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4181A - 경피 또는 경점막 약물 송달용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경피 또는 경점막 약물 송달용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4181A
KR20010014181A KR19997012255A KR19997012255A KR20010014181A KR 20010014181 A KR20010014181 A KR 20010014181A KR 19997012255 A KR19997012255 A KR 19997012255A KR 19997012255 A KR19997012255 A KR 19997012255A KR 20010014181 A KR20010014181 A KR 20010014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ization
pulse
type
combination
transde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7012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카무라가츠히로
가타가이가즈야
이노우에가즈타카
히고나루히토
Original Assignee
나까도미 히로다카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도미 히로다카,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도미 히로다카
Publication of KR20010014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18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30Apparatu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or catapho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32Anode and cath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32Anode and cathode
    • A61N1/0436Material of the electro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약물 투과성이나 피부자극성이 우수하고, 동시에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경피 또는 경점막 약물 송달용 디바이스이다. 통전패턴 제어장치(1)의 출력제어회로(4)에 의하여 펄스탈분극형 통전과 직류형 통전 및 펄스형 통전의 적어도 한쪽의 통전을 조합한 통전을 이온토포레시스용의 양극측 디바이스(5)와 음극측 디바이스(6)사이에 부여한다. 출력제어회로(4)에 있어서 통전의 조합내용은 통전패턴 제어장치(1)의 외부로 부터의 설정 또는 내부의 기억정보에 의거하여 결정된다.

Description

경피 또는 경점막 약물송달용 디바이스{DEVICE FOR DELIVERING DRUG THROUGH SKIN OR MUCOSA}
종래, 생리활성물질 등의 약물의 제형으로서 주사제, 경구제, 좌제외에 경피투여나 경점막투여를 목적으로 한 연고제, 첩부제 등이 연구, 개발되어 있다. 경피나 경점막투여는 다른 투여방법에 비하여, 투여의 간편, 약물의 혈중 농도의 유지, 소화관에 대한 약물의 부작용의 회피등의 여러가지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약물의 흡수성이 나쁘고, 특히 고분자량의 약물에 있어서는 흡수시간, 흡수량에 문제가 있었다.
피부나 점막으로부터 보다 많은 약물을 흡수시키기 위한 흡수촉진법에 대하여는 지금까지 각종의 연구, 개발이 되어져 왔는데, 이들의 수법으로는 흡수촉진제를 사용하는 화학적 촉진법의 이온토포레시스, 포노포레시스, 일렉트로포레이션 등을 사용하는 물리적 촉진법이 있다. 이중 이온토포레시스는 피부 또는 점막에 대하여 전압을 가하여, 전기적으로 이온성 약물을 영동시킴으로써 피부 또는 점막을 경유하여 체내로 약물을 투여하는 것이다.
이온토포레시스의 적용되는 통전방법에는 직류형 통전, 펄스형 통전, 펄스탈분극형 통전이 있고, 이중 펄스탈분극형 통전은 직류형 통전이나, 펄스형 통전에 비하여 약물투과성이 우수한 것과, 큰 전류를 적용하더라도 피부나 점막에 부여하는 자극이 적은 이점이 있다. 펄스탈분극형 통전에 대하여는 예를 들면 일본특개소 60-15647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펄스탈분극형 통전은 상술한 바와 같은 이점이 있는 것으로 인하여, 이온토포레시스용의 디바이스에 극히 유용하다. 그런데 본 발명자 등은 이 통전방법을 적용하여 디바이스를 실용화, 특히 소형화 및 포터블화 하려고 하였을 때,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였다. 그것은 펄스탈분극형 통전이 직류형통전이나 펄스형 통전에 비하여 소비전력이 크다는 점이다. 이것을 해결하지 않으면 디바이스의 소형화 및 포터블화의 실현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약물투과성이나 피부자극성이 우수하고, 동시에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경피 또는 경점막 약물송달용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이온토포레시스를 적용하여 약물을 경피 또는 경점막 투여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분야에 있어서 이온토프레시스의 원리를 사용하여, 생리활성물질등의 약물을 피부 또는 구강, 비강 등의 점막을 통하여 생체내로 송달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약물송달용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약물송달용 디바이스가 피부 또는 점막에 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혈청중 살몬 칼시토닌 농도의 측정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약물송달용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본 디바이스는 통전패턴 제어장치(1)를 갖고, 양극측 디바이스(5) 및 음극측 디바이스(6)에 접속된다. 통전패턴 제어장치(1)는 마이크로컴퓨터(마이컴)(2), 전원(3) 및 출력제어회로(4)를 구비한다.
