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7129A -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7129A
KR20010017129A KR1019990032496A KR19990032496A KR20010017129A KR 20010017129 A KR20010017129 A KR 20010017129A KR 1019990032496 A KR1019990032496 A KR 1019990032496A KR 19990032496 A KR19990032496 A KR 19990032496A KR 20010017129 A KR20010017129 A KR 20010017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display front
anisotropic dif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9067B1 (ko
Inventor
유정수
변석주
김한수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9-0032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9067B1/ko
Publication of KR20010017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9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90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02Lenticular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3/00Colour photography, other than mere exposure or projection of a colour film
    • G03B33/10Simultaneous recording or projection
    • G03B33/14Simultaneous recording or projection using lenticular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은, 비등방성 확산 필름; 상기 비등방성 확산 필름의 하면에 접착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하면에 접착되고, 상기 전면 투사기로부터 출사된 빛의 편광방향과 동일한 편광방향을 가지는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이 상면에 코팅된 반사 필름; 및 상기 반사 필름을 지지하는 반사 필름 기재를 포함하는 구성이며, 상기한 바와 같은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에서는 비등방성 확산 필름을 사용하여 종래의 전면 투사형 스크린 보다 명암비와 휘도의 시야각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공정이 간단하고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폭 1m 이상의 대형 스크린 제조의 대량 생산화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 {A SCREEN FOR LIQUID CRYSTAL DISPLAY FRONT PROJECTOR}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전면 투사기(front projector)의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비등방성 확산 필름, 이색성 염료 코팅된 편광 필름 및 반사 필름 등을 적층하여 플라스틱 판 등의 시트에 접착 제조함으로써 최적화된 스크린 명암비(contrast)와 향상된 시야각을 가지는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액정 표시 전면 투사기의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로서 광제어부를 나타내고, 도 3은 광제어부에서 나타나는 여러 편광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액정 표시 전면 투사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1)와 리플렉터(reflector)(2)로 이루어진 광원부(A)와, 제1편광판(3), 액정 패널(4) 및 제2편광판(5)으로 이루어져 비디오 시그널(S)의 화상정보를 제2편광판(5)의 출사측 표면에 화상으로 구현하는 광제어부(B), 프로젝션 렌즈(projection lens)(6)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의 액정 표시 전면 투사기로부터 출사된 화상이 스크린(7)에 결상된다.
백색광을 방사하는 램프(1)와 후방으로 방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리플렉터(2)로 이루어진 광원부(A)에서 백색광이 임의의 편광 상태(도 3의 (가))로 반사되면, 제1편광판(3)에서는 그 중 한 방향(도 3의 (나)에서 α)의 선형 편광만을 투과시키고 나머지 빛은 흡수하고, 액정 패널(4)에서는 제1편광판(3)을 통과한 선형 편광을 인가되는 비디오 신호(S)의 전압에 따라 타원 편광상태(도 3의 (다))로 변화시키며, 제2편광판(5)에서는 타원 편광상태의 빛 중에서 일정방향(도 3의 (라)에서 α+π/2)의 선형 편광만을 투과시키고 나머지 빛을 흡수한다. 결과적으로 광제어부(B)에서는 비디오 신호(S)의 화상정보를 제2편광판(5)의 출사측 표면에 화상으로 구현하며 이 때의 광 이용 효율은 50% 이하로 감소된 상태이다.
프로젝션 렌즈(6)에서는 상기 광제어부(B)에 의하여 형성된 화상을 확대 투사하고, 스크린(7)에서는 상기 프로젝션 렌즈(6)에 의하여 투사된 빛을 반사 혹은 투과하여 화상을 결상시킨다.
