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0791A - 다중화 장치에 필요한 개선된 동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화 장치에 필요한 개선된 동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0791A
KR20010010791A KR1019990029856A KR19990029856A KR20010010791A KR 20010010791 A KR20010010791 A KR 20010010791A KR 1019990029856 A KR1019990029856 A KR 1019990029856A KR 19990029856 A KR19990029856 A KR 19990029856A KR 20010010791 A KR20010010791 A KR 20010010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jitter
phase comparison
clocks
wr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8696B1 (ko
Inventor
최승국
Original Assignee
김학준
인천대학교 멀티미디어연구센터
최승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준, 인천대학교 멀티미디어연구센터, 최승국 filed Critical 김학준
Priority to KR1019990029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869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6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7Synchronising arrangements using pulse stuffing for systems with different or fluctuating information rates or bit rates
    • H04J3/076Bit and byte stuffing, e.g. SDH/PDH desynchronisers, bit-le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개의 비동기 디지탈 신호들을 동기식 통신망으로 다중화 시키는 시스템 VC-32와 VC-4에서 필요한 동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동기식 통신망에서는 기존의 비동기식 디지탈 계위의 신호들이 다중화 되어 기본주파수를 155.52 Mbit/s로 하는 동기식 전송장치로 전송되어져야 한다. 이 비동기 신호들은 스타핑(stuffing)동기방법으로 동기식 전송망으로 삽입되며, 우선 각각에 적합한 임시적인 가상콘테이너(VC: Virtual Container)에 수용된다. 그러나 이 동기방식에서 고유의 지터(jitter)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 지터는 전송되는 신호의 품질에 저하를 일으킨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지터의 크기를 기존의 방법보다 작게 발생시키는 개선된 동기제어장치를 개발하였다.

