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8985A -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8985A
KR20010008985A KR1019990027095A KR19990027095A KR20010008985A KR 20010008985 A KR20010008985 A KR 20010008985A KR 1019990027095 A KR1019990027095 A KR 1019990027095A KR 19990027095 A KR19990027095 A KR 19990027095A KR 20010008985 A KR20010008985 A KR 20010008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ever
handle
latch assembly
connec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90027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8985A/ko
Publication of KR20010008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898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05B79/16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linking the rods to other lock parts, e.g. to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05Y2201/626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너 도어 핸들에 의해 작동되는 커넥션 레버와 이 커넥션 레버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걸림부 작동 레버와 이 걸림부 작동 레버에 의해 작동되어 차체에 부착된 스트라이커로부터 이탈 분리되는 걸림부로 구성된 도어 래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레버의 일측에는 수평한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수평한 방향으로 삽입되어 걸려지는 로드를 매개로 상기 커넥션 레버를 작동시키는 아우터 도어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션 레버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아우터 도어 핸들의 로드를 수평으로 삽입 연결하여 상기 커넥션 레버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아우터 도어 핸들을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수평한 방향에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 {APPARATUS FOR OPEN AND CLOSE THE DOOR IN AUTO MOBILE}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래치어셈블리에 대해 아우터 도어 핸들을 수직방향뿐만 아니라 수평한 방향으로도 설치할 수 있는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바디는 승용차의 경우 모노코크 프레임을 사용함과 아울러 여기에 도어, 후드, 트렁크 리드 등을 부착하여 구성하게 된다.
즉, 바디의 골격을 이루는 모노코크 프레임에 회전되는 부품인 도어 후드, 트렁크 리드 등을 부착하여 바디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 중, 차체 및 도어에는 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데, 이러한 도어개폐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B)에 고정 설치되는 스트라이커(10)와, 도어(D)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스트라이커(10)에 걸림부(도시되지 않았음)를 걸어 도어(D)를 록킹하거나 상기 걸림부를 스크라이커(10)로부터 이탈시켜 도어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20)와, 이 도어 래치 어셈블리(20)에 아우터 핸들 로드(31)로 연결되어 이를 동작시키며 도어(D)의 외측 즉, 실외측에 부착 설치되는 아우터 도어 핸들(30)과, 상기한 도어 래치 어셈블리(20)에 이너 핸들 로드(41)로 연결되어 이를 동작시키며 도어(D)의 내측 즉, 실내측으로 부착 설치되는 이너 도어 핸들(40) 및, 상기한 도어 래치 어셈블리(20)에 세이프티 로드(51)로 연결되어 도어 래치 어셈블리(20)가 작동되지 못하도록 잠그며 도어(D)의 상부에서 실내로 돌출되는 세이프티 노브(50)로 구성된다.
상기한 도어 래치 어셈블리(20)는 일측에 형성된 돌기(21a)가 상기한 아우터 핸들 로드(31)의 종단에 형성된 가이드홈(31a)에 삽입되고 타측에 절곡부(21b)가 형성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한 걸림부를 동작시키는 걸림부 작동레버(21)와, 일측에 형성된 걸림구멍(22a)에 상기한 이너 핸들 로드(41)가 삽입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이너 핸들 레버(22)와, 이 이너 핸들 레버(22)의 타측에 연결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그 일측에 절곡부(23a)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팅 플레이트(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어 래치 어셈블리(20)는 일측에 상기한 커넥팅 플레이트(23)의 절곡부(23a)에 접촉되는 돌기(24a)가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한 걸림부 작동 레버(21)의 절곡부(21b)에 접촉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커넥션 레버(24) 및,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홈(25a)이 도어 래치 어셈블리(20)의 몸체에 부착된 돌기(26)에 삽입되며 다른 일측이 상기한 세이프티 로드(51)에 연결되어 이 세이프티 로드(51)의 작동에 따라 상하 이동하여 상기한 걸림부 작동 레버(21)의 작동을 록킹하는 잠금레버(25)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도어 개폐장치의 동작은 하기와 같다.
