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1583A - 자세균형 측정기능을 갖는 인체성분 분석장치 및 그 분석방법 - Google Patents

자세균형 측정기능을 갖는 인체성분 분석장치 및 그 분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1583A
KR20010011583A KR1019990031020A KR19990031020A KR20010011583A KR 20010011583 A KR20010011583 A KR 20010011583A KR 1019990031020 A KR1019990031020 A KR 1019990031020A KR 19990031020 A KR19990031020 A KR 19990031020A KR 20010011583 A KR20010011583 A KR 20010011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human body
measuring
electrod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6473B1 (ko
Inventor
차기철
Original Assignee
차기철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기철,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filed Critical 차기철
Priority to KR1019990031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473B1/ko
Publication of KR20010011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4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 G01G19/5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having additional measuring devices, e.g. for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6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 G01G23/37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 G01G23/3707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using a microprocesso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피측정자의 우측 손바닥, 우측 엄지, 좌측손바닥 및 좌측 엄지를 각각 접촉하기 위한 전극(3, 4, 5, 6); 피측정자의 우측 앞발바닥, 우측 뒷발바닥, 좌측 앞발바닥 및 좌측 뒷발바닥을 각각 접촉하기 위한 전극(7, 8, 9, 10); 우측힘판(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우측발에 의하여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우측하중센서(1); 좌측힘판(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좌측발에 의하여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좌측하중센서(2); 고주파수 또는 저주파수의 정현파 전류를 발생시키고 전극간 전압차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회로(19); 전극사이의 전류 및 전압의 측정경로를 변경시켜 인체부위별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전극과 임피던스 측정회로(19) 사이에 설치되는 전자 스위치(18); 성별, 연령, 신장 등의 피검자 정보를 입력하는 키보드(24); 및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측정된 신호를 이용해 자세균형과 인체성분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시화면(15)에 출력하며, 전자 스위치(19)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3);로 구성되는 자세균형을 측정하고 생체전기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인체성분 분석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세균형 측정기능을 갖는 인체성분 분석장치 및 그 분석방법{Apparatus for Body Composition Analysis and for Postural Balance Measuremen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자세균형 측정기능을 갖는 인체성분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피검자의 양쪽 발 위치에 각각의 하중측정센서를 부착하여 각각의 발에 주어지는 하중을 각각 측정하여 자세균형을 측정하고, 인체부위별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인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 인체성분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세균형 및 인체성분을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도 포함한다.
발명의 배경
피검자가 차려 자세로 직립으로 선 자세에서의 체중은 오른다리와 왼 다리에 양분되나 그 크기가 항상 동일한 것은 아니다. 피검자가 중추신경계 및 근 골격계에 이상이 있을 때 건강인보다 좌우의 하중분배에서 불균형은 더욱 심하게 일어난다. 체중이 중심선에서 좌우, 앞뒤로 얼마나 벗어났나를 측정하여 자세 균형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기기를 자세균형 측정 시스템이라 하며 재활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피검자의 신경계 및 근골격계 이상으로 신체부위에 이상이 발생할 때, 이는 부위별 근육량 및 체수분량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어, 병변이나 외상을 경험하고 있는 다리가 다른 쪽에 비하여 흔히 수축한다거나 부어 오를 수 있다. 피검자의 자세균형과 인체부위별 근육량을 동시에 측정하면 진단 및 치료에 신뢰성 높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생체전기 임피던스(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란 인체에 전극을 접촉시키고, 인체내로 약한 교류전류를 흘려주면서 인체의 전기저항 혹은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이러한 측정으로부터 인체의 수분량, 근육량, 지방량 등의 인체성분을 측정하는 기술이다. 특별히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생체임피던스를 인체부위별 즉, 오른팔, 왼팔, 몸통, 오른다리, 왼다리에서 각각 적용하여 부위별로 인체성분을 제공하는 분석장치를 자세균형 제어시스템과 연결시켜 두 가지 측정을 동시에 제공한다.
본 발명자는 이미 대한민국특허 제123408호와 제161602호, 그리고 미국특허 제5,720,296호의 생체전기 임피던스법을 이용한 인체성분 분석장치를 발명한 바 있다. 특별히 이들 발명에서는 인체를 부위별로 측정하여 부위별로 인체성분을 제공하는 기술을 실현시켰다.
