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3077A - 편평 모터의 전기자 구조 - Google Patents

편평 모터의 전기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077A
KR20010013077A KR19997011056A KR19997011056A KR20010013077A KR 20010013077 A KR20010013077 A KR 20010013077A KR 19997011056 A KR19997011056 A KR 19997011056A KR 19997011056 A KR19997011056 A KR 19997011056A KR 20010013077 A KR20010013077 A KR 20010013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ature
pole
coreless
magnetic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7011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8036B1 (ko
Inventor
데즈카다케토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티케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티케이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티케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10013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0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3/00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 H02K23/54Disc armature motors or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 Machiner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과 정류자로 구성되어 계자 자석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편평 모터의 전기자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에 철핀 등으로 이루어지는 자성체 또는 N극 및 S극의 극성을 갖춘 영구 자석을 설치하고, 전기자의 회전을 정지시켰을 때에 자성체 또는 영구 자석을 상기 계자 자석의 N극과 S극과의 경계선상에 위치시켜,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이 기동 개시 위치에 오도록 했다. 따라서, 1개 또는 2개의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로 전기자를 구성한 경우에도 전기자를 시동시킬 때의 회전을 확실하고 또한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편평 모터의 전기자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평 모터의 전기자 구조{ARMATURE STRUCTURE FOR FLAT MOTOR}
진동을 인체에 전달할 목적의 장치로는 무선 전화 호출 장치(이하, 페이저라 함)나 휴대 전화, 가벼운 진동을 인체에 부여하여 마사지 효과를 발휘하는 마사지기, 시청각 장애자용 신호 수신기 등 여러 가지가 공지되어 있고, 전기자를 편심시킨 편평 모터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편평 모터로서, 예컨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평형의 진동 발생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일본 특개평 6-205565호). 이 진동 발생 장치(1)는 케이싱(2)의 저부에 고정된 원형의 평판형 계자(界磁) 자석(3)과, 이 계자 자석(3)과 면이 대향하도록 배치된 회전이 자유로운 전기자(4)와, 이 전기자(4)의 주축에 배치된 샤프트(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기자(4)는 3개의 코일(6a, 6b, 6c)을 역부채형이 되도록 배치하고, 수지 프레임(7)과 일체 성형한 것이다. 또한, 전기자(4)는 코일(6a, 6b, 6c)과 함께 회전하는 정류자(8)를 구비하고 있고, 이 정류자(8)가 케이싱(2)의 하부로부터 연장된 2개의 전극 브러시(9)에 접촉하여 3개의 코일(6a, 6b, 6c)의 극성이 교대로 전환되며, 그 때마다 계자 자석(3)과의 사이에서 인력과 척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기자(4)가 계속해서 회전한다. 특히, 진동 발생 장치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전기자(4) 자체를 크게 편심시킴으로써 전기자(4)가 큰 원심력을 갖고 회전하기 때문에 장치 전체에 강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페이저나 휴대 전화, 마사지기, 시청각 장애자용 신호 수신기 등의 소형화가 점점 진행되고 이에 부응하여 진동 발생 장치의 극소화 및 경량화의 요청도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자(4)는 극성이 교대로 전환되는 코일(6a, 6b, 6c)과 계자 자석(3) 사이의 인력과 척력의 반복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적어도 3개의 코일(6a, 6b, 6c)이 필요하게 된다. 즉,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중심각이 거의 90°인 1개 코일(6)로 전기자(4)를 구성한 경우, 전기자(4)가 정지했을 때에 N극 및 S극을 4등분한 자석(3) 중 1개인 극성(도 16에서는 S극)내로 들어가 버리면, 다음에 전기자(4)를 시동시키려고 했을 때에 전기자(4)의 회전 방향이 정해지지 않고 원활하게 시동하지 않는 사태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코일(6)의 감긴 폭에 해당하는 자석(3)상의 영역(Z)내에 코일(6)의 양 측부(6d, 6e)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보여지는 현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1개 또는 2개의 코일로 전기자를 구성한 경우에도 시동시킬 때에 회전이 확실하고 원활하게 행해지는 전기자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편평 모터를 한층 더 극소화 및 경량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자를 구성하는 코일의 갯수를 줄임으로써 제조 공정의 간략화와 제조 원가의 저렴화를 도모한다.
