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2967A - 개량된 푸시 버튼 구조를 갖는 장치 - Google Patents

개량된 푸시 버튼 구조를 갖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2967A
KR20010012967A KR1019997010937A KR19997010937A KR20010012967A KR 20010012967 A KR20010012967 A KR 20010012967A KR 1019997010937 A KR1019997010937 A KR 1019997010937A KR 19997010937 A KR19997010937 A KR 19997010937A KR 20010012967 A KR20010012967 A KR 20010012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witch
movable
pivo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푸르만카를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10012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96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7Co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6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rod or lever linkage, e.g. toggle
    • H01H2003/466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rod or lever linkage, e.g. toggle using a living hinge to connect the le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6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rod or lever linkage, e.g. toggle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벽(3)과, 벽(3)의 영역 내부에 배치되며 가동수단을 갖는 버튼(7)을 구비하고, 버튼(7)의 가동수단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한 스위치(13)를 구비하며, 버튼(7)의 가동수단과 스위치(13) 사이에 배치된 전달수단을 구비한 장치(1)에 있어서, 버튼 가동수단은 피벗(19)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며 스위치(13)를 향해 일정한 방향(15)으로 배치된 벨 크랭크 레버(16)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전달수단은, 적어도 상기 방향(15)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되고 상기 방향(15)으로 연장되는 전달부재, 즉 전달 바아(21)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개량된 푸시 버튼 구조를 갖는 장치{APPARATUS HAVING AN IMPROVED PUSH-BUTTON CONSTRUCTION}
본 발명은, 벽과, 벽의 영역에 배치되고, 벽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벽 내부의 개구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는 버튼 헤드와 장치의 내부에 있는 버튼 헤드에 연결된 가동수단을 구비한 적어도 한 개의 가동 버튼을 구비하고, 장치의 내부에서 벽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된 일정한 방향으로 버튼의 버튼 헤드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배치된 스위치를 구비하며, 버튼의 가동수단과 스위치의 가동수단 사이에 배치되고 버튼의 가동시 버튼 가동수단의 도움으로 가동가능하며, 그 자체가 가동이 이루어진 경우에 스위치의 가동수단이 가동되도록 하는 전달수단을 구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서두에서 정의된 형태의 이와 같은 장치, 즉 비디오 레코더는 모델명 HS-751 V로 미쓰비시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며 이것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버튼은 장치의 하우징의 전방 벽의 영역에 장착되고, 버튼 헤드는 전방 벽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전방 벽 내부의 개구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버튼의 버튼 헤드는, 버튼의 가동수단으로서 설치되고 전방 벽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부 벽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레버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한 레버는 피벗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다. 이 피벗은, 상기한 종래의 장치의 하우징의 상부 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버튼 헤드에 대해 일직선에서 벗어나게 배치된다. 스위치는, 장치의 내부에, 일정한 방향으로, 즉 전방 벽에 대해 평행하고 상부 벽 및 바닥 벽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버튼의 버튼 헤드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배치되는데, 즉 하우징의 바닥 벽을 향하여 버튼 헤드에 대해 일직선에서 벗어나게 놓이며, 스위치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버튼 헤드와 스위치 또는 스위치의 가동수단 사이에 수 센티미터의 비교적 큰 간격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버튼의 가동수단의 피벗이 버튼 헤드에 대해 스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측면에, 즉 하우징의 상부 벽 가까이 배치된다는 사실로 인해, 버튼 헤드와 하우징의 상부 벽 사이에 피벗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에 필요하므로, 버튼을 하우징의 상부 벽에 가까이 임의로 배치할 수 없다. 더구나,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버튼의 가동수단에 대한 피벗의 전술한 배치로 인해, 버튼 헤드의 가동시에 버튼 헤드가 하우징의 상부 벽을 향한 선회 운동을 행하여, 비교적 많은 사용자가 최소한 희한하거나 심지어는 불쾌한 느낌을 받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서두에서 정의한 형태의 장치를 간단하면서도 추가적인 비용이 없이 개량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두에서 정의된 형태의 장치에 있어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한 버튼 가동수단은 제 1 피벗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벨 크랭크 레버(bell-crank lever)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피벗은 상기 방향에서 보았을 때 버튼의 버튼 헤드에 대해 스위치를 향해 배치되며, 상기 전달수단은 적어도 상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달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버튼 헤드에 관하여 가동수단에 대한 피벗이 버튼 헤드보다 스위치에 더 가깝게 놓이므로, 버튼 헤드와 관련하여 스위치로부터 떨어진 측에 가동수단에 대한 피벗을 수납하기 위한 추가 공간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버튼 헤드를 버튼 헤드가 장착된 벽에 인접하고 이 벽에 대해 가로질러 연장되는 하우징 벽에 가깝게 임의로 배치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데, 이것은 비교적 많은 경우에 바람직하고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버튼 헤드의 가동시에, 이 버튼 헤드가 사용자가 예상하지 않은 것이 아니고 예측되고 통상적인 가동 운동을 행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가동하고자 하는 버튼이 장치의 전방 벽의 영역에 배치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장치의 전방 벽에 인접하는 바닥 벽을 향해 배향된 버튼의 버튼 헤드의 가동 운동을 일으킨다는 점에 주목해야 되는데, 이것은 대부분의 사용자가 통상적이고 편리한 것으로 생각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전달수단은 스위치의 가동수단으로서 설치된 적절한 길이를 갖는 가동 로드(actuating rod)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것은 특별히 설계된 스위치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2에 기재된 실시예가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특히 간단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더구나, 이와 같은 실시예는 높은 신뢰성을 보장한다.