출력제어회로중, Tr1 내지 Tr4는 트랜지스터, D1은 다이오드, C1 내지 C4는 콘텐서, R1 내지 R5는 저항이다. 또, SW1는 슬라이드식이 전원스위치이고, 본 스위치를 슬라이드 시킴으로서 전원의 온/오프를 행한다.
L1은 전원전압을 승압하기 위한 코일이고, 마이컴(2)으로부터 신호(S3)를 발진시키는 것으로 코일(L1)에 역기전력을 생기게 한다. 그 역기전력을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콘덴서(C1)에 저장함으로써 전원전압에 대하여 높은 전압을 얻을 수가 있다.
Tr1은, 부하에 대하여 콘덴서(C1)에 저장된 전하를 공급하기 위한 출력트랜지스터이다. Tr2는, 펄스탈분극시 부하에 저장된 전하를 회수하기 위한 출력 트랜지스터이다. Tr3은, Tr1을 구동하기 위한 트랜지스터이고, 마이컴(2)의 전원전압에 대하여 출력전압이 높을때에 제어신호의 레벨 컨버터로서 사용된다.
본 구성에서는 펄스탈분극출력, 펄스출력 및 직류출력의 전환제어를 마이크로컴퓨터 제어에 의하여 행할 수가 있다.
펄스탈분극출력은 출력제어신호(S1)를 임의의 주파수로 발진시켜, 출력제어신호(S2)를 출력제어신호(S1)에 대하여 역상으로 함으로써 실현된다. 예를들면, S1이 "High"의 경우, S2는 "Low"로, 출력은 "High"로 된다. 또 S1이 "Low"의 경우, S2는 "High"로 출력은 "Low"로된다.
펄스출력은 출력제어신호(S1)를 임의의 주파수로 발진시킴과 동시에 출력제어신호(S2)를 "Low"로 고정하는 것으로 행해진다.
직류출력은 출력제어신호(S1)를 "High"로, 출력제어신호(S2)를 "Low"로 고정하는 것으로 행해진다.
본 구성에서는 펄스탈분극출력, 펄스출력 및 직류출력의 전환을 마이크로컴퓨터제어로 행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히 선택된다.
출력의 전환 및 반복은 마이크로컴퓨터 제어이면 미리 프로그램할 수가 있고, 또 외부에 스위치를 설치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가 있다. 통전패턴 제어장치는 이와같이 하여 이온토프레시스용의 전극사이에 각종 통전패턴을 부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통전패턴은 이 3종류중 적어도 펄스탈분극형 통전을 포함하는 2종류이상의 조합패턴으로 이루어진다. 이들은 하기와 같은 각종 양태에 의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 펄스탈분극형 통전을 행한 후, 직류형 통전을 행한다.
2) 펄스탈분극형 통전을 행한 후, 펄스형 통전을 행한다.
3) 펄스탈분극형 통전, 직류형 통전을 행한 후, 펄스형 통전을 행한다.
4) 펄스탈분극형 통전, 펄스형 통전을 행한 후, 직류형 통전을 행한다.
5) 직류형 통전을 행한 후, 펄스탈분극형 통전을 행한다.
6) 직류형 통전, 펄스형 통전을 행한 후, 펄스탈분극형 통전을 행한다.
7) 직류형 통전, 펄스탈분극형 통전을 행한 후, 펄스형 통전을 행한다.
8) 펄스형 통전을 행한 후, 펄스탈분극형 통전을 행한다.
9) 펄스형 통전, 직류형 통전을 행한 후, 펄스탈분극형 통전을 행한다.
10) 펄스형 통전, 펄스탈분극형 통전을 행한 후, 직류형 통전을 행한다.
11) 1)로부터 10)을 각각 반복 행한다.
상기의 각종 양태중에서는 1) 또는 5)의 조합에 의한 반복이 바람직하다.
각종의 통전방법에 있어서는 통전시간에 대하여 펄스탈분극 통전의 시간은 1μ초∼60분이고, 바람직하게는 10μ초∼10분이다. 통전시간이 1μ초 미만이면 펄스탈분극 통전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약물투과성 및 피부자극성이 뒤떨어지고, 60분을 초과하면, 소비전력의 저감을 충분히 도모할 수 없다.