본 발명은 진동을 인체에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에 적용되는 편평 모터의 전기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개 또는 복수 개의 코어리스(coreless) 전기자 코일로 구성된 전기자를 항상 원활하게 재기동시키기 위한 편평 모터의 전기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편평 모터의 전기자 구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상기 전기자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자석상에서 전기자의 정지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1개의 코일로 구성된 전기자의 회전 원리를 도시한 시동시의 설명도.
도 5는 1개의 코일로 구성된 전기자의 회전 원리를 도시한 시동 직후의 설명도.
도 6은 1개의 코일로 구성된 전기자의 회전 원리를 도시한 회전 계속의 설명도.
도 7은 자성체를 전기자의 내부에 배치했을 때의 평면도.
도 8은 자성체를 코일과는 반대측의 아암부에 설치했을 때의 평면도.
도 9는 자성체를 수지 프레임에 매립한 전기자의 평면도.
도 10은 2개의 코일로 구성한 전기자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편평 모터의 전기자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다른 실시예의 전기자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다른 실시예의 자석상에서 전기자의 정지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종래 편평 모터의 일례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5는 종래 편평 모터에 사용되는 전기자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16은 종래 전기자가 자석상에서 시동하지 않을 때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의 편평 모터의 전기자 구조는 N극 및 S극의 자극을 교대로 갖는 계자 자석상에 계자 자석 및 축 방향의 공극을 통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1개 또는 복수 개의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을 갖는 편평 모터의 전기자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에 자성체를 설치하고, 전기자의 회전을 정지시켰을 때에 자성체를 상기 계자 자석의 N극 및 S극의 자극의 경계에 위치시키고, 계자 자석의 N극 및 S극의 자극과 자성체에 발생한 N극 및 S극의 자극이 서로 흡인하도록 함으로써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이 기동 가능 위치에 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편평 모터의 전기자 구조는 N극 및 S극의 자극을 교대로 갖는 계자 자석상에 계자 자석과 축 방향의 공극을 통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1개 또는 복수 개의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을 갖는 편평 모터의 전기자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에 N극 및 S극의 자극을 갖는 영구 자석을 설치하고, 전기자의 회전을 정지시켰을 때에 상기 영구 자석을 상기 계자 자석의 N극 및 S극의 자극의 경계에 위치시키고, 계자 자석의 N극 및 S극의 자극과 영구 자석의 N극 및 S극의 자극이 서로 흡인하도록 함으로써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이 기동 가능 위치에 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편평 모터의 전기자 구조에서 상기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은 1개로 구성되고,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을 유지하는 프레임의 한쪽 측부에 자성체 또는 N극 및 S극의 자극을 갖는 영구 자석을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편평 모터의 전기자 구조에서 상기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은 1개로 구성되고,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을 유지하는 프레임내에 자성체 또는 N극 및 S극의 자극을 갖는 영구 자석을 매립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평 모터의 전기자 구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편평 모터의 전기자 구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기자(10)는 거의 1/4 원형의 수지 프레임(11) 내부에 1개의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을 배치하여 양자를 일체로 성형한 것이다. 상기 수지 프레임(11)의 주축(13)에는 원을 4등분한 정류자(14a, 14b, 14c, 14d)가 설치되고, 그 중심에는 전기자(1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축 구멍(15)이 개설되어 있다. 