본 발명자는 생체전기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인체부위별 성분을 분석하는 장치에 인체의 좌우균형을 측정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자세균형과 인체성분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검자의 체중중심이 벗어나는 자세동요(postural sway)를 측정하는 자세균형과 부위별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체중의 무게중심 이동과 부위별 인체 성분량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검자의 자세균형과 인체부위별 근육량을 동시에 측정하여 진단 및 치료에 보다 신뢰성 높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모두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해서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균형 측정기능을 갖는 인체성분 분석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균형 측정기능을 갖는 인체성분 분석장치의 개략적인 전기회로 구성도이다.
제3도는 인체의 각 부위별 전극과 임피던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인체모델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균형 측정기능을 갖는 인체성분 분석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우측하중센서 2: 좌측하중센서
3: 우측 손바닥 전극 4: 우측 엄지전극
5: 좌측 손바닥 전극 6: 좌측 엄지전극
7: 우측 앞발바닥 전극 8: 우측 뒷발바닥 전극
9: 좌측 앞발바닥 전극 10:좌측 뒷발바닥 전극
11: 우측 힘판 12: 좌측 힘판
13: 하판 지지대 14: 손 전극 전선
15: 전자 회로부 16: 표시 화면
17: 인터페이스 단자 18: 부위별 측정용 전자 스위치
19: 임피던스 측정회로 20: 임피던스 측정용 신호 증폭기
21: 하중 측정용 신호 증폭기 22: A/D 변환기
23: 마이크로 프로세서 24: 키보드
25: 프린터 26: 바퀴
27: 우측후단부 하중센서 28: 우측전단부 하중센서
29: 좌측후단부 하중센서 30: 좌측전단부 하중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피측정자의 우측 손바닥, 우측 엄지, 좌측손바닥 및 좌측 엄지를 각각 접촉하기 위한 전극(3, 4, 5, 6); 피측정자의 우측 앞발바닥, 우측 뒷발바닥, 좌측 앞발바닥 및 좌측 뒷발바닥을 각각 접촉하기 위한 전극(7, 8, 9, 10); 우측힘판(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우측발에 의하여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우측하중센서(1); 좌측힘판(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좌측발에 의하여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좌측하중센서(2); 고주파수 또는 저주파수의 정현파 전류를 발생시키고 전극간 전압차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회로(19); 전극사이의 전류 및 전압의 측정경로를 변경시켜 인체부위별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전극과 임피던스 측정회로(19) 사이에 설치되는 전자 스위치(18); 성별, 연령, 신장 등의 피검자 정보를 입력하는 키보드(24); 및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측정된 신호를 이용해 자세균형과 인체성분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시화면(15)에 출력하며, 전자 스위치(19)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3);로 구성되는 자세균형을 측정하고 생체전기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인체성분을 분석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자세균형 측정기능을 갖는 인체성분 분석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1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측정 방법을 상세히 살펴보면, 피검자가 직립으로 선 자세에서 양발을 어깨 넓이로 벌려 좌우 힘판(11, 12)에 장착된 발전극(7, 8, 9, 10)을 밟고, 유연한 전선으로 연결된 손전극(3, 4, 5, 6)을 양손으로 잡고 차려 자세를 취할 때 오른쪽 힘판에 부과되는 하중은 오른쪽 하중 센서(1)가 측정하고 왼쪽 힘판에 부과되는 하중은 왼쪽하중센서(2)가 측정한다. 측정된 센서 하중은 신호 증폭기(21)와 A/D 변환기(22)를 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3)에 저장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23)는 부위별 측정 모드에 따라 전자스위치(18)를 제어하고 임피던스측정회로(19)는 피검자의 인체 부위별 저항 혹은 임피던스를 측정한다. 측정된 하중과 임피던스는 증폭기(20, 21)와 A/D 변환기(22)를 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3)에 저장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23)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체중 중심의 좌우 편차를 시간에 따라 계산한다. 