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615B1 - 이온삼투요법용 장치 - Google Patents

이온삼투요법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615B1
KR100220615B1 KR1019950705559A KR19950705559A KR100220615B1 KR 100220615 B1 KR100220615 B1 KR 100220615B1 KR 1019950705559 A KR1019950705559 A KR 1019950705559A KR 19950705559 A KR19950705559 A KR 19950705559A KR 100220615 B1 KR100220615 B1 KR 100220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ments
voltage
potential difference
iontophoretic
ion osm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5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2761A (ko
Inventor
메구로 유수오
Original Assignee
나까도미 히로다카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도미 히로다카,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도미 히로다카
Publication of KR960702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2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6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30Apparatu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or catapho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32Anode and cathode
    • A61N1/044Shape of the electro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삼투요법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온삼투 소자(이하, '소자'라 함)에 맥동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회로는 소자 선택기와 전위차 발생수단을 포함한다. 소자 선택기는 소정의 타이밍에 따라 소자의 조합을 선택한다. 전위차 발생수단은 소자에 맥동전압을 서로 다른 시간으로 인가함으로써 선택된 소자의 조합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킨다. 장치가 동작시에는, 소자는 임의의 전위로 유지될 수가 없어 원하지 않는 전극반응이 각 소자에서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가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이온삼투요법용 장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약물을 전기적으로 피부상으로 투여하는 이온삼투요법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이온삼투요법용 장치는 각각, 예를들면 이온성 약 또는 약물을 함유하는 한쌍의 이온삼투 소자(이후, '소자' 라함) 및 이 소자에 맥동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장치에 있어서는, 피부상에 소자를 놓고나서, 소자에 맥동전압을 인가한다. 전기적 폐쇄회로의 전도율을 피부에 접촉하는 소자의 상태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소자의 전극은 이온성 약 또는 약물을 함유하는 유체와 같은 환경으로 매장되어 있다. 그밖에, 장치가 작동중에 있을 때에는 일방향으로 맥동하는 전압이 전극이 간헐적으로 인가된다. 그러므로, 전극은 화학변화를 받을 수도 있고, 또는 전기적 절연재의 부착이나 전해질이 전극표면에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기적 폐쇄회로의 전도율은 장치내의 소자의 전극상태의 변화에 따라 저하되어 투약 효능의 지속성이 손상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자의 전극이 전해질과 화학변화등의 전극반응에 영향받지 않는 이온삼투요법용 장치를 제공하여 투약 효능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약물을 함유하는 적어도 3개의 이온삼투 소자를 갖고, 이 소자에 접속되어 DC 맥동전압을 인가하여 소자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원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전원수단은 적어도 3개의 이온삼투 소자중에서 소정의 순서로 한쌍의 이온삼투 소자를 주기적으로 선택하는 소자 선택수단 및 서로 다른 시간에서 이온삼투 소자에 DC 맥동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한쌍의 이온삼투 소자간의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위차 발생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위차 발생수단은 이전에 선택된 쌍의 상기 이온삼투 소자중 하나에 이전에 인가된 전압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전압이 맥동하도록 상기 선택된 쌍의 이온삼투 소자중 하나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위차를 발생시키고, 적어도 3개의 소자 사이로부터 선택된 각각의 어느 한 쌍의 이온삼투 소자가 동일 극성의 전압을 나타내고, 소자의 각 극성이 정(+)극성부(-)극성전기적으로 중성인 3가지 상태로 주기적으로 변화되게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이온삼투요법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위차 발생수단은 이전에 선택된 소자들중 적어도 1개에 인가된 전압의 극성과 반대극성인 전압을 소자에 인가함으로써 선택된 소자의 조합들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선택수단은 소정의 순서로 주기적으로 소자의 조합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선택된 소자의 조합은 한쌍의 소자이다. 전위차 발생수단은 전기적으로 중성 상태에서 선택된 소자와는 다른 어떠한 소자도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소자는 1개의 패키지 내에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에 의하면, 어떠한 소자의 조합도 소정의 타이밍에 따라 선택된다. 전위차는 다른 시간의 주기에서 소자에 맥동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소자의 조합들 사이에서 발생된다.