상기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은 수지 프레임(11)의 형상에 거의 대응한 형상의 1번 감긴 코일이며, 양측 가장자리의 개방 각도(θ1)는 약 90°이다. 또한, 상기 정류자(14a, 14b, 14c, 14d)는 "14a와 14c", "14b와 14d"가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공통 접속되고, 그 한쪽에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 내측의 권선 단부(25)가 접속되며, 다른쪽에 외측의 권선 단부(26)가 접속된다. 또, 상기 전기자(10)를 진동 발생 모터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원심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의 공심부(16)에 추(17)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면에서는 추(17)의 일부를 절결되어 있음]. 또한, 상기 도 1의 전기자(10)는 회전 중심각이 약 90°이지만, 이 각도로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지 프레임(11)의 일측 가장자리(11a)에서 철핀 등으로 이루어지는 자성체(20-1)가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자성체(20-1)는 가는 둥근 막대 또는 원통으로 형성되고, 원호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내측으로 약간 만곡되어 있다. 즉, 상기 자성체(20-1)의 돌출 방향은 전기자(10)의 회전 방향 또는 역회전 방향과 거의 평행하고, 상기 일측 가장자리(11a)와 직교한다. 상기 자성체(20-1)의 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함으로써 자성체(20-1)의 양측에 N극과 S극을 형성하기 쉬워진다. 상기 자성체(20-1)가 둥근 막대형이 아닌 원통형이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자성체(20-1)의 자력의 강도는 자성체(20-1)의 길이나 단면적 등에 좌우되기 때문에 적절하게 선택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전기자(10)를 정지할 때에는 소정의 위치에서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자력이 필요로 되는 한편, 전기자(10)가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그 회전 운동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자력인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 자성체의 형상으로는 전술한 자성체(20-1)와 같은 둥근 막대형 또는 원통형에 제한되지 않고, 평판형의 작은 조각을 돌출시키거나 타원체를 돌출시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전기자(10)를 계자 자석(21)으로 정지시켰을 때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계자 자석(21)은 원판을 4등분하여 N극과 S극을 교대로 배열한 것으로서, 상기 계자 자석(21)의 중심부에서 전기자(10)의 주축(1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상기 전기자(10)를 계자 자석(21)상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전기자(10)의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에 공급하는 전원을 오프로 하면, 상기 전기자(10)는 자성체(20-1)의 길이 방향의 한가운데가 계자 자석(21)의 N극과 S극과의 경계선(22)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정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전기자(10)는 항상 자성체(20-1)의 절반 길이 정도만큼 각도(θ2)를 어긋나게 한 상태로 계자 자석(21)의 N극상에 정지되어 상기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의 일측부(12a)가 인접하는 타방측의 S극내로 비어져 나온 상태가 된다. 이것은 상기 전기자(10)가 정지할 때에 자성체(20-1)가 계자 자석(21)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주위에 자계가 발생하고, 양단에 계자 자석(21)측과는 반대의 자극[계자 자석(21)의 N극에 대해서는 S극, S극에 대해서는 N극]이 생겨 계자 자석(21) 사이에서 서로 끌어당기고, 상기 전기자(10)의 자유 회전을 극복하여 강제적으로 그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의 일측부(12a)는 전기자(10)가 시동하기 어려운 계자 자석(21)상의 영역(Z)내보다 크게 S극측으로 비어져 나와 있기 때문에, 상기 전기자(10)를 시동시켰을 때에는 원활하게 회전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의 회전 원리를 도 4 내지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계자 자석(21)상에는 2개의 전극 브러시(23, 24)가 뻗어 있고, 그 선단부에 전기자(10)의 각 정류자(14a, 14b, l4c, 14d)가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전극 브러시(23, 24)는 전기자(10)의 회전에 따라 정류자(14a, 14b, 14c, 14d) 상을 약 90°어긋나 미끄러지면서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4는 전기자(10)가 정지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때 상기 자성체(20-1)는 계자 자석(21)의 N1극과 S2극의 경계선상에 위치하고,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 대부분이 계자 자석(21)의 N1극상에 겹치며, 일측부(12a)가 계자 자석(21)의 S1극상에 겹친다. 