전면 투사형 스크린(7)에 결상되는 편광은 확산 스크린에 의하여 스크린의 명암비 및 휘도의 시야가 결정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이 연구되어 왔고, 대표적인 것으로는 미국 특허 5,148,309를 기초로 하는 전면 투사형 스크린이 있으며 그 구조가 도 4에 나타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면 투사형 스크린은 확산 필름(11), 4층의 점착층(12), 2층의 보호필름(13), 편광 필름(14), 반사 필름(15) 및 반사 필름 기재(16)로 이루어진 10층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편광 필름(14)이 점착층(12)을 이용하여 확산 필름(11)과 반사 필름(15) 사이에 접착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 때 편광 필름(14)은 전면 투사기의 제2편광판(5)과 동일한 광학축을 갖는다. 즉, 전면 투사기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편광 방향과 편광 필름(14)의 편광 방향을 일치시킴으로써 외부 광원에 대한 투과 및 반사를 차단하여 명암비를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면 투사형 스크린에서 최상면에 사용된 확산 필름(11)은 등방성 확산 필름으로서, 단순히 벌크(bulk) 확산 특성을 제공하는 브러싱된(brushed) 표면 또는 립(rib)이나 그루브된(grooved) 형상과 같은 표면 조직(texturing)을 갖는 시트를 사용하거나 미세한 유리 구슬(bead)을 코팅하여 확산 효과를 부가 또는 이를 변경하는 광 확산 스크린의 여러 가지 등방성 확산 필름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등방성 확산 필름(11)을 사용하면 대형 전면 투사형 스크린의 경우 휘도의 조절이 어렵고, 시야각 조절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편광 필름(14)은 일반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염착한 후 연신 공정에 의하여 제조하여 배향성을 부가 또는 변경시키기 때문에 스크린의 전면적에 걸쳐서 제2편광판(5)과 동일한 편광을 균일하게 유도할 수 없으며, 연신 공정에 사용되는 기재의 폭에 의하여 스크린 제품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폭 1 m 이상의 대형 전면 투사형 스크린인 경우 균일한 편광 특성을 갖는 제조가 어렵다. 현재 상업화된 폭 1 m 이상의 대형 편광 필름 제품은 없으며 제조한다 하여도 공정이 복잡하여 가격이 매우 비싸지므로 대형 전면 투사형 스크린을 제조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또한, 점착층(12)을 이용하여 편광 필름(14)을 확산 필름(11)과 반사 필름(15) 사이에 접착시킬 때 점착층(12)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점착층(12)과 편광 필름(14) 사이에 보호 필름(13)을 추가로 사용해야만 하며, 이로 인해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 표시 전면 투사기로부터 나오는 빛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스크린 휘도의 시야각을 조절하고, 최상의 명암비를 얻을 수 있는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간단한 공정을 통해 폭 1 m 이상의 대형 전면 투사형 스크린을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액정 표시 전면 투사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로서 광제어부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광제어부에서 나타나는 여러 편광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에서 (가)는 광원부에서 반사된 백색광의 편광상태도이고,
도 3에서 (나)는 제1 편광판을 통과한 빛의 편광상태도이며,
도 3에서 (다)는 액정 패널부를 통과한 빛의 편광상태도이고,
도 3에서 (라)는 제2 편광판을 통과한 빛의 편광상태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확산 필름의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도시한 공정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실험에서 스크린에 나타난 빛으로부터 비등방성 확산 필름의 장축과 단축을 정의하는 방법을 도시한 스크린의 상면도이다.