각 소자에 인가되는 맥동전압의 위상은 소정의 타이밍에 따라 반전되어 소자의 전극이 재생된다. 따라서 전극반응에 관한 상술한 문제점이 해결된다.
소자의 조합이 한쌍의 소자인 경우에, 각 소자에 인가되는 맥동전압의 위상은 효과적으로 유효하게 반전된다.
더우기, 선택된 소자와는 다른 어떠한 소자도 전기적으로 중성상태로 보유되므로, 장치의 전원의 소비전력을 최소화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자의 전극을 새롭게 할 수가 있고 전극에서의 전극 반응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억제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이 장치는 장시간 동안 안정하게 피부상에 안정하게 투약하는 것을 제공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그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이온삼투요법용 장치의 제1실시형태의 저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장치의 X-X' 단면도이다.
제3(a)도-제3(e)도는 제1도에 도시한 장치의 각 성분에 인가된 전압을 도시한 타이밍챠트로서,
제3(a)도는 맥동전압 발생회로에서 소자 11과 12에 공급된 맥동전압을,
제3(b)도는 맥동전압 발생회로에서 소자 12와 13에 공급된 맥동전압을,
제3(c)도는 맥동전압 발생회로에서 소자 13과 11에 공급된 맥동전압을,
제3(d)도는 소자 11과 12에서 일어나는 전압변동을,
제3(e)도는 다른 방법에 의해 맥동전압을 인가할 때의 소자 11과 12에서 일어나는 전압변동을 도시한 것이다.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전원유니트내의 맥동전압 발생회로의 일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이온삼투요법용 장치의 제2실시형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우선 첫째로, 제1도와 제2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온삼투요법용 장치의 제1실시형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이온삼투요법용 장치는 생체의 피부에 놓여지는 이온삼투 소자 유니트 1과, 이 유니트 1에 맥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유니트 2로 구성된다. 이 소자유니트 1은 전원선 A, B 및 C에 의하여 전원유니트 2에 접속되는 소자 11, 12 및 13과 접착에 의하여 생체의 피부상에 소자유니트 1을 유지하는 부착부 14로 구성된다.
소자 11, 12 및 13과 부착부 14는 패키지 15로 덮혀져 있다.
전원유니트 2는 밧데리 또는 다른 어떠한 적당한 소스인 전원 21, 맥동전압출력을 발생시키는 맥동전압발생회로 22 및 맥동전압발생회로 22를 제어하는 제어유니트 23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소자유니트 1과 전원유니트 2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교대적으로, 소자유니트 1과 전원유니트 2는 1개의 유니트로 일체화 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전원유니트 2는 버튼 전지(button cell)와 집적회로를 사용하여 소형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소자들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소자의 각각 또한 어느 하나는 약 또는 약물을 포함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자 11 또는 12는 전원유니트 2에 접속된 전극 111 또는 112와 약 또는 약물을 포함하는 계면부재 121 또는 122로 구성되어 있다.
전극 111과 112는 도전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Ag-AgCl 등의 불활성원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전성 재료는 Ag-AgCl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계면부재 121과 122는 다공질 부재 또는 도전성 겔로 형성된다. 다공질 부재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흡수성 또는 물 투과성을 갖는 막부재를 들 수 있고, 이 예로서는 적층된 멤브레인 필터(membrance filter)(Biodyne A(상표)), 부직포, 물침투성 섬유로된 다층부재, 이를테면 다공성막, 소정의 약물을 보지, 부착 또는 포함한 수용성 고분자량 물질로 이루어진 전분 또는 PVP막등의 흡수성(수용성)막이 있다.
다공질 부재의 수용성의 정도와 다공질부재내에 약물의 함량은 이온삼투요법용 장치의 목적에 따라 적절히 특정짓거나 조절된다.
다음에, 제3도와 관련하여 이온삼투요법용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소자유니트 1을 피부상의 투약부위에 놓은후에, 전원유니트 2를 동작시킨다. 전원유니트 2는 수V에서 수십V까지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는 맥동전압을 각각 리드선 A와 B에 의하여 소자 11과 12에 인가한다.