또, 펄스탈분극 통전과 다른 통전방법과의 적용시간의 비는 2종류의 통전방법의 경우, 100:1로부터 1:100, 바람직하게는 10:1로부터 1:10이고, 3종류의 통전방법의 경우, 100:1:1로부터 1:100:100, 바람직하게는 10:1:1로부터 1:10:10이다. 2종류의 통전방법의 경우, 100:1 보다 펄스탈분극형 통전의 비율이 높으면, 소비전력의 저감을 충분히 도모할 수 없고, 1:100 보다 펄스탈분극형 통전의 비율이 낮으면 펄스탈분극 통전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약물투과성 및 피부자극성이 뒤떨어진다. 3종류의 통전방법의 경우, 100:1:1 보다 펄스탈분극형 통전의 비율이 높으면, 소비전력의 저감을 충분히 도모할 수 없고, 1:100:100 보다 펄스탈분극형 통전의 비율이 낮으면, 펄스탈분극 통전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약물투과성 및 피부자극성이 떨어진다.
또, 각종의 통전방법의 조합을 반복하는 경우, 각 통전사이의 휴지시간 및 그 반복회수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의 통전예에 의하여 피부나 점막으로부터 약물을 효율적으로 송달하고, 동시에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통전방법에서는 일렉트로포레이션과 같은 피부의 가역성 및 불가역성 전기절연파괴는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피부자극도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펄스탈분극형 통전에 의하여 이온토포레시스에 있어서 적용전류는 0.001∼10mA/㎠, 바람직하게는 0.01∼1mA/㎠이고, 또, 적용전압은 0.01∼50V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0.1∼30V,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20V이다. 적용전류가 0.001mA/㎠ 또는 적용전압이 0.01V미만이면, 약물투과성이 떨어지고, 적용전류가 10mA/㎠ 또는 적용전압이 50V를 초과하면 피부자극성이 떨어진다.
더욱 더, 펄스탈분극형의 펄스주파수는 100Hz∼1000KHz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500KHz,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100KHz이다. 펄스주파수가 100Hz미만이면, 통전에 의한 자극감이 있고, 100KHz를 초과하면 소비전력의 저감을 충분히 도모할 수 없다. 1주기에 있어서 통전의 비율(duty)은 10∼90%, 바람직하게는 30∼50%이다. duty가 10% 미만이면, 약물투과성이 떨어지고, 90%를 초과하면 피부자극성이 떨어진다.
또, 본 발명의 펄스형 통전에 의한 이온토포레시스에 있어서 적용전류는 0.001∼10mA/㎠정도, 바람직하게는 0.01∼1mA/㎠이고, 또 적용전압은 0.01∼30V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0.1∼20V,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10V이다. 적용전류가 0.001mA/㎠ 또는 적용전압이 0.01V미만이면, 약물투과성이 떨어지고, 적용전류가 10mA/㎠ 또는 적용전압이 20V를 초과하면 피부자극성이 뒤떨어진다.
더욱 더, 펄스주파수는 100HZ∼1000KHz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500KHz,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100KHz이다. 펄스주파수가 100Hz 미만이면, 통전에 의한 자극감이 있고, 1000KHz를 초과하면 피부자극성이 떨어진다. duty는 10∼90%, 바람직하게는 30∼50%이다. duty가 10%미만이면 약물투과성이 떨어지고, 90%를 초과하면, 피부자극성이 떨어진다.
또, 본 발명의 직류형 통전에 의한 이온토포레시스에 있어서 적용전류는 0.001∼10mA/㎠정도, 바람직하게는 0.01∼1mA/㎠이고, 또, 적용전압은 0.01∼30V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0.1∼20V,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1∼10V이다. 적용전류가 0.001mA/㎠ 또는 적용전류가 0.01V미만이면, 약물투과성이 떨어지고, 적용전류가 10mA/㎠ 또는 적용전압이 20V를 초과하면 피부자극성이 뒤떨어진다.
도 2는 통전패턴 제어장치(1)에 접속된 양극측 디바이스(5) 및 음극측 디바이스(6)가 피부 또는 점막(7,8)에 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양극측 디바이스(5)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체에 전극(51), 도전층(52), 약물층(53)이 적층되어 구성되고, 음극측 디바이스(6)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체에 전극(61), 친수성겔(62)이 적층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체는 약물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약물에 대하여 비투과성의 재료가 사용된다. 그 재료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가소화아세트산 비닐공중합체, 가소화아세트산비닐-염화비닐공중합체, 폴리아미드, 셀로판,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기타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 등이 사용된다. 이들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는 적당한 알루미늄 박으로의 라미네이트나, 알루미늄 증착이 세라믹코팅 한 것 등을 사용하더라도 지장은 없다.