이 상태에서, 스위치를 온 시키면 전류는 상기 전극 브러시(23)의 선단이 접촉하는 정류자(14d) 및 이것과 공통의 정류자(14b)를 통해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의 외측의 권선 단부(26)로부터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로 흐르게 되고, 또한 내측 권선 단부(25)로부터 정류자(14a, 14c)를 통해 전극 브러시(24)측으로 전류가 흐름으로써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에 자계가 발생한다. 이 때, 상기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의 계자 자석(21)과 대향하는 측에 발생한 자계의 극성이 N극이라고 하면, 그 바로 아래의 계자 자석(21)의 극성 N1과 같은 극성이 되어 척력이 발생하는 한편, 계자 자석(21)의 인접한 극성 S1과는 서로 끌어당기기 때문에 그 방향(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력이 발생하여 전기자(10)가 시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자(10)가 도 5에 도시된 위치까지 회전하면, 한쪽 전극 브러시(23)의 선단 접촉부가 정류자(14c)와 정류자(14d)의 간극으로 들어가거나 또는 다른쪽 전극 브러시(24)의 선단 접촉부가 정류자(14a)와 정류자(14b)의 간극으로 들어가 버리기 때문에, 상기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자기가 없어지지만, 상기 전기자(10)는 회전 관성에 의해 계속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기자(10)가 도 6의 위치까지 회전하면, 도 4일 때와는 반대로 전극 브러시(23)에서 공급된 전류는 정류자(14c, 14a)를 통해 내측 권선 단부(25)로부터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로 흐르게 되고, 외측 권선 단부(26)로부터 정류자(14d)를 통하여 전극 브러시(24)로 빠지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에는 계자 자석(21)과 대향하는 측에 반대 극성인 S극이 생겨 계자 자석(21) 하측의 극(S1)과 서로 밀어내고, 동일한 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어 계속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기자(10)는 회전하면서 N, S를 교대로 반복하고, 계자 자석(21)과의 사이에서 끌어당기고 밀어내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계속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1개의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로 전기자(10)를 구성하고, 또한 추(17)를 설치함으로써 큰 원심력을 얻을 수 있으며, 진동 발생 장치로 이용할 경우에 효과가 크다.
또, 상기 전기자(10)를 역방향(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전류의 공급 방향을 반대로 하거나 또는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의 감는 방향을 반대로 함으로써 회전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자성체(20-1)를 수지 프레임(11)의 일측 가장자리(11a)와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지만, 상기 자성체(20-1)의 양측에 N극 및 S극을 발생시킬 수 있으면 반드시 직교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수지 프레임(11)의 타측 가장자리(11b)에 자성체(20-1)를 설치하는 것은 물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의 공심부(16)로 돌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축(13)을 끼워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과는 반대측에 아암부(30)를 연장시키고, 상기 아암부(30)에 자성체(20-1)를 돌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과 일체로 성형된 수지 프레임(11)의 일측부(11a)를 폭넓게 형성하고, 상기 일측부(11a)에 철핀 등의 자성체(20-1)를 매립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자성체(20-1)의 유지가 보다 확실하게 되는 동시에, 수지 프레임(11)과 함께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용이해진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계자 자석(21)을 4등분하여 N, S의 극성을 교대로 부여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상기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의 회전 중심각과의 관계에서는 8등분한 쪽이 적당한 경우도 있다.