이때에, 전원유니트 2는 소자 11의 전위가 높게(+)되게 하고 소자 12의 전위가 낮게(-)되게 하여, 소자 11과 12 사이의 전위차를 발생시키도록 맥동전압을 인가한다. 소자 11과 12에 맥동전압을 인가한 후에, 전원유니트 2는 소정의 타이밍에 따라 리드선 B와 C에 의하여 소자 12와 13에 맥동전압을 인가한다(제3(b)도 참조). 이때에, 전원유니트 2는 소자 12의 전위가 높게(+)되게 하고 소자 13의 전위가 낮게(-)되게 하여 소자 12와 13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도록 맥동전압을 인가한 후에, 전원유니트 2는 소정의 전압과 동기화하여 리드선 C와 A에 의하여 소자 13과 11에 맥동전압을 인가한다(제3(c)도 참조). 이때에, 전원유니트 2는 소자 13의 전위가 높게(+)되게 하고 소자 11의 전위가 낮게(-)되게 하여 소자 13과 11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도록 맥동전압을 인가한다.
그 후에, 전원유니트 2는 각 소자에 인가되는 맥동전압의 위상을 반전시킴으로써 상술한 맥동전압 인가의 순서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제3(d)도는 그 순서중에 소자 11과 12에서 발생하는 전압변동을 도시한 것이다. 각 소자에 인가되는 맥동전압의 위상이 각 인가기간중에 반전되므로, 각 소자의 전도율을 저하시키는 전극반응을 방지할 수가 있고 화상의 원인인 편극전하의 발생도 방지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1도-제4도와 관련하여 상술한 맥동전압의 순서를 발생시키는 전원유니트 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원유니트 2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밧데리등의 전원 21, 제어유니트 23 및 제어유니트 23에서 전송된 신호에 응하여 맥동전압을 발생시키는 맥동전압발생회로 22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 유니트 23은 1개 또는 다수개의 단일 칩(One-Chip) 마이크로컴퓨터로 실현될 수 있으며, 이 마이크로컴퓨터는 CPU, 클럭발생기, 클럭발생기에 의해 발생되는 클력에 근거하여 소정의 주파수의 맥동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압 분할기, 맥동전압 인가의 순서를 행하는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에 특정지워지는 계수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및 맥동전압발생회로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제어유니트 23은 맥동전압발생회로의 입력단 4a에 소정의 주파수의 제1맥동신호와, 입력단 4b-4d에 이어서 소정의 시간만큼 제1맥동신호뒤에 지체되는 제2맥동신호를 공급한다. 제1맥동신호는 맥동전압발생회로 22가 고정압을 발생시키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제2의 맥동신호는 소자에 맥동전압의 선택적인 인가를 가능하게 하는 선택신호로서 사용된다.
입력단 4a에 공급되는 제1맥동신호의 주파수는 예를들면 1~10이다. 입력단 4b-4d의 각각에 공급되는 제2맥동신호의 주파수는 예를들면 수십이다. 이들 맥동신호는 제어회로 23에 전압분할기에 의해 발생된다. 교대적으로 맥동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멀티바이브레이터(multivibrator)등의 발진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주파수 40, 두티율(Duty ratio) 약 30의 맥동신호를 위상반전에 의한 출력으로서 입력단 4b-4d의 각각에 공급한다.
맥동전압 발생회로 22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41과 44-49, 유도자 42 및 캐퍼시터 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밧데리등의 전원 21은 맥동전압발생회로 22의 단자 BAT에 접속되어 있다. 소자 11, 12 및 13은 리드선 A-C에 의하여 출력단 4A-AC에 접속되어 있다.
이하, 맥동전압발생회로 22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의 맥동신호를 입력단 4a에 공급할 때, 트랜지스터 41은 맥동신호와 동기화 하여 ON 또는 OFF로 된다.
트랜지스터 41이 ON되는 경구, 유도자 42로 여자전류가 흐르게 되고, 트랜지스터 41이 OFF되는 경우, 공급전압보다도 수배에서 수십배 큰 승압펄스가 유도자 42에 의해 방출된 에너지로 인하여 발생된다. 이 승압펄스는 다이오드를 통하여 캐퍼시터 43에 저장되고 나서, 각 소자에 인가되는 맥동전압으로서 사용된다.