이용자가 아우터 도어 핸들(30)을 조작하여 아우터 핸들 로드(31)를 통해 걸림부 작동 레버(21)를 동작시키면 걸림부가 스트라이커(10)로부터 이탈되어 도어의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이용자가 이너 도어 핸들(40)을 조작하여 이너 핸들 로드(41)를 통해 이너 핸들 레버(22)를 동작시키면 이 이너 핸들 레버(22)에 연결된 커넥팅 플레이트(23)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그 일측에 형성된 절곡부(23a)가 커넥션 레버(24)의 돌기(24a)를 밀게 된다.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23)의 작동에 의해 커넥션 레버(24)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걸림부 작동 레버(21)의 절곡부(21b)를 밀어 걸림부 작동 레버(21)를 작동시키고, 걸림부 작동 레버(21)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걸림부를 스트라이커(10)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도어(D)의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도어 개폐장치는, 아우터 도어 핸들을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걸림부 작동 레버에 연결하기 때문에, 아우터 도어 핸들을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수직한 방향으로만 설치할 수 있고 수평한 방향으로는 설치할 수 없는데, 도 1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도어 래치 어셈블리와 이에 수직한 방향의 아우터 도어 핸들의 사이에는 비교적 공간이 협소하여 설치가 까다로운 바, 도어의 내부 구조에 따라 아우터 도어 핸들을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아우터 도어 핸들을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아우터 도어핸들을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는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개폐장치에 대한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개폐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은 도 4에 도시된 커넥션 레버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스트라이커 120: 도어 래치 어셈블리
121: 걸림부 작동 레버 122: 이너 핸들 레버
123: 커넥팅 플레이트 124: 커넥션 레버
130: 아우터 도어 핸들 140: 이너 도어 핸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는, 이너 도어 핸들에 의해 작동되는 커넥션 레버와 이 커넥션 레버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걸림부 작동 레버와 이 걸림부 작동 레버에 의해 작동되어 차체에 부착된 스트라이커로부터 이탈 분리되는 걸림부로 구성된 도어 래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레버의 일측에는 수평한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수평한 방향으로 삽입되어 걸려지는 로드를 매개로 상기 커넥션 레버를 작동시키는 아우터 도어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장치는, 차체(B)에 고정 설치되는 스트라이커(110)와, 도어(D)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스트라이커(110)에 걸림부(도시되지 않았음)를 걸어 도어(D)를 록킹하거나 상기 걸림부를 스크라이커(110)로부터 이탈시켜 도어(D)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120)와, 이 도어 래치 어셈블리(120)에 아우터 핸들 로드(131)로 수평한 방향에서 연결되어 이를 동작시키며 도어(D)의 외측 즉, 실외측에 부착 설치되는 아우터 도어핸들(130)과, 상기한 도어 래치 어셈블리(120)에 이너 핸들 로드(141)로 연결되어 이를 동작시키며 도어(D)의 내측 즉, 실내측으로 부착 설치되는 이너 도어핸들(140) 및, 상기한 도어 래치 어셈블리(120)에 세이프티 로드(151)로 연결되어 래치 어셈블리(120)가 작동되지 못하도록 잠그며 도어(D)의 상부에서 실내로 돌출되는 세이프티 노브(150)로 구성된다.
상기한 도어 래치 어셈블리(120)는 일측에 절곡부(121a)가 형성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한 걸림부를 동작시키는 걸림부 작동레버(121)와, 일측에 형성된 걸림구멍(122a)에 상기한 이너 핸들 로드(141)가 삽입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이너 핸들 레버(122)와, 이 이너 핸들 레버(122)의 타측에 연결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그 일측에 절곡부(123a)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팅 플레이트(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어 래치 어셈블리(120)는, 도 5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일측이 상기한 커넥팅 플레이트(123)의 절곡부(123a)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한 걸림부 작동 레버(121)의 절곡부(121a)에 접촉되는 한편, 또 다른 일측이 "Γ"자형상으로 절곡되고 이에 아우터 핸들 로드(131) 종단의 삽입돌기(132)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124a)이 형성되는 커넥션 레버(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도어 래치 어셈블리(120)는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홈(125a)이 도어 래치 어셈블리(120)의 몸체에 부착된 돌기(126)에 삽입되며 다른 일측이 상기한 세이프티 로드(151)에 연결되어 이 세이프티 로드(151)의 작동에 따라 상하 이동하여 상기한 걸림부 작동 레버(121)의 작동을 록킹하는 잠금레버(125)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아우터 도어 핸들(130) 또는 이너 핸들 도어(140)를 작동시키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는, 아우터 핸들 로드(131)의 종단에 부착된 삽입돌기(132)가 커넥션 레버(124)의 가이드홈(124a)의 좌측 종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용자가 도어 래치 어셈블리(12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도록 아우터 도어 핸들(130)을 조작하면, 아우터 핸들 로드(31)가 A방향으로 이동되어 커넥션 레버(124)를 작동시키고, 이 커넥션레버(124)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B방향으로 회동하여 걸림부 작동 레버(121)의 절곡부(121a)를 밀어 걸림부 작동 레버(121)를 작동시킨다.