청구항 3 및 청구항 4에 기재된 실시예는, 스위치의 가동수단과 매우 신뢰할 수 있으며 우수한 상호작용을 보장하므로, 매우 유리하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실시예는, 허용오차에 무관하기 때문에, 매우 낮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더구나, 이와 같은 실시예는, 장치 내부에 매우 간단하면서도 많은 비용이 들지 않고도 장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실시예는, 시험과정 동안 매우 큰 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발명내용과 또 다른 발명내용은 예를 들기 위해 이하에서 설명하는 2개의 실시예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이들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예를 들기 위해 주어진 2개의 실시예를 나타낸 다음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 도 1에서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1에는 비디오 레코더의 형태를 갖는 장치(1)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장치(1)는 하우징(2)을 갖는데, 도 1에는 전방 벽(3), 후방 벽(4)의 일부, 바닥 벽(5) 및 측벽(6)이 도시되어 있다. 이 장치(1)는 전방 벽(3)의 영역에 복수의 가동 버튼을 갖는다. 도 1에는 간략을 기하기 위해 1개의 버튼(7) 만을 도시하였다.
상기한 버튼(7)은, 전방 벽(3)을 가로질러 전방 벽(3)에 있는 개구(8)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는 버튼 헤드(9)와, 장치의 내부에서 버튼 헤드(9)에 연결되며 후술하는 가동수단을 구비한다.
2개의 장착 리브(rib) 10 및 11이 바닥 벽(5)으로부터 돌출되며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장치(1) 내부에 고정된 인쇄회로기판(12)을 지지한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부품 이외에, 인쇄회로기판(12)은 스위치(13)를 갖는다. 스위치(13)는 스위치 로드로 이루어진 움직일 수 있는 가동수단(14)을 가지며, 이 스위치 로드는 본 경우에는 바닥 벽(5)에 수직하게 움직일 수 있다. 상기한 스위치(13)는, 전방 벽(3)에 평행하게 배향되고 도 1에 화살표(15)로 나타낸 일정한 방향으로 버튼(7)의 버튼 헤드(9)로부터 도 1에 나타낸 일정한 거리 D1에 장치(1) 내부에 배치된다.
버튼(7)을 사용하여 스위치(13)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한 장치(1)는 버튼(7)의 가동수단과 스위치(13)의 가동수단(14) 사이에 배치된 전달수단을 구비한다. 이 전달수단은 버튼(7)의 가동시에 버튼(7)의 가동수단의 도움으로 가동될 수 있다. 전달수단이 가동되면, 이 전달수단은 스위치(13)의 가동수단(14)의 가동을 일으킨다. 전달수단에 대해서도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장치(1)에 있어서, 버튼(7)의 가동수단은, 전방 벽(3)에 평행하게 연장된 제 1 레버 아암(17)과, 제 1 레버 아암(17)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된 제 2 레버 아암(18)을 갖는 벨 크랭크 레버(16)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벨 크랭크 레버(16)는 제 1 피벗(19) 중심으로 선회가능하도록 지지체(20) 상에 장착되며, 이 지지체는 도시되지 않은 방법으로 장치(1) 내부에 전방 벽(3)의 영역에 고정된다. 본 경우에, 제 1 피벗(19)은 일체화된 힌지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방향(150에서 보았을 때, 제 1 피벗(19)은 버튼(7)의 버튼 헤드(9)에 대해 스위치(13)를 향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버튼(7)의 버튼 헤드(9)를 상부 벽(4)에 거의 임의로 가깝게 배치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한 장치(1)에 있어서, 전달수단은, 상기한 방향(15)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한 방향(15)으로 연장되는 전달부재로 형성되며, 이 전달부재는 스위치(13)의 가동수단(14)에 대해 이동가능한 전달 바아(21)로 이루어진다. 이때, 전달 바아(21)는 장착 바아(22)와 일체화된다. 이 장착 바아(22)는, 제 2 피벗(23)을 사용하여 선회가능하게, 즉 마찬가지로 지지체(20) 상에 지지되므로, 지지체(20)는 벨 크랭크 레버(16)와 장착 바아(22)와 함께 전달 바아(21)에 대한 공통 지지체를 형성한다. 장착 바아(22)는 스위치(13)의 구동수단(14)과 상호작용하는데, 이것은 구동수단(14)의 신뢰할 수 있는 가동을 위해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상기한 방향(15)에서 보았을 때, 제 2 피벗(23)과 장착 바아(22)와 상호작용하는 스위치(13)의 가동수단(14)의 단부는 버튼(7)의 버튼 헤드(9)로부터 동일한 거리 D2를 갖는데, 이와 같은 구성은 매우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한 장치(1)에 있어서, 공통 지지체(20)와, 2개의 일체화된 힌지, 즉 제 1 피벗(19) 및 제 2 피벗(23)과, 버튼 헤드(9)와 결합된 벨 크랭크 레버(16)와, 장착 바아(22)와 결합된 전달 바아(21)는 일체화된 부품을 형성하는데, 이와 같은 구성은 단순한 제조과정과 간단한 장착 및 최소의 공차를 위해 매우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제 1 피벗(19)이 버튼(7)의 버튼 헤드(9)에 대해 스위치(13)를 향하는 방향(15)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그것의 가동시에 버튼 헤드(9)가 바닥 벽(5)을 향하는 방향으로 적은 움직임을 행한다는 추가적인 이점이 얻어지는데, 이와 같은 구성은, 수많은 시험을 통해 밝혀진 것과 같이, 수많은 사용자가 논리적이며 간편하게 생각한다.