이상, 전기자(10)를 구성하는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이 1개인 경우의 실시예이지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이 2개인 경우도 전기자(10)의 회전 시동에 관한 문제는 동일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이 1개인 구성의 전기자(10)와 같이 자성체(20-1)를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의 수지 프레임(11)의 일측 가장자리(11a)로 돌출시키는 것만으로 회전 시동을 순조롭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진동 발생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보통의 회전 모터나 스테핑 모터에도 응용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본 발명의 편평 모터의 전기자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지 프레임(11)의 일측 가장자리(11a)로부터 영구 자석(20-2)이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영구 자석(20-2)은 가는 둥근 막대형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축 구멍(15)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내측으로 약간 만곡되어 있다. 즉, 상기 영구 자석(20-2)의 돌출 방향은 전기자(10)의 회전 방향 또는 역회전 방향과 거의 평행하고, 일측 가장자리(11a)와 직교한다. 또, 상기 영구 자석(20-2)의 단면 형상을 둥근 막대형으로 함으로써 영구 자석(20-2)의 양측에 N극과 S극을 형성하기 쉽게 된다. 물론 영구 자석(20-2)이 원통 형상이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영구 자석(20-2)의 자력 강도는 영구 자석(20-2)의 길이나 단면적 등에 좌우되기 때문에 적절하게 선택할 필요가 있다. 즉, 전기자(10)를 정지할 때에는 소정 위치에서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자력이 필요한 한편, 상기 전기자(10)가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그 회전 운동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자력이어야 하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또, 상기 영구 자석(20-2)의 형상은 전술한 영구 자석(20-2)과 같은 가는 둥근 막대형이나 원통형으로 제한되지 않고, 평판형의 작은 조각을 돌출시키거나 타원체를 돌출시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3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전기자(10)를 계자 자석(21)으로 정지시켰을 때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계자 자석(21)은 원판을 4등분하여 N극과 S극을 교대로 배열한 것으로서, 계자 자석(21)의 중심부에서 전기자(10)의 주축(1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상기 전기자(10)를 계자 자석(21)상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전기자(10)의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에 공급하는 전원을 오프로 하면, 상기 영구 자석(20-2)의 S극과 N극이 계자 자석(21)의 N극과 S극으로 끌어당겨지고, 길이 방향의 한가운데가 계자 자석(21)의 N극과 S극의 경계선(22)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기자(10)가 정지한다. 즉, 상기 전기자(10)는 항상 영구 자석(20-2)의 절반 길이 정도만큼 각도(θ2)를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계자 자석(21)의 N극상에 정지하고,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의 일측부(12a)가 인접하는 타방측의 S극내로 비어져 나온 상태가 된다. 이것은 전기자(10)가 정지할 때에 영구 자석(20-2)과 계자 자석(21)이 계자 자석(21)의 N극에 대해서는 영구 자석(20-2)의 S극, S극에 대해서는 N극이 서로 끌어당기고, 전기자(10)의 자유 회전을 극복하여 강제적으로 그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12)의 일측부(12a)는 전기자(10)가 시동하기 어려운 계자 자석(21)상의 영역(Z)내보다 크게 S극측으로 비어져 나와 있기 때문에, 전기자(10)를 시동시켰을 때에는 원활하게 회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편평 모터의 전기자 구조에서, 전기자에 자성체 또는 N극 및 S극의 극성을 갖춘 영구 자석을 설치하고, 전기자의 회전을 정지시켰을 때에 자성체 또는 영구 자석을 상기 계자 자석의 N극과 S극의 경계에 위치시키고,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이 기동 가능 위치에 오도록 하였기 때문에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이 2개 또는 1개인 구성의 전기자라도 전기자를 시동시킬 때의 회전이 확실하고, 또한 원활하게 행해져 결과적으로 편평 모터를 한층 더 극소화 및 경량화시킬 수 있다. 또, 제조 공정수, 제조 비용 절감의 관점에서 1개 또는 2개 구성의 전기자 모터의 실현에 효과적이며, 한편 진동 발생 장치의 모터로는 보다 큰 진동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편심 작용이 큰 1개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효과가 크다.

