07380B1 (ko) 2012-01-26 2013-09-12 강윤석 기억학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301B1 (ko) * 2002-08-22 2005-11-15 김상덕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맞춤 교육 서비스 방법
KR20040040960A (ko) * 2002-11-08 2004-05-13 김경중 디지털 학습장치
KR100710945B1 (ko) * 2005-07-08 2007-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어학 학습기기에서의 타 학습 프로그램 제공방법
KR100767575B1 (ko) * 2005-12-23 2007-10-17 원종민 단어의 구성 철자에 부여된 이미지 캐릭터의 연상에 따라학습하는 외국어 학습 시스템, 외국어 학습 방법 및 그기록 매체
KR100852970B1 (ko) * 2007-01-24 2008-08-19 배강원 이미지 분할 기법을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기록매체와 언어 학습 교재
KR101063514B1 (ko) * 2008-03-03 2011-09-08 주식회사 글맥에이치알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보조 방법
KR101125572B1 (ko) * 2009-06-18 2012-03-23 황세희 대화형 다기능 어학 학습 방법
KR101363230B1 (ko) * 2012-05-17 2014-02-12 정윤철 어학용 암송 보조장치
CN112351233A (zh) * 2020-10-30 2021-02-09 广州朗国电子科技有限公司 教室教学环境录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教育一体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9291A (en) * 1987-10-28 1993-06-15 Video Technology Industries, Inc. Electronic educational video system apparatus
KR19980065460U (ko) * 1998-08-28 1998-11-25 서진석 마이크로 컴퓨터 및 디지털 스위칭 제어방식을 이용한 어학실습장치
KR19990051305A (ko) * 1997-12-19 1999-07-05 구자홍 디지털 녹음 장치
KR20000032448A (ko) * 1998-11-14 2000-06-15 구자홍 어휘학습용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학습기능을갖는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62159A (ko) * 1999-03-22 2000-10-25 구자홍 학습기능을 갖는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49791A (ko) * 2001-12-17 2003-06-25 변성환 언어학습장치, 언어학습방법 및 저장매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9291A (en) * 1987-10-28 1993-06-15 Video Technology Industries, Inc. Electronic educational video system apparatus
KR19990051305A (ko) * 1997-12-19 1999-07-05 구자홍 디지털 녹음 장치
KR19980065460U (ko) * 1998-08-28 1998-11-25 서진석 마이크로 컴퓨터 및 디지털 스위칭 제어방식을 이용한 어학실습장치
KR20000032448A (ko) * 1998-11-14 2000-06-15 구자홍 어휘학습용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학습기능을갖는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62159A (ko) * 1999-03-22 2000-10-25 구자홍 학습기능을 갖는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49791A (ko) * 2001-12-17 2003-06-25 변성환 언어학습장치, 언어학습방법 및 저장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084B1 (ko) * 2011-08-18 2013-08-09 김민석 애니메이션 영상강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07380B1 (ko) 2012-01-26 2013-09-12 강윤석 기억학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965A (ko) 200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4853B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cognitively translating media to facilitate understanding
JP2005504395A (ja) マルチリンガルトランスクリプションシステム
KR20160111275A (ko)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외국어 학습 방법
JP2004533756A (ja) 自動コンテンツ分析及びマルチメデイア・プレゼンテーションの表示
Roy NewsComm--a hand-held device for interactive access to structured audio
KR100469392B1 (ko)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학습 방법의 프로그램을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저장한 기록매체
US100898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 program
JP2003307997A (ja) 語学教育システム、音声データ処理装置、音声データ処理方法、音声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20090246743A1 (e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5083155B2 (ja) 辞書機能を備えた電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Roy et al. NewsComm: a hand-held interface for interactive access to structured audio
KR102185387B1 (ko) 음성인식 자막 생성 시스템 및 방법
JP2010002787A (ja) 学習システム、学習端末、学習プログラム
JP2010002788A (ja) 学習端末、学習プログラム
KR102396263B1 (ko) 스크립트를 이용한 스마트 어학학습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0314591B1 (ko) 캡션데이타가저장된외국어학습용비디오씨디
WO2006115174A1 (ja) 電子辞書装置
WO2006051775A1 (ja) 携帯型語学学習装置及び携帯型語学学習システム
JP2004325905A (ja) 外国語学習装置および外国語学習プログラム
KR102088572B1 (ko) 외국어 학습용 영상 재생 장치, 외국어 학습용 영상 재생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200716598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KR20130015918A (ko) 학습자 및 문장의 수준을 고려한 어학 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 제공 방법
KR20080051876A (ko) 전자사전 검색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장치 및검색방법
CN113099312A (zh) 教学视频播放系统
JP2007226649A (ja) 検索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