도 2에 도시된 장치(1)d- 있어서는, 도 1에 도시된 장치(1)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가 사용되지만, 2가지 다른 특징부를 주목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장치(1)에 있어서, 벨 크랭크 레버(16), 즉 벨 크랭크 레버(16)의 제 2 레버 아암(18)과 전달 바아(21)는 일체화된 제 3 힌지(24)를 통해 서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달 바아(21)와 장착 바아(22)는 일체화된 제 4 힌지(25)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단일 부품을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매우 큰 안정성을 갖고, 전달 바아(21)에 대해 매우 우수한 안내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비디오 레코더인 전술한 2가지 장치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다른 장치, 예를 들면 오디오 신호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도 사용가능할 뿐 아니라, 통신장치, 무선 수신기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Claims (6)

  1. 벽(3)과,
    벽(3)의 영역에 배치되고, 벽(3)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벽(3) 내부의 개구(8)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는 버튼 헤드(9)와 장치(1)의 내부에 있는 버튼 헤드(9)에 연결된 가동수단을 구비한 적어도 한 개의 가동 버튼(7)을 구비하고,
    장치(1)의 내부에서 벽(3)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된 일정한 방향(15)으로 버튼(7)의 버튼 헤드(9)로부터 일정한 거리(D1)에 배치된 스위치(13)를 구비하며,
    버튼(7)의 가동수단과 스위치(13)의 가동수단(14) 사이에 배치되고 버튼(7)의 가동시 버튼 가동수단의 도움으로 가동가능하며, 그 자체가 가동이 이루어진 경우에 스위치(13)의 가동수단(14)이 가동되도록 하는 전달수단을 구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튼 가동수단은 제 1 피벗(19)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벨 크랭크 레버(16)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피벗(19)은 상기 방향(15)에서 보았을 때 버튼(7)의 버튼 헤드(9)에 대해 스위치(13)를 향해 배치되며,
    상기 전달수단은 적어도 상기 방향(15)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방향(15)으로 연장되는 전달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스위치(13)의 가동수단(14)에 대해 움직일 수 있도록 장치(1) 내부에 지지된 전달 바아(2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바아(21)는, 제 2 피벗(23)에 의해 선회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스위치(13)의 가동수단(14)과 상호작용하는 장착 바아(22)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15)에서 보았을 때, 제 2 피벗(23)과 장착 바아(22)와 상호작용하는 스위치(13)의 가동수단(14)의 단부가 버튼(7)의 버튼 헤드(9)로부터 동일한 거리(D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5. 제 4항에 있어서,
    벨 크랭크 레버(16)와 전달 바아(21)는 장착 바아(22)를 통해 공통 지지체(20) 상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되고, 제 1 피벗(19)과 제 2 피벗(23)은 각각 일체화된 힌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통 지지체(20)와 일체화된 2개의 힌지와 벨 크랭크 레버(16)와 장착 바아(22)와 연계된 전달 바아(21)는 일체화된 부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벨 크랭크 레버(16)와 전달 바아(21)는 일체화된 제 3 힌지(24)를 통해 서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달 바아(21)와 장착 바아(22)는 일체화된 제 4 힌지(25)를 통해 서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KR1019997010937A 1998-03-27 1999-02-08 개량된 푸시 버튼 구조를 갖는 장치 KR200100129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8890081.7 1998-03-27
EP98890081 1998-03-27
