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5281A - 자동차용 이중 댐핑 플라이휠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이중 댐핑 플라이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15281A KR20010015281A KR1020000039546A KR20000039546A KR20010015281A KR 20010015281 A KR20010015281 A KR 20010015281A KR 1020000039546 A KR1020000039546 A KR 1020000039546A KR 20000039546 A KR20000039546 A KR 20000039546A KR 20010015281 A KR20010015281 A KR 200100152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ywheel
- double damping
- damping flywheel
- stop
- wash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F16F15/02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comprising control arrangem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이중 댐핑 플라이휠은 허브(18)의 외주연부와 반동 플레이트(16)의 내주연부 사이에서 작동하는 토크 리미터(19)를 포함하는 제 2 플라이휠(13)을 구비하며, 상기 허브(18)는 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정지부를 내장하고 그리고 허브(18)에 고정된 카운터정지부(71)상에 지지되는 탄성 수단(70)용의 접촉부로서 작용하는 캐비티(9)를 제한하는 반면에, 정지부(271)는 반동 플레이트(16)의 내부 고리(160)와 접촉하게 되는 마찰 와셔(280)에 고정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용으로서 내연 기관을 전동 시스템에 회전 결합시키기 위한 이중 댐핑 플라이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이중 댐핑 플라이휠은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2 749 904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서, 토크 리미터는 마찰 클러치의 반동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반동 플레이트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허브인 요소 사이에서 작동한다.
반동 플레이트 및 허브는 자동차 기어박스의 입력 샤프트와 같은 전동 시스템의 종동 부재에 반동 플레이트의 마찰면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제 2 플라이휠에 속한다.
또한, 이중 플라이휠은 자동차 내연 기관의 크랭크샤프트와 같은 구동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제 1 플라이휠을 구비한다.
제 2 플라이휠은 그 허브에 의해서 제 1 플라이휠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제 2 플라이휠의 반동 플레이트와 평행한 플레이트와 같은 것으로 대략 횡방향의 요소를 구비한다.
탄성 부재는 제 1 플라이휠과 제 2 플라이휠의 요소 사이에서 작동하여 제 2 플라이휠을 제 1 플라이휠에 탄성적으로 결합한다.
탄성 부재는 제 1 플라이휠에 고정된 접촉부와 아암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작동하는 구부러진, 특히 사전구부러진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2 플라이휠의 허브에 고정된 디스크는 아암을 그 외주연부에 구비하고 있다. 아암은 제 1 플라이휠의 2개의 대면 접촉부 사이에 배치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탄성 부재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아이들 위치에서 반경방향으로 작동한다.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2 749 904 호에 있어서, 토크 리미터는, 외측쪽으로 보강된 러그를 구비하고 그리고 허브에 고정된 축방향 탄성을 가진 와셔에 제공된 오리피스를 통해 통과하는 마찰 와셔를 구비한다.
마찰 와셔는 홈의 측면을 형성하며, 와셔의 다른 측면 및 기부는 허브의 외주연부에 속한다. 반동 플레이트는 홈의 바닥부에 중심설정되고 홈의 측면 사이에 파지된 내부 고리를 그 외주연부에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축방향 부피가 감소되기 때문에 만족스럽다.
본 출원인은 축방향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고 허브의 이점을 취할 수 있는가를 생각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요구조건에 부합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형태의 이중 댐핑 플라이휠은, 상기 내부 허브는 상기 마찰 와셔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를 둘러싸기 위해 그리고 상기 마찰 와셔에 대해서 제 1 플라이휠의 방향에서 축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반동 플레이트의 내부 고리의 반경방향 아래의 캐비티를 제한하게 형성되며, 상기 반동 플레이트의 내부 고리 아래에서,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수단은 정지부상에 그리고 내부 허브에 고정된 지지 피스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정지부상에 지지되어, 홈의 측면 사이에 고리를 파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토크 리미터의 기능은, 탄성 수단이 2개의 개별 피스에 속하는 것으로 가능한 분할된 정지부와 카운터정지부 사이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수단에 의해 발휘되는 로드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토크를 전달하는 성능 뿐만 아니라 그 서비스 수명이 개선된다. 허브에 고정된 지지 피스는 마찰 와셔의 반경방향 아래에 위치되며, 그에 따라 반경방향으로의 사이즈가 작다.
내부 허브에 의해 제한된 캐비티에 의해서, 리미터의 레벨에서 동일한 축방향 부피가 전체적으로 유지된다. 실제로, 마찰 와셔의 상부에 피스가 위치되지 않기 때문에 축방향 부피가 감소되며, 탄성 수단은 내부 고리 아래에서 작동한다. 또한, 어떠한 보다 긴 보강 러그도 없다. 일반적으로, 정지부 또는 정지부들은 제 1 플라이휠에 대향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유리하게 개방된 캐비티내에 내장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부재용의 관절 저널 또는 탄성 부재상에서 작동하는 디스크용의 고정 리벳을 형성하는 리브에 의해 허브에 고정된 지지 피스가 허브에 고정되는 것이 간단하게 되고 경제적으로 이뤄진다. 마찰 와셔는 정지되어 있을 때 경사진 것이 유리하며, 다음에 탄성 수단의 작용하에서 장착후에 그 경사를 감소시켜 보강되며, 마찰 와셔는 반동 플레이트의 고리의 형상을 밀접하게 추종하고, 토크 리미터의 성능이 증가된다. 따라서, 리미터는 보다 많은 토크를 전달한다.
또한,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수단은 제 2 플라이휠의 반동 플레이트 아래에서 반경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다. 그 결과, 이들 탄성 수단은 종래 기술의 것보다 온도가 덜 올라가는데, 그 이유는 탄성 수단이 반동 플레이트의 마찰면으로부터 덜 멀리 이격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장치는 토크 리미터의 특성을 보다 잘 제어하고 그리고 그 서비스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 축방향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캐비티는 내부 허브의 냉각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서 허브와 제 1 플라이휠의 제 1 중앙 허브 사이에서 작동하는 베어링 수단의 냉각도 향상시킨다.
정지부 및 카운터정지부는 횡방향으로 배향된 것이 유리하며,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수단은 다수의 나선형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 축방향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수단은 접시형 와셔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이것은 쌍으로된 러그를 분할하는 슬롯에 의해 러그로 분할된 중앙 부분에 의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접시형 와셔를 그 외주연부에 구비하는 피스인 다이아프램의 케이스일 수 있다.
유리하게, 탄성 수단은 접시형 와셔로 구성된다. 접시형 와셔 또는 다이아프램은 그 외주연부에서 정지부와 그리고 그 내주연부에서 카운터정지부와 접촉된다.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수단의 접시형 와셔에 의해서, 토크 리미터의 서비스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토크 리미터가 종래 기술의 것보다 마모에 덜 민감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것은 그 특성 곡선(편향의 함수로서 발휘된 힘)을 보다 잘 제어할 수 있도록 2개의 개별 피스 사이에서 접시형 와셔가 작동되는 사실로부터 야기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이러한 특성 곡선은, 접시형 와셔에 의해 발휘된 최초 로드가 곡선의 최대값, 즉 이러한 최대값에 대응하는 것보다 큰 편향에 대해서 선택될 수 있도록 일부분의 형상이 대체로 사인곡선이다. 본래, 이러한 최초 부하는 특성 곡선의 최대값에 근접하도록 선택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홈의 바닥은 허브로 구성되며, 허브는 제 1 플라이휠에 반대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개방된 캐비티를 형성하기 위해서 내부 고리 아래에서 반경방향으로 중공화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지부는 이러한 캐비티에 내장된다. 따라서, 내부 허브는 내부 링 아래에 감소된 두께부이다. 보다 상세하게, 허브내의 홈의 바닥은 슬리브에 의해 형성되며, 슬리브의 내주연부는 마찰 와셔용의 중심설정 장치로서 작용하며, 슬리브의 외주연부는 내부 와셔용의 중심설정 장치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마찰 와셔는 형상부의 협동에 의해 허브에 대해 회전되게 고정된다.
예를 들면, 정지부는 허브에 형성된 노치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횡단방향으로 배향된 러그로 그 외주연부에서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2개의 러그 및 2개의 노치가 정반대 위치에 제공된다.
따라서, 허브에 형성된 개방 캐비티와, 종래 기술의 토크 리미터와 비교되는 부가적인 피스를 구비하면, 토크 리미터의 기능 및 특성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부피에서 보다 잘 제어되며, 실제로 축방향 부피가 약간 감소된다. 그 결과, 동일한 부피에 있어서, 홈의 측면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고리의 관련 면중 적어도 하나는 전달되는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절두원추형 형상을 갖고 있을 수 있다. 캐비티의 바닥내에, 즉 허브내에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토크 리미터 보다 잘 냉각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허브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구비하고 있는 댐퍼 플레이트에 의해서 내부 고리 아래에 감소된 두께부를 갖고 있다. 이것은 반동 플레이트의 중심설정 장치로서 작동하는 댐퍼 플레이트의 외주연부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댐퍼 플레이트의 외주연부는 내부 고리의 외주연부를 제 1 플라이휠쪽으로 회전된 반동 플레이트의 횡방향면에 연결하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표면과 긴밀하게 접촉된다.
셰이빙은 고리와 댐퍼 플레이트의 마찰 접촉을 형성한다. 이들 셰이빙을 방출하기 위해서 댐퍼 플레이트의 주연부에 노치가 제공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마찰 와셔는 그 정지부에 의해 카운터정지부와의 형상 협동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면 정지부는 카운터정지부에 제공된 관련 구멍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러그를 구비한다.