전극(51,61)은 상기 지지체상에 적층시킨다. 적층방법으로서는, 도포법 또는 기타 적당한 수법에 의하여 행할 수가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프린트 인쇄에 의하여 적층된다. 전극의 재료로서는 알루미늄 또는 그의 합금, 티탄 또는 그의 합금, 철 또는 그의 합금, 탄소 등의 분극성 전극이나 은, 염화은, 구리, 염화구리, 혹은 이들을 베이스로 하는 은/염화은(은에 염화은을 부착시킨 것이나 양자의 혼합체 등), 구리/염화은(구리에 염화은을 부착시킨 것이나 양자의 혼합체 등)등의 비분극성전극의 어느것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비분극성 전극이 사용된다. 그 조합의 바람직한 일례로서, 양극측의 전극(6)으로서는 은이나 구리를 베이스로 하고, 음극측의 전극(10)으로서는 염화은이나 염화구리를 베이스로 하는 전극을 들 수 있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양극측에 은을 베이스로 하고, 음극측에 염화은을 베이스로 하는 전극이 사용된다.
도전층(52)은 전극(51)상에 적층되고, 그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부직포,종이, 가제, 탈지면, 혹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세트산비닐, 나일론 66,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지는 다공질체나 발포체 등, 한천, 카라야검, 로커스트빈검, 카라기난, 젤란검, 타마린드검, 커들란, 펙틴, 파세란, 구아검, 타라검, 트라가칸스검, 크산탄검 등의 천연다당류 또는 폴리비닐알코올 및 그의 부분 비누화물,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메틸에테르 및 그의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및 그의 나트륨염, 알긴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수용성 셀룰로오스유도체,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폴리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등을 필요에 따라 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으로 유연가소화 시킨 수용성 고분자 및 그의 가교히드로겔 등이 사용된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류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또, 필요에 따라 전해질, pH조정제, 안정화제, 증점제, 습윤제, 계면활성제, 용해보조제, 흡수촉진제, 방부제, 이온교환수지 등을 첨가하여도 좋다.
약물층(53)은 도전층(52)위에 적층되고, 약물층의 기재에 대하여 약물을 함침, 담지시킨다. 그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부직포, 종이, 가제, 탈지면, 혹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세트산비닐, 나일론 66,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지는 다공질체나 발포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온토포레시스용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생리활성물질 등의 약물로서는 모르핀, 펜타닐, 페티딘, 코데인, 부프레노르핀, 브토르파놀, 에프타조신, 펜타조신 등의 중추성 진통약이나, 인슐린, 칼시토닌, 칼시토닌관련 유전자 펩티드 바소프레신, 데스모프레신, 프로티렐린(TRH), 부신피질자극 호르몬(ACTH), 황체형성호르몬 방출인자(LH-RH), 성장호르몬 방출호르몬(GRH), 신경성장인자(NGF) 및 기타의 방출인자, 안지오텐신, 부갑상선호르몬(PTH), 갑상선자극호르몬(TSH, 티로트로핀), 난포자극 호르몬(FSH), 황체형성호르몬(LH), 프로락틴, 혈청성 성선자극호르몬, 태반성 성선자극호르몬(HCG), 성장호르몬, 소마토스타틴, 소마토메인, 글루카곤, 옥시토신, 가스트린, 세크리틴, 엔도르핀, 엔케팔린, 엔도텔린, 콜레스토키닌, 뉴로텐신, 인터페론, 인터루킨, 트랜스페린, 에리트로포이에틴, 슈퍼옥사이드디스무타아제(SOD), 과립구자극인자(G-CSF), 바소액티브 인테스티날 폴리펩티드(VIP), 무라밀펩티드, 코르티코트로핀, 우로가스트론, h-ANP등의 펩티드류, 카르바마제핀, 클로로프로마진, 디아제팜, 니트라제팜 등의 정신안정제, 블레오마이신, 아드리아마이신, 5-플루오로우라실, 미토마이신 등의 항악성종양약, 디기탈리스, 디곡신, 디고톡신 등의 강심제, 에스트라디올, 테스토스테론 등의 성호르몬, 레세르핀, 클로니딘 등의 혈압 강하제, 염산리도카인, 염산테트라카인, 염산프로카인, 염산디부카인 등의 국소 마취제, 숙신산히드로코르티존나트륨, 인산히드로코르티존나트륨, 숙신산프레드니졸론나트륨, 인산베타메타존나트륨, 인산덱사메타존나트륨 등의 스테로이드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친수성겔(62)은 전극(61)상에 적층되며, 그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한천, 카라야검, 로커스트 빈검, 카라기난, 젤란검, 타마린드검, 커들란, 펙틴, 파세란, 구아검, 타라감, 트라가칸스검, 크산탄검 등의 천연다당류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 및 그의 부분 비누화물,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메틸에테르, 및 그의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및 그의 나트륨염, 알긴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 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폴리아크릴 아미드 유도체 등을 필요에 따라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으로 유연가소화 시킨 수용성 고분자 및 그의 가교히드로겔 등이 사용된다.