도 9는 비등방성 확산 필름의 비등방성 확산 형상부의 패턴을 나타낸 비등방성 확산 필름의 상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램프 2 : 리플렉터(reflector)
3 : 제1편광판 4 : 액정 패널
5 : 제2편광판 6 : 프로젝션 렌즈
7 : 스크린
11 : 확산 필름 12 : 점착층
13 : 보호 필름 14 : 편광 필름
15 : 반사 필름 16 : 반사 필름 기재
21 : 비등방성 확산 필름 22 : 점착층
23 : 편광 필름 23a : 편광 필름의 기재
24 : 반사 필름 25 : 반사 필름의 기재
27: 레이저 28 : 확산 필름
29 : 막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은, 비등방성 확산 필름; 상기 비등방성 확산 필름의 하면에 접착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하면에 접착되고, 상기 전면 투사기로부터 출사된 빛의 편광방향과 동일한 편광방향을 가지는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이 상면에 코팅된 반사 필름; 및 상기 반사 필름을 지지하는 반사 필름 기재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 때, 상기 비등방성 확산 필름의 비등방성을 나타내는 비율(Ω/ω)은 1.5 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등방성 확산 필름은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패턴이 형성된 비등방성 확산 형상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비등방성 확산 필름의 기재는 두께 10~250 ㎛, 전광선 투과율 75% 이상, 인장강도 600kg/㎠ 이상인 광학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등방성 확산 필름에는 점도 100~3000 센티포이즈(cps ; 25℃), 전광선 투과율 75% 이상의 액상 수지를 광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 패턴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비등방성 확산 필름에는 전광선 투과율 75%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를 열 전사시킴으로써 형성된 패턴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편광 필름은 상기 반사 필름의 상면에 이색성 염료가 코팅된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은, 비등방성 확산 필름; 상기 전면 투사기로부터 출사된 빛의 편광방향과 동일한 편광방향을 가지며, 상기 비등방성 확산 필름의 하면에 코팅된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의 하면에 접착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하면에 접착된 반사 필름; 및 상기 반사 필름을 지지하는 반사 필름 기재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은, 비등방성 확산 필름; 상기 비등방성 확산 필름의 하면에 접착된 제1점착층; 상기 제1점착층의 하면에 접착되고, 상기 전면 투사기로부터 출사된 빛의 편광방향과 동일한 편광방향을 가지며, 기재 상에 코팅된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의 기재 하면에 접착된 제2점착층; 상기 제2점착층의 하면에 접착된 반사 필름; 및 상기 반사 필름을 지지하는 반사 필름 기재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을 제조하는 방법은, 반사 필름의 상면에 편광 필름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 필름을 점착층을 이용하여 비등방성 확산 필름의 하면에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을 제조하는 방법은, 비등방성 확산 필름의 하면에 편광 필름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 필름을 점착층을 이용하여 반사 필름의 상면에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을 제조하는 방법은, 기재 상에 편광 필름을 코팅하는 단계; 및 점착층을 이용하여 상기 편광 필름의 상면을 비등방성 확산 필름의 하면에 접착시키고 상기 기재의 하면을 반사 필름의 상면에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의 단면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 투사형 스크린은 비등방성 확산 필름(21), 2층의 점착층(22), 편광 필름(23), 편광 필름 기재(23a), 반사 필름(24) 및 반사 필름 기재(25)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편광 필름 기재(23a) 상에 형성된 편광 필름(23)은 2층의 점착층(22)을 이용하여 비등방성 확산 필름(21)과 반사 필름(24) 사이에 접착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의 단면도로서, 비등방성 확산 필름(21), 1층의 점착층(22), 편광 필름(23), 반사 필름(24) 및 반사 필름 기재(25)로 이루어진 전면 투사형 스크린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의 최상면에 사용된 확산 필름은 비등방성 확산 필름(21)으로서, 이것은 등방성 확산 필름을 사용한 종래 기술과 구별되는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이다.
확산 필름이 등방성인지 혹은 비등방성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은 그 확산 필름에 의해 확산된 빛의 모양이며, 그 판단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단면도가 도 8a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27)에서 나오는 빔을 등방성인지 혹은 비등방성인지를 판단할 확산 필름(28)에 수직 입사시키고, 확산 필름(28)에 의해 확산된 빛을 막(29)에 비추었을 때 막(29)에 형성되는 빛의 모양으로부터 확인한다. 이 때 막(29)에 형성되는 빛의 모양은 확산 필름의 종류에 따라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나타나며, 도 8b에는 타원형으로 빛이 형성된 막(29)이 도시되어 있다.