Claims (4)

  1. N극 및 S극의 자극을 교대로 갖는 계자 자석상에 계자 자석과 축 방향의 공극을 통해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1개 또는 복수 개의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을 구비하는 편평 모터의 전기자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에 자성체를 설치하고, 상기 전기자의 회전을 정지시켰을 때에 자성체를 상기 계자 자석의 N극 및 S극의 자극 경계에 위치시키고, 계자 자석의 N극 및 S극의 자극과 자성체에서 발생한 N극 및 S극의 자극이 서로 흡인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이 기동 가능 위치에 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 모터의 전기자 구조.
  2. N극 및 S극의 자극을 교대로 갖는 계자 자석상에 계자 자석과 축 방향의 공극을 통해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1개 또는 복수 개의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을 구비하는 편평 모터의 전기자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에 N극 및 S극의 자극을 갖는 영구 자석을 설치하고, 전기자의 회전을 정지시켰을 때에 영구 자석을 상기 계자 자석의 N극 및 S극의 자극 경계에 위치시키고, 계자 자석의 N극 및 S극의 자극과 영구 자석의 N극 및 S극의 자극이 서로 흡인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이 기동 가능 위치에 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 모터의 전기자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은 1개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을 유지하는 프레임의 일측부에 자성체 또는 N극 및 S극의 자극을 갖는 영구 자석이 돌출되도록 한 편평 모터의 전기자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은 1개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을 유지하는 프레임에 자성체 또는 N극 및 S극의 자극을 갖는 영구 자석이 매립되도록 한 편평 모터의 전기자 구조.
KR10-1999-7011056A 1997-05-27 1997-09-12 편평 모터의 전기자 구조 KR100488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36733 1997-05-27
JP9136733A JP3039857B2 (ja) 1997-05-27 1997-05-27 偏平モータの電機子構造
PCT/JP1997/003244 WO1998054818A1 (en) 1997-05-27 1997-09-12 Armature structure for flat mo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077A true KR20010013077A (ko) 2001-02-26
KR100488036B1 KR100488036B1 (ko) 2005-05-09

Family

ID=15182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1056A KR100488036B1 (ko) 1997-05-27 1997-09-12 편평 모터의 전기자 구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265796B1 (ko)
EP (1) EP1030434A4 (ko)
JP (1) JP3039857B2 (ko)
KR (1) KR100488036B1 (ko)
CN (1) CN1167180C (ko)
AU (1) AU742025B2 (ko)
HK (1) HK1027916A1 (ko)
TW (1) TW364237B (ko)
WO (1) WO19980548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57770T1 (de) * 2000-02-04 2007-04-15 Fujikura Ltd Vibrations-gleichstrommotor und ankerstruktur
AU2001278697A1 (en) 2000-08-11 2002-02-25 Ecchandes Inc. Overlapping type piezoelectric stator, overlapping type piezoelectric acturator and applications thereof
JP2002210410A (ja) * 2001-01-18 2002-07-30 Tokyo Parts Ind Co Ltd 停止位置保持手段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偏心ロータと同偏心ロータを用いた扁平コアレス振動モータ
JP2004261684A (ja) * 2003-02-28 2004-09-24 Citizen Electronics Co Ltd 振動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68292B1 (ko) * 2004-02-25 2006-04-05 삼성전기주식회사 평편형 진동모터
JP4533681B2 (ja) * 2004-06-25 2010-09-01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振動モータ
JP4538290B2 (ja) * 2004-09-30 2010-09-08 西川 千暁 振動モータ
CH697114A5 (de) * 2004-11-22 2008-04-30 Fritz Faulhaber Gmbh & Co Kg D Elektromotor, insbesondere Glockenankermotor.
