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0498A - 자동차의 탑승자 머리 보호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탑승자 머리 보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0498A
KR20010010498A KR19990029412A KR19990029412A KR20010010498A KR 20010010498 A KR20010010498 A KR 20010010498A KR 19990029412 A KR19990029412 A KR 19990029412A KR 19990029412 A KR19990029412 A KR 19990029412A KR 20010010498 A KR20010010498 A KR 20010010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pillar
airbag
head lining
air bag
pillar t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0029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6436B1 (ko
Inventor
임찬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90029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643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436B1/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탑승자 머리 보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측면 충돌 또는 전복 사고가 발생하여 에어백이 전개될 때 탑승원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루프 사이드 인너 레일(1)에 에어백(3)을 설치하여 상기 에어백 (3) 전방에 헤드 라이닝(4)이 위치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헤드 라이닝(4)을 지지한 센터 필러 트림(6)의 지지부(8) 타측에 걸림돌기(15)를 형성하여 센터 필러 인너 패널(5)에 형성된 걸림홀(16)에 걸리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탑승자 머리 보호구조 {PASSENGER HEAD PROTECTION MEANS OF AUTO- 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탑승자 머리 보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인플레이터블 커텐 시스템(Inflatable Curtain System)은 차량의 루프 사이드 레일과 헤드 라이닝 사이에 에어백을 설치하여 측면 충돌이나 전복 사고시 인플레이터(Inflater)의 작동에 의해서 에어백이 전개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장치인 것이다.
종래의 탑승자 머리 보호구조는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 사이드 인너 레일(1)에 브래킷(2)을 이용하여 에어백(3)을 설치하고, 상기 에어백(3) 전방에 헤드 라이닝(4)이 위치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헤드 라이닝(4)의 단부는 센터 필러 인너 패널(5)에 고정되는 센터 필러 트림(6)에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에어백(3)은 브래킷(2)에 지지된 상태에서 리어 필러(미도시) 측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인플레이터와 연결되어 측면 충돌 발생시 인플레이터가 작동하여 에어백(3)이 전개되게 하는 것이며, 상기 브래킷(2)은 루프 사이드 인너 레일(1)에 볼트(7) 등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센터 필러 트림(6)의 상단에 지지부(8)를 형성하여 헤드 라이닝(4)을 지지한 것인 바, 상기 지지부(8)의 지지력에 의해서 에어백(3)이 전개되지 않는 한 헤드 라이닝(4)이 실내측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미설명 부호 9는 루프 아웃터 패널이고, 10은 루프 레인포스 패널이며, 11은 사이드 아웃터 패널이다.
상기와 같이 에어백(3)을 설치한 상태에서 측면 충돌 또는 전복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인플레이터가 작동하여 에어백(3)이 전개되는 것인 바, 상기 에어백(3)의 전개는 하측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전개시 헤드 라이닝(4) 및 센터 필러 트림(6)에 압력을 가하면서 하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이다. 상기 에어백(3)의 전개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일차적으로 헤드 라이닝(4)을 밀게 되고 이차적으로 센터 필러 트림(6)을 밀게되는 바, 상기 센터 필러 트림(6)은 헤드 라이닝(4) 및 에어백 (3)에 의해서 밀려지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헤드 라이닝(4)의 단부가 센터 필러 트림(6)의 지지부(8)를 밀게 되면 센터 필러 트림(6)이 탑승원(12) 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자동차의 탑승자 머리 보호구조는, 센터 필러 트림(6)의 지지부(8)가 헤드 라이닝(4)의 단부에 단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에어백(3) 전개시 헤드 라이닝(4) 및 에어백(3)의 압력에 의해서 센터 필러 트림(6)이 탑승원(12) 측으로 휘어지게 되어 탑승원(12)의 안전에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측면 충돌 또는 전복 사고가 발생하여 에어백이 전개될 때 탑승원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도록 한 자동차의 탑승자 머리 보호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루프 사이드 인너 레일에 에어백을 설치하여 상기 에어백 전방에 헤드 라이닝이 위치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헤드 라이닝을 지지한 센터 필러 트림의 지지부 타측에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센터 필러 인너 패널에 형성된 걸림홀에 걸리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에어백 전개 상태도,
도 4는 도 1의 A-A선에 대응되는 종래의 것의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것의 에어백 전개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루프 사이드 인너 레일 3: 에어백 4: 헤드 라이닝
6: 센터 필러 트림 8: 지지부 15: 걸림돌기 16: 걸림홀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 사이드 인너 레일(1)에 브래킷(2)으로 에어백(3)을 설치하여 상기 에어백(3) 전방에 헤드 라이닝(4)이 위치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헤드 라이닝(4)을 지지한 센터 필러 트림(6)의 지지부(8) 타측에 걸림돌기(15)를 형성하여 센터 필러 인너 패널(5)에 형성된 걸림홀(16)에 걸리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에어백(3)은 브래킷(2)에 지지된 상태에서 리어 필러 (17) 내측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인플레이터와 연결되어 측면 충돌 발생시 인플레이터가 작동하여 에어백(3)이 전개되게 하는 것이며, 상기 브래킷(2)은 루프 사이드 인너 레일(1)에 볼트(7) 등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센터 필러 트림(6)의 지지부(8)에 지지된 헤드 라이닝(4)은 지지부(8)의 지지력에 의해서 에어백(3)이 전개되지 않는 한 실내측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미설명 부호 9는 루프 아웃터 패널이고, 10은 루프 레인포스 패널이며, 11은 사이드 아웃터 패널이고, 18은 차체이며, 19는 센터 필러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측면 충돌 또는 전복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인플레이터가 작동하여 에어백(3)이 전개되는 것인 바, 상기 에어백(3)의 전개는 하측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전개시 헤드 라이닝(4) 및 센터 필러 트림(6)에 압력을 가하면서 하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이다. 