상기 목적은 펄스탈분극형 통전(펄스탈분극 직류형 통전)과 직류형 통전 및 펄스형 통전(펄스직류형 통전)의 적어도 한쪽의 통전을 조합한 통전을 행하도록 구성된 경피 또는 경점막 약물송달용 디바이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 조합통전은 본 발명자가 실험적으로 발견한 것으로, 지금까지 펄스탈분극형 통전과 다른 통전과의 조합통전을 시도한 사람은 없다. 일반적으로는 펄스탈 분극형 통전의 일부를 줄여서 다른 통전을 조합하는 것은, 소비전력은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약물투과성이나 피부자극성의 효과도 그만큼 당연히 저하하는 것이라고 고려되어 왔다. 그러나, 본 발명자 등의 실험에 의하여 상술의 조합통전을 사용한 경우, 약물투과성이나 피부자극성의 효과를 동등 또는 어느정도 유지하면서, 소비전력을 격감할 수 있다는 것이 판명된 것이다. 그리고, 이 조합통전을 반복행함으로써 보다 큰 효과를 얻을 수가 있었다. 조합통전의 내용은 디바이스의 외부로부터의 설정 또는 내부의 기억정보에 의거하여 결정된다.
여기서, 직류형 통전이란 소정의 직류를 전극사이에 부여하는 것이고, 펄스형 통전이란 소정의 반복펄스를 전극사이에 부여하는 것이다. 펄스탈분극형 통전은 펄스형 통전과 동일하게 소정의 반복 펄스를 전극사이에 부여하는 것이지만, 펄스형 통전과는 다르고 펄스의 휴지시에 잔존전하를 강제적으로 방전시킨다. 이들의 통전패턴은 펄스탈분극출력과 직류출력 및 펄스출력의 적어도 한쪽의 출력을 조합한 출력을 발생하는 통전패턴 제어장치에 의하여 부여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개를 사용하여 투과실험을 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비글(Beagle)견의 구강점막에 살몬 칼시토닌을 투여하고, 통전개시전 및 통전개시후 소정의 시간에 앞다리 정맥에서 채혈하여 원심분리후 혈청을 분취하고, 방사면역분석(RIA)법으로 혈청중의 살몬 칼시토닌농도를 측정하였다.
살몬 칼시토닌의 투여방법은 전술의 도 2에 도시하는 대로이다. 본 실험예의 양극측 디바이스(5)는 은전극, 도전층 및 살몬 칼시토닌을 포함하는 약물층의 적층체로 이루어졌고, 절연체로 만든 겸자(鉗子)에 의하여 비글견의 구강점막에 압착되어 있다. 한편 음극측 디바이스(6)는 은/염화은 전극 및 친수성 겔의 적층체로 이루어져 있고, 절연체로 만든 겸자에 의하여 비글견의 귀내측의 피부에 압박되어 있다. 양극측 디바이스(5)의 구강점막과의 접촉면적 및 음극측 디바이스(6)의 피부와의 접촉면적은 어느 것이나 2.5㎠로 하였다.
통전패턴 제어장치(1)에 의한 통전은 전류량을 일정하게 콘트롤하면서 행하고, 그때의 인가전압으로부터, 소비전력을 구하였다. 펄스탈분극 통전의 경우, 피부를 실제로 통과한 전류(적용전류)를 콘트롤하고, 피부에 인가된 전류(인가전류)와 인가전압으로부터 소비전력을 구하였다.
통전종료후, 곧 디바이스를 제거하고, 구강점막 및 피부의 1차 자극을 관찰하고, 표 1에 표시한 판정표에 의거하여 판정을 행하였다.
자극판정표
점막 또는 피부의 상태 판정점수
부종, 구진 2
분명한 홍반 1
미미한 홍반 0.5
극히 경미한 홍반 0.2
변화없음 0
실시예 1
(펄스탈분극형 통전과 직류형통전의 조합)
본 실시예 1에서는 살몬 칼시토닌 200㎍를 증류수에 용해시켜 양극측 디바이스(5)중의 약물층에 구입한 후, 양극측 디바이스(5)를 구강점막에 압착하고, 음극측 디바이스(9)를 피부에 압착하여 통전을 개시하였다. 통전방법으로서는 펄스탈분극형 통전과 직류형 통전의 조합을 사용하고, 펄스탈분극형 통전에 의하여 0.2mA로 5분간 통전한 후, 직류형 통전에 의하여 0.2mA로 10분간 통전하고, 이것을 3회 반복 행하였다. 펄스탈분극형 통전의 경우의 주파수는 30KHz, Duty는 30%로 하였다.