입력된 데이터, 즉 신장, 연령, 성별과 측정된 부위별 임피던스 값을 이용하여 부위별 인체 성분을 계산하고 필요에 따라 전신의 성분을 계산하고 결과를 표시화면(16)과 프린터(25)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부위별 인체성분 분석과 자세균형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균형 측정기능을 갖는 인체성분 분석장치의 개략적인 전기회로 구성도이다. 제2도에서 본 발명에서의 기기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오른발에 부과된 하중을 측정하는 오른쪽하중센서(1), 오른쪽하중센서 위에 설치된 오른발 전극(7, 8), 왼발에 부과된 하중을 측정하는 왼쪽하중센서(2), 왼쪽하중센서 위에 설치된 왼발 전극(9, 10), 정현파 교류전류를 발생시키는 장치와 전극간 전압 차이를 측정하는 장치를 포함한 임피던스 측정회로(19), 인체 부위별 측정을 위해 전류 흐름과 전압 측정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전자스위치(18), 전자스위치를 제어하고 측정 및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산, 저장, 표시등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3), 성별, 연령, 신장 등의 피검자 정보를 입력하는 키보드(24), 필요에 따라서는 외부의 컴퓨터와 연결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 단자(17) 및 인체 성분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화면(16)과 프린터(2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별히 부위별 인체 성분 분석과 자세 균형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제3도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부위별 임피던스 모델과 전극 접촉 위치를 설명하고 있다. 우측 팔의 손목에서부터 우측 어깨 조인트까지의 임피던스를 Zra, 좌측 팔의 손목에서부터 좌측 어깨 조인트까지의 저항을 Zla, 우측다리의 발목에서부터 우측 힙 조인트까지의 저항을 Zrl, 좌측다리의 발목에서부터 좌측 힙 조인트까지의 저항을 Zll, 상체 몸통의 저항을 Zt로 한다.
손바닥에서부터 손목까지의 저항, 엄지손가락에서부터 손목까지의 저항, 앞발바닥에서부터 발목까지의 저항, 그리고 뒷발바닥에서부터 발목까지의 저항들도 표시되어 있으나 측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균형 측정기능을 갖는 인체성분 분석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 제4도에서 본 발명에서의 기기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하중을 측정하는 센서가 4개임을 제외하면 나머지 부분은 제1도와 동일하다. 제4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측정 방법을 상세히 살펴보면, 피검자가 직립으로 선 자세에서 양발을 어깨 넓이로 벌려 우측전후와 좌측전후에 설치된 하중센서(27, 28, 29, 30)에 장착된 발전극(7, 8, 9, 10)을 밟고, 유연한 전선으로 연결된 손전극(3, 4, 5, 6)을 양손으로 잡고 차려 자세를 취할 때 양발에 부과되는 하중은 4개의 하중센서(27, 28, 29, 30)에 분산되어지고 이때, 4개의 하중센서(27, 28, 29, 30)는 각각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한다. 측정된 센서 하중은 신호 증폭기(21)와 A/D 변환기(22)를 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3)에 저장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23)는 부위별 측정에 따라 전자스위치(18)를 제어하고 임피던스측정회로(19)는 피검자의 인체 부위별 저항 혹은 임피던스를 측정한다. 측정된 하중과 임피던스는 증폭기(20, 21)와 A/D 변환기(22)를 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3)에 저장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23)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체중 중심의 전후좌우 편차를 시간에 따라 계산한다. 입력된 데이터, 즉 신장, 연령, 성별과 측정된 부위별 임피던스 값을 이용하여 부위별 인체 성분을 계산하고 필요에 따라 전신의 성분을 계산하고 결과를 표시화면(16)과 프린터(25)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부위별 인체성분 분석과 자세균형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인체 부위별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우측 손바닥 전극(3)과 우측 앞발바닥 전극(7) 사이에 저주파수 정현파 교류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이때 우측 엄지 전극(4)과 좌측 엄지 전극(6) 사이에서의 전압을 측정한다. 전자스위치(19)는 마이크로프로세서(23)의 제어로 이러한 연결을 해준다. 흘려준 전류와 측정된 전압 비율로부터 저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 Zra를 구한다. 같은 방법으로 고주파수 전류를 사용하여 고주파수에서도 임피던스 Zra를 구한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우측 손바닥 전극(3)과 우측 앞발바닥 전극(7)사이에 저주파수 정현파 교류 전류를 흘리고, 이 때 좌측 엄지 전극(6)과 좌측 뒷발바닥 전극(10) 사이에서의 전압을 측정한다. 흘려준 전류와 전압 비율로부터 몸통에서의 임피던스 Zt를 구한다. 고주파수에서도 임피던스 Zt를구한다.