PCT/IB1999/000212 WO1999050845A1 (en) 1998-03-27 1999-02-08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push-button constr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967A true KR20010012967A (ko) 2001-02-26

Family

ID=823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937A KR20010012967A (ko) 1998-03-27 1999-02-08 개량된 푸시 버튼 구조를 갖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51799A (ko)
EP (1) EP1023725A1 (ko)
JP (1) JP2002501656A (ko)
KR (1) KR20010012967A (ko)
HU (1) HUP0002408A3 (ko)
WO (1) WO19990508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0956574T3 (da) * 1997-01-09 2010-11-08 Linak As Kontakt- og betjeningsmodul
JP3090037U (ja) * 2002-05-16 2002-11-22 船井電機株式会社 操作ボタン一体式フロントパネル
US7247807B2 (en) * 2003-07-07 2007-07-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utton having stiffer vertical motion and reduced lateral motion
KR100605257B1 (ko) * 2004-07-22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 및 전자기기
US7247806B2 (en) * 2004-10-18 2007-07-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ing device bezel and facia button therefor
JP2006278248A (ja) * 2005-03-30 2006-10-12 Orion Denki Kk 操作釦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7115499A (ja) * 2005-10-20 2007-05-10 Orion Denki Kk 押し釦装置
CN111564332B (zh) * 2019-10-08 2023-02-24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复合式按键结构及应用其的无线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7282A (en) * 1981-03-06 1983-06-07 Motorola Inc. Electrical switch assembly
US5627727A (en) * 1994-09-02 1997-05-06 Ncr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assembly and method
JP3551587B2 (ja) * 1995-12-14 2004-08-11 三菱電機株式会社 押しボタン装置
JP3555349B2 (ja) * 1996-08-26 2004-08-18 三菱電機株式会社 押しボタン装置
KR100224089B1 (ko) * 1997-01-30 1999-10-15 윤종용 전자기기용 회전식 컨트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501656A (ja) 2002-01-15
US6051799A (en) 2000-04-18
WO1999050845A1 (en) 1999-10-07
HUP0002408A3 (en) 2001-05-28
HUP0002408A2 (hu) 2000-12-28
EP1023725A1 (en) 2000-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0111B2 (en) Electronic equipment and transmission device of button device used therein
US5871086A (en) Miniature momentary contact sliding switch
JP2002287891A5 (ko)
KR20010012967A (ko) 개량된 푸시 버튼 구조를 갖는 장치
US20080017491A1 (en) Electrical switch
GB2288070A (en) Key switch
JP3623447B2 (ja) スティックスイッチ、特に、原動機付き車両用の転向スティックスイッチ
US4404436A (en) Push-push mechanism of pushbutton operating shaft
US20050061645A1 (en) Switching apparatus and vehicle-mounte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witching apparatus assembled therein
KR100195824B1 (ko) 레버 스위치
EP1503392A2 (en) Switch Assembly
US7564001B2 (en) Switch and remote controller using the same
JP3936832B2 (ja) 回転型電気部品
JP3143635B2 (ja) Vtr等におけるスイッチ操作機構
JP2789161B2 (ja) 押ボタンスイッチ
KR930002783Y1 (ko) 음향기기의 녹음스위치 작동장치
JPH0731960B2 (ja) 押釦装置
JP2000156137A (ja) 電気機器のスイッチ装置
KR100797020B1 (ko) 전자기기용 스위치조립체의 결합구조
JP2575084Y2 (ja) レバースイッチ
WO2000010181A1 (en) Dual-gang switch plate with voice recorder
JP2599206Y2 (ja) 乾燥機の操作装置
JP2590447Y2 (ja) スイッチ装置
JPH0550878B2 (ko)
KR980001320A (ko) 멀티평션 스위치 일체형 리타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