CN100370684C (zh) * 2005-07-27 2008-02-20 沈阳工业大学 一种径向无铁心永磁电动机
JP2008148491A (ja) * 2006-12-12 2008-06-26 Chiaki Nishikawa モータ及びモータ用電機子
CN101889382B (zh) * 2007-11-09 2013-05-01 上田义英 具备交流电压输出绕组的单向通电型无刷直流电机以及电机系统
KR101240701B1 (ko) * 2012-01-20 2013-03-11 삼성전기주식회사 단상 진동 모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4683U (ko) * 1984-11-07 1986-06-04
JPS62104465A (ja) * 1985-10-30 1987-05-14 Meiko Denshi Kogyo Kk ブラシレス偏平モ−タ
JPS6281458U (ko) * 1985-11-07 1987-05-25
JPS6388060A (ja) 1986-09-30 1988-04-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動肉挽機
JPH07110114B2 (ja) * 1987-05-21 1995-11-22 株式会社シコ−技研 振動型軸方向空隙型電動機
JPS6416180U (ko) * 1987-07-17 1989-01-26
JP2535186B2 (ja) * 1987-11-13 1996-09-18 株式会社シコー技研 軸方向空隙型電動機
JPH0824416B2 (ja) * 1987-12-21 1996-03-06 株式会社シコー技研 振動型軸方向空隙型電動機
US4864276C1 (en) * 1988-06-03 2001-01-09 Motorola Inc Very low-profile motor arrangement for radio pager silent alerting
JPH04275046A (ja) * 1991-02-28 1992-09-30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ペイジャー用振動モータ
JPH05168195A (ja) * 1991-12-12 1993-07-02 Secoh Giken Inc 振動発生装置
JPH06311693A (ja) * 1993-04-23 1994-11-04 Shicoh Eng Co Ltd 偏平形振動発生装置
JPH0898458A (ja) * 1994-09-16 1996-04-12 Shicoh Eng Co Ltd 偏平形振動発生装置
US6051900A (en) * 1999-08-03 2000-04-18 Tokyo Parts Industrial Co., Ltd. Flat coreless vibrator motor having no output sha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64237B (en) 1999-07-11
JPH10336983A (ja) 1998-12-18
EP1030434A4 (en) 2005-09-07
HK1027916A1 (en) 2001-01-23
CN1167180C (zh) 2004-09-15
AU742025B2 (en) 2001-12-13
EP1030434A1 (en) 2000-08-23
KR100488036B1 (ko) 2005-05-09
JP3039857B2 (ja) 2000-05-08
AU4221097A (en) 1998-12-30
US6265796B1 (en) 2001-07-24
WO1998054818A1 (en) 1998-12-03
CN1254452A (zh) 2000-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036B1 (ko) 편평 모터의 전기자 구조
US6246143B1 (en) Flat coreless vibrator motor using magnetic latching power
US7605501B2 (en) Stepping motor and fan having the same
KR100818854B1 (ko) 직류 진동 모터 및 전기자 구조
JPH10146035A (ja) 振動発生器の取付構造
JPH11191950A (ja) 扁平モータの電機子構造
JP3776721B2 (ja) 直流モータ及びその電機子構造
KR101588710B1 (ko) 직사각형 케이스 내부에 반원통형 분동이 내장된 bldc 진동모터
JPH0255563A (ja) 単相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JPH10164809A (ja) 振動発生器
JPH1175355A (ja) 扁平モータの電機子構造
JP3512853B2 (ja) 振動モータ
KR20040066632A (ko) 편평형 진동 모터
JP2002028569A (ja) 直流振動モータ及びその電機子構造
JP3333847B2 (ja) 扁平コアレスモータ
JPH10257712A (ja) 偏心コアード振動モータ
JP2001300424A (ja) 振動モータ
JP2000023396A (ja) 直流モータ
KR100901896B1 (ko) 한 개의 코일을 가지는 전기자를 구비한 편평모터
JP2004007968A (ja) ハイブリッド磁石型直流機
JP2002084718A (ja) 扁平コアレスモータ
JPH10146040A (ja) 振動発生器
JP2003244892A (ja) 振動発生方法及び振動モータ
JPH0824416B2 (ja) 振動型軸方向空隙型電動機
JP2000152585A (ja) ホールディングトルクを用いた扁平コアレス振動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