상기 에어백(3)의 전개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일차적으로 헤드 라이닝(4)을 밀게 되고 이차적으로 센터 필러 트림(6)을 밀게되는 바, 상기 헤드 라이닝(4)을 밀게 되면 헤드 라이닝(4)의 단부가 센터 필러 트림(6)의 지지부(8)에서 이탈되어 실내측으로 휘어지고, 센터 필러 트림(6)을 밀게 되지만 센터 필러 트림(6)의 걸림돌기(15)가 걸림홀(16)에 걸려있는 상태가 지속되어 센터 필러 인너 패널(5)과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한 헤드 라이닝(4)은 하측이 실내측으로 약간 휘어지면서 휨반경이 탑승원과 이격되어 탑승원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게 되고, 상기 센터 필러 트림(6)은 걸림돌기(15)가 센터 필러 인너 패널(5)의 걸림홀(16)에 걸림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측으로 휘어지지 않아 탑승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센터 필러 트림의 지지부가 헤드 라이닝의 단부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센터 필러 트림의 걸림돌기가 센터 필러 인너 패널의 걸림홀에 걸림되어 있어 에어백 전개시 센터 필러 트림은 실내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헤드 라이닝만 실내측으로 약간 휘어지게 되면서 탑승원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루프 사이드 인너 레일에 에어백을 설치하여 상기 에어백 전방에 헤드 라이닝이 위치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헤드 라이닝을 지지한 센터 필러 트림의 지지부 타측에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센터 필러 인너 패널에 형성된 걸림홀에 걸리도록 한 자동차의 탑승자 머리 보호구조.
KR1019990029412A 1999-07-20 1999-07-20 자동차의 탑승자 머리 보호구조 KR100306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412A KR100306436B1 (ko) 1999-07-20 1999-07-20 자동차의 탑승자 머리 보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412A KR100306436B1 (ko) 1999-07-20 1999-07-20 자동차의 탑승자 머리 보호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498A true KR20010010498A (ko) 2001-02-15
KR100306436B1 KR100306436B1 (ko) 2001-09-13

Family

ID=19603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412A KR100306436B1 (ko) 1999-07-20 1999-07-20 자동차의 탑승자 머리 보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64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172B1 (ko) * 2001-12-18 2004-08-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착구조
KR100883525B1 (ko) * 2002-10-18 2009-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장치의 필라 트림 지지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2586B (zh) * 2011-06-24 2015-11-25 奥托立夫开发公司 帘式气囊安装结构
KR20190089256A (ko) 2018-01-22 2019-07-31 송원영 냄새흡입장치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KR200492905Y1 (ko) 2019-11-04 2020-12-31 송원영 착탈식 냄새흡입부재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8521B2 (ja) * 1990-10-29 1994-11-09 池田物産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H07125585A (ja) * 1993-10-29 1995-05-16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
KR19980026070U (ko) * 1996-11-07 1998-08-05 박병재 자동차용 헤드 라이닝의 단부 고정구조
KR19980054878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차의 헤드 라이닝의 처짐방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172B1 (ko) * 2001-12-18 2004-08-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착구조
KR100883525B1 (ko) * 2002-10-18 2009-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장치의 필라 트림 지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6436B1 (ko) 200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8582B1 (ko) 팽창식 결합 커튼 접기용 장치 및 접는 방법
KR100747861B1 (ko) 커튼에어백의 프론트 필라트림 구조
JP3724796B2 (ja) 乗員保護装置
US20050046154A1 (en) Inflatable curtain mounting bracket
US20050029778A1 (en) Mounting bracket with fastener retention
JPWO2017208811A1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KR100778559B1 (ko) 커튼에어백의 프론트 필라트림 구조
KR100508439B1 (ko) 차량의 커튼에어백용 전방 필라트림구조
KR102605170B1 (ko) 커튼 에어백 장치
KR100831504B1 (ko) 차량용 커튼에어백
JP2002264762A (ja) 自動車及び乗員頭部保護装置
KR100306436B1 (ko) 자동차의 탑승자 머리 보호구조
JP2001163160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0025552A (ja) 衝撃保護装置
US20050011057A1 (en) Two-dimensional tether retainer with accompanying tooling assembly
US20040108693A1 (en) Device for unrestricted side airbag or curtain deployment
JP2008239082A (ja)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ガーニッシュ部材
KR20230015720A (ko) 테더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 결합 구조
JP3605331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512863B1 (ko) 차량의 전복시 전개되는 루프에어백
CN112236337A (zh) 远侧安全气囊
JP5843432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4144418B2 (ja) 車両のトリム構造
KR100410859B1 (ko) 자동차용 커텐 에어백 테더 구조
GB2444248A (en) A component for mounting an assist grip and deflecting an expanding airbag within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