선택신호인 제2맥동신호가 제어유니트에서 입력단 4b에 공급될 때, 트랜지스터 47은 선택신호의 상승구간에서 ON된다. 트랜지스터 44는 트랜지스터 47과 동기화하여 ON된다. 그 다음에, 캐퍼시터 43에 저장된 전압은 출력단 4A와 4B의 각각에 전달된다. 그후에 입력단 4b에 공급된 선택신호는 낮게 구동되어 트랜지스터 44와 47은 OFF로 된다. 그리고나서, 출력단 4A와 4B를 거쳐서 소자 11과 12에의 전압인가가 종결된다. 따라서,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맥동전압이 소자 11과 12에 인가된다.
소정시간후, 다른 선택신호를 제어유니트 23에 입력단 4C에 공급할 때, 트랜지스터 45와 48은 활성화된다. 출력단 4B에서의 전위를 높게 하는 맥동전압은 출력단 4B와 4C의 각각에 전달되고, 출력 맥동전압은 소자 12와 13에 인가된다.
소정의 시간후, 또다른 선택신호를 제어유니트 23에서 입력단 4d에 공급할 때, 트랜지스터 46과 49는 활성화된다. 출력단 4c에서의 전위를 높게 하는 맥동전압은 출력단 4C와 4A의 각각에 전달된다. 그리고 나서, 출력 맥동전압은 소자 13과 11에 인가된다.
맥동전압발생회로 22가 상술한 회로소자를 가지므로, 출력단에서의 전위는 제어유니트 23에서의 선택신호의 입력마다 반전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소정의 시간만큼 이전의 신호뒤에 지체되는 선택신호는 입력단 4b, 4c 및 4d에 연속적으로 인가된다. 위상반전된 맥동전압은 출력단 4A, 4B 및 4C의 어느 한쌍에 잇달에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위상반전된 맥동전압은 소자 11, 12 및 13의 각쌍에 잇달에 인가된다.
이제, 제5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온삼투요법용 장치의 제2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도에 도시한 이온삼투요법용 장치는 4개의 소자를 갖는다. 그 구성과 내부구조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소자 51, 52, 53 및 54의 각각에는 어떠한 약물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맥동전압의 인가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한쌍의 소자 51과 52는 전원유니트 2의 제어유니트 23'에서 공급된 제1선택신호로 선택된다. 맥동전압발생회로 22'는 소자 51과 52에 맥동전압을 인가하여서, 소자 51에서의 전위를 높게(+)하고 소자 51에서의 전위를 낮게(-)한다. 다른선택 신호에 의해, 한쌍의 소자 53과 54가 선택된다. 그리고나서, 소자 53과 54에 맥동전압이 인가되어, 소자 53에서의 전위를 높게 하고 소자 54에서의 전위를 낮게한다. 한쌍의 소자 54와 51은 다음의 선택신호로 선택된다. 이것에 의하여 소자 54에서의 전위가 높게되고 소자 53에서의 전위가 낮게된다. 한쌍의 소자 52와 53은 다른 선택신호로 선택된다. 이것에 의하여 소자 52에서의 전위가 높게되고 소자 51에서의 전위가 낮게 된다.
상술한 순서를 반복적으로 행함으로써, 이전의 맥동전압이 전위가 높게 구동되는 출력단을 통하여 인가된 소자에 맥동전압의 인가를 통하여, 소자는 고전위 또는 저전위중 어느 하나로 유지되지 않는다. 전도율을 저하시키는 전극반응은 각 소자의 전극에서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자의 수와 소자를 조합하는 방법은 상술한 실시형태들에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교대적으로, 맥동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5개 이상의 소자를 이용할 수도 있고, 다수개의 소자를 1개의 소자로 쌍을 이룰 수도 있다. 이 교대적인 방식을 위해 필요한 구성은 실시형태들에 의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소자의 수를 증가시키는 경우, 제4도에 도시한 입력단, 출력단 및 트랜지스터의 수를 증가시켜야 한다.