흔히 나타나는 바와 같이, 막에 형성되는 빛이 특정한 방향성이 없는 원형으로 나타나면 이 때 사용된 확산 필름은 등방성 확산 필름이다. 이는 주로 유리 비드를 투명한 기재 위에 코팅하는 방법 등으로 만든 확산 필름을 이용하였을 때 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에 반하여, 스크린에 형성된 빛이 타원형으로 나타난다면 이 때 사용된 확산 필름은 비등방성 확산 필름이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29)에 형성된 빛이 길게 나타나는 방향이 해당되는 비등방성 확산 필름의 장축 방향이며, 짧게 나타나는 방향이 해당되는 비등방성 확산 필름의 단축 방향이다. 이 때, 막(29)에 형성된 빛은 타원의 중심에서 가장 밝고 타원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그 밝기가 약해지는데, 타원의 장축을 따라 중심에서의 밝기의 절반이 되는 전체 폭 (full width at half maximum)이 이루는 각(Ω)과 스크린(29)에 나타나는 타원의 단축을 따라 중심에서의 밝기의 절반이 되는 전체 폭이 이루는 각(ω)의 비율을 비등방성 비율(Ω/ω)이라 하고, 이것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만일 Ω/ω=1 이라면 이는 등방성 확산 필름의 경우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Ω/ω=1.5 인 비등방성 확산 필름을 선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에서는 이와 같은 비등방성 비율 Ω/ω과 함께 상기한 비등방성 확산 필름을 사용한다는 점이 매우 중요한데, 이들로 인해 스크린의 휘도 시야각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임의로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비등방성 확산 필름(21)은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패턴이 형성된 비등방성 확산 형상부로 이루어지며, 그 패턴은 비등성 확산 필름의 상면도인 도 9에 나타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등방성 확산 형상부에 형성된 패턴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즉, 롤이나 평판 금형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직접 가공하는 방법, 롤이나 평판 금형에 샌드블라스트를 이용하는 방법, 에칭에 의한 방법, 스탬핑에 의한 방법, 홀로그램 기법을 이용한 방법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상기한 비등방성 확산 형상부의 성형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가능하다. 즉, 열 경화형 수지를 이용한 성형 방법, 가시광선 경화형 수지를 이용한 성형 방법,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이용한 성형 방법, 열 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열 전사 성형 방법 등 일반 고분자 가공 방법으로 다양하게 성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 가공 방법에 의존하지 않고 상기 언급되어 있는 방법들의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그 광학적 특성이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등방성 확산 형상부의 특정 성형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결론적으로 비등방성 확산 형상부의 성형 방법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내용을 제한하지 못한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한 액상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이용한 성형 방법을 선호한다. 투명한 액상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면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어 형상을 쉽게 전사시킬 수 있으며, 비등방성 확산 필름(21)의 기재는 액상 자외선 경화형 수지와의 부착이 가능하고 복굴절에 의한 광학적 위상차가 거의 없는 투명한 트리아세틸셀룰로스(triacetyl cellulose : TAC) 필름 또는 폴리카보내이트 필름을 사용하며, 또한 접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 또는 폴리카보내이트 필름 등을 사용한다.
상기한 비등방성 확산 형상부에 사용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점도 100~3000 센티포이즈(cps ; 25℃), 전광선 투과율 75% 이상의 액상 수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점도 500~1500 센티포이즈(cps ;25℃)를 선호하며, 전광선 투과율 85% 이상이 좋다. 만약 점도가 100 센티포이즈 미만인 경우에는 형상 금형 표면에 충분히 도포가 되나 공정제어 및 저비점 화합물의 비산이 심하고, 점도가 3000 센티포이즈 이상인 경우에는 점도가 높아 공정상의 어려움이 있다.
상기한 비등방성 확산 형상부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에테르아크릴레이트 수지를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비등방성 확산 필름(21)의 기재는 두께 10~250㎛, 전광선 투과율 75% 이상, 인장강도 600kg/㎠이상이 좋은데 바람직하게는 두께 50~150㎛, 전광선 투과율 85% 이상, 인장강도 1000kg/㎠ 이상이 좋다. 만약 두께가 10㎛ 미만이거나 인장강도가 600kg/㎠ 미만인 경우에는 기재가 쉽게 손상이 되고 공정 중에 필름이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며, 전광선 투과율은 높을수록 바람직하나 75% 미만인 경우 전면 투사형 스크린 전체의 광 투과율이 낮아지고 광 손실이 매우 증대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비등방성 확산 필름(21)의 하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색성 염료 코팅된 편광 필름(23)이 점착층(22)을 매개로 하여 접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국제특허 WO 94/28073 등에 의한 이색성 염료 편광 코팅(dichroic dyestuff polarizing coating) 공법으로 이색성 염료 코팅된 편광 필름을 제조한다.