변형예에 있어서, 카운터정지부는 정지부의 러그가 결합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U자 형상인 접시형 부분을 구비한다. 이러한 해결책은 허브가 수정되지 않고 유지되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유사하게, 허브의 댐퍼 플레이트에 의해 반동 플레이트를 중심설정하는 해결책은 허브가 중심설정 슬리브를 구비하지 않아서 반경방향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운터정지부는 마찰 와셔용의중심설정 장치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카운터정지부에 제공된 2개의 관련 구멍 또는 접시형 부분에 결합된 상술한 적어도 두 개의 러그를 구비하는 정지부를 마찰 와셔상에 제공하면 된다.
댐퍼 플레이트는 허브와는 별개일 수 있는 반면에 예를 들면 오버몰딩 또는 크림핑에 의해 허브에 고정된다.
이러한 것은 반동 플레이트에 오버몰딩 또는 크림핑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내부 링에도 적용된다. 이것은 내부 고리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축방향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댐퍼 플레이트 또는 내부 고리는 모든 수단에 의해서 각기 허브 및 반동 플레이트와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고리는 금속으로 제조된다. 이것은 댐퍼 플레이드에도 적용된다. 댐퍼 플레이트는 예를 들면 니켈 또는 몰리브덴 기제의 감마층으로 피복된다. 이들 피스는 담금질 조작에 의해 경화된 판금으로 제조되는 것이 경제적이다. 이러한 모든 것은 내부 고리가 예를 들면 주철의 반동 플레이트로 성형되어 제조된 내부 고리보다 덜 마모된다.
하기의 설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축단면도,
도 2는 도 1의 하부 부분내의 리미터의 확대도,
도 3은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탄성 부재를 부분 절취한 상세도,
도 4는 제 2 플라이휠의 허브를 도 1의 화살표(4)의 방향에서 본 도면,
도 5는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부분 축단면도,
도 6은 예시적인 제 3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도 5와 유사한 도면,
도 7은 예시적인 제 4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도 1과 유사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캐비티 10 : 홈
12 : 제 1 플라이휠 13 : 제 2 플라이휠
16 : 반동 플레이트 17 : 마찰면
18 : 내부 허브 19 : 토크 리미터
24, 25 : 탄성 부재 또는 스프링 46 : 마찰 수단
71 : 카운터정지부 72 : 지지 피스
100 : 내연 기관 101 : 입력 부재
160 : 고리 180 : 댐퍼 플레이트
181 : 제 1 측면 185 : 노치 271 : 정지부
280 : 마찰 와셔 285 : 구멍
도면에 있어서, 이중 댐핑 플라이휠(11)은 자동차의 내연 기관의 크랭크샤프트와, 전동 시스템의 입력 부재, 즉 기어박스의 입력 샤프트 사이에서 작동한다.
간략성을 위해서, 공통적인 구성요소에는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다.
내연 기관을 전동 시스템에 결합시키기 위한 토션 플라이휠인 이중 댐핑 플라이휠은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마찰 장치(46)에 반대인 축대칭(X-X)의 공동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서 회전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공동 축을 가진 제 1 플라이휠(12) 및 제 2 플라이휠(13)과,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2 769 062 호로서 공지된 프랑스 특허 출원 제 97 12115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대략 반경방향 배향의 탄성 댐핑 장치(15)를 구비하며, 상기 공보는 참고로 본원에 인용한다.
따라서,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댐핑 장치(15)는 관절 축(Y-Y)을 규정하는 것으로 원통형 구멍(42)을 구비하는 제 1 관절 피스(29)가 그 외부 주연에 제공된 제 1 소조립체(27)에 속하는 케이싱(26) 내측의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스프링(24)을 둘러싼다. 제 1 관절 피스(29)는 관형 케이싱(26)에 용접함으로써 부착된다.
또한, 탄성 댐핑 장치(15)는 2개의 동심 나선형 스프링(24, 25)을 포함하는 제 2 소조립체(30)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24, 25)은 관절 축(Z-Z)을 규정하는 것으로 원통형 보어가 제공된 제 2 관절 피스(34)가 제공된 로드(32)상에 장착되고 상이한 강도를 갖고 있다.
스프링(24, 25)은 케이싱(26) 내측에 배치된 로드(32)의 상단부에 위치된 제 1 정지부(36)에 속하는 피스톤(37)상에 지지된다. 가이드 링(41)은 피스톤(37)의 외주연부상에서 용접에 의해 금속 로드(32)에 성형되어 있다.
스프링(24)은 스프링(25) 및 로드(32)를 둘러싸며, 제 1 관절 피스(29)를 지지하는 것과 반대로 케이싱(26)의 단부(39)에 고정된 제 2 정지부(38)상에 지지된다. 제 2 정지부(38)는 가소적으로 변형가능하며, 케이싱(26)의 바닥 단부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 바닥부(51)를 포함한다. 로드(32)는 바닥(51)을 통해 통과한다. 소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수단이 바닥부(51)와 스프링(24) 사이에 배치된다. 이 수단은 반경방향 거리에서 로드(32)를 둘러싸는 스커트를 구비하며 횡방향 환형 림(62)이 설치된 컵(61)을 구비하며, 가장낮은 강도의 스프링(25)의 단부는 상기 림상에 지지된다.
가이드 링(64)은 로드(32), 바닥부(51) 및 컵(61)에 의해 규정되는 체적내에 위치된다. 컵(61)은 스프링(24)의 접촉을 위한 오목한 단면 형상을 가진 환형 와셔를 구비한다. 이 컵은 소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부품이다. 본래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2 769 062 호로서 공지된 프랑스 특허 출원 제 97 12115 호의 변형예인 다른 실시예가 본 발명에 적용가능하다.
각 장치(15)에 있어서, 그 개수는 적용에 따라 좌우되며, 저널(45)은 제 2 플라이휠(13)의 내주연부에 리벳이음된다. 이러한 저널(45)은 제 2 매스라고도 하는 제 2 플라이휠(13)에 속하는 내부 허브(18)상에 위치된다. 참조부호를 부여하지 않은 베어링은 저널(45)의 외주연부와 제 2 관절 피스(34)의 원통형 보어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다. 유사하게, 저널(44)은 제 1 매스라고 하는 제 1 플라이휠(12)에 속하는 횡단 요소(14)의 외주연부에 위치되어 있다. 참조부호를 부여하지 않은 베어링은 저널(44)의 외주연부와 제 1 관절 헤드(29)내의 구멍(42)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각 댐핑 장치(15)는 2개의 축(Y-Y 및 Z-Z)에서 제 1 플라이휠(12)과 제 2 플라이휠(13) 사이에서 관절될 수 있게 장착된다. 2개의 플라이휠(12, 13) 사이의 모든 상대적인 원주방향 운동은 스프링(24, 25)의 압축시에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아이들 위치를 위한 반경방향 배향에서 종료하는 각 탄성 댐핑 장치가 연신되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2 769 062 호로서 공지된 프랑스 특허 출원 제 97 12115 호, 특히 반경방향으로 작동하는 스프링(24, 25)의 압축을 나타내는 도 1을 참조하면 된다.
또한,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2 769 062 호로서 공지된 프랑스 특허 출원 제 97 12115 호의 도 2에 있어서, 제 2 플라이휠(13)은 기어박스의 입력 샤프트인 전동 시스템의 입력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는 마찰 디스크를 구비한 마찰 클러치의 반동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플레이트(16)를 구비한다. 마찰 디스크는 그 외주연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을 구비한다.
마찰 클러치는 그 외주연부에 나사형 구멍을 설치하기 위해서 도 1에서 하나가 참조부호(120)로 표시된 나사에 의해 반동 플레이트(16)에 고정된 커버를 구비한다. 이러한 플레이트(16)는 마찰면(17)을 그 후방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플레이트(16)는 커버를 중심설정하기 위한 스터드(121)를 지지한다. 다이아프램은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압력 프레이트상에서 작동하도록 그리고 마찰 라이닝 또는 라이닝들을 압력 플레이트와 반동 플레이트 사이에 고정하기 위해 중공형 형상인 커버의 바닥상에 지지된다. 통상적으로, 클러치가 결합되면, 내연 기관의 토크는 마찰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 또는 라이닝들을 거쳐서 기어박스의 입력 샤프트로 전달된다. 수동, 자동 또는 반자동 형태의 분리 장치에 의해서 밀려짐으로써 다이아프램의 핑거의 내부 단부상에 작동함으로써, 다이아프램은 클러치를 분리하고 토크의 전달을 차단하도록 피봇시키게 된다. 따라서, 반동 플레이트는 마찰 디스크를 거쳐서 그 마찰면(17)에 의해 전동의 입력 부재에 분리가능하게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1998년 7월 28일자로 출원된 프랑스 특허 출원 제 98 09638 호, 특히 상기 출원의 도 5를 참조하면 되고, 여기에서 다이아프램은 결합 수단의 일 실시예이며, 그에 따라 다른 실시예가 이뤄질 수 있다. 유사하게, 마찰 클러치는 마찰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의 마모를 보상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1998년 7월 28일자로 출원된 프랑스 특허 출원 제 98 09638 호의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제 2 플라이휠 사이에서 작동하는 탄성 부재는 원주방향으로 작동하며, 제 1 플라이휠에 고정된 2개의 가이드 와셔와 제 2 플라이휠(13)의 허브에 고정된 다이아프램 플레이트 또는 중앙 디스크 사이에서 작동하며, 예를 들면 탄성 부재는 제 1 플라이휠(12)에 의해 대부분이 밀봉된 챔버에 유지되는 것과 같이 그 외주연부에 장착된다.