상기 걸림부 작동 레버(121)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걸림부를 스트라이커(110)로부터 이탈시키고, 이와 같이 걸림부가 스트라이커(110)로부터 이탈 분리됨에 의해 도어(D)의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이용자가 이너 도어 핸들(140)을 조작하여 이너 핸들 로드(141)를 통해 이너 핸들 레버(122)를 동작시키면 이 이너 핸들 레버(122)에 연결된 커넥팅 플레이트(123)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그 일측에 형성된 절곡부(123a)가 커넥션 레버(124)를 밀게 된다.
이때, 아우터 핸들 로드(131)와 커넥션 레버(124)는 가이드홈(124a)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션 레버(124)는 아우터 핸들 로드(131)에 의한 방해 없이 B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123)의 작동에 의해 커넥션 레버(124)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B방향으로 회동하여 걸림부 작동 레버(121)의 절곡부(121a)를 밀어 걸림부 작동 레버(121)를 작동시킨다.
상기 걸림부 작동 레버(121)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걸림부를 스트라이커(110)로부터 이탈시키고, 걸림부가 스트라이커(110)로부터 이탈 분리됨에 의해 도어(D)의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션 레버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아우터 도어 핸들의 로드를 수평으로 삽입 연결하여 상기 커넥션 레버를 작동시킴으로써, 아우터 도어 핸들을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수평한 방향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이너 도어 핸들에 의해 작동되는 커넥션 레버와 이 커넥션 레버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걸림부 작동 레버와 이 걸림부 작동 레버에 의해 작동되어 차체에 부착된 스트라이커로부터 이탈 분리되는 걸림부로 구성된 도어 래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레버의 일측에는 수평한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수평한 방향으로 삽입되어 걸려지는 로드를 매개로 상기 커넥션 레버를 작동시키는 아우터 도어 핸들을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레버는,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일측면이 다단으로 절곡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
KR1019990027095A 1999-07-06 1999-07-06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 KR20010008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095A KR20010008985A (ko) 1999-07-06 1999-07-06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095A KR20010008985A (ko) 1999-07-06 1999-07-06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985A true KR20010008985A (ko) 2001-02-05

Family

ID=19599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095A KR20010008985A (ko) 1999-07-06 1999-07-06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89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9444B2 (en) Handle apparatus
RU2469875C2 (ru) Узел откидной крышки резервуара
US5520431A (en) Fuel door/sliding door interlock mechanism
KR20010008985A (ko)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
KR20010055507A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
KR20080064076A (ko) 건물용 현관문
JP3072041B2 (ja) 車両のドア構造
JP2591404Y2 (ja) リッドのロック装置
KR20010009901A (ko)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
KR100529171B1 (ko)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KR100803425B1 (ko)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
JPS58757Y2 (ja) 自動車の扉遠隔操作装置
JPS58758Y2 (ja) 自動車の扉遠隔操作装置
KR101743004B1 (ko) 전동차량의 윈도우 개폐 장치
KR100253510B1 (ko) 자동차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KR100461952B1 (ko) 도어 잠금방지를 위한 도어래치 조립체
KR200377616Y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잠금장치
KR100323437B1 (ko) 차량용 세프티 노브 어셈블리
KR100286061B1 (ko) 현관용 레버록
KR20020045283A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도어핸들 조립체의 케이블 고정장치
KR100251934B1 (ko) 트렁크게이트의 리프트글래스 록킹장치
KR19990046983A (ko) 자동차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KR20010029696A (ko) 잠금 장치 및 차량 트렁크 격실 뚜껑을 트렁크내측으로부터 해제하는 방법
KR19980048756U (ko) 자동차후드용 이차랫치장치
JP2001207707A (ja) 自動車のトランク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