상기한 이색성 염료 편광 코팅 공법은 응력과 같은 물리적 힘을 이용하여 염료의 액정 배향(liquid crystal orientation)을 유도하기 때문에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균일하고 안정된 대면적 편광 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보호 필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이색성 염료 편광 코팅 공법에 적용되는 기재(23a)는 고분자 필름 종류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내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스 등 투명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광학적 위상차가 거의 없는, 즉 광학적 등방성인 폴리카보내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스가 선호된다. 그리고 제조 방법으로는 롤(roll) 코팅, 나이프(knife) 코팅 등 일반적인 코팅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색성 염료 편광 코팅 공법은 상기한 비등방성 확산 필름(21)의 하면이나 반사 필름(24)의 상면 위에 이색성 염료 편광 코팅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 요구되었던 점착층이 불필요하므로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필름(24)의 상면에 이색성 염료를 코팅하여 편광 필름(23)을 형성하면,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었던 편광 필름(23)과 반사 필름(24) 사이의 1층의 점착층을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비등방성 확산 필름(21)의 하면에 이색성 염료를 코팅하여 편광 필름(23)을 형성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었던 비등방성 확산 필름(21)과 편광 필름(23) 사이의 점착층을 생략한 경우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이색성 염료 코팅된 편광 필름(23)의 하부에는 반사 필름(24)이 위치한다. 일반적인 반사 필름은 플라스틱 판 등의 연한 시트 기재(25)에 알루미늄(aluminium) 필름이나 알루미늄 또는 은(silver)이 증착된 반사 필름(24)이며, 본 발명에서는 반사 필름의 재질에 제한은 없으나 가격 및 반사율을 고려할 때 알루미늄 증착 반사 필름을 선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은, 비등방성 확산 필름(21)과, 기재(23a) 상에 코팅된 편광 필름(23, 도 5의 경우), 반사 필름(24)의 상면에 코팅된 편광 필름(23, 도 6의 경우) 또는 비등방성 확산 필름(21)의 하면에 코팅된 편광 필름(23, 도 7의 경우) 및 반사 필름 기재(25) 상에 형성된 반사 필름(24)을 1층 또는 2층의 점착층(22)을 이용하여 서로 접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에서는 비등방성 확산 필름을 사용하여 종래의 전면 투사형 스크린 보다 명암비와 휘도의 시야각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색성 염료 코팅된 편광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보호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점착층의 사용을 줄여 공정이 간단하고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폭 1m 이상의 대형 스크린 제조의 대량 생산화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액정 표시 전면 투사기(front projector)의 스크린에 있어서,
    비등방성 확산 필름;
    상기 비등방성 확산 필름의 하면에 접착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하면에 접착되고, 상기 전면 투사기로부터 출사된 빛의 편광방향과 동일한 편광방향을 가지는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이 상면에 코팅된 반사 필름; 및
    상기 반사 필름을 지지하는 반사 필름 기재
    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등방성 확산 필름의 비등방성을 나타내는 비율(Ω/ω)이 1.5 보다 크거나 같은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등방성 확산 필름이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패턴이 형성된 비등방성 확산 형상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등방성 확산 필름의 기재는 두께 10~250 ㎛, 전광선 투과율 75% 이상, 인장강도 600kg/㎠ 이상인 광학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등방성 확산 필름에는 점도 100~3000 센티포이즈(cps ; 25℃), 전광선 투과율 75% 이상의 액상 수지를 광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 패턴이 있는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등방성 확산 필름에는 전광선 투과율 75%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를 열 전사시킴으로써 형성된 패턴이 있는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은 상기 반사 필름의 상면에 이색성 염료가 코팅된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
  8. 액정 표시 전면 투사기(front projector)의 스크린에 있어서,
    비등방성 확산 필름;
    상기 전면 투사기로부터 출사된 빛의 편광방향과 동일한 편광방향을 가지며, 상기 비등방성 확산 필름의 하면에 코팅된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의 하면에 접착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하면에 접착된 반사 필름; 및
    상기 반사 필름을 지지하는 반사 필름 기재
    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
  9. 액정 표시 전면 투사기(front projector)의 스크린에 있어서,
    비등방성 확산 필름;
    상기 비등방성 확산 필름의 하면에 접착된 제1점착층;
    상기 제1점착층의 하면에 접착되고, 상기 전면 투사기로부터 출사된 빛의 편광방향과 동일한 편광방향을 가지며, 기재 상에 코팅된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의 기재 하면에 접착된 제2점착층;
    상기 제2점착층의 하면에 접착된 반사 필름; 및
    상기 반사 필름을 지지하는 반사 필름 기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
  10. 액정 표시 전면 투사기(front projector)의 스크린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반사 필름의 상면에 편광 필름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 필름을 점착층을 이용하여 비등방성 확산 필름의 하면에 접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의 제조방법.