제 1 플라이휠(12)의 횡단 부재(14)는 1998년 7월 28일자로 출원된 프랑스 특허 출원 제 98 09638 호의 도 3 내지 6이나, 마찰 클러치의 박형 실시예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도 7에서와 같이 금속 지지 플랜지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플라이휠(12)은 제 2 허브에 의해서 내연 기관의 출력 구동 샤프트에 고정되어 내연 기관의 크랭크샤프트인 출력 샤프트와 제 1 플라이휠(12)이 구비하는 제 1 허브(6) 사이에 브레이스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횡단 요소(14)는 반동 플레이트(16)와 유사하게 주조성 물질로 제조된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관성 디스크를 형성한다. 플레이트(14, 16)는 주철로 제된다. 모든 경우에, 횡단 요소(14)(플랜지 또는 플레이트)는 마찰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용의 마찰면(17)을 그 후방에 구비하는 반동 플레이트(16)와 평행하다. 탄성 댐핑 장치(15)는 횡단 요소(14)와 허브(18)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또는 원주방향으로 작동하며, 제 2 플라이휠(13)을 중심에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24, 25)는 횡단 요소(14), 플레이트(16) 및 허브(18)에 의해 한정된 공간내에 위치된다. 제 1 플라이휠(12)을 그 중심에 구비하고 있는 제 1 허브(6)에 의해서 반동 플레이트의 축방향 오프셋이 성취된다.
제 2 플라이휠(13)은 평 베어링 또는 볼 베어링 형태의 작은 베어링 수단(8)에 의해 제 1 플라이휠(12)의 제 1 허브(6)상에서 회전하도록 그 허브(18)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제 1 허브(6)는 기어박스의 입력 샤프트인 종동 부재의 자유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파일롯트 베어링(7)을 내부에서 지지한다.
여기에서, 베어링 수단(8)은 제 1 허브(6)의 외주연부와 제 2 플라이휠의 허브918)의 내주연부 사이에서 작동하는 볼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변형예로서, 볼 베어링의 외부 링은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2 749 904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 2 플라이휠의 허브(6)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볼 베어링은 제 1 허브(6)와 허브(18)에 캐패시터 방전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베어링(8)은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2 754 034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 1 허브(6)와 제 2 플라이휠의 허브(18)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작동한다.
모든 경우에, 베어링 수단(8)은 제 1 허브96)에 의해 지지되며, 제 1 플라이휠(12)상의 제 2 플라이휠(13)의 회전 장착을 위해서 제 1 허브96)와 허브(18)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및/또는 반경방향으로 작동한다. 허브(18)는 내부 허브인데, 그 이유는 허브(18)가 플레이트(16)와 허브(18) 사이의 토크 리미터(19)의 간섭으로 반동 플레이트(16)에 의해 둘러싸여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리미터(19)는 반동 플레이트(16)의 내주연부와 허브(18)의 외주연부 사이에서 작동하며, 처리된 강철로 제조된다. 반동 플레이트(1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 허브(18)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허브(18)는 자동차 엔진의 크랭크샤프트에 또는 변형예로서 크랭크샤프트에 고정된 제 2 허브에 제 1 플라이휠을 고정하기 위한 부재(21)의 헤드에 접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도구의 통로용의 통로 구멍(20)을 구비한다.
고정 부재(21)는 나사로 구성되며, 나사의 헤드는 요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요홈부는 나사 도구인 도구와 결합되게 된다. 나사(21)는 통로 구멍(20)과 축방향으로 일치하는 플레이트(14)내에 형성된 구멍(22)을 통해 통과한다.
통로 구멍(20)은 허브(18)의 내주연부에서 베어링 수단(8)(본 실시예에서 단일 열의 볼을 구비한 베어링)상에서 반경방향으로 위치된다.
구멍(20)은 나사 헤드(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있어서 자동차 제조자에 의해 정밀하게 최종적으로 장착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나사 헤드의 직경은 통로 구멍(20)의 직경보다 커서, 나사(21)는 자동차 제조자에게 전용으로 공급된다.
제 1 플라이휠(12)은 자동차의 시동기 링(23)을 그 외주연부에 지지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1 내지 도 4에서, 플레이트(14)의 두께는 그 외주연부가 더 두껍고, 시동기 링(23)은 공지된 방법으로 플레이트(14)를 그 외주연부에 구비하고 있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숄더를 갖는 원통형 표면(123)상에 수축끼워맞춤으로써 장착된다. 또한, 플레이트(14)는 플레이트(14)내에 강제끼워맞춰진 저널(44)을 지지하는 와셔의 형태인 시트(124)를 그 외주연부에 지지하고 있다. 와셔(124)는 플레이트(14)에 리벳(12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14)의 외주연부에는 저널(44)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주조성 물질로 제조된 포크 조인트가 형성되며, 제 1 관절 피스(29)는 플레이트(14)와 와셔(124) 사이에 축방향으로 삽입되며, 저널(44)상에 장착되어 있다.
2개의 피스(29) 사이에서, 플레이트(14)는 제 1 플라이휠(12)의 관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돌기(129)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129)는 선택적으로 돌기(129)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삽입된 탄성 댐핑 장치(15)의 케이싱(26)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대략 삼각형 형상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제 1 허브(6)는 플레이트(14)와 단일편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허브(6)는 플레이트(14)와 단일편으로 주조된다.
본래, 변형예에 있어서 제 1 허브(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횡방향으로 예를 들면 리벳팅에 의해 플레이트(14)에 또는 일반적으로 플랜지(14)에 부착된다.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마찰 수단(46)은 참고로 본원에 인용하는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2 754 034 호에 개시된 형태이다. 이들 수단(46)은 통로 구멍(20) 및 저널(45)상에서 반경방향으로 작동한다.
여기에서, 이들 마찰 수단(46)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제어 와셔(146)를 구비하여 제 2 플라이휠(13)쪽으로 회전된 플레이트(14)의 후방면(114)에 대해 마찰될 수 있게 한다.
와셔(146)는 저널(45)을 연장하는 원통형 스터드(147)의 형태의 축방향 돌기에 의해 제 2 플라이휠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스터드(147) 각각은 와셔(146)를 그 내주연부에 구비하고 있는 스캘럽(참조부호가 없음)에 끼워진다. 그 외주연부에서, 와셔(146)는 치형부 및 스캘럽의 변형으로 형성된 외부 치형부 세트를 구비한다.
마찰 와셔(148)는 제어 와셔(146)를 둘러싸며, 그 내주연부에 치형부 및 스캘럽의 변형에 의해 형성된 한세트의 내부 치형부를 구비하고 있다. 내부 치형부 세트상의 치형부는 외부 세트의 치형부내의 스캘럽을 원주방향 간극을 두고 끼워지고, 반대로 가능하다. 따라서, 마찰 와셔(148)는 제어 와셔(146)와 원주방향 간극을 두고 맞물린다.
와셔(148)는 플레이트(14)의 후방면(114)에 대해 또는 변형예로서 면(114)에 고정된 피스 또는 피복재상에 마찰될 수 있게 한다. 밀폐 와셔(151)는 리벳(152)에 의해서 플레이트(14)에 고정된다. 리벳(152)은 와셔(148)상에 반경방향으로 위치된다.
제어 와셔(146)는 플레이트(14)에 고정하는 영역 아래의 반경방향에서 테이퍼진 와셔(151)의 내주연부와 면(114) 사이에 파지된다. 와셔(151)는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2 754 034 호의 도 17에서 볼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하여, 와셔(151)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다. 어플리케이션 와셔(149)는 리벳(152) 아래의 플레이트(14)상의 돌기내에 형성된 축방향 롬(참조부호가 없음)에 끼워지는 와셔(149)상의 형상 러그(참조부호가 없음)의 협동으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플레이트(14)와 맞물린다. 접시형 와셔인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와셔(150)는 플레이트(14)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장착된 어플리케이션 와셔(149)상에서 작동하도록 그리고 면(114)과 어플리케이션 와셔(151) 사이에 마찰 와셔(148)를 고정하기 위해서 밀폐 와셔(151)상에서 지지된다.
제어 와셔는 밀폐 와셔(151)의 내주연부와 면(114)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파지된다. 2개의 플라이휠(12, 13) 사이의 상대적인 각 운동 동안에, 제어 와셔(146)는 스터드(147)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면(114)과 와셔(151)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마찰된다. 마찰 와셔(148)는 외부 치형부와 내부 치형부 사이의 간극을 보상하기 위해 후에 지연된 방법으로 작동한다.
와셔(148)는 면(114)과 플레이트(1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어플리케이션 와셔(151) 사이의 마찰 효과를 부가하며, 와셔(151)보다 강한 접시형 와셔(150)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것은 상술한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2 754 034 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래, 와셔(148, 146)는 반동 플레이트의 횡단 요소(14)에 의해 지지된다.
이들 모든 장치는 마찰 수단(46)에 대향되게; 한편으로는 통로(20)상에 반경방향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리벳(152) 및 마찰면(17) 아래에 위치된 토크 리미터(19)와 잘 조합된다. 여기에서, 토크 리미터는 마찰 와셔(280)를 구비하며, 그 평균 반경은 축방향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마찰 와셔(148)의 반경과 대략 동일한 것이 유리하다.
보다 상세하게, 관성 디스크를 형성하는 반동 플레이트(16)는 감소된 두께의 횡방향으로 배향된 내부 고리(160)를 면(18) 아래의 반경방향 내주연부에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내부 고리(160)는 환형 홈(10)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댐퍼 플레이트(180) 및 마찰 와셔(280)에 의해 횡방향으로 제한된다. 댐퍼 플레이트(180) 및 와셔(280)는 횡방향으로 배향되며, 그에 따라서 회전축을 구성하는 축(X-X)에 수직이며, 이중 토션 댐핑 플라이휠의 축방향 대칭이다. 홈(10)은 허브(18)에 의해 지지되며, 그 외주연부에서 연장된다.