맥동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다수의 소자를 1개의 소자로 쌍을 이루는 경우, 공지의 다이오드 매트릭스 회로등을 사용하여 제4도에 도시한 입력단과 출력단에 관련된 트랜지스터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소자에의 맥동전압의 인가순서, 인가시간, 타이밍 및 소자의 조합은 상술한 실시형태들에서 이동된 마이크로컴퓨터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변경함으로써 변화할 수가 있다. 예를들면, 각 소자에 인가된 맥동전압의 펄스지속기간은 제3(a)도-제3(c)도에 점선 T로 표시한 바와 같이, 그리고 제3(e)도에 도시하 바와같이 단축되어, 펄스 사이의 기간은 정지한 기간으로서 간주될 수도 있다.
정지한 기간의 규정으로 인하여, 전원유니트의 소비전력을 최소화시킬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하여 소형장치로 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소자유니트에 다수의 소자를 집어넣는다. 교대적으로, 소자를 독립형의 장치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이온삼투요법용 장치에 사용가능한 약물예를 다음에 표시한다.
[국소마취제]
염산 리도카인, 염산 테트라카인, 염산 프로카인, 염산 디부카인, 염산 옥시프로카인, 염산 부피바카인, 염산 메피바카인 등.
[항알레르기제 또는 진핵제 및 거담제]
크로모글릭산 나트륨, 푸말산 케토티펜, 염산 아젤라스틴, 아멜렉사논, 테르페나딘, 에메다스틴, 푸마레이트, 트라닐라스트, 인산 코데인, 인산 디히드로코데인, 염산 에프라지논, 히벤자산 티페피딘 등.
[기관지 확장제]
테오피릴린, 염산 히드로모르폰, 염산 부프레노르핀, 염산 부프라놀롤, 펜타족신, 주석산 부토르파놀, 브롬산 엡타족신, 염산 날부핀 등.
[강심제]
염산 도파민, 염산 도부타민, 암리논 등.
[정신신경안정제]
염산 클로르프로마진, 에티졸람, 염산 아미트리틸린, 이염산 크로카프라민, 할로페리돌, 염산 모사프라민, 페르페나진 등.
[항생제]
클로삭실린 나트륨, 벤질페니실린 칼륨, 디카르실린 나트륨, 암피실린 나트륨 및 피페라실린 나트륨등의 페니실린 항셍제; 세포식틴 나트륨, 세포디짐 나트륨, 세포탁심 나트륨, 세포테탄, 세포페라졸 나트륨, 세프수로딘 나트륨, 세프타지딤, 세프메타졸 나트륨등의 세품 항생제; 겐타마이신 나트륨, 시소마이신 나트륨, 디베카신 나트륨, 네틸마이신 나트륨, 아미카신 나트륨 및 리보스타마이신 나트륨등의 아미노 슈거 항생제; 린코마이신, 에리쓰로마이신, 조사마이신, 클로람페니콜 및 테트라시클린 등의 기타 항생제.
[항악성 종양제]
미토마이신 C, 에토포사이드, 염산 프로카르바진, 구연산 타목시펜, 플루오로우라실, UFT, 테가푸르, 카르몰푸르, 메토트렉사이트, 마르보쿠온, 염산 블레오마이신, 황산 페플로마이신, 염산 에피루비신, 염산 피라루비신, 네오카르지노스타틴, 렌티난, 피시바닐, 시조필란, 시스플라틴, 카르보플라틴, 아드리아 마이신, 황산 빈크리스틴 등.
[순환기능개선제]
구연산 니카메타이트, 알프로스타딜, 아르카트로반, 시티콜린, 푸말산니조페논, D-만니톨, 니코란딜, 염산 딜트리아젬 등.
[통풍 치료제]
벤즈브로마론, 알로푸리놀, 콜치신 등.
[고지방혈증제]
심바스타딘, 니코몰, 푸라바스타틴 나트륨 등.
[항히스타민제]
염산 디펜히드라민, 염산 프로메타진, 말레인산 클로르페니라민, 메퀴타진, 푸말산 클레마스틴 등.