실시예 2
(펄스탈분극형 통전과 펄스형 통전의 조합)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디바이스를 구강점막 및 피부에 압착하여 통전을 개시하였다. 통전방법으로는 펄스탈분극형 통전과 펄스형통전의 조합을 사용하고, 펄스탈분극형 통전에 의하여 0.2mA로 5분간 통전한후, 펄스형 통전에 의하여 0.2mA로 10분간 통전하고, 이것을 3회 반복 행하였다. 펄스탈분극형 통전의 경우의 주파수는 30KHz, Duty는 30%로하고, 펄스형통전의 경우의 주파수는 50KHz, Duty는 50%로 하였다.
비교예 1
(펄스탈분극형 통전)
본 비교예 1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디바이스를 구강점막 및 피부에 압착하여 통전을 개시하였다. 통전방법으로서는 펄스탈분극형 통전만을 사용하고, 0.2mA로 60분간 통전하였다. 주파수는 30KHz, Duty는 30%로 하였다.
비교예 2
(직류형 통전)
본 비교예 2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디바이스 구강점막 및 피부에 압착하고 통전을 개시하였다. 통전방법으로서는 직류형 통전만을 사용하고 0.2mA로 60분간 통전하였다.
(시험결과)
도 3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2의 각각에 대하여, 혈청중의 살몬 칼시토닌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제 3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살몬 칼시토닌 농도는 펄스탈분극형 통전과, 직류형 통전의 조합의 경우(실시예 1) 및 펄스탈분극형 통전과 펄스형 통전의 조합의 경우(실시예 2)에는, 펄스탈 분극형 통전뿐인 경우(비교예 1)와 거의 동등하고, 직류형 통전 뿐인 경우(비교예 2)와 비교하면 상당히 높은 값이 얻어졌다.
표 2는 소비전력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소비전력의 측정결과
통전방법 소비전력(mW)
실시예 1 펄스탈분극형 통전/직류형 통전 1.6
실시예 2 펄스탈분극형 통전/펄스형 통전 1.5
비교예 1 펄스탈분극형 통전 95.7
비교예 2 직류형 통전 0.6
표 2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소비전력은 펄스탈분극형통전과 직류형 통전의 조합의 경우(실시예 1)및 펄스탈분극형 통전과 펄스형통전의 조합의 경우(실시예 2)에는 직류형 통전 뿐인 경우(비교예 2)와 비교하여 다소 크다고는 하더라도, 펄스탈분극형 통전뿐인 경우(비교예 1)와 비교하여 격감되어 있다.
표 3은 점막, 피부의 일차자극의 판정결과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 판정점수는 표 1의 판정표에 의거하여 구해진 것이다.
점막 및 피부의 1차자극의 판정결과
통전방법 판정점수(평균)
구강점막 피부
실시예 1 펄스탈분극형 통전/직류형 통전 0.23 0.13
실시예 2 펄스탈분극형 통전/펄스형 통전 0.23 0.10
비교예 1 펄스형분극형 통전 0.18 0.05
비교예 2 직류형 통전 0.68 0.23
표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피부자극성은 펄스탈분극형 통전과 직류형통전의 조합의 경우(실시예 1)및 펄스탈분극형 통전과 펄스형 통전의 조합의 경우(실시예 2)에는 펄스탈분극형 통전 뿐인 경우(비교예 1)에 비해 다소 높은 것이지만, 직류형 통전뿐인 경우(비교예 2)와 비교하여 상당히 저감되어 있다.