홈(10) 아래의 토크 리미터(19)는 와셔(72)와,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정지부(71),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수단(70) 및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271)를 구비하며, 상기 정지부(271)는 마찰 와셔(280)에 고정되고, 내부 허브(18)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베어링 수단(8)에 의해 제 1 허브(8)상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카운터(71)는 고정된 와셔(72)에 대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정지부(271)는 마찰 와셔(280)에 대해서 내측으로 연장된다.
고리(160)는 내부 수단(18)에 속하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슬리브(182)의 외주연부(183)에 의해 중심설정되고 환형 형상인 홈(10)의 원통형 바닥을 형성하는 원통형 내부 보어(163)를 구비한다.
따라서, 반동 플레이트(16)는 슬리브상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반면에 반동 플레이트(16)에 의해 둘러싸인 허브(18)의 슬리브(182)에 의해 중심설정되어 있다.
댐퍼 플레이트(180) 및 마찰 와셔(280)는 각각 횡방향으로 배향된 내부 면(181, 281)을 각기 구비하고 있다. 횡방향 내부 면(181, 281)은 서로 대향되어 있고, 환형 홈(10)의 횡방향 내부 측면(181, 281)을 형성한다. 고리(160)는 그 횡방향면에 의해 형성된 횡방향 외부 측면(161, 162)을 구비한다. 횡방향 내부 측면(161, 162)은 한편으로는 카운터정지부(71)상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정지부(271)상에 지지되는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수단(70)의 작용하에서 내부 측면상에 지지 및 마찰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홈(10)의 횡방향 측면(181, 281)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은 절두원추형이다. 그 결과, 고리(160)의 상보적인 외부 측방향 측면의 형상은 테이퍼형이다. 예를 들면 관련 측면(161, 281)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절두원추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허브(18)는 반동 플레이트(16)의 내부 고리(160) 아래에서 반경방향으로 캐비티(9)를 제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도면에 있어서, 허브(18)는 내부 고리(160) 아래의 두께가 감소되고, 캐비티(9)는 제 1 플라이휠에 대향 방향에서 축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된 도면에 있어서, 캐비티(9)는 허브(18)의 댐퍼 플레이트(180)에 의해 내부 허브(18)에 의해 제한된다. 이러한 댐퍼 플레이트(180)는 허브(18)와 단일 피스로 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방법으로 고정됨으로써 허브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허브(18)는 이중 재료 허브일 수 있다.
정지부(271)는 그 외주연부에서 내부 허브(18)에 형성된 캐비티(9)내에 둘러싸여 있다. 캐비티(9)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중공형 형태이다. 캐비티는 이 지점에서 감소된 두께를 가진 허브(18)에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캐비티(9)는 축(X-X)의 슬리브(182)에 의해 외부로 그리고 횡방향으로 즉, 슬리브(182)의 각 측면상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캐비티(9)의 횡방향 바닥을 형성하는 댐퍼 플레이트(180)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억제된다.
이러한 내주연부에서, 중공부(9)는 메인 부분(184)에 대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댐퍼 플레이트보다 두꺼운 것으로 내부 허브(18)의 메인 부분(184)에 의해 억제되며, 통로 구멍(20)은 상기 메인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댐퍼 플레이트(180)는 허브(18)상의 돌기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댐퍼 플레이트(180)는 보다 높은 부분으로서 슬리브(182)를 지지하며, 슬리브의 내주연부는 캐비티(9) 내측에 내장된 정지부(271)에 마찰 와셔(280)를 연결하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부분(173)의 중심설정 장치로서 외주연부에서 작용하여, 횡단 요소(14)에 대향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개방된 캐비티를 형성한다. 캐비티(9)는 성형에 의해 또는 변형예로서 기계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모든 경우에 슬리브(182)의 내주연부를 기계가공하여 중심설정 장치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 외주연부를 관통하는 슬리브(182)는 내부 고리(160)용의 중심설정 장치로서 작동한다.
정지부(271)는 마찰 와셔(280)와 동일한 횡단 평면에서 대체로 연장되는 카운터정지부(71)상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카운터정지부(71)는 제 1 플라이휠(12)에 대향 방향으로 정지부(271)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정지부(271)는 캐비티(9)에 의해서 내부 허브(18)의 두께부에 대략 위치되어 있다. 카운터정지부(71)는 내부 허브(18) 외측의 축방향 돌기에서 그 후방 면과 동일한 측면상으로 연장되고, 제 1 플라이휠(12) 및 탄성 댐핑 장치(15)에 대향 방향으로 회전된다.
정지부(271)는 내부 허브(18)의 메인 부분(184)이 그 외주연부에 구비하고 있는 반경방향 노치(185)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횡단 결합 러그(271)에 의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여기에서, 2개의 러그(272) 및 2개의 노치(185)가 제공된다. 노치(185) 및 러그(272)는 정반대로 대향되어 있다. 따라서, 형상에 따른 맞물림이 러그(272)와 허브(18) 사이에 존재하며, 이에 의해 마찰 와셔(280)는 허브(18)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반면에 특히 마모 현상의 결과로서 허브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래, 러그(272) 및 노치(185)의 개수는 적용에 따라 좌우된다. 노치(185)는 러그(272)의 잼밍을 방지하기 위해서 곡선의 내부 반경방향 단부(도 4)를 구비하고, 타원형 형상이다. 러그(272)는 노치(185)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족 있으며, 장착 간극을 갖고 노치에 끼워진다.
변형예에 있어서, 러그(272) 및 노치(185)는 형상이 상이하다.
러그(272)는 제 1 플라이휠(12)의 방향에서 정지부(271)에 대해서 반경방향으로 그리고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서, 러그(272)는 와셔(72)와 노치(185)의 횡단 바닥(186)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노치(185)는 캐비티(9)의 내측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플라이휠(12)에 대해서 대향 방향인 외측으로 축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것은 캐비티(9)에도 적용되며, 횡단 바닥은 축방향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하도록 댐퍼 플레이트(180)로 구성한다. 여기에서, 축방향 간극은 회전구동시키기 위해서 노치(185)의 대략 횡방향으로 배향된 바닥부(186)와 러그(272) 사이에 존재한다. 따라서, 축방향 간극은 정지부(271)와 댐퍼 플레이트(180) 사이에 존재한다. 러그(272)는 정지부(271)와 단일 피스로 되며, 그 자체가 마찰 와셔(280)와 단일 피스이다.
구성요소(272, 271, 173, 280)는 하나의 동일한 피스에 속하며, 축방향 부피 및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가압 판금으로 제조된다.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수단(70)은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반동 플레이트의 내부 고리(160) 아래에 위치되며,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키고 마찰 와셔(280)상에서 와셔(70)에 의해 발휘되는 로드를 양호하게 제어하기 위해 접시형 와셔로 구성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접시형 와셔(70)는 다이아프램으로 대체된다. 모든 경우에, 와셔(70)의 축방향 부피는 최소로 된다. 본래,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수단은 "onduflex" 와셔 형태의 주름형 탄성 와셔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카운터정지부(71) 및 정지부(271)는 동일한 원주상에 대략 위치되며, 환형 형상이다.
또한, 카운터정지부(71)는 그 지지 와셔(72)와 단일 피스로 되며, S자형 단면을 가진 결합 영역(73)에 의해 와셔의 외주연부에 결합되어 있다. 와셔(72)는 가압 판금으로 제조되며, 나사(21) 및 나사 도구 또는 도구들의 통과를 위해 통로 구멍(20)이 축방향으로 정렬된 스칼랩(74)을 그 내주연부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와셔(72)는 스칼랩(74)과 원주방향으로 교호하는 구멍(74)을 갖고 있으며, 구멍(20) 및 스칼랩(74)의 것보다 큰 평균 원주상에서 반경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다. 노치(185)는 2개의 구멍(174)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정반대 구멍(20)상에 반경방향으로 위치되며, 각 구멍은 내부 허브(18)에 형성된 구멍(274)과 축방향으로 일치한다. 따라서, 내부 허브(18)는 도 4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기계적인 강도를 갖고 있으며, 노치(185)는 구멍(174, 274)의 것보다 큰 평균 원주상에 대략 위치되어 있다. 접시형 와셔(70)는 마찰 와셔(280)를 댐퍼 플레이트(180)의 방향으로 강제하기 위해서 정지부(271)상에서 그 외주연부가 그리고 카운터정지부(71)상에서 그 내주연부가 지지된다. 바람직하게, 와셔(7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저널(45)에 의해 허브(18)에 와셔(72)를 리벳에 의해 고정시키기 전에 장착된다.
러그(272)와 노치(185)의 횡단 바닥(185) 사이의 축방향 간극에 의해서, 와셔(280)는 댐퍼 플레이트(180)의 방향으로 본래 경사질 수 있으며, 다음에 탄성 와셔(70)의 작용하에서 보강되어 고리(160)의 외부면을 완전히 추종하며, 그 다른 외부 면(162)은 댐퍼 플레이트(180)의 기계가공된 내부 면(181)상에 완전히 지지된다. 따라서, 토크 리미터(19)의 성능 및 서비스 수명은 홈(10)의 기계가공된 외부 횡단면(161, 162) 사이의 최대 접촉을 이룸으로써 개선되며, 고리(160)는 축(X-X)에 대향 방향에서 외측쪽에서 반경방향으로 개방된 홈(10)의 측면(181, 281) 사이에 동축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모든 것은 피스(71 내지 73, 271, 272, 273, 280)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수단(70)의 분리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축방향 부피는 증가도지 않으며, 반대로 이러한 부피는 약간 감소된다. 따라서, 상술한 방법에 있어서, 측면(181, 281)중 적어도 하나와 외부 측면(162, 161)중 적어도 하나는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축방향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형상이 절두원추형으로 될 수 있다. 또한, 탄성 수단(70)은 마찰면(17)으로부터 더 멀리 있으며, 그에 따라서 이들이 고리(160) 아래에 반경방향으로 위치되고 캐비티(9)에 부분적으로 끼워지기 때문에 덜 고온으로 된다.