Description

다중화 장치에 필요한 개선된 동기 제어 장치{Advanced synchronization control system for multiplexer}
광대역 동기식 통신망에서는 디지탈 신호들이 기본 주파수를 155.52 Mbit/s로 하는 동기식 클럭(clock)에 의해 다중화 된 후에 전송된다. 이러한 디지탈 신호들은 스타핑 동기 방법으로 동기식 클럭과 동기된 후에 가상콘테이너(VC: Virtual Container)에 함께 다중화되어 수용되는데, 이 과정을 사상(mapping)이라고 한다. 44.736 Mbit/s의 디지탈 신호는 VC-3를 통하여 사상되고, 139.264 Mbit/s의 신호는 가상콘테이너 VC-4를 통하여 사상된다. 이러한 내용과 관련 시스템파라미터들은 모두 자세하게 ITU-T에 의해 권고안 G.707에 규정되어 있다.
도 1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동기장치의 구성도이다. 가상콘테이너에는 여러 개의 서비스 비트가 존재하는데 서비스 비트들이 존재하는 시점마다 디지탈 펄스가 프레임 발생기에 의해 만들어진다. 버퍼(buffer)에 쓰여진 데이타를 읽어내기 위하여 버퍼에 공급되는 클럭은 이 펄스들에 의해 멈춰지게 되어 서비스 비트들이 삽입될 자리가 마련된다. 한편 두 클럭 간의 동기를 위하여 입력클럭과 다중화 장치의 클럭이 서로 비교되어야 하는데 보통 버퍼에 데이타를 써 넣기 위하여 분주된 입력 클럭(write clock)과 이 데이타를 다시 읽어내기 의해 분주된 다중화 장치의 클럭(read clock)의 위상이 위상비교기에 의해 비교된다. 이때 버퍼의 크기(클럭의 분주비)는 두 클럭 간의 최대 위상차 보다 커야 되는데 VC-4에서는 대략 24 비트 크기의 버퍼가 필요하다. 프레임 내에 분포되어 있는 스타핑 정보 비트의 위치보다 빠른 일정한 시간대역에서 동기 제어를 위한 두 클럭간의 위상비교가 행해져야 하는데 이 스타핑 판별시간대역을 위상비교 윈도우(window)라고 한다. 이때 윈도우의 실질적인 크기는 버퍼의 크기(버퍼제어를 위한 클럭의 분주비)와 같게된다. 연속적으로 분주된 두 클럭들과 윈도우 신호는 위상비교기에 보내져서 윈도우 신호가 위치하는 시간대역 내에서 두 클럭 간의 위상이 비교된다. 이때 위상차가 한계치를 초과하게 되면 스타핑이 행해져야 한다는 스타핑 정보가 발생되어 분주기에 공급되는 read 클럭 중 스타핑 비트 자리에 위치한 클럭을 한 비트 멈추게 한다( read 클럭을 제어하는 스타핑 동기방식). 아울러 이 정보는 수신 측에 보내져 수신 장치 내 버퍼를 제어하는 클럭을 역시 한 비트 멈추게 한다.
VC-4의 경우에 한 프레임 내에 보내져야할 데이타 수는 1935비트이다. 1935는 분주값 24로 나누었을 때 정수로 되지 않고 15의 나머지를 남긴다. 그러므로 어떤 한 프레임에서의 위상비교는 그 전 프레임의 위상비교 때보다 시간적으로 15비트 빠른 시점에서 행해진다. 이때 그 전 프레임에서 스타핑이 행하여졌으면 그 프레임에서 클럭이 한 비트 멈추어졌으므로 데이타를 읽기 위한 클럭 수가 한 비트 적어져서 다음 프레임의 위상비교는 시간적으로 14 비트 만큼 빠른 위치에서 행해진다. 위상비교 위치가 계속 14 또는 15비트씩 빨라져서 시간적으로 비교윈도우 시간대를 앞서게 되면 연속적인 분주된 비교펄스 중 윈도우 보다 늦게 위치했던 펄스가 윈도우내로 들어와 입력 클럭과 계속 비교된다. 도 1의 수신측 역다중 장치에서는 송신 측에서 행해졌던 스타핑 제어 과정과 역 방향의 과정이 행해진다. 여러 위치에서 멈추어진 불연속적인 클럭으로 데이타가 버퍼에 써넣어진다. 이 버퍼에 쓰여진 데이타는 PLL(Phase Locked Loop)의 한 부분인 전압제어발진기(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의 클럭으로 읽혀진다. 이때 VCO의 주파수는 불연속적인 입력 클럭의 평균주파수와 같으나 클럭의 불연속성으로 인한 입력지터는 PLL의 지터전달함수(jitter transfer function)특성에 따라 필터링(filtering)되어 전달되므로 지터가 비교적 작은 VCO 출력 클럭을 얻을 수 있다. VC-32장치에서도 위와 같은 과정이 행하여지며 ITU-T의 권고안에 모두 규정되어 있다.
도 2에 위와 같이 read 클럭 제어방식을 이용한 장치에서 발생되는 지터들의 실효치들이 측정되어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한 결과와 비교되었다. 시스템 VC-4에서는 대략 23비트 보다 큰 버퍼가 필요하다. 이 때 버퍼의 크기(write, read 클럭의 분주비)에 따라서 발생되는 지터의 모양이 달라진다. 도 2에 버퍼의 크기가 24, 26, 28 일 때 두 클럭의 주파수편차에 의해 결정되는 스타핑비(한 프레임당 스타핑 빈도)에 따라서 발생되는 지터의 측정된 실효치들이 나타나 있다. 측정된 값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한 값이 비교된 이 세 그림에서 보듯이 실효치가 20ns 이상인 큰 크기의 지터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과 위의 설명에서와 같이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서비스 비트들의 위치 때 마다 클럭이 멈추어지며, 이 불균일한 다중화 장치의 클럭(read clock)들이 분주 되어 분주된 입력 클럭(write clock)과 위상비교 된다. 한편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이러한 서비스 비트들의 존재 때문에 두 클럭 간의 위상 차(지터)는 매우 크게 변동된다. 그러므로 위상 비교 시점이 변동되었을때 이로 인하여 도 2에서와 같이 큰 크기의 지터가 실제 발생된다. 본 발명에서는 발생되는 지터의 크기가 작은 새로운 동기제어방식을 개발하였다.
도 1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read 클럭 제어방식의 동기장치 구성도
도 2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read 클럭 제어방식의 VC-4에서 발생하는 실제 지터의 실효치
도 3은 새로운 write 클럭 제어방식의 동기장치 구성도
도 4는 새로운 write 클럭 제어방식의 VC-4에서 측정된 지터의 실효치
본 발명에서는 두 클럭의 위상 차가 한계치를 초과할 때마다 버퍼제어를 위한 입력클럭(write clock)의 분주비를 43 에서 42로 변화시킴으로써, 즉 분주된 입력 클럭을 시간적으로 한 비트 만큼 빠른 시간에 공급함으로써 위상차를 보정 시킨다(write 클럭 제어방식: 도 3). 지금까지 사용되던 read 클럭 제어방식에서는 두 클럭 간의 위상 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read 클럭을 제어함으로써 그 때마다 추가적으로 위상비교시점이 변화되었다. 그러나 스타핑 제어시 read 클럭과 무관한 write 클럭을 제어시키면 위상비교위치가 변동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두 클럭 간의 정확한 위상비교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때 클럭의 분주비는 VC-4의 경우 프레임 내 데이타수 1935를 분주비로 나누었을 때 정수가 되도록 43으로 선택되어야 만 이로 인한 위상비교 위치의 변동이 없게된다. 도 3의 새로 제안된 write 클럭 제어방식에 따라 제작된 가상콘테이너 장치의 출력에 나타나는 지터가 phase detector로 검출되어 storage oscilloscope에 보관되고 그 실효치가 측정되었다(도4). 이 도4를 기존의 도 2와 비교하면, 새로운 방식에서 기존 시스템 보다 크기가 작은 지터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방식과 달리, read 클럭을 제어하는 동기 제어 장치를 사용함으로서 지터가 작게 발생되는 우수한 장치를 고안하였다. 만일 디지탈 화상신호에 전송 도중 큰 크기의 지터가 발생되면, 특히 칼러 화질에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송 장치에서 발생되는 지터에 대한 규격은 ITU-T에서도 엄격히 규정하고 있다. 새로운 동기 제어 장치를 사용함으로서 국제규격에도 맞으며 지터 특성이 우수한 전송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Claims (1)