이상의 시험결과가 가리키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조합통전을 사용함으로써 펄스탈분극형 통전 뿐인 경우와 비교하여, 약물투과성이나, 피부자극성의 효과를 동등 또는 어느정도 유지하면서, 소비전력을 격감할 수 있다는 당초 예측도 하지 못했던 결과가 얻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경피 또는 경점막 약물 송달용 디바이스는 약물투과성, 피부자극성이 우수하고, 동시에 소비전력을 저감하는데 유용하며, 의료분야에 있어서, 이온토포레시스에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Claims (14)

  1. 펄스탈분극형 통전과 직류형 통전 및 펄스형 통전의 적어도 한편의 통전을 조합한 통전을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또는 경점막 약물 송달용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펄스탈분극형 통전과 직류형 통전의 조합통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또는 경점막 약물 송달용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펄스탈분극형 통전과 펄스형 통전의 조합통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또는 경점막 약물 송달용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펄스탈분극형 통전과 직류형 통전과 펄스형 통전의 조합통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또는 경점막 약물 송달용 디바이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합통전을 반복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또는 경점막 약물 송달용 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합통전이 펄스탈분극형 통전과 직류형 통전 또는 펄스형 통전의 2종류의 통전으로 행해지는 경우, 상기 펄스탈분극형 통전과 직류형 통전 또는 펄스형 통전의 적용시간의 비가 100:1로부터 1: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또는 경점막 약물 송달용 디바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합통전이 펄스탈분극형 통전과 직류형 통전과 펄스형 통전의 3종류의 통전으로 행해지는 경우, 상기 펄스탈분극형 통전과 직류형 통전과 펄스형 통전의 적용시간의 비가 100:1:1로부터 1:10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또는 경점막 약물 송달용 디바이스.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에 있어서, 통전의 조합내용은, 외부로부터의 설정 또는 내부의 기억정보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또는 경점막 약물 송달용 디바이스.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펄스탈분극형 통전의 적용전류가, 0.001∼10m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또는 경점막 약물 송달용 디바이스.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펄스탈분극형 통전의 적용전압이, 0.01∼50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또는 경점막 약물 송달용 디바이스.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탈분극형 통전의 펄스주파수가, 100Hz∼1000K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또는 경점막 약물 송달용 디바이스.
  12. 펄스탈분극출력과 직류출력 및 펄스출력의 적어도 한쪽의 출력을 조합한 출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패턴 제어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조합출력을 반복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패턴 제어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조합출력의 절환은,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하여 미리 프로그램된 내용에 따라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패턴 제어장치.
KR19997012255A 1997-06-27 1998-06-25 경피 또는 경점막 약물 송달용 디바이스 KR200100141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762397A JP4079481B2 (ja) 1997-06-27 1997-06-27 経皮または経粘膜薬物送達用デバイス
JP97-187623 1997-06-27
PCT/JP1998/002847 WO1999000157A1 (fr) 1997-06-27 1998-06-25 Dispositif permettant d'administrer un medicament a travers la peau ou une muque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181A true KR20010014181A (ko) 2001-02-26

Family

ID=1620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97012255A KR20010014181A (ko) 1997-06-27 1998-06-25 경피 또는 경점막 약물 송달용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564092B1 (ko)
EP (1) EP1036573B1 (ko)
JP (1) JP4079481B2 (ko)
KR (1) KR20010014181A (ko)
AU (1) AU731862B2 (ko)
CA (1) CA2294955A1 (ko)
DE (1) DE69833253T2 (ko)
WO (1) WO19990001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9871C2 (ru) * 2016-06-08 2021-11-18 Филигрин С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7975B2 (en) 2001-02-13 2006-11-21 Aciont, Inc. Method for increasing the battery life of an alternating current iontophoresis device using a barrier-modifying agent
JP2006334164A (ja) * 2005-06-02 2006-12-14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000342A (ja) * 2005-06-23 2007-01-11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複数薬剤の投与量および投与時期を制御する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JP2007068969A (ja) * 2005-08-08 2007-03-22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US8386030B2 (en) 2005-08-08 2013-02-26 Tti Ellebeau, Inc. Iontophoresis device
US20100016781A1 (en) * 2005-08-29 2010-01-21 Mizuo Nakayama Iontophoresis device selecting drug to be administered on the basis of information form sensor
US7890164B2 (en) 2005-09-15 2011-02-15 Tti Ellebeau, Inc. Iontophoresis device
US20070071807A1 (en) * 2005-09-28 2007-03-29 Hidero Akiyama Capsule-type drug-releasing device and capsule-type drug-releasing device system
EP2269689A1 (en) * 2005-09-30 2011-01-05 Vyteris Inc. Pulsatile delivery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from a pre-loaded integrated electrotransport patch
WO2007041115A1 (en) * 2005-09-30 2007-04-12 Tti Ellebeau Inc. Method and system to detect malfunctions in an iontophoresis device that delivers active agents to biological interfaces