여기에서, 와셔(280) 및 카운터정지부(71)는 마찰면(17)과 동일한 평면에 대략 위치되며, 내부 허브(18)는 마찰면(17)에 대해서 횡단 요소(14)의 방향에서 약간 축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따라서, 토크 리미터(19)는 마찰 수단(46)과 유사하며, 이러한 리미터는 카운터정지기(71)를 구성하는 제 2 와셔를 반경방향으로 둘러싸는 제 1 마찰 와셔(280)를 구비한다.
와셔(71, 280)는 대략 동일한 평면에 있다. 이들 와셔(71, 280)는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수단(7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저널(45)은 그 단부중 하나에서 마찰 수단(46)을 그리고 타 단부에서 카운터정지부(71)를 회전가능하게 구동시키며, 마찰 와셔(148)의 평균 직경은 마찰 와셔(280)의 것과 대략 동일하다. 이러한 방법에서, 이중 댐핑 플라이휠내에서 힘의 양호한 분포와 최소 축방향 부피가 이뤄지며, 케이싱(26)은 내부 허브(16)의 메인 부분(184)상에서 그리고 제어 와셔(146)의 작동 표면상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저널(45)은 와셔(72)와 그에 따른 허브(18)의 카운터정지부(71)를 리벳팅에 의해 고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여기에서 저널(46)은 칼라(145)를 구비하여, 마찰 수단(46)과 플레이트(14)쪽으로 회전된 내부 허브(18)의 횡단면과 접촉하게 된다. 칼라(145)는 정렬된 구멍(274, 174)을 통해 통과하는 본체에 의해 연장되어 있다. 본체는 지지 와셔를 지나서 그 자유 단부에 헤드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헤드는 와셔(72)를 저널(45)에 의해 허브(18)에 리벳팅함으로써 고정시키기 위해 와셔(72)와 접촉시에 압착된다. 따라서, 와셔(72)는 내부 허브(18)에 고정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와셔(72)는 저널(45)과 구별되는 고정 수단에 의해서 허브(18)에 고정되어 있다.
플레이트(14)쪽으로 회전된 댐퍼 플레이트(180)의 면은 플레이트(14)쪽으로 회전된 플레이트(16)의 횡단면과 대략 동일한 평면에 있다. 토크 리미터(19)는 내부 허브(18)내에 형성된 캐비티(9)에 의해 플레이트(16)의 두께부에 대략 위치되어서, 허브(185)의 부분(184)과 베어링(8)의 냉각을 증진시킨다.
또한, 저널(185)의 압착된 헤드는 반동 플레이트(16)의 두께부에 대략 위치된다. 홈(10)은 내부 허브(18)에 의해 제한된 주 범위에 있으며, 댐퍼 플레이트(180)와 구별되고 그에 따라 허브(18)와 구별되는 마찰 와셔(280)에 의해 형성된 횡방향 측면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와셔(280)는 댐퍼 플레이트(180)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반면에, 내부 러그(272) 및 노치(185)에 의해서 허브(18)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마찰 와셔(280)는 카운터정지부(71)를 둘러싸는 반면에, 탄성 수단(70)은 마찰 와셔(280)와 지지 와셔(72)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고리(160)의 축방향 위치는 댐퍼 플레이트(180)의 두께에 따라 좌우된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 장치(15)는 매우 큰 반경방향 길이를 갖고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허브(18)는 정지부(271)를 둘러싸도록 중공형이다.
본래, 카운터정지부(71) 및 정지부(271)는 예를 들면 슬롯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마찰 와셔(280) 및 와셔(72)는 환형 섹터로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마찰 와셔(280)의 각 섹터는 적어도 하나의 러그(272)를 갖고 있다. 변형예에서, 카운터정지부(71) 및 정지부(271)는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서 예를 들면 각기 와셔(72)에 그리고 와셔(280)에 고정식으로 부착된다.
본 발명에 의해, 동일한 축방향 부피에 있어서 마찰 커버링 및/또는 라이닝은 한편으로는 고리(160)와 다른 한편으로는 홈(10)의 측면과 바닥 사이에서 작동할 수 있다. 동일한 것은 다른 도면에도 적용된다. 따라서, 마찰 커버링 및/또는 라이닝의 마찰의 계수가 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보다 많은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토크 리미터는 자동차 내연 기관이 시동될 때 작동하고,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서 정지된다. 내부 허브(18)에 대한 반동 플레이트(16)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은 공진 주파수가 통과하는 이들 조건하에서 이뤄질 수 있다.
자동차가 주행중인 경우에, 반동 플레이트(16)와 내부 허브(18) 사이에서는 상대적인 운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들 모든 현상은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수단(70)에 의해 제어되어 홈(10)내의 고리(160)의 소정의 고정이 가능하게 한다.
토크 리미터는 상술한 프랑스 특허 출원 제 98 09638 호의 도 5의 실시예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중 댐핑 플라이휠과 결합된 전기 기계와 잘 조합되는데, 그 이유는 토크 리미터의 특성을 제어할 필요가 있도록 제 1 플라이휠(12)의 관성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도 1은 엔진의 출력 샤프트(100)와 기어박스의 입력 샤프트(101)를 도시한 것이며, 마찰 디스크의 허브는 제 1 허브(6)를 관통한다.
본래, 스프링(24, 25)은 저널(44, 45)상에 관절 장착된 타이 로드를 구비한 당김 스프링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선형 스프링의 경우일 수 있으며, 스프링의 단부 루프는 저널(44, 45)상에 장착된다.
탄성 부재(24, 25)는 횡단 요소(14)와, 제 1 플라이휠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내부 허브(18) 사이에서 모든 경우에 작동하다.
마찰 수단(46)은 또한 베어링(8)의 레벨에서 작동할 수 있다.
본래, 고리(160)는 예를 들면 오버몰딩 또는 크림핑에 의해서 반동 플레이트(16)에 부착될 수 있다. 고리(160)는 예를 들면 플레이트(16)내에 부분적으로 매립되며, 그에 따라 플레이트에 끼워지는 외부 연장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연장부는 고정을 완료하기 위해 구멍 및/또는 돌기가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오버몰딩 동안에, 플레이트(16)의 재료는 구멍에 끼워지고 및/또는 돌기를 피복한다. 플레이트(16)에 모든 경우에 고정된 이러한 고리(160)는 반동 플레이트(16)의 내주연부와 내부 허브(18)의 외주연부 사이에서 작동하는 토크 리미터(19)에 속하며, 입력 전동 부재(101)에 회전가능하고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마찰면(16) 아래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유사하게, 댐퍼 플레이트(180)는 내부 허브(18)의 메인 부분(184)에 용접, 오버몰딩 또는 크림핑에 의해 고정식으로 부착되어 캐비티(9)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부착된 고리(160) 또는 부착된 댐퍼 플레이트(180)는 플레이트(16)와 허브(180)를 제조하는 재료와 각기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어서 이들은 이중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고리(160) 또는 댐퍼 플레이트(180)를 부착시킴으로써 이들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서 리미터의 축방향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리(160)는 강철이나, 주철보다 적게 마모되는 모든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재료는 보다 바람직한 마찰 계수를 갖고 있을 수 있다. 모든 토크 리미터에 적용할 수 있는 이러한 장치에 의해서, 마모는 특히 고리상에서 감소되며, 허브 및 고리도 동일한 방법으로 마모된다. 그에 따라 고리(160) 또는 댐퍼 플레이트(180)는 하나의 변형 금속으로 된다. 고리(160) 또는 댐퍼 플레이트(180)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감마층으로 피복된 가압 판금으로 제조된다. 예를 들면 국부적으로 거칠게 되거나 니켈 또는 몰리브덴의 층으로 피복될 수 있다.
와셔(72)는 카운터정지부(71)에 있어서 지지 피스이다. 배기 핀(fin)은 셰이빙 및 굽힘에 의해서 이러한 와셔(72)내에 형성될 수 있다.
환형 홈(10)내의 고리(160)의 양호한 파지 및 고정을 위해서 정지부(271)와 내부 허브(18) 사이에는 축방향 간극이 존재한다.
배기 수단을 형성하기 위해서, 댐퍼 플레이트(180)는 캐비티(9)의 레벨에 구멍을 구비하여 배기를 개선하고 토크 리미터(19) 및 베어링 수단(8)을 보다 잘 냉각시키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댐퍼 플레이트(180)내의 구멍은 허브(18)의 중공부를 벗어나 개방되어 있다.
도면에서, 정지부(71) 및 카운터정지부(71)는 서로 평행하게 횡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변형예로서, 정지부(271) 및 카운터정지부(71)는 측면(261, 281)이 경사진 경우에 특히 경사질 수 있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 수단(70), 정지부(271) 및 카운터정지부(71)는 홈(10) 아래에 그리고 그에 따라 반동 플레이트(16) 아래에 반경방향으로 위치된다. 스터드(147)는 카운터정지부(71) 또는 정지부(271)용의 지지 피스 또는 피스들(72)을 고정하기 위한 부재(45)의 돌기를 구성한다.
도면에서, 반동 플레이트(16)의 두께는 일정하며, 그 고리(160)는 감소된 두께를 갖고 있다.
변형예로서, 플레이트의 두께는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리미터 및 허브의 냉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구멍이 예를 들면 와셔(72)의 결합 영역(73)에 제공될 수 있다. 이들 구멍은 리미터의 레벨에 위치된 배기 수단에 속한다.
캐비티(9)의 내부 반경방향 에지는 마찰 와셔(280)용의 중심설정 장치로 작용하며, 다음에 정지부 또는 정지부들(271)로부터 내측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것은 마찰 와셔가 절두원추형 형상을 갖는 경우 적당하다. 결합 영역은 축(X-X)으로부터 빠져나가서 마찰면(17)을 오염시킬 수 있는 오일의 누설을 방지하는 전향장치를 형성하도록 접시형으로 될 수 있다.