우측 손바닥 전극(3)과 우측 앞발바닥 전극(7) 사이에 저주파수 정현파 교류 전류를 흘리고, 이 때 우측 뒷발바닥 전극(8)과 좌측 뒷발바닥 전극(10) 사이에서의 전압을 측정한다. 흘려준 전류와 전압 비율로부터 오른다리의 임피던스 Zrl을 구한다. 고주파수에서도 임피던스 Zrl을 구한다.
좌측 손바닥 전극(5)과 좌측 앞발바닥 전극(9) 사이에 저주파수 정현파 교류 전류를 흘리고, 이 때 우측 엄지 전극(4)과 좌측 엄지 전극(6) 사이에서의 전압을 측정한다. 흘려준 전류와 전압 비율로부터 왼팔에서의 임피던스 Zla를 구한다. 고주파수에서도 임피던스 Zla를 구한다.
좌측 손바닥 전극(5)과 좌측 앞발바닥 전극(9) 사이에 저주파수 정현파 교류 전류를 흘리고, 이 때 우측 뒷발바닥 전극(8)과 좌측 뒷발바닥 전극(10) 사이에서의 전압을 측정한다. 흘려준 전류와 전압 비율로부터 좌측 다리에서의 저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 Zll을 구한다. 고주파수에서도 임피던스 Zll을 구한다.
이렇게 하여 측정을 완료하면 아래와 같이 연산하고 출력한다. 좌측 힘판과 우측 힘판에 부가된 하중 차이를 최대값, 평균값, 시간에 따른 차이로 표시한다.
SWAYmax= Wright- Wleft
여기서 SWAYmax는 불균형의 최대치로 우측 하중(Wright)과 좌측 하중(Wleft)의 차이의 최대치를 의미한다.
SWAYmean= average Wright- Wleft
여기서 SWAYmean은 평균값으로 시간대별로 측정된 불균형의 절대값의 평균값이다.
부위별 체수분량(Segmental Water, SW)은 아래와 같이 구한다.
SWra= f (Ht, Wt, Rlra, Rhra) ····· (Ⅰ)
여기서 SWra는 오른팔에 있는 수분량으로 신장(Ht), 체중(Wt), 낮은 주파수에서 측정한 오른 팔의 전기 저항값(Rlra), 높은 주파수에서 측정한 오른팔의 전기 저항값(Rhra)의 함수로 표시된다. 이와 유사하게 왼팔, 몸통, 오른다리, 왼다리에서도 측정할 수 있는데,
SWla= f (Ht, Wt, Rlla, Rhla)····· (Ⅱ)
SWt= f (Ht, Wt, Rlt, Rht)····· (Ⅲ)
SWrl= f (Ht, Wt, Rlrl, Rhrl)·····(Ⅳ)
SWll= f (Ht, Wt, Rlll, Rhll)·····(Ⅴ)
인체의 구성 성분 중에서 체지방은 수분의 함량이 극히 적기 때문에 체지방 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은 무시하며, 지방이외의 성분(FFM)은 약 73% 수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부위별 근육량(Segmental Lean Body Mass, SLBM)은 하기 식(Ⅵ)으로 표시된다.
SLBM = SW / 0.73·····(Ⅵ)
마이크로 프로세서(23)에서 연산이 완료되면 분석 결과를 표시화면(16)에 표시하거나 프린터(25)로 출력한다
몸 전체에 포함되어 있는 전신의 체수분량(Total Body Water: TBW)은 각 부위별 수분량을 합한 것으로 하기 식(Ⅶ)과 같이 표시된다.