  1. 디지탈 신호를 스타핑동기방식을 사용하여 동기식 통신망으로 다중화시키는 가상콘테이너 장치 VC-32와 VC-4에 있어서,
    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지터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write 클럭을 제어하는 새로운 동기제어방식,
    이 때 위상 비교를 위한 클럭의 분주비는 프레임 내 데이타 수를 분주비로 나누었을 때 정수가 되도록 선정하여야 만 위상비교 위치의 변동이 없게 되어 작은 크기의 지터가 발생된다.
KR1019990029856A 1999-07-15 1999-07-15 동기화 시스템 KR100338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856A KR100338696B1 (ko) 1999-07-15 1999-07-15 동기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856A KR100338696B1 (ko) 1999-07-15 1999-07-15 동기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791A true KR20010010791A (ko) 2001-02-15
KR100338696B1 KR100338696B1 (ko) 2002-05-30

Family

ID=19603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856A KR100338696B1 (ko) 1999-07-15 1999-07-15 동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869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7017A (en) * 1981-03-02 1983-08-02 Nippon Electric Co., Ltd. Stuff synchronization device with reduced sampling jitter
KR920010379B1 (ko) * 1990-07-31 1992-11-27 한국전기통신공사 동기식 다중장치에서의 포인터 조정지터 감소장치
JP3130425B2 (ja) * 1994-03-18 2001-01-31 富士通株式会社 ジッタ抑圧回路
JPH08181678A (ja) * 1994-12-22 1996-07-12 Fujitsu Ltd デスタッフ同期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8696B1 (ko) 200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73338B1 (en) Bit synchronization with elastic memory
US5367545A (en) Asynchronous signal extracting circuit
US5268936A (en) Synchronous digital signal to asynchronous digital signal desynchronizer
EP0830760B1 (en) Digital desynchronizer
CA1205587A (en) Time-division switching unit
US6415006B2 (en) Reducing waiting time jitter
KR19990063234A (ko) 디지탈 신호 스트림을 멀티플렉싱 및 디멀티플렉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H0771064B2 (ja) データの同期化方法と同期回路
RU2155452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синхронизации для синхронной цифровой иерарх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EP0944195B1 (en) Payload relative change requesting apparatus and transmission apparatus containing the same
CA2259644A1 (en) Synchronization set for a synchronous digital message transmission system and process for producing a synchronous output signal
US20030076911A1 (en) Receiver apparatus in stuffing synchronization system
US8068177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ignal synchronization
KR20010010791A (ko) 다중화 장치에 필요한 개선된 동기 제어 장치
US7440533B2 (en) Modulated jitter attenuation filter
JP2952935B2 (ja) 非同期データ伝送システム
US200302352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ggregation and transportation for plesiosynchronous framing oriented data formats
KR100340050B1 (ko) 동기식 디지털 전송 시스템의 역동기화 장치
KR100377505B1 (ko) 비트 리킹 방식의 지터 제어 회로
KR20030014076A (ko) 비트 리킹 방식의 포인터 조정 동기 장치
DK176259B1 (da) Fremgangsmåde til overföring af datasignaler samt fremgangsmåde og apparat til desynkronisering af PDH-signaler
US7349444B2 (en) SONET/SDH SPE/virtual container retiming with adaptive dual pointer leak rate computation
KR20030014077A (ko) 판별 경계치 변조 방식의 포인터 조정 동기 장치
KR20040057018A (ko) 동기식 다중화기의 동기장치
AU669315B2 (en) Arrangement for recovering a plesiochronous digital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