본래, 홈의 바닥은 내부 허브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와셔(280)를 구성하여, 도 2에 도시된 슬리브(182)를 제거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축방향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동일 내경에 있어서, 접시형 와셔(70)의 사이즈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변형예로서, 고리(160)의 내경과, 반동 플레이트(16)의 마찰면(17)의 내경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 있어서, 반동 플레이트(16)는 내부 허브(18)의 댐퍼 플레이트의 외주연부에 의해 중심설정되며, 슬리브가 없기 때문에 간단한 형상을 갖게 된다.
이를 위해서, 반동 플레이트(16)는 플레이트(16)의 제 1 플라이휠(12)쪽으로 회전되는 횡방향 면(163)을 고리(160)의 면(161)의 외주연부에 연결하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표면(164)을 구비한다. 이것은 댐퍼 플레이트(180)의 면(181)과 마찰 협동하도록 의도하는 면(161)이다. 따라서, 표면(164)은 댐퍼 플레이트(180)의 외주연부와 긴밀하게 접촉하게 되며, 그에 따라서 고리(160)를 형성하도록 그 내주연부에서 플레이트(16)내의 두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형성된다. 다음에, 도 1 내지 도 4에서 이뤄질 수 있는 것과 달리 표면(164)이 그 유출을 방지하기 때문에 면(161, 181) 사이의 접촉에 의해서 형성된 절취부의 유출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댐퍼 플레이트(180)는 그 외주연부를 벗어나 개방되는 노치(269)를 구비하고 있다. 노치(269)의 형상은 예를 들면 반달형이다. 따라서, 허브(18)는 고리(160) 아래의 반경방향으로 감소된 두께를 갖고 있으며, 마찰 와셔(280)에 속하는 정지부(271)를 둘러싸도록 고리(160) 아래의 캐비티(9)를 그 댐퍼 플레이트(180)에 의해 제한한다. 이러한 정지부(271)는 경사진 부분(273)에 의해 마찰 와셔(280)에 결합된다. 부분(273)은 댐퍼 플레이트(180) 및 와셔(280)에 의해 제한되는 홈의 바닥을 형성한다. 따라서, 바닥(273)은 고리(160)를 위한 중심설정 장치로서 작동하지 않는다.
이러한 변형예에 있어서, 마찰 와셔(280)와 단일 피스인 정지부(271)는 카운터정지부(71)와 단일 피스로서 와셔(7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부(271)는 와셔(72)를 카운터정지부(71)에 연결하는 영역(73)에서 형성된 관련 구멍(285)을 통해 통과되는 적어도 하나의 러그(272)에 의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영역(73)은 대략 축방향으로 배향되며, 제 1 플라이휠에 대향된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2개의 러그(272) 및 2개의 관련 구멍(285)이 정반대로 제공되며, 러그(272)는 구멍(285)내에 축방향 간극을 두고 결합된다.
본래, 모든 조합이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와셔(28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16)내의 노치(185)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러그(272)를 구비하는 반면에, 반동 플레이트(16)의 중심설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 플레이트(180)에 의해서 실행된다.
변형예(도 7)에 있어서, 도 5의 구멍(285)은 예를 들면 결합 영역(73)내에 형성된 것과 같은 U자 형상인 중공 접시형 부분(385)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러그(272)는 와셔(280)를 축방향 이동성을 갖게 허브(18)에 회전 결합시키는 접시형 부분에 끼워진다.
도 5 내지 도 7에 있어서, 허브는 캐비티(9)를 제한하기 위해서 그 외주연부에서의 두께가 감소되어 있다. 이것은 제 1 플라이휠(12)에 대향방향으로 축방향으로 개방된 이러한 캐비티(9)를 고리(160)로 제한하는 댐퍼 플레이트(180)이다.
댐퍼 플레이트(180)는 캐비티(9)를 개방하기 위한 낮은 높이의 카운터정지부(71)에 의해 모든 도면에서 제한되는 캐비티(9)의 바닥을 형성한다.
변형예에 있어서, 카운터정지부(71) 및 결합 영역(73)은 허브(18)와 단일 피스일 수 있으며, 허브와 단일 피스로 주조된다. 이를 위해서, 유리하게 반동 플레이트(16)는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댐퍼 플레이트(180)에 의해 중심설정된다. 다음에,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수단은 캐비티(9)내에 장착시키기 위해 개방된 주름진 와셔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와셔는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2 747 441 호에 개시된 것과 유사하게 와셔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정지부(271)는 캐비티(9)내에 비스듬하게 장착되며, 단일 러그(272)가 제공된다.
리미터의 얇은 두께부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플라이휠은 상술한 방법으로 축(X-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환형 커버(90)와, 커버(9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공지된 방법으로 접선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일 단부가 압력 플레이트(91)에 그리고 타 단부가 커버(90)에 고정된 축방향으로 탄성적인 텅(92)에 의해서 커버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력 플레이트(91)를 포함하는 클러치 장치(도 7)와 결합될 수 있다. 다이아프램(93)은 압력 플레이트(91)와 커버(90) 사이에 삽입되어 클러치 마찰 장치라고도 하는 마찰 디스크(87)를 압력 플레이트(91)와 반동 플레이트(16)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해 압력 플레이트상에서 축방향 트러스트를 발휘하게 한다. 다이아프램(93)은 부착 수단(94)을 이용하여 커버(90)에 틸팅식으로 장착된다.
부착 수단(94)은 불연속적이며, 커버(90) 및 다이아프램(93)상에서 압력 플레이트(91)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압력 플레이트는 부착 수단(94)과 축방향으로 정렬된 관통 구멍(95)을 구비하며, 상기 부착 수단은 관통 구멍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다이아프램(93)은 대략 중공의 접시 형태인 중공형 커버(90)상에 지지된다. 보다 상세하게, 부착 수단(94)은 커버(90)의 바닥에 의해 지지되며, 바닥은 중심 구멍을 구비한다.
관통 구멍(95)은 반동 플레이트(16)의 마찰면(17)에 면하는 압력 플레이트(91)의 면상에서 외측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이러한 압력 플레이트(91)의 면은 마찰면(97)이다.
관통 구멍(95)을 구비하는 압력 플레이트(91)는 압력 플레이트(91)와 단일 피스로 형성되고 보강 고리라고도 하는 내부 보강 고리(98)에 의해 보강된다. 이러한 고리는 필요한 경우에 고리(160)와 동일한 방법으로 플레이트(91)에 오버몰딩, 크림핑 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구멍(95)은 다이아프램(93)의 방향으로 분사된 형상이다. 여기에서, 구멍(95)은 그 형상이 실질적으로 절두원추형이며, 그 가장넓은 단부는 다이아프램(93)과 동일한 측면상에 있다.
다이아프램(93)을 커버의 바닥에 부착시키기 위한 수단(94)은 셰이빙 및 접는 것에 의해서 커버(90)로 제조된 러그(99)를 포함한다. 러그는 조립체의 축(X-X)에 대향 방향에서 반경방향으로 그 자유 단부가 접혀진다. 이들 러그(99)는 절두원추형 형상부(84)의 링을 중심설정하기 위해서 커버(90)의 바닥부(86)내에 가압시킴으로써 형성된 제 1 접촉부(85)에 반대로 다이아프램(93)용의 제 2 접촉부를 지지한다.
러그(99)는 다이아프램, 또는 보다 상세하게 그내의 보다 넓은 오리피스를 통해 통과한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2 585 424 호를 참조하면 된다.
변형예로서, 부착 수단은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2 456 877 호의 도 7 내지 도 14의 형태일 수 있으며, 관통 구멍(95)내에 결합된 기둥 또는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멍(95)은 접혀진 단부를 구비한 러그(99)의 형상과 잘 조합된다. 마찰 디스크(87)는 허브(187)를 구비하며, 상기 허브(187)에는 반동 플레이트(16) 및 마찰 플레이트(91)의 마찰면 사이에 고정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그 면 마찰 라이닝(89)의 각각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되는 금속 지지부(88)가 고정된다. 허브(187)는 제 1 플라이휠(12)의 허브(6)에 끼워진다. 허브(6)는 플랜지(14)에 리벳팅에 의해 부착된다. 허브(87)는 사인곡선 형상의 댐퍼 플레이트(287)를 구비하여 리미터(19)를 억제한다. 지지부(88)는 리미터용의 간극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 2 플라이휠에 대향된 방향으로 그 내주연부에서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으며, 또한 다이아프램의 핑거는 댐퍼 플레이트(287)에 가능한한 근접하게 되고 보강 고리(98)와의 모든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인곡선 형상을 갖고 있다.
분리 장치는 축방향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국제출원 공개 제 WO 98/13613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동심 형태의 유압식으로 제어되는 클러치 분리 베어링(200)을 포함한다. 따라서, 클러치 분리 베어링(200)은 단부 플랜지[본 실시예에서는 너트(205)]에 의해서 본체(203)에 밀봉식으로 고정된 가이드 튜브(204)를 둘러싸는 외부 본체(203)에 의해 제한되는 가려진 캐비티(202)를 축방향 내측으로 활주시키도록 장착된 피스톤(201)에 고정된다. 튜브(204)의 플랜지는 대략 횡방향 배향이며, 캐비티(202)의 바닥을 한정한다. 가이드 튜브(204)는 이를 통해 관통하는 기어박스의 입력 샤프트를 구비하며, 피스톤(201)을 축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본체(203)보다 축방향으로 길다. 본체(203)는 자동차의 고정된 부분, 즉 기어박스의 케이싱에 고정된다.