[수면안정제 또는 항흥분제]
플루니트라제팜, 미다졸람, 세코르바르비탈 나트륨, 아모바르비탈 나트륨, 페니토인 나트륨 등.
[진통제 또는 소염제]
메토프로펜, 플루비프로펜 악세틸, 인도메타신, 로옥소프로펜 나트륨, 디클루펜나크 나트륨, 피록시캄, 테니다프, 플루비르펜, 테녹시캄 등.
[항현기증제]
염산 디페니돌, 말레인산 티에틸페라진, 메실산 베타-히스틴 등.
[진경제]
부틸브롬산, 스코폴라민, 황산 아트로핀, 염산 에페리손, 염산 티자니딘 등.
[부정맥제]
염산 아로티놀롤, 염산 프로프라놀롤, 아테놀롤, 황산 퀴니딘, 염산 인데놀롤, 염산 부쿠몰롤 등.
[항고혈압제]
염산 클로니딘, 황산 베타니딘, 염산 베나제프릴, 실라자프릴, 카프토프릴, 염산 셀리프롤롤, 염산 틸리솔롤, 염산 테라조신, 염산 분나조신, 카르베딜롤 등.
[피질성 호르몬]
인산 나트륨 하이드로코르티손, 팔리트산 덱사메타손, 인산 나트륨 엑사메타손, 인산나트륨 베타메타손, 숙신산 메틸프레드니솔론 등.
펩티드, 폴리펩티드 및 그 밖의 약물로는 황체형성 호르몬-방출 호르몬(LH-RH), 엔케팔린, 엔돌핀, 인테르 페론, 인슐린, 칼시토닌, 티로트로핀 방출 호르몬(TRH), 옥시토신, 리프레신, 바소프레신, 글루카곤, 피투이타리 호르몬(인체 성장 호르몬(HGH), 인체 폐경기 고나도트로핀(HMG), 인체 융모막 고나도트로핀(HCG), 초산 데스모프레신), 소낭자극 호르몬, 성장호르몬 방출인자, 부신피질자극 호르몬(ACTH), 부갑산성 호르몬(PTH), 안기오텐신, 베타-엔돌핀, 소마토스타틴, 가스트린, 네우로텐신, 아트리알 나트륨이뇨성 펩티드(ANP), 브라디키닌, P물질, 디놀핀, 갑상선 자극호르몬(TSH), 프롤락틴, 인테르레우킨, 과립구 집락 자극인자(GCSF), 글루타티온 과산화효소, 과산화 물분자변위보효소(SOD), 데스모프레신, 소마토메딘, 흑혈구 자극 호르몬(MSH), 무라밀 디펩티드, 봅베신, 혈관활성 장 폴리펩티드 콜레시스토키닌-8, 칼시토닌 유전자 방출 펩티드(CGRP), 엔도텔린 및 니코틴 등이 있다.
이들 약제는 제약학에 유용한 각종 매트릭스 성분과 혼합되어 연고, 겔, 크림, 용액, 현탄액, 막 등의 각종 형태로 사용될 수가 있다.

Claims (3)

  1.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약물을 함유하는 적어도 3개의 이온삼투 소자를 갖고, 이들 소자에 접속되어 DC 맥동전압을 인가하여 소자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원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전원수단은 적어도 3개의 이온삼투 소자중에서 소정의 순서로 한쌍의 이온삼투 소자를 주기적으로 선택하는 소자 선택수단 및 서로 다른 시간에서 이온삼투 소자에 DC 맥동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한쌍의 이온삼투 소자간의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위차 발생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위차 발생수단은 선택된 이온삼투소자 이외의 이온삼투 소자를 전기적인 중성상태로 보지하고, 상기 전위차 발생수단은 이전에 선택된 쌍의 상기 이온삼투 소자중 하나에 이전에 인가된 전압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전압이 맥동하도록 상기 선택된 한쌍의 이온삼투 소자중 하나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위차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위차 발생수단은 적어도 3개의 이온삼투 소자중에서 선택된 한쌍의 이온삼투 소자의 각각이 동일 극성의 전압을 나타내고, 이온삼투 소자의 각각의 극성이 정(+)극성부(-)극성전기적으로 중성인 3가지 상태로 주기적으로 변화되게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삼투요법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3개의 이온삼투 소자가 1개의 패키지내에 집어넣어진 이온삼투요법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차 발생수단은 최대 튜티 사이클(duty cycle)이 1/n(n:이온삼투 소자의 수)인 양의 펄스를 발생시키는 이온삼투요법용 장치.