US20070078445A1 (en) * 2005-09-30 2007-04-05 Curt Malloy Synchroniz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ontophoresis device to deliver active agents to biological interfaces
WO2007079189A2 (en) * 2005-12-30 2007-07-12 Tti Ellebeau,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based control of an iontophoresis device
WO2007083984A1 (en) 2006-01-23 2007-07-26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jugate comprising pharmaceutical active compound covalently bound to mucoadhesive polymer and transmucosal delivery method of pharmaceutical active compound using the same
JP4805693B2 (ja) * 2006-03-01 2011-11-02 Tti・エルビュー株式会社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60082A (ja) * 2006-03-28 2007-10-11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JP2007260107A (ja) * 2006-03-28 2007-10-11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US20080077076A1 (en) * 2006-08-29 2008-03-27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Iontophoresis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on with a usb (universal serial bus) power source
WO2008044705A1 (fr) * 2006-10-10 2008-04-17 Tti Ellebeau, Inc. dispositif d'ionophorèse de type dent artificielLE
JP5383497B2 (ja) 2006-12-01 2014-01-08 Tti・エルビュー株式会社 装置、例として経皮送達装置に給電し且つ/又は当該装置を制御するシステム及び装置
WO2008146224A2 (en) 2007-05-25 2008-12-04 Compex Medical S.A. Wound healing electrode set
US8197844B2 (en) 2007-06-08 2012-06-12 Activatek, Inc. Active electrode for transdermal medicament administration
US9421356B2 (en) * 2007-08-28 2016-08-23 Teikoku Pharma Usa, Inc. Transdermal methods and systems for the delivery of corticosteroid compounds
WO2009073686A1 (en) * 2007-12-03 2009-06-11 Trans Dermal Patents Company, Llc Agent delivery system and uses of the same
US8862223B2 (en) 2008-01-18 2014-10-14 Activatek, Inc. Active transdermal medicament patch and circuit board for same
US20090259176A1 (en) * 2008-04-09 2009-10-15 Los Gatos Research, Inc. Transdermal patch system
WO2017102430A1 (en) * 2015-12-15 2017-06-22 L'oreal Iontophoresis methods, a iontophoresis composition, a kit and a iontophoresis device for delivering vitamin c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6012A (en) * 1982-02-22 1984-06-26 Medtronic, Inc. Iontophoretic and electrical tissue stimulation device
JPS60156475A (ja) 1983-09-01 1985-08-16 株式会社アドバンス イオントフォレ−ゼ用デバイス
EP0308572B1 (en) 1983-09-01 1995-11-08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An iontophoresis device
CA1262564A (en) * 1983-09-01 1989-10-31 Minoru Sasaki Iontophoresis device
JP2834157B2 (ja) * 1988-11-04 1998-12-09 久光製薬株式会社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デバイス
US5983130A (en) * 1995-06-07 1999-11-09 Alza Corporation Electrotransport agent delivery method and apparatus
JP3290864B2 (ja) * 1995-08-31 2002-06-10 久光製薬株式会社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電源装置
US6678558B1 (en) * 1999-03-25 2004-01-13 Gene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electroporation-mediated muscle reaction and pain response
US6587718B2 (en) * 1999-10-08 2003-07-01 Scimed Life Systems, Inc. Iontophoretic delivery to heart tissu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9871C2 (ru) * 2016-06-08 2021-11-18 Филигрин С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67073A1 (en) 2003-09-04
JPH1119226A (ja) 1999-01-26
WO1999000157A1 (fr) 1999-01-07
AU7933998A (en) 1999-01-19
US7200433B2 (en) 2007-04-03
AU731862B2 (en) 2001-04-05
JP4079481B2 (ja) 2008-04-23
EP1036573A4 (en) 2004-10-06
US6564092B1 (en) 2003-05-13
DE69833253D1 (de) 2006-04-06
DE69833253T2 (de) 2006-08-17
EP1036573A1 (en) 2000-09-20
EP1036573B1 (en) 2006-01-18
CA2294955A1 (en) 199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4181A (ko) 경피 또는 경점막 약물 송달용 디바이스
US5620580A (en) Iontophoresis device
JP4262410B2 (ja) 低い初期抵抗を有する電気伝達電極アセンブリ
US8641689B2 (en) Transdermal porator and patch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ame
EP3210646B1 (en) Transdermal permeant delivery system
KR100281171B1 (ko) 이온토포레시스장치 및 그 전류제어방법
US200100393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 vivo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KR100220615B1 (ko) 이온삼투요법용 장치
JPH04224770A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装置
KR20010033786A (ko)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및 그것의 조립방법
JPH08229140A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デバイス
JP3290864B2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電源装置
KR100357911B1 (ko) 이온토포레시스용전극구조체
WO1990004434A1 (en) Interface for electric endermism
JPH10234366A (ja) エレクトロポレーション用電極及びその製法、それを用いた製剤
JP2856551B2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ゼ用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