이러한 피스톤은 후방에 밀봉 조인트를 그리고 전방에 스크래퍼 조인트(도 7에는 참조부호가 없음)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203)에는 발신기에 연결된 캐비티(202)에 서플라이 입구(206)가 제공되어 있다. 입구는 캐비티(202)의 바닥이 개방되어 있다. 보호 벨로우즈(참조부호가 없음)에 의해 둘러싸인 사전장전형 스프링이 또한 제공된다. 사전장전형 스프링은 본체(203)상에서 숄더상에 지지되며, 클러치 분리 베어링(200)을 구성하는 볼 베어링의 비회전 배관상에서 작동한다. 이러한 베어링의 회전하는 배관은 다이아프램(93)의 핑거의 내부 단부상에서 푸싱에 의해 작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이것은 회전되며,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고 서로 평행한 2개의 횡방향 에지(208, 209)를 구비하는 외부 배관이다. 이들 에지는 베어링 볼을 수납하도록 형성된 환형 부분(210)에 의해 서로 축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에지(208, 209)는 그 각 축방향 단부에서 부분(210)의 각 측면상에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하나 및 동일한 클러치는 상이한 사이즈의 2개의 다이아프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들 다이아프램의 핑거는 도 7에 도시된 에지(208)나 점선으로 부분 도시된 에지(209)중 어느 하나와 그 단부를 통해 협동할 수 있다. 이것은 댐퍼 플레이트(287)에 가장 근접한 에지(209)가 허브 댐퍼 플레이트(287)의 횡방향으로 배향된 외주연부를 허브(187)에 연결하는 곡선 부분(288)에 대향되게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와셔(289)는 내부 배관인 비회전 베어링 배관의 횡단 에지(290)를 피스톤(201)에 연결한다. 와셔의 일부분은 상기 에지상에서 그 외주연부에서 접촉시에 접시형 와셔의 형태이다. 그 내주연부에 있는 접시형 와셔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러그(291)를 구비하며, 각각 후크의 형상인 자유 단부는 피스톤의 두께부에 형성된 관련 가려진 축방향 슬롯(참조부호 없음)에서 결합된다. 슬롯은 러그보다 넓어서 관련된 러그상의 후크의 통과흘 허용한다. 축방향 슬롯은 축방향 슬롯의 바닥에서 개방된 경사진 슬롯에 의해 피스톤의 외주연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슬롯의 교차부에는 돌기(참조부호 없음)가 형성되어 있고, 관련된 러그의 후크는 상기 돌기상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와셔(289)는 피스톤상으로 스냅됨으로써 가려져서 장착된다. 캐비티가 가압되는 경우에, 클러치는 결합되고, 다음에 라이닝(89)은 플레이트(16, 91) 사이에 고정된다. 정지부(200)가 유압 리시버에 속하기 때문에, 캐비티(202)에 결합된 발신기로부터 캐비티(202)를 가압함으로써 정지부(200)는 도 7에서 좌측으로 이동되며, 이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접촉부를 중심으로 다이아프램이 피봇되게 한다. 다음에, 라이닝(89)이 분리된다. 도 7의 상부 부분에서, 클러치는 분리된 위치[자유 라이닝(89)]에 도시되어 있는 반면에, 도 7의 바닥 부분에는 라이닝(89)이 고정되어 있다. 캐비티(202)를 가압함으로써, 피스톤(201)은 사전로딩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다이아프램에 의해 발휘되는 리턴 작용하에서 최초 위치로 리턴된다. 이러한 모든 것은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들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국제출원 공개 제 WO 98/13613 호를 참조하면 된다. 조립체의 박형화가 이해될 수 있다.
도 7에 있어서, 플랜지(14)는 저널(44) 및 시동기 링(23) 뿐만 아니라 와셔(124)를 지지하는 매스(140) 자체를 그 외주연부에서 지지한다. 제 1 플라이휠의 허브(6)는 플랜지(14)의 내주연부에 리벳팅에 의해 고정된다.
매스(140)는 플랜지(14)가 간략화되도록 마찰 매스(146)를 위한 축방향 홈을 그 내주연부에 구비하고 있다. 본래, 유압 제어는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캐비티는 가이드 튜브 단독으로만 형성될 수 있다.
본래, 모든 조합이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반동 플레이트(16)는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댐퍼 플레이트(180)에 의해 중심설정되어, 슬리브(182)가 반동 플레이트(16)용의 중심설정 장치로서 작용할 필요는 없다.
모든 경우에, 정지부(71)를 마찰 와셔에 연결하기 위한 부분(173)은 캐비티(9)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있다.
모든 도면에 있어서, 정지부(71)와 내부 허브(18) 사이 또는 보다 상세하게 정지부(71)와 마찰 와셔(280)를 고정하기 위한 내부 허브의 댐퍼 플레이트(180) 사이에 축방향 간극이 존재한다.
도 7에서, 구멍은 허브 댐퍼 플레이트(287)내에 그리고 다이아프램(93)내에 제공되며, 나사 헤드(21)에 접근하기 위한 구멍(20)과 동축으로 일치하며, 이중 댐핑 플라이휠과, 그 커버 및 다이아프램이 자동차 엔진의 크랭크샤프트상에 장착되는 마찰 클러치를 포함하는 모듈을 형성한다.
도 7에서, 간략성을 위해서 커버(90)를 반동 플레이트(16)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는 도 1에 도시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토크 리미터의 기능은, 탄성 수단이 2개의 개별 피스에 속하는 것으로 가능한 분할된 정지부와 카운터정지부 사이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수단에 의해 발휘되는 로드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토크를 전달하는 성능 뿐만 아니라 그 서비스 수명이 개선되며, 허브에 고정된 지지 피스는 마찰 와셔의 반경방향 아래에 위치되며, 그에 따라 반경방향으로의 사이즈가 작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 허브에 의해 제한된 캐비티에 의해서, 리미터의 레벨에서 동일한 축방향 부피가 전체적으로 유지된다. 실제로, 마찰 와셔의 상부에 피스가 위치되지 않기 때문에 축방향 부피가 감소되며, 탄성 수단은 내부 고리 아래에서 작동한다. 또한, 어떠한 보다 긴 보강 러그도 없다. 일반적으로, 정지부 또는 정지부들은 제 1 플라이휠에 대향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유리하게 개방된 캐비티내에 내장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용의 관절 저널 또는 탄성 부재상에서 작동하는 디스크용의 고정 리벳을 형성하는 리브에 의해 허브에 고정된 지지 피스가 허브에 고정되는 것이 간단하게 되고 경제적으로 이뤄진다. 마찰 와셔는 정지되어 있을 때 경사진 것이 유리하며, 다음에 탄성 수단의 작용하에서 장착후에 그 경사를 감소시켜 보강되며, 마찰 와셔는 반동 플레이트의 고리의 형상을 밀접하게 추종하고, 토크 리미터의 성능이 증가된다. 따라서, 리미터는 보다 많은 토크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1)
- 내연 기관(100)을 전동 시스템의 입력 부재(101)에 회전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용의 이중 댐핑 플라이휠(double damping flywheel)로서, 내연 기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횡단 요소(14)를 구비하는 제 1 플라이휠(12)과, 한편으로는 전동 시스템의 입력 부재(101)에 분리가능하게 회전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마찰면(17)을 구비하는 반동 플레이트(16)와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반동 플레이트(16)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제 1 플라이휠(12)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내부 허브(18)를 포함하는 제 2 플라이휠(13)과, 제 1 플라이휠(12)과 제 2 플라이휠(13)의 허브(18) 사이에서 작동하는 탄성 부재(24, 25)와, 상기 반동 플레이트(16)와 상기 허브(18) 사이에서 작동하는 토크 리미터(19)를 구비하며, 상기 토크 리미터(19)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수단(70)을 구비하며, 한편으로는 반동 플레이트(16)에 고정되고 상기 반동 플레이트(16)의 마찰면(17) 아래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고리(160)와,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내부 허브(18)에 고정된 제 1 측면(181), 상기 내부 허브(18)에 회전식으로 고정된 마찰 와셔(280)에 속하는 제 2 측면(281) 및 바닥부(183, 283)에 의해 제한된 상기 고리(160)를 수납하기 위한 환형 홈(10)을 구비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에 있어서,상기 내부 허브(18)는 상기 마찰 와셔(280)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271)를 둘러싸기 위해 그리고 상기 마찰 와셔(280)에 대해서 제 1 플라이휠(12)의 방향에서 축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반동 플레이트(16)의 내부 고리(160)의 반경방향 아래의 캐비티를 제한하게 형성되며,상기 반동 플레이트(16)의 내부 고리(160) 아래에서,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수단(70)은 정지부(271)상에 그리고 내부 허브(18)에 고정된 지지 피스(72)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정지부(71)상에 지지되어, 홈(10)의 측면(181, 281) 사이에 고리(160)를 파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수단(70)은 캐비티(9)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캐비티(9)는 제 1 플라이휠(12)에 반대방향으로 축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정지부(71)는 캐비티(9)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결합 부분(173)에 의해 마찰 와셔(280)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캐비티(9)는 내부 허브(18)에 고정되고 내부 허브(18)의 외주연부에서 연장되는 댐퍼 플레이트(180)에 의해 횡방향으로 제한되어 홈(10)의 제 1 측면(18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내부 허브(18)는 제 1 플라이휠(12)에 대향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개방되고 정지부(271)용의 하우징으로서 작용하는 캐비티(9)를 형성하도록 중공형을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홈(10)의 바닥부(182)는 내부 허브(18)에 고정된 축방향으로 배향된 슬리브(182)에 의해 형성되며, 캐비티(9)를 외측에서 반경방향으로 제한하여 댐퍼 플레이트(180)가 슬리브(182)의 각 측면상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슬리브(182)의 내주연부는 마찰 와셔(280)용의 중심설정 장치로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마찰 와셔(280)는 슬리브(182)에 의해 그 외주연부에서 중심설정된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부분(173)용의 정지부(27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슬리브(182)는 반동 플레이트(16)의 내부 고리(160)용의 중심설정 장치로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4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내부 허브(18)에 고정된 댐퍼 플레이트(180)의 외주연부는 반동 플레이트(16)용의 중심설정 장치로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댐퍼 플레이트(180)의 외주연부는 제 1 플라이휠(12)쪽으로 회전된 반동 플레이트(16)의 횡방향 면(163)을 제 1 플라이휠(12)쪽으로 회전된 반동 플레이트(16)의 내부 고리의 면(161)의 외주연부에 연결하는 반동 플레이트(16)의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부분(164)과 긴밀하게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내부 허브(18)에 고정된 상기 댐퍼 플레이트(180)가 그 외주연부에 개방된 노치(26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정지부(271)는 정지부(71)를 형상의 결합에 의해 내부 허브(16)와 회전결합시키기 위해서 내부 허브(18)내의 반경방향 노치(185)내의 상보적인 형태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횡단 결합 러그(272)에 의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노치(185)가 타원형 형상이며, 캐비티(9)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시키며, 상기 노치(185)가 대략 횡방향의 바닥부(18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노치(185)의 바닥부(186)와 횡단 러그(272) 사이에 축방향 간극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정지부(271)가 형상부의 협동에 의해 카운터정지부(71)와 회전 결합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결합 