KR1019950705559A 1993-06-08 1994-06-08 이온삼투요법용 장치 KR1002206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63299 1993-06-08
JP16329993 1993-06-08
PCT/JP1994/000932 WO1994028967A1 (fr) 1993-06-08 1994-06-08 Systeme d'iontophore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2761A KR960702761A (ko) 1996-05-23
KR100220615B1 true KR100220615B1 (ko) 1999-09-15

Family

ID=15771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5559A KR100220615B1 (ko) 1993-06-08 1994-06-08 이온삼투요법용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695459A (ko)
EP (1) EP0716863B1 (ko)
JP (1) JP2809510B2 (ko)
KR (1) KR100220615B1 (ko)
AT (1) ATE217204T1 (ko)
AU (1) AU682515B2 (ko)
CA (1) CA2164589C (ko)
DE (1) DE69430575T2 (ko)
TW (1) TW358741B (ko)
WO (1) WO199402896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024B1 (ko) * 2005-08-19 2007-05-0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손상 억제를 위한 캐소드 전극의 신호전환 및전류차단 주기를 이용한 펄스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및 전류제어방법
KR20190060994A (ko) * 2016-09-29 2019-06-04 필리그린 에스아 전극의 어레이를 사용하여 전리 요법에 의해 인간 피부에 활성 성분을 전달하는 피부 치료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5903B2 (ja) * 1994-06-25 2004-09-15 久光製薬株式会社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電極構造体
WO1996031251A1 (de) * 1995-04-07 1996-10-10 Novartis Ag Iontophoretisches transdermales system zum verabreichen von mindestens zwei substanzen
IT1285405B1 (it) * 1995-06-06 1998-06-03 Alza Corp Modificazione di farmaci polipeptidici per accrescere il flusso per elettrotrasporto.
JP2917270B2 (ja) * 1995-08-04 1999-07-12 東洋産業株式会社 低周波治療器
US5857994A (en) * 1996-10-01 1999-01-1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wakenable iontophoretic/delivery device for reducing electrical sensation upon application thereof
US5873849A (en) * 1997-04-24 1999-02-23 Ichor Medical Systems, Inc. Electrodes and electrode arrays for generating electroporation inducing electrical fields
US6009344A (en) * 1997-07-25 1999-12-2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ontophoretic drug delivery system
US6295469B1 (en) * 1997-11-14 2001-09-25 Alza Corporation Formulation for electrically assisted delivery of lidocaine and epinephrine
WO1999030775A1 (en) 1997-12-17 1999-06-24 Alza Corporation Iontophoresis with programmed adjustment of electric current
US6496728B2 (en) 2000-02-18 2002-12-17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Methods for extracting substances using alternating current
CA2400325A1 (en) 2000-02-18 2001-08-23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Methods for delivering agents using alternating current
US7137975B2 (en) 2001-02-13 2006-11-21 Aciont, Inc. Method for increasing the battery life of an alternating current iontophoresis device using a barrier-modifying agent
US20070191757A1 (en) * 2006-02-16 2007-08-16 Biodel Inc. Method and Device for Sublingual Drug Delivery Using Iontophoresis
DK2032057T3 (da) * 2006-06-12 2010-02-08 Region Hovedstaden V Herlev Ho Elektrodeindføringsindretning
PE20120336A1 (es) * 2008-12-18 2012-04-30 Novartis Ag Sal de hemi-fumarato del acido 1-[4-[1-(4-ciclohexil-3-triflouro-metil-benciloxi-imino)-etil)-2-etil-bencil]-azetidin-3-carboxilico
CN112691290A (zh) * 2019-10-23 2021-04-23 上海钛医医疗科技有限公司 离子电渗透给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58021A5 (de) * 1981-03-31 1986-10-15 Sig Schweiz Industrieges Gelenkfahrzeug fuer personentransporte, mit einer gegen die fahrzeugaussenseite hin allseitig geschlossenen gelenkpartie.