TBW = C1Ht2/Zarm+ C2Ht2/Zleg+ C3Ht2/Ztrunk+ C4·····(Ⅶ)
여기서 C1, C2, C3및 C4는 식(Ⅶ)을 최선으로 만족시키는 상수이며, 회기식(Regression Method) 등으로 구한다.
제지방량(Fat Free Mass, FFM 혹은 Lean Body Mass, LBM)은 하기 식(Ⅷ)으로 표시된다.
FFM = TBW / 0.73 ·····(Ⅷ)
체지방의 양(FAT)은 체중에서 FFM을 뺀 값으로 하기 식(Ⅸ)으로 표시되며, 체지방율(Percent Body Fat :% BF)은 하기 식(Ⅹ)으로 표시된다.
FAT = Wt - FFM ····· (Ⅸ)
% BF =(Wt - FFM) × 100 / Wt ····· (Ⅹ)
본 발명은 피검자의 체중중심이 벗어나는 자세동요(postural sway)를 측정하는 자세균형 시스템과 부위별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체중의 무게중심 이동과 부위별 인체 성분량을 동시에 비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피검자의 자세균형과 인체부위별 근육량을 동시에 측정하여 진단 및 치료에 신뢰성 높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1)

  1. 피측정자의 우측 손바닥, 우측 엄지, 좌측손바닥 및 좌측 엄지를 각각 접촉하기 위한 전극(3, 4, 5, 6);
    피측정자의 우측 앞발바닥, 우측 뒷발바닥, 좌측 앞발바닥 및 좌측 뒷발바닥을 각각 접촉하기 위한 전극(7, 8, 9, 10);
    우측힘판(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우측발에 의하여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우측하중센서(1);
    좌측힘판(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좌측발에 의하여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좌측하중센서(2);
    고주파수 또는 저주파수의 정현파 전류를 발생시키고 전극간 전압차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회로(19);
    전극사이의 전류 및 전압의 측정경로를 변경시켜 인체부위별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전극과 임피던스 측정회로(19) 사이에 설치되는 전자 스위치(18);
    성별, 연령, 신장 등의 피검자 정보를 입력하는 키보드(24); 및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측정된 신호를 이용해 자세균형과 인체성분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시화면(15)에 출력하며, 전자 스위치(19)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균형을 측정하고 생체전기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인체성분을 분석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컴퓨터 및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연산 및 저장기능을 할 수 있도록 외부 인터페이스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마이크로프로세서(23)에 의하여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린터(26)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센서(1, 2)가 우측전단부 하중센서(27), 우측후단부 하중센서(28), 좌측전단부 하중센서(29) 및 좌측후단부 하중센서(30)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1)과 전극(2), 전극(3)과 전극(4), 전극(5)과 전극(6), 및 전극(7)과 전극(8)이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전류전극 또는 전압전극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1, 3, 5 및 7)이 전류전극인 경우에 상기 전극(2, 4, 6 및 8)이 전압전극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1, 3, 5 및 7)이 전압전극인 경우에 상기 전극(2, 4, 6 및 8)이 전류전극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피검자가 직립으로 좌우힘판(11, 12)에 서서 양손을 손전극(3, 4, 5, 6)에 접촉하고 양발을 발전극(7, 8, 9, 10)에 접촉하고;
    오른쪽 발에 부과되는 하중을 오른쪽 하중센서(1)에 의하여 측정하고;
    왼쪽 발에 부과되는 하중을 왼쪽 하중센서(2)에 의하여 측정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23)는 인체 부위별 측정 모드에 따라 전자 스위치(18)의 개폐를 제어하고;
    임피던스 측정 회로(19)는 인체 부위별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측정된 하중과 임피던스를 증폭기(20, 21)와 A/D 변환기(22)를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3)에 저장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23)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체중 중심의 좌우 편차, 부위별 인체 성분량을 계산하고; 그리고
    상기 계산결과를 표시화면(16)과 프린터(25)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부위별 구성성분을 분석하고 좌우균형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인체전신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오른쪽 발의 하중을 상기 하중센서(1)가 나누어진 우측전후단 하중센서(27, 28)에 의해 측정하고, 왼쪽발의 하중을 상기 하중센서(2)가 나누어진 좌측전후단 하중센서(29, 30)에 의해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피검자가 좌우힘판(11, 12)위에 직립하고;
    오른쪽 발에 부과되는 하중을 오른쪽 하중센서(1)에 의하여 측정하고; 그리고