러그(272)에 의해 내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 피스(72)가 결합 영역(73)에 의해서 카운터정지부(71)에 결합된 와셔(72)로 구성되며, 상기 형상부의 협동에 의한 결합이 결합 러그(72)와 결합 영역(73) 사이에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7 항에 있어서,상기 결합 영역(73)이 결합 러그(272)가 결합되는 구멍(28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결합 영역(73)이 결합 러그(272)가 끼워지는 중공 접시형 부분(38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 항 내지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정지부(271)와 내부 허브(18) 사이에 축방향 간극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 항 내지 제 2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정지부(271)가 마찰 와셔(280)와 단일 피스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 항 내지 제 2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마찰 와셔(280)가 자유 상태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 항 내지 제 2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정지부(271)가 카운터정지부(71)와 비교할 때 제 1 플라이휠(12)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카운터정지부(71)가 제 1 플라이휠(12)에 대향 방향으로 내부 허브(18) 외측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상기 카운터정지부(71) 및 정지부(271)가 대략 횡방향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 항 내지 제 2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수단(70)이 상기 마찰 와셔(280)와 지지 피스(72)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 항 내지 제 2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수단(70)이 접시형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27 항에 있어서,상기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수단(70)이 정지부(271)상의 그 외주연부에서 그리고 카운터정지부(71)상의 그 주연부에서 지지되어, 정지부(271)가 카운터정지부(71)에 대해서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28 항에 있어서,상기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수단(70)이 주름형 탄성 와셔로 구성되며, 상기 정지부(271) 및 카운터정지부(271)가 동일한 평균 반경상에 대략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 항 내지 제 2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마찰 와셔(280)의 평균 반경이 상기 제 1 와셔(12)의 횡단 요소(14)에 의해 지지된 마찰 와셔(148)의 평균 반경과 대략 동일하며, 상기 횡단 요소(14)와 내부 허브(18) 사이에서 작동하는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마찰 수단(46)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30 항에 있어서,상기 마찰 와셔(280)가 카운터정지부(71)를 둘러싸는 반면에, 상기 마찰 와셔(148)는, 횡단 요소에 의해 지지되고, 카운터정지부(71)의 지지 피스(72)를 내부 허브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45)에 속하는 축방향 돌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어 와셔(146)를 원주방향 간극을 두고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31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 부재(45)가 상기 횡단 요소(14)상에 관절식으로 장착된 탄성 부재(24, 25)를 위한 저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32 항에 있어서,상기 탄성 부재(24, 25)가 탄성 댐핑 장치(15)에 속하며, 각 탄성 댐핑 장치(15)는 한편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24, 25)를 내장하기 위해 케이싱(26)에 고정되고 그리고 제 1 플라이휠에 의해 지지된 제 2 저널(44)상에 장착된 제 1 관절 피스(29)와, 다른 한편으로는 정지부(38)를 통해 통과하는 로드(32)에 고정된 피스톤(37)이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내부 허브(18)에 고정된 저널(45)상에 관절식으로 장착된 제 2 관절 헤드(34)를 지지하는 제 2 소조립체(3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피스톤(37)과 정지부(38) 사이에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 항 내지 제 3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토크 리미터(19)는 반동 플레이트(16)의 두께부에 대략 내장되며, 상기 카운터정지부(71)는 마찰 와셔(280)와 동일한 횡단 평면내에 대략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 항 내지 제 3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정지부(271)는 상기 지지 피스(72)를 고정하기 위해 내부 허브에 형성된 구멍(274)상으로 연장되는 형상부의 협동에 의한 결합에 의해 내부 허브(18)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멍은 상기 횡단 요소(14)를 내연 기관의 크랭크샤프트(10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나사(21)를 조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도구의 통로용의 통로 구멍(20)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 항 내지 제 3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배기 수단이 상기 토크 리미터(19)의 레벨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36 항에 있어서,상기 배기 수단이, 상기 내부 허브(18)내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 허브(18)의 중공부에서 개방된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 항 내지 제 3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반동 플레이트(16)의 고리(160)가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 항 내지 제 3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측면(181) 및 제 2 측면(282)중 적어도 하나가 절두원추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 항 내지 제 3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마찰 커버링 및/또는 라이닝이 상기 고리(160)와 상기 홈910)의 측면 사이에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 제 19 항에 있어서,상기 고리(160)와 상기 홈(10)의 바닥부 사이에서 마찰 커버링 및/또는 라이닝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중 댐핑 플라이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R9909096A FR2797005B1 (fr) | 1999-07-13 | 1999-07-13 | Mecanisme d'embrayage a diaphragme,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
FR99/09096 | 1999-07-13 | ||
FR99/12523 | 1999-10-07 | ||
FR9912523A FR2784431B1 (fr) | 1998-10-07 | 1999-10-07 | Double volant ammortisseur,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15281A true KR20010015281A (ko) | 2001-02-26 |
Family
ID=2623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39546A KR20010015281A (ko) | 1999-07-13 | 2000-07-11 | 자동차용 이중 댐핑 플라이휠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01065638A (ko) |
KR (1) | KR20010015281A (ko) |
IT (1) | IT131596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2491B1 (ko) * | 2002-11-25 | 2005-09-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듀얼매스 플라이 휠 |
KR101007042B1 (ko) * | 2009-01-07 | 2011-01-12 | 주식회사평화발레오 | 자동변속기용 직결 댐퍼플라이휠과 이를 구비한 차량구동장치 |
KR101320135B1 (ko) * | 2005-08-31 | 2013-10-22 |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 차량용 마찰 클러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5653B1 (ko) | 2003-09-16 | 2008-09-03 | 가부시키가이샤 에쿠세디 | 플라이휠 조립체 |
-
2000
- 2000-07-11 KR KR1020000039546A patent/KR2001001528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0-07-13 IT IT2000RM000384A patent/IT1315960B1/it active
- 2000-07-13 JP JP2000213297A patent/JP2001065638A/ja active Pending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2491B1 (ko) * | 2002-11-25 | 2005-09-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듀얼매스 플라이 휠 |
KR101320135B1 (ko) * | 2005-08-31 | 2013-10-22 |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 차량용 마찰 클러치 |
KR101007042B1 (ko) * | 2009-01-07 | 2011-01-12 | 주식회사평화발레오 | 자동변속기용 직결 댐퍼플라이휠과 이를 구비한 차량구동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ITRM20000384A1 (it) | 2002-01-13 |
IT1315960B1 (it) | 2003-03-26 |
ITRM20000384A0 (it) | 2000-07-13 |
JP2001065638A (ja) | 2001-03-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08095A (en) | Apparatus for damping torsional vibrations | |
US6202818B1 (en) | Friction clutch with compensation for wear | |
JP4933710B2 (ja) | 自動車用流体動力結合装置 | |
US6193037B1 (en) | Hydrodynamic torque converter | |
KR100339657B1 (ko) | 특히자동차용마찰클러치의반동플레이트 | |
JPS639142B2 (ko) | ||
JP3543822B2 (ja) | 特に自動車用のトーション減衰装置 | |
US5476166A (en) | Flywheel and clutch system for a motor vehicle | |
US6062103A (en) | Motor vehicle double damping flywheel, comprising improved means for friction damping of vibrations | |
KR100301264B1 (ko) | 다이어프램클러치기구 | |
US6123178A (en) | Torque converter | |
US6287205B1 (en) | Dual mass damping flywheel,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 |
KR20010015281A (ko) | 자동차용 이중 댐핑 플라이휠 | |
JP3577671B2 (ja) | 特に自動車用の流体力学的結合装置 | |
GB2300233A (en) | Friction clutch for an automobile | |
KR20020042862A (ko) |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 |
KR100602564B1 (ko) | 이중 질량 부재 감쇠 플라이휠 | |
US6874607B2 (en) | Friction clutch | |
US5004087A (en) | Friction clutch | |
US5906257A (en) | Clutch cover assembly | |
KR100342283B1 (ko) | 자동차용토션댐핑장치 | |
KR20020020740A (ko) | 자동차용 유체 커플링 장치 | |
EP0637362B1 (fr) | Mecanisme d'embrayage a diaphragme du type pousse, notamment pour vehicules automobiles | |
JPH0650355A (ja) | クラッチ機構 | |
JP3595941B2 (ja) | 特に自動車用の、軸方向の寸法を縮小したトーションダンパ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