ATE80048T1 (de) * 1985-06-10 1992-09-15 Drug Delivery Systems Inc Programmierbare kontrolle und bausystem eines verabreichungsgeraetes fuer transdermische arzneien.
US4942883A (en) * 1987-09-29 1990-07-24 Newman Martin H Drug delivery device
US5088977A (en) * 1988-12-21 1992-02-18 Drug Delivery Systems Inc. Electrical transdermal drug applicator with counteractor and method of drug delivery
JPH0345272A (ja) * 1989-07-12 1991-02-26 Teijin Ltd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デバイス
DE4028125A1 (de) * 1990-01-17 1991-07-18 Klimke Markus Applikationsvorrichtung fuer die geregelte dosierung verschiedener pharmakons mittels elektrischem strom zum perkutanen transport zur lokalen und systemischen therapie
JPH04224770A (ja) * 1990-12-26 1992-08-14 Teijin Ltd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装置
US5254081A (en) * 1991-02-01 1993-10-19 Empi, Inc. Multiple site drug iontophoresis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US5310403A (en) * 1992-05-18 1994-05-1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ontophoretic drug delivery device and circuit therefor
US5450845A (en) * 1993-01-11 1995-09-19 Axelgaard; Jens Medical electrode system
US5380272A (en) * 1993-01-28 1995-01-10 Scientific Innovations Ltd. Transcutaneous drug delivery applicator
US5374283A (en) * 1993-12-01 1994-12-20 Flick; A. Bart Electrical therapeutic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024B1 (ko) * 2005-08-19 2007-05-0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손상 억제를 위한 캐소드 전극의 신호전환 및전류차단 주기를 이용한 펄스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및 전류제어방법
KR20190060994A (ko) * 2016-09-29 2019-06-04 필리그린 에스아 전극의 어레이를 사용하여 전리 요법에 의해 인간 피부에 활성 성분을 전달하는 피부 치료 장치 및 방법
KR102469226B1 (ko) * 2016-09-29 2022-11-21 필리그린 전극의 어레이를 사용하여 전리 요법에 의해 인간 피부에 활성 성분을 전달하는 피부 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58741B (en) 1999-05-21
EP0716863A1 (en) 1996-06-19
EP0716863A4 (en) 1996-08-07
KR960702761A (ko) 1996-05-23
AU682515B2 (en) 1997-10-09
ATE217204T1 (de) 2002-05-15
WO1994028967A1 (fr) 1994-12-22
AU6936294A (en) 1995-01-03
DE69430575T2 (de) 2002-10-02
CA2164589C (en) 2000-10-10
JP2809510B2 (ja) 1998-10-08
EP0716863B1 (en) 2002-05-08
DE69430575D1 (de) 2002-06-13
US5695459A (en) 1997-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0615B1 (ko) 이온삼투요법용 장치
EP0705619B1 (en) Iontophoresis device
US6775569B2 (en) Electroporation device for in vivo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AU731862B2 (en) Transdermal or transmucosal drug delivery device
CN1095682C (zh) 电输送剂输送方法及装置
CA2217711C (en) Electrotransport delivery with voltage boosting circuit
US5314502A (en) Iontophoretic delivery device
US6141582A (en) Iontophoresis system and its control process of current
US5700481A (en) Transdermal drug delivery process
KR960011032B1 (ko) 맥동식 경피식 약물 투여시스템
JP3290864B2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電源装置
EP0845280B1 (en) Electrode structure for iontophoresis
JP3247931B2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電極デバイス
JP2004202086A (ja) エレクトロポレーション用薬物投与部、エレクトロポレーション用薬物投与システム、及びエレクトロポレーション用薬物投与方法
JP2856551B2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ゼ用デバイス
CA2042994C (en) Iontophoretic delivery device
JPH09187520A (ja) 経皮又は経粘膜薬物送達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