  11. 액정 표시 전면 투사기(front projector)의 스크린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등방성 확산 필름의 하면에 편광 필름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 필름을 점착층을 이용하여 반사 필름의 상면에 접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의 제조방법.
  12. 액정 표시 전면 투사기(front projector)의 스크린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재 상에 편광 필름을 코팅하는 단계; 및
    점착층을 이용하여 상기 편광 필름의 상면을 비등방성 확산 필름의 하면에 접착시키고 상기 기재의 하면을 반사 필름의 상면에 접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의 제조방법.
KR10-1999-0032496A 1999-08-09 1999-08-09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 KR100409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496A KR100409067B1 (ko) 1999-08-09 1999-08-09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496A KR100409067B1 (ko) 1999-08-09 1999-08-09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129A true KR20010017129A (ko) 2001-03-05
KR100409067B1 KR100409067B1 (ko) 2003-12-11

Family

ID=19606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496A KR100409067B1 (ko) 1999-08-09 1999-08-09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90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690A (ko) * 2002-01-14 2003-07-22 (주)오픈티비넷 투과형 스크린
KR100710744B1 (ko) * 2006-02-16 2007-04-23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박형 반투과 광학소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박형 반투과 광학소자
CN101713840A (zh) * 2008-09-30 2010-05-2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振片、液晶面板及液晶显示装置
WO2017094929A1 (ko) * 2015-11-30 2017-06-08 전자부품연구원 시간 다중화를 통해 방향 시차를 갖는 라이트필드 3차원 디스플레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8916B2 (ja) * 1994-05-31 2000-03-13 凸版印刷株式会社 反射型映写スクリーン
JPH09133968A (ja) * 1995-11-08 1997-05-20 Nitto Denko Corp 反射型スクリーン
JP3532337B2 (ja) * 1996-02-08 2004-05-31 株式会社きもと 偏光プロジェクタ用反射型スクリーン
JPH09218646A (ja) * 1996-02-08 1997-08-19 A Z:Kk 自動車用点検ステッカ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690A (ko) * 2002-01-14 2003-07-22 (주)오픈티비넷 투과형 스크린
KR100710744B1 (ko) * 2006-02-16 2007-04-23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박형 반투과 광학소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박형 반투과 광학소자
CN101713840A (zh) * 2008-09-30 2010-05-2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振片、液晶面板及液晶显示装置
WO2017094929A1 (ko) * 2015-11-30 2017-06-08 전자부품연구원 시간 다중화를 통해 방향 시차를 갖는 라이트필드 3차원 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9067B1 (ko) 200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36652B (en) Method for fabricating a laminate film, laminate film, and method for fabricating a display device
US7030945B2 (en)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US7859612B2 (en) Light concentrating sheet,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light concentrating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including the backlight unit
JP2005313638A (ja)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積層フィルム、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20060245061A1 (en) Light guide plate,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1013321A (ja) 光学積層体、照明装置および面発光装置
JP2001174815A (ja) 液晶表示装置
KR20020073404A (ko) 광학 필름 및 액정 표시장치
JP2001228315A (ja) 反射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813753B1 (ko) 액정표시장치
JP2006195475A (ja) 両面スクリーン
JPH07120743A (ja)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シートの装着方法
JP2898860B2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2000147429A (ja) 偏光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1147329A (ja)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0185968A (ja) 偏光板、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0409067B1 (ko) 액정 표시 전면 투사형 스크린
CN110873917B (zh) 偏光板和包括其的液晶显示器
JPH1020125A (ja) 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H11218760A (ja) 偏光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2341138A (ja) 偏光板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TW546519B (en) Pass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JP2000147488A (ja) 偏光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TW201250303A (en) Optica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10085627A (ja) 偏光板、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