    왼쪽 발에 부과되는 하중을 왼쪽 하중센서(2)에 의하여 측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좌우균형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KR1019990031020A 1999-07-29 1999-07-29 자세균형 측정기능을 갖는 인체성분 분석장치 및 그 분석방법 KR100316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020A KR100316473B1 (ko) 1999-07-29 1999-07-29 자세균형 측정기능을 갖는 인체성분 분석장치 및 그 분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020A KR100316473B1 (ko) 1999-07-29 1999-07-29 자세균형 측정기능을 갖는 인체성분 분석장치 및 그 분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583A true KR20010011583A (ko) 2001-02-15
KR100316473B1 KR100316473B1 (ko) 2001-12-12

Family

ID=19605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020A KR100316473B1 (ko) 1999-07-29 1999-07-29 자세균형 측정기능을 갖는 인체성분 분석장치 및 그 분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47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1229B2 (en) 2007-11-28 2011-09-0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etermining postural stability
KR101156232B1 (ko) * 2009-02-17 2012-06-18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자세 교정기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KR101373761B1 (ko) * 2012-04-30 2014-03-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
KR20170125696A (ko) * 2016-05-04 2017-11-15 주식회사 125엠비에스 체중 밸런스 측정용 체중계
KR20180115617A (ko) * 2017-04-13 2018-10-2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69402A (ko) 2018-12-06 2020-06-17 (주)대우루컴즈 신체 불균형에 대한 보정기능을 갖는 체성분 분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178B1 (ko) 2019-07-22 2020-03-17 (주)스케일마스터 신체불균형 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1229B2 (en) 2007-11-28 2011-09-0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etermining postural stability
KR101156232B1 (ko) * 2009-02-17 2012-06-18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자세 교정기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KR101373761B1 (ko) * 2012-04-30 2014-03-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
KR20170125696A (ko) * 2016-05-04 2017-11-15 주식회사 125엠비에스 체중 밸런스 측정용 체중계
KR20180115617A (ko) * 2017-04-13 2018-10-2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69402A (ko) 2018-12-06 2020-06-17 (주)대우루컴즈 신체 불균형에 대한 보정기능을 갖는 체성분 분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6473B1 (ko) 200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3166B1 (ko) 생체 전기 임피던스법을 이용한 간편 인체 성분 측정 장치 및 방법
CA2225184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body composition using a new electrode system based on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US6718200B2 (en) Wearable body-fat sensor
KR100372370B1 (ko) 체지방측정장치 및 체지방측정장치를 구비한 체중계
EP0545014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body fat
JP4357049B2 (ja) 体内脂肪測定装置
KR100324703B1 (ko) 신규의 손 전극을 이용한 인체성분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
JPWO2002047548A1 (ja) 身体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
KR0123408B1 (ko) 생체전기 임피던스법을 이용한 인체 성분 분석 장치 및 그 분석 방법
US7065399B2 (en) Muscle fatigue level measuring device
KR20030091052A (ko) 신체의 자세균형을 측정하는 기능을 갖는 체중계
JPH1170090A (ja) 生体電気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
KR100316473B1 (ko) 자세균형 측정기능을 갖는 인체성분 분석장치 및 그 분석방법
KR100885396B1 (ko)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US20040254496A1 (en) Biological data acquiring apparatus
JP2001104273A (ja) 体重計付き体脂肪測定装置
JP3767869B2 (ja) 体内脂肪量計付体重計
KR100323838B1 (ko) 생체 전기 임피던스법을 이용한 자동 인체 성분 측정 장치 및방법
JP3112317U (ja) 体成分分析結果紙
JP4204704B2 (ja) 体脂肪計
KR20050071841A (ko) 신체 부위별 생체 전기 임피던스 체지방 측정기 및 측정방법
JP3508633B2 (ja) 体脂肪計
JPH119569A (ja) 分離型脂肪計
WO2003077753A1 (en) Body fat measuring equipment
KR200318855Y1 (ko) 체지방 측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